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新羅王京硏究

        尹光鎭 慶州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新羅王京은 慶州平野를 中心으로 千餘年동안 단 한번의 遷都없이 王京으로 維持한 結果 學係로부터 많은 主目을 받아왔으며, 지금까지 新羅王京의 硏究傾向은 王京의 復原을 위한 都市計劃과 王京을 形成한 斯盧六村, 王京(斯盧)六部의 位置批正과 關聯되어 왔다. 本考에서는 이러한 新羅王京硏究의 一環으로 지금까지 調査·硏究되어진 成果와 發掘한 內容을 통하여 신라왕경의 실체를 밝혀보려고 시도하였으나, 新羅王京의 成立과 變遷過程 등 王京의 正確한 實體를 밝히기 위해서는 앞으로 文獻記錄이나 考古學的인 資料들의 蓄積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可能할 것이다. 本考 역시 많은 不足함을 갖고서 新羅王京硏究의 接近에 試圖한 만큼 根本的인 限界가 있다. 이처럼, 新羅王京에 대한 硏究는 아직 여러 面에서 많은 問題들이 解決되지 않은 채 個別的 主張의 硏究傾向이 平行線을 이루고 있다. 그 理由는 무엇보다 古代都市에 適用된 坊里制 等에 대한 制限된 文獻과 古代都市에 대한 充分한 發掘調査가 綜合的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點을 들 수 있다. 향후 新羅時代의 正然한 都市計劃을 살필 수 있는 一帶를 保存, 新羅王京復原으로 活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現在의 慶州分地 一帶는 原型대로 保存토록 최선을 다해야 하며 年次的인 計劃發掘을 통하여 新羅王京에 대한 視角과 範位가 또다른 次元으로 높여지고 넓어질 것이다.

      • 新羅土器 硏究

        남익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4∼6세기 신라양식 토기에 대한 것으로서 여러 선학들이 마련해놓은 신라고고학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신라양식 토기의 발생’,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과 의미’, ‘신라양식 토기의 편년과 역연대’, ‘신라토기 양식론’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과제와 방법,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신라양식 토기 연구에 대한 선학들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연구의 시공적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후 ‘양식’과 ‘신라양식 토기’에 대한 정의를 내렸으며, 신라양식 토기의 제작기법과 본고의 연구목적을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신라양식 토기의 편년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먼저 경주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중 이단투창고배, 개, 일단투창고배, 대부완, 대부장경호 등의 기종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여 각 기종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기종의 조합상과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토대로 Ⅰ∼Ⅻ기까지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경주지역을 시작으로 대구, 경산·영천, 성주, 창녕·청도·의령·합천, 구미·김천·옥천, 상주·문경·보은·청원(청주), 군위·의성·안동, 예천·영주·단양, 부산·창원, 울산·양산·밀양, 포항·영덕·울진, 강릉·삼척·정선지역의 편년을 각각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설정한 Ⅰ∼Ⅻ기의 각 단계에 절대연대를 부여하기 위해 먼저 신라양식 토기의 역연대에 관한 연구사를 검토하였고, 일본의 초기 스에키와 관련한 연륜연대측정법과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결과를 기준으로 황남동 109호분 3·4곽을 4세기 말엽, 황남대총 남분을 TK23형식 보다 한 단계 앞서는 5세기 중엽으로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고의 Ⅰ기는 4세기 초엽, Ⅱ기는 4세기 전엽, Ⅲ기는 4세기 중엽, Ⅳ기는 4세기 후엽, 황남동 109호분 3·4곽이 위치하는 Ⅴ기는 4세기 말엽, Ⅵ기는 5세기 초엽, Ⅶ기는 5세기 전엽, 황남대총 남분이 위치하는 Ⅷ기는 5세기 중엽, Ⅸ기는 5세기 후엽, Ⅹ기는 5세기 말엽, Ⅺ기는 6세기 초엽, Ⅻ기는 6세기 전엽에 각각 비정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신라토기 양식의 분포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세부적으로는 4세기 전엽을 시작으로 6세기 초·전엽까지 각 분기별로 어느 지역에 신라양식 토기가 새로이 확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4세기 전∼중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발생하기 이전 시기로, 원삼국시대 토기의 전통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토기의 경도(硬度)가 점점 강해지고, 주류를 이루던 단경호에서 경부가 점차 길어진 초기 형태의 장경호가 등장하였다. 이후 4세기 후엽은 ‘신라양식 토기’가 발생하기 직전 시기로, 고배의 경우 뚜껑받이턱이 형성되고, 나팔형의 대각이 완성되며, 고배와 짝을 이루는 개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제지역에서 확인되는 토기가 상당부분 형태적인 공통성을 보이고, 기종 구성 역시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대구, 포항, 울산, 부산지역 등에서는 약간의 공통성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다음 시기에 ‘신라양식 토기’가 성립되고 인근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 유입될 수 있는 토대는 이미 성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4세기 말엽에는 전형적인 신라양식 토기가 경주지역에서 등장하고, 이와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경주지역 인근의 영천, 포항, 울산지역과 부산, 상주지역 등에서 확인되었다. 5세기 초·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산-대구-구미-성주지역, 밀양-창원-김해지역, 강릉지역으로 확산되고, 그 분포범위가 4세기 말엽에 비해 상당부분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5세기 중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안동지역, 추풍령 방향의 김천지역, 동해안의 울진-삼척지역, 낙동강 중하류역의 창녕지역 등으로 확산되고, 5세기 초·전엽에 비해 그 분포범위가 조금 더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5세기 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예천, 문경지역, 상주에서 청원지역으로 향하는 보은지역, 동해안의 영덕지역까지 확산된다. 전시기보다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 범위가 조금 더 넓어지고, 수량은 적지만 일부 가야지역까지 신라양식 토기가 확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세기 말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경북 북부의 영주지역, 추풍령을 넘어 대전지역으로 향하는 옥천지역, 상주에서 보은지역을 지나 위치하는 청원지역, 남해안의 고성지역까지 확산되고, 이전 시기와 비교하자면 확산 속도와 범위가 조금은 줄어든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6세기 초·전엽에는 신라양식 토기가 죽령을 넘어 단양지역과 남해안의 진주, 하동지역까지 확인되고,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제작·생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신라토기 양식의 분포 변화를 통해 4세기 말엽∼6세기 초·전엽에 해당하는 신라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Ⅴ장에서 확인한 시기별 신라양식 토기의 확산 양상을 바탕으로 ‘토기의 생산체계, 기술’, ‘정치적 통제행위’, ‘매장의례’ 등의 세 가지 측면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4세기 말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고식도질토기로 대표되는 전 시기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을 기본 바탕으로 하였을 것으로 생각되고, 영천, 포항, 울산지역 등은 경주지역으로부터 강한 양식적 선택압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고분에서 출토되는 토기의 기종조합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토기제사법(매장의례)은 양식적 선택압과 마찬가지로 포항, 영천지역 등에서는 ‘고배+장경호+단경호’라는 경주지역과 유사한 기종조합이 확인되었다. 다음 5세기 초·전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전시기와 달리 고식도질토기 생산체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품으로 대표되는 전형적인 신라양식 고배의 조형이 이 시기부터 등장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주지역에서 거리가 먼 성주지역의 경우에는 지역색이 강한 토기가 등장하기도 하고, 부산, 상주지역 등에서도 경주지역 토기를 모방하여 제작된 신라양식 토기가 재지 토기와 함께 확인되었다. 이에 양식적 선택압 수준은 4세기 말엽과 비슷한 수준이나, 약간 더 외연을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경주지역에서는 이 시기에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라는 기종조합이 등장하고, 특히 4세기대부터 확인되는 ‘소호’는 경주식 토기제사법, 매장의례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기종으로 자리 잡게 되며, 경산, 의성지역 등 경북 북부지역으로 경주지역과 유사한 경주식 토기제사법이 확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5세기 중엽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은 고식도질토기의 생산체계와 기술에서 벗어나, 회청색의 기벽이 얇은 경질토기를 제작할 수 있는 신라 고유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정착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양식적 선택압 역시 신라영역 내에서는 전시기 보다 한층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성주, 의성, 창녕지역 등에서는 지역색이 강한 토기가 제작되지만, ‘신라양식’이라는 대양식 속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라는 기존 기종조합에 ‘대부완’이 추가되고, 경주식 토기제사법 혹은 매장의례가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5세기 후엽은 신라 고유의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영남지방의 여러 지역에서도 경주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토기를 제작할 수 있는 생산체계와 기술이 전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양식적 선택압은 전시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과 동해안의 영덕-울진-삼척-강릉지역 등은 경주지역으로부터 강한 양식적 선택압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시기의 토기 기종조합은 전시기에 완성된 ‘유개고배+장경호+단경호+소호+대부완’으로 대표되고, 경주지역을 기점으로 동해안의 대부분 지역과 예천지역을 제외한 경북 전역에 경주식 매장의례가 전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5세기 말엽은 토기양식에서 지역색이 사라지고,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토기 생산체계와 기술이 경주지역과 지방이 큰 차이가 없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신라 중앙으로 부터의 양식적 선택압 수준 역시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고, 이 시기에는 가야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남지방에서 경주지역과 유사한 토기 기종조합이 확인되어 경주식 매장의례가 대부분의 신라영역에 완연하게 유입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6세기 초·전엽에는 영남지방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주지역과 형태적, 양식적으로 거의 동일한 토기가 제작·생산되고, 각 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양식 토기는 공장에서 찍어낸 듯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신라 중앙으로 부터의 양식적 선택압 수준 역시 최고조에 이른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경주식 토기제사법은 가야지역을 제외한 全영남지방에 확산된 것으로 보이는데, 죽령 이북의 단양지역까지 전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Silla's pottery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by scholars in the past. And this study researched on 'emergence of Silla style pottery', 'spread and meaning of Silla style pottery', 'chronology of Silla style pottery', 'styles theory of Silla style pottery'. First, chapter Ⅰ describes the tasks, method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this study was organized by scholars for the study of Silla style pottery and established a constructive scope for this study. It was then defined for 'style' and 'Silla style pottery'. Chapter Ⅱ describes the chronology of the Silla style pottery. First, among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Gyeong-ju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mounted cup, cover, mounted dish, and mounted jar with long neck and type classification of each kind of pottery was carried out. After steps were then established from I to XII based on the variation in the phase and time of each kind of pottery. And starting with the Gyeong-ju area, it presented chronologies from Dae-gu, Gyeong-san, Yeong-cheon, Seong-ju, Chang-nyeong, Cheong-do, Ui-ryeon g, Hap-cheon, Gu-mi, Gim-cheon, Ok-cheon, Sang-ju, Mun-gyeong, Bo-eun, Cheong-won, Gun-wi, Ui-seong, An-dong, Ye-cheon, Yeong-ju, Dan-yang, Bu-san, Gim-hae, Chang-won, Ul-san, Yang-san, Mir-yang, Po-hang, Yeong-deok, Ul-jin, Gang-neung, Sam-cheok, Jeong-seon area. Chapter Ⅲ analysed the history of absolute age of Silla style pottery. Af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methods related to Japan's early Sueki, absolute age from the early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was given at each steps. Chapter Ⅳ examines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illa style pottery. In detail, Silla style pottery was newly distributed in each quarter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First, in the late 4th century, typical Silla pottery appeared in Gyeong-ju area, and similar types of pottery were found in Yeong-cheon, Po-hang, Ul-san, Bu-san and Sang-ju areas near Gyeong-ju. In the early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increased to Gyeong-san, Dae-gu, Gu-mi, Seong-ju, Hap-cheon, Mir-yang, Gim-hae, Chang-won areas,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distribution has increased substantially from the late 4th century. In the mid-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spread to An-dong, Gim-cheon, Ul-jin, Sam-cheok and Changn-yeong area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Later in the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ill spread to Ye-cheon, Mun-gyeong, Bo-eun, Yeong-deok, Ui-ryeong, San-cheong, and the Jang-su area of Jeollabuk-do Province. And the spread of Silla style pottery was slightly wider than during the earlier times, and Silla style pottery was found to be found in some parts of Ga-ya area, although its quantity was small.