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어린이 미술관 전시 분석 :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고미리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며, 미술관이야말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대인들에게 각광받는 장소라는 점에서 그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모더니즘 시대의 전통 교육의 한계에 따른 대안으로서 구성주의 교육 이론이 박물관 및 미술관 교육에도 많은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이론적 바탕으로 삼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어린이를 위한 전용 미술관으로서 국내 유일의 국립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의 어린이 미술관을 선정하였고, 2016년 진행되었던 ‘미술관을 멋지게 즐기는 5가지 방법’전의 전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론, 이론적 고찰, 어린이 미술관 전시 분석, 결론 및 제언 이렇게 총 네 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론에서는 현재 이 시대의 교육적 흐름에 크게 작용하고 있는 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인 배경에 따라 어린이 미술관에 대한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게 된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 대상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두 번째, 이론적 고찰에서는 크게 미술관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 이론에 대한 이해, 두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먼저 미술관 교육의 역사 및 기초를 다루고 있는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술관의 교육적 기능이 가지는 의미와 교육 공간으로서 미술관을 바라보는 관점을 어린이 미술관의 전시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배경 및 기초 자료로 삼았다. 그리고 미술관 교육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어린이 미술관이 등장한 원인을 미술관 교육의 역사적 맥락에서 찾아보고, 어린이 미술관의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어 있는 문헌을 조사하여 어린이 미술관 전시의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다음으로 전시를 분석하기 위한 해석적 틀을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교육을 확립하는 데 바탕이 되었던 ‘구성주의 교육 이론’에 근거하였다. 구성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대표적인 철학으로서 구성주의 교육 이론의 특성을 지식관의 변화와 학습 주체의 변화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어린이 미술관 전시의 특징을 듀이(Dewey), 피아제(Piaget), 비고츠키(Vygotsky) 등 여러 학자들의 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들어 정리하였다. 더불어 어린이 미술관 전시를 분석하기 위해 헤인(George E. Hein), 니나 사이먼(Nina Simon) 등이 주장하는 구성주의 박물관 설계에 대해 접근하였다. 그리고 어린이 미술관 전시 설계의 특징을 ‘참여적 경험’, ‘체험적 전시’, ‘자발적 놀이’ 이렇게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다루어 보았다. 세 번째, 어린이 미술관 전시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분석을 위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 미술관에서 현장 방문 조사를 3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장 방문 조사 중 전시 기획 관계자와 간단히 인터뷰한 내용, 전시를 관람하는 방문객들의 모습을 관찰한 내용, 직접 전시를 관람한 내용 등을 기록한 현장 노트, 전시 상황을 촬영한 사진 그리고 전시 개요와 계획 의도 등을 알 수 있는 어린이 미술관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전시를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전시 기술을 통해 전시에서 구성주의 박물관의 특성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고, 구성주의 박물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구성주의 전시 요소를 도출하였다. 어린이 미술관 전시 속에서 도출된 구성주의 전시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에게 친근한 ‘소셜 오브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인 만큼 어린이들이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사물로 환경을 조성하였고, 내용 면에서도 신체적 움직임과 감각을 일깨우는 체험 위주의 전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부모’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킨다. 어린이 미술관의 관람객 특성 상 가족 단위의 관람객이 대부분이므로 어린이들은 그들에게 가장 친근한 부모와 상호작용을 많이 하게 된다. 어린이들의 연령대, 성향에 따라 부모와의 상호작용에서 보이는 양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어린이들의 미술관 경험 즉 학습에는 늘 부모가 조력자로 함께 하고 있었다. 셋째, 결과물을 공유하는 전시 형태를 통해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였다. 어린이들은 자신의 결과물이 전시되는 것에 자신의 참여가 매우 의미 있고, 소중하게 여겨지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경험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사회적 경험을 확장시키고 미술관 관람을 촉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유를 통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을 수용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그리고 ‘미술관을 멋지게 즐기는 5가지 방법’전 전시의 설계를 이론적 고찰에서 다루었단 구성주의 박물관의 특징을 바탕으로 그 의의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네 번째, 결론 및 제언에서는 앞 장의 내용들을 요약하고 어린이 미술관이 구성주의 박물관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구현해야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rt museum as culture art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talented with creativity who is required in the modern society. In that point, the art museum is attracted by the modern people.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that as an alternative way of the limits of traditional education in modernism, constructivism education is suggested as developmental direction for education in museums and art museums. Study subjects were the art museum only for children who will be leading future societ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hich is the only national museum of art in Korea was select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Five ways to enjoy the art museum in a great way.’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including introduc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exhibition analysis of children museum, conclusion and proposals.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consists of constructivism education which largely affected on the education of this modern age. According to soci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for museums and art museum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subjects and methods regarding children museum is recorded. Seco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consists of two major themes; understanding of art museum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education theory. First,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literature study which contains history and foundation of art museum education. This process is the background and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analyzing the exhibitions of children art museums as well as the meaning of educational functions in art museums and the viewpoint of art museums as educational fields. Also, this study found the causes of the emergence of children art museum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art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art museum education and examined literatures on various examples of children art museum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for children art museums. In addition, an interpretiv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xhibition wa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education theory', which w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today. Constructivism is a representative philosophy of the postmodernism and approach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heory concerning changes of knowledge and changes of learning subjects. Also, this study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rt museum exhibition with constructivism education theory such as Dewey, Piaget and Vygotsky. In order to analyze the exhibition of children art museums, this study approached the design of constructivism art museums suggested by George E. Hein and Nina Sim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of children art museums were covered by three key words; ‘participatory experience','experiential exhibition', and' voluntary play.’ Third, the exhibition analysis of children art museums was proceeded as follow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three field visits at children art museum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rough field visit survey, it is also recorded about a brief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exhibition plan, observations of visitors who watch exhibition, field notes with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photographs of the exhibition and references written on the website of the children art museum. Also, the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museums were realized through the exhibition and derived the elements of the exhibi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garding constructivism museums. The exhibition elements of constructivism derived from the exhibitions of children art museum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mposed of 'social objects' that are friendly to children. As an art museum targeting children, the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as an object that children can enjoy at a comfortable level. The exhibition consists of an experience-oriented exhibition that awakens the physical movement and sense of contents. Second, it stimulates social interaction with 'paren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of children art museums, most of the visitors are family members, therefore the children interact with their closest parents. According to the ages and tendencies of the children, the way they interact with their parents varies greatly but the parents were an assistant to the children art museum experience. Third, it encouraged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exhibition which shares the products. The children were able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ience that their participation was very meaningful and treasured in the exhibition.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others and adopt various methods through sharing. This positive experience can promote extension to social experience and art museum viewing. And this study examined if the five ways to enjoy art museum meets the standard and foundation of constructivism museum which is set by the researcher of the study. Fourth,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summarized with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hapter and a direction for the children art museum is proposed to implement function of children art museum in the way of constructivism.

