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에서 실제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가치에 관한 연구 : 중국 타오바오(淘宝) 1인방송을 중심으로

        Luo, HuiQin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 발전은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에 관련된 콘텐츠의 발전을 촉진시킨다. 최근 몇년간에 기업들이 많이 주목하고 있는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실시간 1인방송은 인터넷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제작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 하고 진행하는 형식을 말한다. 중국내 CNNIC 및 산업연구원의 데이터를 따르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인터넷 실시간 타오바오(淘宝) 1인 방송의 이용자규모는 0.6억명으로 증가 했고 4.52억명에 도달했다. 인터넷 실시간 타오바오(淘宝) 1인 방송업체규모는 47.2%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 콘텐츠의 발전은 대단한 상업적 기능과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볼수 있다.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 진행자 방송하는 콘텐츠는 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아아이템으로 사용되며, 소셜 미디어를 통한 실시간 교류는 진행자과의 친밀감이 극대화 하여 방송의 상품을 구매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이용자의 실제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연구를 시도했다. 본 논문은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 콘텐츠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인터넷 실시간 타오바오(淘宝) 1인 방송 발전현황을 설명하면서 중국 인터넷 실시간 1인 방송 사용자 의도와 행위에 관한 연구를 시도 하였다.다시 말하여 인터넷 실시간 타오바오(淘宝) 1인 방송에서 콘텐츠를 시청 하면서 사용자 의도와 실제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변수를 정리하였고, 그리고 가격민감성이 어떤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이용의도 및 추천의도는 어떤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본 논문의 연구변수를 도출하여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최근 6 개월동안 인터넷 실시간1인 방송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중국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 하였다. 우선, 설문을 하고나서 연구모형의 제시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AMOS 23.0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여 해당 가설에 대한 지지도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들은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주관적 규범(무의미효과)제외 하면 감성적 가치, 용이적 가치, 이성적 가치, 사회적 가치가 다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번째, 중국 소비자들은 추천의도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중 감성적 가치, 용이적 가치, 이성적 가치, 주관적 규범, 사회적 가치가 모두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실시간 1인방송에 대한 이용의도와 실제구매행위 사이에 가격민감성의 조절효과가 있고 추천의도와 실제구매행위 사이에서도 조절효과도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실시간 1인방송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경우에서 인터넷 타오바오(淘宝)1인 방송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따라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의미를 제공 할 수 있다.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인터넷 실시간 타오바오(淘宝) 1인 방송의 긍정적 측면을 최대화 하고 부정적 측면은 감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 연구자는 기대한다.

      • VR 및 페이셜 캡처 장비를 활용한 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 제작 보고서 : 쏘야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강민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상상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인형을 통해 어린 시절 많은 위안을 받았던 본 논문의 연구자는 조종을 통해 가상세계에서 살아 움직이는‘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의 특징에 대해 먼저 언급한 후, 3D 그래픽 프로그램, 모션캡처, 페이셜 캡처, 게임엔진을 통해 제작되는‘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의 총체적인 제작과정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그 후에는 ‘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쏘야지’로 제작한 ‘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 콘텐츠’두 가지(녹화, 생방송)의 작업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여 서술하였고, 더불어‘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 콘텐츠’의 특징에 대해서도 함께 언급했다. 본 논문의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더욱 많은‘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가 제작되길 기대하고 있으며, ‘실시간 가상 퍼펫 캐릭터 콘텐츠’ 또한, 하나의 영상 장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who was comforted as a child by dolls that moved alive in his imagination, created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content that moves alive in the virtual world through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a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were first mentioned in this paper, followed by a description of the overall production process of a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produced using 3D graphic programs, motion capture, facial capture, and game engines. Following that, a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was created. The work process and results of two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contents" produced by ‘Ssoyagi’ were summarized and described,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contents’.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anticipates that more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will be created as a result of this paper, and ‘real-time virtual puppet character contents’ will also hope to establish themselves as a video genre.

