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탁사 최병헌의 신학과 사상 연구

        유재철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구한말 서구의 충격이 닥쳐왔던 시대에 태어나서 국내외적으로 말할 수 없이 혼란한 시기에 한 빛을 던지고 간 한국 최초의 신학자 탁사 최병헌의 생애와 사상을 대략 살펴보았는데, 최병헌은 그의 나이 대략 30세까지는 유불선 동양사상에 통달한 학자였으나, 31세 되던 1888년에 아펜젤러와 존스를 만나고 배재학당 한학부 교원으로 취임하면서 개화사상과 서구문명에 관한 많은 서적을 탐독하면서 초기 개화파의 사상에 감명을 받았고 여기서 더 나아가 大道大器의 새로운 길을 열게 된다. 기독교에 입교한(1893년) 후 그의 영혼 속에는 유불선 동양사상과 웨슬리의 신학사상과 애국애족을 바탕으로 한 개화사상의 모든 것을 그리스도의 복음 안에서 다시금 재해석하여, 유교의 내재적 윤리를 가지고 한국의 상황에 맞게 주체적으로 해석하려고 하였으며, 그리하여 신학활동은 물론이고, 사회개혁운동, 민중계몽운동, 민족의 자주독립과 교회의 주권확립운동 등 여러 방면에 걸쳐서 신앙 안에서 적극적인 삶을 살게 되었다. 특별히 그는 한글 보급운동의 선구자였는데, 선비의 후예로서 한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민중계몽을 위해 순 한글로 "제국신문"을 창간하였으며, 1898년에 일본 요코하마에 가서 자모활자를 만들어 오기까지 하였고, 또한 성서번역에 참여 하여 많은 사람들이 성서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최병헌의 업적을 살펴보면 그가 종교인으로서 목회활동을 하면서도 어떻게 여러 분야에 걸쳐서 그토록 정력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그는 진정코 자신이 쓴 논문 "근자득지"라는 말 그대로 몸소 실천하여 본을 보이며 자신의 힘닿는 데까지 최선을 다하여 훌륭한 업적을 남겼음을 알 수 있다. 그는 한국 최초의 신학형성의 선구자였으며, 동시에 비교종교학자였으며, 세계종교와 동양철학 그리고 한국 민족의 종파에 이르기까지 깊은 연구를 한 대학자였다. 특히 유불선에 관한 연구는 당대에 있어서 아마 최고봉에 다달은 석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당시에 기독교로 개종한 유교 지성인들 대부분은 최병헌을 제외하고는 거의 유교와 기독교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성실하게 생각하며 신학을 하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신학의 불모지에서 "성산명경"과 "만종일련"을 남겼다는 것은 한국감리교회, 더 나아가 한국 개신교에 있어서 값진 유산이 아닐 수 없다. 최병헌은 한국 신학계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인물이었다. 그는 암울했던 시대에 하나님의 일꾼으로 부름 받고, 사랑하는 민족을 향하여 거침없는 목소리를 높였던 선각자였다. 송길섭 박사는 그의 논문 "탁사 최병헌의 신학사상 연구"에서 최병헌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친근한 민중의 벗으로서 그들의 고난에 동참하며 그들의 문제해결에 앞장섰다. 그는 원래 가난 속에서 자랐고 그 가난의 의미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민중의 아픔을 덜어주기 위하여 목회초기에는 그는 사회개혁자로 자처하여 예언자의 목소리를 높였고, 그 이후에도 그 개혁의 열정을 식히지 아니하였다. 그는 "예수교는 유신교"라고 까지 말했다. 동시에 그는 민중의 문제를 생각하면서도 민족의 과제를 도외시하지 아니 하였다. 그에게는 민중이 민족이요 민족이 민중이었기 때문이다. 일제하의 민족을 기독교복음으로 구원하려 했던 민족운동가이기도 했다. 실로 그는 반봉건적 사회개혁자요 한국교회 신학형성의 선구자다." 최병헌은 민족교회를 형성하고 성장시킴으로 일제하의 한국민족을 자유케 하고 구원하려 했던 민족주의자였다. 또한 다산적인 저술가이기며 한국기독교 최고의 독창적 변증가로서 그의 신학사상은 한국 기독교 변증적 학문의 틀을 형성하였다. 기독교 초기 바울의 변증기록들이 성서의 Text가 되었고 초대 교부들의 기독교 변증의 글들은 학문적 깊이를 떠나 기독교 신앙의 기초가 되었듯이 최병헌도 다름 아니다. 지금이야말로 신학자가 아닌 기독교 변증가이며 실천가로서의 최병헌을 다시보고 우리의 신학 사상과 신앙적 실천들을 점검해야할 시기이다. 요즈음의 한국교회는 혼돈의 늪으로 빠져들어 가고 있다. 구한말의 유교나 불교와 같이 무기력한 종교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여기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구한말의 상황속의 종교들을 바라보며 새로운 소망을 빛을 기독교에서 발견한 최병헌의 눈을 빌어 교회를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변증해야한다. 그 변증 속에 우리도 넣고 다시보자. 그리고 다시 민족에게 희망을 주는 한국교회가 되도록 우리의 교회와 신앙과 신학을 세워보자. 더 나아가 최병헌의 '만종일련'과 '성산명경'은 유, 불, 선 동양사상에 대한 기독교의 응답으로 재해석하고 확대할 필요를 느낀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 삼국은 정신적 종교적 문화적 유산인 유, 불, 선, 을 공유한다. 특히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중국이 열린다. 이들에게 선교하는 것은 성경을 가져다주는 것 보다, 노래를 가르쳐 주는 것 보다 탁사 최병헌의 변증신학을 그들의 손에 들려주는 것이 동양문화 속에 복음의 꽃을 먼저 피운 한국교회의 고르반 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아직도 우리에겐 하나의 과제가 남아 있다. 최병헌이 소망하던 한국민족의 복음화와 민족교회의 자주독립과 민족의 독립을 완전히 이루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여기서 마쳐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 최병헌의 소망이며 한국교회의 책임을 다하러 일어나 "근자득지(近者得志)"해야 하리라 믿는다.

