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ISO9000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소 증가원인에 관한연구

        이동원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Lee, Dong-Won 6 sigma Major Busines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e Analysis on Causes of Increasing Revocation of Certification of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objectivit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y revocation fo certification of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QMS) increase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oretical concept of ISO 9000 QMS was made through bibliographical study. Using datas of Korea Accreditation Board(KAB) which manages certification of domestic corporations, the need and processes of certification were explained systemically. And several enterprises were surveyed to know the difficulty which they felt and elucidate the cause of revocation. In this study, the main cause of revocation is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s and enterprises. In other words, the decreases of request of customer to ISO 9000 QMS bring about the decreases of interest of enterprises. As a result, enterprises don't feel the need of ISO 9000 QMS, which cause revocation of ISO 9000 QMS.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ISO 9000 Q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avail themselves of the system. 본 연구는 첫째,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품질경영과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특히 최근에 수정된 ISO 9001:2008에 대한 수정 배경 및 구성 내용을 설명하였다. 둘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제도에 대하여 인증의 필요성과 절차, 국내기업의 인증현황을 주관기관인 한국인정원(KAB)의 자료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셋째, 많은 선행 연구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듯이 품질경영시스템인증이 기업의 품질경쟁력 향상과 기업이미지 제고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ISO 9001 인증담당자들이 인증 심사 때 마다 바뀌고, 인증의 취소 및 반납을 하는 중소기업이 증가하는 현상을 피부로 느끼는 ISO9001 인증심사원 으로서 인증의 취소 원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품질경영시스템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내용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본연구원이 근무했던 기업의 관련기업과 심사원으로 관계하고 있는 인증원의 인증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중소기업이 품질경영시스템인증을 유지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사항과 인증을 취소 및 반납하는 원인에 대하여 설문지 및 인증자료를 가지고 조사하여 실증적으로 분석, 요약 하였으며 요약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중소기업에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득 동기 및 목적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항목으로 1)고객 (거래선,모기업)의 요구 때문에 이며, 2)기업제품의 인지도 향상을 위해, 3)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순서로 분석 되었다. 이 항목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기업 스스로 회사의 품질경쟁력 및 고객만족을 위해서 품질경영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고자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큰 요인은 거래선 및 모기업의 요구에 의해서 도입하여 운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소기업에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득과정에서 무엇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느끼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가장 평균이 높은 항목으로 1) ISO 9001 규격해석의 어려움과 관련 자료 및 정보부족 이며, 2) 전종업원의 이해와 참여부족, 3)문서관리체계 복잡에 따른 지연 순으로 분석 되었다. 이 항목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득과정에서 가장 어려운점은 중소기업으로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추진에 따른 문서화 및 전부서의 참여 와 협조부족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3. 중소기업에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득을 한 후 사후관리과정에서 가장 애로사항으로 느끼고 있는가에 대해서 분석을 한 결과 질문 중에서 가장 평균이 높은 항목으로 1) 지속적인 전사적인 관심 및 참여부족 이며, 2) 경영자의 의지 , 지원 , 관심도의 저하, 3) 업무결과의 계속적인 문서화의 어려움 순으로 분석 되었다. 이 항목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사후관리과정에서 추진부서 및 담당자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느끼고 있는 항목은 ISO 9001 품질경영에 대한 경영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전사원의 참여도가 저조하여 관련부서 협조부족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분석되었다. 4.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중소기업에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취득 후 인증을 유지 하지 못하고 인증을 취소 및 반납하는 사유에 대하여 분석 한 결과 가장 평균이 높은 항목으로 1) 고객 (거래선 , 모기업 )의 요구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이며, 2) 경영자의 의지 , 지원 , 관심도의 저하 , 3) ISO 9001의 인증에 따른 정부의 평가 시 가점이 없기 때문에 순으로 분석 되었다. 이 항목의 내용을 분석해 보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유지하지 못하고 취소 및 반납하는 가장 큰 원인은 인증취득동기 및 목적에서도 나타났듯이 고객 (거래선 , 모기업 )의 요구 때문에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하여 운영하다가 고객 (거래선 , 모기업 )의 요구나 거래에서 혜택이나 가점이 없어지면 중소기업의 경영자도 지원과 관심이 저하되어 인증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인증을 취소 및 반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소기업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추진자와 면담을 통하여 세부항목별로 분석한 내용을 보면 추진인력부족 과 '인증업무의 과다한 문서화로, 이는 추진인력부족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보인다. 다음은 일상적으로 기록하라는 것이 너무 많다와 ISO 9001 관련 정보와 인식부족이 그 뒤를 잇고 있음으로 보아 업무 절차를 문서화하고 기록화 하는 항목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론 대기업 그룹에서의 애로사항도 문서화 의 문제가 대두되기는 하였으나 전담인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 느끼는 그 강도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 중소기업에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인증효과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평균이 높은 항목으로 1) 대 고객 인식전환으로 고객 불만처리가 신속해졌다이며, 2) 제품의 신뢰와 기업이미지가 향상되었다, 3) 고객만족 으로 회사에 대한 이미지가 향상 되었다 순으로 분석 되었다

      •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역량과 고객만족을 중심으로

