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

        박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과 통증 유무에 차이 가 있는 특성을 확인하여 심장수술 환자가 중환자실에서 경험하는 통증 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통증 사정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3년 4월 30일 까지 서울시 소재의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을 받고 심폐기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의 의무기록 전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해당 병원의 CDW(Clinical data warehouse)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구조화된 기록과 자연어 기록이 함께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51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및 Chi 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의 23.2%가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재실 기간 동안 통증을 경험하였고, 그 중 83.2%만이 통증 사정도구로 기록된 통증 점수가 있었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한 통증 사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심장수술 후 초기에 통증을 겪는 대상자가 많고 통증의 발생이 많고 통증 강도도 높았으므로 입실 초기에 통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대 통증 강도는 5.73점이었으며 주요 통증 양상은 ‘뻐근한’, ‘욱신욱신 쑤시는’, 주요 통증 부위는 ‘수술 부위’와 ‘흉관 위치’였다. 본 연구는 통증과 관련된 생물학적, 심리적, 수술관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생물학적 특성 중 나이, 중환자실 수면장애, 심박출률, APACHEⅡ, 심리적 특성 중 수술 전 불안, 중환자실 불안, 수술 관련 특성 중 관상동맥 우회술, 복합수술, 수술시간, 심폐 우회술 시간, 흉관 개수, 왼쪽 흉관에 따른 통증 유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 유무와 관련된 특성들을 고려한 통증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심장수술환자의 중환자실에서의 통증과 통증 유무에 관련된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통증 사정 및 관리 향상에 기여 하며,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obtained basic data on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data obtained, we hope to better understand the pain experience of patients and to identify components that contribute or impede pain managem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adult patients aged 18 years or older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and were treated in the cardiopulmonary intensive care unit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May 1, 2022 to April 30, 2023.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514 people. Research data was obtained using the hospital's clinical data warehouse(CDW)system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Both pain assessment tools and natural language records were utilized and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Chi 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R program. Based on the data acquired, 23.2%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pain during their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cardiac surgery, but only 83.2% of them had a pain score recorded with a pain assessment tool.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strategy to improve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by utilizing pain assessment tools needs to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maximum average pain intensity was 5.73 points, the main pain descriptors used were ‘stiffness’ and ‘throbbing’, and the main areas of reported pain were ‘surgery site’ and ‘chest tube insertion site'. Since the intensity,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in is high in the early stages of post operative hospital stay after cardiac surgery, special attention to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s necessar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urgery-related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ported pain. Biological components that affected patient pain experience included age, ICU sleep disorder, cardiac ejection fraction and APACHEⅡ. Psychological components that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pain experience included preoperative anxiety and ICU anxiety. Components that affected patient pain experience among surgery-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omplex surgery, surgery tim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number of chest tubes, and the presence of a left chest tube. Nursing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to holistically analyze and mange the pain experience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ain an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n in cardiac surgery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t also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 소아 심장수술시 저용량 스테로이드와 고용량 스테로이드의 임상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김양원 고신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연구배경 및 목적: 심장수술시 적용하는 심폐바이패스(Cardiopulmonary bypass: CPB)는 수많은 화학주성인자와 cytokines들의 생성 및 방출을 일으켜 수술 후 다장기기능장애의 원인이 되는 전신염증반응을 유도한EK. 이러한 유해한 생리학적 변화들을 방지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corticosteroids(이하 스페로이드)를 이용해왔으나 정확한 약의 효능이나 기전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연구의 대부분은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고용량 사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 심장수술시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의 효과에 대한 논쟁과 함께 심폐바이패스의 유해한 효과에 특히 취약한 소아 심장수술 환자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저자는 소아심장수술시 저용량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가설을 정하여 실험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선천성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소아 환자들에 있어 저용량 스테로이드와 고용량 스테로이드의 임상효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적절한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무작위적이고 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심장수술이 계획된 30명의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따라 임의로 저용량의 methylprednisolone 투여군(10mg/kg, n=15, 이하 저용량군)과 고용량의 methylprednisolone 투여군(30mg/kg, n=15, 이하 고용량군)의 두군으로 나누었고 스테로이드는 CPB실시 1시간 전에 정맥 투여하였다. 