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앙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교육의 성례 연구

        이윤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학 분야의 교육이론인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기반으로 기독교교육적 차원에서 기독교 신앙공동체의 전통이요, 유산인 성례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로서 기독교 신앙공동체의 정체성과 자기 인식을 곤고히 하고, 신앙공동체를 둘러싼 도전적인 상황을 극복하는데 대한 대안으로서의 성례를 통한 기독교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이론적 근거의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의 전반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개괄하였고, 이와 함께 신앙공동체의 성서적 근거 역시 살펴보았다. 또한 기독교 신앙공동체의 역사적 전통인 성례에 대해 고찰하면서 이를 근거로 성례를 통한 기독교교육을 제안할 수 있는 가능성의 여지를 제시하였으며,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근거로 한 기독교교육적 성례 교육을 제안하기 위하여 사회화-문화화 교육모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제시된 성례를 통한 교육 내용들은 신앙공동체를 위하여 시행될 수 있는 기독교교육적 차원의 교육내용으로서 기독교 신앙공동체의 역사와 전통에 근거한 것이다. 본 고는 신앙공동체의 교육을 위한 의례와 예전의 유용을 중요하게 보고, 이를 통하여 신앙공동체와 그 구성원들이 의미 있는 기독교교육적 경험을 하게 되며, 이러한 교육적 경험이 오늘날의 신앙공동체가 기독교 신앙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며 신앙공동체를 보다 견실하고 활력 있게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sacrament in christian community on christian education. The sacrament is based on tradition of historical christian community. It need to reflect for way of christian education in today: christian faith community is confused by Individualism, television & Culture, transforming to Information Society, cultural pluralism. Before presenting sacraments to using on christian field in today, this study reviewed backgrounds of origin of christian faith community in bible and foundation of sacrament in church history: the early church, the middle church, the reformation church, the modern church, and new understanding of sacrament on these days. This study is consisted of five chapters and outline of each chapter is listed as below. In chapter one, problem and question of the research and the purpose & aim were stated. In chapter two, the study researches to faith community as nation of God, body of Christ in bible and also research to faith community as christian education theory. after this present to faith community for shaping organic relationship, transmitting to faith, sharing to ritual. In chapter three, the study researches about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sacrament and reviewed on foundation of sacrament and also researches the conception and elements of liturgy. In chapter four, the study represents the concept of christian education on sacrament, Socialization-Enculturation Model. This model indicates (1) Sacrament for communicating and sharing of symbol. (2) Sacrament for socialization of faith community members. (3) Sacrament for caring Rites of Passage of faith community members. In same chapter, the study indicates usable model of sacraments on faith community member's situation and passage of life: conformation(for youth, young adult, middle age), Sacrament of Vocation, The Sacrament of Confession, Sacrament of Healing and Sacrament of Footwashing. In chapter five, the study abstract of the main idea and text. In conclusion, the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the church as christian community in Korea has to prepare more effective and traditional education for its congregation by sacrament. The sacrament is important and significant fortune, and it still effective and systematic way of christian education in christian faith community.

      • 신앙 공동체 이론을 통해서 본 농촌교회 노인교육의 방안

        김상중 全州大學校 宣敎神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노인은 더 이상 배우지 않아도 된다.'는 사회적 통념으로 인해 노인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에서조차 노인을 교육의 대상에서 제외시켜 왔음을 보았다. 이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회의 신앙공동체를 통하여 노인교육을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 있는 이론을 정립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이제 한국 교회에서도 노년층의 비중은 점점 높아만 가고 있다. 그동안의 한국교회는 성장하는 교회였다. 그러나 이제는 성숙한 교회로, 사명을 감당하는 교회로 거듭나야 하는 시점에 서있다. 한국 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 그 가운데 바로 교회의 노인들을 위한 교육의 문제이다. 특히, 농촌교회의 노인교육은 더욱 심각한 실태에 있다. 지금까지 노인은 교회의 교육에서 소외되어 있었다. 교회라는 공동체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그들을 그대로 방치해 둘 수 는 없는 것이다. 이제는 노인교육에 시선을 돌려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남은 여생을 의미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선 교회는 효과적인 노인교육을 위해서 노인을 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과거에 노인들은 교육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존재들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하나님의 교역의 대상과 신앙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노인을 이해할 때, 그리고 성서를 통하여 볼 때, 하나님과 함께 하는 노년의 삶은 매우 값진 것이며, 그리고 이들을 위한 교육적인 시도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를 위해서도 매우 값진 것임을 알게 되었다. 위의 사실에 기초하여 노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교회의 신앙공동체 교육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 신앙공동체가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 연구: : 제네바, 보스턴, 춘천의 3개 도시 비교를 중심으로

