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진홍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the longevity objects, so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art of Sipjangsaengdo, acquire the awareness of cultural succession and development, enjoy culture, and make art a part of life. The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Sipjangsaengdo and produce it as household goods to develop self-directed art learning, art culture understand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and various cultural styles. In Chapter 2 of this thesis analyzes the understanding of Sipjangsaengd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he current status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In first,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Sipjangsaengdo, and the types, symbolic meanings, and formativeness of the symbols were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from 9 publishers based on the 2015 revised art department curriculum, focusing on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ncumbent teachers and students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as the basis material fo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re was no experience of encountering Sipjangsaengdo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the education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raditional art was not actively conducted due to the low interest and preference of students. Through this, The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a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the longevity objects from Sipjangsaengdo has been recognized,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is program has been proposed. In Chapter 3, research subjects and procedures were devised to select research topics and develop a program to produce household goods using ten symbols of longevity. In addition,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15/2022 revised art and the curriculum was derived. Two programs were developed by setting up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instructional model design for program development. The first educational program is the ‘Magnetic Production Program for symbols of longevity Animal Materials’. By applying the instructional model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 magnetic household goods were produced by carving animal-based longevity symbols on wooden boards. The second educational program is ‘Plant-Material Longevity Pencil Sharpener Craft Production Program’. As a project learning method, a long-lasting plant-based object was made of an clay on short pencil to produce a pencil tip craft that means it is used for a long time. The learner's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work were confirmed by applying it to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In addition, the class results of this program were analyzed by analyzing activity papers, self-evaluation papers, teacher evaluation papers, and peer evaluation papers. In Chapter 4 derived the educational effect and revitalization plan of the household goods production program using symbols of longevity from Sipjangsaengdo.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was improved by acquir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ng and inheriting crafts of longevity Materials. It formed Korea's unique aesthetic sense, reinterpreted the ol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understood the value of the crafts of Sipjangsaengdo to cultivate an attitude of preserving and inheriting culture and enjoying culture. Second, learners have acquired historical background knowledge of court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through Sipjangsaengdo. The historical background knowledge has been internalized b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Sipjangsaengdo, which originated from court paintings and gradually permeated into a type of folk painting enjoyed by all social classes. Third, the ability to create innovative crafts us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longevity has been enhanced. By creating everyday items using the auspicious creatures of Sipjangsaengdo, spent valuable time experiencing art in everyday life. As a result, ability to create innovative crafts with originality and aesthetic sensibility has been greatly enhanced. The activation measur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linked to the promotion of household goods and art markets. It is necessary to promote long-life household goods, which are the results of this program, and to operate and display promotional booths in connection with the art market to interact, cooperate and collaborate with others, and experience the art market. Second, ten longevity materials should develop an art product workshop experience program.