      • 대용량 이벤트 데이터 실시간 병렬처리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와 이를 이용한 하이테크 고급 센서 데이터 취득과 자동 가공 및 분석을 위한 연구

        임용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 내외에서의 업무 처리의 복잡성, 다양성, 역동성, 신속성이 높아지면서, 보다 많은 종류의 기업 데이터를 더 빠르고 대량으로 처리하고 또 IoT (Internet of Things) 확산으로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즈니스 기회를 찾고자 하는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급속한 IT 기술 발전으로 실시간 정보시스템의 필요성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으며, 데이터양의 급증, 데이터 수명과 이벤트 반응 시간이 급격히 단축되는 상황이므로, 비즈니스 이벤트 데이터의 대용량 및 실시간 처리가 시스템 설계, 개발, 적용에서 기본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 이벤트를 연관된 과거 데이터와 결합시켜 특정한 이벤트 패턴을 찾아내는 복합 이벤트 처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자동화된 설비로 생산이 되는 하이테크 산업에서도 대용량의 이벤트의 실시간 처리는 필요성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예로서, 극한적으로 높은 수준인 반도체 공정 품질관리에서는, 극히 정교한 반도체 설비 체임버에 장착 된 정밀 고급 센서로부터의 이벤트 데이터를 대량으로 고속 수집하여 개별 공정에 맞는 최적 로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는 임베디드 솔루션이 필요하다. 엔터프라이즈와 임베디드의 두 가지 니즈는 매우 다른 분야의 니즈로 보이지만, 이벤트 데이터를 대량 수집하여 지연시간 없이 정해진 로직으로 실시간 집계, 가공, 변환, 판단, 전달하는 과정은 서로 같은 성격이므로, 동일한 자동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양 쪽의 니즈를 같이 만족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대량 이벤트에 대한 실시간 및 대용량 처리를 하는“대용량 이벤트 데이터 실시간 병렬처리”자동화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였고, 이를 응용하여 최첨단 하이테크 설비의 정밀 고급 센서와 관련되는“하이테크 고급 센서 이벤트 데이터 실시간 취득 및 자동 가공, 분석”임베디드 솔루션을 함께 연구하였다. 기존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는 이벤트를 일정한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을 하고서 ETL 도구를 활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하는 비즈니스 로직으로 집계, 가공, 변환, 전달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이 방식은 이벤트 발생부터 결과 도출까지 지연시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연시간 없이 이벤트 발생부터 결과 도출까지 실시간이 되도록 다수의 소스들로부터 들어온 이벤트를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기 전에 원하는 비즈니스 로직으로 이벤트 데이터를 집계, 가공, 변환, 전달하는 자동화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였다. 임베디드에서의 기존 방식은 MCU 칩 벤더들이 제공하는 간소화 된 C 언어로 하드코딩 하는데, 이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력이 부족한 임베디드 엔지니어들이 용이하게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도록 하였으나, 하이테크 산업에서의 고급스러운 요건 대응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임베디드 솔루션도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개발과 같이 체계적으로 자동화된 프레임워크 위에서 설계, 개발, 적용하는 과정으로 수행함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엔터프라이즈의 자동화 도구인“대용량 이벤트 데이터 실시간 병렬처리”자동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여 인력 개입 없이 안정적인 목표 성능 달성을 결과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임베디드 개발에도 도입하여 안정적이면서 고성능인 임베디드 솔루션 구현을 연구하여“하이테크 고급 센서 이벤트 데이터 실시간 취득 및 자동 가공, 분석”솔루션을 개발하고 성능과 기능 목표를 달성함을 확인하였다.