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spread from Yeong-ju of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Ok-cheon, Cheong-won, and Go-seong area on the southern coast, and the speed and scope of expansion have decreased slightly. Finally, in the early 6th century, Silla style pottery was identified as Dan-yang, Jin-ju and Ha-dong areas in the south coast, and almost same type pottery was produced in most areas of Yeong-nam region. Chapter Ⅴ examined the trends of Silla, which correspond to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rough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illa style pottery. Based on the proliferation of Silla style pottery by time, I examined three aspects, namely 'pottery production system, technology', 'political control act' and 'burial rites'. First of all, it was judged that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in the late 4th century were based on the system and technology of Old-Type Cermics Pottery produced in the previous period. In addition, the burial rites were confirmed by a similar association to the Gyeong-ju area, as were the case with selective pressure.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products in the early 5th century were somewhat deviated from the production system of Old-Type Cermics Pottery. It was also noted that the level of selective pressure was similar to that of the late 4th century, but slightly more external. In addition, there is a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and little jar" in Gyeongju. In particular, the newly added little jar was established as a model of Gyeongju-style burial rite, and it was judged that the burial rites similar to that of Gyeong-ju were widespread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cluding Gyeong-san and Ui-seong areas. In the mid-5th century,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pottery products were determined to be characteristic in Silla, in order to produce pottery with thin walls. Selective pressure was also assumed to have been stronger in Silla than in the previous period. In addition, the existing type combination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and little jar" was added to 'mounted dish', and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area was complete. Later in the 5th century, Silla's unique pottery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became more advanced, allowing various areas of the Yeong-nam region to produce pottery similar to that of Gyeong-ju area. Selective pressure was also thought to have been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with most areas in the Yeong-nam region under strong selective pressures from the Gyeong-ju area. At this time, pottery combination with "mounted cup, cover, jar with long neck, jar with short neck, little jar and mounted dish" is completed in earlier times where the eastern coast areas of Gyeong-ju area as its starting point.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held in all area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except Ye-cheon area. In the late 5th century, local character disappears from the style of pottery, and almost identical pottery was found in each area of Yeong-nam reg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duction system and technology of the pottery were no different from the each area of Yeong-nam region. It was also judged that the level of selective pressure from the center of Silla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at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introduced in most areas of Yeong-nam region, excluding Ga-ya areas. Finally, in the early 6th century, almost identical po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style as Gyeong-ju area in most areas in the Yeong-nam region, and Silla style pottery found in each area is a similar form as if it were taken from a factory. And selective pressure levels from the center of Silla were also estimated to have reached a peak. Also, the burial rites of Gyeong-ju were believed to have spread to all areas of Yeong-nam region except the Ga-ya area, and it was decided that the area was spread to Dan-yang area, north of Jung-nyeong(Ridge).

      • 新羅 讀書三品科의 設置背景과 性格

        김응호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라는 골품제라는 엄격한 신분제를 통해 체제가 유지되었지만 그 속에서도 꾸준히 관료제가 진전되었다. 이러한 관료제는 유학 교육기관이었던 國學을 중심으로 운영됨으로써 신라 中代의 官界進出이 마치 國學을 통해서만 이루어진 것처럼 이해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元聖王 4년(788)에 시행된 독서삼품과는 그동안 신라 유학문화 성숙의 산물로서 國學生을 대상으로 한 시험제도로 이해되거나 귀족연립체제 하에서 官階로 폭주하는 진골귀족들의 門客을 조정하기 위해 國學을 강화한 제도라고 주장되었다. 이러한 두 주장은 독서삼품과를 國學에 설치된 시험제도라고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三國史記』 職官志 國學條 記事만 주목한 결과이다. 그러나 『三國史記』 職官志 國學條에 기록된 독서삼품과 記事와 新羅本紀 元聖王條의 記事를 비교해 보면, 『三國史記』 職官志 撰者가 新羅本紀 元聖王條에 실린 독서삼품과 記事를 職官志 國學條에 삽입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독서삼품과의 試驗書目과 국학의 敎授科目이 비슷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일 것이다. 또한 국학에는 독서삼품과가 설치되는 시기 이전에 이미 시험제도를 갖추고 있었다. 『三國史記』 新羅本紀 元聖王 4年 記事에 의하면 독서삼품과는 '弓箭'을 개편한 것이라 한다. 따라서 독서삼품과는 국학의 졸업시험제도라기보다 中代 정치세력을 교체하기 위해 그동안 시행되던 '弓箭'에 의한 관리선발을 개편한 것으로 보아야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독서삼품과 始定記事에 보이는 '弓箭'은 武的 능력을 갖춘 관인 선발제도라고 할 수 있다. 신라는 정복전쟁기 인재선발을 위해 화랑도를 조직하였으며, 이에 화랑도 집단 내에서 武的 능력이 뛰어난 자가 천거에 의해 선발되었다. 때문에 '弓箭'은 화랑도 집단에 대한 관인선발을 포괄하는 武的 능력을 토대로 한 관인선발제도이며, 이러한 선발방식은 천거에 의한 인재선발이었다. 천거제는 신라에서 部體制 이래로 전통적으로 시행되었던 방식이었다. 그리고 中代 이후 國學이 엄정한 유학교육을 통하여 관인을 배출하는 동안에도 이러한 천거에 의한 '弓箭'의 관인선발은 계속되었다. 하지만, 中代에 공적 관인선발 기관이었던 國學에 비해 그 기능이 위축되어 '弓箭'에 의한 관계진출은 조직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弓箭'이 원성왕대 독서삼품과로 개편되었을 것이다. 元聖王의 즉위는 정상적인 것이 아니었다. 원성왕은 진골귀족과 연합하여 무열왕계 中代 왕실을 축출함으로써 즉위하였다. 따라서 원성왕은 中代 정치세력을 교체하기 위해 새로운 관료층의 편성이 필요하였다. 이에 '弓箭'의 천거제는 인사권자의 자의성을 담보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독서삼품과로 외양을 달리하여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弓箭'이 독서삼품과로 개편될 수 있었던 것은 신라 下代 유학문화의 확산에 영향받은 바도 있다. 유학문화의 확산에 의해 다양한 유학지식인 계층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화랑도 집단을 중심으로 武的 능력에 의해 선발되던 '弓箭'은 독서삼품과로 개편될 수 있었다. 독서삼품과는 천거제로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라의 오랜 관행이었던 천거는 무원칙적으로 남발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조건과 자격을 갖춘 자만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고 보여진다. 독서삼품과에서 제시된 시험서목은 이러한 조건으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게다가 독서삼품과는 새로운 관료층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유학적 소양만이 관리선발의 척도가 된 것은 아니었으며 중앙 고위관료와 맺은 人的關係도 관리선발에 하나의 조건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독서삼품과를 통해서 새롭게 관료화된 계층은 주로 中代의 정권에서 소외된 宿衛學生·地方知識人·門客化된 화랑도들이었을 것이다. 특히 宿衛學生 子玉의 人事記事를 통해서 이러한 독서삼품과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子玉의 人事事件은 中代 國學 중심의 관리선발 전통을 지키려는 頭品出身 인사담당 말단관료 毛肖의 소명의식이 원성왕 정권의 새질서 구축에 저항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것은 독서삼품과를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고자 한 子玉으로 대표되는 계급과 상반된 毛肖 계급집단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신라 下代 독서삼품과를 통한 천거제의 확대는 國學이라는 공적 교육기관이 가지고 있는 관리선발의 객관적 질서체계를 약화시켰을 것이다. 이는 신분제사회라는 모순 속에서 조금이나마 완충제적 역할을 하였던 國學이 안전판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반면에 독서삼품과는 유학문화의 확산을 배경으로 다양한 유학지식인의 관료화를 가능케 하였다. 따라서 관계진출을 향한 경쟁이 촉발되어 中代에 宿衛學生에 한정되었던 渡唐留學이 下代에 6두품들에게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Even though Silla dynasty(新羅) had maintained Golpum system(骨品制) which applied strict regulations to men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s, there also had been bureaucracy. As bureaucracy had been maintained by Gukhak(國學)-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Gukhak had been regarded as an unique gate to noble society in the middle age of Silla. As a result, Dokseosampumgwa(讀書三品科) that was executed in the fourth year of Wonseongwang(元聖王) has been understood as an examination for students of Gukhak, or as a system to intensify Gukhak while there were an increasing number of Mungaek(門客) into the noble society. These views regard Dokseosampumgwa as an examination system in Gukhak. Such views would be resulted from interpretation of 『Samguksagi』Jikgwanji(『三國史記』 職官志). When it is compared to a record in Sillabongi Wonseongwang(新羅本紀 元聖王條),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cord in Sillabongi Wonseonwang was inserted into Jikgwanji by the editor. This would be misinterpretation which was caused by similarities between the subjects of Gukhak and Dokseosampumgwa. There had been, moreover, another kind of examination system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okseosampumgwa. According to the record in 『Samguksagi』Sillabongi Wonseongwang, 'Gungjeon(弓箭)' changed into Dokseosampumgwa. Therefore Dokseosampumgwa could be described as a system which changed from 'Gungjeon' rather than an examination system in Gukhak. And 'Gungjeon' had been performed to take the place of the authority in the middle age of Silla. According to an article about the establishment of Dokseosampumgwa, 'Gungjeon' would be a system to select administrators who had martial ability. Silla dynasty organized Hwarangdo(花郞徒) to select men of talents in wartime, and some men with high martial ability were selected as administrators by recommendation. In a word, 'Gungjeon' was a system to select administrators who had martial ability, and the method was recommendation. Wonseongwang could take the place of king after disinheriting the authorities of Muyeolwang's descent(武烈王系). So he needed to select new administrators to alternate the politic powers. Under the such condition, 'Gungjeon' would be used as a system which guaranteed the intention of authorities in Human affairs, and finally change into Dokseosampumgwa with different appearance. The change was also affected by the extension of Confucianism in the latter age of Silla. As the extension of Confucian culture resulted in formation of the intellects of Confucianism, 'Gungjeon' would change into Dokseosampumgwa. It would be Hwarangdo who once were ignored in the middle age of Silla, so-called Sukwihaksaeng(宿衛學生), that took the charge of new administrators. Therefore the extension of Dokseosampumgwa would result in fragility of Gukhak, which was a public education institute. This means that Gukhak became not able to mollify the contradiction which applied strict distinction to men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s. In the other hand, Dokseosampumgwa made the intellects of Confucianism to be administrators as Confucian culture extended. As this could urge the competition for being administrators, the opportunities to study in Dang(唐) were also given to 6-dupum(6頭品) in the latter age while that was limited only to Sukwihaksaeng in the middle age of Silla.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統一新羅時代 密敎系 圖像 硏究

