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읽기 지문에 나타나는 관계절 양상 분석

        임남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관계절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읽기 지문에 정확성을 강조하여 자주 출제되고 있는 항목 중 하나이다. 대다수의 언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관계절은 그 구조의 복잡 성과 한국어와의 차이로 인해 많은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구조이 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읽기 지문에 나타나 는 영어 관계절의 활용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관계절 습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9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 최근 5개년의 수능과 연간 2회 실 시되는 모의평가를 수집하여 주격 관계절, 직접 목적격 관계절, 전치사의 목적격 관계절 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관계절은 총 622회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수능 지문에 나타나는 관계절의 명사구 접근 위계(NPAH) 적용 여부와 구체적인 관계사의 활용 빈도를 조사하 였다. 이어서 지문에 나타나는 관계절의 선행사 유생성과 격의 선호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지문의 목적격 관계절 주어 명사구가 언어 처리에 끼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목적격 관계사 생략과 수동형 주격 관계절의 양상도 분석하였다. 이 러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능 영어 영역 읽기 지문에 나타나는 관계절은 NPAH의 위계대로, 주격 관계 절 > 직접 목적격 관계절 > 전치사의 목적격 관계절 순서의 빈도로 나타났다. 관계사 각각의 빈도는 that이 약 50%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who와 which의 빈도는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는 that이 선행사의 유생성과 격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능 영어 영역 읽기 지문의 통계자료는 목적격 관계절의 무생성 선행사 선호는 보여주나, 주격 관계절의 유생성 선행사 선호는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무생성에 관한 소재 와 주제가 많고, 설명문과 논설문이 주를 이루며, 선별적 기능을 수행하는 평가 문항이라는 수능 지문의 특징으로 인해 무생성 주격 관계절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수능 영어 영역 읽기 지문에 나타나는 목적격 관계절의 주어 명사구는 대명사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보통명사구를 주어로 하는 경우는 적었다. 보통명사구보다 대명 사 형태를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언어처리 부담을 낮춘 것으로 보이며, 이는 목적격 관 계사의 생략과 수동형 주격 관계절의 형성과도 연관이 있었다. 처리 부담이 높은 보통명 사구가 주어로 쓰인 목적격 관계절의 경우 관계사를 생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지만, 부 담이 적은 대명사가 주어로 쓰인 경우, 관계사를 생략하는 비율이 높았다. 수능 지문에 활용된 대부분의 수동형 주격 관계절의 원래 능동형 목적격 관계절 또한 주어 명사구의 위계에서 복잡성이 더 큰 지문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수능 영어 관계절은 NPAH의 위계와 목적격 관계절 주 어 명사구의 위계를 잘 반영하고 있으나, 관계절의 격과 선행사 유생성 선호는 글의 장 르와 주제 등의 영향을 받아서 구어체나 픽션에서 보여주는 것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 다. 이를 바탕으로 제언하자면, 관계절을 처음 소개하거나 반복 학습에 필요한 추가 자 료를 제공할 때, 위계가 높아서 접근이 쉬운 예문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글의 장 르와 주제가 언어 구조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대학에서 수학하는데 필요한 영어 능력 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술적인 글이나 대학에서 접하게 될 텍스트에 기반한 글을 활용하 여 가르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 게임활동을 통한 유아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중 수.조작영역에서의 게임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전하였다. 게임을 통한 유아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게임을 통한 유아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게임을 통한 유아 수학활동이 유아의 순서짓기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3. 게임을 통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공간과 도형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4. 게임을 통한 유아 수학활동이 유아의 측정 및 시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5. 게임을 통한 유아 수학활동이 유아의 통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같은 연구문제를 토대로 만4,5세 유아 3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하였으며 연구 자료의 분석은 SPSS통계처리를 이용, 비모수통계인 Mann-Whitney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의 수학적능력은 게임을 통한 유아수학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능력, 순서짓기능력, 공간과 도형능력, 측정 및 시간능력, 통계능력 검사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수, 순서짓기, 공간과 도형, 측정 및 시간, 통계능력에 게임활동이 효과적임은 물론, 유아들의 수학적 능력을 배양하는데 유의미한 활동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in the effect of game activities a part of realm among free choice to children’s mathematical knowledge, choose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nfants, and to offer materials for proper infants teaching skill. According to these purpose, detailed research themes are set. How is the effect of number-operation education through game activities for children’s mathematical knowledge? 1.Does umber-operatio education game activities affect infants’ general idea on numbers? 2.Does number-operation education game activities affect infants’ general idea on numbering? 3.Does number-operation education through game activities affect infants’ general idea on space and figure? 4. Does number-operation education through game activities affect infants’ general idea on measure and time? 5.Does number-operation education through game activities affect infants’ ability of statistic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ge 4-5 36 infants who have similar economical and societal background of D pre-school placed in Nowon-gu, Seoul. Among them, 10 of age 5 infants, and 8 of age 4 infants are set as a comparison group. Experimental group took mathematical game activities 3times a week as free choice of pre-school, and comparison group chose subject along their teachers and activity longed for 10-15minutes per each subject while free choice time was 45minutes a day. Besides, after 2weeks activities, experimental group made and use "Animals alive" as a life related study book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bility through game activities.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tool to measure infants’ ability of mathematics was originated from "Stanford Early School Achievement Test" written by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Researcher pre-researched and used the mathematical capacity check up list referred, modified ? completed and reconstructed by Deukseung Park to study on infants. Materials were analyzedby using SPSS statistical data and after outpu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mathematical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 was verified by Mann-Whitne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It is defined that mathematical gam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s on infant’s mathematical ability.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of numbers, numbering, space and geometry, measurement and time, statistics as subordinate concepts of mathematical ability development test. Game activity defined here was related with ‘recognition of logical and mathematical values through concrete object operation’ suggested as a mathematic education proposal of Korean 6th curriculums and pre-schools choose mathematic game activity as a free choice activity time. Also, most of pre-school choose mathematic as a part of free choice activity time. This is same aspect as the most frequent used proposal at "Research on usage of framing children teaching-learning proposal" written by Suk-hyun Oh is the core living theme type. In the same way, for mathematical activity time, 2-3times a week is the most popular case as free choice activity. For mathematic class as a daily lesson, ‘scant’ is implied among average(52.6%), scant(39.6%), sufficient(7.8%) according to Hae-su Hwang. This shows us that we need to find a way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of children mathematic education. According to this aspect, a game activity of this research is a suitabl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educates and evaluates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the most natural way to be learned, the most effective way to enhance children’s potential and the proper scaffolding teaching method. This research implies mathematical ability activity is effective in numbers, numbering, space and geometry, measurementand time, statistics for the reason that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those area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Hereby, mathematic education through game clarified i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ctivity to enhance mathematical ability for children.