      • 띵구앙쉰(丁光訓)의 신학사상

        이경래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自從1950年9月23日 中國基督敎發表了"三自宣言"以來,經過了所謂"文化大革命"的艱難的時代,中國基督敎會不僅屬于基督,也成爲屬于全中國的。解放以前,中國基督敎原有70多개宗派,各宗派間有了不團結甚至互相攻擊的現象,但是現在他們在信仰上實現相互尊重,聯合禮拜的敎會生活中進入了宗派后時期(post-denomination era)。 按中國基督敎三自愛國運動五十一周年總結, 過去五十多年大約可分爲三개階段。自1950-1966年是第一階段,主要任務是實現自治自養自傳。 1966-1978年因受"文化大革命"的庶擊, 敎會事工被迫頂頓。自1978-1998年爲第二階段,主要任務是按三自原則辦好敎會。 而自1998年年底開始是第三階段,主要工作是加强神學思想建設。這三개階段旣有區別,又有聯系,每一階段是前一階段的繼續和深化。在如此的影響下,中國基督徒認識到愛國여愛敎是不矛盾的,基督徒應該是旣愛國又愛敎。 丁光訓主敎(1915-)是中國基督敎的領袖,自1980年단任中國基督敎三自愛國運動委員會主席和中國基督敎協會會長起,肩負着中國敎會建設的重任,而且作爲一名神學家,他的神學思考一直服務于中國社會和中國敎會。在他的一生中,自始至今他卽是一位摯愛着中國敎會的中國思想家,同時又有一位深愛自己祖國的基督敎神學家。他通過文字著作,通過各충公開活動和參政,儀政,他始終在努力地推動着敎會여敎會以外的世界之間的對話。他盡管遭受到來自保守派敎會人士的批評和攻擊,但是,他在20世紀80,90年代在敎會重新對外開放以及中國敎會여普世敎會交流上的重大貢獻是受到엄泛公認的。 丁主敎一貫흔重視自傳和神學硏究。"神學是敎會在思考"。他認爲不思考不反省的敎會是死的。他所提成的神學思考是如何把基督敎的信仰和生活的實結合起來,成爲旣合乎理性又具有越能力的理論。他多次提到基督敎的普世性和地方性(特殊性)的相互關系。他主張中國敎會應該有自己的神學。他有選擇地參考和吸收某些西方現代神學的理論,加以發揮,爲中國所用。 從神學思想來看,丁主敎的神學思想主要受到四충思想的影響: ⅰ) 德日進(Teilhard de Chardin)的進化思想; ⅱ) 부特海的(Alfread North Whitehead)過程哲學; ⅲ) 解放神學的實踐(praxis)的認識論; ⅳ) 골公會神學的中道(via media)思想。 在神學上,丁主敎特別强調上帝是宇宙的愛者,而不强調上帝是嚴려的審判者,從而不刻意渲染人的罪。他認爲愛是三位一체中三개位格相互關系的特征。對于上帝創造者,他特別强調上帝是愛的上帝,愛是上帝神골的內在本質,同時對于上帝而言,他也需要人類,上帝是人類慈愛的父親,人類是上帝的孩子。 耶소基督是上帝之子,福音書記載他道成肉身來到世上幷宣揚倫理道德的人性一面; 又有基督是宇宙的基督,万有在他里面的一面,這一点充分表現了丁主敎愛的神學。 골靈是三位一체這一奧秘團契中的第三位。 골靈旣賜恩給敎會,給基督徒,골靈也啓示一切的受造物,帶領一切的受造物趨向于眞善美。 골父,골子,골靈同工同契,一起進行特續的創造之工,救贖之工和골化之工。作爲人類的我們就是要參與到這樣的골工之中,幷盡我們的所能作出貢獻。雖然人是上帝創造的不同程度的"半成品",但是愛的陶匠會把我們塑造成他的同工,讓我們參與他的創造與救贖奇功中,幷逐步走向完全。 在與社會對話時,丁主敎的根本出發点是肯定无神論者致力于個人和全社會的生活和生活改善以及積피評介非基督徒的各충各樣的美好行爲。 在論述有關宗敎在中國的社會作用時,他竭力反駁宗敎鴉片論,저認爲宗敎是鴉片的論点旣不符合實際又不符合馬克思主義。理解中國宗敎信仰自由的關鍵是理解宗敎여당的關系,其核心是"求同存이"的原則。丁主敎說,中國共産당對宗敎問題的態度是團結的原則,卽在統一戰線的原則解決宗敎問題。 我覺得丁主敎的神學思考在韓國基督敎界也造成4개方面的影響: ⅰ) 神學自主性的開發; ⅱ) 后宗派敎會的實現; ⅲ) 南北韓宣敎的坐標; ⅳ) 宣敎學的反省。 今天中國社會正處于改革開放的急劇變化過程中。中國敎會고的"處境化神學"不可能過早提出系統化的要求,所以他們是從中國社會和中國敎會的現實的處境出發,試圖把基督敎信仰和中國傳統文化以及民族特点給合起來。 這些中國敎會的神學思想建設過程中,丁主敎的神學思考可以成爲中國敎會흔好的路標。不過,我在他的神學思想還是感受不到濃郁的中國傳統文化的特色。我想這類現象將成爲我們的重要任務之一。我希望中國和韓國敎會能구成功地實現自己民族的特色和現代化之間的融合。

