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모던시대에 접어 든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 연구

        전지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한국기독교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급속 성장을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기독교는 정체 또는 감소의 위기상황에 놓여있다. 특히 한국기독교의 성장의 중심에 있는 어린이의 감소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기독교가 당면한 포스트모던 시대와 어린이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보고, 그 특징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 다음,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서 어린이사역의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의 대상을 학령기 어린이로 제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제 2 장에서는 포스트모던 세대의 60%가 가지고 있는 인식의 틀인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간략하게 정리해 본 다음,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과 비교하여보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을 살펴보아 이를 기독교세계관으로 재해석하여 보도록 하겠다. 제 3 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학령기에 속하는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을 주요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살펴 본 다음, 포스트모던 시대에 속한 어린이의 독특성을 살펴보고, 아울러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의 역사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4 장에서는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 나타난 다양한 지역교회의 어린이사역의 사례를 살펴보되, 미국교회와 일본교회 그리고 한국교회의 순서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5 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내용을 토대로 포스트모던 시대의 한국기독교의 어린이사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되 어린이사역의 주체가 되는 어린이, 객체가 되는 어린이사역자, 그리고 어린이사역의 내용 및 방법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문화로써 발돋움하게 될 어린이사역의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Korean Christianity has been developed very rapidly that there is no precedent for this. In spite of that, today's Korean Christianity is in danger of decrease or stagnation of its member. Especially, the decrease of children who stand on the center of Korean Christianity's development considered as a serious problem. Accordingly, this research suggests discussion of post-modern era which is faced to Korean Christianity, making views regarding children wide and thinking its possibilities and features. And then, in the post-modern era, as knowing real examples of Children‘s Ministry, the direction that which way today's children ministry of Korean Christianity should goes forward is discussed. Especially, research subjects are limited into children who go to schools. In part 2, we organize simply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which is 60% of post-modern age, compare 'post-modernism' and 'modernism' and we will re-interpret 'post-modern' era's significant features with Christian outlook on the world. In part 3, we mainly organize typical features of 'children' who go to schools and also who are subjects for this research. Then, children'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is post-modern era and the Korean Christian history of children ministry would be studied. In part 4, we will study examples of children ministry in diverse local churches in post-modern era with an order of churches in USA, Japan and Korea. In part 5, based on the above contents, we find the right direction for Korean Christian children ministry in post-modern era to move. We also figure out contents and methods regarding children ministry, children who are the main agent of children ministry and children ministry who become objects who all will be the new culture.

      • 어린이교육사역의 근거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가능성 고찰

        신진선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Potentiality of Reformed Life Theology as a Basis of Children Ministry Shin, Jin Sun Department of Chris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ristion Studies Baekseok Universit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tentiality of Reformed Life Theology as a basis for Children Ministry. Reformed Life Theology was first introduced to about 40,000 people at Suwon World Cup Stadium on May 21, 2010.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and the 7 Practice Campaign were delivered to not only theologians but also lay people. The uniquenes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have people recover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and to glorify Him. The statements saying "theology is not an academic discipline" and "the Bible is the answer" represent the basic concept, and based on this concept there comes the campaign for "7 Practices." A major part of this paper is spared for the justification and the objectives of children ministry. For this, studies are done in the field of Old Testament, New Testament, and education in order to find out why children ministry is necessary. Besides, sociological studies are done for the role of family, school, and church in the upbringing of children. Finally, a study in Christian education is performed to retrieve the need for holistic growth as an active member participating in faith community and the society. Another intention of this paper is to seek ways to apply the 7 Practic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children ministry. An attempt is made to accomplish the growth of faith community and society through the 7 Practic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area of faith succession, theological restoration, spiritual life, kingdom of God, prayer, Holy Spirit, and sharing. In children ministry, the areas of theological restoration, prayer, and Holy Spirit are dealt through belief education, prayer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lso, the areas of faith succession and spiritual life are dealt through faith community education emphasizing the concept of "shema“ and conscientization. Finally, the areas of kingdom of God and sharing are dealt through social education, leading children to become active participants of the wider community.