      • 실시간 가상캐릭터를 활용한 영상 컨텐츠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제작 프로세스에서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박형진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실시간 가상캐릭터의 시도와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활용과 이론적 연구들이 극히 드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캐릭터의 실시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요소를 찾아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세스(Process)에 활용하여 기존 방식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효율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재 국내 실시간 가상캐릭터의 사례를 통하여 시청자의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컨텐츠의 다양한 시도를 필요로 했으며, 이로 인해 실시간 가상캐릭터를 활용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 프로세스에 대한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여기에서는 '실시간 가상캐릭터가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가 있으며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에 목적을 두고 실험을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고 기존 제작 방식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션캡쳐와 음성인식을 통한 표정 데이터 생성 기술을 도입하여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가상캐릭터를 제작하였다. 이는 Kaydara Mocap 소프트웨어에서 실행하였으며 모션캡쳐는 기계식 방식을 채택하였다. 둘째,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캐릭터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 영상물을 제작하고 기존의 키프레임 보간 기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작 방식에서의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실시간 가상캐릭터의 활용과 제작 방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컨텐츠 개발의 활성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실시간성에서 오는 연출상의 효과와 제작 시간의 단축으로 데일리(Daily) 방송 컨텐츠의 개발이 가능하며, 양방향성(Interactive)을 응용한 컨텐츠의 개발 시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가상캐릭터를 활용한 애니매이션 제작방식의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실시간 가상캐릭터 컨텐츠의 다양성과 효과적인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 연구의 초석(礎石)이 되리라 보여지며, 앞으로 더 구체적인 실시간 가상캐릭터의 연구를 하기 위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of real time virtual character and discussions on potential for their development, but few researches on their utilities and relevant theories. Thus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highlight the real-timeness of virtual characters, applied them to animation production process, and examined the efficiency of the new process by comparing it with existing ones. First, this study surveyed viewers' perception using domestic cases of real-time virtual characters, analyzed problems in them, and looked for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produce various contents. Thus this study produced contents using real-time virtual characters and examined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Test videos were produced with the object of answering the question of What effects do 'real-time virtual characters have in animation production and how should they be utilized? The developed production method was compared with existing ones and its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is experiment.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reated virtual characters that can be controlled real-time. using the facial expression data production technology based on motion capture and voice recognition. For this, it used Kaydara Mocap software and adopted a mechanical method for motion capture. Second, this study produced animation videos real-time utilizing the created virtual characters, and examined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method by comparing it with existing key frame interpolation technique. This experiment purpo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use of real-time virtual characters and the production method and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ontent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quite positive.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method may be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daily broadcasting contents and interactive contents thanks to the effects and time-saving of real-tim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efficient of an animation production method utilizing real-time virtual charac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ase future researches on the diversity of real-time virtual character contents and efficient animation produc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lead to more specific researches on real-time virtual characters in the future.

