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음악감상 지도방안 -중학교1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서지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music as a component of education is to develop the creative and introspective abilities of students. The understanding of music can provide pupils with avenues to express their own feelings and thoughts,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 Also, music programs can be utilized to foster students' appreciation of creative and fine arts. Among activities pertaining to music education, music listening is the first and basic component for learning music.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music listening, class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is skill have been neglected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rough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this study will illustrate effective methods which may be implemented in classroom setting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music listening skills of students. The application of strategies and materials which will maximize interest among students has also been consideredand adopted within these methods.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music listening using audio-visual materials, the study will examine data regarding the 5 senses which was obtained through the SONIKI Research Center. The study will also analyze Semedly research data regarding the differencesbetween audio memory and visual memory development as well as Dale'stheory of audio-visual teaching. Using theoryand data as a basis for supporting conclusive evidence, the study will demonstrate the positive social potential of music listening as a classroom task. Using teaching strategies applied within the 7th curriculum, the study willprovide teaching guidelines for music listening at the middle school level using the works of Schubert, Erlkonig, Benjamin Britten,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and Saint Saens Carnival of the Animals. For music listening teachers, a detailed guidebook will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class presentation outline, a three-dimensional visual aid for the identification of instrument structure, and a course module. It is noted in the study that teachers are encouraged to introduce supplementary materials in class if they are accessable. Finally, the study will demonstr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the music listening development of students. 음악교육은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학생들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등 다양한 음악활동 기회를 통하여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적 즐거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 중에서 음악을 듣는 활동은 음악을 배울 때 가장 먼저 하는 활동인 동시에 가장 기초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감상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감상 수업이 소홀하게 다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좀 더 효율적인 감상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상수업에서의 시청각자료 활용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5감의 인상실태에 대한 SOKONI 연구소의 자료와 청기억과 시기억의 발달의 차이를 연구한 세메들리(F.W.Semedley)의 연구자료, 그리고 데일의 시청각교육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자료와 이론을 바탕으로, 음악 감상 수업시 시청각 자료의 활용의 유용성과 효과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이론과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 감상 영역의 내용 및 체계를 바탕으로 슈베르트의 가곡<마왕>,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슈베르트의 피아노5중주 <송어>의 지도안을 계획하여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음악감상 지도방안」을 지시하였다. 구체적 수업자료로서 프리젠테이션을 활용한 학습목표와 내용 제시, 악기구조 설명을 위한 3D 애니메이션, 음악감상을 함께 할 수 있는 모듈과 애니매이션 등을 제시하였다. 교사의 노력만 있다면 손쉽게 잘 만들어진 시청각자료들을 구할 수 있고, 직접 제작하여 음악 감상수업시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음악감상 지도방안 연구를 통하여, 시청각자료들을 교사가 수업내용에 맞게 적절하게 학생들에게 제시한다면,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좀더 신선하고 흥미로운 수업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들의 음악 감상 능력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시청각 아키비스트 교육에 관한 연구

        윤원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록관리에 있어 시청각기록의 특수성과 지식 범주, 활용 범위에 관해 살펴보고 국제 시청각기록 전문가 그룹의 현황을 조사하여 시청각 아키비스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그 교육 방향과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시청각기록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시청각 아키비스트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다음으로 시청각기록 전문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국제연합 기구인 유네스코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와 국제 아카이브 협의회 ICA(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국제 도서관 협회 IFL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국제 필름 아카이브 연맹 FIAF(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 ), 국제 텔레비전 아카이브 연맹 FIAT(International Federation of Television Archives), 국제 사운드 아카이브 협회 IAS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ound and Audiovisual Archives), 시청각 아키비스트 협회 AMIA(Association of Moving Image Archivists), 동남아시아 태평양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 SEAPAVAA(Southeast Asia Pacific Audio Visual Archive Association), 시청각 아카이브 협회 협의회 CCAAA(Co-ordinating Council of Audiovisual Archives Associations) 등 국제 시청각기록 전문가 그룹의 간략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 중인 시청각 아키비스트 교육과정의 교과과정, 교과목, 자격인증, 인턴십등 세부과정을 비교했다. 