        심남용 동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current economic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s an essential strategic resource that enables firms to sust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a dynamic market environm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atic quality improvement approach for firm-wide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erformance in terms of quality, productivit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ustomer satisfaction, and firm’s profitability. This paper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o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firm’s performance by examining how the impact of management system on firm’s performance is moderat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For this research purpos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Busan, KyungNam from July 1 to august 28, 2016.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A total of 2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ystem variables and business performanc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were used.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introduc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Section 2 reviews management system and summariz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tion 3 presen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hypotheses related to management system and firm’s performance. Section 4 provides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Section 5 presents discussions, results, further implications, and research limitations. An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retrieve empirical studies relevant to develop the hypothese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resource managemen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econd, In quality management system, the research showed a fact that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not effect as a moderated between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financial performance. Bu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the effect of factor on financial performance, it was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apability moderated financial performance. Third, The ANOVA for difference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between management responsibility and type of business was significant. but There are not difference in the factors in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demographics statistics. Only the industry and number of service yea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helps firms to sense, evaluate and plan the changes required by management system.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대내․외적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품질의식의 고취, 불필요한 작업의 개선, 기업의 이미지 개선 및 지속적 개선활동을 통한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영시스템의 ISO 인증과 관련한 주요 인증별현황(ISO 9001, ISO 14001, ISO 50001, ISO 27001, ISO/TS 16949, ISO 13485)에 대한 세계적 현황을 보면 2013년 기준 총 인증 건수 1,564,448건 중 품질경영시스템과 관련한 ISO 9001 인증이 1,129,446건으로 72.2%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현황은 주요 인증에서 품질경영시스템의 상대적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경영시스템 도입 및 운영은 경쟁기업에 대한 우위전략과 기업성과의 개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기업들이 이와 같은 경영시스템의 도입과 성공적인 실행을 위하여 이들 경영시스템의 어떤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경영시스템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많은 연구들이 기업성과의 측정에서 재무적 성과 혹은 비재무적 성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시스템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역량 혹은 고객만족 중 하나의 변수만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또한 품질 경영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에서 기업특성과 운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품질경영시스템 요인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품질경영시스템 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이들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품질경영시스템 관리에 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인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업의 조직역량과 고객만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품질경영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특성 및 운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품질경영시스템 요인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경영시스템 요인인 경영책임, 측정․분석 및 개선, 자원관리 그리고 제품실현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경영책임과 자원관리의 2개 변수가 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책임은 유의한 정(+)의 부호를 나타내었으나, 자원관리는 유의한 부(-)의 부호를 나타내었다. 자원의 유지 및 관리에 추가적인 비용의 발생을 고려한다면 자원관리는 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수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이미지 개선을 통한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도 장단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품질경영시스템 요인인 경영책임, 제품실현, 자원관리 및 측정․분석 및 개선의 네 가지 요인이 기업성과인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경영책임과 측정․분석 및 개선이 유의한 정(+)의 부호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기업이 이들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면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품질경영시스템의 요소인 경영책임, 제품실현, 자원관리 및 측정․분석 및 개선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역량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의 검증 결과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재무적 성과에 관한 조직역량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의 검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셋째, 품질경영시스템 요소인 경영책임, 제품실현, 자원관리 및 측정․분석 및 개선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객만족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에서도 고객만족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독립변수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인 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유지기간, 업종 및 운영자의 직급 및 근무연수가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간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분산분석한 결과 직급, 유지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근무연수와 업종에 대한 분석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품질경영시스템 요인들이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성과에는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역량과 고객만족이 부분적으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중 일부 요인이 근무연수와 업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기업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이 요인들을 기업 특성에 맞게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정영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modern trend in warfare has shifted from platform centric warfare(PCW) to network centric warfare(NCW) due to the development of C4I technologies. NCW interconnects various combat systems to share the real-time information that results in