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現代詩論의 展開過程 硏究

        정종진 忠南大學校 198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ate definitively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ic theory from 1880 to 1950 through the new view-point, "The intrinsic approach" The author thought that most studies on poetry from the above period dealt mainly with the view-point of "The extrinsic approach" because these works were written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under the auspic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But such works were bound to express a bias and thus he studied in order to express a balanced view holding the definitions of both approaches, intrinsic and extrinsic, in order to give an objective evaluation in the past, they have been studied with too subjective or emotional attitudes So he quoted only poetic theory when needed, not quotation, interpretations, or evaluations of poetic works. The author thought some literary theories from the outside were admitted by selection inevitably in order to be the main poetic form of the times For example, Symbolism was representative of poetic theory without the antithesis because others did not exist in Korea But contained antithesis in itself play a strong role in leading the nation from the extrinsic approach to the intrinsic approach Proletarian poetic form advanced because symbolism was not suitable to a colonial situation The other forms, such as Modernism and Aestheticism, were admitted as colonial conditions permitted. Some poetic theories found in Korea in the last colonial period(1937-45) have been thought as pro-Japanese literature, But the author did not believe this was an accurate evaluation Examples of poetry that were merely pro-Japanese were very few and crude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works and' theorie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Thus he tried to discredit the image of a pro-Japanese poetic theory by stating that theory should be defined through analysis of various aspects of a poem rather than the poem as whole. He called some poets such as Ji-young Jeong, Jong-han Kim, etc, the successors of Oriental thought originating old China He also identified some poets such as Ji-hoon Jho etc, as lylicists He said that the above poet's works and theories should be classified into Korean independence in 1945 Through his research, he discovered that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roletarian poetic theory of the 1920's and Korean Nationalistic poetic theory because both spoke against Japanese policy His second discovering was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in the poetic boundary The right was limited to the literary and the left included the political affairs: The author concludes that from here Korean national literature can be deeply developed. The author also believed that a pattern including both, the intrinsic and the extrinsic approach, was possible if a people's literary abilities were well developed by a serious study of both approaches. The author saw this theisis as the first step towards "an intrinsic approach" in response to the many "extrinsic approach" theses or articles on the history of Koren modern poetic theory. And as a first it would be necessarily both merit and fault: merit as the bold first step and fault through the inadequacies of any first study So the author really hopes many theses will be attempted later in order to state wholly and comprehensively the history of the Korean modern poetic theory.

      • 현대 교육에서 독자의 해석 전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습 독자를 중심으로

        유보슬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시 해석 전략의 활용 양상을 기술하고,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 시 교육 현장은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통해 시를 읽기보다는 교사의 해석이나 전문가의 해설에 의존해 시를 읽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른 텍스트보다 빈자리가 많고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력이 필요한 시 텍스트의 특성상 시 교육에서는 독자의 능동적인 시 읽기 행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는 나름대로의 시 해석 전략을 사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스스로 생성하는 능동적인 존재라고 보고,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시 해석 전략의 개념과 그것이 작동하는 토대로서의 기저 범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포적 용법의 언어로 이루어진 시 텍스트는 산문과는 다른 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의 삶과 연관된 해석의 과정과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해석학과 독자반응 이론의 논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 해석 전략이란 시를 독자 본위의 삶의 의미로 실현하기 위해 독자가 시 텍스트의 빈자리에 동원하는 의도적인 읽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 독자는 교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시를 읽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으로 형성된다고 보고 해석 전략의 기저 범주로 문학 교육과 국어 교육을 포함하는 학교 교육의 경험과 독자의 경험, 가치관, 선이해, 기대지평, 자원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독자의 개인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과 구체적 활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시 해석 텍스트를 수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학습 독자가 사용하는 해석 전략을 크게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로 범주화하였다.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는 다시 ‘해석 대상의 지각’,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해석 대상의 지각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의미 실현 자질들의 반복과 변주에 주목하여 중심 시어와 같은 해석의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은 제목이나 중심 제재와 관련 있는 독자의 경험, 선이해를 활용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예측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예측을 확인하는 것이다.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은 시 텍스트의 부분과 전체에 압축된 의미를 풀어내어 독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새로운 기술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은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는 시인에 대한 정보나 시대·사회적 배경을 활용해 주요 시어의 의미나 이면의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은 읽고 있는 텍스트와 관련 있는 다른 텍스트를 끌어와 해석의 단서로 삼거나 학습 독자가 해석한 의미를 보다 정교하게 하거나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다.