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간대별 전력수급 예측 오차율의 변화를 반영한 순동예비력 산정방안

        권경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2011년 9월 15일 우리나라에 순환정전이 발생한 이후,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예비력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로 인해 운영예비력에 대한 용어가 재정립되었고, 운영예비력 확보량에도 변화가 생겼다. 운영예비력은 계통 병입 여부에 따라 순동예비력과 비순동예비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순동예비력은 계통에 투입되어있는 발전기가 확보하고 있는 예비력으로, 즉각적인 출력 변화를 통해 수급균형을 조절하고 계통의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계통의 안정운영을 위해선 순동예비력의 확보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순동예비력의 확보량을 결정하기 위해선 수급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수급불균형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에는 정확하지 못한 수요예측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요예측오차, 발전기 탈락 등의 사고 발생으로 인한 발전력 부족,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예측오차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부족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순동예비력 확보량이 많을수록 큰 외란에도 수급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순동예비력 확보량이 증가할수록 이를 위해 추가적인 발전기를 병입하거나 발전기 배분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에 운영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경제성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순동예비력 확보는 계통의 안정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순동예비력 산정에 대하여 시간대별로 순동예비력 산정을 다르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순동예비력을 산정하기 위해서 수급불균형을 발생시키는 수요예측오차, 발전력 탈락,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예측오차를 고려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는 현재 가장 경제성이 있고 계통연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풍력발전을 고려하였다. 시간대별로 오차의 확률분포를 다르게 나타내기 위해 각각에 대해 시간대별 수요예측오차율, 시간대별 발전기기동정지계획의 변화, 시간대별 풍력발전 예측치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 변화를 기준으로 확률분포를 모델링 하였다.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예비력을 산정하는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본 결과, 평균적으로 같은 순동예비력 산정량에 대하여 제안한 방법이 단기수급균형신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통해 풍력발전단지의 추가건설로 인한 계통 구성의 변화나 수요예측오차율이 감소한 경우에도 유연하게 순동예비력 확보량을 바꿈으로써 수급균형과 관련된 불확실성의 증가나 감소에도 곧바로 대처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강소성 가공 공정으로 제조된 순동의 미세조직 균질성과 기계적 특성

        이재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4

        Various severe plastic deformation (SPD) processes have been developed to fabricate metal materials with an ultrafine-grained microstructure by imposing large strains to the material. However, in most SPD processes such as equal-channel angular pressing and high-pressure torsion, the applicable sample size is quite limited to less than 50 mm,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abricate large structural components through these SPD processes. Multi-axial forging (MAF), which is an SPD technique, is known to be possible to fabricate large-sized parts. However, the MAF process causes the formation of inhomogeneous microstructure owing to highly localized deformation along the shear dire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inhomogeneous distribution of applied strain in the MAF process, multi-axial diagonal forging (MADF) process has been recently developed; however, no studies on pure Cu subjected to MADF have been conducted yet.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DFed pure Cu samples are systematically analyzed. Furthermore, the homogeneities of grain siz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the center, face, and edge regions of the MADFed sampl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pure Cu samples subjected to conventional MAF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ADF proces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uniformity. In addition, the effects of MADF pass number on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ure Cu are also investigate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ive strain imposed during MAF is substantially localized along the X-shaped shear regions of the material because dead zones with extremely low effective strains are formed around the contact areas between the dies and the material. In contrast, the effective strain imposed during MADF is relatively uniform throughout the material because the diagonal forging operation applied under the MADF process leads to the interconversion of edge region and face region of the material. The MAFed samples consist of ultrafine grains at the center region and coarse grains at the face region owing to the highly localized distribution of imposed strains. As a result, the MAFed samples exhibit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average grain size, area fraction of recrystallized grains, and texture at the center, face, and edge regions; consequently, these microstructural inhomogeneities result in great differences in the tensile properties between the center and face regions. In contrast, the average grain sizes at the center, face, and edge regions of the MADFed samples are relatively similar owing to the evenly imposed strains throughout the material, and, therefore, the MADFed samples show little differences in the hardness and strength at all three reg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ultrafine-grained pure Cu samples fabricated through newly developed MADF have much more homogeneous features in microstructure, hardness, and tensile properties than those fabricated by conventional MAF. In addition, as the MADF pass number increases from 0 to 48,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MADFed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s from 57.0 μm to 0.75 μm by the enhancement of continuous dynamic recrystallization behavior and the difference in grain sizes at the edge, face, and center regions gradually reduces. The tensile yield strength (TYS) and hardness of the MADFed samples increase up to 12 passes, and then they remain nearly unchanged. The 24-pass MADFed sample exhibits best comprehensive mechanical properties in terms of both strength and ductility among the studied conditions. This 24-pass MADFed Cu sample has a TYS of 391 MPa and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of 431 MPa, which are considerably higher than a TYS of 201 MPa and UTS of 303 MPa of the initial Cu sample; this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engt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refined grain size and increased dislocation density by MADF.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MADF process can greatly reduce the average grain size of pure Cu up to 0.75 μm and effectively improve the homogeneity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because of the evenly imposed large effective strains.

