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란스(Thomas F. Torrance)의 신학방법론 연구

        유호종 서울장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이 개혁신학의 신학방법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사실에 관해서 과학적 방법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학적 방법의 제시는 토란스(Thomas Forsyth. Torrance, 1913-2007)의 신학방법론을 통해서 제시한다. 지식의 객관성은 대상으로부터 입증된다. 토란스 신학의 객관성은 실재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오는 신앙에 의해서 입증된다. 토란스는 이 신앙에 노출된 인간은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이것은 인간의 능동적 인식, 관념적 인식, 선험적 인식은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획득 할 수 없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신앙은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을 이끌어가는 절대적인 요소이다. 토란스 신학방법론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을 통해서, 그리고 성령의 내증에 대한 절대순종을 통해서 하나님의 고유한 본성을 이해하는 것, 즉 내부적 이해 안에서 획득된 하나님에 관한 지식이 신조와 부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것은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이 과학적 방법론 이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은 신앙의 한계 아래에서만 신학이 창출된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이 신앙은 신조의 제정을 가능하게 한다. 안셀름, 칼빈, 바르트, 맥그라스는 모두 신앙의 한계 아래에서의 신학을 주장했다. 즉, 이들의 신학방법론에서의 신앙의 역할은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에서의 신앙의 역할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것은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의 정당성을 증명한다.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상호교류와 삼위일체론을 인식하게 한다. 희랍적인 극단적 이원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상호교류를 부정한다. 그러나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은 이 극단적 이원론을 제거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상호교류를 인정한다. 이 상호교류의 교리는 성육신, 삼위일체론과 필연적인 일관성을 갖는다. 왜냐하면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에 의해서 획득되는 교리이기 때문이다. 토란스의 신학방법론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오는 신앙에 의해서만 신학이 창출된다는 사실을 절대적으로 강조한다. 본 논문은 이 논의들을 바탕으로 개혁신학의 하나님에 관한 사유방식이 정당한 인식 체계라는 사실과 이 인식 체계만이 교회로 하여금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획득하게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 포스트모던 이후의 삼위일체적 관계신학방법론 연구