모든 환자들에 대해 중등도 저체온 심페바이패스를 적용하였다. 전체 환자들로부터 심폐바이패스 전(Pre-CPB), 심폐바이패스 중(CPB-10), 심폐바이패스 종료직후(CPB-off) 의 세 시기에 각각 혈액을 채취하여 총백혈구수 및 분획세포 비율, 혈소판수, interleukin-6(IL-6), myeloperoxidase(MPO), total antioxidant(TA), neuron-specific enolase (NSE), troponin-I(TNI),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creatinine, blood urea nitrogen(BUN)을 측정하였다. 그 외 수술 중 소변 배출량, 수술 후 폐지수(PaO_(2)/FiO_(2)), 기계호흡 보조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합병증(발열, 창상문제), 수술 후 24시간 및 총 출혈량, 재원일수 등을 조사하여 양 군 간에 차이점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결 과: CPB-off시 호중구 분획(70.49±8.03% vs 63.13±7.43%, p=0.013), MPO (21.62±7.36 ng/mL vs 15.99±5.83 ng/mL, p =0.03), TNI(32.14±18.87 ng/ml vs 19.45±16.32 ng/ml, p=0.045), A5T(51.07±56.78 U/L vs 23.60±5.15 U/L, p=0.045는 고용량군이 저용량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CPB-10 때의 IL-6(7.41±5.28 pg/mL vs 2.40±2.35 pg/mL, p=0.04)와 ALP(15.80±8.13 U/L vs 10.47±3.94 U/L, p=0.04) 역시 고용량군이 더 높았다. 그러나, 총 백혈구수, 단구분획, 혈소판수, TA, NSE, creatinine, BUN, 수출 중 총 소변배출량, 수술 후 24시간 및 총 출혈량, 폐지수, 수술 후 발열, 수술 후 창상합병증, 중환자실 치료기간 등의 변수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CPB-off 시의 림프구분획은 고용량군이 저용량군 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24.96±8.82% vs 33.24±7.86%, p=0.005). 게다가 기계호흡보조시간(21.40±14.84 hrs vs 13.51±3.83 hrs, p=0.03)과 재원일수(12.73±4.70 days vs 11.20±6.20 days, p=0.04) 역시 고용량군이 상대적으로 더 길었다. 결 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소아 심장수술시 스테로이드의 고용량 투여가 저용량 투여보다 그 임상효과가 더 임상적으로 적절하거나 우수하다고 말할 수 없으며 일부 변수들의 경우 저용량의 스페로이드가 저자가 가설한 바와 같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투여해오던 스페로이드의 고용량 투여 방식은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이 소규모였던 관계로 향후 더 큰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 Cardiopulmonary bypass(CPB) for cardiac surgery trigger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numerous chemotactic substances and cytokines, ensu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hat lead to postoperative major organ dysfunction. Traditionally, corticosteroids(steroid) have been administered to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to ward off these detrimental physiologic alterations. Howeve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adult patients with high-dose steroid. Recently, there have been debates on the adminstration of high-dose steroid. The investigations involving steroid and pediatric cardiac surgery are required because neonates and infants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the adverse affects of CPB. The author carried out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to compare the efficacy of low-dose steroid with that of high-dose steroid and to determine the adequate dose of pretreated-steroid for prophylaxi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pediatric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ardiac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 fifteen patients received low-dose methylprednisolone(10mg/kg intravenously, n= 15, low-dose group) and the others received high-dose methylprednisolone (30mg/kg intravenously, n= 15. hlgh-dose group) 1 hour prior to CPB. Moderate hypothermic CPB were applied in both group. Arterial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CPB(Pre-CPB), 10 minutes after start of CPB(CPB-10). and immediately after CPB-end(CPB-off) for measuring total leukocyte counts(T-WBC) and differential count, platelet counts. inte.leukin-6(IL-6), rnyoloperoxidase(MPO), total antioxidant(TA), neuron-specific enolase(NSE), troponin I(TNI),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BUN). Other parameters such as volumes of urine output, pulmonary index(PI, PaO_(2)/FiO_(2)),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 intensive care unit(ICU)-staying peri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fever,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 hrs and total volumes in blood loss, and hospitalized days were also assessed. Al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BC counts. monocyte fraction, platelet counts. TA, NSE, creatinlne, BUN. the volumes of total urine output, PI, the incidences of fever and wound problem, postoperative 24 hrs and total blood loss, and ICU-staying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t CPB-off, neutrophil fraction(70.49±8.03% vs 63.13±7.43%, p=0.013), MPO(21.62±7.36 ng/mL vs 15.99±5.83 ng/mL. p=0.03), TNI(32.14±18.87 ng/mL vs 19.45±16.32 ng/mL. p=0.045). and AST(51.07±76.78 U/L vs 23.60±5.15 U/L. f=0.045) were higher in the high-dose 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IL-6(7.41±6.28 pg/mL vs 2.40±2.35 pg/mL, p =0.04) and ALP(15.80±8.13 U/L vs 10.47±3.94 U/L, f=0.04) at CPB-10 were higher in the high dose-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The high-dose group had significantly low lymphocyte fraction at CPB-off compared with the low -dose group(24.96±8.82% vs 33.24±7.86%. p=0.005). Furthermore,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s(21 40±14.84 hrs vs 13.51±3.83 hrs, p =0.03) and hospitalized days(12.73±4.70 days vs 11.20±6.20 days, p=0.04) of the high-do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low-dose group.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etreatment of high-dose steroid was not superior to that of low-dose sterold regarding its potential benefits in pediatric cardiac surgery. In some variables. low-dose steroid was superior to high-dose steroid.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atery of steroid treatment, high-dose pretreatment may be modified in the cardiac surgery with CPB.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large number of cases should be done to validate this hypothesis.