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product workshops, one can learn how to plan and create artistic products, enabling them to produce more profound and meaningful works. Moreover, by experiencing various materials, one can gain exposure to diversity and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rogram by integrating traditional painting expression classes focused on Sipjangsaengdo. It is hoped that traditional painting expression classes, which vividly depict the coloring techniques and artistic expressions inherent in Sipjangsaengdo,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allow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 hearts of the ancestors through their painting. Fourth, it is proposed to implement thorough safety prevention education specifically for carving Sipjangsaengdo magnets. Safety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ecause it cannot be a good class if a student is injured by sharp sculptures and art materials. Through this paper, learners can understand our art and culture by exploring Sipjangsaengdo, which embodies the history, society, culture, and era of Korea. Furthermore, they can establish their cultural identity and gain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and eras. Therefore, in the global era, it is possible to build a talent image with the right qualities as a democratic citizen. 본 논문은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자가 십장생도의 전통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문화 계승 및 발전의 인식을 습득하여 문화를 향유하고 예술의 생활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학습자가 십장생도를 이해하고 생활용품으로 제작하여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창의·융합 능력, 다양한 문화양식을 이해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것이 본 논문의 미술 교육적 의의이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십장생도의 이해와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중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십장생도의 개념과 배경, 그리고 장생물의 종류 및 상징 의미와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9종을 십장생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황 분석의 근거 자료로는 현직 교사와 학생 설문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십장생도를 접해본 경험이 없었으며, 학생의 흥미와 선호도가 낮음의 이유로 십장생도 및 전통미술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대상과 절차를 구상하였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로 2015/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의 교수·학습 계획 및 수업 모형 설계를 설정하여 두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교육 프로그램은 ‘동물 소재의 장생물 마그네틱 제작 프로그램’이다. 창의적 문제 해결법의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나무 원목 판에 동물 소재의 장생물을 조각도로 조각하여 마그네틱 생활용품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 교육 프로그램은 ‘식물 소재의 장생물 연필깍지 공예품 제작 프로그램’이다. 프로젝트 학습법으로 몽당연필에 식물 소재의 장생물을 아이클레이로 제작하여 오래 사용한다는 의미의 연필깍지 공예품을 제작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연구 대상인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작품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활동지, 자기 평가지, 교사 평가지, 그리고 동료 평가지를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수업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십장생도의 공예품 보존과 계승하고자 하는 인식을 습득하여 문화 향유 능력이 향상되었다. 한국의 독자적인 미관을 형성하고 옛것을 현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였으며, 십장생도의 공예품의 가치를 이해하여 문화 보존 및 계승하는 태도와 문화를 즐기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둘째, 십장생도를 통한 궁중 회화 및 민화의 역사 배경지식을 습득하였다. 궁중 회화에서 시작한 십장생도가 모든 서민이 즐기는 민화의 한 종류로 스며들게 된 배경을 이해하여 십장생도의 탄생 배경을 중심으로 역사적 배경지식을 내재화하였다. 셋째, 십장생도를 활용한 창의적 공예 제작 능력이 향상되었다. 십장생도의 장생물로 생활용품을 제작함으로써 실생활 속 예술을 경험하는 값진 시간을 보냈으며, 독창적이며 미적 감각이 담긴 창의적 공예 제작 능력이 증대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주제를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용품 홍보 및 아트마켓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장생물 생활용품을 홍보하고 아트마켓과 연계하여 홍보 부스 운영 및 전시를 통해 타인과 교류하고 협력·협업하는 태도, 소통하는 능력, 그리고 예술 시장을 경험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십장생도 예술상품 공방 체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공방 체험을 통해 예술상품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배워 심도 있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재료를 경험하여 다양성과 전문성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십장생도의 전통 회화 표현 수업 연계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래 십장생도가 가진 채색기법과 표현기법을 장지에 그려 선조들의 마음을 경험하도록 전통 회화 표현 수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길 희망한다. 넷째, 십장생도 마그네틱 조각 시 철저한 안전 예방 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날카로운 조각도 및 미술 재료로 인해 학생이 다친다면 좋은 수업이 될 수 없으므로 안전 예방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 학습자는 우리나라의 역사·사회·문화·시대를 담고 있는 십장생도로 우리 미술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여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지닐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시대에 올바른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인재상을 구축할 수 있다.

      • 십장생도(十長生圖)를 활용한 패션소품디자인

        박정민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십장생도十長生圖를 활용한 패션소품디자인 세계화에 따른 문화의 획일화, 평준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한 나라 고유의 문화가 국가의 경쟁력으로 중요시되고 있어, 개별 국가의 고유성이 들어나는 전통적 문화 요소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전통문화예술 중에서 같은 동양 문화권인 중국과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현세(現世)의 행복과 장수를 기원한 이상향(理想鄕)을 그린 한국만의 독특한 형식의 십장생도(十長生圖)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십장생도의 상징적 의미와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문양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성과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현대인에게 의상만큼 중요한 아이템으로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는 스카프, 넥타이, 가방의 패션소품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실용적이며 장식적인 한국만의 독특한 전통문화요소를 현대와 접목함으로써 현대 패션소품 디자인으로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십장생도의 사상적 배경, 상징적 의미, 그리고 조형적 특성을 관련 문헌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텍스타일 디자인개발과 넥타이, 스카프, 가방의 패션소품 총 9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유교의 영향으로 인한 권위주의적인 사회적 억압과 당쟁, 신분제도의 불평등에 따른 문제, 전쟁과 같은 사회의 불안의식이 높아지면서 장수를 꿈꾸는 유토피아를 희망으로 삼아 절망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십장생도와 같은 도상(圖上)의 유행을 가져왔다. 