        박정철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Trinitarian relational theology after post-modern era {The word “after” in the title of the thesis “after post-modern era” is not used to coincide with the word “post” in postmodern. The researcher used the word “after” to mean that the postmodern era had already begun from a certain point. Thus, the word does not entail the meanings of “post post-modernism” or “later than postmodern era”, as such.} Park. Jung Chul Graduate School of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Advisor; Prof. Today is a postmodern era, dominated by the world view of diversity. In the contemporary postmodern era, the absolute value of Christianity conflicts with the world view of diversity. Conflicting with the world view means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rest of the world. If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view is not possible, Christianity cannot answer the various questions of the world. If it cannot respond to the numerous questions that newly arise in the modern era,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embryo cloning, ecological issues, post-human, virtual reality, and so on, Christianity will ultimately lose its function as a religion. An approach to this issue is not easy because many efforts of Christianit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view of diversity, arising from such anxieties and consciousness of crisis, engenders self-contradiction of two incompatible values, that is, “absolute value” and “diversity”. If so, is it possible for Christianity’s “absolute value” and “diversity” communicate? In Christianity, the concept of “absolute value” is unconditional. At the same time, Christianity is a religion that should communicate with the world. However, diversity rejects “absolute value”. “Absolute value” is merely one of so many concepts in diversity. Nevertheless, Christianity must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is study begins here. In the era of diversity, how can Christianity preserve its absolute value, whilst communicating it with the world? What is the theological methodology that will allow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view of diversity? This study considers two points in researching the new theological methodology. First, one should not be too obsessed with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view of diversity, and forcefully pursue the theological methodology within the contextual framework of diversity. Second, all theological methodologies raised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are one of many diversities, albeit rejected or accepted in the world view of diversity. As a result of these concerns,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rchism”, which is the aporia of diversity, and taking it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diversity,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the “absolute value” of Christianity is being demanded by the world view of diversity, and thus, begin its research thereon. If Christianity stubbornly insists the deterministic world view within the current world view of diversity, it cannot communicate with the world. For a smooth communication, it requires a world wide interpretation of diversity. However, if the world view has been changed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ld view has been forcibly adapted to the changed world view, this would be a situational theology. Therefore, Christianity must find the basis of its interpretation in absolute value. The world view changed from a continuity to a discontinuity view, that is, a world view of diversity. The world view of continuity is a flow, that is, an integrated structure, a system, and universality, all connected together. However, the discontinuity world view refers to the independence, separation, and difference of each system. This is diversity. If so, what connects an individual’s independence, separation, and difference? This questions is the anarchism of diversity, and diversity of aporia to be resolved by the world view of diversity. Diversity suggests an “order of relationships” to solve this problem. Diversity, on its own, asking for “order of relationship” in diversity. This study suggests God, the absolute value of Christianity, as the “order of relationship”, which is requested by diversity itself, and uses it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diversity. To summarize the arguments and developments of this study, it will first show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deterministic world view to the postmodern world view, and suggest for the “relationship” throughout the world views. Second, it will examine the fact that the requests made by the world view of diversity itself is the “order of relationships” through the aporia of diversity and its overcoming method, and present it as a point of contact with Christianity. Third, it will suggest “God”, the absolute value of Christianity, as the “order of relationships”, suggested to be a point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diversity. Fourth, it will consider the Trinity, focusing on the Trinity as the present form of God, and suggest that it is the “human existence form” in the world view of diversity. Fifth, it will examine core keyword, “relationship”, in both world view of diversity and Trinitarian existence form. Sixth, and last, this study warns for the panentheism of social trinitarianism in evangelicalism, and suggest a Trinitarian relationship theological methodology that clarifies its distinction. According to this flow, this research will be based on the world view, diversity, the Trinity, and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evious world view of Newton, a deterministic world view, Einstein’s special, general relativity theory, which served as a driver of the world view of diversity, Heisenberg’s principle of uncertainty, and Godel’sincompleteness theorem. This is to observe what drives have acted to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world views of diversity, and to draw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that encompasse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is research. There is an aporia in this diversity that is difficult to overcome, an issue of “anarchism”. Nietzsche and Lyotard agonize to solve this problem.