maximizing the war combat efficiency. Thus, the C4I system, which plays a main role in the war combats, is very important for the modern warfare. The Republic of Korea(RoK) Armed Forces have been working on the NCW implementation for a preparation of the future warfare. Since 2000, a significant amount of the defense budget has been spent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C4I system, and some parts of the system, which are ready for use, are already distributed for the strategic use of the army. The demand for the C4I system will continuously increase to maximize the combat capacity, and the increase of the budget will be inevitable. In order to continue developing the C4I system, an evaluation of the amount of the defense budget spent versus the effect of the C4I system to the armed forces is necessary. This evaluation will justify the need for a large amount of budget investments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efforts to improving and supporting the C4I system. It will be also meaningful as an indicator for regulating the defense management. Although ROK Armed Forces have developed and maintained the C4I system by investing a large amount of the budget, a limited evaluation of the C4I system has done due to lack of well-established model and system. Moreover, despite of this demand for the evaluation system, an empirical research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model is not in an active progress.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s an expanded success model for military information systems by identifying success factors of C4I system and verifying the overall path to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 background for evaluating operational performance during the acquisition and operation phases of the military C4I system.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studies by DeLone & McLean(1992, 2003), Pitt, Watson & Kavan(1995) and Seddon(1997), this paper considered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lf-efficacy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tudied their effects and relationships to the dependant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s performance. The influence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C4I system were verified by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using a large set of questionaries from the military personnel who have experienced with the C4I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increases as the quality characteristics(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and user characteristics(self-efficacy) increases. This verifies that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which are determined during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C4I system, are essential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success(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C4I system.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which are the effect factors, show a positive effect to Individual performance of the C4I system. Also, the Self-efficacy of the C4I system increas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not only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system itself but also the user confidence of the system use is an important factor to operational success. In addition, Individual performance also shows a positive effect to Organizations performance. This demonstrate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has a favorable effect to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s performance. The contributions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ccess model of the military information system is expanded through practical verification of the success factors path for military C4I system. Second, Based on this study, factors affect operational performance are figured out and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these results could be contributed to the acquisition strategy and plan. Above all,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is thesis supply theoretical basis and evaluation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military budget investments versus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C4I system. Finally, more large scale practical researches are expected to perform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success factors and refinement of the measurement of 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environment of the C4I system. 현대전의 전쟁양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전의 플랫폼 중심전(PCW : 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CW :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중심전은 다수의 전투시스템을 상호 연결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여 전투력 발휘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전투수행 개념으로 여기서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은 그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군도 미래전 수행개념의 네트워크 중심전(NCW)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많은 국방예산을 투입하여 다양한 전투 환경에 적합한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신규개발하거나 성능개량 등을 통해 전력화 배치하여 운영유지 중에 있다. 이처럼 전쟁양상 및 획득환경은 전투력 발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최첨단 전장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획득요구는 더더욱 증대될 것이고 더불어 막대한 국방예산의 지출은 불가피 할 것이다.