      • 찰스 해든 스펄전(Charles Haddon Spurgeon) : 설교신학과 전달방법 중심으로

        이요한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당신의 말씀을 하신다는 의미에서 설교는 천지 창조의 순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었고, 그리고 앞으로도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사건이 있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우리는 이 역할의 귀감이 될 만한 사람 중 한 사람인 스펄전을 살펴보았다. 스펄전은 '마지막 청교도' 또는 '설교의 황태자'라고 한다. 또한 헬무트 틸리케는 현대 기독교에 있어서 스펄전의 영향을 다루면서 "이 옛날의 런던에 나타났던 '불붙은 떨기나무'는 그러나 지금도 타고 있으며 다 타버렸다는 징후는 도무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스펄전이 죽은 후, 카롤(Texan B. H. Carroll)은 "그를 누구와 비길 수 있습니까? 그는 조나단 에드워즈와 윗필드의 설교력과 웨슬리의 조직력, 그리고 루터의 용기와 열정, 힘을 가미시켰습니다. 많은 면에서 그는 루터와 바울을 닮았습니다."라고 말하였다. 본 논문은 이렇게 설교자로서 모든 찬사를 한 몸에 받은 찰스 해든 스펄전(Charles Haddon Spurgeon)의 설교를 형성케 한 여러 요인과 그의 설교신학 및 전달 방법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당시 영국의 상황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도시화의 문제, 영국 국교회의 분리문제, 성경의 고등비평 문제, 진화론의 문제 등 신앙에 방해되는 요소가 너무 많았고 영적 침체의 시기였다. 그러나 그는 철저한 청교도 신앙 노선을 지키는 집안에서 태어났고 자랐다. 할아버지로부터 깊은 명상과 독서에 대해서 배웠고, 그의 부모로부터 경건한 신앙생활의 본을 배웠다. 그러다 그는 인격적으로 주님을 만났는데 1850년 1월 6일 회심을 경험하게 된다. 그 후 그는 그의 삶을 하나님께 드렸으며 목회자로 부름을 받고 영혼구원에 대한 뜨거운 열정과 하나님을 향한 불타는 열심과 하나님의 섭리를 철저히 신뢰하며 설교자의 사명을 감당하였다. 이런 스펄전의 설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설교는 철저히 성경적이었고 중심은 항상 구원, 그리스도, 하나님의 영광에 있었다. 둘째, 그의 설교는 근면한 독서생활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꾸준한 독서생활을 통한 자기계발 노력을 쉬지 않았던 사람이다. 그는 정규 신학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엄청난 양의 독서를 통하여 많은 지식을 습득하였다. 그는 무엇보다 성경에 정통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회중들의 형편과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여 그들에게 필요하고 적합한 영적 양식을 공급하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그의 설교는 신학적이고 교리적이었다. 그는 모든 설교자는 신학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 할 정도로 신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신학사상을 크게 세 개로 나눈다면 성서중심사상, 그리스도 중심사상, 칼빈중심사상이다. 넷째, 그의 설교에는 목적이 있었다. 그의 설교의 목적을 네 개로 나눈다면 설교는 양무리를 지키기 위해 파수꾼이 쏘는 말씀의 화살이요, 그리스도를 증거하는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선포하는 것이요,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이다. 다섯째, 그의 설교 형식은 대부분 본문 중심의 강해설교였고 언제나 그 주제는 그리스도와 관련된 복음이었다. 이러한 스펄전의 관점은 신구약 성경전체에 흐르는 사상이 구속이며 그리스도 중심임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그의 설교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각적 호소(Sense Appeal)을 사용하였다. 스펄전은 설교를 통해 회중들로 하여금 '보거나' '만지거나' '느끼거나' '맛보거나' '냄새를 맡는' 등의 경험 즉, 오관을 통해 보다 생생하고 효과적으로 설교를 하였다. 실제로 그의 설교의 주제나 내용면에 있어서 매우 평범했지만 이러한 효과적인 전달방법으로 누구나 쉽게 들었고 은혜를 받았다. 일곱째, 그의 설교에는 영향력이 있었다. 그는 1850년 캠브리지 근처의 테버스햄에서 처음으로 설교하였는데 성도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그 후 워터비치에서 설교하였는데 17세의 어린나이였지만 그의 설교를 듣는 순간 회중들의 마음에는 부흥의 불길이 타오르기 시작했다. 그는 6,000석의 메트로폴리탄 테버네클교회를 세워 그곳에서 30여년동안 복음을 증거했는데 1년 만에 2만 명이 모이는 큰 교회로 부흥시켰으며 그의 설교들은 매주 2만 5천부씩 인쇄되어 영국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 영향력을 끼쳤다.