      •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요인 연구

        한창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25

        본 연구는 CIS 지역 동포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수-학습 전략의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로,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요인과 그 수준을 함께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 동기 요인은 ‘통합적 동기’와 ‘이상적 제2언어 자아’이며, KSL 언어 사용 환경에서의 재외동포 학습자 특징이 크게 반영되었다고 본다. 둘째,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은 ‘학습 환경’과 ‘자신감 결여’이며, 외국인 근로자로서 한국어 교육 기회와 시간이 부족한 학습자의 상황적 요인이 크게 반영되었다고 본다. 셋째,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동기 및 탈동기 요인과 그 수준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 동기는 여성 그리고 탈동기는 남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에서는 30대의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 6개월 미만 거주자에서 동기가 높게 나타나, 한국어 교육의 적절한 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학습 기간이 길어져도 꾸준히 높은 학습 동기를 유지하였으며, 한국어 숙달도가 높아져도 높은 동기를 유지하고 탈동기는 하락하여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족 동거 여부도 한국어 학습 동기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한국어 사용 빈도와 동기는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정비례 관계를 보였다. 넷째,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및 탈동기 요인뿐만 아니라 동기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논의하기 위한 과정으로, 학습자의 순동기지수(=동기지수-탈동기지수)를 정의하고 산출하였다. CIS 지역 동포의 한국어 학습 순동기지수는 46.8%p였으며, 이를 기존 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CIS 지역 동포 한국어 학습자는 동기가 높은 학습자로 진단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육에도 학습자 유형에 따라 동기와 탈동기 요인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동기 수준을 진단하고 예방적 관리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 동기 수준을 진단하는 준거의 기준에 대해 논의하고 표준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동기 및 탈동기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더불어 한국어 학습 동기가 높은 CIS 지역 동포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그래서 본 연구가 CIS 지역 동포 학습자 유형에 최적화된 맞춤형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과 교수-학습 전략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순동 용가재를 이용한 AA1050 알루미늄과 1180MPa 고강도강 GMAW 접합부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연구

        정주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75

        As the joining Carbon Neutrality begins in worldwide, almost country try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force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Accordingly, the automobile industry is inevitably required to reduce the automotive exhaust emissions and enhance the fuel efficiency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automobile body(lightweight body) and increasing the strength of parts. Among the various fuel efficient improvement technologies, making lightweight body has great advantages, in which it has short application cycle and occurred less cost compared to other technologies. Accordingly, the lightweight body technology becomes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To make lightweight body, there have been countless studies of Al/Fe dissimilar joining around the world.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ose studies is the formation of Al-Fe intermetallic compound(IMC) layer which makes the weld metal to be broken on that layer. Therefore, in this study, Al/Fe dissimilar joining using GMAW(Gas Metal Arc Welding) with pure copper(cu) filler metal was tried to make lightweight. To solve the pre-study issues, this study was firstly tried to develop filler metal alloy and get the idea of using pure copper filler metal which made no IMC between Fe-Cu and also made the weld metal to be low hardness with the high content of copp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ure copper filler wire’s effect, check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increasing travel speed, and find the best welding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fter GMAW with increasing travel speed; 5, 7, 8, 8.5, 9mm/s, this study could have the conclusions; as the travel speed increased, the temperature gradient values and the crystal cooling rate values were rised with heavy cu weight;Cu sink in Al-Cu coexist area. This made the low content of Al-Cu eutectic and hypereutectic structure and high content of dendrite α-Al structure in Al-based weld zone(Weld Zone Ⅱ). From the above travel speed 8mm/s, the hardness of Weld Zone Ⅱ is lower than below the 7mm/s and the results of tensile test for fracture is occurred in Al base metal.