교육과정은 UNESCO의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Training of Personnel in Moving Image and Recorded Sound Archives와 미국 New York University의 2 year MA Program in Moving Image Archiving Preservation과 호주의 Charles Sturt University, Graduate Certificate in Audiovisual Archiving 1 year distance learning certificate program을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각각의 교육과정은 보편교육과 고등교육, 온라인교육 등 다양한 교육 체계 아래 시청각 아키비스트 교육에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청각 아키비스트에게 필요한 교과과정과 지식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론에 닿아 시청각 아키비스트의 필요성과 그 교육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청각기록의 양적증가와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시청각기록을 다루는 전문가에 대한 수요도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가 시청각기록에 전문화된 시청각 아키비스트의 교육과 기존 아키비스트가 시청각기록을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재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등을 포함한 시청각 아키비스트 교육 안에 대한 접근점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awareness of audiovisual archivists and present its education direction and role by examining the specificity, knowledge category, and scope of use of audiovisual records in records management, an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groups of international audio-visual record experts. To this end, we first learn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udiovisual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iscussed the need for audiovisual Archivist accordingly. Next, to raise awareness of audiovisual record experts we see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ICA),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IFLA), and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Federations(FIAF), Federation of Television Archives(FIA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ound and Audiovisual Archives(IASA), Association of Moving Image Archivists(AMIA), Southeast Asia Pacific Audio Visual Archive Association(SEAPAVAA), Co-ordinating Council of Audiovisual Archives Associations(CCAAA), It examined brief status of international audiovisual experts such as well. Based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udiovisual record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audiovisual records experts, and compared the curriculum of audiovisual archivists curriculum, subjects, certificates, internships and others. The curriculum was reviewed by selecting UNESCO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Training of Personnel in Moving Image and Recorded Sound Archives and New York University 2 year MA Program in Moving Image Archiving Preservation and Charles Sturt University Graduate Certificate in Audiovisual Archiving 1 year distance learning certificate program Each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directions for audiovisual archivists education under various education systems, including general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Through these efforts, the education courses and knowledge categories needed for audiovisual archivists were derived. In reaching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archivists which deals with audiovisual records. As the amount and importance of audiovisual records increase, the demand for experts who handle audiovisual records will also increas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access point to the audio-visual archivists Education, which specializes in audio-visual records, re-education that allows existing archivists to handle audio-visual records, and continuing education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 의미 대조연구 : '보다', '듣다', '보이다', '들리다'를 중심으로

        허가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world. Humans can identify and recognize existence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objects using the information we collect.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language with others, verbs of perception including visual verbs and auditory verbs are generally needed. It is to say Audio-visual verbs are used widely in our linguistic life and exist universally in human's nature languages. Verbs of perceptions, including audio-visual verbs,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verbs in several ways. First of all, all humans can connect the mental world and the outside world through perceptual actions. In other words, audio-visual verbs belong to a class of verbs that reflect human psychological activities. However, unlike psychological verbs that express psychological activities directly, audio-visual verbs describe actions that work on objects consciously or passively in both two directions. It means that audio-visual verbs are something else other than mental verbs. In this research we look forward to figuring out the basic meanings of audio-visual verbs and the lexical aspect(aktionsarten) meaning of audio-visual verbs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 Even though the vocabulary that applied in the human natural language always has universality and generality, the basic lexical meaning may be different in some ways. It provides contrastive analysis study targeting on audio-visual verbs possibility of realization. As a vocabulary semantic contrastive analysis, this study contrasts and analyzes Korean and Chinese audio-visual verbs taking Korean as the basic language, and intends to complete this study from the following point of views. Firstly, language reflects