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획득하여 운영유지 함에 있어 국방예산 투자대비 운영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군사력 건설을 위한 정책적 및 실무적 차원에서 국방예산 투자를 정당화하고 효과적인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획득하고 운영유지하기 위한 국방경영 차원의 통제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군은 많은 국방예산을 투자하여 전장관리정보시스템 등의 무기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유지하고 있지만 운영유지 과정에서 체계적인 성과관리 모형이나 관련 제도의 미흡으로 제한적이고 미온적으로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 활동도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실증연구가 거의 없었던 국방분야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성공 즉 운영성과에 미치는 전체경로를 파악하여 확장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제안하고, 검증과정을 통해 전장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운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틀과 획득전략 수립 등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eLone & McLean(1992, 2003), Pitt, Watson & Kavan( 1995), Seddon(1997) 등이 제시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사회인지이론(Bandura, 1977)을 접목하여 독립변수로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자기 효능감을 설정하고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자 만족의 매개역할 과정을 통하여 종속변수인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현재 이용하거나 이용경험이 있는 군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의 성공 즉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그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첫째,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의 품질특성(시스템품질, 정보품질)과 이용자 특성(자기 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자 만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전장관리정보시스템 개발과정에서 결정되어지는 기술 중심의 품질특성은 운영성과의 본질적인 영향요인이라고 해석되며, 더불어 시스템 이용에 대한 자신감도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용자 효용특성인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자 만족은 전장관리정보시스템 운영성과 요인인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어서 개인성과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품질특성과 자기 효능감이 이용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개인의 업무 효과를 통하여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먼저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국방분야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성공모형을 제시하고 성공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함으로써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국방분야까지 확장함과 동시에 향후 관련분야에 대한 학문적 연구발전에 공헌을 하였다. 다음으로 실무적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전장관리정보시스템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인과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전장관리정보시스템 획득전략 및 획득업무 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군사력 건설을 위한 정책적 및 실무적 차원의 국방예산 투자대비 운영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와 평가도구를 제공 했다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국방분야 정보시스템의 특성 및 운영환경 등을 고려한 성공요인의 추가 개발 및 각 요인별 측정항목의 정제화 등을 위해 추가적인 폭넓은 실증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성백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프로세스 접근방법과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보고 접근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이 프로세스 접근방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거나,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 점과 차이를 가진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경영성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보았다. 품질경영시스템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바탕이 되는 품질경영 8원칙, 프로세스 접근방법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경영성과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및 실행으로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제 3 장에서는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을 대상으로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이 경영성과 변수인 프로세스 성과, 고객만족 성과, 재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우선 일반적 특성 변수와 경영성과간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 중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 동기를 살펴보면 기업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도입이 40.0%, 외부요인에 위한 도입이 24.5%, 유리한 조건(가점) 획득을 위한 도입이 21.1%, 인지도 향상을 위한 도입이 14.4%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도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 목적이 내적인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도입(40%)보다는 외부적인 요인에 위한 도입 동기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도입 시 어려움으로는 관련 부서의 비협조와 전담요원의 역량부족이 71.1%로 중소기업의 전반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부족 현상이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지시의 문제점으로는 형식적인 사후심사(45.7%)와 전담인력의 부족(30.4%)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도입동기(외부 요인에 의한 도입)와 도입 시 어려움(전담요원의 역량 부족)에서 나타난 결과에 따른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품질경영시스템 도입동기에 따른 재무 성과의 차이에 대한 검증 결과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도입한 기업이 외부요인에 의해 수동적으로 도입한 기업에 비해 높은 재무성과를 실현하고 있었다. 이는 도입동기에 따른 성과의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시 기업 전조직원의 의지와 경영자의 적극적인 도입의지가 필요할 것이다.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이 인증을 유지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에 따라서 경영성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가 품질경영시스템을 유지하는데 무관심할 경우에 가장 낮은 고객만족 성과가 나타나고 있어,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도입성과의 향상을 위해 중요함을 알 수 있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에 따라서 경영성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기업이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부담을 느끼고 문제점이라 지적하고 있었지만 고객만족 성과와 프로세스 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 품질경영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실제로 투입된 노력과 자원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품질경영시스템 구성 변수와 경영성과간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인 품질경영시스템과 종속변수인 경영성과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모든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프로세스 접근방법, 경영책임, 자원관리, 제품실현, 측정, 분석 및 개선)는 그 값이 증가할수록 경영성과(고객만족 성과, 프로세스 성과, 재무성과) 역시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경영책임이 경영성과의 구성요소인 고객만족 성과, 프로세스 성과, 재무 성과 모두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고객만족 성과 간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고객만족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t값 4.182, 유의확률 .000으로 경영책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세스 접근방법, 자원관리, 제품실현, 분석 및 개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그 구성요소인 경영책임이 해당 기업의 고객만족 성과에 높은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기업의 최고경영자가 품질경영시스템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의지와 확고한 태도를 가질 때 더 큰 고객만족 성과가 발휘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둘째,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프로세스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t값 3.454, 유의확률 .001로 경영책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세스 접근방법, 자원관리, 제품실현, 측정·분석 및 개선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고객만족 성과와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로써 최고경영자의 경영책임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최고경영자가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 및 유지시 품질 방침 및 목표를 명확히 하고, 전략적으로 이를 활용하려는 의지가 높아질수록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경영성과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프로세스 접근방법, 경영책임, 자원관리, 제품실현, 측정·분석 및 개선은 모두 유의수준 p<.05에서 재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관관계분석 결과에서 모든 구성요소가 재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검증되고 있는 결과와는 상이한 것으로써 표본의 수가 적은 경우에 더 적합한 상관관계 분석과는 달리 회귀분석의 경우 표본의 수에 그 결과가 높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품질경영시스템 도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ISO9001:2015와 개인역량 중심으로