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able to develop its thesis through the requests from the world view of diversity, rather than suggesting the new Christianity based theological methodology to the world view is dedicated to the various aporia developed by Nietzsche and Lyotard. This is due to their point of contact with the “order of relationship”, which is suggested as a method to overcome the aporia of diversity. The two theorists, who are prominent representatives of postmodern era, request for “order of relationship” as a way of overcoming them, and this study will substitute the requested “order of relationship” with God, the absolute value of Christianity. In order to solve the diversity aporia, “order of relationship” is required. The theological methodology in this study suggests “God” of Christianity as its “order of relationship”. Here, the “Trinitized existence form” of God appears as communication form already given. This is similar in content to the modern social Trinity, but fundamentally different. If the Trinity is interpreted and presented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faced by the modern social Trinity, the Trinity in this study is interpreted and presented as the existence form of the “order of relationship” that the situations demand. Further, through this Trinitarian existential style, the methodology of the Trinitarian relation theology is presented as a new theological methodology in the contemporary era of diversity. 국문초록 포스트모던 이후의 삼위일체적 관계신학방법론 연구 (논문 제목 “포스트모던 이후의”의 ‘이후의’의 의미는 포스트모던의 ‘포스트’의 의미로 사용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연구자는 ‘이후의’의 의미를 포스트모던 시대가 어느 기점으로부터 이미 시작되었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탈포스트’, ‘후기포스트’의 의미는 이 용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현대는 다양성의 세계관이 지배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기독교의 절대가치는 다양성의 세계관과 충돌한다. 세계관과 충돌한다는 의미는 세계와 소통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세계관과 소통할 수 없다면 기독교는 세계의 다양한 질문에 응답할 수 없다. 인공지능, 배아복제, 생태환경의 문제, 포스트휴먼, 가상현실 등 새롭게 대두되는 현대의 다양한 질문에 응답할 수 없다면, 기독교는 종교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것이다. 이런 고민과 위기의식에 따라 다양성의 세계관과 소통하고자 하는 기독교의 많은 노력들은 태생적으로 ‘절대가치’와 ‘다양성’이라는 양립할 수 없는 가치의 소통이라는 자기모순을 품고 있기 때문에 그 접근이 쉽지 않다. 그렇다면 기독교의 ‘절대가치’와 ‘다양성’은 소통할 수 없는 것인가? 기독교에 있어서 ‘절대가치’는 절대적이다. 또한 기독교는 세상과 소통해야만 하는 종교이다. 그러나 다양성은 ‘절대가치’를 거부한다. 다양성 속에서 ‘절대가치’는 단지 하나의 다양성일 뿐이다. 그럼에도 기독교는 세상과 소통해야 한다. 여기에서 본 연구는 시작한다. 다양성의 시대 속에서 기독교의 절대가치를 보존하며 나아가 이 절대가치를 전하며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다양성의 세계관과 소통할 수 있는 신학방법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새로운 신학방법론을 연구함에 있어서 두 가지를 고민하였는데 그것은 첫째, 다양성의 세계관과의 소통이라는 주제에 너무 집착해서 다양성이라는 상황적 틀 속에 억지로 신학방법론을 맞추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과 둘째, 따라서 기독교의 입장에서 제기되는 모든 신학방법론은 다양성의 세계관에서 볼 때 거부되거나, 수용된다 해도 많은 다양성 중의 하나가 될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고민의 결과 본 연구는 다양성의 아포리아(aporia)인 ‘아나키즘’ (anar- chism)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기독교와 다양성의 ‘접촉점’으로 삼아 다양성의 세계관으로부터 기독교의 ‘절대가치’가 요청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신학방법론에의 연구를 시작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관’에서부터 연구를 시작한다. 다양성의 세계관 속에서 기독교가 지금까지의 결정론적 세계관을 고집한다면 세계관과 소통할 수 없다. 소통을 위해서는 다양성의 세계관적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세계관이 바뀌었다고 그 해석을 바뀐 세계관에 억지로 맞춘다면 이는 상황신학이 될 뿐이다. 따라서 기독교는 절대가치 안에서 그 해석의 근거를 찾아야 한다. 세계관은 연속성의 세계관에서 비연속성의 세계관, 즉 다양성의 세계관으로 바뀌었다. 연속성의 세계관은 하나의 흐름, 즉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된 통합된 구조, 체계, 보편을 말한다. 그러나 비연속성의 세계관은 각 체계의 독립, 분리, 차이를 말한다. 이것이 다양성이다. 그렇다면 각 개체의 독립, 분리, 차이를 연결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질문이 다양성의 아나키즘으로서 다양성의 세계관이 해결해야 할 다양성의 아포리아이다. 다양성은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관계의 질서”를 제시한다. 다양성 스스로 다양성 속에서의 “관계의 질서”를 요청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성 스스로 요청한 이 “관계의 질서”를 기독교와 다양성의 ‘접촉점’으로 삼아 기독교의 절대가치인 하나님을 이 “관계의 질서”로 제시한다. 연구의 논지와 전개를 요약하면 첫째, 결정론적 세계관에서 포스트모던 세계관으로의 이행과정과 그 동인을 통해 세계관을 관통하는 ‘관계’를 제시한다. 둘째, 다양성의 아포리아와 그 극복방법을 통해 다양성의 세계관 스스로 요청하는 것이 “관계의 질서”임을 살펴보고 이를 기독교와의 접촉점으로 제시한다. 셋째, 기독교와 다양성의 접촉점으로 제시한 “관계의 질서”를 기독교의 절대가치인 ‘하나님’으로 제시한다. 넷째, 제시된 하나님의 존재양식으로서의 삼위일체에 주목하여 삼위일체적 존재양식을 고찰하고, 이를 다양성의 세계관에 있어서의 “인간의 존재양식”으로 제시한다. 다섯째, 다양성의 세계관과 삼위일체적 존재양식의 핵심 키워드인 ‘관계’를 살펴보고 여섯째, 복음주의에 있어서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갖는 만유재신론을 경계하며 그 구분을 명확히 한 삼위일체적 관계신학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런 흐름에 따라 연구는 세계관, 다양성, 삼위일체,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세계관의 부분을 이전의 세계관인 뉴턴의 결정론적 세계관과 다양성의 세계관의 동인으로 작용한 아인슈타인의 특수, 일반 상대성이론,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정의 원리, 수학자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다루었다. 이는 세계관의 전환을 불러온 다양한 동인들의 ‘무엇’이 다양성의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불러왔는가를 살피기 위한 것으로 이는 본 연구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관계’에 논지를 주목시키기 위함이다. 결정론적 세계관은 ‘차이’를 무시하는 연속성의 세계관이다. 결정론적 세계관이 무시하는 이 ‘차이’를 포스트모던의 시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관계’로 규정한다. 이 ‘차이’, 즉 ‘관계’가 다양성의 세계관의 핵심이다. 차이와 관계에 주목하는 포스트모던은 다양성을 추구한다. 차이는 다양성이다. 따라서 다양성은 차이가 핵심이다. 차이를 핵심으로 하는 다양성의 세계관 속에서의 ‘상보성’의 의미는 “서로 보충하는 관계에 있는 성질”이라는 일반적이 해석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다양성의 세계에 있어서 ‘상보성’은 그 차이와 대립에 먼저 주목한다. 그래서 리오타르는 “토론은 합의가 아니라 불일치” J. F. Lyotard, La Condition Postmoderne (Minuit, 1979), 102, 135. 라고 말한다. 이런 다양성에는 극복하기 어려운 하나의 아포리아가 있다. 그것은 ‘아나키즘’의 문제이다. 니체와 리오타르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고민한다. 본 연구가 새로운 신학방법론은 기독교로부터 세계관에 제시하는 방법이 아닌, 다양성의 세계관으로부터의 요청을 통해 전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니체와 리오타르가 고민한 다양성의 아포리아의 극복방법에 있다. 이는 그들이 다양성의 아포리아의 극복방법으로 제시한 “관계의 질서”와의 접촉점에 의한 것이다. 포스트모던의 대표적인 이들 두 사상가는 그 극복방법으로 ‘관계의 질서“을 요청하는데, 본 연구는 그들이 요청한 ”관계의 질서“에 기독교의 절대가치인 하나님을 대입하는 것이다. 다양성의 아포리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계의 질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신학방법론은 그 “관계의 질서”로 기독교의 ‘하나님’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하나님의 존재양식인 ”삼위일체적 존재양식”이 이미 주어진 소통양식으로 등장한다. 이것은 현대 사회적 삼위일체와 내용은 유사하나, 그 토대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현대 사회적 삼위일체가 직면한 상황에 주목하여 상황 속에서 삼위일체를 해석하여 제시한 것이라면, 본 연구의 삼위일체는 상황이 요청한 ‘관계의 질서’의 존재양식을 해석하여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 삼위일체적 존재양식을 통해 다양성 시대의 새로운 신학방법론으로써 삼위일체적 관계신학방법론이 제시되는 것이다.