      • 中國 三自敎會의‘神學思想建設事役' : '三自兩會와의 公式交流를 通한 宣敎'에 대한 批判的 考察

        이기택 베뢰아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기독교회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교회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적 역할 또한 부각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한국교회는 중국에서의 선교활동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으로 중국 기독교 삼자양회(三自兩會)와의 공식적 교류를 꾸준히 시도하고 있다. 그렇다면 삼자양회와의 교류를 통한 선교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한국교회가 중국 내 선교활동의 자유를 확보할 수 있는가?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한국교회가 중국의 기독교회의 신앙과 신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먼저 1998년 '제남회의(濟南會議)' 이후 중국기독교회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사역(神學思想建設事役)"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그 사역의 정치적·신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중국 기독교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오늘날 중국교회가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과 그것이 추구하는 신학사상이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된 이래 중국의 독특한 역사·정치적 상황에서 생존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해외교회가 몇 차례의 교류를 통해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19세기 말과 1920년대에 중국의 기독교회는 대대적인 반기독교운동을 경험했고, 이를 계기로 기독교 내부에서 삼자(三自) 정신이 싹트기 시작했다. 1949년 정권을 잡은 공산당은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에 대하여 통일전선전략을 세우고 종교를 사회주의 건설에 적극 이용하고자 했다. 10년간의 문화대혁명 시기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중국 공산당은 줄곧 기독교를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통일전선역량으로 인식하였다. 기독교는 제한된 자유를 얻을 수 있었지만 동시에 사회주의 사회에 맞게 스스로를 개조하는 작업을 계속해야 했다. 마침내 1998년 제남(濟南)에서 열린 전국기독교대회는 "신학사상건설(神學思想建設)의 강화(强化)"를 결의하였고, 이후 각종 세미나, 학술대회, 선전활동, 논문공모, 출판사역 등을 통해 신학사상건설사역을 현재까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교회가 공식교류를 통해 중국교회에 일정한 선교효과를 파급하기 위해서는 삼자양회뿐 아니라 당과 정부의 정책까지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은 당과 정부의 지도 하에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1993년 강택민의 '종교사업에 관한 세 마디'는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이라는 신학사상건설사역의 핵심 가치를 제시해 주었으며, 통일전선공작부와 국가종교사무국은 기독교의 신학사상건설사역을 적극 지지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이 내걸고 있는 정치적 주제는 첫째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 둘째 삼자원칙의 강화, 셋째 중국기독교의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인데, 이는 당과 정부가 기독교회에 제시하고 있는 사업목표와 일치한다. 신학사상건설사역의 신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삼자신학이 한국의 복음주의적 교회가 가지고 있는 신학적 성향과 얼마나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제남회의 이전에 이미 그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던 신론, 기독론, 성령론, 인간론, 종말론 등은 사회주의에 적응된 기독교신학이 어떤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제남회의에서는 이러한 신학사상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기층 교회에 그러한 신학사상을 보급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후 각종 세미나, 선전, 논문공모 및 출판을 통해 가장 강조되고 있는 세 가지 주제는 인신칭의(因信秤義)의 담화(淡化), 윤리도덕(倫理道德)의 강화, 성경관(聖經觀)의 조정(調整)이다. 이와 같이 삼자양회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학사상건설사역의 배경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신학적 특성을 살펴볼 때 한국교회가 삼자교회와의 공식교류를 통해 전면적인 직접선교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것은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일이다. 삼자양회와의 공식교류는, 물론 그 나름대로 의미와 가치가 있다. 그러나 중국교회의 톡특한 현실이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는 현재의 호기(好機)를 적절히 활용하여, 1억이라는 기독교 인구를 바라보고 있는 중국교회에 전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비공식적 선교통로를 활용한 직접선교가 강조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국교회가 처한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다양한 비공식적 선교방법 가운데 문서선교와 능력선교가 특별히 강조되어야 한다. The tremendous growth demonstrated by Chinese Christian churches ever since the country's reformation and door-opening to the outside world, puts into relief the missionary role that Korean churches must pla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ir qualitative growth. As a measure to enlarge the scope of missionary activities, Korean churches have persistently having official interchanges with the Christian Three-Self Church in China. In That Case, what are the missionary prospects through such interchanges? Can Korean churches secure for themselves the freedom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in China? Can they secure a way to exert any influence on the faith and theology of Chinese Christian church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which has been strongly promoted by Chinese Christian churches upon the conference held in Jinan in 1998. Next, the political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id ministry will be surveyed. In the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ristian churches in China, one can realize that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sought by today's churches and the theological thought sought by the construction were issued in the natural process of survival in the particular historical and political situations of the country since the spreading of Christianity there. However, "Theological Construction" and theological thought are not the kind of things that foreign churches can change through several interchanges. Christian churches in China experienced large scale anti-Christian movement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in the 1920's and this was how the spirit of Three-Self started to sprout from within. In 1949, the communist party which seized power, conceived the strategy of front unification as regard to religion, Christianity included, and wanted to use fully religions in the edification of socialism. Except for the decade of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Chinese communists have been regarding Christianity as a front unification measure aimed at the edification of a socialist society. Though Christianity could obtain some limited freedom, it had, at the same time, to continue reorganize itself in order to conform to the socialist society. Finally, at the National Christian Rally held in 1998 in Jinan, the Reinforcement of Theological Construction was convened and all kinds of seminars, academic conferences, promotional activities, public subscription of articles, publication have been promoting strongly the ministry in question. When one examines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one would discover that in order for Korean churches to exert a certain missionary influence on Chinese churches through official interchanges, not only will they be obliged to change the Three Self Patriotic Movement(TSPM), but also the national political party and governmental policies since the construction ministry is being processed under their supervision. In 1993, Ze Min Jiang's "Three Words about Religious Enterprise" indicated the central value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which is called "Mutual Adjust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The Religious Affairs Bureau and the Front Unification Agency are actively supporting and managing the ministry of the Christian "Theological Construction". The political topics advocated are first, mutual adjustment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second, reinforcement of Three-Self principles, third, promotion of the international phase of Christianity. These coincide with the goals asserted by the national party and the Chinese government. Concerning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one can measure the great gap between Three-Self theology and the theological inclination of Korean evangelical churches. In other word, theology, Christology, pneumatology, eschatology which were already shaped basically before the TSPM/CCC conference held in Jinan, show keenly what kind of theology Christian theology adjusted to socialism looks like. In the Jinan conference, such theological thoughts were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and it was convened that they would be spread to churches under supervision. Since then, the three topics which are emphasized through all kinds of seminars, propaganda, public subscription of articles and publications are "weaken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reinforcement of ethics and morals, and adjustment of biblical perspective. Likewise, in the light of the background of "Theological Construction" ministry actively supported by the Three Self Patriotic Movement (TSPM) and the China Christian Council (CCC), and of their political an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prospects for a complete and direct mission by means of official interchanges with the Three-Self Church are very remote for Korea churches. The above-mentioned interchanges have values and meaning of their own, as a matter of fact. However, considering the favorable opportunity provided by the current particular situation of Chinese churches, emphasis must be put on direct missions through unofficial missionary tracks in order to exert an overall influence on the one hundred million Christians waiting there. In addition, among the variety of unofficial missionary methods, special attention must be given to power mission and literature mission.