        이은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faith community on social change. The faith community presented in this paper refers to a group of people who share faith as a value among a community, which is a group of people with common values and identities in a specific social space. This thesis begins with the research question of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describe academically the influence that such a community of faith has had on social change in a particular era. Social change is defined in this thesis as meaning the change in the social structure, that is, structural or institutional change in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this way, in this study, cases were studied and analyzed in which a group of people who shared faith as a value in a particular era changed society through institutional formation. The three cities selected for the study are cities that led social change at key inflection points of human history through the formation of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by institutional entrepreneurs inspired by their faith. The cities selected are the Geneva of John Calvin's era, the Boston of John Winthrop's time, and Chuncheon in the time of Kim Jun-gon. Calvin's Geneva was a city that influenced individuals, society and the nation through the 16th 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Boston was a city of Puritans in the New World, which created the seedbed for American democracy to bloom in the Reformation spirit of 17th century Boston. Chuncheon was the first city where the Seongsihwa Movement, a movement to build a holy city modeled after the spirit of Calvin's Geneva, took place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Taking the faith communities in the three cities as the idea and the multiple communities belonging to them as the research object, I tried to find the mechanism of institutional formation by trac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change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for the three cities by using the case comparison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 The analytical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is the framework presented by Peter Boettke, who analyzed the formation of ideas and institutions and social changes based on the theory of new institutionalism. Boettke said that the community of faith should be a messenger that influences the institutions of society. As such, this thesis conducted research with faith as the core idea, but addresses institutionalism more than theology. In other words, this paper analyzes how an institutional entrepreneur with the underlying idea of faith forms institutions through a community of faith in a specific place and influences social change.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three cities of Geneva, Boston and Chuncheon as comparative exampl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ith communities of the three cities attempted soci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Geneva's Reformation spirit led to urban transformation, Boston became a major city in the founding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spirit of Puritanism based on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and Chuncheon is a city modeled after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of Geneva. Second, the time periods being examined in the three cities were inflection points of the era. Geneva is a city that provided an important ideological foundation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medieval feudal society to modern civil society. Boston is a city tha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 new social system based on the Protestant spirit, freed from the monarchy and bishops. Chuncheon is the first city where the urban holiness movement, which believes that the evangelical change of people causes the change of the city, occurred when Korea was experiencing economic reviva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rd, these case studies were selected because in them it is possible to trac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and by faith communities led by institutional entrepreneurs, based on faith as an idea, and the resulting social change, and thereby to analyze the underlying mechanisms. Given these distinctives, the case comparison research method and the pattern matching research method 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se example cities,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s were formed through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 power of a religious community centered on institutional entrepreneurs and the secular power of civil government. The two powers formed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through a combination of mutual harmony, agreement and tension, which influenced social change. This study's originality lies in this analysis.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three cities of Geneva, Boston and Chuncheon, it was confirmed that faith communities based on faith formed institutions through institutional entrepreneurs and eventually influenced social change. The analysis in this study reveals the direction of flow in the process of forming institutions from freedom of personal faith to independence of the church from the secular authority and then to freedom of religion. Freedom of religion has expanded over time, which has led to changes in wider society. This expansion comes from the changes that took place as institutions were formed by institutional entrepreneurs. These research results also have implications for North Korean society.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in each area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신앙공동체가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신앙공동체는 특정한 사회적 공간에서 공통의 가치와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인 공동체 중에서 신앙을 가치로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이러한 신앙공동체가 특정 시대에 사회 변화에 미쳤을 영향을 학술적으로 기술해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연구 질문에서 본 논문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규정하는 사회 변화란, 사회구조의 변동을 의미하는데,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영역에서의 구조적, 즉 제도적인 변화를 말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시대에 신앙을 가치로 공유한 사람들의 집단이 제도 형성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킨 사례를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정한 3개 도시는, 인류 역사의 변곡점에서 신앙을 아이디어로 한 제도적 사업가에 의해 공식, 비공식적으로 제도를 형성하여 사회 변화를 이끌었던 도시들이다. 