human cognitive characteristics to some degree. There is inevitably a subjective difference in how each individual thinks. However,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two relatively isolated groups using two different languages. In other words, language can be said to be the first-hand data that embodies the cognitive differences and universality of different language groups. When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in Typology of Language, they are distant from each other. Therefore, contrast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Chinese audiovisual verbs will not only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but also explore the cognitive differences behind. Secondly, Korean audio-visual verbs have two-sided semantic characteristics. This is the core point of view and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Languages like Korean and Japanese that display perceptual active action and passive perception results in one same word, Some other languages like Chinese and English express active actions and passive perception results in different words. In English, visual perceptual behavior is expressed with the visual verb 'look', and visual perception results are expressed with the visual verb 'see'. In Chinese, similar to English, visual actions are expressed as '看(kan)' and visual results are expressed as '看见 (kan jian)'. In the case of Korean and Japanese, the visual action and visual result are conveyed using only one word, the visual verb '보다(boda)/見る(miru)'. Similarly, the auditory verb are applied in one single word, '듣다(deutda)/聞く (kiku)'. Thirdly, Foreign language learners should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s and their targeting languages. Contrastive study belongs to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and it can clarify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provide implications for reference when we desig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Chinese people or compile Korean-learning textbooks. This paper intends to find out difference by contrasting Korean audio-visual verbs '보다(boda)'/'듣다(deutda)' with Chinese audio-visual verbs '看(kan), 看见(kan jian)'/ '听(ting), 听见(ting jian)', '보이다(boida)'/ '들리다(deullida)' with the possible form of Chinese audio-visual verb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reasonable explanations for errors made by foreign language learners during the L2 learning process. In this paper, the control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tion raises issues related to Korean-Chinese audio-visual verbs, and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conducting research on Korean-Chinese audiovisual verbs. In addition, the research subject was clarified and the research method was suggested. the work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udio-visual verbs as well. In Chapter 2-Theoretical Background, the background theory of the research required in the lexical meaning contrast study was reviewed. In this paper, with reference to the theoretical research background, Lexical Aspect attribute ([±state], [±punctual], [±telic]) and vocabulary classification (statives, activities, instants, acomplishments, achievement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audio-visual verbs, the semantic quality of [± agent] was added. In order to verify lexical semantic qualities, the trademarks'-고 있-/正在(zheng zai)', adverbs'-동안 /Ø','-만에/在-之内(zai zhi nei)', and'일부러/故意(gu yi)' were introduced as verification methods. In Chapter 3, the basic meanings of Korean audiovisual verbs and corresponding Chinese items were compared. The basic meanings of the Korean and Chinese audiovisual verbs were reviewed and organized with reference form dictionaries, and the basic meanings were defined. Correspondence relations between Korean ' 보다(boda)' and Chinese'看(kan)'/'看见(kan jian)', Korean '듣다(deutda)' and Chinese'听(ting)'/'听见(ting jian)' was showed in this chapter. By dividing Korean audio-visual verbs into intensive actions and passive perception results, a basic semantic correspondence is established. In the basic argument, the Chinese visual verb '看' can take visual organ 'eyes' as subjects, whereas the Korean visual verbs '보다(boda)' cannot take the eye as the subject of one sentence. Korean audiovisual verbs are a difficult part for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to acquire. We attemp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realization conditions of the possible form of the Korean audio-visual verbs and the Chinese audio-visual verbs, and find out the cognitive differences that 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and active voices. At the same time, the causes of errors made by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in the process of using audio-visual verbs' passive form were also analyzed in terms of inter-language interference and intra-language interference. In Chapter 4, the lexical Aspect meanings of audiovisual verbs in both Korean and Chinese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semantic qualities of audiovisual verbs through example sentences, presenting an internal time-frame composition diagram, and examining the constraints of the period between Aspect marks, the vocabulary's lexical aspect attribute of Korean audiovisual verbs and Chinese contrasting items were verified. In Korean audio-visual verb sentences, audio-visual verbs can be interpreted into two different lexical aspects, activities an achievements,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aspect meaning in Korean audio-visual verb sentences is more frequent than that of Chinese audio-visual verb sentences.