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난’담론의 형성과 자기 확대재생산 구조에 대한 연구 : 인터넷 사이버공간의 청소년 ‘가난’담론을 중심으로

        조성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257

        This research analyze `poor' discourse of the young people who become accomplished from the Internet space with currently from the social inside which we are living `poor' discussions in what kind of method to come to be reproduced, the defendant person who will live meaning which is immanent in that inside and the role it does. Therefore it used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rom this research. The reason this discussion as the social composition water the composition act which subject is spontaneous and passive setup reflection becomes accomplished from the whole in order to start with structure it is suitable in goal of this research which means all base is because being thought that from under dialectic interaction. Meantime from research space `poor' discussions individual discussion of two kind, comfort receiving the pain of the poverty which is not ear book reason of namely oneself, it wants and `where poor' confession and comfort and poverty overcome in goal `poverty' with the discussion calming down are composed. And four appears with one text which is completed. Therefore the process of analysis comes to divide at three phases. The result of analysis with afterwords is same. `Poor' confessions of the young people ostensibly the material like the pain which destitutely it receives it is visible but essentially it meat the crack of the relationship which besieges oneself who lives is ordinary with mediation. Therefore their `poor' confessions from dissolution etc. of destruction and relationship of relationship from the within estranging and the group from the group where oneself is related maintain the self-conceit core in the value which oneself selects and exalts. the problem occurred is a possibility even as signal of seeing, it makes `Poverty' calming down meantime, the negation of `poverty which already exist' and tragic symbol govern a whole process. Like this namely the symbol of poverty the self-illumination theory which presents it overcome method and it restricts the autonomy of discussion from the nepotism which supports it, and psychological control method. Oneself who comes to be used specially generally from `poor' discussion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technique of the people who is inferior and with the confessor the reply person all it restricts the meaning reconstitution of `poverty', with the confessor the reply person all it will be able to fall in the comparative object which is inferior possibility with confirmation Sikkim this in order to do to make a fear have it is. The process where `the poverty' is like this finally it leads and it reproduces it makes the circulation of discussion govern finally and the negative symbol of oneself. Meantime with `poor' confessions calming down, to be connected, it supplements each other from position of the observer and it comes it is completed with one text. It influences each other and it evolves and are completed in `poor' discussions which it exists. Therefore, `poor' discussions which are completed with one text do not participate with confession to calming down the young people, not to be, oneself, objective schedule `about poorly' in order to have the act form which is fixed * an accident form * a sentimental form. ' The social ceremony leads like this process about `poorly and it creates. Conclusively to social gathering conscious inside `the malicious symbol which' is poor is immanent, the fear governs the inside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members in about it. Therefore the social members stand and in order to be free from like this symbol to endeavor they become. They in order to evade the fear of oneself stand with exclusion make discriminate in about the subject which possesses a malicious symbolic characteristic. The subjects which possess meantime like this symbolic characteristic are inferior, as the existence which is heterogeneous the hitter it makes oneself and social unequal structure naturally oneself, it makes accept. Researcher led this research finally and to self-expansive reproduction process of `poor' discussions it stood `the thing to have the materiality where the poverty' is strong, it watches the whole it discovered with malicious symbol. About but like this `poorly' the epistemology prejudice more appears the result which is serious from actuality. Namely `issue' it comes `poorly' with `lines' `evils' gives the moral value which is both extremes and is with `profits' with problem of `damages' to reduce all problems of life it destroys the relationship individual selfishness. And it eats well, it is a moral line whose it is only to live well, like this society the above the human being must arrive becomes conclusion with the assertion which is a society. 이 연구는 인터넷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가난’담론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 ‘가난’담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재생산되어지며,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그 역할을 살피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론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이것이 사회적 구성물로서의 담론은 주체의 능동적인 구성행위와 수동적 체제반영이 변증법적 상호작용 하에서 이루어진다는 전체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구조와 의미를 모두 다루어야 하는 이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연구 공간에서 ‘가난’담론은 두 가지의 개별담론, 즉 자신의 귀책사유 없는 가난의 고통을 위로받기를 원하는 ‘가난’고백과 위로와 가난 극복을 목적으로 ‘가난’달래기 담론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둘은 완성된 하나의 텍스트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분석의 과정은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가난’고백은 표면적으로는 물질적 궁핍으로 받는 고통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 그것은 일상적인 생활을 매개로 하는 자신을 둘러싼 관계의 균열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가난’고백은 자신이 관계하는 집단에서의 소외, 집단 내에서의 관계의 파괴, 관계의 해체 등으로부터 자신이 선택한 가치에 자긍심을 유지하고 고양시키는 데에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신호라고도 볼 수 있다. 한편 ‘가난’달래기는 이미 존재하는 ‘가난’의 부정적, 비극적 상징이 전체 과정을 지배한다. 즉 이와 같은 가난의 상징은 그것의 극복 방법을 제시하는 자조론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족주의, 그리고 심리적 통제 방식에서 담론의 자율성을 제한한다. 특히 ‘가난’담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자신보다 더 열등한 사람들과의 비교 기술은 고백자와 답변자 모두에게 ‘가난’의 의미 재구성을 제한하는데, 이는 고백자와 답변자 모두에게 열등한 비교대상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시킴으로써 공포를 가지게 하기 때문이다. 결국 ‘가난’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상징을 재생산하고 결국 담론의 순환을 지배하게 된다. 한편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가난’고백과 달래기는 서로를 보충하고 연결되어져 하나의 텍스트로 완성된다. 그것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진화되어 완성된 ‘가난’담론으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텍스트로 완성된 ‘가난’담론은 청소년들을 고백과 달래기에 참여하지 않고도 스스로를 대상화시켜 ‘가난’에 대해 일정한 행위양식·사고양식·감정양식을 가지도록 한다. ‘가난’에 대한 사회적 의식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집합의식 속에는 ‘가난’이라는 악의 상징이 내재하고, 그것에 대한 공포는 사회구성원들의 내면성을 지배한다. 그러므로 사회구성원들은 이러한 상징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 노력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공포를 회피하기 위해서 악의 상징성을 보유한 주체에 대한 배제와 차별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징성을 보유한 주체들은 열등한, 이질적인 존재로서 자신을 타자화시켜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스스로가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결국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가난’담론의 자기 확대 재생산과정에는 악의 상징으로서의 ‘가난’이 강한 물질성을 가지고 전체를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가난’에 대한 인식론적 편견은 더욱 심각한 결과를 나타난다. 즉 ‘부’와 ‘가난’에 ‘선’과 ‘악’이라는 양극단적인 도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삶의 모든 문제를 ‘이익’과 ‘손해’의 문제로 환원시키고 개인을 이기화시켜 관계를 파괴한다. 그리고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유일한 도덕적 선이며, 이러한 사회가 인간이 도달해야 할 이상사회라는 주장으로 귀결된다.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관여행동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검증