        이숙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불교미술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통일신라시대에는 淨土信仰과 함께 아미타불과 관음보살이 크게 유행하였으며 신라 이래로 내려온 華嚴思想과 瑜伽思想 등도 신앙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통일신라 초기에는 阿彌陀佛과 彌勒佛이 예배 대상의 중심이었으나 8세기 전반에 이르면 十一面觀音이나 千手千眼觀音菩薩과 같은 초기밀교 계통의 변화관음상이 출현하였으며 8세기 중엽에는 毘盧舍那佛을 비롯하여 사방에 아축불, 寶生佛, 阿彌陀佛, 不空成就佛를 배치한 五方佛 형식의 새로운 불교도상이 등장하였다. 五方佛 형식은 밀교의 金剛界 五佛의 개념과 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공견색신변진언경』이나 『金剛項經』과 같은 경전에 의거하고 있는 점에서 밀교도상과 직접 관련있는 것이다. 특히 중앙의 비로자나불상은 대승불교 경전인 『華嚴經』의 法身佛에서 발전한 개념으로 9세기 중엽 이후의 통일신라 후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나 도상적으로는 밀교의 兩界蔓茶羅 중에서 金剛界의 본존불인 大日如來와 관련있는 상이다. 밀교는 불교교리의 발달에서 최종적인 단계에 해당하며 교학적으로는 中觀學說과 瑜伽唯識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한 것으로 대승불교의 흥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대승불교의 어떤 종파에도 陀羅尼 儀禮 속에 밀교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불교의 한 유파로서 밀교를 논할 때에는 사상적인 체계와 종교적 행위를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밀교는 대승불교의 하나의 흐름이 독립하여 성립된 것으로 대승불교에 보이는 밀교적 요소들을 初期密敎라 하고 『大日經』과 『金剛頂經』에 의해 완성된 밀교는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화된 中期密敎라고 할 수 있다. 十一面觀音이나 千手觀音과 같은 변화관음보살상은 인도 고대 힌두교 神들의 多面多臂像에서 유래된 것으로 얼굴과 팔의 수로써 중생구제라는 관음보살의 특성을 극대화하였을 뿐 아니라 초기밀교 계통의 陀羅尼經典이 번역되면서 그 도상이 성립되었다는 점 등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三國遣事』에 7세기의 변화관음보살상들이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유물상의 예들은 11면관음상의 경우,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8세기 전반의 통일신라시대에 나타나는 데 반하여 천수음상은 고려시대 이후 불교조각이나 불화의 예로 나타난다. 五方佛의 불상형식 역시 인도에 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중국 唐代에 중기밀교 경전이 번역되면서 비로소 성립하게 된 도상이다. 五方佛 사상의 개념은 8세기 초의 경주 남산 七佛庵 佛像群에서 처음 수용되었으나 초기에는 밀교사상이 아직 발달하지 않은 단계로 불상의 수인과 방위 등에서 경전의 의궤와 일치하지 않는다. 9세기 중엽경에는 桐華寺 毘盧庵 발견의 금동사리함에서 북방에 智拳印의 비로자나불상이 등장하면서 동방 아축불, 남방 寶生佛, 서방 阿彌陀佛로 구성된 본격적인 五方佛의 형식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는 밀교의 金剛界 曼茶羅의 五佛이 통일신라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탑 중앙에 釋迦의 舍利가 안치되는 대신에 북방에 비로자나불상을 배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 초층탑신에 나타나는 사방불 또한 탑의 五方佛 개념이 성립된 8세기 중엽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점차 동방 藥師佛, 남방 釋迦佛, 서방 阿彌陀佛, 북방 毘盧舍那佛이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藥師佛과 毘盧舍那佛像은 8세기 중엽 이후에 크게 유행하는 새로운 불상형식으로 탑의 사방불로 등장하는 것은 밀교사상이 화엄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의 교리와 융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신라적인 변용의 한 예로 판단된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은 766년명의 石南寺像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9세기 중엽 이후 크게 유행하였으며 대부분 獨尊이면서 如來形의 智拳印像으로 화엄종의 본존으로 모셔졌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상적인 측면에서 볼 때 智拳印의 수인은 중기밀교의 경전인 『金剛頂經』에서 채용하여 형상화된 것이라는 점 외에 如來形 및 菩薩形의 智拳印像은 밀교의 金剛界 大日如來와의 관련성을 입증해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보관여래형의 비로자나불상의 경우는 인도에서 아직 알려진 확실한 예가 없으므로 중국 唐代의 則天武后 때 유행했던 寶冠 觸地印像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불교교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法身佛로서의 비로자나불과 應身佛로서의 석가불이 不二이라는 사실에서 寶冠 觸地印像이 비로자나불이 되며 더 나아가 寶冠 智拳印像으로 발전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비로자나불상이란 반드시 智拳印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法身으로서의 보편적인 개념으로 어떤 수인을 하고 있든지 간에 모든 불상은 비로자나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8세기 중엽경에 중국 唐代의 澄觀(738~839)에 의해 화엄과 밀교의 융화현상이 이루어지고 『80華嚴』이 널리 퍼지면서 비로소 法身佛로서의 비로자나불이 명확하게 인식되어 화엄종에서의 본존으로 확립하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본다. 특히 9세기 중엽경의 통일신라 후기에 이르러 비로자나불상과 五方佛 형식이 유행하게 된 사실은 통일신라 景文王代(861~874)의 왕권강화 정책과 함께 화엄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를 재정비하는 당시 불교계의 흐름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았다. 우리나라는 신라 7세기 중엽에 明朗, 惠通에 의해 초기밀교가 전해진 후 8세기 중엽경에는 義林, 不可思議, 惠日 등의 密敎師僧을 통하여 중기밀교가 전래되면서 이와 관련된 밀교경전과 함께 그 도상이 전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중기밀교와 그 교법은 하나의 종파로 성립할만한 이론적인 체계와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그 도상만 당시 널리 신앙되었던 화엄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에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7세기 신라때 부터 신앙되었던 화엄사상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크게 성행함에 따라 중기밀교는 독립된 하나의 종파로서의 이론적인 체계와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대승불교의 신앙형태를 조직적으로 체계화시켜 의례적인 면에서의 결함을 보완해 준다는 측면에서 화엄사상과 융화된 것이다. 이와 같이 중기밀교와 대승불교가 융화함에 따라 통일신라시대의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은 華嚴宗과 禪宗 사찰의 본존으로 예배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비로자나불상이 法身佛의 개념으로 종파를 초월한 새로운 신앙의 대상으로 등장하여 비록 智拳印을 취하고 있더라도 밀교의 金剛界 大日如來로 발전하지는 않았다는 해석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고려시대에는 더욱 심화되면서 法身의 비로자나불상은 報身 慮舍那佛, 化身(應身) 釋迦佛과 함께 전형적인 三身佛을 이루면서 조선시대의 불교조각이나 불화에까지 그 전통이 이어졌다. 따라서 통일신라시대의 밀교계 도상은 전래 초기에는 심오한 밀교의 철학사상과 그 도상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나 불교신앙의 시대별 추이에 따라 화엄사상과 융화되면서 그 성격과 의미가 변하게 되었으며 밀교도상 역시 신라적으로 변용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바로 이 점이 統一新羅時代 密敎系 도상의 가장 큰 특성이자 의의라 할 수 있다.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golden age of Korean Buddhist Art, Pure Land Buddhism(淨土信仰) along with the Huayen School(華嚴思想) of Buddhism and the Vijnaptimatra(Skt., 瑜伽思想) were prevalent. Although the images of Maitreya(Skt., 彌勒佛) or Amita ̄bha(Skt., 阿彌陀佛) had been the main religious icons until the early perio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Pure Land Buddhism brought about the vogue of the images of Amita ̄bha and the Avalokites´vara(Skt., 觀音菩薩). It was not until the early 8th century that the modified statues of the Avalokites´vara(變化觀音) belonging to the early Esoteric Buddhism like the Eleven-Faced Avalokites´vara(十一面觀音菩薩) or the Avalokites´vara with one thousand hands and eyes(千手千眼觀音菩薩) appeared; the middle of the same century witnessed the advent of a new Buddhist icon that had the form of the Five Dhyani Buddhas or the Five Directional Buddhas(Obangbul 五方佛) arranging the Akshobhya(Skt., 아축), Ratnasambhava(Skt., 實生), Amita ̄bha and Amoghasiddhi(Skt., 不空成就佛) in the fou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Vairocana(Skt., 毘盧遮那佛) in the center. Having its origin in the notion and the icon of Five Directional Buddhas in Vajradharma(Skt., 金剛界), this form of Buddhist image has direct connection with Esoteric Buddhist iconography in that it is based on such scriptures as the Mantra of Amoghapashapratiharya(Skt., 『부공견색신변진언경』) and the Vajrasekhara(Skt., 『金剛頂經』). Especially, the Vairocana in the center is an idea developed from the Dharmakaya Buddha(法身佛) in the Huayenjing(Skt., 『華嚴經』), a Mahayanist Buddhist scripture. Though its statue obtained great popularity in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after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it is related to the Maha-Vairocana(Skt., 大日如來), the central Buddha of Vajradharma in the Mandalas of the Two Worlds in Esoteric Buddhism in the iconic aspect. Esoteric Buddhism falls under the final developmental stage of the Buddhist doctrines: it inherited and expanded Madhyamika(中觀學說) philosophy and Vijnaptimatra(Skt., 瑜伽唯識) thought,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rise of Mahayanist Buddhism. But when it comes to discuss Esoteric Buddhism as a distinct School of Buddhism, what is generally preferred is the one equipped with some ideological system and ritual practices because Esoteric Buddhist elements are contained in the Dharani(Skt., 陀羅尼) mantra and rituals of every Mahayanist Buddhist sect. In this context, Esoteric Buddhism is an independent and developed version of a stream of Mahayanist Buddhism. Thus, the Esoteric Buddhist elements in Mahayanist Buddhism can be regarded as the early Esoteric Buddhism, while its refined form found in the Maha-Vairocana and the Vajrasekhra Sutra can be thought as the middle one, being more systematized and theorized. The modified images of the Avalokites´vara such as those with eleven faces or with thousand hands were derived from the statues of the ancient Indian gods with many faces and arms. Their resemblance lies in the fact not only that they maximized the characteristic of the Avalokites´vara, that is, the especial purpose of delivering mankind with the number of faces and arms, but that their icon was established when the Dharani Sutra belonging to the early Esoteric Buddhism was translated. Though the record of the images of the Avalokites´vara in the 7th century appeared in Samgukyusa(『三國遣事』), the actual examples was found a little later: those of the Avalokites´vara with eleven faces were produced centering Gyeongju area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of the early 8th century, while those with thousand hands showed up in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of the Koryo dynasty and continued to be created as ritual objects until the Chosun dynasty. The statue of Buddhas of the Five Directions is an iconography which had been formed for the first time when the scripture of middle Esoteric Buddhism had been translated in Chinese Tang dynasty, though it can be also considered as originated from India. This form was initially introduced to the groups of Buddhist images of Chibulam(七佛庵) in the Mt. Namsam area, Gyeongju, In the early 8th century But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con prevented these images from corresponding exactly to the ritual records of the scripture in such aspects as mudra, or the hand position, directions and so forth. The contemporary discovery of another image in a gilt-bronze sarira casket in Biroam Hermitage, Donghwasa Temple(桐華寺), showed that this form of statue had came to develope into another version by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he image had the Aksobhya Buddha of the east, the Ratnasambhava Buddha of the south, the Amita ̄bha of the west, and especially the Vairocana of the north with the right hand grasping the left raised forefinger in the unity mudra(jigwonin),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that the United Silla placed the Vairocana in the north instead of enshrining the relics of the Buddha in the center of the pagoda while accepting the Five Buddhas in Vajradhatu Mandala of Esoteric Buddhism. Besides, the Four Directional Buddhas(Sabangbul 四方佛) found in the bodies of stone pagodas on the first floor in the late United Silla period began to appear after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notion of Buddhas of the Five Directions was established. The result was the arrangement of the Bhaisajya-guru(Skt., 藥師佛) in the east, the Sakyamuni(釋迦佛) in the south, the Amita ̄bha of the west, and the Vairocana in the north.