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draw a conclusion to this paper.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udio-visual verbs and Chinese audio-visual verb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presented in this chapter. 외부 세계로부터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시각과 청각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부 정보를 접촉할 때마다 감각기관을 통해 그 존재나 형태적 특징을 알아내고 인식한다. 인간에게 외부 세계에서 주어진 정보를 감각기관을 통해 수집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어를 이용해서 수집된 정보를 다른 사람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시청각동사를 비롯한 지각동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된다. 시청각동사는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고빈도로 사용되며 모든 언어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시청각동사를 비롯한 지각동사는 다음 몇 가지 의미에서 다른 동사와 구별된다. 우선, 인간은 지각적 동작이나 행위를 통해 정신세계와 외부 세계의 상호 연계를 실현한다. 즉, 시청각동사는 인간의 심리활동을 반영하는 동사 부류에 속한다. 그러나 순수한 심리활동을 나타내는 심리동사와 달리 시청각동사는 외부 세계에 있는 지각대상과 접촉하여 양방향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청각동사는 다른 동사와 구별된다. 아울러 자연 언어에서 나타나는 어휘는 반드시 보편성을 지닌 한편 개별 언어에서 같은 동작을 나타내는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기본의미와 어휘상적 의미가 다를 수도 있다. 이는 시청각동사를 대상으로 하는 이 연구를 진행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휘 의미적 대조연구로서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을 대조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언어는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개개인이 사유방식에 있어 주관적인 차이가 불가피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된 두 집단 간의 인지적 특성을 언어를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즉, 언어는 언어 사용집단의 인지적 차이와 보편성을 구현하는 일차적인 자료이다. 한국어와 중국어를 유형론적으로 먼 언어이다. 따라서 한・중 시청각동사의 의미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를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를 통해 나타나는 인지적 차이까지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어 시청각동사는 양면적인 의미적 특성을 갖는다. 이는 본 고의 핵심적 관점이자 출발점이다. 언어에 따라 능동적 지각행위와 수동적 지각결과를 같은 어휘로 표시하는 언어(한국어와 일본어)가 있고 서로 다른 어휘로 표시하는 언어(중국어와 영어)가 있다. 영어에서는 시각적 지각행위를 'look'으로 표현하고 시각적 지각결과는 'see'로 표현한다. 중국어에서는 영어와 비슷하게 시각행위를 '看(kan)'으로 표현하고 시각결과는 '看见(kan jian)'으로 표현한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에는 시각동사 '보다/見る' 하나의 어휘로 시각행위와 시각결과를 나타낸다. 청각동사도 마찬가지로 '듣다/聞く' 하나의 어휘로 표현한다. 셋째, 대조연구는 응용언어학 분야의 연구로서 언어 간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어권 중국어 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생성하는 오류에 관해 가능한 설명을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 및 한국어 교재 편찬에 어떠한 문법 항목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한・중 시청각동사에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한・중 시청각동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과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을 명확히 하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시청각동사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어휘상적 의미 대조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의 배경을 검토하였다. 의미역 이론과 원형 행위주 이론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론적 연구 배경을 참고하여 본 고에서는 상적 의미자질([±상태성(state)], [±순간성(punctual)], [±종결성(telic)])과 어휘상 분류(행위동사, 상태동사, 순간동사, 달성동사, 완성동사)를 선정하였다. 시청각동사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동작주]라는 의미자질을 추가해서 사용하였다. 어휘상적 의미자질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표지 '-고 있-/正在', 부사어 '-동안/Ø', '-만/在-之内', '일부러/故意'를 검증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의 기본의미 대조를 진행하였다.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 각각의 기본의미를 살펴보고 정리하며 기본의미에 관한 정의를 내렸다. 기본의미에 따른 대응 관계, 즉 한국어 '보다'와 중국어 '看(kan)'/'看见(kan jian)', 한국어 '듣다'와 중국어 '听(ting)'/'听见(tingjian)'이 지각행위와 지각결과로 나뉘어 기본의미적 대응관계가 이루어진다. 기본논항에 있어 중국 시각동사 '看'은 시각기관인 눈을 동작 주체로 취할 수 있는 반면에 한국어 '보다'는 눈을 동작 주체로 취할 수 없다. 다음으로 한국어 시청각피동사와 중국어 시청각동사의 가능표현의 실현조건 차이, 피동태와 능동태의 차이를 유발하는 인지적 차이점을 밝히려고 시도하였다. 동시에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시청각피동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범하는 오류의 원인에 대해서도 언어 간 간섭과 언어 내 간섭 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 어휘상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예문을 통해 시청각동사의 의미자질을 분석하고, 내적 시간구성 도식을 제시하며, 상표지 등과의 공기제약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의 어휘사적 자질을 검증하였다. 이어서 한・중 시청각동사의 어휘상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시청각동사 '보다'와 '듣다'는 행위동사([+동작주], [-상태성], [-순간성], [-종결성])와 달성동사([-동작주], [-상태성], [+순간성], [+종결성])의 어휘상적 특성을 갖는다. 한편 중국어 시청각동사 '看'과 '听'은 행위동사이고 '看见'과 '听见'은 달성동사이다. 한국어 시청각동사 문장에서 시청각동사를 행위동사나 달성동사로 분리해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통해 상적 의미변화가 중국어 시청각동사보다 빈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의 어휘상 유형을 나눠서 대응 관계도 살펴보았다. 시청각능동사에 있어서 한국어는 기본의미에 따라 양면적인 어휘상을 보이고 중국어는 단일한 어휘상을 보인다. 한국어 시청각피동사 '보이다'와 '들리다', 중국어 시청각동사의 가능표현 '能看见'과 '能听见'은 모두 상태동사([-동작주], [+상태성], [-순간성], [-종결성])이다. 그러나 '보이다'와 '들리다'에 비해 중국어 가능표현은 상태성이 더욱 명확함을 알아냈다. 제5장에서는 대조분석의 결과를 요약해서 본 고의 결론을 내렸다. 