      •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최경인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현장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어린이 교육선교와 어린이 교육선교를 위한 선교사의 선발과 양성, 훈련 및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개인적 자질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신념과 실제의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신념과 실제의 차이가 있는가? 4.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신앙적 자질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신념과 실제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세계 여러나라 어린이 교육선교사 103명이며, 연구 도구는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에서 개발한 선교신용평가지표(2003)를 수정 및 보완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Version을 사용하여 문항의 신뢰도를 위해 Cronbach α계수 측정, 신념과 실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계수 측정, 기초통계량,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Dunca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는 상관이 있었다(r=.41, p<.01). 또한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의 영역 간에도 모두 상관이 있었다. 이는 선교지에서 어린이 사역을 하는데 있어서 개인적, 전문적, 신앙적 자질간의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개인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의 경향에서는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개인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에서 신념(M=4.39, SD=.39)이 실제(M=3.61, SD=.58)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실행 수준이 중요성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개인적 자질 중 신체건강(신념: M=4.28, SD=.56 / 실제: M=3.27, SD=.74)이 중요성 인식 뿐 아니라 실제적인 면에서도 다른 개인적 자질들의 수준보다 낮았다. 또한 파송 전 유아 및 아동관련 사역경험 유무에 따라(신념: t=2.27, p<.05) / 실제: t=4.65, p<.001), 예비교육 유무에 따라(신념: t=2.05, p<.05 / 실제: t=3.08, p<.001)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개인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의 경향에서는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신념(M=4.17, SD=.39)과 실제(M=4.16, SD=.39)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에서 비슷하게 나타남으로써 중요성도 높게 인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적인 면에서도 전문적으로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적 자질의 다른 하위영역들과 비교하여 볼 때, 유아 및 아동 발달이해(신념: M=4.48, SD=.54 / 실제: M=3.50, SD=.81)에 대한 중요성은 다른 전문적 자질들에 비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실제적으로는 다른 전문적 자질들의 수준보다 낮았다. 또한 유아 및 아동관련 전공유무에 따라(신념: t=2.20, p<.05 / 실제: t=2.07, p<.05), 파송 전 유아 및 아동관련 사역경험 유무에 따라(신념: t=2.52, p<.05 / 실제: t=2.55, p<.05), 예비교육 유무에 따라(신념: t=2.49, p<.05 / 실제: t=2.41, p<.05)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신앙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의 경향에서는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신앙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는 다소 높은 수준에서 신념(M=4.55, SD=.36)이 실제(M=4.20. SD=.36)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실행 수준이 중요성 인식 수준에 조금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신앙적 자질 중 소명 및 사명의식(신념: M=4.02, SD=.65 / 실제: M=4.02, SD=.65)이 중요성 인식 뿐 아니라 실제적인 면에서도 다른 신앙적 자질들의 수준보다 낮았다. 또한 파송 전 유아 및 아동관련 사역경험 유무에 따라(신념: t=3.93, p<.001 / 실제: t=5.07, p<.001), 예비교육 유무에 따라(신념: t=2.85, p<.01 / 실제: t=4.22, p<.001)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신앙적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선교지에서 어린이 사역을 하는데 있어서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신념과 실제는 매우 중요하다. 전반적으로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실제 수준이 중요성 인식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볼 때 보다 실제적인 어린이 교육선교사의 개인적, 전문적, 신앙적 자질에 대한 훈련 및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fosterage, train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by estimating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in field. Question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relations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2. How is the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personal competency?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depending on factors? 3. How is the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professional competency?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depending on factors? 4. How is the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religious competency?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depending on facto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serving in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And tools of this study was used revised version of Mission Credit Evaluation Index(2003) developed by The Korea World Missions Association(KWMA). To examine the tools, the validity was established by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by Cronbach coefficient(α)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estima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for post-test.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r=.41, p<.01).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b-scales of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It shows that there are closely related with personal, professional and religious competencies in children mission field. Secondly, on area of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personal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the beliefs(M=4.39, SD=.39) appeared higher than the practices(M=3.61, SD=.58) from above average. It means that practical level is inferior to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Especially‘health’(the beliefs: M=4.28, SD=.56 / the practices: M=3.27, SD=.74) is the lowest in both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and practical level comparing with any other personal competenci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personal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by the children ministry experiences(the beliefs: t=2.27, p<.05 / the practices: t=4.65, p<.001) and pre-educational training(the beliefs: t=2.05, p<.05 / the practices: t=3.08, p<.001) before dispatch. Thirdly, on area of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professional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the beliefs(M=4.17, SD=.39) and the practices(M=4.16, SD=.39) are appeared similar from above average. It means that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in field perceive highly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also well achieve professionally in practical aspect. Comparing with other professional competencies, ‘understanding of children' development’(the beliefs: M=4.48, SD=.54 / the practices: M=3.50, SD=.81)is the highest in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but on the other hand it is lowest in practical leve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professional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by the major of children(the beliefs: t=2.20, p<.05 / the practices: t=2.07, p<.05), children ministry experiences(the beliefs: t=2.52, p<.05 / the practices: t=2.55, p<.05), and pre-educational training(the beliefs: t=2.49, p<.05 / the practices: t=2.41, p<.05) before dispatch. Fourthly, on area of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religious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the beliefs(M=4.55, SD=.36) appeared higher than the practices(M=4.20. SD=.36) from above average. It means that practical level is inferior to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Especially, ‘awareness of calling’(the beliefs: M=4.02, SD=.65 / the practices: M=4.02, SD=.65) is the lowest in both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and practical leve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religious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by the children ministry experiences(the beliefs: t=3.93, p<.001 / the practices: t=5.07, p<.001) and pre-educational training(the beliefs: t=2.85, p<.01 / the practices: t=4.22, p<.001) before dispatch. Therefore the beliefs and the practices about competency of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is remarkably important in children mission field. Generally the practical level is inferior to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it is very suggestive to need of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personal, professional and religious competencies for children educational missionaries.