      •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이 심장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류영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심장질환은 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환자로 하여금 신체,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게 하고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환자는 여러 가지 치료를 받게 되고 그중에는 진단에 따라 심장수술을 받게 된다. 그러나 수술은 많은 위험이 따를 뿐 아니라 합병증 예방과 재활을 위해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이 심장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에 관한 지식정도과 자기효능감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수술 후 심장수술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에 기여코자 수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이며,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병원 흉부외과에 입원하여 심장수술 받을 환자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8월 1일부터 2005년 1월 31일까지로 대조군은 2004년 8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이고 실험군은 2004년 10월 26일부터 2005년 1월 27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심장수술 전날 흉부외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직접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실험처치는 심장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으로 본 연구자가 문헌을 토대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인한 유인물과 지침서를 이용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난 후 실험군에게만 40 분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이영신(2003)의 자가간호 지식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25 문항, 송경자(2001)의 자기효능감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20 문항을 도구로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x^(2)-test, t-test 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은 독립 표본의 평균 차이를 이용한 t-test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후 자가간호 지식정도가 증가 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7.937, p=.000). 2) 제2가설 :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술후 자기효능감정도가 증가 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1.538, p=.066). 3) 추가 가설 : "심장수술환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499, p=.01). 이상의 결과에서 수술 전 간호정보제공은 수술 후 심장수술 환자의 자가간호 지식정도를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시켰지만 자기효능감정도는 유의한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평균점수는 증가되었으므로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자가간호 증진에 그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연구와 비교 검토한 결과 자기효능감정도을 높이는데 간호정보제공 적용 횟수를 늘리고 수술 후나 퇴원 후에 자가간호를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후관리를 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Heart diseases are chronic ones that put much physical-mental distress and decrease quality of life on patients. Open heart surgery which is one of the methods curing such a heart problems has many risk factors; post operative complications, rehabilitations and so on. So it's very important intervention that nursing information 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regarding to self-nursing care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preoperatively.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synchronized pretest and post-test to develop and to assess of nursing information regarding self-nursing care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heart surgery patients pre-operatively for the heart disease patients from period of August 1st, 2004 to 31st, January, 2005.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the 40 patients of U University Hospital in U city, 20 in the controlled group and another 20 is experimental one. The inquiry used for the research was modified for patients from previous ones. Self nursing care knowledge was measured by Yung-Sin, Lee(2003) which consists of 25 questionnaires on the knowledge. Self-efficacy was measured developed by Kyung-ja, Song(2001) of 20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tion and analyzed by the measur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has been processed with SPSS/WIN 12.0 program by real numbers, percentage, X^(2)-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Ⅰ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preoperative nursing inform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on post-operative than the control group's' was supported(t=7.937 p=.000). 2. The hypothesis Ⅱ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preoperative nursing inform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on post-operative than control group's was not supported statistically(t=-1.538, p=.132). 3. The additional hypothesis 'The higher self-nursing care knowledge of open heart surgery patients, The higher self-efficacy of patients'was supported(r=.499, p=.01).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showed that the nursing information on self-nursing knowledge and self-efficacy about heart surgery pre-operatively that effect to heart surgery patients. Therefore well-organized and diverse nursing information program on the above issue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they should be constantly provided for the patients so on.

      •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 비교