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은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으로 구분하였다.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는 시 텍스트의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속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험이나 세계 지식을 조회하고 두 대상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시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실현하거나 시 텍스트의 일부나 전체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은 시어나 시구의 상징적 의미를 긍정-부정 중 하나로 해석하거나 이들의 관계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뚜렷한 의미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빈자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독자가 지닌 경험이나 세계지식을 활용해 가능성이 높은 의미 가설을 세우고 이를 연역적으로 뒷받침하거나 가설을 중심으로 시 텍스트를 해설하는 것이다.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는 ‘작가와의 소통 시도’,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로 구분하였다. 작가와의 소통 시도는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작가의 목적이나 창작 의도를 파악하여 텍스트 이면의 작가와 소통하려는 시도를 통해 독자의 관점에서 시 텍스트의 의미를 새롭게 맥락화하는 것이다.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는 학습 독자 자신의 삶이나 독자가 속한 공동체나 사회에 유용하거나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가치를 구성하여 자기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 텍스트를 읽기 위한 해석 전략의 다양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지니고, 해석 전략을 활용해 교실에서 소통 가능한 타당한 의미를 생성하며, 해석 전략을 매개로 이해와 표현 활동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한 편의 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학습 독자가 지각한 의미 자질들에 대해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의미 자질간의 관련성을 확보하고 독자 지평을 마련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구체화하도록 하고, 소집단 대화를 통해 실천된 해석 전략의 적절성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비교하고 평가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제고하며, 시 해석 전략을 쓰기의 전략으로 변용하거나 해석의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비평문 쓰기를 통해 시 텍스트의 가치를 내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독자인 실제 학습 독자의 시 해석 텍스트를 분석하여 시 읽기 과정에 사용되는 시 해석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시 교실에서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중시하여 능동적인 시 해석 교육을 구체화하였으며,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위상과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aspects of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used by the learning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ext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interpretive strategies. This study considers the learning reader to be an active being who creates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itself using their own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he underlying categories on which it operates. As a result,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can be said to be an intentional reading method that the reader mobilizes in the empty space of the poetry text to realize poetry as the meaning of a reader-oriented life. And, as the base category of interpretive strategies, the experience of school education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and the reader's personal experience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oetry interpretation texts from high school first grade read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retiv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and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First,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was further divided into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target’, ‘prediction of meaning through title’, and ‘restatement of compressed meaning’ strategies. To the next,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was divided into ‘reference of poets and times and social background’ and ‘use of intertextuality’.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was divided into ‘analogism based on relevance’, ‘classification by dichotomous schema’, and ‘establishment of possible semantic hypotheses’. Finally,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was divided into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artist’ and ‘internalization of community values’. In order for the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it is have an open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interpretive strategies for reading poetry texts, use the interpretive strategies to create a valid meaning that can be communicated in the classroom, and interpretive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link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hese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ing readers create questions about the perceived semantic features, secure the relevance between the semantic features, establish the reader’s horizon to materialize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ive strategies with fellow learners, to transform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to a writing strategy, or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 poetry text through critical writing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pretation suggested.

      • (詩)를 통한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에 관한 연구 : '7행의 효'를 중심으로