      • 어린이박물관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난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어린이 박물관에서는 어린이 박물관의 수요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박물관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체험전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체험전시 및 프로그램의 질 뿐 만 아니라 공간을 이동하고 체험하는 박물관의 특징상 물리적 환경 측면까지 포함한 종합적 관점의 개선이 있을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는 일반 박물관의 경우 관련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미 증명된 결과이며 실질적으로 박물관 건립 및 개선 시에 고려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박물관 방문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체험전시, 프로그램 개선에 집중되어 있는 기존 연구에서 나아가 물리적환경에 따른 방문객들의 행태분석을 통해 영향력 높은 물리적 환경 요소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어린이 박물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어린이 박물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이용 만족도와 영향요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어린이박물관 물리적 환경과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계한 연구모형의 설문을 통해 이루어 졌다. 국립중앙어린이박물관과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배포한 180개의 설문지 중 분석 가능한 161개를 선정하여 SPSS 18.0K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회귀분석,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결과 전시환경 요인, 주변환경 요인, 시설요인, 운영요인, 관리요인으로 구별되는 5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5가지 구성요인이 모두가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전시환경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용자 개인적 특성의 경우 배우자와 자녀동반, 성별, 자녀나이, 자녀동반, 이용자 연령, 방문횟수 중 배우자와 자녀동반과 성별만이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만족도 향상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전시 내용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쉬운 내용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전시 방법은 다양해야한다. 셋째, 전시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적절한 전시 구성(전시배열) 기획이 필요하다. 넷째, 전시이해를 돕기 위한 음성안내기, 전시 해설사 등이 적절히 배치되어야한다. 다섯째, 이용자 대상이 어린이임을 고려하여 위험요소에 대한 경고물을 적절히 배치해야함을 제안한다. 어린이 박물관이 더 많은 방문객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배치할 경우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구체적 요소는 연구에 포함되지 못해 그와 관련 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As the demand for children’s museums increases, they have been d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o as to provide the users with diverse programs and exhibitions for their direct experience. But such research is limited to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r exhibitions pro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ppliers. And research on what the users actually need or their satisfaction with what they demand has been mainly conducted for some public, general museums, not for children’s museu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user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ren’s museums and factors influencing it with users of children’s museums and suggest way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vitalize their operation. For positive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employed as a study tool, and the study model was designed by taking user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hildren museum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to parents that had visited National Children’s Museum of Korea and Gyeonggi Provincial Museum. Among 180 questionnaire sheets distributed, total 161 were chosen for analysis, and SPSS 18.0K was utiliz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etc.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n named as the exhibition environment facto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facility factor, operation factor, and the management fact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ve factors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all influenced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the exhibition environment factor was found to be the most crucial factor influencing satisfaction. Regard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accompaniment with their spouse and child, sex, age, child’s age, accompaniment with their child, and frequency of visit, accompaniment with their spouse and child and sex were only the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significantly.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way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vitalize their operation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should be what can be understood easily by children. Second, the methods of the exhibition should be diversified. Third, it is needed to perform the organization or arrangement of the exhibition properly so a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tents. Fourth, voice guides or narrators of the exhibition should be arranged properly in order to help them understand the exhibition. Fifth, as it targets children as its users, it is necessary to arrange waning signs for dangerous factors where they are needed. Fully considering the factors foun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peration of children’s museums, it will be needed to invest enough time and effort in order to improve them properly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induce users’ revisiting and secure regular users, first, it will be necessary to figure out concretely what is the physical environment that users demand for children’s museums.