        김경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심장질환은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환자로 하여금 많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경험하게 하는데, 그 유병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심장질환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심장수술은 많은 위험요인이 따른다. 그러므로 합병증 발생 예방 및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육이 효과적이려면 환자의 간호요구와 간호사의 교육목표가 일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환자의 교육요구와 간호사의 교육목표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하는 중요도를 비교함으로써 심장수술 환자의 요구에 맞으면서 효과적인 간호가 되도록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설계는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 및 대상은 1999년 8월 6일부터 8월 31일 사이에 경남 소재 M시의 1개 종합병원과 P광역시 소재 2개 대학병원의 흉부외과 외래에서 심장수술후 추후검진을 위해 방문한 환자 127명과, 같은 기간동안에 같은 병원에서 심장수술환자를 간호하는 병동 및 중환자실 간호사 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CPLNI(Cardiac Patient Learning Needs Inventory)등을 이용한 12개 선행연구와 문헌 그리고 1개 종합병원 심혈관센터의 심장수술 후 건강정보지 등을 기초로 하여 내용 타당도 검정과 신뢰도 검정 및 요인분석 등을 거쳐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4점 평점척도의 42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이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 .9555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 ANOVA, Scheffe 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총 평균평점 4점에 대해 간호사가 3.47(± .40), 환자가 3.25(±.44)로 간호사의 지각한 중요도가 환자의 지각한 중요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001). 2.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영역별로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7개 영역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p< .01), p< .001), 그중 '해부생리' 영역에서만 유일하게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 (3.61± .71)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3.39± .68)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5), 나머지 영역에서는 모두 간호사가 높았다. 3.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문항별 환자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총 42개의 문항 중 32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p< .01), p< .001), '심장의 모양과 하는 일에 대한 설명' 문항만이 유일하게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3.61± .71)가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3.39± .68)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 .05), 나머지 문항은 모두 간호사가 지각한 중요도가 환자가 지각한 중요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영역별 중요도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환자는 '해부생리'(3.61± .71) 영역이었고, 간호사는 '질환의 일반적 정보'(3.73± .32) 영역이었다. 5.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 문항별 중요도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은 환자는 '발생가능한 합병증 및 예방에 관한 설명' (3.70± .51) 문항이었고, 간호사는 '즉각 도움을 구해야 할 합병증에 대한 설명'(3.90± .34) 문항이었다. 6. 환자의 제 특성에 따른 심장수술 후 간호교육 내용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의 차이에서는 수술 후 경과기간별 '기타정보' 영역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 .05), Scheffe test를 해 본 결과 수술 후 6개월 미만군이 2년 이상 4년 미만군 보다 '기타정보' 영역에 대한 지각한 중요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간호실무에서 심장수술 환자들에게 심장수술 후 간호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때에 환자의 요구 및 간호의 중요도에 비해 환자가 모르고 있는 사항을 고려하여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환자들이 수술 후 첫 6개월 이내일 때에 중요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을 고려하여 이 시기에 더욱 강도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eart disease are chronic ones which put many physical and mental distress on patients and increase the prevalence. Cardiac Surgery which is one of the methods curing such disease have many risk factors. After the surgery, therefore, an effective education for ensuring prevention of any complication and rehabilitation are very important. To perform the education effective correspondence between nursing requirements by patients and purposes of educating nurses.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uch correspondence had not been realiz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nursing educati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The study was designed in the form of comparison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ug. 6. to 31, 1999. The subjects were 127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chest surgery to receive medical examination after taking heart operations and 82 nurses who taking care of cardiac surgery patients in chest surgery ward and ICU and other ward at one general hospital in Masan city and two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city.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is questionnaire which based on 12 previous studies using CPLNI(Cardiac Patient Learning Needs Inventory) and related literatures and a published health information for after cardiac surgery patients from cardiac center in a general hospital. And a questionnaire containing 42 items whose evaluation is made using a scale ranging from one to four points, which was directl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es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found at Cronbach α = .9555. The data were anayl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ratio,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omparison of perceived importances of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between patients and nurses showed that nurses and patients were at 3.47(± .40) and 3.25(± .44) points in average, respectively, in the full mark of 4 points.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perceived by n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2. In the comparison of the importa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seven content aspects of nurs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l over the aspects(p< .05), p< .01, p< .001), except in the aspect of anatomy and physiology for which the importance perceived by patients(3.61 ± 71) were higher than that by nurses(3.39 ± .68). 3. Such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nurses in terms of 42 items as mentioned above indicated that 32 among the totaled 42 i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05), p< .01, p< .001). Except in the item titled as 'explanation of the shape and function of heart' for which patients(3.61± .71) were higher in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education than nurses(3.39± .68), the latter showed higher levels of such perception than the former in the remaining items(p< .05). 4. When the contents of nursing education after heart operation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priority in importances, patients perceived the content of 'anatomy and physiology' as most important(3.61 ± .71) while nurses, 'general information on heart disease'(3.73 ± .32). 5. When the 42 question items regarding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priority in importance, patients perceived the item titled as 'explanation of the shape and function of heart'(3.61± .71) while nurses, explanation of complications which need urgent treatment'(3.90 ± .34). 