그 도시는 칼뱅(John Calvin)의 제네바(Geneva)와 존 윈스럽(John Winthrop)의 보스턴(Boston), 그리고 김준곤의 성시화 도시 춘천이다. 칼뱅의 제네바는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개인, 사회, 국가 그리고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도시이다. 보스턴은 17세기에 종교개혁 정신으로 미국 민주주의를 꽃피우도록 모판을 만든 신대륙 청교도의 도시이다. 춘천은 20세기 대한민국에서 칼뱅의 제네바 정신을 모델로 한 도시라도 거룩하게 만들어 보자는 운동인 성시화운동이 처음 일어난 도시이다. 3개의 도시 안에 신앙을 아이디어로 결집한 신앙공동체와 그 안에 속한 다중적인 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변화를 추적하여 제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인 사례 비교연구방법을 활용하여 3개 도시를 대상으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였고, 분석 방법은 이 자료들 간의 일치점과 연구의 타당성을 분석해 내기 위한 분석틀을 활용한 패턴매칭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에서 활용한 분석틀은, 신제도주의 이론에 의한 아이디어와 제도 형성 그리고 사회 변화를 분석한 피터 베키(Peter Boettke)가 제시한 틀이다. 베키는 신앙공동체가 사회의 제도와 영향을 끼치는 전달자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은 신앙을 핵심 아이디어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신학적인 면보다 제도주의에 더 접근한 연구이다. 즉 아이디어인 신앙을 배경으로 한 제도적 사업가가 특정 공간에서 신앙공동체를 통해 어떻게 제도를 형성하고,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 분석한 논문이다.    본 연구에서 3개 도시인 제네바, 보스턴 그리고 춘천을 비교 사례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3개 도시의 신앙공동체는 종교개혁 정신을 기반으로 사회 변혁을 시도했다. 제네바는 종교개혁 정신으로 도시 변혁을 일으켰고, 보스턴은 종교개혁 정신이 기반이 된 청교도 정신으로 미국 건국의 주요 도시가 되었고, 춘천은 제네바의 종교개혁 정신을 모델로 삼은 도시이다. 둘째는 3개의 도시는 시대의 변곡점에 있었다. 제네바의 경우는 중세 봉건사회에서 근대 시민사회로 넘어가는 시점에 중요한 사상적인 기반을 제공한 도시이다. 보스턴은 왕정과 주교 체제에서 벗어나 프로테스탄트 정신으로 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 체제를 만든 기틀을 마련한 도시이다. 춘천은 대한민국이 20세기 초입에 경제적 부흥을 일으키고 있을 때, 사람의 복음적 변화가 도시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도시 거룩 운동이 최초로 일어난 도시이다. 셋째, 본 사례들은 신앙을 아이디어로 한 신앙공동체가 제도적 사업가를 통해 공식, 비공식 제도를 형성하는 과정과 사회 변화를 추적하여 메커니즘을 분석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배경으로 사례 비교 연구 방법과 패턴매칭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제도적 사업가를 중심으로 한 신앙공동체인 영적 권력과 시민 정부인 세속권력과의 다양한 관계 형태를 통해 제도를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권력은 서로 조화, 합의, 긴장이라는 형태로 공식, 비공식 제도를 형성하였고, 그로 인해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본 연구의 독창성이다. 즉, 제네바, 보스턴, 춘천의 3개 도시를 연구하고 분석한 결과, 신앙을 아이디어로 한 신앙공동체는 제도적 사업가를 통해 제도를 형성하였고, 결국 사회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 분석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제도를 형성해가는 과정에서 개인 신앙의 자유가 교회의 자유로, 그리고 종교의 자유로의 흐름을 분석한 것이다. 단지 신앙의 자유를 제도적으로 확장시켰는데, 인류 사회에 있어서도 변화가 확장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은 제도적 사업가에 의해 제도로 형성되면서 일어난 변화들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북한 사회에 주는 시사점이기도 하다. 향후 이에 관한 영역별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신앙공동체를 통한 농촌교회 활성화 방안 : 봉곡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조수태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proposed a faith community education theory to the alternative which the rural church is today in face of position to overcome the situation. In a farm village faith community today we prepared the basis which Christianity education can be useful affirmatively through the case of the rural church of an community activity. Old men are keeping the place of young men to leave in now a farm village. The rural church have been faced consequently with the difficulty. The rural church agonizes the difficulty of a farm village together, Therefore we presented the faith association to the alternative to cooperate. An community meaned which is the origin in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looked into briefly about an association concept of the Westerhoff Ⅲ and looked into and the koinonia of Bible faith community. The koinonia focuses on Christ say the association to be achieved in the relation of God and neighborhood. Faith community explained that are an expression food of the faith which is represented by the life of Christian. Faith community explained secondly to a Bible meaning about the body of a people of God and the body of Christ. We pursue the life to be the community, looked into the faith community of Old and New Testament on the basis for an community recovery of the church. Bible meaning of the community pursues the life to be the community to the conclusion. The chapter Ⅲ try today to get the discernment representative scholars of a faith community education theory at the stage society. Christianity faith is brought up and is modified and through the community. Nest consider the form of a faith association education with the principle of the education. We look into about the contribution of a faith community education and limit. A faith community rol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According to an education theory of a faith community have the facility which all life of the community teaches. The chapter Ⅳ diagnose the farm village and reality which the rural church is sick and goes. It look into the program to recover the community through Bonggog Presbyterian Church case. A farm village is more difficult for the advanced age, the finance change for worse, believer degrade, the industrialization labor degrade. The problem of a farm village is equal Bonggog Presbyterian Church to the problem of the rural church. It tried to attempt the activation of the rural church through the program which the is executing. The chapter Ⅴ introduced the desire with the summary.