      •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이향순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on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One(Introduction) includ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research scope and methods. Chapter Two includes theoretical discussions of relations among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Here, I divide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two factors-emotional leadership and ethical leader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discussions and literatures review, I outlined a model on the relations among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in chapter three. In Chapter Four, I conducts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hi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on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accountability. To carry out empirical analysis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of th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the three local governments-Seoul,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 In chapter Five,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 proposed the alternatives to enhance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accountability. Chapter Six is the concluding chapter. Here, I synthesized and summarized research results, and described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ese research works and its limits as well. Summary of major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factors-emotional leadership and ethical leadership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on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on the teacher’s accountability. To examine the specific hypothesis(H-1, H-2, H-3) I assessed the t-statistics for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and calculated p-values based on a two-tail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or 0.01. Second, multi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H-1) and ethical leadership(H-2)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ypotheses 1 and 2 suggested a link between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high levels of emotional and ethical leadership and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accountability(H-3).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the greater their accoun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alternatives to enhance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ccountability are as follows: First, the alternatives to enhance the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develop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leadership Capability,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 developing the code of ethics bas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center, modeling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thical roles. Second, the alternatives to enhance the child care teacher’s accountability are developing the program for enhancing their accountability, Changing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n the accountability, supporting the institutions with the child care teacher’s accountability, and sharing the best practices on the accountability.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 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책 무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보육서비스에 대한 품질 향상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보육교사는 영유아에게 직접적으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이다. 이에 보육교사의 책무 성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도 매우 중요한 논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 간 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 교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의 상대적 영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책무성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연구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과 양적연구를 위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연구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장은 리더십과 조직 몰입, 책무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이다. 최근 강조되고 있는 어린이 집 원장의 리더십을 감성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여 검토 하고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에 대해 고찰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은 이론적 논의와 함께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 로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등에 대해 기 술하였다. 제4장은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 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의 장이다. 실증분석을 위 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적 인식조사 분석과 집단간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가설검 증을 위해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은 이상에서 언급 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결과를 종합?요약하고, 본 연 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리더십 요인인 감성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 그리고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에는 모 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특히 리더십 요인 중 감성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상관성 (r=0.721)로 나타났으며,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상관성(r=0.651) 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조직몰입과 책무성 간에는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감성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더 향상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윤리적 리 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 다.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보육 교사의 조직몰입은 더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조직몰입과 책무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몰입이 책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보육교사의 조직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 과 애착심이 높을수록 책무성은 더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책무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리더십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공감을 위한 소통 강화, 어린이집 특성을 반영한 윤리강령 개발 및 운영, 어린이집 원장의 윤리적 행동의 역할 모델링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책무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는 책무성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책무성에 대한 보육교사 개인의 인식전환, 보육 교사의 책무성 관련 제도적 지원, 보육교사의 책무성 모범사례 공유 등 을 들 수 있다.

      • 어린이 Future Job Museum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현정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박물관은 과거의 유리관 속에 단지 눈으로만 보는 전시가 아닌, 전시품들을 직접 손으로 만지고 조작해볼 수 있으며 이야기 하거나 상호작용들을 통해 전시물들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가고 있다. 이는 단지 박물관이란 전시품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장소가 아니라 어느 지역에서나 그 지역문화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좋은 교육 및 문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은 앞으로의 세대들에 대한 사회적 투자로서 그 가치가 충분하다고 보아진다. 현재 국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급증이 이러한 추세를 잘 반영해 주고 있겠다고 보겠다. 이러한 문화의 흐름을 바탕으로 놀이와 문화, 그리고 교육을 함께 담을 수 있는 어린이 전시관을 계획하고자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헌을 통하여 박물관의 개념, 특징, 유형을 파악한다. 2. 어린이들의 행동 발달 특성과 놀이 환경을 분석한다. 3. 국. 내외 어린이 박물관 현황과 프로그래밍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한다. 4. 1,2,3을 바탕으로 어린이들에게 흥미롭고, 효과적인 Job Museum을 연출 계획하여 공간을 연구한다. 이러한 과정을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Children's Future Job Park'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자한다. 이는 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어른들이 어떻게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왜 그러한 직업을 가져야하는지, 앞으로 사회의 주역이 될 어린이에게 각기 다른 어른들의 모습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 어린이 자신이 어떠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 경험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한다. 어린이가 성장하여 반듯이 그러한 아이로 나아가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장래를 위해서 모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들이 놀이를 통해서 자연스레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간접적으로 경험해보는 놀이 환경을 만들고자한다. 우리는 어린이를 위해 완전한 조건의 환경을 만들어 줄 수는 없으며 그것이 꼭 바람직한 목표라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놀이를 위해 더욱 풍족한 가능성의 범위를 제공하는 것이라 본다. 어린이들 요구에 훨씬 더 적합하고, 그럼으로써 건강한 어른으로서의 충분한 잠재력 발달에 힘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museum of the present age goes out while that directly touching exhibits which are not demo which only looks as the eye in the glass tube of a past with the hand and manipulating, it says or understands exhibits through interactions. While this is not place performing only the function of a exhibit but a museum only serves as in a region as the local culture, the demand increase. Particularly, the to make the cultural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thing the value is sufficient as the emotional investment about the generation of the front is good to children growing up. Presently, in not only an outside but also the national, the proliferation about the cultural facility well will indicate such trend. The content is the next department equal the children pavilion which together can put in a play, a culture and education based on the flow of this culture is planned. 1.The concept of a museum, a feature, and a type is grasped through the literature. 2.The behavioral development characteristic and play environment of the children are analyzed. 3.The characteristic of showing up in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museum present condition and programming analyzed. 4. 1,2,3 with character in children these people interest, production it plans the effective Job Museum and it researches a space. The researcher look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process tries to use a concept called 'Children's Future Job' .Adults leading the society how have to live on any display and it why has to have that occupation, whether the opportunity which it experiences whether it solve a curiosity toward the display of the respectively different adults to the children who it becomes the leading part of the society in the future and the children oneself has any inclination or not tries to be provided. It is not that a children grows and advances with the such child. The play environment which it indirectly experiences tries to be made whether tasks which an everyone thinks because it is important to have an everyone to a future naturally how can arise through a play or not. We cannot make the environment of the condition which is completely for children and it is not desirable too. The day when there is possibility we doing that we provides the range of the more abundant possibility for a play. It is much more suitable for the children demand and it expects that the power is in enough potential development the healthy adult.