      • 實時間 버스 스케쥴링 알고리즘 開發

        고종섭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807

        버스스케쥴은 버스를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한 계획으로서 선진외국에서는 효율적인 스케쥴 작성을 위한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부분 버스회사들은 경험에 의한 수 작업으로 스케쥴을 작성하거나, 구체적인 운행계획 없이 운전자로 하여금 하루에 주어진 노선을 몇 회씩 운행토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우리나라 버스회사들이 영세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짧은 운행시격으로 하루에 수 백번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버스스케쥴 문제의 크기가 커서 기존의 버스스케쥴링 방법을 적용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는 점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도로교통이 날이 갈수록 혼잡해짐에 따라 지연운행버스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버스의 지연운행은 승객의 정류장 대기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계획한 시간에 후속운행을 시작할 수 없게 되어, 버스의 출발 간격와 정류장 도착간격이 불규칙해지면서 버스운행의 정시성을 떨어뜨리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스운행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VL에 의한 버스 위치의 실시가 확인으로 지연운행버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실시간 버스스케쥴 조정이 필요하다. 지연운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버스운행 여건 하에서 버스스케쥴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면 제한된 버스대수로 승객의 정류장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같이 버스운행회수가 많은 여건에서 버스스케쥴을 쉽고 빠르게 작성하고, 버스의 실제 운행에서 지연운행버스를 조기에 검출하고, 후속 스케쥴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기존연구에 의한 단일차고지 버스스케쥴링의 이론과 방법을 소개하고, 버스스케쥴링 문제의 규모가 커서 최적 버스스케쥴을 구하는 계산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분할에 의한 단계별 스케쥴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연운행버스 및 이웃하는 버스들의 후속 스케쥴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버스스케쥴의 실시간 조정을 위해서는 조정의 기준이 되는 버스스케쥴을 빠른 시간내에 작성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본 논문이 제시하는 다시간대 버스스케쥴링 방법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시간분할에 의한 단계별 스케쥴링이란 하루의 운행을 운행특성이 동일한 시간대로 분불할하고, 각 시간대에 속한 운행들을 선입선출법으로 연결시켜 최적의 부분순환로를 구하고, 이들 부분순환로로 구성된 네트워크로부터 하루 전체시간에 대한 최적의 버스스케쥴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할 경우 스케쥴링 문제의 기본단위가 되는 운행수가 크게 줄어들어 스케쥴링 문제의 크기를 상당히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제를 통하여 시간분할에 의한 다시간대 버스스케쥴링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였다. 실시간 버스스케쥴 조정은 지연운행버스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버스스케쥴의 조정여부를 판단하며, 버스스케쥴의 조정이 필요할 경우 실시간으로 버스의 기점출발시간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버스운행시간표 작성의 기준이 되는 기준운행시간 설정 방법과 지연운행버스의 조기검출 알고리즘, 스케쥴 조정여부의 판단 기준 및 실시간으로 버스스케쥴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시간 버스스케쥴 조정방법과, 스케쥴 조정으로 인하여 정류장에 균일하게 도착하는 승객의 정류장 대기시간 단축효과를 예제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최근 우리나라 도시에서 이용하는 승객들의 대부분은 버스 운행의 정시성 결여에 불만을 나태내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는 버스스케쥴의 실시간 조정을 통해 버스의 배차간격을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알고리즘 개발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본 논문은 지연운행버스의 기점 출발시간을 조정하는 버스스케쥴의 실시간 조정에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승객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버스들이 몰려다니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승객수요에 따른 버스의 수송능력은 충분한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승객의 과다로 인한 차내 혼잡과 같은 차내 서비스 수준 역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한 버스운행시간 조절 방법을 적용하면 이러한 문제들은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버스운행시간 제어전략은 주요정류장에 계획시간보다 일찍 도착하는 버스들의 정류장별 출발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주 수단으로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본 논문에 의한 버스스케쥴의 실시간 조정과 버스운행시간 제어전략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실시간 스케쥴 조정 개념과 버스운행시간 제어전략을 통합한 실시간 버스 운행관리 시스템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real-time bus scheduling algorithm. Real-time bus scheduling is a highly sophisticated method for bus operation management, in which the locations of buses in operations are monitored on a real-time base, whether or not to modify the pre-planned bus schedule is determined and, if a modification is required, a new bus schedule is established based on the expected return times to origin for a next trip and the expected available number of buses at depot. In order to modify a bus schedule on a real-time base, a solution for a bus scheduling problem with several hundreds or thousands trips should be obtained in a very short time. This paper suggest a decomposition technique. In the decomposition technique, whole operation hours are broken into several time periods, in one time period buses are dispatched with the same headway. Then the problem size of the bus scheduling for those time periods becomes manageable, in which bus operations in one period can be dealt with as one trip in an assignment problem. Case study of bus scheduling is performed with this decomposition technique. An algorithm for the real-time bus scheduling is developed and a case study is carried out. Throughout the analysis and case studies, the algorithm developed in this paper is proved to be practical.

      • 젖은 퍼(Fur) 애니메이션을 위한 쉘(Shell) & 핀(Fin) 기반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법