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statues of Bhaisajya-guru and Vairocana, the new forms of Buddhist image prevalent, a great deal after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emerged as the Buddha of the Four Directions of pagodas can be seen as resulting from intermingling of the Buddhist doctrines and philosophy. The image of Vairocana in the United Silla period began to pervade greatly after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since it had first appeared in Seoknamsa in 766. In most cases, it is characteristically enshrined alone as the central Buddha figure of the Huayan School of Buddhism. From the iconic perspective, the shape of hand position of jigwonin(智拳印) is made in reference to the Vajrasekhara Sutra. The figure with jigwonin in Yorae(如來) and Bodhisattva type is an important evidence to demonstrate its connection with Maha-Vairocana in Vajradhatu(金剛界 大日如來) of Esoteric Buddhism. The image of Vairocana with in a jeweled crown can be thought to come from the figure with bhumi-sparsa mudra(觸地印) and a jeweled crown popular widely during the reign of Empress Wu Zetian(則天武后) in Chinese Tang dynasty, for the Indian example has not been discovered yet. Considering from the aspect of Buddhist doctrine that equates the Vairocana Buddha as the Dharmakaya(法身佛) with the Sakyamuni as the Nirmanakava(應身佛), the figure with bhumi-sparsa mudra and a jeweled crown would become the Vairocana and probably develop further into the figure with jigwonin and a jewelled crown.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image of Vairocana is a universal concept of the Dharmakaya Buddha independent from jigwonin and so every Buddha figure can become the Vairocana irrespective of mudra. And it can be also assumed that Cheng Guan(澄觀) attempt to harmonize the Huayan philosophy and Esoteric Buddhism in the Tang period and the extensive diffusion of the 80 fascicles Huayanjing(『80華嚴』) toward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image of Vairocana as the Dharmakaya, resulting in its establishment as the central Buddha figure of the Huayan School of Buddhism. In addition, the further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popularity of the images of Vairocana and Buddhas of the Five Directions in the late United Silla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reorganization of Mahayanist Buddhism King Kyongmun(景文王 r. 861 ~874)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Korea, the early Esoteric Buddhism was introduced by the two Esoteric Buddhist monks Myeongrang and Hyetong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and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by Euirim(義林), Bulgasaeui(不可思議), Hyeil(惠日)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latter is supposed to have brought the related scriptures and icons with it. The point is that because Mahayanist Buddhism including the Huayan School was widely prevalent since the 7th century of the Silla period,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could not have built up theoretic structures and forms and been amalgamated with the thought of the Huayan School by systematizing the religious forms of Mahayanist Buddhism and complementing the defects in the rituals. By virtue of such consolidation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nd the Huayan philosophy, the image of Vairocana with jigwonin in the United Silla dynasty was worshiped as the central Buddha in the Huayan and Zen(禪宗) temples. This underlies the opinion that the Korean image of Vairocana had not developed into that of Maha Vairocana of Vajradhatu in Esoteric Buddhism by presenting itself a new type of religious object as the Dharmakaya Buddha and transcending various Buddhist denominations, though it had the hand position of jigwonin. This tendency was much deepened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the image of Vairocana as the Dharmakaya continued to make a tradition to the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of the Chosun dynasty, constituting the three Buddhist bodies together with the Rochana Buddha as the Sambhogakaya(報身) and the Sakyamuni as the Nirmanakaya(化身). In conclusion,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tion, the Esoteric Buddhist icon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had contained the philosophical thoughts and the symbolism of the profound Esoteric Buddhism. Nevertheless, the later historical changes of the Buddhist religion caused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ures and meanings of such icon: the affiliation Esoteric Buddhism and the Huayan thought made the icon subsumed under the Huayan School of Buddhism,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cultural setting of Silla. I think that this is the most remarkable feature and significance in the Esoteric Buddhist icon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 新羅 金城의 意味와 範圍

        남승호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新羅 金城은 赫居世가 축성한 宮城 및 이를 포함하는 王都 혹은 婆娑尼師今 22年에 축성한 月城 및 이를 포함하는 王都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신라 금성이 혁거세의 궁성 또는 월성 같은 독립된 시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지역 곧 신라 왕경지역을 의미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범위는 明活山, 西兄山, 南山, 小金剛山(北川)을 경계로 그 내부지역으로 현재의 경주시내 정도로 추정하였다. 월성을 중심으로 長·廣이 약 5.5km정도가 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서, 『三國史記』, 『三國遺事』를 비롯하여 中國側 史書, 金石文 등에 기록된 금성관련 기록들을 검토하였다. 검토의 주된 대상은 선행연구들에서 금성이 궁성일 수밖에 없다고 해석한 기록들이었다. 그리고 이 기록들에 대한 그들의 해석이 잘못된 것을 논증하였다. 『三國史記』의 경우는 '赫居世 21年에 築京城한 金城' 기록, '金城의 四門' 기록, '始林의 동쪽에 있었다는 金城' 기록, 지리지의 '宮城金城' 기록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해석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특히 지리지의 기록은 『三國史記』 지리지 찬자의 오류를 논증하고 '궁성금성'을 부정하였다. 그리고 『三國史記』의 금성관련 기록의 분석과정에서 다음의 몇 가지 사실들을 추가로 논증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금성으로 이해한 혁거세 궁은 월성과 같은 규모의 궁성이 아니다. 혁거세의 궁은 宮室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위치는 선행연구에서 주장하는 월성의 서북방향이 아니라, 월성의 남쪽인 남산 서북록 현 昌林寺址 일대로 추정하였다. 둘째, 『三國史記』 신라본기의 혁거세 21년에 '築京城'한 금성은 斯盧國의 國邑을 의미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신라왕경은 도성이나 나성 등을 축성하지 않았지만 왕경의 四門은 존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기타 사료의 금성관련 기록에서는 특히 금성 둘레를 4.4km 기록한 『新唐書』·『舊唐書』의 기록과 궁성 금성과 동일한 것으로 해석한 『梁書』 신라전의 '健牟羅'에 대한 기존해석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이외의 기록에서 등장하는 금성은 모두 왕경을 의미하였다. 특히 7세기 후반과 9세기 말의 금석문에 기록된 '金京', '金城'은 금성이 왕경지역이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성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금성의 語義를 분석하였다. 금성이 신라 당대에 왕경을 호칭하던 고유명사였던 徐羅伐·斯盧·斯羅·新羅(城) 등과 같은 의미였음을 확인하였다. 모두 □□로 음독되고 그 뜻은 '쇠의 마을=金邑'을 의미하는 지역명칭으로 보았다. '新羅城'이나 '金城'이란 단어에 '성'이 붙은 것은 당시 고구려, 신라의 지명호칭관례로 실재 특정 성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금성의 범위는 통일이후의 신라왕경 범위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추정하였다. 통일이후의 신라왕경을 '金京' 혹은 '金城'이라 부른 것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통일이후의 신라왕경 범위는 『三國史記』 지리지의 신라왕도 규모에 대한 기록과 왕경 주변에 설치된 군현의 위치 그리고 신라왕경에서 시행된 條坊制 규모 등을 통해 월성을 중심으로 長·廣이 약 5.5km인 현재의 경주시내 정도로 추정하였다. Shil-la Keum-seong(新羅 金城) has been known as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that encloses either the imperial palace built by Hyukuse(赫居世) or Weol-seong(月城) built in Pasaisageum(婆娑尼師今) 2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however, to say that Shil-la Keum-seong only means the capital of Shil-la Dynasty itself, and the scope would be similar with the current downtown of Kyeong-ju(慶州) surrounded by Myeonghwal-san(明活山,) Seohyeong-san(西兄山,) Nam-san(南山), and So-Keumkang-san(小金剛山). Most of records which mentioned about Keum-seong describes it as the impeial palace area. But this thesis shows counter-evidences about it. In the case of 『Samguksagi』(三國史記), previous interpretation was proved to have some faults. The main records for the proof are one about 'Keum-seong built in Hyukuse 21', the other one about four gates of it, a note that it had been located in the east of Si-rim(始林), and another one in Jiriji(地理志). Especially with the last one, the writer's faults was proved and "Keum-seong as the imperial palace area" was denied. While analysing the records above, some new facts has been further proved. First, Hyukuse palace is not same with Weol-seong in scale. Moreover the location seems to be the south of Weol-seong, Changrim-sa(昌林寺) area now. Second, Keum-seong built in Hyukuse 21 would be Guk-eup(國邑)of Saroguk(斯盧國). Third, the capital of Shil-la Danasty had four gates while there were no Na-seong(羅城). In the other records about Keum-seong, it was proved that there has been false interpretation in 『Sindangseo』(新唐書)·『Gudangseo』(舊唐書)·『Yangseo』(梁書). In the other extra records, Keum-seong was described as the imperial palace area. "Keum-kyeong(金京)", "Keum-seong(金城)" which written in the latter half of 7th and 9th centuries. Next step was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word "Keum-seong", and it was proved that the word meant Seorabeol(徐羅伐), Saro(斯盧), Sara(斯羅), Shil-la(新羅) which indicated the capital of the dynasty. Even though the word "seong(城)" is suffixed to the word "Shil-la-seong(新羅城)" or "Keum-seong(金城)", it is regarded as a custom. Therefore "seong" does not mean any real palace. For the estimate of the scope records in 『Samguksagi』 was studied.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scope would approximate to the current downtown of Kyeong-ju.