      • 중·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인 경향 비교연구

        리 샤오샤오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Animation is one of the cultural industries tha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al industries. China and South Korea are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nimation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hildren's animation in the animation industry. Despite the Chinese government's continued support for children's animation, the country still lags behind other animation powers in terms of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s animation market in South Korea is thriving and influential in the global animation industr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oles of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and South China, as well as to solve problems with children's animation in South Korea an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ndustry.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design tendencies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 China and South Korea, with the following research goals in mind. To begin, research the academic content of children's animation roles. Second, sort out the history of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ird, investigate the reasons for changes in children's animation roles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an industry standpoint. Fourth, from an artistic standpoint, the artistic tendencies of Chinese and Korean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are compared. Fifth, after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research objectives, identify successful experiences in Korean children's cartoon character design and propose a methodology suitable for Chinese children's cartoon character design. The academic scope focuses on children's animation roles, including definitions, functions, roles types, and design elements.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divided by the birth period of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1950 to the present in China and from 1967 to the present in South Korea. The industry research scope is based on the OSMU model, and perspectives from industry, culture, and society are chosen. According to the design elements of characters, the art research scope is divided into shape, color, and 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begin, sorting out the academic content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reveals that, using the concept of edutainment,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demonstrate the function of integrating education, Edutainment, and industry. The role ineducation involves instilling correct values and ideas in children, teaching life style, and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erms of entertainment, the characters show children's daily lives in novel ways that pique their interest. On the business side, the role is responsible for transforming derivatives into brands and determining their value. Simultaneously, the role is being combined with other related industries in order to realize multiple integration potentials and gradually form a complete industrial ecosyste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from other characters by sorting out the attributes and design elements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 terms of character attributes, animated characters for children tend to favor animals and interesting non-living things that can make children feel close. In appearance,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have geometric shapes and exaggerated head and body proportions. In terms of color, colors used by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tend to make children feel the gender and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In action,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tend to repeat simple actions so that children all over the world can easily understand what they are doing. Second, I am aware of how the trend of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and South Korea has changed over tim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nimation in the two countries is divided into five major historical periods, and the development trends of each period are identified.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predates that in South Korea. It devoted itself to the pursuit of national style in its early stages of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world-famous"China School" style. Prior to the Cultural Revolution, children's animation was turned into an art film, and its content and technology emphasized national elements. Because of the emphasis on artistry rather than commercialism, Chinese children's animation could not keep up with the aesthetic trend of the time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China began to develop diverse children's animation after recognizing the problem, exploring the development mode of combining the appearance of the times with the national core. In its early stages, Korean children's animation also pursued a national style. Later, animation was used as a form of political propaganda to protect national security. Due to low box office returns, Korean children's animation has shifted from creation to subcontracting, ushering in a period of coexistence between creation and OEM. After the 1980s, children's animation shifted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exploring overseas markets, developing the animation industry, and experimenting with new animation directions. The animation industry integrated with other industries with the government's support and the implementation of OSMU mode. Third, from an industry standpoint, the reasons for changes in children's animation roles in China and South Korea are discovered. The shift in roles is influenced by industry, society, and culture. Because China was a planned economy until the 1980s, the animation industry developed slowly. During this time,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emphasized the educational function while also emphasizing national art as the primary means of expression. After the 1980s, China transitioned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and children's animation roles shifted from nationalization to modernization. The use of cross-media expands the influence of characters and aids in the branding of popular characters.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animation industry had been in a state of co-existence of creation and OEM for a long time prior to the 1990s, so it developed slowly.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fluenced by nationalism and policies, are primarily used to safeguard national security and publicize national politics, and their commercial value development is inadequate. Following the 1990s,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shifted from OEM to creative. OSMU mode maximizes the value of animated characters for children. As an original content, characters have become a means of income, propelling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Fourth, representative works from the two countries from different eras are chosen, and the artistic design tendency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 China and South Korea is compared. China's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were influenced by the animation of the former Soviet Union in their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nd their artistic style was more realistic. Since then, the pursuit of national style, as well as the use of traditional artistic techniques in the role, has resulted in a strong national visual identity.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were used for political propaganda, and their artistic style was constrained by realism.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began to shift from nationalization to modernization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fluenced by overseas animation. The character shifted from "hero" to "ordinary person." At the moment, Chinese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are experimenting with artistic expression forms that combine current aesthetics with national spirit.