6. In comparison of perceived importances of the educational content aspects among pati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other information based on periods after cardiac surgery'(p<.05). Through Scheffe test, the aspect were found perceived as more important by patients whose period after heart operation is below six months than by those who are 2 to 4 years after cardic surgery.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as above, it seems desirable that nursing education after cardiac surgery should be provided with its focus on things patients are not aware of in relation to their requirements and the importance of nursing. In addition, such education should be intensely performed within the first six months after the surgery since patients perceive the education as more important within the same period than in any other periods.

      • 심장 판막 수술 후 수술부위감염의 역학적 특성과 위험요인 분석

        김선희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간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심장전문병원 흉부외과에서 심장 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부위감염의 발생군과 비발생군을 선정하여, 수술부위감염 과 관련한 위험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후향적 사례 -대조군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연구병원에서 20세 이상 판막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감염군 18건, 비감염군 704건 표본추출 하였다. 심장수술의 위험요인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환자요인과 수술 관련 요인으로 위험인자를 분류하였다. 환자요인으로 나이, 성별, 당뇨 진단 여부, 수술직후 혈당 수치, 체질량 지수, 수술 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시 배양 검사 결과, 수술 전 총 빌리루빈 수치, 수술 전 입원일수, 수술위험지수(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 [ASA Score]), 수술 동안 적혈구 총 투여량, 흡연여부를 포함하였다. 수술 관련 요인으로 수술시간, 해당 수술의 75 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기 준 수술시간 초과 여부, 응급수술, 재수술, 내시경 수술, 동시수술, 체외 순환기 사용여부, 체외순환기 사용시간, 수술 후 중환자실 재원일수, NNIS risk(미국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에서 제시 한 수술 위험 지수), 최소 절개술 여부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판막 수술 후 수술부위감염 발생률은 1.34% 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시간(p=0.002, OR=1.005, 95% CI=1.002 ∼ 1.008), 체외순환기 사용시간(p=0.01, OR=1.01, 95% CI=1.002 ∼ 1.011), 중환자실 재원일수(p=0.02, OR=1.05, 95% CI=1.007 ∼ 1.092)가 수술부위감염 위험에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심장 판막 수술 후 수술부위감염 감소를 위하여 수술시간의 연장과 체외순환기 사용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련 의료진의 유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환자실 재원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주기적인 퇴실 평가와 환자 상태 악화 등의 사유로 중환 자실 재원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의료진의 손위생과 환경 관리 등의 표준주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다각적 감염 예방 활동을 통해 심장수술 후 수술부위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심장수술환자의 기계환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류정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내에서 심장 수술이 실시된 1959년이래 심장수술환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여 1990년대에는 년간 약 6000명의 환자들이 심장 수술을 받고 있다(김 하늘루 외, 1998). 심장 수술은 다른 수술이 갖는 위험 외에도 심폐바이패스, 기계환기 등의 기기 사용으로 인해 수술 후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이 높다(김하늘루 외,1998, 김광덕 외, 1980). 심장수술 환자에게는 심폐바이패스 사용, 흉곽절개, 전신마취로 인한 호흡기계합병증 및 심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술 후 단기간 기계환기를 적용하게 된다(Matthay et al., 1989). 심장수술환자의 기계환기적용시간은 심실기능이 회복되는 수술 후 8-24시간으로, 기계환기를 조기에 중단하면 심근의 대사 및 혈류학적 불안정, 산염기 불균형, 저산소증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기계환기가 지연이 되는 경우 기관과 성대, 연하기전에 손상을 주게되며, 합병증 발생으로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및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호사가 기계환기조절 및 관리와 그에 따른 간호를 수행할 때 환기 조절 단계에 따른 정확한 사정과 그에 따른 간호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심장수술환자를 대상으로 기계환기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표준화된 간호를 실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기계환기시 점별 생리적 변수의 변화를 확인하며 기계환기중단에 따른 생리적 변수의 차이를 파악하고, 기계환기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98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E 병원에서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를 사용한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도구표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및 기계환기시점별 변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기계환기시점별 생리적 변수는 실수,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기계환기시점별 생리적 변수의 변화 및 기계환기 중단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생리적 변수의 차이는 t-test, x^2-test, ANOVA,반복측정의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기계환기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다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59.18세였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20명(51.3%) 이었다. 진단명은 관상동맥협착질환이 23명(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동반 질병은 고혈압 등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이 19명(48.7%), 당뇨 6명(15.4%), 뇌혈관질환 5명(12.8%)이었다. 수술 명은 관상동맥우회술이 22명(56.4%)이었다. 대상자들의 심장수술 전 상태로 수술 전 폐기능 검사에서 이상을 나타낸 경우는 3명(7.7%)이었으며, 심전도가 비정상인 경우는 23명(59.0%), 좌심실분출비율은 평균 52.11%이었다. 심장 수술 시 심폐바이패스 시간은 평균 132.87분으로 나타났으며, 수술 후 의식회복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137.08분, 대상자들의 평균 기계환기시간은20.27시간이었다. 2. 기계환기 시점별 생리적 변수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기계환기 시점별로 비정상소견을 나타낸 변수들을 보면 수술 직후에는 동맥혈 pH(17명, 43.5%) 평균 7.517, 동맥혈 이산화탄소(29명, 74.3%) 평균 29.4mmHg, 헤모글로빈(25명, 64.1%) 평균 10.6mg/㎗, 헤마토크릿(30명,76.9%)은 31.9%, 칼슘(38명, 97.4%) 평균 3.8mg/㎗, 혈당(26명, 66.7%) 177.9mg/㎗ 등으로 나타났고, weaning 시도 후에 비정상을 나타낸 변수들은 동맥혈 pH(16명, 41.0%) 평균 7.505,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20명, 51.3%) 평균 29.6mmHg 이었다. 기계환기중단직전에 비정상을 나타낸 변수들은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14명, 35.9%) 30.8mmHg, 헤마토크릿(19명, 48.7%)33.0%, 칼슘(20명, 51.2%) 평균 4.2mg/㎗, 혈당(19명, 48.7%), 평균 195.7mg/㎗등으로 나타났다. 기계환기시점이 진행되면서 정상범위로 회복된 것은 체온, 혈압, 맥박, 호흡, 동맥혈 pH 및 이산화탄소분압, HCO_3^-, 헤모그로빈, 헤마토크릿 이었다. 정상범위보다 증가한 것은 혈당이었고, 칼슘은 증가하였으나 정상범위 이하였다. 3. 