      • 新羅-唐 戰爭史 硏究

        김병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고는 신라-당 전쟁에 대해 고찰한 연구로 학계의 기존 성과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통해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보자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라의 ‘삼국통일론’과 ‘백제통합론’이 논쟁을 지속해온 국내 학계 및 ‘한반도 방기론’이 주를 이루는 국외 학계의 시각과는 다른 입장을 제시하여 7세기 동아시아의 이해에 기여해보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그 결과 신라-당 전쟁은 전기ㆍ중기(휴전기)ㆍ후기의 3단계로 시기 구분을 할 수 있으며, 석성ㆍ석문ㆍ매소성 戰役을 거치면서 신라는 임진강으로부터 비열홀(안변)에 이르는 경계의 이남을 영토로 삼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735년에 당으로부터 공식적인 승인을 받으면서 신라는 대동강에서 원산만에 이르는 구간을 영토로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신라-당 전쟁의 전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신라-당 전쟁은 668년 고구려 멸망 직후부터 신라가 백제 고지를 취해가면서 발생한 국지전으로 시작된다. 신라가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 이유는 당이 648년에 체결한 영토 분할 밀약을 지키지 않고 한반도 전체를 기미지배하려는 의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이후 국지전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신라는 670년 3ㆍ4월에 고구려 부흥세력과 연합하여 말갈과 오골성 전투를 벌였고, 7월에는 웅진도독부와 마찰을 일으키면서 당도 신라의 의도를 인지하게 된다. 신라의 이러한 행위는 당의 본진과는 교전을 피하면서 고구려 부흥운동 진압 및 토번 토벌을 해야 하는 당의 상황과 연동되어 이루어졌다. 당은 전선이 확대되는 부담 속에서도 신라를 정벌하기 위해 파병을 결정하였는데, 계림도행군총관 설인귀가 이끄는 당의 본진과 신라군이 결국 교전하였다. 이것이 671년 6월 석성 전투이며, 이때부터 신라와 당은 전면전을 치르게 되었다. 석성 전투를 중심으로 671년의 전황은 하나의 과정을 이루는데, 이를 석성 전역으로 통칭하고자 한다. 그리고 석성 전역에는 신라와 당의 외교문서 교환이 포함되는데, 이는 전면전 개시를 양국이 재확인한 조치였다. 이후 신라와 당의 전면전은 본격적으로 확대되었지만, 672년 8월의 석문 전투에서 신라가 대패하며 전세는 뒤바뀌게 된다. 672년의 전황 역시 석문 전투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전투들이 하나의 과정에 해당되므로, 석문 전역으로 통칭하고자 한다. 석문 전역 이후 신라는 내지에 대규모 축성을 하는 등 수비를 강화하였다. 그러다가 신라는 673년에 호로하ㆍ왕봉하 전투에서 승리하며 당군을 물러나게 하였고, 이에 따라 674년 휴전 기간을 거치면서 석문 전역의 패배를 회복할 시간을 벌었다. 675년 2월에는 칠중성과 매소성을 당에게 내주며 위기 상황을 맞이하지만, 9월의 천성ㆍ매소성 전투 및 기벌포 전투를 비롯한 그 이후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신라는 사실상 한반도에서 당군을 축출시켰다. 이러한 673년과 675년의 전황은 유사성이 보이는데, 신라를 기준으로 서북 전선에서는 당이 수륙병진을 하였고, 동북 전선에서는 당의 직속 번병이 아닌 말갈이 부용세력으로 활동하였다는 점이다. 매소성 전역으로 신라와 당의 전면전은 끝이 났다. 676년에 도림성 전투와 같은 국지전이 발생하였으나, 점차 신라와 당은 전쟁이 종료되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당이 토번에 집중하느라 신라를 신경 쓸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당이 한반도를 방기한 것이 아니라 관심을 가질 수 없는 ‘觀東 不可’의 상태였음을 뜻한다. 한편, 676년부터 신라는 조금씩 전쟁이 종료되어 간다는 인식 속에 內治와 관련된 조치를 취해나갔다. 그렇지만 신라와 당 모두 전쟁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하게 된 계기는 신라가 대일 외교의 태도를 바꾼 이후 693년 2월에 당의 사절로부터 신문왕의 사망에 대한 조문과 새롭게 즉위한 효소왕의 책봉을 받았을 때부터였다. 신라와 당의 관계가 회복된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를 신라-당 전쟁의 종료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은 신라-당 전쟁을 시간적으로 고찰한 내용이다. 신라-당 전쟁을 공간적으로 고찰해보면 전면전 발생 이후 대부분의 전투는 백제 고지가 아닌 평양 이남의 고구려 고지에서 발생하였음이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백제통합론’의 관점은 당대의 실상과 부합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그렇지만 ‘삼국통일론’도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평양의 이남만을 영토 획득의 대상으로 추구하였다는 점은 신라가 고구려를 통일 또는 통합의 대상으로 삼았다고 보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한반도 방기론’의 문제는 앞서 언급하였다. 7세기의 전반적인 상황을 놓고 보면 신라는 648년에 당과 밀약을 맺을 당시에 1차적으로는 백제만을 통합하고 2차적으로는 평양 이남의 고구려 영토까지 차지할 생각이었으나, 신라-당 전쟁을 치르는 동안에는 영토 확장이 아닌 생존 자체에 목적을 둔 시기도 있었다. 그러다가 신라-당 전쟁의 종료 이후에는 대동강 이남까지의 북방 진출을 모색하게 되었다. 즉, 신라는 처음에는 백제통합론의 입장이었으나 나중에는 삼국통일론의 입장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이는 현재의 관점에서 성립된 학설로 바라본 시각이고, 당시 신라인들의 최우선 목표는 일단 생존이었다. 대상이 백제든 고구려든 영토 확장은 상황에 맞추어 이루어졌을 뿐이다. 다만, 영토 확장에 있어 우선순위는 백제였으며 신라가 당과의 전면전을 결심하게 된 이유도 백제에 있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신라-당 전쟁은 당시의 세계에서 최강대국과 싸우는 절대적 위기의 상황에서 생존한 신라가 한ㆍ중ㆍ일의 현대인을 구별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된 역사적 사건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즉, 현대 한국인들의 삶 자체를 존재할 수 있도록 해준 역사 가운데 하나가 신라-당 전쟁이기에, 신라인들의 생존은 그 자체로 빛나는 승리라고 평가해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엄격히 말해서 신라-당 전쟁의 승패는 결정되지 않았으나 신라는 추구하는 목적을 모두 달성하였다. 단지 예상 밖의 오랜 시간이 걸렸을 뿐이다. 목적 달성 여부로 승패를 판가름하자면 장기간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노렸던 신라가 승리한 것이다. 8세기가 되면서 점차 동아시아 세계는 당이 조공국의 ‘자치와 자주’를 인정하는 선에서 균형을 찾는 절충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주변국들의 중국화도 고도한 수준으로 진행되어 동아시아 각국이 중국과 마찬가지로 유교ㆍ불교ㆍ한자ㆍ율령 등을 갖춘 ‘고대의 완성’ 단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세계의 재편과 8세기에 완성된 고대의 기반은 신라의 선택이 매우 큰 영향을 끼쳤기에 형성될 수 있었다고 하겠다. 신라-당 전쟁은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에 있어 무시할 수 없는 한 축을 담당하였다. 바로 여기에 신라-당 전쟁의 역사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War between Silla(新羅) and T'ang(唐) through and then to suggest a new view through critique and reception of the academia’s previous theories. Concre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of a new opinion with domestic academia that have continued the argument between the Theory of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Theory of Silla’s integration of Baekje(百濟), and also to academia abroad that have being argued the Theory of T’ang’s aband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is, this study try to understand the East Asia in 7th century. The War between Silla(新羅) and T'ang(唐) has three main periods: the former period, the middle(interwar period), and the latter period. And after the Warfares of Seok-sung(石城) Fortress, Seokmun(石門), and Maeso-seong(買肖城) Fortress, Silla territorialized the south of the boundary from Limjin-gang(臨津江 River to Biyeolhol(比列忽), Anbyeon(安邊). And then, Silla obtained Tang’s approval about this border line in 735. Thorugh this approval, Silla could seize and retain the ground from Daedong-gang(大同江) River to the Bay of Wonsan(元山灣). The process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is as follows: First, after the fall of Goguryeo(高句麗) in 668, Silla started to occupy Baekje’s strategic locations. And in the process, the local battles was what started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The reason was that T’ang broke the Treaty between Silla and T’ang of 648, and tried to rule the whole Korean peninsula by loose rein policy(羈縻政策). And T’ang realized Silla’s intention as the battles was getting more fierce, and Silla and the forces of the Revival Movement of Goguryeo battled with the Mohe(靺鞨) in Ogol-seong(烏骨城) Fortress from March to April in 670, and also made troubles with Ungjin Commandery(熊津都督府) in July. Silla tried to operate this process with T’ang’s situation that had to suppress Tibetan Empire and the Revival Movement of Goguryeo, without fighting with T’ang’s military headquarters. In spite of the expansion burden of war lines, T’ang decided to send troops to Silla. Xue Rengui(薛仁貴), Protectorate General of Gyerim Territory(鷄林道行軍總管) started a full-blown war to Silla in Jun, 671, It was the Battle of Seok-sung Fortress. Under the progress of the warfare situation, in 671, including the exchanging of diplomatic notes, Silla and T’ang started a total war in earnest. But after Silla’s defeat of the Battle of Seokmun in 672, Silla strengthened defence with fortification in Silla’s native country. And then through victories in the Battles of Horo-ha(瓠瀘河) River and Wangbong-ha(王逢河) River, Silla repulsed T’ang’s armies and gained the time to recover the defeat of Seokmun. In spite of fall of Chiljung-seong(七重城) Fortress and Maeso-seong Fortress, Silla ousted T’ang’s troops through the Battles of Cheon-sung(泉城), Maeso-seong, and so on. Despite of the Dorim-sung(道臨城) Battle in 676, the war is actually over. T’ang didn’t have any power to continue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because of Tibetan Empire. Thus it was not T’ang’s abandonment of Korean peninsula. it was just that T’ang didn’t have any strength to continue the war. The T’ang’s mourning King Sinmun(神文王) and proclamation of King Hyoso(孝昭王) served as a momentum to end the war in February, 676. It was restored the traditional friendships between Silla and T’ang. The most of war between Silla and T’ang took place in the territory of Goguryeo, not Baekje. Therefore, the Theory of Silla’s integration of Baekje is not true. Also there are some problem in the Theory of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t is difficult to consider Silla aimed to unify Goguryeo. the Theory of T’ang’s aband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lready been reviewed. In the situation of the East Asia in 7th century, Silla aimed to occupy the territory of Baekje and the territory of south of Pyongyang(平壤). But Silla had to aim to survive time to time while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Silla aimed to occupy the territory of Baekje in the beginning, but after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sought to occupy the southern area of Daedong-gang river. But it is the view of modern times. At that time, the people of Silla wanted to survive. The territorial expansion was just the situational result. The priority of territorial expansion was Baekje, and also it was why the reason to start war with T’ang.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was the historical event to distinguish the Korean People from East Asia’s people. Thus, the survive of the Silla’s people was a splendid triumph. Even though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was an indecisive battle, the Silla’s people achieved their goals. It just took a long time to end the war. Each countries in East Asia was included in Chinese rulling order in 8th century. Silla became the ancient nation with Confucianism, Buddhism, Chinese character, and law establishment like China. Therefore, the global reorganization of East Aisa and the formation of ancient state in 8th century was influenced by Silla’s choice.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was an important role of the formation of the East Asia cultural area. It is the meaning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 新羅· 加耶 武器 硏究