      • 찰스 하지와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 방법론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관계 연구

        김경호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필자는 Charles Hodge와 Herman Bavinck의 신학 방법론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평가의 기준을 개혁주의 관점에서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신학사에서 신앙과 이성의 관계는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대립형, 분리형, 조화형이다. 대립형은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적대적 혹은 갈등의 관계로 보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두가지, 즉 합리주의형과 반지성주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합리주의 형은 이성이 기준이 되어 신앙을 판단한다. 그러나 사실상은 신앙이 이성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지성주의 형은 그 반대로, 감정이 기준이 되어 신앙을 판단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신앙이 경험화 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분리형은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단절로 본다. 이성이 멈추는 그 지점에서 신앙이 시작되는 것이다. 신앙은 역설이고, 이성에 대해 우월함을 넘어 초월된다. 마지막으로 조화형이 있다. 조화형은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상호협력의 관계로 파악한다. 그러나 그 주도권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신앙우위의 이성과의 조화와 이성 우위의 신앙과의 조화, 두 가지 형이 구분된다. 결과적으로 개혁주의 관점에서 신앙과 이성의 관계 유형은 조화형이다. 더 구체적으로 신앙우위의 이성과의 조화형이다. 이는 두 가지의 기준을 제공한다. “신앙과 이성의 조화성” 그리고 조화성 안에, “신앙의 우선성”이다. 이 두 가지 기준을 분석의 틀로 해서, Hodge와 Bavinck의 신학 방법론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Hodge의 경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Hodge의 신학 방법론은 “귀납법적 방법론”이다. 이는 사실과 개념의 관계에서 사실을 우선으로 하여 개념으로 나아가는 방법이다. Hodge에게 있어서 성경은 사실의 저장소이다. 따라서 사실의 귀납을 통해 개념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Hodge의 방법론에는 인간의 정신기능의 역할이 중요한 위치에 있다. 결과적으로 Hodge의 방법론에는 신앙은 간접적으로, 이성은 직접적으로 계시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이성은 계시와 관련하여 계시를 인식하는 도구이며, 계시를 판단하는 규범이 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이성은 신앙에 우선한다. Hodge는 이성의 역할이 거부되거나 과용되는 것을 똑 같이 거절한다. 이런 점에 있어서 Hodge는 합리주의와 반지성주의의 대립형을 동시에 거절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그의 방법론은 그러한 Hodge의 주장을 오도(誤導)하게 만든다. 그 이유는 그의 방법론이 가지는 전제와 그 전제에 적합한 그의 방법론 자체 때문이다. 그는 구 프린스톤 전통속에서 “보편 실재론”을 수용하여, 베이컨의 “귀납적 방법론”을 그의 방법론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것은 “축복으로 보이는 불행”이다. 왜냐하면 그의 신학이 그의 방법론과 전제로 인해 오도(誤導)되기 때문이다. 그의 신학과 신학 방법론간에 충돌이 일어난다. 이러한 결과는 Hodge가 선택한 결과이다. 결국 Hodge는 그가 스스로 말한 것을 어긴 셈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잘못된 방법을 택한다면, 그는 자신이 가야할 목적지로 이끄는 길이 아닌 잘못된 길을 택하는 사람과 같다.” Hodge가 바로 잘못된 길을 택한 사람이다. Hodge에 대한 후대의 비판은 스스로의 선택의 몫인 것이다. Bavinck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Bavinck의 신학 방법론은 “종합적 기원적 방법론”이다. Bavinck는 세 요소, 즉 성경 교회, 기독교적 의식을 분리시키지 않고 결합시켜, 그 관계성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신학을 전개한다. 그것을 우리는 “종합적” 이라고 이해한다. 뿐만 아니라, 세 요소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결합된다. 본질원리로서 하나님, 외적 원리와 결합되는 성자, 내적 원리와 결합되는 성령님이 각각에 결합과 동시에 기원이 된다. 이것을 우리는 “기원적” 이라고 이해한다. 이런 의미에서 Bavinck의 신학 방법론은 “종합적 기원적인 방법론”이다. 따라서 Bavinck의 신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결합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신앙인 것이다. Bavinck의 신학 방법론에 나타난 신앙과 이성의 관계는, Hodge의 경우와는 달리 계시와 관련하여 신앙이 직접적으로, 이성의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그의 방법론에 신앙의 자리가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이성도 그 자리가 있지만 신앙에 비해 이성은 종속적인 위치이다. 다시 말해 “신앙하는 이성”인 것이다. Bavinck는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개혁주의 전통에 따라 “신앙우위의 이성과의 조화”로 파악하고 있다. 이런 점에 있어서 바빙크는 하지보다 개혁주의 전통에 더 충실하다. 따라서 그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그는 반지성주의와 합리주의 형을 거부한다. 인간의 주관은 진리의 기관이지 샘이 아닌 것이다. 또한 계시는 성경으로 기록되어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분리형을 거절한다. 그러나, 바빙크는 그의 방법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철학적 원리와 신학적 원리, 이중의 원리를 사용함으로써 방법론의 일관성 부재를 나타내게 된다. 이것은 곧 개념의 모호성, 다시 말해 개념의 이중성으로 나타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신앙의 개념이다. 바빙크가 말하는 직접적 확실성으로서의 신앙이란 철학적 개념으로 보아도 무방한 개념이 되고 만다. 그것은 일상적 경험 혹은 직관 혹은 지각으로 보아도 통용되는 개념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의 모호성 때문에 두 가지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첫째는 신앙의 우선성의 문제이고, 또 하나는 인식의 주체에 대한 문제이다. 바빙크에게 있어서 신앙은 경험, 지각의 개념으로 볼 수도 있는 빌미를 제공하기 때문에 신앙의 우선성이 단지 인식론적 출발점의 역할을 해주는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신앙은 지각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성에 우선한다는 것이다. 또한 Bavinck는 직-신앙을 의식의 행위로 보기 때문에, 인식의 주체가 둘이 된다. 그것은 직-신앙과 이성이다. 직-신앙이 인식한 것을 이성이 더 분명하게 인식한다는 식의 공식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이해는 신앙과 이성의 조화성 마저도 모호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 신앙은 계시 수납과 이성을 계시에 순종케 하는 힘이지 인식의 주체가 아니다. 인식은 이성이 한다. 신앙의 지도아래. 바로 이런 점에 있어서 필자는 바빙크에 대한 불만이 있다. 좀더 철저하게 개혁주의 전통의 입장에서 신학 방법론을 전개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와 Bavinck에게는 서로 상반되는 단점이 있는 것 같다. 하지는 그의 방법론의 중심을 이루는 이성에 대해 “그 이성이 어떤 이성이냐” 라는 물음을 심각하게 다루지 않음으로써, 그의 신학이 합리주의적 경향을 띠게 했다면, Bavinck 는 그의 방법론의 중심인 신앙에 대해 역시 진지하게 다루지 않음으로써 같은 실수를 범했다고 본다.