      •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수리탐구I영역시험 문항 분석에 관한 연구

        노문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생들의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대학에서 수학(修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근본 목적이라 하겠다. 수리 탐구Ⅰ영역 시험이 고등학교 수학 교육의 목표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를 그 동안 출제된 문항을 토대로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997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탐구Ⅰ영역의 문항은 교과서 학습의 의미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탈교과적인 성격이 강했다. 1998학년도 이후 출제된 문항은 다소 교과서적인 문항으로 출제되었으며, 일부 학생들을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학교 수업을 정상화하려는 배려였다고 볼 수 있다. 1994년에서 1997년까지 출제된 문항들은 고교 과정 학습 내용으로는 풀기 힘든 문항들이 많은 반면, 1998년 이후 출제된 내용은 수학적 기초 능력인 계산 능력과 이해 능력, 추론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고루 측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평소 수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중시하여 생활 속에서 소재를 구하는 문항도 포함시켰다. 예년에는 고난도의 문항이 많이 출제된 것에 비하여 1998년 이후는 중간 난이도의 문항을 늘리고, 중위권 및 상위권 수험생에 대한 변별력을 높이려고 노력하였다. 차등 배점은 예년과 같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에 비추어 본다면, 난이도가 낮은 문항을 더 많이 출제하거나, 감점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 할 필요가 있다. 1999학년도 이후에는 교과서적인 문제를 많이 출제하여 평가문항이 많이 쉬워졌다. 그러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탈교과적인 성격이 강한 만큼, 교과서를 기본으로 하되 이 시험의 평가요소를 고려한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e basic goal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s to measure each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whether he or she has the fundamental capability of learning in colle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athematical questions given by CSAT and the educational goal of high school mathematics. To do thi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mathematical problems used in CSAT and several current mathematics textbooks.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 Until 1997 mathematical questions used in CSAT were mainly non-textual, and therefore it was not so easy for the students and even for the teachers to under stand the significant rol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 school. However, many questions used after 1998 were getting easier and similar to those in textbooks. This trend could be evaluated as a good sign to understand the role of school mathematics better. Considering the goal of CSAT, we need to have more easier problems. Nevertheless, there are many items which are not dealt in mathematics textbooks and come from other subjects. Also, we need to develop teaching strategies to help students solve the problems used in CSAT as well as the problems in textbooks.