둘째, 십장생도는 조선시대의 사회에 정착되어 있는 도교, 유교, 불교, 무속신앙과 음양오행 사상이 결합되어 벽사(辟邪)와 길상(吉祥)을 중심으로 기복적(祈福的) 주술성(呪術性)을 띄고 있다. 셋째, 십장생도는 장수에 대한 상징의미를 가진 십여 가지의 장생물을 반복적으로 중첩하는 것으로 강한 상징 의미를 보여주고 있고, 음양오행의 오방색의 상징의미를 담아 십장생도의 소재의 색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색상 조화와 대비를 통해 강렬하며 원색적인 한국만의 독특한 색감을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십장생도의 조형적인 특성으로 소재 표현방법에서 평면성과 다양한 시점으로 형태를 표현하는 다시점(多視點)성을, 그림의 화면 전체 구성에서 유사한 소재의 반복을 통해 동적인 화면구성을 보여주는 반복성과 동일한 채도와 명도의 색상으로 각 색상은 보색과 근접색의 색상대비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십장생도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하여 열 가지의 장생물(長生物)을 문양화하고 조합하여 Adobe photoshop CS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텍스타일디자인하고,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로 프린트 하였다. 여섯째, 패션소품인 넥타이, 스카프, 가방 디자인에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중심으로 십장생도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한 총 9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수와 행복의 이상향에 대한 염원을 간직한 십장생도를 현대문화가 요구하는 형태에 맞게 패션 소품인 넥타이, 스카프, 가방 디자인에 적용하여, 장식적인 면과 함께 십장생도의 길상적인 내면적 가치를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십장생도와 같은 한국전통문화가 다양한 관점에서 현대 사회에 맞게 개발되어 패션소품 디자인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십장생도의 소재별 상징성과 표현기법의 관련성 연구

        임태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Sibjangsaengdo, the painting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is a drawing of ten longevity symbols not as simple nature, but as the symbols of permanence and immortality. Sibjangsaengdo expresses the long and non‐perishable life with the subjects of the sun, mountains, water, clouds, rocks, deers, turtles, pine trees, bamboos, peaches, and elixir plants. Subjects of Sibjangsaengdo have schematic shapes due to their symbolic characteristics and often appear in other folk paintings. The reason why subjects of Sibjangsaengdo can be seen, even in folk paintings is because late Chosun imitated the culture of the noble and because folk paintings themselves contain their desire to pursue the happiness in the current life just as Sibjangsaengdo. Sibjangsaengdo and folk paintings are the paintings with purpose to desire or pray for the happiness of the current life.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subjects have symbolism and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symbolism and techniques in that they are expressed as schemes. Accordingly, to limit the scope of the study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symbolism and techniques by subject, Sibjangsaengdo, the prototype of folk paintings, was investigated.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The second chapter includes ideological backgrounds and modal characteristics of Sibjangsaengdo which were reviewed. Through this review, it was identified that Shamanism, Toist hermit ideology, Yin and Yang ideology, and Taoism associated with the unification with nature were shown in Sibjangsaengdo.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modal changes during the process in which Sibjangsaengdo appears in the life of general public. In the third chapter,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rete symbolism of Sibjangsaengdo, which was drawn to symbolize perpetual youth and immortality, the meanings of the subjects and the expressions and the use of colors in Sibjangsaengdo were studied. To make sure that the subjects of Sibjangsaengdo were not the simple shapes, but symbols with long history, the subjects described in old literature were reviewed. Additionally, colors used on the whole screen have different directions from authentic paintings. Black lines without characteristics and vivid solid colors without hesitation were used. Colors were studied assuming that the use of such strong colors might be based on some symbolism. As a par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Obangsaek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hich perceives color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Five Elements based on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Philosophy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colors in Sibjangsaengdo are not simple imitation of natural things, but symbolism of the painting considering the harmony of colors. In the forth chapte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ibjangsaengdo were reviewed. In Sibjangsaengdo, unique use of colors and space configuration were observe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ssuming that the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ibjangsaengdo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Results also found that there were unique painting techniques in Sibjangsaengdo such as repetition and complexity related to charm and symbolism of Sibjangsaengdo, multifocal perspectives, ignorance of perspectives, and proportions of things, symmetric expressions of things and the screen or enumerating method and the complanation of the things. When looking into expression techniques of Sibjangsaengdo by subject with thes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each subject became a model and all the subjects were expressed with same efforts and the sincerity. Through the studies on expression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the symbolic things shown on Sibjangsaengdo were not the imitations of natural things but the modified ones to emphasize the symbolism of the subjects. Sibjangsaengdo is the painting symbolizing the desire and the concept of long life and lucky omen, and they use strong colors and unique forms to clarify their symbolism. It was also confirmed that unique expressions were shown because they contained basic image of nature and group unconsciousness or desire in the typological and repetitive figures of the subjects to express the symbolism of the subjects. It is the pluralism that can represent overall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modern art. In the pluralism of modern society, the return to the tradition can be a method to find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The uniqueness of Sibjangsaengdo studied in the flow of pluralism is meaningful in modern art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to find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folk paintings. 