연구대상자들 중 수술 직후 18시간 내에 기계환기가 중단된 환자를 A 집단으로, 기계환기시간이 18시간이상이거나 기계환기를 재 적용한 경우를 B집단으로 분류하여 이들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였다. 1) 기계환기시점별로 A 집단과 B 집단에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다음과 같다. 수술 직후 A 집단과 B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동맥혈 산소분압/흡입산소분압 비율(t=2.339, p=0.025), 혈당(t=-3.456, p=0.002), 크레아티닌(t=-2.467, p=0.019)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eaning 시도 후에는 중심정맥압(t=-3.113, p=0.004), 동맥혈 pH(t=-2.200,p=0.037),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t=2.532, p=0.018), 산소포화도(t=2.486,p=0.019), 헤모그로빈(p=t=-2.323, p=0.036), 헤마토크릿(t=-2.708, p=0.018)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환기중단직전에는 일호흡량(t= 6.160, p=0.000), 일호흡량/체중(t=4.913, p=0.000), 동맥혈 산소분압(t=3.019, p=0.005), 동맥혈 HCO_3^-(t=-2.430, p=0.020), 동맥혈 산소포화도(t=2.039, p=0.049)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A 집단과 B 집단에서 차이를 나타낸 일반적 변수로는 연령(t=-3.307,p=0.002), 의식회복에 소요된 시간(t=-2.542, p=0.020), 기계환기시간(t=-3.790, p=0.001), 중환자실 재원일수(t=-2.999, p=0.008), 이완기혈압(t=2.633, p=0.012), 알부민(t=2.095, p=0.044)으로 나타났다. 4. 기계환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기계환기중단직전 일호흡량이 기계환기시간에 대하여 70.3%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0.720, p=0.000), 기계환기 중단직전 산소포화도가 추가되었을 때 설명력이 80.6%(36.393, p=0.000), 연령이 추가되었을 때84.5%로 설명력이 증가되었고(F=31.397, p=0.000), 심폐바이패스 시간이 추가되었을 때 88.6%가 되었다(F=33.902, p=0.000). 그러므로, 기계환기 중단직전 일호흡량과 산소포화도를 정확히 사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령이 높고 심폐바이패스 시간이 긴 환자에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심장수술 후 기계환기관리는 환기조절 단계에 따라 호흡역학적, 혈류역학적 변수를 달리 사정해야 할 것이다. 환기조절 조절단계에 따른 간호사정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의 종류에 따른 critical pathway 연구를 통한 기계환기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2.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지를 통한 조사와 타병원의 조사협조 제한으로 대상자수와 조사내용이 제한되었으므로 대상환자수를 확대하고 관찰 방법을 병행하여 조사자료의 민감도와 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3. 대상자수를 확대하여 기계환기 사용환자의 적응과 부적응에 대한 판별분석을 실시해 볼 것을 제안한다. I Studied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mechanical ventilation time in open heart surgery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physiological variables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mechanical ventilation time on 3 time points during full-supoort mechanical ventilati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during lhour after a trial of spontaneous ventilation, and before extubation. I mad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doctors and nurses' advice.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chi-square, ANOVA, repeated meaur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 program. Major finding was follows 1. The age of the subjects was mean 59.18, men were 20 subjects (51.3%). The most frequent disease was 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23 subjects, 59%) and the most frequent operation was coronary artery bypass graft(22 subjects, 56.4%).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132.87 minutes, time to awakening was 137.08 minutes, time to extubation was 20.27 hours. 2. The abnormal physiological variables on 3 time points were as follow: During full-supoort mechanical ventilati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bnormal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aterial pH(17 subjects, 43.5%) mean 7.513, PaC0₂(29 subjects, 74.3%) 29.4mmHg, hemoglobin(25 subjects, 64.1%) 10.6mg/dl, hematocrit (30 subjects, 76.9%) 31.9%, calcium (38subjects, 97.4%) 3.8mg/dl. During 1hour after a trial of spontaneous ventilation, abnormal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aterial pH(16 subjects, 41.0%) 7.505, PaC0₂(20subjects, 51.3%) 29.6mmHg. Before extubation, abnormal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PaCOa(14 subjects, 35.9%) 30.8mmHg, hematocrit(19 subjects, 48.7%) 33.0%, sodium (20subjects, 51.2%) 137.7mEq/L, calcium (20 subjects, 51.2%) 4.2mg/dl, glucose (19subjects, 48.7%) 195.7mg/dl. 3. According to mechanical ventilation time, the subjects were divided to 2 groups. The subjects extubated within 18 hours were Group A(success group), the subjects extubated over 18hours or need reintubation within 48hours after extubation were Group B(failure group). 1) Significantly differnt variables in two groups on 3 times points were as follow: During full-supoort mechanical ventilati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PaO₂/FIO₂ratio (t=2.339, p=0.025), glucose(t=-3.456, p=0.002), creatinine(t=-2.467, p=0.019)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During 1hour after a trial of spontaneous ventilation, CVP(t=-3.113, p=0.004), arterial pH(t=-2.200, p=0.037), PaCO₂(t=2.532, p=0.018), 02sat(t=2.486, p=0.019), hemoglobin(p=t=-2.323, p=0.036), hematocrit(t=-2.708, p=0.018)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efore extubation, tidal volume(t= 6.160, p=0.000), tidal volume/kg(t=4.913, p=0.000), PaO₂(t=3.019, p=0.005), arterial HCO₃^- (t=-2.430, p=0.020), O₂saturation(t=2.039, p=0.049)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2) Age(t=-3.307, p=0.002), time to awakening (t=-2.542, p=0.020), mechanical ventilation time(t=-3.790, p=0.001), preop albumine(t=2.095, p=0.044) were also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4. Variables influencing on mechanical ventilation time were as follow: Tidal volume before extubation explains mechanical ventilation time 70.3% (F=0.720, p=0.000), on adding O₂saturation before extubation, 80.6%(36.393, p=0.000), on adding age, 84.5%(F=31.397, p=0.000), on adding cardiopulmonary bypass time, 88.6%(F=33.902, p=0.000). In conclusion, this study were preliminary study to provide nurisng practive guidelines for caring open heart surgery patients on mechanical ventilaton. Nurses working with open heart surgery patients should assess carefully different significant variables according to 3 time points, such as tidal volume before extubation, O₂saturation, and pay more attention to eldery patients and patients having longer cardiopulmonary bypass time.