        우병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iron weapons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province in southeast Korea,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pons of Silla and Gaya (the countries that emerged in this provinc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makes estimations about changes in the region’s armies during each period. A group’s weapon system is formed by i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ir battle style and strategy. Yeongnam is well known for its natural defenses provided by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s, and its development centered around a basin in one of the most rugged mountainous region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influencedthisregion consisted of Northeast Asian weapon systems, usually seen in Goguryeo and the Three Yan Kingdoms outside the Yeongnam province, where the infantry and cavalry had become a complex, specialized component of the army.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ed the weapon systems and armies in Silla and Gaya, and, in some sense, the two countries shared these weapon systems and the methods for operating their armies. 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a selected collection of symbolic iron weapons from both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ree Kingdoms Period. Symbolic weapons are a type of artifact reflecting the identity of a polity. Based on competition for the possession,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symbolic weapon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of Jinhan and Byeonha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development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growth of Silla and Gaya. Each chapter is summarized below. Chapter I contains a summary of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proposes research topics that need further exploration. Weapons are used in war and battle for the purpose of offense and defense. They are tools of relativity, influenced heavily by the enemy’s strategy and weapon system. This is why it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to review in detail weapons that are excavated from ruins and look into contributing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he size of the group, and the enemy’s weapon system. The weapon system of each polity can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ual archaeology, which explains the formation of a culture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culture.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environment, was also taken into account. Chapter II covers the development of iron weapons excavated from tombs in the Yeongnam province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focuses on the change in iron weapons used for attack, defense, and cavalry. The weapon systems and armies of Jinhan and Byeonhan in Yeongnam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s composed of a swordsmen branch (dagger and longsword), including infantry, a lancer branch (iron spear with a short body, long body, doubled lock function point, and protruding lock function point), and an archer branch (arrowhead with and without a tang). In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developments in the politics, economy, and military of Jinhan and Byeonhan, their armies had become more specialized than in the previous period. Long iron swords were temporarily in fashion but soon gave way to iron swords with a wooden handle or ring pommel. Iron spears with a protruding lock function point are mainly found buried in leaders’ tombs in the Yeongnam province. Duringthistime, the arrowhead without a tang went out of fashion and one with a tang became popular. It seems that small-scale armies focused on lancers (iron spears with a doubled lock function point) during the early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n a specialized army was established in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explained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III considers the change in weapon system by period,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weapons excavated from leaders’ tombs. This leads to the features of each of the weapon systems and armies of Jinhan and Byeonha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Silla and Gay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ith their development into the countries of Silla and Gaya, the size of their groups increased and their weapon systems and armies became more specialized. Lik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infantry, centered around lancers, played a core role the armies of Silla and Gaya. Their weapon system went through changes influenced by Goguryeo,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iggest change was demonstrated in the spear with a protruding lock function point, which had been mainly used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province. This iron spear was originally thin in the body and was designed to cut, but it was replaced with a spear with a swallow-tail head and plain head that is designed to stab, which was popular in Goguryeo and the Three Yan Kingdoms. Goguryeo influenced not only weapons, but also armor. Mail armor from Goguryeo became popular, and the vertical plate armor which was appropriate for military strategy in the Yeongnam province had become popular in Silla and Gaya. Looking at the weapon systems in Northeast Asia, Silla and Gaya had similar weapon systems that focused on practicality. The Three Yan Kingdoms and Goguryeo had armies and weapon systems based on a combination of infantry, light cavalry, and heavy cavalry. Wa in the Japanese Islands had a weapon system and army focusing on an infantry comprised of swordsmen. On the contrary, Silla and Gaya had a specialized army of swordsmen, lancers, and archers centered around infantry, and their armies had a growing cavalry. Chapter IV selects symbolic weapons that reflect the countries’ identity from among practical weapon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symbolic weapons between political entities. First, small countries that had many similaritie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model of peer polity interaction. By considering the fernbrake-shaped iron weapon,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competitive emulation and symbolic entrainment of polities were demonstrated by small countrie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at competitively desired to possess and bury this kind of weapons in their tombs. However, common possession and burial of the fernbrake-shaped weapon disappear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Fernbrake-shaped weapons became popular mainly in Gyeongju and Gimhae within the Yeongnam province. This shows that the equal relationships between small countrie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disappeared, and they developed into the countries centered around the regions of Gyeongju and Gimhae. After the countries of Silla and Gaya emerged, each polity possessed symbolic weapons to express its identity.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ic weapon was the decorative longsword. A sword with a ring pommel and three rings or three leaves was popular in Silla, and a sword with a ring pommel and dragon was popular in Daegaya. Decorative swords with a ring pommel, three rings, three leaves, and a dragon wer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depending on the region in which they were produced, as the detailed manufacturing techniques differed. Additionally, spears with a plate, eggplant-shaped spears, axe-shaped arrowheads, and three-wing-shaped arrowheads were used as symbolic weapons in Silla, influenced by Goguryeo. These weapons were mainly excavated from the tombs of high-ranking officials in Silla and Daegaya, and several were found in leaders’ tombs in other regions. Chapter V considers the spread of these symbolic weapons in Silla and Daegaya. When Silla or Daegaya-style earthenware and symbolic weapons that display the identity of each country were excavated together, this was understood as the spread of the power of Silla and Daegaya. In contrast, when a sword with ring pommel and three leaves, a typical symbolic weapon of Silla, and Daegaya-style earthenware were excavated together in the same tomb, such as at Goryeong Jisandong Tumulus No. 45, it was understood as an exchange or present between two polities. The army of Silla has been categoriz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was the region surrounding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where tomb builders composed of farmers and fishermen oversaw the military information network in case of invasion from enemies. The second is Pohang and Ulsan, the strategic points of defense for Gyeongju. It is difficult to find high tombs or products from Silla in Okseongri in Pohang and Jungsanri in Ulsan. This may be because they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ower as they were important military points. The third is the Yeongnam province far away from Gyeongju. As Silla grew at a rapid pace, strategic points in the Yeongnam province served as military bases, and their roles changed throughout the history of Silla. Gyeongsan, Daegu, Seongju, Gimcheon, Waegwan, Gumi, Uiseong, and Sangju are examples of some of these base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country. These regions had their own armies that formed organic military relations with Gyeongju and other regions and engaged in defense. Gyeongsan wa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defense of Silla as it was located at the gateway to Gyeongju from the northwestern inland region. Daegu and Uiseong were located farther from Daegaya and Baekje, supporting the border regions and overseeing field operations.