십장생도는 10여 가지 동물과 식물, 자연물들이 소재로 등장하는 그림으로 단순한 자연을 그린 것이 아니라 영원불멸의 의미로서 장생을 자연의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한 그림이다. 십장생도는 해·산·물·구름·바위·사슴·거북·학·소나무·대나무·복숭아·불로초 등의 소재들로 장생불사의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십장생도의 각 소재는 그 나름의 상징성 때문인지 형태가 도상적이며 또한 그 소재들은 다른 민화에도 자주 등장한다. 민화에서도 십장생도의 소재를 쉽게 볼 수 있는 이유는 조선후기 민화가 서민들이 상층부 계급의 문화를 모방에서 발생하였다는 점과 십장생도와 마찬가지로 현세에서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망을 담은 그림으로 발생하였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십장생도나 민화가 현세의 행복을 소망하는 목적성의 그림이라는 점에서 등장하는 소재들이 상징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그 소재들의 모습이 도상화되어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각 소재들의 상징성과 기법 간에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재별 상징성과 기법간의 상관성을 알아보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민화의 특징을 함축하며 민화의 모태격인 그림인 십장생도를 통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1장부터 5장까지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제 2장에서는 십장생도의 사상적 배경과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연과의 합일과 연관된 무교, 신선사상, 음양오행사상, 도교사상이 십장생도에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으로 등장한 십장생도가 서민들의 생활 속에 등장하는 과정 속에서 양식적 변화가 있었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제 3장은 불로장생의 상징적 의미로서 그려진 십장생도의 구체적인 상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소재들이 갖는 의미와 십장생도의 두드러진 색채 사용과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십장생도에 나타나는 소재들이 단순한 도상들의 나열이 아니라 각 소재마다 오랜 역사를 통한 의미를 가진 상징물이라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옛 문헌들 속에서 십장생도의 소재들이 어떤 의미로 등장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화면 전체에 사용된 색채들도 정통회화와는 다른 방향을 취하는데 무성격성의 묵선에 강렬한 원색을 거리낌 없이 사용하였다. 이렇게 색채의 강렬한 사용은 색채가 가진 어떤 상징성에 근거를 두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색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에 대한 연구 내용으로 음양오행적 우주관에 근거를 두고 오행의 원리에 따라 색을 인식하는 오방색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십장생도의 화면 전체에 사용된 색은 단순한 자연물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색의 조화를 함께 생각하여 그림 자체의 상징성을 드러내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십장생도의 조형적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십장생도를 살펴보면 독특한 색채의 사용과 공간 구성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십장생도의 독특한 조형적 특성이 그림의 제작 목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 보고 조형적인 특징들을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십장생도의 주술성과 상징성과 관련한 반복성과 복합성, 또한 다시점적인 시각, 원근법과 사물 상호간의 비례 관계 무시, 사물이나 화면의 대칭적 표현이나 나열식 방법, 사물의 평면화 등과 같은 독창적 화법이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구도적 특징들과 함께 십장생도의 각 소재별 표현기법을 살펴보았을 때 각 소재들이 도상화되어 나타나며 모든 소재들이 동일하게 정성들여 표현되어지고 있다. 표현 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십장생도에 등장하는 각 상징물들은 자연물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대로 본 따 그린 것이 아니라 소재가 갖는 상징성을 좀 더 부각시키기 위한 모습으로 변형하여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십장생도는 장수와 길상에 대한 소망과 관념의 상징으로서의 그림이며 그 상징성을 극명히 하기 위하여 강렬한 원색의 독특한 색채 사용과 독특한 조형적 특징들이 있었다. 또한 각 소재들의 상징 표현을 위하여 그 대상이 유형적이고 반복적인 모습으로 자연의 근본적인 이미지와 집단적 무의식 내지는 소망을 담음으로 인해서 독특한 표현방식이 나타남도 확인하였다. 현대 미술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을 대변할 수 있는 단어는 ‘다원주의’ 라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다원화 속에서 앞으로의 방향을 찾아가는 데 전통에 대한 복귀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다원주의적 미술의 흐름 속에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십장생도의 독특함은 현대 미술에도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의 민화의 발전 방향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십장생도(十長生圖)의 상징에 관한 연구

        신경미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민화(民畵)는 오방색이라는 화려함으로 그 시대 백성들의 염원(念願)을 표현한 그림이며, 그 중 가장 바랐던 것은 ‘수(壽)’와 ‘복(福)’이다. 고대 사회부터 나타난 여러 민간신앙과 토속종교들은 이런 현세구복을 추구하면서, 암울하고 힘든 시대에 주술과 부적을 통해 신에게 만사형통(萬事亨通)을 기원하였고, 불로장생(不老長生)이라는 초현실적인 이상세계를 꿈꿔왔다. 이런 이상세계에 대한 욕망이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러 ‘십장생도’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십장생도란 주술적․길상적 상징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민화로서 장생불사하고자하는 도교적 신선사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 내용은 해, 산, 구름, 물, 소나무, 대나무, 학, 사슴, 거북, 불로초 등으로서 불로장생한다고 여겨진 열 가지 동식물을 모두 한 화면에 그려 놓은 그림을 말한다. 민화는 서민들의 바람을 그림에 담아 나타낸 것으로, 물건이나 형태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여 상징화 하였다. 불로장생하고자 하는 마음을 열 가지의 동식물에 담아 염원했던 우리 조상들의 모습을 십장생도라는 이상세계를 통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민화의 정의와 소재별 분류를 살펴보고, 문배(門排)․세화(歲畵)․민화(民畵)로의 시대적 변이를 통해 십장생도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또한 십장생도에 영향을 끼친 사상적 배경을 통해 생성된 형태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십장생도에 나타난 상징적 요소를 주술적 상징과 자연물․동물․식물 형태의 길상적 상징, 그리고 도교적 상징의 3가지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인간의 삶과 염원이 상상속의 이상세계인 십장생도를 통해 어떻게 나타내어졌는지 알 수 있었다.