      • 신앙공동체 이론의 기초에서 본 세대통합예배

        이남철 고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까지 한국교회는 급성장하였다. 그러나 지금의 한국교회는 성장이 멈추었을 뿐 아니라 급격한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에 따라 한국교회는 교회 성장과 갱신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현대사회의 급속한 문화적 변화 현상에 따라 예배 변화의 시대를 지나가고 있다. 그러나 쇠퇴기에 접어든 한국교회는 급격하게 세대별 예배, 세대 간의 분리 예배가 형성되면서 신앙공동체로서의 교회의 기능이 약화되었을 뿐 아니라 신앙전승에도 문제점이 드러났다. 여기에 대한 대안으로 몇몇 기독교교육학자들은 이미 세속주의, 다원주의 그리고 개인주의로 인해 신앙전승의 위기에 직면한 교회에 대하여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엘리스 넬슨(C. Ellis Nelson)이나 존 웨스터호프 Ⅲ(J. H. Westerhoff Ⅲ)는 사회화, 문화화로서의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로렌스 리처즈(L. O. Richards)는 교회론에 근거한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통해 신앙공동체를 강조한다. 넬슨과 웨스터호프, 그리고 리처즈는 한결같이 공동체의 역동적인 힘을 주장한다. 신앙공동체가 개인의 신앙을 형성시켜 준다는 것을 교육이론의 기본 틀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지만 ‘사회화’와 ‘교회론’의 제한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므로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론이 주는 긍정적인 부분을 적극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제한성을 극복한 진지한 모색과 적절할 교육 모델을 다시 설정해야 할 요청을 받고 있다. 본 연구자는 그 교육적 모델을 세대통합예배에 두고자 한다.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주장하는 신앙교육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신앙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신앙의 내용과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생명력 있게 전달, 전수하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세대통합예배를 통하여 신앙전승의 가능성과 세대통합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들이 같은 장소에서 같은 예배를 드림으로 함께 춤추며 찬양할 수 있는 좋은 장(context)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교회의 활성화의 가능성 또한 발견된다. 신앙공동체 교육 이론가들은 신앙공동체의 교육의 장은 모든 세대들이 함께하는 공동체임을 공감한다. 여러 가지 활동들과 사역들을 감당하면서 자연스럽게 교육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혼란이나 갈등을, 외부적인 위협에 의한 도전과 시련과 압력을 극복해가면서 신앙이 형성된다. 신앙전승은 어떤 교수법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신앙은 역동하는 신앙공동체 안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이 가능하다. 그 신앙이 주는 의미는 신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들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된다. 신앙공동체 안에서의 세대통합예배는 모든 세대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독교 신앙이 자연스럽게 불러일으켜지고 자각되며 전승된다. 세대통합예배는 유행이 아니라 구약교회와 신약교회가 그랬고, 전통적인 개혁교회가 그러했듯이 신앙공동체 회복과 신앙전승을 위해 세대통합예배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세대통합예배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세대를 초월한 동일한 신앙과 목적을 공유하는 것이 단순히 세대가 함께 한다는 의미 이상의 가치와 다음세대의 미래를 여는 길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 신앙공동체의 영적 리더십 연구

        권영덕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Ⅰ장에서는 논문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를 소개할 것이다. 제 Ⅱ장에서는 신앙공동체의 시작을 창조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하나님의 성품과 그리스도와의 사귐의 측면에서 살필 것이다. 또 교회와 공동체의 어원적 의미를 살펴보고, 그리스도의 제자직으로서 신앙공동체를 살펴 볼 것이다. 더불어 교회의 역사 속에서 진행되어왔던 공동체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서 공동체의 발전을 살피고, 예수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 하나님의 가족으로서의 신앙공동체의 형태와 역할을 규명하려고 한다. 제 Ⅲ장에서는 최근에 두드러진 교회의 리더중심의 리더십의 문제를 극복하는 측면에서 공동체의 리더십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리더십의 정의를 살펴 본 후 리더십-영향력의 차원에서 살펴볼 것이다. 최근까지 가장 많은 논의가 있어왔던 리더 중심의 리더십에서 카리스마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섬김의 리더십의 장점과 신앙공동체의 특성상 영혼의 돌봄을 포함하는 리더십을 영적리더십으로 제안해보고자 한다. 