      • 개혁주의 신학방법론에 관한 소고

        공성민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本考)는 찰스 하지(Charles Hodge)와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를 중심으로 개혁주의 신학방법론, 즉 개혁주의 신학의 방법과 원리를 고찰(考察)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목회와 신학의 괴리, 즉 ‘신학 따로, 목회 따로’의 세태(世態)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개혁주의 신학방법론의 정립(正立)을 모색(摸索)하고 있다. 연구방법상에 있어서는 우선 하지와 바빙크의 생애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들의 조직신학 서론에 해당하는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제 1권의 ‘서론’ 부분과 「개혁교의학」(Gereformeerde Dogmatiek) 제 1권을 중심으로 먼저 각자의 신학방법론을 자세히 살펴본 뒤에, 제(諸) 학자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그들의 방법론을 평가, 비교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신학방법을 갱신(更新)함으로써 신학교를 살리고 한국교회를 세워나가는데 일조(一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찰스 하지는 신학의 방법에 있어서 사변적 방법과 신비적 방법을 모두 비판하고 귀납적 방법이 신학의 참된 방법임을 역설한다. 그리고 신학의 원리에 있어서는 이성(理性)에 최고의 권위를 부여하는 이성주의와 감정에 호소하는 신비주의, 교회의 무오성과 전통의 권위를 앞세우는 로마 카톨릭을 모두 비판하며,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유일무오한 법칙임을 성경의 완전 영감 교리를 들어 천명(闡明)하고 있다. 헤르만 바빙크는 신학의 방법에 있어서 교리적 자료의 취득 방편으로 성경, 교회의 고백(전통) 및 기독교적 의식(주관)의 세 가지를 말한다. 그리고 이 세 가지 방편을 종합적-근원적 방법으로 취급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신학의 원리에 있어서는 하나님께서 본질의 원리(principium essendi)이시며, 외적 인식의 원리(principium cognoscendi externum)는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님의 계시(啓示)이고, 내적 인식의 원리(principium cognoscendi internum)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믿음(fides)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원리는 서로 구별되지만 본질적으로 하나라고 하며, 로고스이신 성자를 통하여 성령 안에서 그의 피조물에게 자신을 전하시는 분은 바로 성부라고 한다. 하지와 바빙크는 신학의 방법에 있어서 하나님의 절대주권 사상에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두 사람 모두 합리주의와 신비주의를 비판하며, 성경이 유일무오한 법칙임을 천명한다. 또한 신학의 주관적 원리에 있어서는 성령의 가르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신학 연구에 있어서의 확실성을 하지는 과학적 귀납법에서 찾고 있으나, 바빙크는 오히려 신앙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또한 하지는 성경의 권위를 영감에 따른 성경무오교리로 설명하고, 바빙크는 성경의 권위를 성령의 내적 증거에 근거한 것으로 간주한다. 주관적 원리에 있어서는 하지는 거의 언급이 없는 반면, 바빙크는 성령의 증거로 말미암는 신앙을 내세우고 있다.