        박경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동물의 퍼(Fur)표현은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동물 등을 사실적으로 렌더링 하는데 중요한 요소다. 이 기술은 디자이너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제작하는 캐릭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게임 등의 실시간 상호작용이 필요한 분야의 컨텐츠에서 사실적인 표현에 필요하다. 털은 표피를 덮고 있는 수없이 많은 가닥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실시간 렌더링을 위해 단순화 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3가지의 방법들로 나뉜다. 헤어 모델링 방법으로 퍼의 가닥(Fur Strand)의 그룹인 스트립(Strips)을 이용한 방법, 털의 부피감을 표현하여 적은 수의 폴리곤 메쉬를 가지는 볼륨 기반 모델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 메쉬의 표면에 평행하는 텍스쳐인 쉘 텍스쳐와(Shell Texture)와 이것이 가지는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핀 텍스쳐(Fin Texture)를 이용한 표현법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쉘 & 핀 구조에 포스 필드(Force Field)를 구축하여, 바람, 터치, 중력에 따른 반응이 가능하게 했으며, 클럼프(Clump)를 이용한 젖은 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였다. 클럼프(Clump)는 쉘을 클럼프 중심 가닥(Clump Center Strand)으로 상위 단계에 존재하는 쉘 텍스쳐 상의 점(dot)를 지움으로써 모으는 방법이어서 텍스쳐를 생성하는데 전처리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털이 젖어가는 표현 혹은 말라가는 표현이 이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털이 젖는 경우 증가하는 질량이 쉘&핀 구조에 매스 스프링(Mass-Spring) 방법을 응용하여 삽입이 된다. 하지만, 클럼프 텍스쳐 생성으로 인한 전처리 시간과 매스 스프링으로 인한 연산량의 증가로 하나의 객체에 대한 연산은 실시간이 가능하지만 다수 객체를 표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계적인 젖은 퍼(Fur)의 표현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세분화된 클럼프 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해 복잡도가 높은 매스 스프링구조를 대체하여 질량을 각 공유정점마다 설정할 수 있는 질량 볼륨(Mass Volume)구조를 제안하고, 젖은 상태에 따른 시뮬레이션 변화를 위해 퍼의 뻣뻣한 정도 및 표면에 붙는 정도를 조절하는 질량 분포 및 그의 조절을 제안한다.

      •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스무딩 필터

        이주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필터에 대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특히 칼만 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에 대하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스무딩 필터의 설계가 가능하며, 스무딩 필터를 이용하면 칼만 필터에 비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스무딩 필터는 현재 시점 이외의 정보, 즉 과거 또는 미래의 정보들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필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칼만 필터에 비해 상태 추정 정확도가 높으나 실시간 구현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는 곧, 스무딩 필터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다면 칼만 필터 기반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실시간 상태 추정 필터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실시간 스무딩 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 창 형성 기법을 제안하며, 구현한 필터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창 형성 기법은 스무딩 필터를 적용할 일정 시간 길이를 가지는 창을 형성하여 현재 시점 기준으로 계속 이동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 창을 형성해주는데 있어 필터의 실시간성 유지를 위해 설계할 필터에 적합한 이동 창의 길이를 선정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동 창 길이에 따른 각 필터 과정 수행 횟수와 소요시간 간의 관계성을 분석을 통한 선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적응형 이동 창 기법은 측정치가 부정확하거나 단절되는 상황에 대한 강인성을 확보하여 실시간 스무딩 필터의 정확도를 향상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적응형 이동 창 형성 기법을 이용한 실시간 스무딩 필터의 성능을 항법 알고리즘을 예로 들어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위치 정확도가 간접형 확장 칼만 필터 기반 항법 알고리즘에 비해 12.06%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Research on various filters capable of estimating the state of a system in real-time has been conducted, but research on a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using a Kalman filter is being most actively conducted. Although the system state can be estimated with considerable accuracy through such a Kalman filter, system state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with higher accuracy by using a smoothing filter that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Kalman filter. Since the smoothing filter is an algorithm that estimates the state of the system using information other than the current point in time (i.e., past, or future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higher state estimation accuracy than the general Kalman filter,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rea-time implementation is difficult. This means that if the real-time implementation of the smoothing filter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wit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Kalman filter-based real-time state estimation fil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to implement a real-time smoothing filter with high accuracy, and an adaptive moving window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mplemented filter. The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forming a window having a predetermined time length to which a smoothing filter is applied, and continuously moving the window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In forming such a moving window, a method of selecting a length of the moving window suitable for the filter is most important to maintain the real-time filter. To this end, in this paper, a selection method was proposed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executions of each filter process and the required ti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oving window,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The adaptive moving window method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a real-time smoothing filter by securing robustness against situations in which measurement values are inaccurate or disconnec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smoothing filter using such an adaptive moving window formation method, simulation was performed by taking the navigation algorithm as an exampl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was improved by 12.06% compared to the navigation algorithm based on the indirect extended Kalman filter.