      • 심장수술시 저체온 체외순환과 정상체온 체외순환의 전신효과에 관한 연구

        조용길 인제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목적 : 심장 수술시 정상체온 체외순환기법이 전통적인 저체온 체외순환기법 보다 생리학적으로 더 유리하다는 연구 보고가 많이 제시됨에 따라 많은 심장수술 센터에서 온심정지 기법을 이용한 정상체온 체외순환기법을 점차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정상 체온 체외순환기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임상적 유용성에 관해 아직 완전히 규명 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잇는 상태이다. 또한 냉각심장보호기법은 이용한 정상체온 체외순환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저자는 냉각심정지액을 이용한 심장수술시 저체온 체외순환과 정상체온 체외 순환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냉각심정지 이용 정상체온 체외순환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심장수술이 계획된 36명의 성인 환자들을 연구목적에따라 무작위로 중등도 저체온 체외순환군(이하 그룹 Ⅰ, 비인두 온도 26-28℃, n=18)과 정상체온 체외순환군(이하 그룹 Ⅱ, 비인두 온도 >35.5℃, n=18)으로 나누었다. 심근보호는 양 군 모두 비혈액성 냉각심정지법(4℃)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전체 환자들로부터 체외순환 전(Pre-CPB), 체외순환 중(CPB-10), 체외순환 후(CPB-off)의 시기에 각각 혈액을 채취하여 총백혈구 수 neuron-specific enolase 증가율(NSE, 뇌 표지자), interleukin-6 증가율 (IL-6,염증 표지자), endothelin-1(ET-1, 혈관 표지자), cortisol 증가율(스트레스 표지자), troponin Ⅰ(TNI, 심장 표지자),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snine aminotransferase(ALT, 생화학 표지자), creatinine 및 blood urea nitrogen(BUN, 신장 표지자)을 측정하였다. 그 회 수술 중 소변 배출량, 수술 후 페지수(PaO_(2)/FiO_(2)), 기계호흡 보조시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합병증, 재원일수 등을 조사하여 양 군 간에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 그룹 Ⅱ가 그룹 Ⅰ에 비해 CPB-10과 CPB-off 총백혈구 수(4,298±46/㎣ vs 2,278±35/㎣, p=0.0045; 9,913±73/㎣ vs 7,512±47/㎣, p=0.01), NSE 증가율(179.14±5.72% vs 109.76±3.60%,p=0.02; 248.47±5.16% vs 176.27±4.50%, p=0.01),IL-6 증가율(189.23±3.05% vs 129.43±2.92%, p-0.03; 347.69±7.46% vs 296.64±5.73%, p=0.03), cortisol 증가율(88.26±2.81% vs 39.25±2.07%, p=0.02; 176.95±3.62% vs 70±3.14%, p=0.001)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수술 중 소변 배출량(278.40±13.23mL/hr vs 363.40±9096mL/hr, p=0.04)운 도 낮았다. 또한 기계 호흡 보조 시간(25.70±5.9 hrs vs 13.87±2.62 hrs, p=0.04), 중환자실 치료기간(152.80±13.31 hrs vs 74.07±4.68 hrs, p=0.03), 재원일수(25.810±3.26 days vs 21.13±2.66 days, p=0.03)역시 그룹 Ⅱ가 그룹 Ⅰ 보다 유의하게 더 길었다. 그러나 혈관 표지자 심장 표지자, 생화학 및 신장 표지자, 페지수, 수술 후 합병증 등과 같은 나머지 변수들은 그룹 간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바 냉각심정지액을 이용한 심장수술시 정상체온 체외순환이 저체온 체외순환 보다 더 높은 염증성 반응 및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켰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normothermic cardiopulmonary bypass(CPB) provided physiologically beneficial effec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ypothermic CPB in cardiac surgery. Although many cardiac centers have preferred to use normothermic CPB with warm cardioplegia, the physiological and clinical usefulness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and there is no report about the effects of normothermic CPB with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on the human body. Therefore, we carried out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clinical acceptability of normothermic CPB with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hypothermic CPB and normothermic CPB with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on the human body. Methods: Thirty-six adult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ardiac surgery were randomized to either the hypothermic CPB group(group Ⅰ, nasopharyngeal temperature 26-28℃, n=18) or the normothermic CPB(group Ⅱ, nasopharyngeal temperature >35.5℃, n=18). In both groups, cold(4℃) crystalloid cardioplegia was applied for myocardial protection. Arterial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CPB(Pre-CPB), 10 minutes after the start of CPB(CPB-10), and immediately after CPB(CPB-off) for determining total leukocyte counts, neuron-specific enolase(NSE, brain marker), interleukin-6(IL-6, inflammatory marker), endothelin-1 (ET-1, vascular marker), cortisol(stress marker), troponin Ⅰ(TNI, cardiac marker),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biochemical markers),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BUN, renal markers), and the pulmonary index(PI, PaO_(2)/FiO_(2)). Other parameters such as urine output, mechanical ventilating period, ICU-staying peri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hospitalized days were also evaluated. Al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otal leukocyte counts(4,298±46/㎣ vs 2,278±35/㎣, p=0.0045; 9,913±73/㎣ vs 7,512±47/㎣, p=0.02), increased rate in NSE(179.14±5.72% vs 109.76±3.60%, p=0.02; 248.47±5.16% vs 176.27±4.50%, p=0.01), in IL-6(189.23±3.05% vs 129.43±2.92%, p=0.03; 347.69±7.46% vs 296.64±5.73%, p=0.03) and in cortisol(88.26±2.81% vs 39.25±2.07%, p=0.02; 176.95±3.62% vs 70±0.74%, p=0.001) at CPB-10 and CPB-of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Ⅱ than in group Ⅰ. Urine output(363.40±9.96 vs 278.40±13.26mL/hr, p=0.04) during CPB was lower in group Ⅱ than in group Ⅰ.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25.70±5.9 hrs vs 13.87±2.62 hrs, p=0.02), ICU-stay(152.80±13.31 hrs vs 74.07±4.68 hrs, p=0.02), and hospitalization(25.80±3.26 days vs 21.13±2.66 days, p=0.03) were longer in group Ⅱ than in group Ⅰ.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parameters such as the vascular, cardiac, biochemical and renal marker, the pulmonary index,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s: Fro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normothermic CPB caused higher inflammatory and stress responses than hypothermic CPB during cardiac surgery using cold crystalloid cardioplegia.