        이영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에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은 ‘7효’를 중심으로 시(詩)를 적용하여 효인성함양을 드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효문화 진흥 및 인성함양을 위하여 ‘7효’적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한 후, 이를 시에 적용 하여 시에 함축된 요소로 효인성함양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전개는 서론에서 연구방법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제Ⅱ장에서는 효와 문화, 인성과 시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제Ⅲ장에서는 7효적 관점에서 본 효인성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7효’에 시를 적용하여 효인성함양을 모색하였으며, 제Ⅴ장에서는 연구요약을 바탕으로 결론을 지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천의 효인성에서는 일부 종교지도자의 일탈행위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해인의 시 ‘살아있는 날’과 윤동주의 ‘서시’를 감상하면서 양심과 하늘에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사는 것이 경천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부모·어른·스승공경의 효인성에서는 노인학대 문제를 살펴보았다. 박재삼의 ‘추억에서’, 백석의 ‘고향’, 이영숙의 ‘소녀의 고향’, 무헨리 반다이크의 ‘무명교사의 예찬사’라는 시를 적용하여 부모와 어른, 스승공경의 마음을 다지는 효인성함양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녀·어린이·청소년·제자사랑의 효인성에서는 아동학대 문제를 살폈다. 이에 천양희의 ‘한 아이’라는 시와, 도로시 로 놀테의 ‘아이들은 생활 속에서 배운다.’라는 시를 적용하여 순수하고 천진한 아이들의 올바른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 하며 어린이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하고 불행하지 않도록 헌신하며 사랑하는 것이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 가족·친인척 사랑의 효인성에서는 1인 가구와 이혼율 증가 문제를 살펴보았다. 두보의 ‘달밤’, 유호의 ‘전선야곡’을 감상하면서 그리운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가족·친인척 사랑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나라·국민사랑의 효인성에서는 분단국가로서의 안보문제를 살펴보았다. 조태일의 ‘국토서시’와 구상의 ‘초토의 시 8-적군 묘지에서’라는 시를 적용하여 동족상잔의 아픔을 보면서 나라·국민사랑의 효인성함양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생명존중·자연사랑·환경보호의 효인성에서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수준의 자살과 살인 범죄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영숙의 ‘자연 그대 품에’와 전상렬의 ‘보이지 않는 힘’이라는 시를 적용하여 생명의 중요성과 거룩한 자연의 섭리에 대하여 경건함을 느꼈다. 이와 같은 생명존중·자연사랑·환경보호가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일곱째, 이웃사랑·인류봉사의 효인성에서는 이웃과의 분쟁과 단절 문제를 고민해 보았다. 최두석의 ‘성에꽃’, 안도현의 ‘너에게 묻는다.’라는 시를 적용하여 헌신과 봉사정신으로 이웃을 사랑하면서, 인류봉사로 확장하는 것이 이웃과 인류봉사의 효인성함양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효문화진흥 및 효인성함양을 위한 자극의 중요한 모티브는 시에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인간이 울고 웃고, 슬픔과 행복을 느끼는 것은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이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아름다운 시어 하나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따라서 정신적 가치문화의 진흥과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시공부와 문화예술참여를 위하여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것도 삶의 질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효인성을 ‘하늘․부모․어린이․이웃․나라․자연․인류’로 확장시켜 나갈 때 효문화는 세계문화유산이 될 것이다. 이에 바탕 한 효인성 함양은 가정과 사회, 국가와 자연 등 인류의 모든 공동체를 결속시킬 수 있는 유일한 열쇠라는 것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 한국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홍정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1960년대부터 9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우리 시에 나타난 구조와 조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서구 사조의 자극으로 나타난 것으로만 평가해왔던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질이 1960년대 초반부터 '무의미시(無意味詩)'를 주창하고 나선 김춘수(金春洙)와 1970년대 후반부터 '비대상시(非對象詩)'를 주창하고 나선 이승훈(李昇薰)의 시에서 다음과 같이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로, 이들의 작품은 에피소드나 이미지들을 왜곡시켜 비인과적으로 병치(竝置)하고, 기표(記標), 기의(記義), 지시대상(指示對象)의 관계를 어긋나게 만들며, 본문과 제목을 엇갈리게 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작 방법은 전 시대와 전혀 다른 것으로서, 시의 의미를 확정지을 수 없게 만드는 구실을 하고 있다. 둘째로, 이들이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하는 것은 역사의 진보에 대한 회의와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부정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저들의 다원주의적(多元主義的) 가치관과 상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 이들의 이와 같은 기법은 저들의 몽타주, 패스티쉬 기법과 일치한다. 그로 인해, 김춘수와 이승훈의 경향은 1980년대 중반 서구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론이 유입된 후 황지우, 이성복, 박남철 등의 활동과 유사점을 많이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들의 특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더욱 전통적인 가치관을 파괴하면서, 산업 발달로 인한 농촌의 황폐화, 대중 매체에 의해 대두된 고도 소비 사회의 문제점, 기계주의 문명에 의한 인간 소외 현상, 이데올로기 붕괴로 인한 파편화된 사의식, 전통적 가치관을 대변하는 엘리트들에 대한 풍자와 야유, 주체성과 창조성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둘째로, 전 시대에는 시의 제재에서 제외하였던 사적이고, 도시적이며, 본능적이고, 상업적인 제재를 택했다. 셋째로, 이런 제재를 표현하기 위하여 은유보다 환유적인 구조와, 인용, 혼성모방, 패러디와 풍자, 표절, 회화화의 기법을 택하였다. 이로 인해 우리 시단의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은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로, 탈경전화와 탈중심화를 꾀하면서 새로운 스타일과 새로운 의식을 창조해내기 위한 전위성(前衛性)과 해체 정신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문학의 대중성(大衆性)과 상업성(商業性)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로, 이로 인해 예언자적 엘리트주의와 권위 의식을 가차없이 규탄하고, 전통과 제도권 예술에 대한 우상 파괴 의식이 강하게 표출하였다. 따라서, 80년대 이후의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시는 전시대의 자생적인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시를 계승하면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으로부터 비시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다. 결국 70년대 이후 우리 시단의 창조적 주체의 자유를 확대하고 미학의 자율적 영역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시의 전개에 분명히 유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 땅에 뿌리를 내린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로, 전통적인 가치관이나 양식을 해체하기 위하여 문법과 통사론적 층위를 파괴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언어예술로서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단절을 가져오고 있다. 둘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적 가치관이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어 가치관의 혼란, 비논리, 무가치 등을 오히려 정당한 것처럼 오도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로, 파격적인 해체 양식을 경험한 독자들은 과거의 일원주의(一元主義), 가치주의를 낡은 것으로 받아들여 작품의 세속화와 탈의미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넷째로, 형식적 리얼리즘의 부정으로 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의 부정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이 발생했듯이 포스트모더니즘이 수입되고 정착단계에 이르면서 서구와 비슷한 시기에 전기 모더니즘 성격이 가미된 탈포스트모더니즘화가 되고 있지만 이를 외면하고 있다. 