        황현지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00587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관여행동에 따른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미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집단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을 사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총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준거변인의 수준에 따라 ‘낙관적 준비’집단, ‘회피적 과잉준비’집단, ‘지연된 준비’집단, ‘낙천적 회피’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영향요인 검증을 위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지연된 준비’집단에 비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낮게 지각할수록 ‘낙관적 준비’집단과 ‘낙천적 회피’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연된 준비’집단에 비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회피적 과잉준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적 과잉준비’집단에 비해 심리적 통제를 낮게 지각할수록 나머지 세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한 다변량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낙관적 준비’집단과 ‘지연된 준비’집단은‘낙천적 회피’집단보다 문제해결 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적 과잉준비’집단이 ‘낙천적 회피’집단보다 문제해결 중심대처를 많이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의 경우 ‘낙천적 회피’집단이 가장 적게 사용하였으며, 해당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회피중심 대처의 경우 ‘회피적 과잉준비’집단이 ‘낙관적 준비’집단과 ‘지연된 준비’집단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천적 회피’집단이 ‘낙관적 준비’집단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개인차를 가진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상정하여 부모 요인이 대학생의 불확실성 지각과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별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하는 전략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진로상담 장면에서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 수준만을 고려하기보단 이들이 놓인 환경적 맥락과 내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차별화된 개입을 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latent group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ir Intolerance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their career engagement behavior. Additionally, we sough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latent groups. Furthermore,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groups exhibit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styles. A survey involving 257 participants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distinct groups, classified as 'Optimistic Preparation,' 'Avoidant Over-preparation,' 'Delayed Preparation,'and 'Optimistic Avoidance,' based on the levels of criterion variables. Subsequen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validating influencing factor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Average' group, perceiving low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Optimistic Preparation' and 'Optimistic Avoidance' groups. Conversely, perceiving hig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Avoidant Over-preparation' group compared to the 'Delayed Preparation' group. Additionally, compared to the 'Avoidant Over-preparation'group, perceiving lower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other three groups. Finally,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tests for intergroup difference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stress coping styles. Particularly, the 'Optimistic Preparation' and 'Delayed Preparation'groups were found to use more problem-solving coping in stress situations compared to the 'Optimistic Avoidance' group. Moreover, the 'Avoidant Over-preparation' group employed problem-solving coping more than the 'Optimistic Avoidance' group. In terms of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the 'Optimistic Avoidance' group used it the leas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three groups. Additionally, for avoidance coping, the 'Avoidant Over-preparation' group used it more than the 'Optimistic Preparation' and 'Delayed Preparation' groups, while the 'Optimistic Avoidance'group used it more than the 'Optimistic Preparation' group.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verse groups with varying levels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career engagement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also verifie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lays a role in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these groups, impacting students' perceptions of uncertainty and their preparation for the future. Lastly, the study highlighted distinct coping styles employed by different groups in stressful situations. Therefore, in career counseling scenarios, it is suggested to consider not only the level of career engagement behavior but also the contextual and internal factors, necessitating a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pproach.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매개효과