      • 모둠 구성 방법에 따른 수학적 모델링 과정 및 수학적 추론 능력 분석

        안인경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 B S T R A C T An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by Group Organization Method by An IhnKyoung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Oh, Young Youl Discusses that revised curriculum of 2015 and the NCTM (1991) should teach mathematical concepts in everyday life. In the United States,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argues that the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 should 'create a mathematical model'. Mathematics that solves problems to get good grades in mathematics evaluations can no longer exist.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i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hat should be improved by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in which the concept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is learned in close relation to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eneralization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mathematical modeling class according to group organiza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it shows improvement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fifth grader class at C Elementary School in Eunpyeong-gu, Seoul. 24 students (13 boys, 11 girls) were composed of 6 groups; 3 heterogeneous groups, lower homogeneous group, middle homogeneous group, and upper homogeneous group. The content areas of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numbers from the first unit of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fth grader curriculum of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and the division of decimal numbers from the fourth unit were selected and taught for a total of 6 weeks. 8 class sessions of Activity Problem were implemented, and a total of 24 class sessions were designed with 3 Activity Problems. This study,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is fir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eneralization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according to the set of structur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Common Criteria of Mathematics in the United States (CCSSM) For Mathematical Practice). Second,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improves in mathematical modeling class.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generalization, heterogeneous group activities performed better than homogeneous group.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y Problem,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nd the generalization process also showed good results.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was being improved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mathematical modeling classes were implemented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clearly demonstrated. Therefore, when implementing mathematical modeling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organizing heterogeneous groups is more effective. It is because difficult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must be communicated, and an environ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established.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y Problem should study the Activity Problem that includes the mathematical concepts, and that students are attracted and are interested in. Since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mathematical reasoning skill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tively using them in mathematics classes is recommended. The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y Problem is difficult to develop and requires extensive time.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is study, educators should pay extra attention to the Activity Problem for students' successful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effective to organize a heterogeneous group to apply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o students. In future researches, more mathematical modeling methods for academically weaker students should be sought. Key words : mathematical modeling, generalization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 This paper is a dissertation for Master's degree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2017. 2015 개정교육과정과 NCTM(1991)에서는 수학적 개념을 일상생활 속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의 수학 공통 핵심 교육과정(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에서는 교수 학습 활동의 실천 원리(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로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라’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수학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 문제만 푸는 수학은 더 이상 존재 할 수 없다. 수학적 추론 능력은 수학적 모델링 활동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이다.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개념을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계하여 수학적 모델링 수업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모둠 구성 방법에 따른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수학적 추론 능력이 향상되는지 연구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서울 은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24명의(남학생 13명, 여학생 11명) 학생으로 이질 모둠 3모둠과 하위 동질 모둠·중위 동질 모둠·상위 동질 모둠 이렇게 6모둠을 구성하였다. 내용 영역은 2009 개정교육과정 5학년 2학기 1단원 소수의 곱셈과 4단원 소수의 나눗셈으로 선정하여 총 6주에 걸쳐 수업하였다. 한 가지 Activity Problem으로 8차시에 걸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3가지 Activity Problems로 총 24차시 수업을 설계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본 연구는 첫째 모둠 구성 방법에 따른 수학적 모델링 일반화 과정을 분석틀(미국의 수학 공통 핵심 교육과정 표준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CCSSM)의 교수 학습 활동의 실천 원리 (Standards for Mathematical Practic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수학적 추론 능력이 향상되는지 연구 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동질 모둠보다 이질 모둠의 활동 결과가 양호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Activity problem에 대한 흥미도가 높을수록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고 모델링 과정 또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수학적 추론 능력은 수학적 모델링 활동으로 향상되고 있었다. 1차, 2차, 3차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진행하며 향상의 정도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하고자 한다면 모둠 구성은 이질 모둠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어려운 수학적 모델링 활동은 서로 소통하며 가르치고 배우는 환경이 조성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수학적 모델링 문제 상황은 수학적 개념이 포함된 학생들이 관심 있고 흥미 있어 하는 문제 상황을 연구해야 한다. 수학적 모델링 활동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수학적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 활동이므로 수학 수업 시에 적극 활용 할 것을 권장한다. 수학적 모델링 문제 상황은 개발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도 보았듯이 수학적 모델링 문제 상황은 중요하다. 수업 자들은 학생들의 성공적인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위해 문제 상황에 많은 관심과 연구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 가지 더 제언한다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부진 학생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수학적 모델링 문제 상황, 수학적 모델링 과정, 수학적 모델, 수학적 추론 능력, 미국의 수학 공통 핵심 교육과정 * 본 논문은 2017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방법변화에 미칠 영향 분석

