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와 인터넷사용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 수준의 차이

        유승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66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인터넷 사용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 수준의 차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의 개인적 특성은 성별, 중학교 2학년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은 신체활동 참여 정도(주당 참여 횟수, 하루평균 신체활동 참여 시간), 인터넷 중독 원인(접근 용이, 온라인상 우월감, 오락적 요소), 주요 인터넷 사용 활동(학습사이트, 정보검색, 게임, 채팅), 인터넷중독 유형(채팅 중독, 게임 중독, 정보검색 중독, 사이버거래 중독)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정서·평가적 지지, 정보·물질적 지지), 자기통제력(정서·사려숙고, 과제·유혹저항, 친구·교사관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송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이 조사대상이며, 3개의 중학교를 편의표집하여 18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체활동에 대한 테도 설문지는 원지연(2005)의 설문지를 인터넷중독에 대한 설문지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5)의 설문지를 사회적 지지 설문지는 박지원(1985)의 설문지를, 자기통제력 설문지는 이경님(2000)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 수행에 적합한 항목만을 선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는 SPSS WIN V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인터넷 사용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에 대한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인터넷 사용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 수준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에 차이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신체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 통제력의 차이에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에서는 신체활동 주당 참여 횟수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정서·평가적 지지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셋째, 인터넷중독 원인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의 차이에 있어서는 자기통제력의 하위 요인인 과제·유혹저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 넷째, 주요 인터넷 사용 활동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의 차이에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인터넷중독 유형에 따른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사회적 지지, 자기통제력의 차이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for relieving the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us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the gender and the grade (it was fixed to the second grader of the middle schoo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physical activity(weekly participation, daily duration time). the causes of the Internet addiction(accessibility, sense of superiority in the Net, entertaining factor), major Internet use behavior(e-learning, information searching, game and chatting) and the types of the Internet addiction(chatting addiction, game addiction, information searching addiction and online shopping addic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attitude toward athletic action, social upholding (emotional and estimative support, informational and material backing)and self-control ability(emotional and considerate meditation, resistance to assignment and seduction, self-control connected with friends an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rs at middle school located in Songpa area, I conveniently selected 3 middle schools and finally analyzed 188 samples. The tool of this research was the questionnaire. For the questionnaire about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I employed Ji-Yeon, Won(2005)'s paper, to find out about Internet addiction, I utilized the questionnaire by KADO(Korea Agency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2005), as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I made up questions based on Ji-Won, Park(1985)'s research, and as the self-control questionnaire, I selected that of Kyung-Nim, Lee(2000) and made the final questionnaire by selecting appropriate items from thos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 employed following methods with the use of SPSS WIN v13.0. Firs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athletic activity,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I executed χ^(2) test and t-test. Second,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social back-up and self-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features of the Internet use, I performed t-test, one-way ANOVA and as the post-hoc analysis, Scheffe was done. Like the abov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play,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features of the Internet use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self-management by the gender, statistical difference appeared in the self-control. Second, as for the conduct toward athletic activity,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degrees of participating in athletic activity, the social back-up according to weekly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emo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showed difference. Third, as for the behavior toward bodily act,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 Internet addiction, the resistance to assignment and temptation, the subfactor of the self-control indicated statistical gap. Fourth, as for th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jor action of the Internet use, the social support the self control revealed statistical change. Fifth, as for the behavior toward athletic activity, social back-up and self-control by the types of the Internet addiction, no difference demonstrated.

      • 폐경 전 유방암환자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

        정금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4924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 본 연구는 폐경 전 유방암환자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일개 병원 폐경 전 유방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을 확인하고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체적(증상 경험, 신체활동), 심리적(불안 및 우울,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시 소재 Y 대학 병원 유방암 센터를 방문하여 유방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환자로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총 111명이 참여 하였으며 최종 110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2017년 9월 18일부터 2018년 12월 7일 기간 내에 연구자가 직접 만나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으며 동의서를 받은 후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암환자 증상경험은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Cancer Module (MDASI), 신체활동은 The International Consensus Group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불안과 우울은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인 신념과 태도는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DBAS-16)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 Pearson 상관관계계수와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수면의 질 척도인 PSQI의 평균 점수는 7.22점이었으며 76.4%(84명)가 수면의 질이 낮은 군(PSQI≧5)으로 확인 되었다. 대상자의 증상 경험 중 중등도 이상의 증상을 호소한 증상은 피로(3.67±2.72), 수면장애(3.34±,3.29), 졸림(3.11±2.97), 슬픔(2.81±3.32)의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총 신체활동은 평균 2764.24±2922.53 MET였으며, 건강증진 활동군 50.0%(55명), 최소한의 활동군 31.8%(35명), 비활동군 18.2%(20명) 이었다. 대상자의 병원-불안 점수의 평균은 8.86±3.62점으로 32.7%(13명)이 중등도(≧11)이상의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병원-우울 점수는 평균6.28±2.30점으로 전체 대상자 중 2.7%(3명)이 중등도(≧11)이상의 우울을 호소하였다. 대상자의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의 평균은 72.72±31.28점으로 확인 되었다. 2. 수면의 질이 낮은 군(PSQI≧ 5)과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PSQI< 5)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결혼 상태가 수면의 질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49) 암 진단 전 수면 문제가 있었을 경우 수면의 질이 저하되어 있었다(p<.002). 증상경험은 수면의 질이 낮은 군(PSQI≧ 5)이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PSQI< 5)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하지만 신체 활동 영역에서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안(p<.001) 및 우울(p<.002), 수면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p<.001)는 수면의 질이 낮은 군(PSQI≧5)이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PSQI< 5)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과 증상경험(r=.514, p<.001), 불안(r=.457,p<.001), 우울(r=.310, p<.001), DBAS-16(r=.51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한 결과 암 진단 전 수면장애와 증상경험 또는 불안과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가 낮은 수면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 유방암환자의 수면의 질 관련 요인으로 암 진단이전 수면장애, 증상경험, 불안,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폐경 전 유방암 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