제 Ⅳ장에서는 신앙공동체의 영향력 발휘를 위해서 신앙공동체안의 영적인 훈련을 기도와 영적훈련 그리고 관계훈련을 통해서 공동체의 영적리더십 강화에 관심을 가지고 기록하고자 한다. 기도훈련과 영성훈련에서는 신앙공동체의 핵심인 하나님과 공동체 또는 개인들의 관계로서 친밀성 회복의 측면에서, 관계훈련에서는 인간관계와 정서와 감정의 측면에서 건강한 신앙공동체를 유지하고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리더십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몇 몇 공동체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신앙공동체의 건강한 리더십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제자로서의 삶을 통한 사회의 소금과 빛의 역할을 다하는 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Ⅴ장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 정리한 후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제언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맺으려 한다.

      • 신앙공동체 교육론의 대안과 방법연구 : 웨스터호프(John H. Westerhoff Ⅲ)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영민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살펴본 교회교육은 현실에서 실현되고 있는 교육적인 방법으로 인한 쇠퇴의 길로 가고 있는 한국 교회의 현 실태를 그냥 묵고해서는 안 된다. 각 교회마다 교육의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노력을 하려고 한다지만 근본적인 변화가 있지 않고는 힘든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 변화라는 것이 아주 크고 대단한 방법만이 아닌 이미 우리가 알고 있으며 느끼고 경험했던 것을 주변에서 찾아봐야 할 것이다. 주변에 많은 것을 단지 교육과 별개로 바라보는 것이 안타까운 것이다. 영락교회의 담임목사인 임영수 목사가 쓴 「21세기에 남아 있을 교회는」이라는 글에서 다가올 21세기에 남아 있을 교회는 성도와 성도간의 인격적인 만남이 없고 형식화되고 재화된 대형교회들이 아니며, 서류와 절차로 만나는 것이 아닌 성도 간에 진정한 인격적인 만남이 있고, 함께 나누는 삶에 감격이 있는 공동체교회가 21세기에 알맞은 교회라고 말하고 있다. 바로 21세기에 알맞은 교회는 이와 같은 인격적인 만남이 있고, 함께 나누며, 삶의 감격이 있는 교육이 필요한 것인데 그것이 웨스터 호프(John H. WesterhoffⅢ)의 신앙공동체 교육론이라 생각한다. 지금 우리 한국교회에서 되어지고 있는 교육은 학교식 교육구조와 주입식 교육방법론으로 개인 개인의 삶의 감격과 경험보다는 성경의 지식적인 교육에 치중하다보니 공동체 구성원들의 성서적 지식은 풍부했을지라도 열정이 없고 냉랭한 모습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이다. 이제는 이러한 교육의 현실에서 조금만 시선을 돌리어서 신앙공동체가 함께 할 수 있는 그러한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이다. 대상의 한정적인 교육이 아닌 모든 공동체가 함께하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즉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론이다. 신앙공동체 교육을 교회에서 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목사, 교육사, 교육전도사, 그리고 교사들과 성도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현 교회에 담임목회자의 인식의 변화가 되어야 한다. 교육에 관한 모든 것을 교육담당자들에게 위임을 한다고 하여도 그 교육의 방법이 교회현장에서 수용되어 질 때 여러 가지 제약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재정적인 후원이 필요할 때도 있으며, 성도들의 참여를 요구할 때도 있다. 그럴 때마다 교육 담당자에게는 한계가 드러나며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역할을 담임목회자가 후원회 줄 수 있어야 하기에 담임자에 인식의 변화는 중요한 현실이다. 언제나 교육의 방법론이 똑같기만 한 것이 아닌 변화와 전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교회의 전통적인 유교주의와 교회만의 보수성으로 인하여 교육의 전환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나 급진적인 변화보다는 하나하나 천천히 변화를 추구한다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지금 교육의 현실은 교회의 어려움을 인식하면서 어떠한 방법을 찾고자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모든 이들의 공통적인 입장이기에 신앙공동체 교육의 방법은 현실과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 또한 인식의 변화라고 하는 것은 과거에 행했던 방법들만이 교육이 아닌 함께 공동의 경험을 함에 있어서 새롭게 창출되는 효과를 생각하고 다양한 방법을 행함이 필요하다. 안정적이며, 검증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과감한 도전과 노력을 한번은 해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다른 이가 아닌 나 자신과 우리가 되어야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서 나올 수 있었듯이 교육적 프로그램들도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서 나올 수 있기에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이다. 