      • 수도권 순동 무효전력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박철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374

        The Korean power system is unique in terms of power demand and generation. Almost 40% of its power demand of the country i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country. Due to its "remote" generation site, the network is highly susceptible to voltage drop and power losses along the network when the load levels are medium. And the network is also susceptible to transient & dynamic stability problems because of potential deficit of reactive power nearby. With the low load it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maintain voltage levels where they considered to be generated from ultra High voltage & underground cable transmissions. Therefore, reactive power control methodology and strategic plans must be established. From switching, contingency and fault studios conducted for the metropolitan area and neighboring network. The assessment on the reserve ratio, capacity required and the required voltage preservation levels were also conducted. This included detail voltage stability and reactive power margins studies to determine the required spinning reserve reactive power rates. The contingency and fault studies conducted for the year 2004 and 2007 of the peak loads. The rating capacity of active/reactive power was verified by performing a number of contingencies on the 765kV Shingapyeong-Shintaebaek and Shinansung-Shinseosan transmission lines using P-V & Q-V curves. In case of those peak loads simulation cases, it was clear that the network was susceptible to transient & dynamic stability problems because of shortage of reactive power nearby areas. This would make the power system inoperable unless very effective, fast and extremely reliable countermeasures were taken. With the analysis of reactive power sources' characteristics, we concluded that the solution to the fault was the installation of a very fast Mvar compensator. Based on these simulation results, we could come up with the required capacity of spinning reserve reactive power.

      • 和順同福-昇州廣川 地域에 分布하는 變成火成岩類에 關한 岩石學的 硏究

        姜相遠 全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7359

        동복-광천지역에 분포하는 변성화성암류는 관입순서와 구성광물 및 조직에 따라 반상변정편마암, 흑운모화강편마암, 우백질화강편마암 및 복운모엽리상화강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변성화성암류는 각섬석편암, 흑운모편암 등의 변성퇴적암류를 포획하고 또한 변성화성암류의 세맥이 변성퇴적암류에 주입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화성 기원의 암석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변성화성암류는 담회색 내지 암회색의 석영과 장석을 포함하며 불균질한 압쇄엽리를 보인다. 이들 엽리의 개략적인 방향은 북동-남동 방향과 북서-남서 방향이 우세하며 이들 방향으로부터 추정할때 이들은 대보조산운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각변동으로 인해 재결정작용과 압쇄작용이 일어난 결과이다. 우백질화강편마암, 복운모엽리상화강암 및 반려암에 대한 화학분석 결과는 이들 암석이 Calc-alkali rock series에 속하며 각 암체들이 일련의 분화산물의 집합체로 사료된다. Meta-igneous rocks in the Dongbok-Kwangchun area classified porphyroblastic gneiss, biotitegranite gneiss, leucogranite gneiss and two mica foliated granite which based on the relative intrusion sequences rock-forming minerals and textures. As meta-igneous rocks captured metasediments of amphibol schist and biotite schist, and microveins of meta-igneous rocks injected into metasediments, meta-igneous rocks considered igneous originated rocks. Meta-igneous rocks contain pale or dark gray feldsfars and quartzs and shows heterogineous mylonitic foliation. An outline trend of these foliations are predominently NE-SE and NW-SW, and considered the result of mylonitization and recrystalization by tectonic movement which closly related to the Daebo-Orogeny. Chemical composition fo leuco granite gneiss, two mica foliated granite, and quartz gabbro show that these rocks correspond to calc alkali rock seriese by Peacok (1936), and each rock consist of a series of differentiation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