        백은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3516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을 매개로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소재 4개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 6학년 500명이었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352부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 학년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분노표출 및 억압과 정적상관, 분노조절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부적상관, 기본심리욕구 좌절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아동의 분노표출 및 억압과 부적상관을, 분노조절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아동의 분노표출 및 분노억압과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아동의 분노조절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단순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표출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좌절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억압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은 부분매개, 좌절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조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이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좌절을 통해 아동의 분노표출 및 분노억압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통해 아동의 분노조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욕구 만족과 좌절을 동시에 고려한 이중매개효과 분석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좌절을 통해 아동의 분노표출과 분노억압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통해서 아동의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분노표현방식(표출, 억압, 조절)에 있어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뿐 아니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의 만족 및 좌절이 중요한 요인이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분노표현방식의 관계에서 욕구 만족과 욕구좌절의 서로 다른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의 적절한 분노조절 기능을 돕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건강한 양육방식을 지원하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지지하고 좌절적인 환경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가정과 학교,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 체육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과 학생의 수업 흥미 및 무동기 간의 관계에서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성백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85951

        본 연구는 체육 수업에서 학생의 수업 흥미를 유발하고 무동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혼동하고 있는 개념인 자율성 지지와 방임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토대로 두 방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이 학생의 수업 흥미와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과 흥미 및 무동기 간의 관계에서 학생의 자율성 만족과 유능성 만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한 N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자율성 지지 동기부여 방식은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수업 흥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무동기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통제적 동기부여 방식과 방임은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수업 흥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이 수업 흥미와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율성 만족과 유능성 만족은 학생의 수업 흥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무동기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이 학생의 수업 흥미 및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혼동하고 있는 자율성 지지와 방임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자율성 지지의 경우 학생의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며, 이로 인해 학생의 무동기를 예방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방임의 경우 학생의 심리적 욕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학생의 무동기를 강화하고 학습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과 수업 흥미 및 무동기 간의 관계에서 학생의 심리적 욕구 만족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생의 수업 흥미를 유발하고 무동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학생의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과 환경을 설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