      •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감시 유형에 따른 자기통제의 두뇌활성 분석 : fNIRS 연구

        이현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4차산업혁명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원격 쇼핑, 원격 의료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인터넷에 기반한 원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교육 분야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온라인 동영상 수업, 미네르바 스쿨 등의 원격수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학교 교육에서도 전면 원격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원격수업의 한 유형인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공간의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거리로 인해 소통과 상호작용이 제한되고 교수자의 학습자 관리 및 통제가 어려워 학습자가 고립감을 느끼기 쉽다. 이러한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는 학습 결손이 발생하게 되고 결손이 장기화 되면 학습 격차를 초래하게 된다. 자기통제는 자기주도학습과 관련한 중요 역량으로 보고되며 이러한 자기통제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이 자기감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자기통제를 촉진하는 자기감시 유형을 선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기감시 유형의 구체적 요인을 분석하여 원격수업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구성 요인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감시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두뇌의 자기통제 영역 활성을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여 자기통제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구성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실시간으로 두뇌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을 사용하여 시각형, 시청각형, 시각확대 및 청각형 자기감시를 설계한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통제 관련 두뇌 영역 활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후 개별 면담을 통해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두뇌 활성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첫째로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감시 유형에 따른 자기통제의 두뇌 활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형, 시청각형, 시각확대 및 청각형 자기감시 모두에서 자기통제 관련 두뇌 영역의 유의미한 활성이 나타났다. 반면, 자기감시를 실시하지 않은 과제에서는 자기통제 관련 두뇌 영역의 유의미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자기감시 유형별 두뇌 활성 차이와 면담 결과를 종합해 자기통제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 자신이 나타나는 비디오 화면 켜기가 자기통제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는 비디오 화면이 켜지면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하는 모습을 인식한 뒤 교수자가 자신의 학습 모습을 지켜볼 수도 있다고 생각해 학습 방해 요인인 딴 짓과 같은 행동을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서 교수자가 자기감시를 활용하여 자기통제를 촉진하도록 원격수업을 설계하는데 신경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에 따른 학습 격차를 해소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 연구에 신경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간 원격 화상수업 중에 자기감시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자기통제의 두뇌 활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한 데에 의의가 있다.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et-based remoting is underway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such as remote shopping and telemedicine. This is no exception to the education field, so online video classes and remote classes such as Minerva School are actively conducted, and due to the recent pandemic, school education has also conducted distance learning.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a type of distance learning, has the advantage of overcoming physical constraints in time and spac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llowing learners to learn at any time and place they want. However,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re limi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it is difficult for instructors to manage and control learners, making it easy for learners to feel isolated. In such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learners who lack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experience learning deficits, and prolonged deficits lead to learning gaps. Self-control is report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trategy to promote such self-control is self-monitoring. Therefore, research is needed to select a type of self-monitoring that promotes self-control so that learners can take the lead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components to design a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environment by analyzing specific factors of the type of self-monitor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elf-control region of the brain activ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monitoring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to find out the components of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hat affect self-control activation. To this end,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were conducted for 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and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designed for visual, audiovisual, visual enlargement, and auditory self-monitoring were investigated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self-control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fter the experiment, and brain activ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rain activation of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monitoring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significant activity of self-control-related brain regions was found in both visual, audiovisual, visual enlargement, and auditory self-monitoring. On the other hand, in the task of not performing self-monitoring, no significant activity was found in the brain region related to self-contro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self-control activity by synthesizing brain activation differences and interview results by type of self-monitoring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turning on the video screen itself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self-control. This shows that when the video screen is turned on, the learner recognizes how he is learning, and then the instructor may watch his learning, so he can control behavior such as irrelevant behaviors that interrupt learning. This study will provide a neuroscientific basis for designing distance learning so that instructors can promote self-control using self-monitoring in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which will help bridge the learning gap caused by distance learning.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measure the brain activation of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monitoring during synchronous distance video learning using neuroscientific techniques in educational research.