개 교회에서 여러 방법을 새로운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하지만 그것이 한시적인 프로그램으로만 되어지고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다시금 기존의 교육방식의 틀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개 교회마다 교회교육의 열정을 가지고 왕성한 활동들을 하지만 이러한 열정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효과는 여전히 미미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제시한 소그룹 활동은 성도들의 신앙과 삶의 스타일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접근으로 소집단 운동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새 신자 공동체, 가족 공동체, 간 세대 공동체, 속회와 교회학교의 공동체, 취미 및 창조활동의 공동체 등 다양한 공동체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방법으로 공동체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제한적으로, 보수적으로 한 방법만을 고집할 이유가 없으며 다양한 방법과 경험들을 나누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동체 교육 속에서 인간존재의 회복과 신앙공동체의 본질추구, 교육의 생명을 찾게 될 것이며, 공동체의 다양한 연령층과 경험을 함께 공유하며 그 속에서 신앙공동체의 진정한 교육이 실현될 것이다. 이 연구로 인하여 좀더 교회교육의 발전과 과거 정형화된 틀 속에서 얽매였던 교육에서 이제는 생각의 폭을 넓히고 좀더 관대하며 적극적인 교육을 하며 실제적인 삶과 경험을 토대로 나누는 교육이 더욱 대중화되기를 바라며 공동체들 간에 사랑과 친교 속에서 구체화가 되어 현장에서 시작되길 바란다.

      •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한 발달장애아동의 교회교육

        전명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회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공동체를 이루고 차별 없이 교육받아야 하는 현장이다. 그러므로 많은 장애인들이 교회에서조차 무관심과 편견, 그리고 그릇된 인식과 차별적인 대접을 받는 일들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교회의 본질을 왜곡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많은 교회들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이 부재되어 있고, 목회자들이 올바른 인식을 갖지 못하며, 장애인 사역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음은 교회교육의 큰 약점이며 개선이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 가운데 교회에서 발달장애아동들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를 가지고 교회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방법을 연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논문은 교회가 신앙공동체로서의 모습을 상실하고 공동체의식의 결여로 복음의 본질이 약화되고 실천력과 영향력을 잃어 가는 상황을 지적하면서, 발달장애아동의 교회교육을 가능케 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터전이 신앙공동체임을 주장하였다. 신앙공동체 안에서 발달장애아동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세움을 받으며, 교회교육을 통해 자라가며, 성령의 은혜로 치유하심을 경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한 발달장애아동의 교회교육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회교육이 지식위주의 학교식 수업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배경과 성경적 배경을 살폈으며, 리차드와 넬슨과 웨스터호프와 포스터의 신앙공동체의 이론을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공헌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으며, 교회가 지향해야 할 교회교육의 방향이 신앙공동체 중심임을 주장하였다. 둘째,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해 장애인에 대한 신학적, 심리적, 사회적, 기독교교육적 이해를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일반교육상황과 교회교육상황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발달장애의 개념과 유형과 특성들을 살피고 현재 교회에서 어떠한 교육적 상황에 놓여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교회교육이 신앙공동체 안에서 이루어 질 때 가장 효율적이며 서로의 교류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실현함을 논하면서, 발달장애아동과 가정과의 신앙공동체 형성, 비장애아동과의 신앙공동체 형성, 교사와의 신앙공동체 형성, 교회와의 신앙공동체 형성이 과제임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모든 교회가 발달장애아동을 소외시키지 않고 신앙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교육적 상황을 제시하며, 교회교육의 방향을 이끌어 주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