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PA를 활용한 해양도시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통영 · 여수지역을 대상으로

        최슬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35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소개한 야간관광 100선에 선정된 야간관광지 중 경상남도 통영과 전라남도 여수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 관광객의 야간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해당 지역들을 포함한 국내 해양도시의 야간문화관광 현황과 수요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상품과 야간프로그램에 관한 개발방안을 제시하여 야간문화의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의 전환, 이미지 제고, 삶의 질 개선, 관광객 유치 등 야간관광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영시 또는 여수시의 야간관광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30일부터 2020년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236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SPSS 2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편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양도시(통영과 여수) 야간관광객 유치를 위해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야간관광 선택속성으로는 야간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안전성속성으로 나타났다. 통영은 야간자연경관의 쾌적함 청결, 분위기, 다양한 음식점, 인터넷 정보 속성이 나타났으며, 여수는 지역의 특색, 야간경관조명시설, 분위기, 야간 투어, 다양한 음식점으로 나타났음을 3가지 IPA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 지역 모두 해양도시로써 야간경관이 아름답고 먹을거리 또한 다양하여 앞서 언급한 선택속성들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더욱 많은 야간관광객 유치와 재방문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개선되어야 하는 야간관광 선택속성은 통영과 여수지역 모두 3가지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난 속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야간관광 인프라 요인은 Martilla&James(1977)의 전통적 IPA와 Deng(2007)의 수정된 IPA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속성별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두 지역을 같이 분석하였을 때 다양한 교통수단 속성만이 3가지 분석방법에 동일하게 나타났다. 통영의 경우에는 야간축제 및 이벤트,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다양한 교통수단, 숙박비용 속성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여수는 야간교통이용의 편리, 관광 정보시설, 주차장시설, 숙박비용, 입장료비용 등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살펴보았을 때, 통영은 여수의 해양공원에 위치한 포차거리나 버스킹 등의 야간축제 및 이벤트문화가 몰려있는 ‘핫플레이스’가 없어 다양한 연령대의 관광객 유치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공간을 많은 숙박시설이 가깝게 위치한 지역에 조성하여 야간교통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여수는 넓은 해양공원과 근처에 위치한 식당, 카페 등의 각종 시설물로 관광 정보시설 설치가 필요하며, 주말의 경우 무료로 개방되어있는 해양공원 주차장으로 인해 일명 ‘알박기주차’로 많은 관광객이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두 지역 모두 유명 관광지 특성상 교통문제와 숙박비용으로 특정 요일 관광객 몰림 현상으로 교통문제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높은 숙박비용으로 인해 관광객 유치 기간이 짧아(평균 1박) 시에서 운영하는 숙박시설을 관광코스에 포함하여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방법론적인 비교연구를 하였으며, 관광객 입장에서의 야간관광 선택속성 평가를 통해 향후 해당 지역 또는 여러 해양도시의 야간관광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ano 모델을 활용한 야간관광지 선택속성 우선순위 도출