        김민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업은 더 많은 매출을 통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근거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업들이 품질인증체계를 구축하여 제 3자 인증을 통하여 품질경쟁력을 확보하고 개선하며 발전해 왔다. 품질경영 인증 중 품질경영시스템인 ISO9001 인증은 국제 인증표준으로 세계적으로 도입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의 대표적인 인증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품질경영시스템(ISO9001:2015)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는 가정 하에 품질경영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관찰하여 연구 모형을 도출하고 연구모형에서 사용된 변수인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즉, 조직의 상황,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의 실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 분석함으로써, 품질경영시스템 실행이 기업성과로 이어지고 개인역량의 정도에 따라 기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다. 본 연구는 모두 5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 서론은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제 2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제 3장은 연구모형,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에 대하여 논의했으며, 제 4장은 실증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해석 하였다. 제5장 결론은 연구결과를 검증하여 품질경영시스템 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선점을 주장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을 요약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중 기획, 지원, 성과평가의 3가지 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중 리더십, 지원, 운영의 3가지 요인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역량(지식)은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중 리더십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재무적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질경영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개인역량(기술)은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중 기획이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 품질경영시스템 ISO9001의 요인들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부분 별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역량(지식, 기술) 또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은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함으로써 품질경영활동을 통해 기업성과를 이끌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품질경영시스템 요인 별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므로 성과 유형에 따라 품질경영시스템 요인을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ISO 9001 인증심사 부적합사항 시정조치가 품질경영시스템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하진식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품질경영은 품질에 대하여 조직을 지휘하고 관리하는 활동으로서 조직 구성원 모두가 지속적인 개선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경영 방식이다. 우리나라에 1990년 초반부터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 (Quality management system)이 도입되어 운영되면서 조직의 경영 및 개선에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운영상의 애로사항과 인증제도에 대한 비판 또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우량기업으로 도약하는 과정으로서 고객 요구사항을 규정한 ISO 9001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나아가 조직의 핵심 성공 요소인 고객만족 달성을 위하여 지속적 개선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을 요약하면 먼저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과 인증제도 그리고 인증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하여 선행연구 문헌 조사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두 번째로 인증심사 시 발행된 부적합 사항의 시정조치 유형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로 조직에서의 실제 상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정조치 운영 실태 및 인증심사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인증심사 측면에서의 개선점과 조직이 시정조치 운영 시에 개선해야 할 사항을 파악해 보았다. 인증기관 및 심사원이 심사 결과로서 발행하는 부적합 보고서의 서술 및 후속 확인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조직이 개선을 위하여 시정조치를 취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 조직이 품질경영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인증 심사 시 발견된 부적합 사항은 왜곡 없이 정확히 발행되고 부적합은 시스템적인 문제로서 서술해야 한다. 둘째, 시정조치는 시스템적인 근본 원인이 파악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시정조치 결과에 대한 후속 확인 시 유사한 문제의 재발이 방지됨을 보장하여 지속적 개선을 실증하도록 시스템적인 조치가 취해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Quality management is management policy to try all of formation constituents achieve continual improvement as activity that command and manages organization about quality. Operate effectively and advance ISO 9001 that specify customer requirement as process that spring to blue chip company and continual improvement is essential for customer satisfaction achievement. Recognize about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certification effect and problem through virtue research literature investigation analysis first, and analyzed type of corrective action of findings of audit result by second. Grasped item that must execute question investigation about operation actual conditions and corrective action to investigate actuality situation in establishment by third. Present item that must consider when adopt regard and organization that must consider when confirm description and follow up of an audit that certification body and jury publish as judging result do corrective action for improvement. Formation achieves continual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irst, when certification audit, findings are drawn faithfully and describing finding should be described as systematic problem. Second, must do so that can be removed grasping systematic root cause that do corrective action. Third, must confirm whether systematic corrective action assumed to prove continual improvement securing that when confirm succession about result of corrective action, root cause is removed and reappearance of resemblant problem is prevented.