      •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방법론에 따른 계시와 성경

        최아람 고신대학교 선교목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모든 조직신학은 각 신학자들이 주장하는 신학방법론을 기본 바탕으로 신학 체계를 정립해나간다. 헤르만 바빙크는 세계 3대 칼빈주의 신학자 가운데 한 명이며, 개혁주의 신학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이지만, 지금까지 그의 신학이 신학방법론에 따른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그의 저서인 『개혁교의학 1』에서 나타난 신학방법론에 대해 고찰해보았으며, 신학방법론에 따른 신학 원리, 계시론, 그리고 성경론에 접근했다. 각 시대마다, 또는 그 시대의 중요한 신학자들이 주장한 신학방법론들은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주장한 종합적-근원적 방법은 성경으로부터 교리들의 발생을 추적하고 재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성경으로부터 말씀과 사실을 함께 수용하고, 상호 연관시킨다. 이 방법론에 필요한 요소인 교회의 고백서, 그리스도인의 의식, 성경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하며, 이 방법을 통해 성경이 각 교리들을 유기적이며, 체계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바빙크는 종합적-근원적 방법을 통해 신학 원리를 세워나갔는데, 신학의 원리는 존재의 원리, 외적 인식의 원리, 내적 인식의 원리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모든 존재의 원리는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그리고 하나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둘째, 외적 인식의 원리는 하나님의 계시이며, 인간이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어떤 방식으로든 계시하셨다는 뜻이다. 셋째, 내적 인식의 원리를 성령의 조명을 통한 신앙이다. 그는 이러한 신학 인식의 원리를 삼위일체론적으로 보았다. 그리고 외적 인식의 원리인 계시는 일반 계시와 특별 계시로 나누어진다. 일반 계시는 하나님께서 자연과 역사 속에 나타내신 계시로서, 인간은 죄로 인해 그 의미를 깨달을 수 없다. 특별 계시는 성경으로서, 일반 계시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성경을 통해 인간이 깨달을 수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특별 계시의 중심이 된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가 언어라는 제한적인 도구로 표현되어진 것인데, 성경으로 인해 과거의 계시가 역사가 되었다. 성경과 계시, 그리고 신학의 관계는 유기적인 관계이며, 신학의 최종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다. 성경은 계시가 성령 하나님을 통해 영감을 받아 기록되어진 것인데, 계시가 영감보다 우선되어지며, 성경이 기록될 때 영감이 반드시 필요했다. 또한 계시와 영감이 서로 인정되어져야 하며, 서로 동일시되어서도, 분리되어서도 안 된다. 유기적 영감설은 성령 하나님과 인간인 기록자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성경이 기록되어졌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신적인 부분과 인간적인 부분 모두 수용하면서도, 모든 성경이 동일한 관점 아래 쓰여진 글임을 증명하고 있다. 성경은 신적 권위를 지니며 자증한다. 그리고 인간의 구원을 위해서는 성경이 필요하며, 어느 누구라도 성경을 읽으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성경에는 구원의 각 단계들이 충실히 기록되어 있으며, 구원과 신앙에 필요한 말씀들이 모두 기록되어져 있다. 바빙크의 신학은 종합적-근원적 방법론을 통해 바라보았을 때, 각 교리마다 체계적이며, 유기적이며, 통일된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신학의 외적 원리와 내적 원리가 서로 유기적으로 상응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Systematic theology develops theological system based on the theological methods suggested by different theologians. Herman Bavinck is one of the three greatest Calvinist theologians and is a very influential in Reformed Christianity. However, studies on his theology which have been done so far seem to lack evidences to determine whether his theology followed theological methods. In this study, the theological methods from his book Reformed Dogmatics Ⅰ were examined along with theological principle, revelation and the Scripture based on the theological methods. The theological methods from each pre-eminent theologian have limits and problems. However, the synthetic-genetical method suggested by Bavinck tracks and reinterprets the occurrence of dogmas based on the Scripture, accepts both the words and the facts from the Scripture and makes a connection between them. The elements needed for the method, Church confession, Christian ritual and the Scripture should be considered synthetically. Through this method the Scripture helps each dogma to be perceived systematically and organically. Bavinck developed the theological principle through the synthetic-genetical method. The principle of theology can be divided into the principle of existence, the principle of external perception and the principle of internal perception. First, all the principle of existence is God, the knowledge of God is acquired only by God and through God. Second, the principle of external perception is God's revelation, and if a human being knows God, it means that somehow God reveals Himself. Third, the principle of internal perception is the faith through illumination by the Holy Spirit. He sees this principle of theological perception as Trinitarianism. The revelation, which is the principle of external perception, is divided into general revelation and special revelation. General revelation is that God has been revealed in the nature and histories. Human beings cannot realize this because of their sins. special revelation is the Scripture. God's will is revealed in general revelation which can be realized by human beings through the Scripture. Christ is the center of special revelation. The Scripture expresses God's revelation with languages which are limited tools. Through the Scripture, the past revelations have become history. The relation between the Scripture, revelation and theology is organic and the ultimate goal of theology is to glorify God. The Scripture is inspired to be written by revelation through the Holy Spirit. Revelation has a priority over inspiration. Inspiration was necessary when the Scripture was written. Revelation and inspiration should be related with each other, yet should not be identified nor divided. The organic inspirational theory means that the Scripture is written in the organ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writers and the Holy Spirit. It proves that the Scripture embraces both the divine and the human and all the Scripture was written from the same perspective. The Scripture has divine authority and proves itself to be so. For human salvation, the Scripture is needed and anyone who reads the Scripture can have a clear understanding without the help of others. In the Scripture, every stage of salvation is described and along with everything needed words for salvation and faith. The theology of Bavinck is systematic, organic and unified in his presentation each dogma by utilizing the synthetic-genetical methods. However, studies on whether the theological external principle organically corresponds to the internal principle remains to be examined.