      •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김민송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질병 및 치료 관련 특성, 간호 관련 특성을 포함하여 섬망 발생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 Y대학 병원의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대상자 195명 중 섬망 발생은 67명 이었고, 섬망 발생 장소는 중환자실에서 53.7%, 일반병동에서 46.3%였다. 섬망 발생 위험 요인은 수술 후 염증반응(OR=10.18, p=.002), 수술 후 지속성 신대체요법(CRRT)(OR=9.05, p=.006), 수술 후 수면장애(OR=8.98, p<.001), 연령(OR=6.23, p=.006), 중환자실 재실기간(OR=3.83, p=.031), 뇌졸중의 과거력(OR=3.71, p=.033), 수술 후 도관 보유 개수(OR=1.53, p=.065), 질병의 중증도(APACHE Ⅱ score)(OR=1.12, p=.006), 수술 시간(OR=1.01, p=.04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심장수술 후 섬망 발생은 중환자실뿐만 아니라,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장수술 후 중환자실 관련 요인이 일반 병동에서의 섬망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중환자실 관련 요인을 일반병동 이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adult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and its risk factor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disease and treatment-related and nursing-related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performed on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ardiac surgery in Y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and a total of 195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s by SPSS/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67 of 195 adult cardiac surgery patients occurred postoperative delirium and it occurred 53.7%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46.3% in the general ward.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were postoperative symptoms of inflammatory (OR=10.18, p=.002), CRRT application after surgery(OR=9.05, p=.006), postoperative sleep disorder(OR=8.98, p<.001), age(OR=6.23, p=.006),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OR=3.83, p=.031), past history of stroke(OR=3.71, p=.033), the number of postoperative catheter retention(OR=1.53, p=.065), APACHE Ⅱ score(OR=1.12, p=.006), and time of operation(OR=1.01, p=.042).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fter cardiac surgery, patients were occurred with postoperative delirium during their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after their transfer to a general ward. considering that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cardiac surgery affect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the general war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intensive care unit-related factors after patient transfer to a general ward.

      •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일수와 관련 변수에 대한 연구

        유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7

        병원경영환경은 총체적 경쟁시대에 따라 급변하고 있으며 병원경영의 새로운 파라다임에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 병원이미지 제고와 같은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병원경영전략의 변화의 평가요소로 입원환자의 재원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입원환자의 재원일수를 단축시키는 것은 병상회전률을 높임으로 많은 사람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의료수익의 증대에 의하여 경영수지의 개선을 꾀하고 환자와 가족의 부담이나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현대 한국인의 질병양상도 많이 변하여 고혈압과 관련된 심맥관계질환이 상승하는 추세에 있으며 따라서 이와 관련된 심장수술건수도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심장수술후 환자가 머무는 중환자실은 고가의 집중적인 처치료와 간호수가로 인해 환자와 가족은 물론 의료인이 부담을 느끼며 가능한 한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줄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고 재원일수 단축에 관련된 적절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자료는 A 대학병원에서 심장수술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1998년 7월1일부터 8월31일까지의 기간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였고 가족의 지지 및 의료인의 지지도 측정도구는 김옥수의 지지도 측정도구를 수정보완 하였으며 환자교육 측정도구는 Baum과 전명희의 간호중재계획안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가족의 지지도 및 의료인의 지지도와 환자교육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제변수와 재원일수와의 관계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성별 그리고 흡연여부와 중환자실 재원일수와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2) 연구대상자의 질병관련특성 중 진단명, 수술명, 수술의 긴박성, 타질환동반여부, 합병증 종류와 중환자실 재원일수와의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5) 심장수술 기왕력(재수술)여부, NYHA functional class, 좌심실기능, 합병증여부, 심폐기 사용시간과의 관계는 유의하였다(P<.05). 3) 간호중재에 있어서 가족의 지지도, 의료인의 지지도, 환자교육정도와 재원일수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심장수술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일수와 질병관련 특성간의 관계는 유의하였으나 가족의 지지, 의료인의 지지, 환자교육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가 없는 중환자실의 특성상 의료인의 지지와 환자교육이 재원일수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이를 지지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면 먼저 환자교육은 심장수술후 환자에 대한 구조화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는가 사료된다. 이에 앞으로 간호사는 환자의 회복을 돕고 수행능력을 향상시킴으로 재원일수를 단축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안으로써 문서화되고 도구화된 환자교육안을 개발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할 것이다. Hospital length of stay(LOS)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cost of care. Shortening hospitalization duration of the patients provide timely medical care services to more people and reduce financial burden of the patien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 following open heart surgery and related facto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9 patients receiving open heart surgery at 'A' Hospital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medical records and questionares from 1 July to 31 August in 1998.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Kim(1993) and 'A program for teaching cardiac surgery patients' education flow shee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Jeon(1985) and Baum(1976). These were modified related to open heart surger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length of stay in ICU was 5.6 days. 2) Demographic variables (eg., age, sex, smoking) were not correlated to LOS. 3) Disease-related variables which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S were reoperation, NYHA functional class, left ventricular func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4) The relationship among LOS, social support and patient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As a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LOS-reducing patient education program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