      •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이행실태와 인증획득에 따른 경영성과 실증연구

        박동화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 군수분야의 품질보증제도는 미 국방성에서 적용 중이였던 MIL-Q-9858A를 근간으로 1975년에 품질경영시스템과 관련된 국방규격을 제정하면서 품질보증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이후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지난 1998년에 세계적인 품질경영 및 품질보증 추세에 맞추어 민간분야에서 확산 적용중인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군수품의 특성에 적합한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제정하게 되었고, 1999년에 군수업체의 자체 품질보증능력 향상 유도와 정부 품질보증활동의 효율화를 위하여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에 전면 개정된 ISO 9000품질경영시스템 규격을 근간으로 우리나라 군수분야 실정에 맞게 2002년 개정된 KDS 0050-9000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에 의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최초인증 및 갱신 심사업무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부적합 자료를 분석하여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고, 인증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인증 획득에 따른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사부적합은 업체별 평균 7.5건이 발생되었고, 문서화 미흡사항이 14%, 문서화는 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흡한 부적합이 86%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의 종·횡적 구조로 연계되어 있는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운영이 되지 않고 시스템이 붕괴된 중부적합 사항도 6%의 점유율을 보였다. P-D-C-A 사이클 관점에서 볼 때 계획을 실행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산출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인 ‘7장 제품실현’에서 부적합이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를 점검하고 측정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실시하는 단계인 ‘8장 측정, 분석 및 개선’, 조직의 핵심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계획 수립단계인 ‘4장 품질경영시스템’의 순으로 발생되었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요건별 부적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니터링 및 측정’, ‘생산 및 서비스제공’, ‘문서관리’, 구매’의 순으로 부적합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의 일부누락, 실행의 오류 및 근거 미 유지 등이 주요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문서화와 실행 측면에서는 총 부적합의 14%를 문서화된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차지하였고, 품질경영시스템이 문서화되어 있으나 실행이 미비한 경우가 총 부적합의 8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화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요건은 ‘품질경영시스템’, ‘형상관리’, 시정 및 예방조치'의 순으로 분석되어 군수업체들이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의 실행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이 다소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실행 부적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요건은 '기반구조 및 업무환경', '고객 관련 프로세스' 요건 부적합이 100% 이었으며, '생산 및 서비스 제공', '경영검토', '모니터링 및 측정', '구매', '문서관리' 요건의 순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아직까지 군수업체들이 품질경영 활동에 있어 업무환경의 구축과 고객을 위한 제품관련 요구사항의 검토, 의사소통, 품질경영시스템의 효과적인 증거제공을 위한 기록관리 등이 저조하고, 생산 및 서비스 제공과 경영성과의 지속적 검토활동도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적합성 및 유효성 확인을 통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얻는 업체의 정성적 경영성과로는 척도 통계량에 의한 경우 ‘품질에 대한 의식변화’, ‘품질경영시스템의 운영’, ‘품질개선의 증가’순이며 정량적 경영성과로는 ‘연평균 불량률의 감소’, ‘품질COST의 감소’ 효과가 인증 획득 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13개 경영성과 전 항목에 대해 통계량 가설검정을 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방품질경영시스템 규격요건 항목의 경우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품질경영시스템’, ‘고객관련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측정의 문서화’의 순으로 개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군수업체의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획득의 확대와 운영을 위하여 제도적 개선사항으로는 유인책의 증대와 업체 자율성의 확대, 인증에 대한 국제적 위상제고를 위한 홍보와 협정, 기업규모별로 인증 등급제를 고안, ISO/TS 16949, AS 9100 등 민간 유사인증에 대해서 군수 관리에 필요한 요건을 개발 및 부가하여 분야별 인증의 추가 등이 연구되어 이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이 군수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저변을 확산시켜 군수품의 신뢰성 향상과 군수품의 품질경영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국방품질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을 원하는 군수업체와 관련 전문가에게 활용되고, 인증제도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The KDS 0050-9000:2002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domestic military demands on the basis of ISO 9000: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status of Defens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certified from 2004 to 2006 and to evaluate the economic outcomes of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survey on the certified contractors. To attain this purpose, diverse aspects of the domestic military contracto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SPS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P-D-C-A cycle, 'Chap 7, product realization' was the most frequent case of failure, and 'Chap 8,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was the next, which followed by 'Chap 4, quality management system'. 