      • 아돌프 폰 하르낙과 칼 바르트의 서신 교환에 나타난 신학방법론에 관한 연구

        서진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nack)과 칼 바르트(Karl Barth)의 서신 교환을 신학 방법론의 측면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폰 하르낙과 바르트의 서신 교환은 분량은 많지 않지만, 고도로 집중된 신학적 인 논의가 담긴 문서다. 이와 같이 두 신학자의 신학이 집중되었기에, 이 문서는 폰 하르낙과 초기 바르트 신학에 대한 간략한 입문서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 이 시기의 바르트에게 유비 신학의 씨앗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폰 하르낙이 근대의 자유주의를, 바르트가 근대 이후의 변증법적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인 만큼, 이 문서에는 단순히 두 신학자의 논의가 아니라, 두 시대와 두 사 조의 충돌이 담겨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국내에서 이 문서는 바르트의 신학적인 발전 가운데 벌여졌던 하나의 사건 정도로만 취급되고, 정작 내용이나 신학적인 의 미는 거의 다루어지지도 않았고, 심지어 전문이 아직 번역이 안 되었을 정도다. 본 논문에서는 서신 교환에 담겨있는 신학적인 논의를 분석할 것이다. 특히 이 신학적인 논의들을 방법론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각 신학자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 는 신학의 출발점, 자리 그리고 학문성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또한 이 분석을 기 반으로 두 신학자 사이에 나타나는 방법론의 대조, 특히 시대적인 영향력과, 더 나 아가서 방법론적인 체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까지 다룰 것이다. 그 이후에 서신 교환 이후의 바르트 신학을 다룰 것이다. 바르트는 서신 교환 이후에 많은 변화와 발전을 겪었기 때문에 오늘날 널리 알려진 바르트의 모습에 이르는 변화를 간략히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두 신학자들에 대한 방법론의 고찰을 따라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방법론의 성찰을 다루었다.

      • 이정용의 신학방법론 : 음양상징적 사유와 주변성을 중심으로

        김현수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주역의 우주관에 근거한 이정용의 신학방법론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동시에 그의 신학적 방법론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정용의 신학방법론은 음양상징적 사유방식과 주변성의 개념으로 구성된다. 음양상징적 사유는 이정용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동양문화와 그 문화적 뿌리에 근거한다. 반면 주변성은 이정용이 미국에서 겪은 소수인종의 현실에 대한 통찰에 근거하고 있다. 음양상징적 사유가 이정용의 내면적 상황을 체계화한 인식의 요소라면 주변성은 외면적 요소를 체계화한 것이다. 사람의 몸과 정신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과 같이 음양상징적 사유와 주변성은 서로 조화하여 이정용의 신학속에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Ⅱ장에서는 이정용의 생애와 신학적 전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것은 이정용의 신학이 자서전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근현대사의 고통과 두 세계 사이에 끼여있는(In-between)상황을 반영한 그의 삶은 주변인으로 가장 잘 묘사된다. 그리고 이정용의 신학을 시기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초기 신학에서 이정용은 서구 신학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러나 오터바인과 노스 타코타 대학에서 동양철학과 종교를 가르치게 되면서 이정용은 동양의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었다. 후기 신학에 해당하는 드류 시절은 이정용의 동양적 신학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였다. Ⅲ장에서는 이정용의 신학이해를 살펴보았다. 먼저 이정용은 신학을 자서전적인 것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이정용의 신학이 자전적 삶의 요소를 반영하는 신학임을 의미한다. 이정용에 따르면 자신의 삶과 유리된 신학은 추상적인 신학이며 헛된 목소리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이정용의 신학은 자신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하지만 자신의 삶을 반영하는 신학은 개인적인 신학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또한 공동의 경험과 연결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정용은 모든 신학을 상황적으로 이해한다. 이정용에 의하면 우리는 하나님을 직접적으로 알 수 없다. 우리가 하나님을 말할 때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말하는 것이며 그런 이해는 하나님 자신과 동일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정용은 신적 실체에 대한 추구는 상징적 추구라고 말한다. 이정용은 상징체계가 자신의 배경에 따라 다양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상황성의 문제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정용의 관점은 모든 신학적 진술의 상대적인 성격을 지적하는 동시에 포괄적 자세의 요청으로 귀결된다. Ⅳ장에서는 이정용의 신학방법론으로서 음양상징적 사유방식과 주변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정용의 음양사유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이원론적 사고로 인해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원론에 기초한 양자택일의 사유를 극복하는 것은 중요한 신학적 과제이다. 이정용에 따르면 양자택일의 사유는 배중률의 논리에 근거하기 때문에 신학에 적합하지 않은 사유이다. 이정용은 상대적 세계관에 기초하는 포괄적 사유방식을 제시한다. 그것이 음양상징에 기초한 음양상징적 사유방식이다. 필자는 이정용의 음양사유를 음양관계의 특징에 따라 ‘비이원론적 양극성’, ‘변화의 우선성’, ‘상호관계성’, ‘서로에 대한 제한성’, ‘전체의 우선성’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모든 특성을 종합하여 양자모두의 사고로서 음양사유를 알아보았다. 이정용의 음양사유는 양자모두의 가능성을 인정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신학적 사유로서 적합한 사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변성은 음양사유와 함께 이정용에게 중요한 인식의 뼈대를 제공한다. 고전적 의미의 주변성은 두 세계에 살면서 어느 세계에도 속하지 못하는 두 세계 사이에 끼여있는(in-between) 주변인의 모습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주변성은 이중적인 부정의 형태로 나타난다. 반면에 현대적 의미의 주변성은 두 세계에 거하면서 두 세계를 모두(in-both) 인정한다. 두 세계 모두라는 현대적인 정의는 두 세계 사이라는 고전적인 정의에 대하여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현대적 정의만으로는 부족하다. 고전적인 정의는 실존적 현실로서 여전히 존재한다. 이정용은 고전적 정의와 현대적 정의를 포함하는 초월적 주변성을 제안한다. 초월적 주변성은 고전적 주변성과 현대적 주변성 둘 모두를 의미한다. 주변은 창조적 핵이 되며 새로운 주변부를 구성한다. 이정용은 주변성의 신학은 주변적인 관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이정용은 주변적 사유를 제안한다. 주변적 사유는 양자부정과 양자모두의 논리가 상호연관 되어있는 사유방식이다. 이정용은 주변적 사유가 기독교적 사유방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기독교 인식론의 에큐메니컬 토대로서의 신학적 미학 연구