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were used to convey the country's political ideas in the early days, influenced by the military regime. As a result, the design of animated characters demonstrates a strong nationalist style. However, the combination of the existing national spirit and popular elements has resulted in the diversification of role styles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foreign works. After the 1980s, the personalities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became more distinct, ranging from traditional heroes to ordinary people, and women's roles were also taken seriously. At the moment, the use of OSMU mode reflect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role commerci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Alter the characters into anthropomorphic animals or non-living things. The above research has inspire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 China. In the past, children's animation in China placed a premium on artistic value while ignoring commercial value. The role design cannot adapt to changing times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fixed concept brought by the "China School" style. China's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should not only keep up with the times, but also retain n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of pursuing diversity. Simultaneously,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should lose their idealistic nature, become popular, and arouse children's resonance with personalized characters. Furthermore, using the advantages of South Korea's OSMU model, we can create an OSMU model that is tailored to China's national conditions while maximizing the added value of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assist China's children's animation characters in determining a design direc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country's current situation. 애니메이션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 문화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문화산업 중 하나이다.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과 한국은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산업을 지원하고 육성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는 여전히 다른 애니메이션 강국보다 뒤떨어져 있다. 반면 한국은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시장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세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에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연구하여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학문적 내용을 연구한다. 둘째, 시대변화에 따른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정리한다. 셋째, 산업적 관점에서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 변화의 원인을 규명한다. 넷째, 예술적 관점에서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예술적 경향에 관해 비교 연구한다. 다섯째,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한 후 한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성공적인 경험을 찾아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학술 연구범위는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중심으로 캐릭터의 정의, 역할, 유형과 디자인 요소를 정리한다. 역사 연구범위는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탄생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중국의 경우는 195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경우는 1967년부터 현재까지로 한다. 산업 연구범위는 OSMU 방식을 기초로 하여 산업, 문화, 사회적 관점으로 선정한다. 예술 연구범위는 캐릭터의 디자인 요소에 따라 외형, 색상, 동작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은 연구 성과이다. 첫 번째,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학문적 내용을 정리하면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에듀테인먼트 개념이 활용되며 교육, 오락, 산업적 기능이 하나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교육 면에서 캐릭터는 어린이에게 바른 가치관과 생각을 심어주는 역할을 하고, 생활방식과 인간관계를 가르쳐준다. 오락적인 면에서 캐릭터는 재미있는 방식으로 어린이의 일상생활을 나타내고, 어린이의 호기심을 이끌어낸다. 상업적인 면에서 캐릭터는 파생 상품을 브랜드로 만들어 그 가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캐릭터는 다른 연관 산업과 결합하여 다양한 융합 가능성을 구현하여 완전한 산업 생태계를 점차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속성과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여 다른 캐릭터와 구별되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캐릭터 속성 면에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는 어린이가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동물과 재미있는 무생물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외형 면에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기하학적인 외관과 과장된 신체 비율을 보인다. 색상 면에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어린이에게 캐릭터의 성별과 개성을 느낄 수 있는 색상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동작에 있어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단순한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로 인해 세계 각지의 어린이 시청자도 그 동작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알아보았다. 중국과 한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중요한 5개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 경향을 정리하였다.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한국보다 일찍 시작되어 발전 초기에 민족적 스타일을 추구하는 데 전념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국학파’ 스타일을 형성하였다. 문화대혁명 이전에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예술영화로 제작되었고 그 내용과 기술에서 민족적 요소를 극치로 발휘하였다. 문화대혁명 이후 상업성보다 예술성을 중시하는 관념으로 인해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시대의 미학적 경향을 따라가지 못하였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후 다양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시대적 표상과 민족 문화적 핵심을 결합한 발전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도 발전 초기에는 마찬가지로 민족적 스타일을 추구하였다. 그러다가 애니메이션은 국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정치적 홍보 수단이 되었다. 이후 흥행 부진으로 인해 한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창작에서 하도급으로 바뀌었으며 창작과 OEM이 공존하는 시기가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로 전환되면서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애니메이션 산업을 발전시키고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정부의 지원과 OSMU 모델의 도입에 따라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기타 산업과의 융합이 이루어졌다. 세 번째, 산업적 관점에서 중국과 한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변화 원인을 규명하였다. 캐릭터의 변화는 산업, 사회, 문화와 관련이 있다. 중국은 1980년대까지 계획경제였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이 더뎠다. 이 시기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교육적 기능을 강조하면서 민족예술을 주된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중국의 경제가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바뀌면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도 민족화에서 현대화로 바뀌었다. 크로스 미디어 제작은 캐릭터의 영향력을 확대하여 인기 캐릭터가 브랜드화되도록 도왔다. 한편 한국 애니메이션은 OSMU 모델의 등장을 전환점으로 1990년대 이전 애니메이션 산업이 창작과 OEM이 공존하는 상태였기 때문에 발전이 느렸다. 민족주의와 정책의 영향을 받은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주로 국가 안보를 유지하고 국가 정치를 홍보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상업적 가치를 잘 개발하지 못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OEM에서 창작 위주로 바뀌었다. OSMU 모델은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였다. 원형 콘텐츠로서의 캐릭터는 수익의 수단이 되어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네 번째, 양국의 시대별 대표 작품을 선정하여 예술적 관점에서 한중 양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 경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국과 한국의 시대별 대표하는 작품 선정을 통해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 경향을 정리하였다.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발전 초기에 구소련 애니메이션의 영향을 받았고 캐릭터의 예술적 스타일이 더 사실적이었다. 그 후, 민족적인 스타일을 추구하고 캐릭터에 전통예술 기법을 사용하여 민족적 색채가 강한 시각적 특징을 가졌다. 문화대혁명 기간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정치적 홍보의 도구가 되었고 예술적 스타일은 사실적 스타일로 제한되었다.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문화대혁명 이후 해외 애니메이션의 영향으로 민족화에서 현대화로 바뀌기 시작했다. 캐릭터는 ‘영웅’에서 ‘보통 사람’으로 바뀌었다. 현재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시대의 미학과 민족정신을 결합하는 예술적 표현형식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군사정권의 영향으로 초기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국가의 정치적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캐릭터 디자인은 강한 민족주의적 스타일을 나타냈다. 그러나 외국 작품의 영향으로 기존 민족정신에 유행 요소가 결합하여 캐릭터 스타일이 다양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1980년대 이후에는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개성이 더욱 뚜렷해지고 전통적인 영웅에서 일반인으로 바뀌면서 여성 캐릭터도 중시됐다. 현재 OSMU 모델의 사용은 캐릭터가 상품화되고 국제화된 시각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캐릭터는 인물에서 의인화된 동물 또는 무생물로 바뀐다. 위의 연구를 통해 향후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과거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은 예술적 가치를 중시하고 상업적 가치를 무시하였다. '중국 학파' 스타일이 가져다준 고정 관념의 영향으로 캐릭터의 디자인 방향을 변화하는 시대상에 맞출 수 없었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대에 중국의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시대에 발맞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민족적 특징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이상주의에서 벗어나 대중화로 나아가야 하며, 개성적인 캐릭터로 어린이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그 밖에, 한국의 OSMU 모델의 장점을 참고하면 중국 사정에 맞는 OSMU 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논문이 중국 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이 자국의 실정에 부합되는 디자인 방향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어린이집 영아반 원아의 코티졸 일일 변화 및 적응잠재유형