      • 십장생도 재해석을 통한 회화표현연구 : 본인 연구작품을 중심으로

        김소연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궁중화에서 민화로 이어지며 향유되어 온 십장생도의 가치와 의미를 재해석하고 동시대의 대중적 상징과 연결 짓는 작품연구를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는 회화표현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십장생도는 무병장수(無病長壽)라는 상징을 통해 안온한 삶을 기원하는 길상화라는 점에서 그것의 향유는 당연,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욕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인류의 보편적인 욕구를 향하고 있다. 과거의 선조들은 ‘십장생도’ 등의 길상화를 통해 그 욕망을 미화하여 표출하고 소망했다면, 현대사회에서 현대인은 어떤 방법으로 어떤 삶을 향하는지에 대한 탐구 과정을 작품연구에 반영하고자 했다. 하이데거의 ‘현존재’로서 세상을 보는 시선은 존재의 유한함에 대한 불안을 딛고 현존하는 순간에의 충실함을 강조한다. 이는 어려운 역사적 상황에서도 현세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소망했던 민화의 역사적 가치와 대량생산과 복제의 소비문화로 격변하던 대중사회를 받아들이고 그것에서 가치를 끌어내며 대중문화를 대표했던 서구의 팝아트의 시대적 역할과 연결된다. ‘현존재’로 당시의 세상과 사회를 대변하면서도 비판적 태도를 함께 놓치지 않음은, 마주하고 있는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삶으로의 적극적인 의지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삶으로의 의지를 우리나라 민화의 발생과 전례에서 찾고, 길상화로서 십장생도를 향유했던 문화 속에서 그것을 어떻게 풀어냈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십장생도를 계승한 선행연구들 대부분 전통 그대로의 도상을 인용하거나 상징을 차용하여 여전히 누가 봐도 십장생도로 보이는 작업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토대로 그 경계와 한계를 뛰어넘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십장생도가 가지는 상징적 의미에 집중되어온 기존 선행연구들과 달리 십장생도의 향유 가치에 대한 재해석으로 연구에 접근하고자 했다. 벽사의 의미로 현존하는 삶에 대한 애착을 상징성에 담아, 그리고, 전하고, 소장하는 과정으로 향유되었던 정서와 현상을 거시적인 시각에서 하나의 문화양식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십장생도의 재해석으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공감되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제안하고, 현대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새로운 십장생도의 대중화를 향하고 있다. 그것은 십장생도의 가치와 의미를 전통과 현대를 대중적으로 가로지르며 발전, 계승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이며 또 다른, 문화양식으로의 십장생도, 즉 ‘민화(䁕畫) 민화(民畫)가 본래 단어이며 民(백성 민)을 䁕(굽어볼 민)으로 연구자가 교체하였다. 민중의 그림이 아닌 서로의 삶과 마음을 세상의 모습으로 굽어보는 그림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십장생도’로의 계승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ue meaning and value of Ten Symbols of Longevity, which were expressed in Korean traditional court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and to show them into the modern pictorial expressions – with a challenging study to draw a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meaning of Ten Symbols of Longevity with any modern symbols commonly found in the present day. Ten Symbols of Longevity were depicted, wishing everyone’s well-being and peaceful life – as those symbols were believed by our ancestors to bring ‘Staying healthy and living longer’. This value still exists in those living in the modern era as the universal value – or even considered as the ‘universal desire’ in every human kind. Back in the old days, these symbols were expressed in auspicious paintings, which represented our ancestors’ strong desire to enjoy longevity in good health and often expressed in an idealised way. This study starts from this point and goes further to investigate how Tem Symbols of Longevity are depicted as the modern figures – with curiosity of what life values are mostly (and commonly) respected by us. Martin Heidegger, the German philosopher, insisted on the notion of ‘Dasein’, which means ‘existence’ – emphasising the critical importance of ‘Being’, to overcome one’s anxiety, arising from existence itself which is not infinite. This philosophy is well-observed in the Western Pop art, which is understoo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rawing inspiration from sources in consumerism,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in the rapidly-changing society during 1950’s and 60’s. The notion of ‘Dasein’ is even connectable to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which created with strong wishes to fiercely overcome severe hardships and to stay peaceful with wellbeing and longevity. Understanding ‘Dasein’ help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positive – but also critical – attitudes that our ancestors would show in order to overcome their given hardships. Given its great importance of this philosophical notion, the researcher has studied from where, when and how these attitudes originated in Korean historical auspicious paintings. The researcher has identified the limitation shown in many other preceding studies, as they are seen as copying the traditional Tem Symbols of Longevity from their original figures. This has encouraged the researcher to broadly investigate how those symbols could be expressed – in more creative and bold ways – to go beyond the limitation. The researcher aims to analys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o interpret its true meanings into a new aspect, so that it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ose living in the modern world. This is expected to produce new figures, reflecting the current era but still similar to the traditional symbols. This goes along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 analysing meanings and values of the symbols and expressing them into the modern pictorial expressions, which could eventually help them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and make a good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ourt paintings with those expressed in the modern figures.