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ere were Changnyeong and Miryang. Changnyeong is right across the Nakdonggang River of Hapcheon, and this must have made the region more important in the growth of Daegaya. In the southern coastline and inland territory, there were Busan and Yangsan. Busan was of great militarily importance in the 4th and 5th century CE when Geumgwangaya was prosperous. Yangsan was important from the 6th century, after the growth of Daegaya and Sogaya. The symbolic weapons of Daegaya were the sword with ring pommel and dragon that are separately cast, the sword with a small ring pommel, and the multi-sided swallow-tail-shaped iron spear, all of which were spread across the region. In Aragaya and Sogaya, symbolic weapons were excavated alongside local earthenware, and they are assumed to be locally manufactured due to differences from the typical symbolic weapons of Daegaya. Daegaya’s central power spread to the surrounding regions. From the 6th century, Daegaya’s territory expanded to cover Sancheong, Jangsu, Namwon, Hamyang, and Yeosu. The sword with ring pommel and dragon, the sword with a small ring pommel, and the multi-sided swallow-tail-shaped iron spear in these regions were all similar to those from Daegaya. The earthenware excavated alongside these weapons was also in Goryeong style, which heightens the likelihood that the symbolic weapons of these regions were distributed by the central power of Daegaya. 초기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영남지방의 철제 무기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국가로 이행된 삼국시대 신라와 가야의 무기체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기별 군사조직의 변화양상을 추정하였다. 집단의 무기체계는 전투 및 전술에 맞는 대내외적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 한반도 영남지방의 대내적 환경은 태백산맥, 소맥산맥으로 둘러싼 천연의 방어지역에 위치하는 점,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도 산세가 험준한 지역에서 분지를 중심으로 발달한 점 등이 있다. 대외적 환경으로는 영남지방을 벗어난 고구려, 三燕에서 보이는 보병과 기마병 등이 복합적이고 전문화된 군사조직으로 성장하는 동북아시아의 무기체계의 영향이다.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이 신라와 가야 무기체계 및 군사조직 운용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이며, 큰 틀에서 보면 신라와 가야는 유사한 무기체계와 군사조직을 운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의장용 철제 무기를 선별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의장 무기는 일종의 상징물로서 각 정치체의 정체성을 반영한다. 이러한 각 정치체 간의 상징물의 소유 경쟁, 교환, 분여 등의 현상을 원삼국시대 진변한 사회의 특성, 원삼국시대 小國에서 삼국시대 國家로의 성장 과정, 新羅 및 加耶 정치체의 세력 확산 등으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상의 각 장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기왕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현시점에 필요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무기는 공격 및 방어를 위한 전쟁, 전투에 사용되며, 상대의 전술 및 무기체계에 영향을 받는 상대성이 강한 도구이다. 이에 먼저 유적에서 출토되는 무기를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무기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환경 지리적 여건, 집단의 규모, 상대의 무기체계 등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문화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문화가 형성된다고 보는 과정주의고고학 관점에서 각 정치체의 무기체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문화와 환경 간의 관계를 중시한 문화생태학적 관점도 고려하였다. Ⅱ장에서는 초기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영남지방의 분묘에서 출토되는 개별 철제무기류의 전개양상을 파악하고 이후 단계별로 철제 공격용 무기, 방어용 무기, 기승용 무기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영남지방 辰韓과 弁韓의 무기체계와 군사조직은 보병 중심의 검병(단검, 장검), 장창병(長身形 및 短身形철모, 二段關式철모, 關部突出形철모), 궁병(無莖式철촉, 有莖式철촉)이 기본적인 구성을 이루는 체계이다. 원삼국시대 후기에 이르면 영남지방 辰弁韓 小國들이 정치, 경제, 군사 등의 방면에서 전반적으로 발전하면서 군사조직 역시 앞 시기에 비해 전문화되고 있다. 무기는 철제 장검이 일시적으로 출현 및 유행하다가 철도(木柄刀, 環頭大刀)가 유행하면서 철제 장검은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철모는 관부돌출형철모를 중심으로 영남지방 각 지역마다 수장묘를 중심으로 다수 부장되는 현상이 확인된다. 철촉은 장기간에 걸쳐 유행하던 無莖式철촉이 소멸하고 有莖式철촉이 크게 유행한다. 전반적인 양상으로 보아 원삼국시대 전기에는 장창병(이단관식철모) 중심의 소규모 군사체계가 유지되다가 원삼국시대 후기에 이르면 어느 정도 전문화된 군사조직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Ⅲ장에서는 앞의 장에서 검토한 개별 무기를 토대로, 단계별로 수장급묘에서 출토한 무기의 조합관계를 검토하여 시기별 무기체계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원삼국시대 辰弁韓, 삼국시대 新羅와 加耶의 무기체계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로 당시의 군사조직을 추정하였다. 삼국시대에 이르러 신라와 가야가 국가단계로 접어들면서 집단의 규모가 커지고 무기체계 및 군사조직도 전문화되는 양상이다. 신라와 가야는 원삼국시대와 마찬가지로 장창병(철모)을 중심으로 한 보병부대가 군사조직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다만 한반도 북부지역에 위치한 고구려의 영향으로 무기체계의 변화가 일어나다. 가장 큰 변화는 영남지방 원삼국시대에 유행하였던 관부돌출형철모에서 나타난다. 이 철모는 본래 신부의 두께가 얇고 베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및 중국 三燕 등에서 유행하던 찌르기 기능을 가진 연미형 및 직기형철모로 대체된다. 무기뿐만 아니라 갑주 등의 무구에서도 고구려의 영향을 받는다. 신라와 가야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찰갑뿐만 아니라 영남지역의 전술에 맞는 종장판갑도 유행하였다.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여러 국가의 무기체계를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신라와 가야의 실전용 무기체계가 강한 유사성을 띠고 있다. 중국 三燕과 고구려는 창병이 중심을 이루는 보병과 경기병과 중기병이 혼합된 기병 등이 갖추어진 무기체계와 군사조직이, 일본열도 왜는 도검병이 주축을 이루는 보병의 무기체계와 군사조직이 유행한다. 반면 신라와 가야는 장창병(철모)의 보병을 중심으로 한 刀兵, 長槍兵, 弓兵 등 전문화된 보병으로 편재되고, 기병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으로 무기체계와 군사조직이 갖추어졌다. Ⅳ장에서는 실전용 무기체계에서 나름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의장 무기를 선별하고 정치체간에 상징물의 교환, 분여 등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공통성이 강한 원삼국시대 각 小國간에는 상징물의 공통성이 강한 데 이를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원삼국시대의 대표적 상징물 중에 하나인 궐수형철기의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원삼국시대 小國 정치체가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이 상징물들을 경쟁적으로 소유하고 분묘에 부장하려 했던 것을 정치체간 상호작용의 여러 행위 중 우월경쟁, 상징동승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삼국시대에 이르면 유사한 형태의 궐수형철기 공통 소유 및 부장현상이 사라지고 경주지역과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한 궐수형철기의 지역성이 출현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원삼국시대 각 小國간의 대등한 관계가 해체되고 경주,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국가 단계로 이행한 것으로 보았다. 신라와 가야 국가가 형성되면서 각 정치체 간에는 나름의 정체성을 표출하려는 의장 무기가 등장한다. 대표적인 의장 무기로는 장식대도가 있으며, 신라는 삼루환두대도, 삼엽환두대도, 대가야는 용봉환두대도가 유행한다. 특히 장식대도의 세부 제작기술에서도 나름의 특성이 있어 타 지역에서 제작한 삼루환두대도, 삼엽환두대도, 용봉환두대도와 구분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신라의 의장용 성격 무기로 고구려에서 영향을 받아 정착한 盤部철모, 가지형철모, 착두형철촉, 삼익형철촉 등이 있다. 이러한 의장 무기류는 신라와 대가야의 상위 피장자의 무덤에 집중 확인되며, 지방의 수장급 무덤에서 소수가 확인되고 있다. Ⅴ장에서는 신라와 대가야의 의장 무기를 대상으로, 그러한 상징물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시공간적으로 확산되는 정황을 검토하였다. 지방의 무덤에 신라양식이나 대가야양식의 토기류와 각국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의장용의 성격 무기류가 공반하여 출토되는 경우, 이를 신라나 대가야 세력의 확산으로 보았다. 반면에 고령 지산동45호 출토 삼엽환두대도와 같이 신라의 전형적인 의장용 성격 무기와 대가야양식 토기가 공반되는 경우, 이를 정치체 상호 간의 교환, 선물 등의 행위로 파악하였다. 신라의 군사체계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신라의 중앙인 경주지역에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소규모 고분군 축조집단으로, 어로 혹은 농경생활을 하면서 적의 침입이 있을 시 군사적 정보 네트워크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둘째, 경주지역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신라의 수도를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이며, 그 대표적인 곳이 포항과 울산지역이다. 포항 옥성리와 울산 중산리지역은 신라 지방의 타 지역과 달리 고총의 축조와 위세품이 잘 확인되지 않는다. 이것은 경주지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수도 방위에 중요한 지점이기 때문에 신라 중앙세력의 직접지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경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영남지방 주요거점으로 신라의 영역확대가 가속화되면서 대외진출 혹은 대외방어를 위한 군사적 거점의 역할을 하며, 이들 지역은 신라의 영역확대 과정 속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역할이 이동하였다. 먼저 신라 수도인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북서쪽 영남내륙지역에 위치한 경산지역, 대구지역, 성주지역, 김천지역, 왜관지역, 구미지역, 의성지역, 상주지역 등이 있다. 이 지역에서는 제지역 중심의 세력이 나름의 군사를 보유하고 신라 중앙과 타 지방세력 간의 유기적 군사 관계를 형성하면서 대외 방어 및 진출을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에서도 경산지역은 광역의 북서쪽 영남내륙지역과 수도 경주지역으로 이어지는 관문 역할을 하는 곳에 위치하여 신라의 대외 방어에 중요한 곳으로 판단된다. 대구와 의성지역은 대가야와 백제의 국경선에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경계에 있는 지역 집단을 지원하는 등 야전의 지휘 역할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경주의 남서쪽 영남내륙 지역으로 창녕지역, 밀양지역이 있다. 이 중 창녕지역은 낙동강 건너에 합천지역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대가야의 성장에 따라 이를 대응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경주의 남쪽 동해안 및 내륙지역에는 부산지역과 양산지역이 위치하고 있다. 부산지역은 금관가야가 융성하였던 4세기~5세기까지 군사적 중요도가 높았으며, 양산지역은 대가야와 소가야가 성장한 6세기 이후부터 그 군사적 중요성이 커졌던 것으로 보인다. 대가야의 의장 무기류에는 별주식 용봉환두대도와 소환두대도, 연미유관형 공부다각형철모가 대표적이며, 이 무기류를 중심으로 한 유물들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보인다. 먼저 아라가야권역, 소가야권역 등 연맹지역으로 확산이다. 이 지역들에서는 의장 무기류가 아라가야 및 소가야양식 토기와 공반하여 출토되는 경우가 많고 전형적인 대가야계 무기류와는 차이가 있어 자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대가야 중심세력의 확장에 따른 지역으로의 확산이다. 대가야는 6세기이후 산청, 장수, 남원, 함양, 여수 등 동부 호남지역으로 그 권역을 넓히는데 이 지역에서 확인되는 대가야계 용봉환두대도, 소환두대도, 연미무관형 공부다각형철모는 대가야 중심지역의 것과 형태상 유사하다. 더불어 공반되는 토기 역시 고령지역양식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동부 호남지역 출토 의장 무기류는 대가야 중심세력으로부터 직접 분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 신라왕릉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적 연구 : 피장자 비정에 이설(異說)이 적은 왕릉을 중심으로