        이정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ycare adjustment in toddlers by tracking changes in diurnal salivary cortisol.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e relations and latent profiles between variables of salivary cortisol change, age, gender, length of time since enrollment (care length), temperament, peer relationships, and toddler-teacher relationship were examined in 60 primarily middle-class, Korean toddlers attending daycare. Diurnal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ir salivary cortisol level twice daily, in the morning and mid-afternoon. Temperament was assessed by the child’s parents, along with sub categories of activity/approach, negative emotionality and inhibitory control.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toddler-teacher relationship were rated by the teacher using a self report questionnaire. Toddlers' diurnal change of salivary cortisol throughout their time in daycare was related to care length― with a year or more in daycare correlating to a smaller afternoon increase. In this set of toddlers that had been in daycare for more than a year, closer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with their teacher were tied to a smaller afternoon cortisol ris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ree distinct profiles of toddler daycare adjustment were identified: relaxed, conflict, and tensioned. The relaxed profile (42%) showed decreasing cortisol diurnal changes and high levels in quality of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conflict profile (26%) maintained a steady level of diurnal salivary cortisol, with high levels of conflict with their peers and teacher; the tensioned profile (34%) showed prominent afternoon cortisol rise while the quality of their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high. Temperament and diurnal cortisol changes were correlated to care length; among toddlers who had attended daycare for less than a year, higher levels of activity/approach and inhibitory control were related to increased afternoon cortisol rise. Differences in levels of activity/approach, negative emotionality and inhibitory control were evident in the latent profiles of daycare adjustment: the relaxed profile had a high level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average activity/ approach and inhibitory control; the conflict profile had low levels of activity/approach, negative emotionality and inhibitory control; and the tensioned profile showed high levels of activity/approach and inhibitory control, and average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Toddlers' diurnal cortisol changes differed by age and gender, and was further differentiated by temperament, peer relationship and toddler-teacher relationship. Toddlers in the 1 year old class displayed higher afternoon cortisol rise even when care length was controlled. In that class, girls showed higher afternoon cortisol levels than boys. Among the latent profiles for daycare adjustment, age and gender did not prove to be significant variables. The findings above illustrate the complex nature of a toddler’s physiological adjustment to daycare. It is a process involving factors of temperament, and quality of connection with peers and their teacher.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understand cortisol diurnal changes in daycare in relation to the three distinct variables of temperament,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원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서 영아의 코티졸 일일 변화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밝히는 것이다. 어린이집에 대한 적응이 거의 다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학년말에 영아의 코티졸 일일 변화가 보육기간, 연령, 성별에 따라 어떠한지 살펴보고, 기질,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에 따른 코티졸 일일 변화가 보육기간 1년을 기준으로 다른지 비교하며, 보육기간, 기질, 또래관계와 교사관계를 고려했을 때 영아반 원아의 적응잠재유형이 어떠한지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 및 대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9곳의 만 1-2세반에 재원 중인 25-49개월(평균 37개월) 영아 60명을 대상으로 타액 검체 수집 및 코티졸 농축도 분석을 실시했다. 영아의 보호자에게 설문지로 기질 및 보육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고, 영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로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수집한 자료는 부호화 후 SPSS 20.0과 R Studio에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산분석, 이원변량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보육기간에 따라 코티졸 일일 변화의 양상이 다르며, 보육기간이 코티졸 일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기질,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양상과 함께 나타났다. 어린이집을 1년 이상 다닌 영아는 오후 코티졸 수준이 낮고 오전보다 오후에 코티졸 분비가 적게 증가했다. 어린이집을 1년 이상 다닌 영아는 또래 및 교사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을수록 오전보다 오후에 코티졸 분비가 적게 증가했다. 둘째, 영아반 원아의 적응잠재유형은 이완형, 갈등형과 긴장형으로 나타났다. 이완형은 전체의 42%에 해당하며 코티졸 분비가 오전보다 오후에 감소하고 교사가 평가한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 점수가 높았다. 갈등형은 전체의 26%에 해당하며 오전보다 오후에 코티졸 분비가 증가하나 통계적으로는 이완형의 코티졸 일일 변화량과 차이가 없는 한편, 교사가 보기에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특징을 보였다. 긴장형은 전체의 34%에 해당하며 코티졸 분비가 오전보다 오후에 증가하고 그 변화량이 다른 유형의 경우보다 높은 반면, 교사가 평가한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 점수는 높았다. 셋째, 기질과 코티졸 일일 변화의 관계는 보육기간 1년을 기준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기질, 코티졸 일일 변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의 양상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을 다닌지 1년 미만인 영아는 보호자가 인식한 활동/접근성과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코티졸 일일 변화량이 높았다. 어린이집 적응잠재유형인 이완형, 긴장형, 갈등형 간에 활동/접근성,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완형은 부정적 정서성이 높고 활동/접근성과 의도적 통제가 중간이었다. 긴장형은 활동/접근성과 의도적 통제가 높고 부정적 정서성이 중간이었다. 갈등형은 활동/접근성,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가 모두 낮은 수준이었다. 넷째, 영아의 코티졸 일일 변화는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코티졸 일일 변화는 기질,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양상에 따라 달라졌다. 보육기간을 통제해도 만1세반 영아는 만2세반 영아에 비해 코티졸 분비가 오전보다 오후에 상승했고, 만1세반 여아의 오후 코티졸 수준이 높았다. 코티졸 일일 변화를 기질,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양상과 함께 적응잠재유형을 도출했을 때에는 유형 간에 연령 및 성별의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경험이 반복되는 가운데 영아의 기질,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가 코티졸 일일 변화와 복합적으로 관련됨을 보여준다. 코티졸 분비가 오전보다 오후에 증가하는 것이 반드시 부적응이라고 보기 어려운 여지도 있어, 코티졸 일일 변화를 적응의 지표로 이해하고자 할 때 관련 요인의 양상을 검토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적응잠재유형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서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보육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

        조지선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저출산과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양육의 사회적 공적 책임을 갖고 일과 가정의 양립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서울시에서 2011년 9월부터 시범운영하고 있는 365열린어린이집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을 통해 질적 향상을 모색하고자 한다. 365열린어린이집의 이용현황, 학부모 만족도 및 요구도와 교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의 보육 서비스 이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의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어 떠한가? 셋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의 교사의 근무환경은 어떠한가? 넷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다섯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요구도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와 365열린어린이집의 근무 경험이 있는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교사의 경우 개별면담을 통해 근무만족도를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설문결과는 주로 통계적으로 빈도 분석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는 연속적비교법이라는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은 이용현황으로는 이용횟수가 주기적이지 않고, 주간 시간제의 이용률이 더 높았으며, 이용대상 연령은 만3~5세 사이의 유아가 많았다. 또한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을 이용하는 학부모는 3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많았다. 둘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을 이용한 학부모들은 급식․교사 대 아동비율․타 시설에 비한 이용성의 편리․집과의 거리․365열린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 등 10가지 항목에서 모두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은 개별교실사용과 교재교구에 대해서는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교사의 만족도는 복리․보수․직무․관리감독 만족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편이나, 관리감독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넷째, 365열린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에 대한 어려움으로는 연령의 통합으로 인한 어려움, 일시보육으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 장애통합 아동의 특성에 따른 지도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일반교사와의 근무시간이 다르고 또한 보육의 수요가 일정하지 않아 일반교사와 다른 직무를 담당하게 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다섯째, 서울시 365열린어린이집 활성화 방안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예약시스템의 간소화, 적극적인 홍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볼 때, 365열린어린이집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만족도에서 볼 수 있듯이 365열린어린이집 시스템의 필요성의 인식이 높으며, 앞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적극적 흥보를 통해 보육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365열린어린이집교사의 역량강화와 업무효율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하겠다.