      • 朝鮮 後期 十長生圖의 象徵性과 造形性에 관한 연구

        권지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십장생도의 등장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겠으나 본 논문에서는 서민들의 소박한 염원과 미의식을 꾸밈없이 표현한 조선 후기 십장생도를 중심으로 하여 십장생도의 상징성과 조형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회화가 갖는 독자적인 특성을 찾을 수 있는 조선 후기 십장생도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학문적 체계를 완전히 갖추지 못한 십장생도에 관한 일련의 학문적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데 큰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십장생도의 화면 구성은 대상이나 이념 표출을 위한 절대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극히 평범하고 자유로운 구도, 허세나 가식이 없는 자연스런 필치가 독자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 결국 공간과 형태의 구조는 공간감을 위한 공간이 아닌 장면을 꾸미기 위한 형성적 요소나 장식적 평면 요소로 이용되었던 것이다. 특히 장생도에 담겨 있는 색채는 밝고 명랑하나 품위를 잃지 않은 섬세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이처럼 십장생도는 서민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한국적 아름다움을 간직한 우리 고유의 회화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의 십장생도가 지니는 역사적 의의와 십장생도가 발현하게 된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십장생도가 언제부터 있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거에 의하면 삼국시대의 기와문양이나 고분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십장생도가 순수한 회화적 양식으로 제작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로 보여지면 본격적으로 제작된 시기는 조선 후기라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십장생도가 갖는 특성은 18, 19세기 신흥 상인의 출현과 경제 전반이 발전되면서 기본적인 그림 수요가 많았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요구와 필요성에 의해 십장생도가 발전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십장생도의 화제와 도상에 내재된 상징성을 장생물의 소재에 따라 살펴보았는데, 상징적 특성으로 항상성, 불변성, 신령성이 있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조선 후기 십장생도의 실제 작품을 통한 십장생도를 유형별로 나누고, 화법이나 화론, 색채, 구도 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조형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특징으로는 소재별 내용을 증시하고 화가의 의도가 잘 드러나 있다. 독창적인 다시점적(多視點的) 구도와 비례를 무시한 평면 추상, 내면적 의미를 표현한 濃彩의 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십장생도에 대한 올바른 고찰과 이해는 십장생도의 미감을 한국미술의 독창적 미의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나아가 새로운 시각의 풍요롭고 정체성을 간직한 전통적 회화 문화가 현대미술에 다양성을 제시할 것으로 믿는다. Until three government policy units the possibility of ascending there will b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ppeara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th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late Chosun Dynasty. It tried to observ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result moulding characteristics concretely. The research against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late Chosun Dynasty there is a place intention to present a study possibility.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Korea it will be able to represent the popular culture which goes round it is beautiful as the specific conversation which it stores away there is a value.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late Chosun Dynasty the history questionable matters which it keeps and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it occurred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and to observe the thought background it tried. According to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oncrete evidence with three government policy righteousness flags it bites and ocean or there is a possibility of trying to search from the ancient tomb mural. Being produced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onversational types comes to seem at Chosun time, the time which is really produced late Chosun Dynasty is a possibility of seeing.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f late Chosun Dynasty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with the fact that the picture demand which a luck the quality which it has 18, 19 century the appearance and the economic whole of the new merchant are developed and pursues will be many like this by a demand and necessity a possibility of seeing with the cause who is developed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re is. And to observe it followed the symbol which appears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subject and the picture in long life scandal subject matter and it tried, there is a changes always and the nature, an invariance and a divine spirit characteristic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there was with quality of symbol. The actual work it led and shedding of blood it shared a picture method or a picture objection, a color and the composition back and to observe a moulding characteristic especially, attitude it analyzed it tried. It considered seriously the contents of subject matter with concrete feature and the picture the thought of the person whom it draws did to appear well. Originality with the compositio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seeing from multi angle the color which expresses the thought of the plane surface abstraction which disregards a proportion and mind inside it is beautiful there is a wild possibility. It confronts to like this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degrees and proper research and gain and loss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beautiful sentiment the Korean arts original becomes the ground in beautiful ceremony it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traditional conversational culture which stores away independence at further fresh eye today with the fact that it will present a variety in the arts.