따라서 시인은 지나친 자기 주장이나 설명을 삼가고 독자로 하여금 결론을 강요하지 말며, 쉬운 언어를 쓰되 과도한 표현을 삼가고, 언어의 신선감을 살리며 엘리트 의식을 버리고 '오픈 폼(Open form)'으로 독자가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마련하여 시가 시의 본래의 기능을 다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structure and constitution that represent on our poetry. from 1960 to 1990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that have been evaluated of the stimulus of western trend. have declared meaningless poetry from the korean poet. Kim Choon-Soo's 'The Nonsense poetry' since the early of 1960s and Lee Sung-Hun's 'The Non-object poetry' since the late of 1970s. Firstly, their works place in juxtapositior illogically by distorting their episode or image, and they choose their works by dishomonizing the relation of signifier, signified and the object of direction, by alternating the text and the body. Starting methods like these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st age, and gives them pretext not determining the meaning of poetry. Secondly, the reasons why they take these methods as above are rooted in the skepticism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the denial on the traditional values. They can corelated their multilateral view point. Thirdly, the techniques in this ages coincides with their montage and pestish technique. Therefore in such trends of Kim Choon-Soo and Lee Sung-Hun. We have been able to find lots of simila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ctivities of the poet Hwang Ji-Woo. Lee Sung-Bok and Park Nam-Chul since the poetry theory of western postmodernism, in the middle of 1980s, has been in fluxed,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ly, they stressed the restoration of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on the desolation of the countryside 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grows, the problems of luxurious consumption society as the mass media spreads. the phenomenon of human isolation as the mechanical culture develops, self-consciousness as the ideology collapses, and the satire and jeer on the elite representing traditional view point. Secondly, they opted for private, urban instinct and commercial materials that have been excluded in the materials of poetry before. Thirdly, in order to express such material, they picked up the techniques of metonymic structure, quotation, pestish, parady, satire, plagiarism and picturesqueness. Through these, the trends of post-modernism of our poetry circles resulted in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deconstitution and decenterization in avantgarde for creating new style and the spirit of dismantlement stood out far. Second, the publicity of the literature and commercialism stood out. Third, they criticized prophetic elite group and authoritive consciousness without second thoughts, and brought idol destruction consciousness on the tradition and art on institution, into the open. Therefore, the linage of postmoderinsm in korea after 1980s succeeded the line of former autogenous post-modernism and we may think it positively accepted non-poetrical factors from western postmodernism. The line of postmodernism in korea rooted in our poetry circle that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like these things, has several problems. First, not only it puts the existence of language art into danger, in order to dismantle traditional view point and its mode, it brings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as well. Second, it has a tendency that traditional view point of post-modernism reflects works in itself and justifies the confusion of viewpoint, illogic and valuelessness etc. Third, readers experienced drastic mode of dismantlement regard former monoism, axiology as old things and accelerate secularization or demeaning. Fourth, just as the denial of formal realism makes it modernism, the denial of modernism makes it postmodernism, postmodernism has been depostmodernism that add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rmer modernism in the similar period or that of the western, when the postmodernism is imported and reached in the steps of settlement but that is averted. Therefore poets should make on effort that they should refrain themselves from overstatement, over explanation and do not force their readers to make conclusion just like theirs and write with plain word, but saves fresh sense of language and take elite consciousness away from themselves and provide readers with taking part in their own thoughts and that poetry functions fully in itself.

      • 장대 도로터널내 환경 개선설 디자인 연구 : 인제터널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이동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장대 터널에 대한 시환경 개선시설은 유럽의 산악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나 수년전부터는 중국 등 아시아지역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장 11km의 국내 최장 도로터널인 인제터널에 적용된 시환경 개선시설의 디자인 연구사례를 기반으로 장대 도로터널 설계 시 활용될 수 있는 시환경 개선시설의 디자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제터널에는 지역특성 및 경관분석을 통해 도출된 지역의 이미지가 운전자의 피로도와 지루함을 고려하여 터널진입 후 단계별 연출의 강도를 높여 시환경 개선시설에 적용되었다. 개발된 디자인 안에 대한 평가결과 졸음감, 눈의 피로감 등 면에 있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대 도로터널의 시환경 개선시설 설계를 위해서는 인테리어디자인개념 도입 및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주행안전성 평가 등 기존 터널설계방식과는 다른 차원의 인간중심적 설계가 요구된다. 구체적인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대 도로터널의 특성과 시환경 개선시설의 특성을 검토하여 설계 시 주요 고려사항을 파악하였다. 둘째, 해외 주요 시환경 개선시설의 사례 검토를 통해 연출에 대한 장단점과 특성을 분석하여 인제터널에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찾았다. 또한, 터널과 유사한 환경을 갖는 지하철이나, 지하차도 등에 적용된 조명 및 내벽디자인 연출의 특성을 검토하여 터널환경에 맞는 디자인을 추출하였다. 셋째, 경관분석을 통해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디자인 요소로써 공간연출, 조명연출, 내벽디자인, 조형물의 다양한 디자인 접근을 통해 최종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디자인 안은 동영상 작업을 통해 정지시야에서의 이미지가 아닌 동시야에서 보이는 연출 안을 검토함으로써 주행자 시점에서 안전 시설물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차량 시뮬레이터 시스템 분석으로 집중력이 저하되는 위험성이 높은 지점을 찾아 그 지점에 시환경 개선시설을 설치하여 연출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터널내 시환경 개선시설의 바람직한 접근방법과 평가를 통하여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상징적인 측면과 더불어 안전적인 측면에서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Most of the developments of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for the long road tunnel carried out in mountainous regions in Europe. However, from a few years ago, the developments are spread to some Asian countries like China.