한국어 시청각동사와 중국어 대응항목을 통해 알아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 국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공희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공기관의 주요업무 추진과 관련하여 생산 및 수집되는 기록물 중 국가 시청각기록물은 정보매체의 발달과 업무의 전산화로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국가 시청각기록물은 물리적 특징 및 내용을 표현하는 방식이 일반기록물과는 상이한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보존 및 관리, 이용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시청각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외 국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 사례와 국내 기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 현황을 비교&#8228;분석하고, ISAD(G) 영역을 기준으로 국가 시청각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국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안)를 제시하였다. 각 영역별 기술요소 제시사항으로는, 식별영역에서 참조코드, 제목, 일자, 기술계층, 기술단위의 규모와 유형요소를 구성하였고, 배경영역은 생산자명, 행정연혁/개인적 이력, 기록물이력, 수집/이전의 직접적 출처로 구성하였다. 내용과 구조영역은 범위와 내용, 색인어로 구성하였으며, 접근과 이용환경영역은 접근환경, 자료의 언어, 검색도구로 구성하였다. 관련자료영역은 원본/사본의 존재와 위치, 관련기술단위, 출판정보로 구성하였다. 기술통제영역은 기술담당자, 기술일자로 구성하였고, 물리적 기술영역은 기술규모와 물리적 특성을 비디오류, 오디오류, 사진류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관리정보영역은 보존상태, 보존이력, 평가&#8228;폐기&#8228;처리일정, 기타관련사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주기사항을 기술하는 요소로 추가설명영역을 지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국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안)의 특성은 첫째, 내용과 구조영역의 범위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기술단위의 주제와 정보범위를 제공하였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기록물 이용여부와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둘째, 관련자료영역의 관련 기술단위를 통하여 국가 시청각기록물과 함께 생산되는 일반기록물의 정보를 연결해주고, 출판정보를 기술하여 이용자에게 기술단위의 주제와 관련하여 확장된 범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물리적 기술영역을 별도로 설정하고 비디오류, 오디오류, 사진류로 세분화하여 시청각기록물의 물리적 특성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국가 시청각기록물은 다수의 기록물이 영구기록물이라는 점에서 관리정보영역을 새롭게 설정하여 기록물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존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가 시청각기록물은 특수한 물리적 형태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기록물을 기술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국가 시청각기록물의 특성과 가치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국가 시청각기록물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among those produced and collected with reference to the progress of main tasks of public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u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media and the computerization of work.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are different from general archives in an expressive way of physical features and contents so that they have a number of problems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age. The thesi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of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in foreign countries and their present condition in domestic organiza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and presented the description elements (plan) for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focusing on the ISAD(G) area. The description elements presented in each area included identity statement area, reference codes, title, dates, level of description, and extent and medium of the unit of description quantity bulk or size, and the context area consisted of the name of creators, administrative or biographical history, archival history, and immediate source of acquisition or transfer. The context and structure area contained the scope and content, and index, the conditions of access and user area was composed of conditions governing access, language scripts of material and finding aids. The applied materials area included existence and locating of originals or copies, the related units of description and publication note. The description control area consisted of archivists note and dates of descriptions, the physical technical area divided physical characteristic and technical requirements into audio-visual records, audio records and photographic records. The managed information area was composed of the state of preservation, preservation history, schedule of evaluation&#8228;disuse&#8228;disposal and other related matters, and the note area was designated as a factor describing no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plan), propos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vided the scope of topic and information for the unit of description by specifically describing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context and structure area, and tried to help users utilize the archives by doing so. Second, the study linked the information of general archives generated with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through the related units of description in the applied materials area and described publication note to provide users with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opics of the related units of description. Third, the study created a physical technical area and classified it into audio-visual records, audio records, and photographic records, to describ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udio-visual archives. Finally, considering that many of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are permanent archives, the study created a managed information area for the constan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archives. Since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do not only take a particular physical form, but also have diverse and complicated contents, it is hard to describe the archives. Therefore, studies on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will have to be constantly conducted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national audio-visual archives.