      • 조선시대 민화 중 십장생도(十長生圖) 연구

        조민경 동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1

        민화(民畵)는 우리민족의 미의식(美意識)과 정감(情感)이 표현된 옛 그림으로서 소박한 감정과 생활미가 담겨져 있으며 우리의 정서를 상징한다. 이에 조선시대 민화 중 십장생도는 우리 민족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생성된 민족의 생활감정이 미의식으로 승화되어 축적된 전통회화이며, 현 세상에서 장생불사(長生不死)를 바라는 소망과 염원이 담긴 장생물을 소재로, 이상적인 세계에서 살고자 하는 인간적 욕망을 신선사상(神仙思想)의 배경으로 화면에 그려진 그림이다. 이러한 십장생도는 해  구름  산  물  바위  소나무  불로초  거북  학  사슴의 10가지 장생물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가 보통 말하는 민화의 십장생도를 보면 상징물이 다 등장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거북이와 사슴이 빠져있는가 하면 대나무나 복숭아나무가 추가되기도 한다. 또 사슴  학  대나무  소나무 같이 몇 종으로만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십장생을 천계(天界)  지계(地界)  동물계(動物界)  식물계(植物界)인 10종으로 나누어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Ⅰ장부터 Ⅴ장까지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고, 제 Ⅱ장에서는 민화의 개관으로 민화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민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조선시대의 시대적 상황을 알아보고 또 민화를 화제별로 분류해서 그 종류를 살펴보았다. 제 Ⅲ장은 조선시대 민화 속 십장생에 대한 십장생의 개개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하고 십장생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기법상의 특징을 색채, 형태, 공간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공간구성에 있어서는 십장생도의 독특한 표현형식을 정리하였다. 또한 십장생도의 특성을 크게 상징성, 장식성, 예술성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조선시대 민화에 나타난 십장생도에 대해 전통회화 양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회화적 양식이라는 측면에서 십장생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선시대 민화 중 십장생도(十長生圖)연구에 있어 십장생의 내용과 십장생도에서 볼 수 있는 조형적인 양식과 특성을 분석하여 십장생도에서 보여 지는 표현적 특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허수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apply the formal criticism to assess the value of the works from various angles. Currently, art education seeks to practice education of criticism that would enable learners to achieve competencies such as aesthetic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art culture by further expanding the categories and methods of criticism.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high-level of criticism education, there should be changes in learner’s basic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rt criticism first. For thi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tegrated assessment experience for art works by using formal art criticism that is easy to learn through its systematic criticism stages even for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art criticism, and that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essential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of works of art.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the values of traditional art and cultural identity in order to understand various art cultures and to judge their proper valu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have art education that makes us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which is a traditional genre that students are relatively familiar with and would allow them to see the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ies of the subject-matter as well as national culture at a gla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program was develop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art criticism method and to apply them to develop the ability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Chapter 2 explores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and art criticism educa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formal criticism. The chapter analyzes the textbook of Art for Middle School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art criticism in schools to set the direction of this program. Study shows that in the textbook,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ppear only as materials for explanations such as Korean color paintings, and in actual classes, most of them are appreciation activities that only elicit emotional responses through explana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critical education that can help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nd assess the value of the works. Chapter 3 analyze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According to the method of art criticism and the classification of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ies of the subject-matter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the program consists of the ‘program for assessing the essential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critical discourse of E. B. Feldman’ and the ‘program for assessing the formativ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analytical criticism of Tom Anders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apply formal criticism were developed, as well as ability of active value assessment o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was improved. Chapter 4 pertains to the questionnaire conducted on the applied program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educational effects and measures to promote them were derived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art critic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positive effect was derived on student’s perception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and art criticism, and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Second,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formal criticism theories and ability to apply them. Third, learners were able to expand their ability to assess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 of Longevity Symbols Paintings. ocusing on these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actively promote the ‘program to assess the value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based on the formal criticism’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ing in connection with the program for appreciation of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for understanding the various values of the paintings. Second, education of critical writing on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should be applied to deepen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apply the criticism model that can deepen the learning of the existing formal criticism model. Students can experience and learn art criticism by applying formal criticism to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s and assessing the value of the works. In addition, by cultivating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and national cultural identity, students can find and enjoy the appropriate values in various art cultures. This learning experience will become the basis for a broader range of in-depth critical learning proposed by the current curriculum, and may be used to expand critical perspectives on various works and cultures of art. 