      • 로제타 홀 선교사의 효사역에 관한 연구 : 성경적 7효(HYO) 중심으로

        여주애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68

        이 연구는 1890년도에 조선 땅에 내한하여 43년을 조선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사역한 로제타 홀 선교사에 관한 내용이다. 로제타 홀 선교사 가족들이 조선에서 조선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 후계양성 사역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사역, 그리고 교회 여전도회를 위한 전도사역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성경적 7효(HYO)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건강한 정신을 보유한 삶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로제타 홀 선교사와 관련한 문헌을 살펴보았으며, 이 문헌에는 로제타 홀의 일기(1890년~1900년) 6권, 회고록 1권, 동시대 선교사의 묘비(양화진 자료집)와 문헌 자료(100주년 기념교회 기록물), 학술교육학술정보원의 논문, 신문기사가 있다. 로제타 홀 선교사의 삶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점자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는 로제타 홀 선교사의 관련한 유물과 기록물을 활용하여 시대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로제타 홀 선교사의 사역을 통하여 로제타 홀 선교사 가족이 조선후기에 국가와 교육 및 문화적 환경 그리고 가족제도 형태의 현황 속에서 이들의 정신적인 가치를 어떻게 성경적 7효를 통하여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로제타 홀 선교사 가족의 사역을 통하여 성경적 7효를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었다. 첫째, 7효의 첫 번째인 1효는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기는 삶이며, 로제타 홀 선교사의 사역의 근간을 하나님께 근거를 두고 있었으며 이에 기반하여 조선에서의 사역을 시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경적 7효 중, 2효는 부모님, 어른, 스승을 공경하는 삶으로써 로제타홀 선교사 가족이 고향에 있는 계모 엄마를 친엄마같이 사랑했던 모습에 적용할 수 있다. 그녀는 선교하는 중에도 계모 엄마에게 선교지의 어려움을 편지로 의논하고 계모 어머니의 답장을 남편의 편지 받는 것보다 행복했다고 한다. 성경적 7효 중, 3효인 어린이, 청소년, 제자 사랑을 통하여 실천가로서의 삶을 살았다. 로제타 홀은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찾아온 청소년에게 본인의 살을 떼어 수술을 시키므로 환자의 삶에 활력을 부어주는 역할을 했다. 또한 존재감 없는 어린이들을 제자로 삼아 교육하고 훈련하는데 전력을 다했다. 성경적 7효 중 4효는 가족 사랑이며, 이는 로제타 홀 선교사는 남편과 사별했음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유지를 받들어 가족의 이념과 문화를 실행시킴으로써 남편에 대한 사랑을 현실로 이어지도록 하였다. 근거로 그의 아들 셔우드 홀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해주에서 폐결핵 요양원을 설립, 크리스마스 실을 보급하여 결핵 치료와 결핵병원의 시발점으로 이어졌다. 성경적 7효 중 5효는 나라 사랑이며, 로제타 홀 선교사는 조혼으로 인해 10대에 과부가 된 조선의 여성들에게 용기와 힘을 주기 위해 기술을 가르치고 공부를 시켜 국가의 최고의 여성의 리더자로 성장시킨 사역을 시행하였다. 이는 지역사회의 공동체와 국가의 발전에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성경적 7효 중 6효는 자연을 사랑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며 이는 자녀를 키우면서 하나님에 대한 섭리를 자연을 빗대어 감사함으로써 그들의 삶이 자연과 공존해야 함에 대해 강조하였다. 이는 로제타 홀의 아들이 선교여행을 가서 할미꽃을 가지고 온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경적 7효 중 7효는 이웃사랑과 인류봉사이다. 평양의 ‘오마니’로 불리는 미국인 로제타 홀 선교사는 조선이란 이웃 나라의 한 달간의 배를 타고 와서 의료 사역과 교육 그리고 봉사를 실천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성경적 7효를 감당하는 로제타 홀 가족의 사역이 조선의 여성들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여성 의사 지도자를 양성하는 시발점이 되어 오늘날 한국 여성들의 삶은 일상적 생활에서부터 시작하여 사회에 진출하게 되고 경제적 지식적 수준의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로제타 홀 선교사 가족의 삶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의를 발견하였다. 그들의 삶은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에게 정신적인 가치가 적용되고 130년 전의 사역이지만 그의 삶은 죽은 것이 아니라 살아 생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효는 3통의 속성이 있는데 어느 종교든지 효는 통하고 과거나 현재나 미래나 효는 유행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를 관통하여 적용되는 중요하고 필요한 가치이며 어떤 이념을 객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의 중요성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 어린이 선교 사역에 있어서 효과적인 전략 방안 : 한국어린이전도협회 중심으로