      • 존 칼빈과 존 웨슬리의 신학사상에 나타난 종말론 비교 연구

        박종만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87

        1.Thepurposeofthispaperisasfollows. 1) Eschatology handles problems of religion and life, that is, the ulitmate problems of death, resurrection and a posthumous world and is the same as Omega Point, so tha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is tenet. 2) Eschatology is the center of a Christian faith and, also in eschatology, a crown and capstone of eschatology. It can be said that eschatology is a true foundation stone in that eschatology can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s to which each part of theology did not give an answer. 3) Like this, it is a matter for regret that eschatology, which is the center of a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escapes from the doctrine of the Bible and is prejudiced and distorted and thus becomes a hotbed of heresy and pseudo religion. The author wants to make Kingdom of God by again recovering eschatology and overcoming distrust. 4) This paper is intended to recover the soundness of Korean churches and warmly greet the coming God by removing wrong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of eschatology and establishing eschatology which is historical, pract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eschatology among theological ideas of John Calvin, a typical theologian during Religious Reformation, and John Wesley, a pioneer of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18th century and creator of the Methodist Church. 5) There have been no many preceding studies about this field and, considering the effect of Calvin and Wesley on Koran churches, it can be said significant to examine their standpoints on the last things, because it is, in a certain sense, a method of seeking the way to unified theology and furthermore can be a physical and human method able to achieve the unification and compromise of Korean churches. 2.Theresultofthispaperisasfollows. 1) Start of an eschatological prospect: The whole range of Calvin's theology contains preferential recognition of the transcendental absolute sovereignty of God. It is the point that salvation is a sphere of election by God's sovereignty what is stressed in double predestination of election and abandonment. A human being is a passive existence as far as salvation is concerned about. If the faith given to present believers is one sign representing the sovereign election of God, the sign can be said to be the revelation and promise of the eschatological future. In that regard, the start of Calvin's eschatological perspective starts from being passively given without the will of man. However, Wesley acknowledges man's active election of God's grace. Wesley thought that salvation is composed of leadership by God prevenient grace and man's answer to that. Therefore Wesley, acknowledging justification by a faith, stresses sanctification that starts with rebirth together with that. 2) Problem of death: To Calvin, death is the end of sinful life on the earth and connected to hope for Heaven. Individual death becomes the line distinguish the present from the future, and the eschatological central event. Wesley maintains that a man is to be newly born spiritually by rebirth, that is, revelation of the Holy Ghost. With that, sanctification that recovers into the shape of God, and the last salvation that is the completion of sanc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a faith and salvation. To him, death is a process which continues to grow from a process of sanctification from full sanctification and, at last, is connected to glory. 3) Standpoint of sanctificaiton: Calvin's sanctification is that based on the Holy Ghost, while sanctification of Wesley is that by the responsible answer of man's will. 4) Kingdom of God: God's Kingdom of Wesley is completed as universal sanctification through individual and social sanctification. To him,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are recoveries to inherent creation. Universal salvation sanctifying not only a man but also the whole universe by a man recovering the shape of God. However, to Calvin, such universal eschatological vision is scarcely found. Calvin refers to a creature of the universe as a tool for judging the deserted persons. At that time, God's judgment is like a flame which swallows everything, and all the creatures are used as the tool for God's judgment. Calvin's eschatological prospect can be considered comparable to universal eschatology of Wesley in this regard too. 5) Standpoint of eschatology: Calvin thought that,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s achieved within a human being, the churches in the earth exist in the last age, and the last things was occurring in history. Calvin had strong eschatological hope about the second coming of Jesus Christ. Also, he had a present eschatological idea occurred through individual believer and churches. About this regard, Wesley and Calvin agree with each other. Wesley also asserts that God's Kingdom started in this earth. He is sure that the Kingdom was created in the heart of believers. Wesley said that God's Kingdom that started in the heart of believers was expanded to society through internal sanctification and through that, social sanctification was possible. Calvin, differently from Ruther, also stressed sanctification, the third and whipping function of the Rules. 6) Standpoint against society: Both two persons, who assert external fruit through sanctification, stick to behaviorism. Wesley rescued English society that faced the crisis of discord and separation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century through his Methodist Church Movement. Calvin also tried to expand God's Kingdom which already started in this earth owing to misjudgment of Jesus Christ, by materializing his theocratical politics in Jeneva City in the 16th centry. But the sanctification of Wesley is connected from social to universal and developed to a hew heaver and a new earth, while that of Calvin is not connected to eschatological heaven. His sanctification seems to have a sense only in this earth. It seems to originate from worry about the mysterius implicit eschatology of fanatics in those times and antipathy of the Catholic Church against natural theology that Calvin takes such passive attitude toward eschatology.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Calvin was restricted by the limit of the times, so to speak, sticked to the mission of the times. Like this, his eschatology, passive and not systematized in a certain sense, seemed to cause a negative attitude toward Protestant eschatology. It seems that such negative effect was reduced by John Wesley in the 18th century, developing into more positive, optimistic and systematic eschatology. A thesis submitted to the faculty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 Young Theologic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Theology on November, 2004.