본 논문은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가치판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십장생도를 이해하고 형식적 비평이론을 적용하여 작품의 다양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미술교육에서는 비평의 범주와 방법을 더욱 확장하여 미적 감수성과 미술 문화 이해능력 등의 역량을 성취할 수 있는 비평 교육을 실천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비평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학습 주체자의 미술비평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미술 작품에 대한 본질적 접근과 해석을 경험할 수 있으며 체계적 비평 단계가 있어 미술비평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도 학습하기 쉬운 형식적 미술비평을 활용하여 작품에 대한 통합적 판단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여러 미술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올바른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통미술의 가치와 문화 정체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비교적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품이자 소재의 상징성과 조형성, 민족 문화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십장생도를 활용한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생이 형식적 미술비평 방법의 다양한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십장생도에 대한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미술비평의 개념과 미술비평 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비평에 대한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 십장생도는 전통 채색화 등에 대한 설명 요소로만 등장하고 실제 수업에서도 설명을 통한 감성적 반응 도출하는 데서 마무리되는 감상 활동이 대다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작품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비평 교육을 제안하였다. 제3장에서는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가치판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것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미술비평 방법과 십장생도 소재의 상징성과 조형성 구분에 따라 ‘펠드먼의 비평적 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본질적 가치판단 프로그램’과 ‘앤더슨의 분석적 비평에 근거한 십장생도의 조형적 가치판단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형식적 비평이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적용 능력이 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십장생도에 대한 능동적인 가치판단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결과에서 학생의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와 흥미, 미술비평에 대한 이해와 흥미도를 기반으로 하여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십장생도와 미술비평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과 흥미 부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도출되었으며 교육적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습자는 십장생도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향상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는 다양한 형식적 비평이론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개발할 수 있었다. 셋째, 십장생도의 상징적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이 확대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형식적 비평이론에 근거한 십장생도 가치판단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십장생도의 다양한 가치 이해를 위한 감상 프로그램 연계학습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비판적 사고능력 심화를 위한 십장생도 비평 글쓰기 교육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기존의 형식적 비평 모델에 대한 학습을 심화할 수 있는 비평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확대해야 한다. 학생은 십장생도에 형식적 비평이론을 적용하고 그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미술 비평을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전통미술에 대한 이해와 민족 문화 정체성을 함양함을 통해 다양한 미술문화 속에서도 올바른 가치를 찾고 이를 향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의 경험은 현재의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더욱 넓은 범주의 심화 된 비평 학습의 토대로써 다양한 작품과 미술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확대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朝鮮時代 民畵에 대한 硏究 : 十長生圖를 中心으로

        김선애 牧園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2

        한 사회에서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된 대중적인 실용화를 가리키는 민화는 학문적으로 표현 하자면 "민족의 신앙, 기원, 일상생활과 사회적 질서유지를 목적으로 한 교화, 주거공간의 미화를 위한 장식, 민중의 미의식에 직결되는 작품" 이라 통칭하고 있다. 또한 민화는 우리 회화사의 주류에서 벗어난 비전문적인 화공, 장인들이 대중의 그림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멋대로 그린 소박하고, 꾸밈없는 그림을 가리킨다. 민화의 화제(畵題)는 일반 서민들이 항상 꿈꾸던 아들 딸 많이 낳고 높은 벼슬에 올라 호의호식하면서 장수하고자 하는 기복적인 내웅을 반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십장생도는 늙지 않고 오래도록 장수하고자 하는 염원의 불노장생을 상징하는 해, 구름, 바위, 물, 소나무, 대나무, 학, 사슴, 거북, 불로초 등 열 가지 동식물을 모두 한 화면에 그려 놓은 그리ㅏㅁ이다. 이와 같은 소재는 중국의 신선사상에 바탕을 두고 전개되어 왔지만 이를 조합하고 도식화한 것은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것이다. 십장생도는 주로 장수를 축원하는 연회장이나 사랑방의 장식용 병풍으로 쓰였는데 일정한 형식과 도식적인 형태에 짙고 화려한 채색을 구사 하여 장식적인 성격을 강조하였다. 또한 영원히 불멸한다는 신의 속성을 자연의 장생으로 표현하여 신과 인간과 자연이 하나로 어울려 조화를 이루고자하는 우리 선조들의 마음을 알 수 있다. A folk painting, which was made popularly according to a custom of one's society, could be described scientifically as national belief, personal desire, daily life, educational purpose for a social order, ornament for their house and people's esthetic sense. And it was also painted freely by a painter or craftsman, even he was not specialized for painting to meet people's demand for a picture, which was simple and didn't have lots of fame. These pictures generally reflected fortune that common people wanted and dreamed occasionally like breedirlg their children successfully, becoming high in official rank and long life. Among these pictures, the Sipjangsangdo is a distinct kind of picture, which was described the cherished desire of common people at that time. Therefore it contains something like sun, cloud, rock, a pine tree, a bamboo, a crane, a deer, a turtle, a herb bringing eternal youth. And all these things have a common meaning, immortal. Although all those were based on Chineseidea, the hermit, Korean made up into their original works. Generally, Sipjangsangdo emphasized on decorativefigure through rich and bright color, and used as a folding screen in a party for which celebrating long life or a Sarangbang. A generic character of God, immortal was painted into Sipjangsang, so we would know what our ancestor thought. That is a harmony of god, nature, and human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