        오성숙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15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issionaries recognize the necessity and the availability of mission programs devised by the Child Evangelism Fellowship in foreign missionary work and what kind of effects the mission programs have. Chapter 1 identifies motivation, objectives, methodology, and scopes of this study. Chapter 2 considers the biblical grounds for children mission by introduc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which has changed along with the flow of time in the Bible. Chapter 3 addresses (1) the birth and growth of the Child Evangelism Fellowship as a mission institute, (2)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Child Evangelism Fellowship, and (3) the factors of the revival and development of it. Chapter 4 considers the necessity of using the methods devised by the Child Evangelism Fellowship for children missionary work in foreign countries. Finally Chapter 5 provides the practical examples of children missionary work through services of foreign branches out of Korean Child Evangelism Fellowship, and then presents the effectiveness of them, the limitations of the methods, mentioned in the chapter 3, devised by the Child Evangelism Fellowship, and new suggestions. The key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s the necessity of children missionary work in foreign countries? Second, how is children missionary work in foreign countries? Third, what are the directions and measures to activate children missionary work in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 questions, the author considers how important and necessary children missionary work is in foreign countries and what measures can be presented for activation of children missionary work in foreign pla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ssionaries who were sent to 21 foreign countries from the Korean Child Evangelism Fellow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missionary work for children to be guided to Jesus Christ is necessary because it is the will of God. The purpose of mission work is to help people trust the God in their personal life and guide them to serve God. Through children missionary work they can live in the big joy of meeting God and know that it is not the God's will to lose even one spirit. Children missionary work means that the lives of children who meet Jesus Christ as the personal Savior earlier are transferred to the God and their lives are given to the God. Second, as though many children were christianized by activation of the Korean Child Evangelism Fellowship, there were still a lot of problems. Those include teachers and environment. As for teachers, insufficient missionary program training for local teachers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eachers make missionary work difficult. As for environment,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short period of education, and insufficiency in professionalism for children make missionary work inadequate. Finally, as for the directions of children missionary work of the Korean Child Evangelism Fellowship, it is needed to take the lead in domestic field and to expand overseas afterward. It is needed for those who have calls for children missionary work to devote to short-term missionaries and then to participate in training. Given that the one third of the population are children, it is required of children missionary work and it is desirable for many devotees to come out. Also, children missionary work should start from at kindergartens. As for activation of children mission, it is crucial that churches should focus on children missionary work, inform teachers of the importance of mission, and educate them to have passion and basic knowledge on mission for sufficient period.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might present the ways to boost children missionary work with the programs of the Child Evangelism Fellowship in many places and that more missionaries can realize the necessity of training for local teachers and make an effort for children missionary work.

      • 어린이 셀 그룹(Cell Group)에 대한 연구

        이제광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17583

        교회학교가 위기를 맞고 있다는 인식은 학생수의 감소라는 양적인 면에서만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 오늘날의 교회학교에서 본질적인 신앙교육이 생명력있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교회학교 학생수 감소는 무기력한 교회교육에 그 원인이 있다는 진단이 가능하다. 신앙의 대 잇기에서 실패하고 있으며, 교회학교와 학교교육의 분리현상과 학생들과의 접촉점을 상실한 무기력한 교회교육, 학생들의 문화를 담아내지 못하는 교육활동과 영적인 감동이 없고 생명이 탄생하며 성장하는 기쁨이 없는 예배와 분반공부로 인해 오히려 학생들을 교회 밖으로 내몰고 있다는 뼈아픈 진단이다.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원인 중 모든 교회학교의 위기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은 본 연구자가 생각하기에는 지금까지 전통적인 교회학교를 고집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오늘날의 전통적인 교회학교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부상하고 있는 셀 그룹 활동의 본질적 사역으로서 디아코니아 사역을 설명하며 이 사역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셀 그룹 활동을 교회학교에 접목시키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