      •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 사상 연구

        이동현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7

        칼 바르트(K. Barth)의 사상을 살펴보기 위해, 그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에게 영향을 준 사상과 신학자들을 살펴보고, 바르트가 신학교육을 통해 어떠한 신학을 배웠으며, 누구에게 가장 영향을 받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의 성장과정과 신학교육 과정에서 어떤 신학의 배경이 바르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가 주장하는 저서들에 나타난 그의 사상은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자유주의를 반대하는 그의 주장이 자유주의와 다른 점과 같은 점, 그의 변증법적인 신학방법을 살펴보고, 교의학으로 이어지는 신학형성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저서들에 나타난 주장과 특징을 통해, 계시론과 신지식, 하나님의 계시관, 성경관, 그리고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정통주의와 그가 주장하는 신정통주의와 위기신학의 정의와 차이점과 주장을 고찰하였다. 바르트의 신학적 특징을 살펴본 다음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그에 대하여 연구한 논문과 글을 통해서 바르트의 신학을 비판하고, 그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박윤선 목사가 바르트에 대하여 연구한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박윤선 목사가 정리한 바르트의 생애와 중요 신학적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바르트가 성경을 오해하고 있는 내용들을 박윤선 목사의 논문을 통해 살펴보고, 바르트의 일반 계시관, 성경관, 그리스도 부활과 무죄성, 하나님의 속성 등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변증학교수였던 코넬리우스 반틸(Cornelius Van Til)의 바르트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반틸의 원역사 개념과 그의 중심 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은 저자들의 견해와 사상을 논하므로, 저자들의 글과 논문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박윤선 목사와 반틸의 자료를 중심으로 바르트 비판을 전개하려고 노력하였다.

      • 루터와 츠빙글리의 초기 신학사상 비교 : 루터의 95개 조항과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을 중심으로