2) The military contractors listed the following factors as their advantages acquired after the introduction of KDS 0050-9000:2002. First, there were qualitative benefits such as 'the change in the mind of quality', 'utilization of QMS in operational level', and 'quality improvement' in order of frequency. Second, there were also quantitative benefits such as 'the reduced rate of poor quality per year', and 'the reduced quality cost', to name a few. Above these, many meaningful results were spell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KDS 0050-9000:2002, to a certain degree,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ontractor's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helped to make QMS of the military suppliers more activated, and, in turn, made military supplies more reliable. Hereafter,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guide to any contractor who want to acquire DQMS certification and to the experts who are concerned in, and want to develop the certification system.

      • 국내에서 ISO 9000:2000의 효율적인 도입 및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이우영 홍익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0의 인증 제도가 도입된 이래 제조업뿐만 아니라 모든 업종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제도는 국내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기업에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의 품질관리 수준을 획기적으로 제고해 기업의 이미지 제고, 품질향상, 원가절감 및 기타 품질 문제의 해결 등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경영혁신, 구조조정 등과 마찬가지로 일부 조직에서는 ISO 인증 제도를 많은 노력을 기울여 추진하였지만 기대만큼의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형식적인 인증 획득에 그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 인증제도의 획득을 위해 추진하는 과정 중에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기도 하고, 새로운 갈등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경영활동에 있어서 새로운 제도의 도입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고 충분한 준비 없이 제도를 도입, 적용하는 데 따른 혼란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ISO 9000:2000을 도입 및 적용 하는데 있어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제1장 서론에서는 ISO 9000:2000(품질경영시스템)의 효율적인 접근을 하기 위해 새로운 규격을 파악하고, 인증 및 전환심사를 위한 효율적인 도입 및 접근방안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ISO 9000:2000 품질 인증에 대한 구성과 ISO(국제표준화기구)에 대해 기존의 연구기록들을 모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ISO 9000:2000 의 도입 및 전환을 위한 효율적인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4장 결론에서는 ISO 9000:2000 규격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꾸준한 정보의 입수와 시스템 개선으로 Process와 성과 위주로 품질 경영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ertification system of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rapidly permeating into every nook and corner of all business lines, not to mention manufacturing industry since introduc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ISO 9000. The quality-management certification system is thus attaining many achievements in home. It produced enhancing the image of enterprise, quality improvement, cost down and other solutions of the quality problem through epoch-making upgrade of the existing quality management level, establish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the company. However some organizations, as management renovation, restructuring, etc, made much effort to proceed ISO certification system, they couldn't measure up to the goal as expected, which is not more than obtaining formal certification. While proceeding for obtaining certification, many problems occurred and new conflicts were caused. Those problems can be said the confusion that is resulted from the shortage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in managerial performance and introducing, applying the system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s. Therefore, the a study which is composed by 4 chapters dealt with the plan to make efficient access onto introducing and applying ISO 9000:2000. In chapter 1, Introduction, it focused on grasping new standard for efficient acces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ISO 9000:2000, and studied efficient introduction and accessing plan for certification and conversion audit. In chapter 2, it summarized the existing a study records on quality certification of ISO 9001 and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The plan of efficient application for introducing and transferring ISO 9000:2000 was proposed in Chapter 3. In chapter 4, Conclus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settled in the company in process and outcome-centered way with incessant procuring information and improving the system for the purpose of transfer to the ISO 9000:2000 stand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