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sign research of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for the Inje tunnel which is the longest tunnel in Korea, I am proposing the method to design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which can be applied to long road tunnel design. The image of the area which is deduced from the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is applied to the Inje tunnel.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gradually intensified the effect by considering the driver fatigue and boredom. Evaluation on the new design shows that it has effectiveness to relieve sleepiness and eye fatigue of the driver. To design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for long road tunnel, the human-centered desig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unnel design,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rior design and assessment of driving safety by simulator is requested. The specific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I were identified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designing b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 road tunnel and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Second,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by examining the facilities of overseas and find out implication to apply to Inje tunnel. Also, I extract the design that can be applied to the tunnel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light and interior design of the subway and underground driveway which has similar environment with tunnel. Third, I lay out the way of the design through landscape analysis as a design research of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And I draw a final design by approaching from various design of the space, light, interior, and sculpture. Moreover, The design leads simulation work and is not the image from stationary range of vision and it investigated the production which is visible from the range of vision which it moves. The possibility becoming the safe facility from driver point of view in order to be, it investigated a design. Finally, I examine the effectiveness. It can be practiced by installing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in the point which is the most dangerous point because of the loss of the concentration that I found out by analyzing the driving simulator system. Only after design the tunnel through evaluating the Visu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y, we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in the aspect of symbol and safety.

      • 韓國現代詩에 나타난 基督敎 意識 硏究 : 김현승·박두진·구상 詩를 중심으로

        권성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근대에 들어 유입된 기독교 문학이 전통 문학의 지형을 바꾸었다 할 정도로 서구 종교가 한국의 학문에 미친 영향은 크다. 하지만 한국 기독교 문학의 중요한 갈래중 하나인 기독교 시에 대한 연구는 신학적인 지식이나 이론을 무시하고 막연히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기독교 의식을 연구하는 데 그쳤다고 볼 수 있다. 표면적인 소재만 가지고 감상과 해석을 하여 기독교 시에 대한 뚜렷한 인식도 없고 작품에 나타난 신앙적 갈등과 미의식이 가슴으로 와 닿지 않아 공허한 자기 고백적인 기교나 생경한 관념으로 치달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국 기독교 시문학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해 볼 때, 두루 다양하게 언급하고 있기는 하지만 기독교시의 본질, 형성과정, 기독교시와 성서의 비교 문학적 관계, 기독교 시의 포괄적 연구 등이 종합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전반적인 특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시문학사가 공통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개인 신앙 체험의 해석처럼 단편적인 연구에 머물러 정작 작품의 미적 가치는 논하지 않는 풍토에서 벗어나 신학과 문학의 상보적 관계, 그리고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적 성격을 연구하려 하였다. 본고의 연구 작가로는 1930년대에서 2004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시를 쓰면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한 김현승 · 박두진 · 구상 시인들의 종교시를 중심으로 기독교 의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기독교 시의 특성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비교하여 필자 나름대로 개념을 정립하여 보고, 기독교가 유입된 개화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기독교 시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문학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위 시인들의 종교시에 나타난 성서의 설화적 모티브 차용과 기독교 이미지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A Study of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based on Korean Modern Poems - based on poets such as Kim Hyeon-seung, Park Du-jin and Gu Sang - Based on religious poems written by the representative poets such as Kim Hyeon-seung, Park Du-jin and Gu Sa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xamine how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modern poems on the basis of religious poems. In light of various impact such as the succession of ancient poetry and new literary wave and poems, it is a general knowledge that Christianity had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modern poems in a historical vein. Especially in studying the Christianity poems, if the complementary relation is dealt with, it can be regarded to be very meaningful. So far, however, all the theses have been focused on the keen study of the Christianity consciousness shown in the literary works, neglecting the theological knowledge or theological theory in probing the Christianity poems. For example, most of the theses have been handled together with interpretation from the materials, which connected with hollow technique or very coarse conception due to the evident consciousness on the Christian poems and poor asthetics and possible religious conflict. The motive which I decided to write this paper stemmed from the very fragmentary study such as just interpreatation on the religious experience without discuss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works Hence, the study is focused on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literature and the nature of Christianity shown in the works or poems, based on the modern Christian poems. In case of summing up the main