        정수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종교개혁은 독일의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교회의 정문에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공박하는 95개 조항을 게시함으로써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혹자는 루터의 95개 조항은 사면(면죄부) 문제에만 집중했다고 이해한다. 따라서 그 당시만 해도 루터는 아직 로마 가톨릭과 결별을 하지 않았던 반면, 스위스 종교개혁의 기치를 올린 츠빙글리는 - 비록 그가 67개 조항에서 기독교 교리의 몇 개 분야에만 관심을 가지긴 했지만 - 사실상 이미 로마 가톨릭과 결별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루터가 제시한 95개 조항과 츠빙글리가 제시한 67개 조항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종교개혁 후에 벌어진 루터와 츠빙글리 사이의 ‘성만찬’에 관한 논쟁만을 보더라도, 이 두 개혁자들 사이에 신학적 차이점이 존재하였으리라는 것을 쉽게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루터로부터 시작된 독일 종교개혁과 츠빙글리와 칼뱅으로 계승되는 스위스 종교개혁 사이에는 처음부터 서로 다른 기대가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루터와 츠빙글리 사이에 신학적 공통점을 찾아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종교개혁을 “단선적이고 획일적인 운동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 이해한다면,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펼쳐진 종교개혁의 상황은 다를지언정, 양대 종교 개혁자에 대한 공통점이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장로교회라는 이름으로 명맥을 이어온 개혁교회 전통을 충실히 받아들인 한국교회에서 루터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반면, 정작 개혁교회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츠빙글리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양대 개혁자의 종교개혁의 단초가 된 95개 조항과 67개 조항에 대한 비교연구 또한 많지 않은 것 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루터와 츠빙글리에 대한 비교연구를 하되, 루터의 95개 조항과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종교 개혁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범위는 시대적으로는 종교개혁 당시의 독일과 스위스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과, 신학적으로는 루터와 츠빙글리가 영향을 받은 사상들을 서술하는 것으로 하되 그들의 초기 신학사상에 국한될 것이며, 루터의 95개 조항과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을 분석하여 양대 개혁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는 것으로 한정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종교개혁의 맥락들을 살펴본 다음, 루터의 95개 조항과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루터의 95개 조항과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에 담긴 신앙과 신학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두 개혁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의 제2장에서는 종교개혁 당시의 독일과 스위스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과 함께 두 개혁자의 사상적 배경을 기술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루터의 95개 조항을 분석하고, 제4장에서는 츠빙글리의 67개 조항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루터와 츠빙글리의 신앙과 신학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하며, 제6장에서는 결론을 기술함으로써 본 논문을 맺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고는 종교개혁의 진정한 의미를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양대 개혁자의 신앙과 신학의 뿌리를 이해하도록 하며,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작은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본고를 통하여 이 시대 우리 한국교회 안에 개혁의 열정이 회복되며, 올바른 개혁교회의 상(像)이 제시되고, 한국교회의 갱신에 미력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 사회참여의 윤리에 대한 연구 : 김재준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이광호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김재준의 생애는 유·청년기를 자연인으로서 일을 준비했던 시기로, 장년기를 학교. 교회.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자로서 일했던 시기로, 노년기를 사회의 공인으로서 성숙했던 시기로 살펴보았다. 그는 당시의 다른 신학생들처럼 교권의 눈치를 보거나 자기의 출세를 고려하여 신학적 노선을 선택하지 않았다. 신학의 관심과 강조점을 학문의 연륜과 함께 다소 달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신학과 윤리는 신학순례의 경험을 배경으로 수립되었음이 틀림없기에 우리는 그의 신학기초를 살펴보았다. 