      •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내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은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영유아 보육에 대한 정책적·사회적 관심으로 인해 양질의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보육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은 보육교사이다. 보육교사들이 보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힘들고 어려운 업무 특성과 열악한 근무환경, 낮은 처우와 사회적 인식 등으로 인하여 이들의 이직률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보육교사들의 잦은 이직과 그 욕구는 영유아와 학부모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그리고 동료 교사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육교사의 높은 이직률은 결국 교육과 보육서비스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동기부여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 내 사회자본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소속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 내 사회자본을 매개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공공서비스동기, 조직 내 사회자본,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인과적인 관계들을 분석하고,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즉, 매개변수로서 조직 내 사회자본이 공공서비스동기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 및 분석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서비스동기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기희생, 공공정책 호감도, 공익몰입이,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기희생, 동정심, 공익몰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서비스동기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기희생, 공공정책 호감도, 공익몰입이,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기희생, 동정심, 공익몰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셋째, 공공서비스동기는 조직 내 사회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기희생, 동정심, 공익몰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신뢰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것이고, 보육교사들의 자기희생 수준이 높아질수록 호혜적 규범 수준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국공립 어린이집의 동정심, 공공정책 호감도가, 민간 어린이집의 동정심이 높아질수록 조직 내 네트워크가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넷째, 공공서비스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 내 사회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조직 내 사회자본 중 신뢰는 자기희생, 동정심, 공익몰입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호혜적 규범은 자기희생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는 공공정책 호감도, 동정심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 내 사회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조직 내 사회자본 중 신뢰는 자기희생, 동정심, 공익몰입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에서, 호혜적 규범은 자기희생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는 공공정책 호감도, 동정심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 등 조직의 특성과 유형, 조직구성원의 차이에 따른 맞춤형 조직관리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조직 내 사회자본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어린이집과 보육교사의 기본적 가치인 공공성을 인지하고, 조직 내 사회자본의 강화를 통해 보육교사 개인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조직 내 사회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인적자원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조직 내 사회자본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고,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등 개인의 직무수행능력들이 향상하게 되어 조직의 생산성이 높아지게 되므로, 조직 내 사회자본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보육교사만의 가치체계를 반영한 조직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높여주고, 이것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등 조직효과성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개인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 모두에서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다섯째, 어린이집 관리자들은 보육교사들이 자신과 직무에 대한 이미지들을 연결시키는 공공서비스동기라는 동기부여를 조직관리를 위한 주요한 방안으로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조직관리 차원에서 보육교사들의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이들이 정서적으로 직무에 몰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리더로서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조직관리가 필요하다. 국공립과 민간 어린이집의 특성에 따라 보육교사에 대한 보상이나 인정 구조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공공서비스동기 수준을 높이고, 조직 내 사회자본의 형성과 조직효과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비물질적인 보상방법 중의 하나인 사회적 인정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vide quality childcare services due to policy and social interest in childcare. However, the key to determin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is the childcare teacher. Despite the great influenc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on the quality of childcare, the turnover rate is very high due to difficult and difficult work characteristics, poor working environment, low treatment and social recognition. Childcare center teachers' frequent turnover and their desire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infants and parents, as well as daycare centers and fellow teachers. Since the high turnover rat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it is essential to study ways to increase childcare center teacher motiv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social capital in the organization,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ngbuk-gu, Seoul. To this end, by apply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alyzed, and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presented. In other words, the analysis focused on how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works as a paramete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ain contents an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acrifice, public policy favorability, public interest commitment,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 self-sacrifice, compassion, and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the highe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Second, it was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acrifice, public policy favorability, public interest commitment, and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 self-sacrifice, compassion, and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hird,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acrifice, compassion, and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t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acrific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higher the level of reciprocal norms. In addition, the higher the sympathy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likelihood of public policy, and the compassion of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higher the network within the organiz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among the social capital of a childcare center teacher, trust is in the influence of self-sacrifice, compassion, commitment to public interest and job satisfaction, reciprocal norms 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network is in public policy favorability, sympathy and job satisfaction. It is playing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that influences satisfac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among the social capital of a childcare center teacher, trust is in the relationship of self-sacrifice, compassion, public intere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iprocal norms 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etwork is public policy affinity, compassion and organization. It is playing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f immersion. Policy suggestions that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ustomized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and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connect childcare center teachers'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s and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ublicity, which is the basic value of childcare centers and childcare teachers, and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through reinforcement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a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strengthen the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because the soci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is properly formed, and the individual's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organization are improved. And operation is required. Fourth,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value system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is required. To this end, continuous management is required at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so that it increase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each member of the organization, and this leads to the cre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childcare center managers need to recognize the motivation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connects childcare center teachers' images of themselves and their jobs, as a major method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 active role as a leader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motiva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upport them to be emotionally engaged in their jobs. Lastly, discriminatory organizational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is nee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nd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ructure of compensation or recognition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among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strengthen social recognition, which is one of the immaterial compensation methods.