        이영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67

        The essence of tourism remains unchanged even in rapidly changing societies and crises. However, the behavior of tourism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evolutions over time. In this flow, the system of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has also started to undergo fundamental changes, and the paradigm of the tourism industry is now focused on creating new markets. As the temporal range of human activities expands, related industries are also becoming more active, and one of them is nighttime tourism. Nighttime tourism refers to tourism activities enjoyed during the night, and it is another form of tourism that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ripple effects such as increasing tourists' length of stay. Not only in domestic settings but also worldwide, nighttime activities are increasing, leading to a strong desire for nighttime tourism. Consequently, cities with relatively developed tourism infrastructure are making efforts to become specialized cities for nighttime tourism by attracting investments and striving for development. As a result, research on nighttime tourism experience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 fundamental strategy for improving tourist satisfaction is to measure and evaluate the exact quality of the tourism servic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to identify the attributes that can increase tourist satisfaction. However, addressing dissatisfac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increased satisfaction, as factors that enhance satisfaction exist separately. Therefore, using the Kano model, which allows for detailed analysis of attributes by asking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about each item, the quality types of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were determin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of deriving prioritized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views and opinion surveys to identify the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Subsequently, the study progressed by determining the quality types using the Kano model and three additional analysis method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quality factors of the items were measured uniformly through the Kano model analysis, Walden's group comparison method,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mong the 13 items, six were identified as attractive quality factors(A), where satisfaction occurs even when they are not fulfilled, without causing dissatisfaction. The top-ranked selection attribute was ‘convenience of nighttime transportation’. Additionally, ‘atmosphere’, ‘tourism cost’ and ‘cleanliness and pleasantness of nighttime scenery’ were classified as high-ranking selection attributes, all belonging to the one-dimensional quality factor.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the basics of service quality, and if fulfilled, satisfaction is achieved, while dissatisfaction is expressed when they are not met. Furthermo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CSI Index, it was confirmed that about half of the items had values exceeding 0.5,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current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s.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ourists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se factors, nighttime tourism has sufficient potential as a new form of tourism.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is study utilized the Kano model, which had not been used in previous research on nighttime tourism, to derive the prioritization of selection attributes for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through the derivation of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 prioritization, reflecting the theoretical extension of research o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and reflecting tourists' desires. Furthermore, at a time when nighttime tourism shows high growth potential in the market, the process of quantifying and visualizing nighttime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can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potential of nighttime tourism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activating nighttime tourism by local governments. 급변하는 사회와 위기 속에서도 관광의 본질은 변할 수 없다. 하지만 관광의 행태는 긴 시간에 걸쳐 많은 변화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관광 상품 및 관광 서비스의 시스템 또한 근본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는데, 관광산업의 패러다임 또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으로 집중되고 있다. 인간이 활동하는 시간적 범위가 연장되면서 관련 산업 또한 활성화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야간관광이다. 야간관광은 야간시간대에 즐기는 관광으로써, 관광객의 체류일수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또 다른 하나의 관광 형태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야간활동이 늘어나게 되고, 자연스레 야간관광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면서 비교적 관광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도시에서는 야간관광 특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많은 투자 유치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간관광 경험에 관한 연구는 점차 더 중요해졌다. 관광객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본적인 전략은 지자체가 제공하고 있는 현재 관광 서비스에 대한 정확한 품질을 측정 및 평가하여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불만족을 완화한다고 해서 만족감이 높아지지 않으며, 만족감을 높이는 요인은 별도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항목에 대해 두 가지 경우의 질문을 던짐으로써 해당 속성을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는 Kano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 의견조사를 통해 선택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Kano 모델 및 3가지 보완 분석을 활용하여 품질 유형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 Kano 모델 분석, Walden의 그룹 비교 방법, Timko의 고객만족계수까지 모든 항목의 품질 요소가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13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충족할 시에 만족하고, 충족하지 못 할 시에도 불만족이 일어나지 않는 매력적 품질 요소(A)로 나타났다. 선택속성 내 1순위는 ‘야간교통 이용의 편리성’이었다. 이외에도 상위 선택속성으로 ‘분위기’, ‘관광 비용’, ‘야간경관의 청결 및 쾌적함’이 분류되었는데, 모두 일원적 품질 요소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서비스 품질의 기본이며, 충족할 경우 만족하고, 만족하지 못하면 불만을 드러내는 품질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PCSI Index 분석을 진행한 결과, 전체 항목 중 절반 가량이 0.5를 넘는 값이기에 현재 야간관광지의 개선이 필요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관광객의 만족 수준은 큰 영향을 미치기에 야간관광지가 관광의 새로운 형태로써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기존의 야간관광 분야 연구에서는 활용되지 않았던 Kano 모델을 활용하여 야간관광지 선택속성 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지 선택속성 관련 연구의 이론적 확장 및 관광객의 욕구를 반영한 야간관광지 선택속성 우선순위 도출을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또한, 앞으로 시장 내에서 높은 성장가능성을 보이는 야간관광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야간관광지 선택속성 계수화·시각화 과정을 통해 야간관광의 잠재력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여 지자체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도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