      • 視聽覺資料를 活用한 高等學校 高麗時代 文化史 敎育의 效率的 接近方案

        김지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교육의 모습도 바뀌어가고 있다. 한 반의 학생 수가 줄고, 교육 기자재가 늘어나고, 학습관련 자료들이 풍부해지는 좋은 여건 속에서 교육은 한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역사 교육에서도 진전이 있었다. 시대사에서 분류사로 교과서가 바뀌고, 교과서의 삽화와 지도는 모두 컬러로 전환되었다. 또한, 더욱 다양한 참고도서들과 보조 자료들이 나왔으며, 국정 교과서의 검인정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교실마다 최소한의 시청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시청각자료는 이제 학교에서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게 되었다. 많은 참고자료들과 인터넷이 수업을 더욱 수월하고 깊이 있게 만들어 주고 있다. 이러한 시청각자료의 활용은 역사교과 특히 문화사 분야의 수업에서 빛을 발한다. 문화사 수업에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보조 자료의 활용과 인터넷의 활용, 그리고 타 교과와의 연계학습이 그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 주요한 시청각자료 즉, 사진·회화·지도·영상물 등을 수업에 이용할 수 있고 그것은 문화사 교육에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청각자료의 활용은 실제 수업 시간의 부족과 기본 자료인 교과서의 한계, 무분별한 시청각자료의 사용 등으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사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그 방법을 모색하였다. 곧 시청각자료의 성격과 분류, 문화사 수업과 시청각 자료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고려시대 문화사에서 구체적으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예컨대, 보조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 타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각각 활동지, 역사신문, 수업지도안을 짜 봄으로써 구체화시켰다.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역사교육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 즉 감각을 이용한 학습이 가능하게 되어 역사를 머리로만이 아닌 느낌과 직관을 동원하여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유로운 역사적 사고력을 통해 창의력 배양에 도움을 주며, 더욱 생생한 역사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수업의 기본이 되는 것은 교사의 열정이 바탕이 된 수업 준비일 것이다. 변화해 가는 교육의 방법을 숙지하고, 시의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흥미롭고 이해하기 쉬운, 그리고 생생한 역사 교육을 하는 것은 현재의 역사 교육이 해야 할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e form of education has been changing as society changes and develops. Education is gradually progressing in the 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is reduced, educational materials have increased and materials related to learning become abundant. History education also has been making progress. Text books have changed from the era history to the history of classification and illustrations and maps have been changed to be in full color. Also, more diverse reference books and auxiliary materials have come out and the official approvals of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Noteworthy is the fact that every class has equipment for utilizing basic audio-visual materials at the least. Audio-visual materials are now no longer unfamiliar in school. Lots of reference materials and the Internet make class work easier and meaningful. Such utiliz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becomes more effective in history class, particularly in cultural history class. Ways to utilize audio-visual materials in cultural history class can be divided into three, namely, utilization of auxiliary materials, utilization of the Internet and class work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Taking this approach, important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s, paintings, maps and video images can be used in class, and it is very helpful to cultural history education. However, such utiliz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can pose problems resulting from shortage of school hours, limitation of text books which are basic materials and indiscreet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Ways to resolve such problems and to have better cultural history clas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were explored as follows. This research examines correlation between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between cultural history class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based on this, it explores the ways to concretely utilize audio-visual materials in class learning cultur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era. For example, the methods of utilizing auxiliary materials,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Internet and the methods of connecting with other subjects are materialized through preparing journals of activities, history newspaper and teaching plans History education using audio-visual materials not only draws interest of students first but also enables the students in class to use the senses of sight and hearing and makes them experience understanding through senses and intuition rather than just through using their head. It is also helpful to nurturing creativity through power of free thinking about history and enables students to learn more vivid history. Basics of all class work should be preparations for class, based on teachers’ enthusiasm. Being well acquainted with, and timely utilization of, changing teaching methods and thereby providing students with interesting, easy and vivid history education should be the important task of current education of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