        하인수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2009, 40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in 2018 seven temples were listed as world heritage sites and in 2019, nine Seowons applied for the listing. As a result, their values are recognized worldwide. Unfortunately, the Silla royal tomb, which has an independent status and a history of a thousand years has not yet to receive much attention. The Royal Tombs of the Silla Dynasty have the spirit of culture, history and ancestors and the feng shui ideas, which are the crystal of nature-friendly wind and water. Thus our descendants should have the wisdom to know and utilize in reality. In order to know the Silla Royal Tomb, where feng shui ideas are condensed, this study analyzed and examined in detail yongse(龍勢), hyeoljang(血場), sagyeok(砂格), suse(水勢) based on the conditions shown in 『Geumnamgyeong(錦囊經)』 and space composition of 6 Royal Tombs where there is no different theory or less about who's buried, as a target of 36 existing tombs located in and around Gyeongju among 56 Silla royal tombs, focused on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and analysis, the 6 royal tombs differed a lot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In Neungmyo jedo(陵墓制度), the 27th Royal Tomb of Queen Seondeok is equipped with only Bongbun(封墳), and the 29th Royal Tomb of King Muyeol has a Bongbun Hoseok(護石), Sangseok and Neungmyobi(陵墓碑), but the 33rd Royal Tomb of King Seongdeok, 38th Tomb of King Wonseong, 41st Royal Tomb of King Heondeok, and 42nd Tomb of King Heungdeok accepted Neungmyo of the Tang Dynasty. So these tombs are equipped with the Mun(文), Muin seok(武人石), Lion stone, 12 jisinsang’s, hoseok(12支神像 護石), hwapyoseok(華表石). After the unified Silla, myoje(墓制) was repaired and supplemented from deon neol’s tomb and dolmuji deon neol’s tomb to gulsik dolbang of tomb by the influence of Chinese feng shui. Based on these surveys, it can be seen that the spatial structure of neung myo jedo, myoje after the Unified Silla Dynasty was us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In terms of the location environment of Feng Shui, six royal tombs differed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Two Royal Tombs(27th Royal Tomb of Queen Seonduk and 29th Royal Tomb of King Muyeol), which were pre-unification royal tombs, applied partly to the elements of feng shui, But it seems that the feng shui shape was not clear(hyeol jang deviated from the naryong vein(內龍脈)) and relied on teojabgi, that is, the view of a self-sustaining geography However, the Seon(禪) began to be handed down by the two Buddhist monks, Doui and Hongcheok. From the early part of the 9th century, feng shui’s theor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Tang Dynasty by the influence of the monks of seonjong ipdangseung(禪宗 入唐僧). It affected the location of the temple, the site of the Budo pagoda. and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s. After the Unified Silla Dynasty when Chinese feng shui’s theory was introduced and applied to teojabgi, that is, the view of a self-sustaining geography, situation begin to change. Of the four royal tombs after Unification Silla Periods, two(33rd King Seongdeok's tomb and 41st King Heondeok's tomb) were not enough, but generally constructed in good places in terms of the feng shui, and the other two(38th King Wonseong's tomb and 42nd King Heungdeok's tomb) were constructed in good places with ideal shape in the in terms of the feng shui. In particular, the Royal Tomb of King Heungdeok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re is a windbreak and it is located in the end of the mountain where the dragon vein(龍脈) is exactly exhaus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in space composition of neungmyojedo and myoje. After the unified Silla Dynasty, a space composition was us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royal tomb construction and the royal tombs (2 tombs) before the unified Silla Dynasty relied on teojabgi, that is, the view of a self-sustaining geography, but the royal tombs (4 tombs) after the unified Silla Dynasty had a lot of correlation with feng shui’s thought.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come to establish these things. 2009년 조선왕릉 40기, 2018년 사찰 7개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고, 2019년 서원 9개가 등재신청을 하여 그 가치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아쉽게도 독자적 위상을 가지며, 천 년의 역사가 집약되어 있는 신라왕릉은 아직도 관심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문화와 역사와 조상의 정신, 그리고 자연친화적인 바람과 물의 결정체인 풍수지리 사상이 축약되어 있는 신라왕릉이야말로 우리 후손들이 제대로 알고 현실에 활용하는 지혜를 가져야 할 것이다. 풍수지리 사상이 축약되어 있는 신라왕릉을 제대로 알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일 전·후를 중심으로 신라 왕릉 56기 중, 경주시내와 인근에 위치한 현존 36기를 대상으로 피장자 비정에 이설(異說)이 적은 6기 왕릉의 공간구성과『금낭경』에 나타난 조건을 기준으로 용세(龍勢), 혈장(穴場), 사격(砂格), 수세(水勢)를 세찰하고 분석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공간 구성면에서는 6기 왕릉은 통일 이전과 이후는 차이가 많았다. 능묘제도는 27대 선덕여왕릉은 봉분호석만을 29대 무열왕릉은 봉분호석과 상석, 능묘비만을 갖추고 있지만, 33대 성덕왕릉부터 38대 원성왕릉, 41대 헌덕왕릉, 42대 흥덕왕릉은 당의 능묘제도를 받아들여 문․무인석, 사자석, 12지신상의 호석, 화표석 등을 갖추고 있다. 묘제도 통일신라 이후에는 중국 풍수지리의 영향으로 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돌방무덤으로 정비되고 보완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 볼 때 통일신라 이후에는 능묘제도, 묘제 등의 공간 구조를 왕릉 조성 시 중요하게 활용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풍수지리적 입지환경면에서도 6기 왕릉은 통일 이전과 이후는 차이가 있었다. 통일 이전 왕릉인 2기(27대 선덕여왕릉, 29대 무열왕릉)는 부분적으로 풍수적 요소를 적용했으나 혈장이 내룡맥에서 벗어나는 등 풍수형국이 분명하지 않고 자생적 지리관인 터잡기에 의존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의(道義)와 홍척(洪陟) 두 스님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전해지기 시작한 선(禪)은 9세기 초부터는 한반도에 선종 입당승 스님들의 영향으로 풍수지리 형세론이 당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사찰의 입지와 부도탑의 입지, 그리고 왕릉 입지에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중국의 풍수사상이 들어 와서 자생적 지리관인 터잡기에 중국의 풍수사상이 접목되기 시작한 통일 신라 이후는 양상이 변하기 시작한다. 통일 신라 이후의 4기 중 2기(33대 성덕왕릉, 41대 헌덕왕릉)는 부족하지만 대체적으로 풍수상 길지에 조영하였고, 나머지 2기(38대 원성왕릉, 42대 흥덕왕릉)는 풍수상 길지에 이상적인 형국을 갖춘 곳에 조영하였다. 특히 흥덕왕릉은 장풍이 되는 곳에 위치하고 정확하게 용맥이 다한 곳인 산진처에 위치하고 있다. 연구 결과, 능묘제도와 묘제 등 공간구성에서 통일 전·후는 많은 차이가 있었고, 통일 신라 이후에는 공간구성을 왕릉 조성 시 중요하게 활용하였다는 것과 통일 신라 이전의 왕릉(2기)은 자생적 지리관인 터잡기에 의존했지만, 통일 신라 이후의 왕릉(4기)은 풍수지리 사상과 상관성이 많았다는 것을 규명하게 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4~6세기 신라고분 출토 유물에 나타난 北方要素

        홍승희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신라 미술을 이루고 있는 현존 유물에는 적석목곽분을 중심으로 출토된 부장품이 대 다수를 이루고 있다. 신라고분출토 부장품은 크게 장신구류·용기류·무기 및 마구류로 분류되는데 부장품이라는 유물은 유물의 성격상 공예에 속한다. 공예에서는 金을 재료 로 하는 금공예가 유난히 발달하였다. 신라 고분출토품에는 금관을 비롯한 金으로 제작 된 이식과 관식, 대금구, 요패구, 지환, 완천등 장신구와 금제완, 금제고배와 같은 금제 용기를 포함하여 다수의 금제유물이 있다. 금제유물 중에서도 금제 장신구는 신라고분 에서 예외없이 출토되어 다양한 종류와 의장수법으로 신라의 금속공예를 대표하며 화려 함을 좋아하는 신라인의 미의식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러한 금제장신구의 盛行은 삼국시대에 이르러 지배자의 신분을 상징하는 수단으로 다수의 장신구가 제작된 것과 구슬 중심의 장신구에서 금제 장신구로 일변하는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귀금속 제 용기의 사용도 고신라 용기문화의 변화를 의미한다. 고분출토품에는 인접국과 교류 관계를 말해주는 유물이 포함되어 있어 흥미롭다. 예를 들면 호우총에서 출토된 청동호 우는 高句麗 作으로 당시 신라와 고구려와의 긴밀한 정치관계를 잘 보여 준다. 고분출토품에는 그 연원이 중국 이서로부터 흑해연안에 까지 미칠 수 있는 것도 포함 되어 있어 신라 미술의 북방미술과의 관련성을 암시하며 미술의 한 특성을 형성한다. 中國 以西지역으로부터 직접 전래된 것으로는 유리기와 보검장식이 있다. 유리기(琉璃 器)는 월성로고분·금관총·서봉총·금령총·황남대총 남·북문 등에서 출토되었다. 이 들 유리기는 4세기에서 5세기까지의 후기 로만 글래스의 전형적인 예들로서 그 형태는 그리스식 오이오코네라고 하는 오랜 전통의 손잡이가 달린 형태이고 몸체의 성형방법은 로마유리의 대대적인 보급에 크게 기여한 대롱불기법이다. 바닥에는 폰티자국이 나타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첨뉴문·파상문·목리문·커트문·귀갑문 등 각기 다른 장식 기법이 동원된 유리용기들이지만 모두가 지금의 시리아 지역. 동부 지중해 연안의 비슷 한 지역에서만 만들어진 유품들로 보인다. 이들을 종합해 볼 때 유리용기들은 로마 계 통으로 간주되며, 초원의 길 (Stepe-Route)을 경유하여 신라에 전래되었으리라 추정된 다,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된 단검의 칼집장식은 다채장식기법으로서 신라의 도검(刀 劍)과 구별되는 이국적인 유물로서 직접 原物이 유입된 한 예로서 당대 신라의 국제성 과 文化交流의 좋은 예가 된다. 이와 함께 모티브와 장식문양, 장식기술 등을 받아들여 신라인이 재창조한 예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金冠이다. 금관총의 금관을 비롯하여 서봉총·금령 총·천마총·황남대총 북분등 新羅의 대표적인 왕릉급 무덤에서 출토된 金冠은 형태와 모티브가 시베리아 유목문화와 연결된다. 수지(樹枝)와 녹각의 도안화된 신라 금관의 입 식과 조형 또는 조익형 관식은 녹각과 조우 장식이 달린 시베리아 일대의 샤만관에 직 접적인 조형의 원류를 두고 있다. 북방요소중에는 기법요소를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판금기법과 타 출기법을 들 수가 있다. 판금기법은 얇게 늘인 금속판을 이용하여 서로 때워서 입체적 인 것을 만드는데 쓰이는 기법이다. 이 특징은 시베리아 샤만적 요소로서 신라금관에 잘 나타나 잇다. 타출기법은 금속판을 안팎에서 주로 쳐서 무늬나 부조로 나타내는 기 법을 말하는데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3500여 년경 이 기법이 보이고 있으며 西아시아 지 방에서도 기원전 1800년경에 이미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도 춘추전국시대와 漢代에 걸 쳐 이 기법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 기법은 신라의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금제 팔지는 이러한 타출기법의 극히 초보적인 것으로 인정된다. 또 다른 기법으로 대표적인 것은 누금세공기법을 들수 있다. 이 기법은 고도의 기술 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장식기법인데 이 기법은 기원전 26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슈메르 人에 의해서 시작된 이래 아시아 여러 지역과 그리스와 新羅유물에 제일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라 말할 수 있다. 이집트 12왕조(B.C. 1919 ∼ 1786)의 金銀器에 세분장식으로 쓰 이고 있었으며 그리스 및 중국 漢代에서 보이고 있다. 이 기법의 대표적인 유물로서 금 제태환이식과 황남대총북문출토 금제경식등 대표되는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등이 있으며 鷄林路출토 寶劍裝飾과 같은 유물에 또한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식리총 출토 식리는 近東에 연원을 둔 연주문으로 된 귀갑문·쌍조문과 중국적 인 서수문·화염문·연화문등의 외래의 요소를 받아들여 新羅 미술의 전통속에 훌륭히 수용한 예로 삼기도 한다. 식리의 외주부에는 중국 육조시대 佛像의 광배에 장식된 화 염문과 동일한 화염문대를 돌리고 누문으로 구획된 내구에는 중앙에 귀갑문 일열, 좌우 에는 반귀갑문 각일열씩 배치하였다. 연주문으로 구획된 귀갑문 안에는 연화문·귀면 문·쌍조문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좌우 반귀갑문에는 인면조신·새·기린·비등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외에도 서아시아로부터 시베리아 초원지대를 거쳐 한반도로 이어지는 문화요소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角杯를 모방한 토기나 칠기에서도 나타난다. 각배란 뿔 모양의 잔으로 角形杯라고도 부르고 서양에서는 이런 모양의 용기를 Rhyton 이라고도 한다. 미 추왕능 C地區 7號墳에서 출토된 토제각배와 천마총 출토 칠기각배로 대표되는 角杯의 원류도 중국 漢文化圈에서 벗어난 북중국 → 중앙아시아 → 근동 → 지중해로 연결된 다. 新羅 미술의 특성은 금속공예에서 金工藝의 발달과 외래적인 영향 중에서 북방민족미 술과의 親緣性에서 찾아진다. 삼국 중에서도 유독 新羅 古墳에서는 金製遺物과 북방민 족적인 성격의 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이러한 특성이 고신라 미술의 한 큰 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특히 1970년대 이후의 경주 일원에서 발굴된 많은 고고학적 자료들은 이에 대한 중요한 절대적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