김재준의 신학사상에 있어서 성서학자로서 김재준의 면모를 살펴보았지만 그는 위에서도 언급한 대로 인격에서의 자유정신과 학문적 탐구정신이 그의 성서학 연구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는 자유정신에서 교조적 성서해석 방법 가운데 하나인 축자영감설을 거부했고 그의 탐구정신에서 성서학을 교리학의 시녀로 삼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종교적인 측면에서 볼 때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종교다원주의적 입장을 공적으로 천명하고 있지는 않았는데 그것은 이 글을 쓸 때는 종교다원주의의 문제가 제기되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John Hick 나 Paul Knitter 등과 같이 신 중심적 선교신학의 입장은 분명하게 밝혀지지는 않고 있지만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그는 칼 라너나 한스 큉과 같은 카톨릭 학자의 포괄주의적 패러다임에 머물고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그에게 있어 생활신앙이란 용어는 그의 신학과 윤리의 핵심적 개념으로써 삶의 모든 부분에 신앙이 책임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활신앙은 교회의 테두리에 머물기 쉬운 정체된 신앙에 도전하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생활신앙은 신앙의 밑거름인 경건, 기도, 예배, 교제 등의 중요한 주제들을 약화할 가능성도 있음을 간과할 수는 없다. 본 논문에 있어서 김재준의 삶과 사상, 즉 실존론적인간과 인식론적시간과 공간과 실천적 참여를 과정과 결합하는 윤리의 방법으로 다루었다. 김재준은 이러한 참여의 신학적 근거를 하나님의 성육신에서 보고 있다. 김재준은 사회참여 윤리에서 사회, 교회와 국가, 이데올로기 그리고 사회참여 윤리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평화에 대해서 다루었다. 김재준은 사회관에서 오늘날의 시민을 "책임사회의 일원"으로 파악하는 데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을 주로 고백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러한 책임성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점에서 김재준은 그리스도인들과 시민들이 민주주의와 책임 사회를 위해 힘을 합해서 협력할 수 있는 것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그는 교회와 국가관에서 국가에 의한 민족주의의 악용도, 교회에 의한 민족주의의 오용도 거부하고 진정한 의미에서 민족주의, 즉 에큐메니칼, 세계적 차원에서의 민족주의 정신에 기초한 박애주의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1967년 「기독교 사상」 에 발표한 "기독교인의 정치 참여"라는 글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정치 참여의 신학적 근거를 하나님의 세계 창조와 섭리 그리고 그리스도의 메시아적 왕권 통치 사상에서 보고 있다. 그러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이런 예언자적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는 어떤 기도교 정당의 설립도 반대한다. 그리고 그는 기독교인이나 성직자들이 정치 활동하는 것을 반대하지는 않지만 꼭 기독교 정당이 정권을 잡거나 기독교인이 정권쟁취에 몰두할 필요는 없다는 견해를 보인다. 이데올로기에서 김재준은 공산주의나 자본주의 모두 상대적 이데올로기로서 각기 모순들을 가지고 있음을 정확히 인식했고 여기에서 그는 그리스도인으로서 현존하는 이데올로기적 체제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화하는 것을 그의 사명으로 알았던 것이다. 이러한 김재준의 입장 변화는1960년대 이후 서구에서 기독교와 사회주의 사이의 대화라고 하는 새로운 차원이 등장한 것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재준은 개혁교회적 전통에서 서서 모든 이념들을 상대화하려는 입장이 그를 특정 이데올로기의 맹목적 추종이나 맹목적 저주로 떨어지게 하지 않았던 것이다. 평화관에서는 안보를 평화로 보던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청산하고 개혁교회 전통에서 서서 화해의 말씀(고후 5:17)에 근거해서 평화를 이해하고 있다. 그리스도교의 평화란 안보와는 무관하며 그리스도의 화해의 말씀에 기초한 용서와 화해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안보가 평화로 이해되는 한 진정한 의미에서 평화도, 화해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김재준은 윤리학을 본격적으로 한 사람이 아니고 또 윤리학에 관한 글도 체계적으로 남긴 사람도 아니다. 그나마 김재준의 글들은 거의 모두가 아주 단편적이고 신변잡기적이기 때문에 그의 신학의 체계와 성격 속에서 사회 참여 윤리를 파악하고 규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는 그의 신학적 인간이해가 윤리 행위를 위한 지침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인간이해의 강점을 보게 된다. 그러나 그의 인간이해는 철학적, 사회과학적 차원까지 확대하여 '무엇을' '어떻게' 라는 과제부분의 구체성까지는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의 한계는 수평적 관계의 강조로 인해 수직적 관계의 일부를 약화 시킨데 있다. 김재준은 내가 계명을 준행 한다는 I-it 의 관계에서 출발하는 한 율법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독교 윤리는 I-Thou의 인격적 관계에서 출발한다면서, 신앙은 개인인 '나'와 살아 계신 그리스도 '너'와의 인격적 만남과 그 만남에 대한 ‘예!’ 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그리스도는 인간 예수만을 의미하지 않는 것은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