      •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 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및 교수역량의 구조관계

        양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현재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구조적관계를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편의 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산시성 등 총 20개 성(省), 시(市) 그리고 자치구 지역의 대학교수를 선정했다. 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시스템인(www.wjx.cn 问卷星)과위챗(we chat)을이용하여QR코드를통해 대학교수들에게온라인설문지를배포하였다. 그결과로대학교수707명이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회수율 98%), 그중 군사학 전공인 11명의 참여자를 삭제하고 나머지 696명의자료를분석대상으로삼았다. 이 연구의 도구는 교수역량 측정도구,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측정도구,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측정도구이다. 이 연구의 절차는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로서, 선행연구 분석 및 가설설정, 측정도구 제작 및 검증, 예비조사, 표본 추출 및 설문지 배포, 설문조사 결과 수합 및 자료분석의단계로이루어졌다. 이연구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SPSS v.26.0 및 AMOS v.24.0을 사용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구하고,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별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에차이가 있는지알아보기 위해 변인 특성에 따라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각변인과 전공계열 간의상호작용효과는이원배치분산분석을실행하였다.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모형 수정 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에서 대학 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위해AMOS 다중집단분석을실행하였다. 이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중국대학교수의교육역량중에는소통협력능력이가장높고교육혁신능력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의 변량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연령별 차이가 있다. (3)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최종학력에따라차이가있다. (5)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온라인 수업 관련 연수경력에따라차이가있다. (7)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전공계열에따라차이가 없다. 둘째,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 중에 교수효능감이 가장 높고 상황적응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수행능력의 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은성별차이가 없다. (2)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연령별 차이가 없다. (3)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은 직위별 차이가 없다. (6)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온라인수업 관련 연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7)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다. 셋째,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량에 따른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의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령별차이가있다. (3)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에서교육경력에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4)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최종학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직위별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수경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7)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전공계열에 따라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넷째, 중국 대학교수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으로분리하였을 때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확인되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교수의전공계열별조절효과는유의하지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들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 구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변화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학교수들의 정보기술및 교수역량을 어떻게 높이고육성할 수 있는지에대한기초적인자료로활용될것으로기대된다.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을높이는것이교수현장에테크놀로지실제 능력으로 전환하여 교수의 기술통합을 성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조건이다. 정보화 시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플랫폼을 지원하고 개선하며, 교원의 교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는것이필요하다. 이를위해교육정보화하드웨어시설에대한투자를 늘리고 기존 정보기술 설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며 교내 자원배분을 최적화하는 등 과학화된교수관리를실시해야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rrent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competenc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y. The author collected data by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to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nd who were invited for this study from the following regions of Shaanxi, Hebei, Gansu, Shandong, Shanghai, Anhui,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Beijing, Inner Mongolia, Henan, Shanxi, Guangdong, Guangxi, Jiangxi, Jiangsu, Jilin,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Chongqing municipality, and Heilongjiang, etc.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wjx.cn (online questionnaire platform) and WeChat. As a result, a total of 707 university professors from 20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autonomous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98% effective rate), among which 11 participants majoring in military science were deleted, and the remaining 696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tools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ing competency measuring tool,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measuring tool, and technology selfefficacy measuring tool.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was a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measurement tool production and verific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sample extraction, questionnaire distribution, survey result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For the data analyzing part, SPSS v.26.0 and AMOS v.24.0 were applied in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by the variabl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the author, and at the same time, aims to find ou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f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and major serie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by the author to find out whether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competenc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has an effect on educational capacity by mediating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through a model modification process. In the final model, AMOS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jor of university profess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is the highest, while the ability to innovate educ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Gender differences are confirmed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age. (3)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s found. (4)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5)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6)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majors. Secon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Differences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prov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Thir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confirm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Fourth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has an effect on teaching capacity, and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technology self-efficacy is separat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fficac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ability,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and technology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 major fields was not significant.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technology in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condition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technology integration of professors by transforming technology into practical skills in the teaching field. In the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improve the school learning platform to improve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build an infrastructure to cultivate the teaching capacity of teach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educ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hardware facilities, rationally plan existing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optimize resource allocation in schools, and conduct scientific teaching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ies’ ability to perform online classes, self-efficacy in technology, and teaching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