        이상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기독교 인식론을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으로 접근한 것으로 인간의 본유적 인식 속에 아름다움의 자리가 있음을 전제하며, 이러한 미학적 인식이 기독교 인식론에 있어 계시를 매개하는 인간의 경험임을 제시했다. 특별히 개신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로 대표되는 상이한 기독교 전통에서도 아름다움을 통한 기독교 인식론의 토대는 동일하다는 전제로 에큐메니컬 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철학적 인식론과 기독교 인식론을 구별하여 본 논문의 연구범위를 기독교 인식론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미학적 신학과 신학적 미학을 구분하여 기독교 인식론 분야는 미학적 신학이 아닌 신학적 미학이 적합한 신학방법론임을 다루었다. 이는 종교학이나 문화인류학, 심리학 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내적 감각이 아닌, 계시에 대한 우선적 전제와 이해 위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경험을 서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이라는 개념의 다양한 변용을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살펴보고 지금의 아름다움의 개념은 근대 바움가르텐에 의해 미학의 학문화가 이루어지고 세밀해지는 것과 동시에, 개념 역시 협소해졌음을 살펴보았다. 아름다움에 대한 고대적 이해는 지금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풍부한, 지고의 가치로 이해되었다. 아름다움은 인간 문화의 산물이나 단순한 내면의 감각이 아닌 하나님의 주된 속성이며, 하나님의 형상개념으로도 이해가능하다. 하나님은 근원적이고 절대적인 아름다움이시며 하나님의 형상으로 피조 된 인간은 그 아름다움을 분여받았다. 이는 기독교 인식론에 있어서 하나님의 미를 인식하는 인식론적 접촉점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논리적이고 철학적 언어의 신학방법론의 한계를 감각적이고 경험적인 언어를 활용한 신학방법론을 통해 보완이 가능함을 제시한다. 신학은 기본적으로 초월에 관한 학문이다. 한계가 분명한 인간의 인식에 불가형언(不可形言)적 이해를 요청하는 초월은 경험적이고 감각적인 술어를 요청한다. 이는 오늘날 감각적 시대에 적합한 복음의 변증이요 설득이 될 것이다.

      • 개혁주의생명신학 신학방법론을 위한 이성의 사용에 대한 연구 : - 존 칼빈과 찰스 핫지를 중심으로 -

        이미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현대의 신학이 지나치게 현대학문에 종속되어 신학 본래의 지위와 영적 생명력을 상실한 것을 반성하고 다시 신학 본래의 지위와 영적 생명력을 회복하고자 하는 신학회복운동이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란 선언은 이러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정체성을 잘 드러내어 준다. 이 선언의 의미는 신학은 현대주의 학문의 학문방법과 학문관에 따른 학문의 일종이 아니라는 것이다. 신학이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이라고 할 때 성경과 하나님과 하나님의 뜻은 모두 영적인 성격을 갖는다. 영적인 것은 영적인 것으로 분별한다는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신학 방법론으로 자연적 이성이 아닌 거듭난 이성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방법론을 확증하기 위하여 이성의 가치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칼빈과 핫지의 신학방법론에서 이성의 가치와 한계에 대한 이해를 비교하고자 한다. 핫지는 당대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에 맞서 개혁주의 신학을 옹호하고자 했으나 그럼에도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의 영향으로 신학의 객관성을 중요시함으로 핫지에게 이성은 자연적 이성과 거듭난 이성의 구별이 모호하다. 한편, 칼빈은 당대 스콜라신학에 맞서 신학은 자연적 이성으로는 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이 거듭난 이성만이 신학을 할 수 있다는, 그럼으로 신학은 자연적 이성으로 할 수 있는 학문이 아니라는 주장은 이러한 칼빈의 신학 방법론을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Reformed Life Theology is a theological restoration movement that recognizes that modern theology has lost its original status and spiritual vitality due to its subordination to modern scholarship and seeks to restore it. The declaration that "Theology is not an academic discipline" characterizes the identity of Reformed Life Theology. What this means is that theology is not a academic discipline according to modernist academic methods. If theology is the knowledge of God and God's will as revealed in Scripture, then both Scripture and God and God's will are of a spiritual nature. Following the biblical teaching that spiritual things are discerned by spiritual things, Reformed Life Theology emphasizes ‘regenerate reason’ rather than ‘natural reason’ as a theological methodolog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value and limitations of reason in order to affirm this theological methodology of Reformed Life Theology. To do so, I will compare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limits of reason in the theological methodologies of Calvin and Hodge. Although Hodge sought to defend Reformed theology against the challenges of liberal theology in his day, he nevertheless emphasized the objectivity of theology under the influence of Scottish common sense philosophy, so the distinction between natural and regenerate reason was blurred for Hodge. Calvin,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at theology cannot be done by natural reason in response to the scholastic theology of his day. The insistence of Reformed Life Theology that only regenerate reason can do theology, and therefore that theology is not an academic discipline that can be done by natural reason, follows Calvin's methodology of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