history of studying Korean Christianity poems, a lot of mentions was not made as to the comprehensive systematization and the nature of the Christianity poems as well as the comparison and its forming process. In this paper, the idiosyncrasy of the Christianity poems was compared with in accordance with the viewpoints of many scholarsas well as summing up of Christianity poems. In addition, how the Christianity poems formed from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through the 1950s in term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last chapter, the focus of studying is on the religious poems written by the typical Korean Christian poets such as Kim Hyeon-seung(1913-1975), Park Du-jin(1916-1998) and Gu Sang(1919-2004). In addition, the reflected Christianity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religious poems are dealt with from the appeared contents in the poems. Many folktales derived from the Bible are also dealt with based on the image as well as the theological nature and literary nature. From the Christian point of view, the three important poets have been studied in light of poetic change processand influence relation. That's because they are very valuable in Korean poem history. In the initial stage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o Korea, the Christianity poems were didactic and enlightening. Since the 1930s, however, the poems written by the three poets started to direct to pursue after making the unity of Christianity consciousness come true as well as the aesthetic beauty. In this vein, the three poets are very meaningful in the developing process in the Korean Christianity poems. The influence relation through the core image of the Bible and folktales motive and the pursuit of Christia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of image is an indication of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how Christianity was reflected in the Korean modern poems. The whole society in Korea has been a cor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since the ancient time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transcendency of the world to come and the affluent and pompous life of the current life. Since he expressed that the history and being is metaphysical, he mainly focused on the very eternity in the present and furthermore it is connected to the field of compromise where body and soul and finite and infinite exist. In conclusion, the poems written by the above-mentioned poets connected to the Christianity thoughts, which centered on fatality, redemption and resurrection. Most of the Christians pursue after the eternal birth, leaving the corporal life in mundane society. In the thoughts of Resurrection, the Christian eternal life from Christianity can be understood by the repeating pattern in nature. Poems of prayer mainly is seen as the strong will that the author will be a scapegoat through finding the Christianity truth, leaving his selfish religion. Here the three poets showed that they were kind of sincere prayers through repentence and praying, leaving their desires no account. In this paper, the shape of poems focused on Christianity should be summarized neatly through the appropriat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Christianity poems in Korea at the first page of the 21st century. A new analysis and systematization should be made at an early date towards the analysis of the Christianity poets and their works from the theological and literary point of view to establish the proper Christian literature related to the Christianity poems in Korea.

      •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 연구

        한광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 교육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작품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 하겠다. 시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이 작품을 자율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문학적 지식만을 전달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분석과 암기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작품 감상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시를 읽고 이해·감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용이론과 자기 주도적 시 교육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방법”을 찾아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현행 시 교육과 시 교육의 목표, 특성 및 방향에 대해 살펴본 후 시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 요소인 텍스트, 교사, 학습자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수용이론과 제7차 교육과정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용이론의 시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이론적 배경인 수용이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용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시 교육 지도 방법을 통해서 학생과 호흡하는 수업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내용을 종합·정리하여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이와 같은 수업 모형은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시 감상을 통해 상상력을 길러주고, 문학적 체험을 내면화시켜 학습자를 ‘소극적인 수용자’에서 ‘적극적인 해석자’로 나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이 모형은 앞으로 꾸준히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절성과 효율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문학으로서 다니엘서 7장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연구