      • 전이영역 개념을 적용한 어린이박물관 외부공간에 관한 연구

        장희주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상업적 성격의 어린이 문화시설이 급증하는 이 시대에 공공적 측면에서 어린이박물관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어린이박물관은 주체적 대상인 어린이의 신체적인 제한조건으로 쉽게 지치고, 이에 따른 집중력 저하로 인해 내부 전시공간의 한정적인 공간으로는 동적인 어린이의 속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어린이박물관 내·외부 공간구성의 이해를 통하여 외부공간의 역할을 정의하고 공공적 성격을 강조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 이질적인 공간의 완충 기능을 수용하는 공간인 전이영역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한 어린이박물관 외부공간의 계획 지침을 제안함으로써 어린이 관람객의 다양한 공간체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내·외부 공간구성의 현황조사를 통한 어린이박물관 외부공간 실태를 파악한 결과, 일반 박물관에 부속된 유형이 대부분으로 일반 박물관과 공통된 외부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성된 외부공간은 미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어린이의 관점을 고려한 공간 조성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공간만족도 조사와 관람행태 관찰을 통해 어른과 어린이의 공간 관점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로써 어린이박물관의 공간체험은, 관람 과정에서 공간의 목적이 분명할 때 어린이 관람객 참여의식이 변하며 전시의 체험이 극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를 위해 외부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공공문화시설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주목적 공간체험 별-방문 유도, 호기심 자극, 흥미 유발, 집중력 향상, 실질적 체험, 주의 환기- 특징과 전이영역의 강조되는 속성, 시설적·공간적·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이영역 적용 방안을 공간구성 요소의 활용, 내·외부 공간관계의 활용, 어린이 관람객의 심리 변화 활용으로 구분·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이영역 적용 방안을 어린이박물관에 반영하기 위한 주목적 공간체험별 계획 지침을 마련하였으며, 실제 국립 어린이박물관을 대상으로 계획 지침을 적용하여 공간을 구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질적인 공간의 완충 기능을 수용하는 전이영역을 이용하여, 어린이박물관 내·외부 공간을 유기적으로 구성, 관람 동선의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어린이 관람객이 어린이박물관 진입부터 관람하고 퇴장할 때까지의 공간체험이 가능한 기본적인 지침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단순한 전시공간 간의 연결이 아닌, 전이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생산·확대의 역할을 다뤘다는 점에서 향후 어린이박물관 외에 다양한 공공문화시설 외부공간 활용을 위한 계획 단계에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Exterior Space of Children’s Museum applying Concept of the Transitional Region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question that which is the method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children’s museum in public aspect during this era when commercial children’s cultural facilities are increasing. Because children who are independent objects of children’s museum are easily exhausted and lack concentration, reflecting dynamic attribute of children with limited space composition of interior exhibition space is limited. Thus, as defining a role of exterior space through understanding interior and exterior space composition and suggesting application plan, public characteristic wa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various space experience of children audiences as figuring out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transition region which is the space to accept buffer function of mutually different space and suggesting guideline of exterior space of children’s museum using those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comprehending present condition of exterior space of children’s museum through interior and exterior space composition, children’s museum was mostly the form attached to general museums and exterior space plan composed for children was lack. This is the basis that supports necessity of space composition considering view of children, perspective difference between grown men and children was discovered. Thus, regarding space experience of children’s museum, awareness of participation of children audiences was changed and experience of exhibition was maximized when the gold of space during watching is apparent. And through analyzing examples of public cultural facility using exterior space for children, this study figured out characteristics - inducing visit, stimulating curiosity, arousing interest, increasing concentration, practical experience, - according to main purposed space experience, emphasizing attribute in transition region, facility factor, spati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As a result, application plan of transition region was able to be categorized and suggested as utilizing space composition factor, utilizing rela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space and utilizing psychological change of children audiences. Through this process, planning guidance according to main purposed space experience for reflecting application plan of transition region to children’s museum was prepared, also example of composition was suggested planning guidance targeting current children’s museum as applying planning guidance. Consequently, composition and flow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of children’s museum was formed organically using transition region accepting buffer function of different space. Thus, there is significance that basic guidance that is able to space experience from when children audiences enter the children’s museum to when children audiences leave the children’s museum. Therefore, regarding that it covers a role of production and expansion of knowledge to use transition region not a link between simple exhibition spaces, the guidance is expected to be applied planning stage for utilizing various exterior space public cultural facility except children’s museu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