        이근민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구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인 다니엘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묵시문학을 묵시문학으로서 우리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묵시문학을 묵시문학의 특징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해석하게 될 때에 많은 오류와 잘못된 해석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묵시문학이 어느 상황에서 어느 시대에 어떤 배경을 가지고 태어났는지 아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구약의 묵시문학은 천사들이 그것을 해석해주고, 묵시의 비밀을 풀어 간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종말에 관심이 나타나, 이 세상과 다가올 새로운 세상, 역사와 종말이라는 두 시대를 서로 대립적으로 구분한다. 그래서 현실에 상황을 악하고 절망적으로 묘사하며, 현재의 세상이 멸망하고 난 뒤에 임할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그래서 묵시문학은 각 개인이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길 원한다. 종말은 다가왔고, 새로운 하나님의 세계가 다가 올 것이기 때문이다. 묵시문학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곧 위기 문학이다. 유대 묵시문학은 유대 민족의 생존이 위협당하는 시절에 억압받는 유대인들에게 위로, 권고, 희망을 주기 위해서 생성된 문학이다. 묵시문학은 희망과 부활의 메시지를 제공하고, 하나님의 지혜를 드러냄으로써 하나님의 심판과 다른 차원의 세계에 대한 믿음을 제공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독자들이 당할 현실의 위기감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에게 현실의 고난을 견딜 수 있는 힘을 제공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묵시문학 저자는 자기 독자들에게 그들이 지금 처해 있는 상황을 인내로 극복해 낼 것을 고무 시키고 있다. 하나님의 궁극적 최후 승리가 있기에, 종말에 이루어질 “새 하늘과 새 땅”의 주인도 하나님의 신실한 백성의 것이기에, 현실의 기존 사회적, 정치적 상황은 곧 극복 될 것이다. 1장부터 12장까지의 다니엘서는 힘들고 어려운 상황가운데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인내하면, 하나님의 영원한 나라가 올 것이며, 마침내 하나님은 승리 하실 것이라는 신학사상을 가지고 있다. 사자굴 앞에서 금 신상 앞에서 굴복하지 않는 믿음을 가질 때, 하나님께서 다니엘을 지켜 주신 것이다. 정치적 탄압과 종교적인 억압 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을 믿고 붙잡으면 언젠가는 하나님의 나라가 찾아 올 것이기에 지금의 억압과 고통을 이겨내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기원전 2세기의 상황도 이와 마찬가지였다.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가 팔레스타인의 유대인을 박해하였다. 사회적으로는 헬라의 문화가 들어와 유대인들을 사회적으로 묵살시켜 더 이상 유대인들이 하나로 모일 수 없게 만들었다. 새로 생기는 도시마다 희랍식의 도시였고, 고대의 도시들도 점점 희랍화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희랍어가 공통으로 생기기 시작했다. 종교적으로는 더 억압이 심하였다. 유대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안식일을 더 이상 지킬 수 없으며, 새로 태어난 남자 아이들에게 할례를 줄 수도 없었다. 예루살렘 성전은 올림피안 제우스라는 이름의 헬라 이름 밑에서 천신의 신전이 되었고, 사마리아 성전도 마찬가지로 제우스에게 봉헌되었다. 제단은 하나님이 싫어하시는 이교 되어 불 경건 해 져만 갔고, 돼지와 부정한 동물을 희생 제물로 잡아 제단에 바쳐 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이어 유대 제사장들의 부패와 대 제사장직의 자리다툼은 안티오쿠스 4세의 예루살렘 간섭과 핍박을 강화 시켰다. 유대인들은 환난의 때를 겪게 되었다. 그러나 힘과 잔학한 행위가 그들의 신앙을 꺾지 못하였고, 그들은 이교의 헬레니즘이 감행한 맹공격에 끝까지 저항하였다. 그래서 구별된 자로 알려진 하시딤이 형성이 되어 나왔다. 그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위하여 기꺼이 핍박과 순교를 감내하였으며 선조들의 종교 신앙의 도리를 고수하는데 충실하였다. 이러한 기원전 2세기의 사회적 상황이 결국 다니엘서를 탄생시키면서 묵시문학이 태어나게 되었다. 2세기의 이러한 처절한 사회적 상황이 다니엘서를 탄생 시켰다는 것은, 이와 전혀 다르지 않은 우리 현시대의 상황에서도 적용이 되어 질 수 있다. 현재가 고통스럽고 어려운 상황가운데 있을 지라도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 하시고 다스리시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니엘서는 기원전 6세기의 바벨론 시대와 기원전 2세기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에만 적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 말씀은 오늘날 우리의 삶속에서도 여전히 살아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사회적 상황들과 다니엘서를 같은 상황이라고 인식 할 때, 함께 하시고 영원한 나라를 주시는 하나님께서 승리를 가져다주시고, 우리는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에서 살게 될 것이다. ABSTRACT Studying social situation of Daniel chapter 7 as the apocalyptic literature Lee, Keun Min Dep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Hyupsung University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presentative apocalyptic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the book of Daniel, first of all, we should understand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itself. If we didn’t understand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itself, many errors and wrong interpretations could come out. Therefore, it is significantly important to know when and how the apocalyptic literature appeared. The apocalyptic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has characteristics which the angels interpreted it and solved the secret of the implication. In particular, interested in the earth’s end, it compared oppositively two ages such as this world to the coming new world, and the history to the end. Real situations thus are described as evil and desperation, and after real world comes to the end, it dreams new world. Therefore, the apocalyptic literature wants each individual to follow the word of God throughly. The end almost came, and new world of God will come. To define the apocalyptic literature in one word, that is crisis literature. Jewish apocalyptic literature was created to give oppressed jewish people comfort, advise, and hope at the time of jewish people’s life threatened. The apocalyptic literature provided the message of hope and revival, and by revealing God’s wisdom, gave the belief of God’s judgement and different world. By doing so, the feeling of real crisis would be lowered and function to provide readers with the strength holding the real hardship. The writer of the apocalyptic literature encouraged his own readers to overcome their own situations with patience. God’s ultimate victory will come, and the owner of new sky and new land will be God’s sincere people, so the existing social and politic situations will be overcome. The Daniel 1-12 has theological ideas that if people don’t lose their hope in the midst of hardship with patience, the king of God will come and God will be victory eventually. Before the cave of lions, when Daniel had a faith not bowing down in front of the gold statue, God protected him. It has a lesson that among the situations of religion oppressions and political suppressions, believing in God and holding onto God, you overcome the existing oppressions and suppressions for God’s kingdom will come. The second century BCE was the same situation with this. Antiochus IV persecuted jewish people in Palestine. Socially the culture of Greece came to jewish society for jewish people not to gather together. Whenever new cities appeared, those ones were like Greece cities, and even ancient cities became to be like Greece cities. Moreover, Greece language appeared in common. In religion, the oppression became worse. Jewish couldn’t keep the day of the Sabbath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jewish people or circumcise the new born babies. The Jerusalem temple became the temple of thousands of gods under Olympian Zeus, and Samaria temple was also offered to Zeus. The altar became things for paganism which God hates, and became more impiety and devoted foul animals like pigs for the altars. With that situations, the corruption of jewish priest and the competition for a priest position strengthened Antiochus IV’s persecutions and interferences in Jerusalem. Jewish people experienced the time of hardship, but his power and cruel behavior couldn't put a damper on their eagerness of faith, and jewish people resisted an attack of Hellenism at the end. Assidean known as distinguished ones was formed. They willingly endured the persecutions and martyrdom for their religion and be earnest in keeping their ancestor’s religious rights. These social situations in the second century BCE let the book of Daniel, the apocalyptic literature, be born. The fact that these desperate social situations of the second century BCE let the Daniel be born could be applied to our real modern situations. Even though we are among the painful and hard situations, we should not lose our faith of God because God created and rule over this world. The book of Daniel are applied to not only the Babylon age of the 6th century BCE and Antiochus IV of the second century BCE, but also today, in our life as words of living God. When we recognized the situations of the Daniel as the one of our social situations, we may live in eternal God’s kingdom and God will give us victory after all.

      • 學習者 中心의 詩敎育 改善方案 硏究

        이미자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교육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작품을 폭넓게 감상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음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시교육은 교가 일방적으로 문학적 지식만을 강요하는 분석과 암기 위주의 수업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이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시 감상 기회를 갖기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시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먼저 시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6개교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에게 세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 이 분석을 바탕으로 현 시교육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학습자의 감상 능력을 신장시키고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도입 - 전개 - 마무리’의 3단계 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1단계는 시 수입의 기초 단계로서 학습자 스스로가 시를 낭송해 보면서 음미하고 교사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2단계는 기본과 심화 단계로 세분화하였는데 기본 단계에서는 표현의 함축적인 의미를 스스로 파악해보고 친구들과 토의와 토론을 통하여 주제를 이끌어낸다. 심화 단계는 시를 자기 것으로 내면화시키는 단계이다. 3단계는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평가를 내리며 반성하는 단계이다. 교사는 학습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고 수업을 정리한다. 이에 대한 적용을 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1학기 교과서에 나와 있는 기형도의 「엄마 걱정」을 제재로 학습자 중심의 시교육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이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시 감상을 통해 상상력을 길러주고 문학적 체험을 내면화시켜 학습자를 ‘적극적 해석자’로 나아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업 적용 후 학생들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조사하여 그 적설성과 효율성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학교 교육에서의 시 학습이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 세계를 접하게 함으로써 시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키우고 삶의 총체적인 모습을 탐구할 수 있도록 작품을 폭넓게 감상하게 하며 이가 바랄이 되어 학생들이 시 감상 능력 신장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Poet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help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poems, and to appreciate a wide variety of poetic works in diverse perspectives. School poetry education is, however, tends to be based on analyses and memorization of poems. Teachers tend to force only literary knowledge, and students seem to have no sufficient opportunity for subjective or autonomous appreciation of poetry.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getting over these problcms in poetry education and exploring desirable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scene.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poetry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teachers and students at 6 middle school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s the problems in the present poetry educ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it proposes a Three-Stage Poetry Lesson Model (Introduction - Development Conclusion) that can enhance the ability of students in poetry appreciation and internalization. Stage 1: A fundamental phase for a poetry class. The learner recites a poem by himself/herself and relish it. The teacher let the students to appreciate poems in a natural and comfortable atmosphere. Stage 2: Basic and advanced phases. In the basic phase, the learner figures out the implied meanings of an expression and derives the theme through discussions with other classmates. In the advanced phase, the learner internalizes the poem. Stage 3: A phase that contents of learning are organized, evaluated, and reconsidered. The teacher emphasizes the important parts of the contents learned and closes the class. This study applied the learner-oriented poetry lesson model to the poem, “Worries for My Mom” by Gi, Hyeong-Do contained in the textbook for the first semester of middle school first grad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lesson model is to foster imaginative power in the learners through subjective and autonomous poetry appreciation and to help them to be an ‘active interpreter’ by internalizing the literary experience.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the students’ reactions after an application of the lesson, the study verified its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The author hopes that learning poetry at school helps students to appreciate a wide range of poems and to elevate their ability in poetry appreciation so that they can experience various poetic territories, enhance their poetic sensibility and imagination, and to explore comprehensive aspects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