        김인영 숙명여자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4학년도부터 처음 시행되는 새대학 입학 시험 제도의 3원구조(내신성적+수학능력시험+대학별고사)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기존의 교육 방법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분석하고자 하는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독립 변인으로 하고, 교육방법변화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두 변인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변인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측정 모형을 개발하여 영향 관계를 도형으로 제시하였다. 측정 모형을 토대로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고, 예비 연구시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본 연구시에는 예비 연구시의 측정 모형을 수정.보완하면서 발전시켜 가설을 한 개 첨가하여 총 6개의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다. 측정 모형과 연구 가설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기위한 질문지를 제작하였는데, 학생용 21문항 교사용 21문항 학부모용 16문항으로 도구를 완성했다. 예비 연구 자료의 신뢰도를 분석하여 본 연구용 질문지를 제작했다. 완성된 도구를 사용하여 서울 시내 주간 고등학교 5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확대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수학능력시험의 시행으로 기존의 교육 방법이 점차 변화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 가설은 6개로, <가설 1>은 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진로지도의조기화를 유도한다 이다. <가설 1>은 대체로 긍정되어 점차 진로 지도가 조기화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2>는 읽기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 지도가 실시된다로, 가설이 긍정되어 독서지도가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3>은 자료분석력을 강조하는 사고력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된다 인데, 현재 학교에서나 가정에서 자료분석력이 상당히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4>는 암기위주의 교육방법이 탐구, 이해 중심의 학습으로 변화된다인데. 아직은 미약하지만 점차 탐구, 이해 중심으로 학습 방법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설 5 >는 고등학교 교과의 관련 영역별 연계 지도가 실시된다인데, 아직 미약한 수준이지만 조금씩 연계시켜 지도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6>은 수학능력시험의 시행으로 교육 방법이 변화되면 이러한 변화는 사회 전반 파급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인데, 대부분의 대답이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의 연구 가설 검증 결과를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교육 방법 변화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여기서의 교육 방법 변화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방향으로의 변화임을 알 수 있다. The new college entrance exan system which will be in force in 1994 consist of 3 parts as follows, an academic records,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CSQT), and the test in each colle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we analysis of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which is given much weight in the new syste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method.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consists of language, foriegn language, mathematical principle, research division. The changed factors in education method is early course direction and the education focused in thinking faculty. The method of education which was focused on thinking faculty consist of the reading guide for cultivating reading ability, the data analyzing ability, the study focused on reaserch and apprenhension, the connected teaching of related division. To analyze the relation of the effects caused by the two factor ;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the predictor variable) and the changes of education method (response variable), the process of this work was modelled. The hypothesis which was to be verified was as follows; <Hypothesis 1>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make the course direction in high schools earlier. This hypothesis was affirmed by the fact that the early course direction qas performed progressively. <Hypothesis 2> The reading guide is performed to cultivate reading ability.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by the affirmative results. <Hypothesis 3> The education method change to the educatio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thinking ability which needs the data analyzing ablity. At the present time. the data analyzing avility was emphasized at home and school. <Hypothesis 4> The memorization centered education shifts to apprehension centered education. As yet, this effects qas qeak, but the education method change to intensity research and apprehension progressively. <Hypothesis 5> The connected teaching of related divis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is performed. In present, this effects qas qeak, b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orts were incresed gradually. <Hypothesis 6> The changes induced by the operation of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will caused the changes in all the parts of society. Most of answers expected that intensive effects would be caused in the society. These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y qualification test exert an important effects upon the changes in the education method, and these changes are affirmative and tend toward more developed situation.

      • 대학수학능력시험 '고전 서사' 영역 작품 및 문항 분석

        안현태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육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능 국어 영역의 고전 서사 작품 및 문항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전 문학 교육의 본질적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된 수능 및 모의 수능의 고전 서사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수능과 모의 수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변화해야 할 수능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전 서사 작품과 문항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작품 선정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첫째, 고전 서사 작품이 지나치게 특정 갈래에 치우쳐 있었다. 출제된 대부분의 작품이 고전소설에 해당되었으며, 또한 고전소설 중에서도 영웅․군담 소설이나 판소리계 소설에 치우쳐 있었다. 둘째,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거나 본문 외 제재로만 사용된 작품이 출제되었다. 반대로 거의 모든 문학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임에도 아직 한 번도 출제되지 않은 작품이 있었다. 문학 교과서에서 제재로 많이 다루고 있는 작품은 도외시하고 본문 외의 제재나 심지어 교과서에서 한 번도 다루고 있지 않은 작품이 다수 출제되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문 구성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첫째, 고어(古語)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지문을 구성하고 있었다. 문학 교과서에 제시된 고전 서사 작품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현대어로 풀이되어 있고, 학습 활동에서도 주로 작품의 서사 구조를 중심으로 이해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수능이나 모의 수능에서는 학생들에게 과도하게 고어 위주로 구성된 지문의 해석을 요구하여 고전 서사 작품을 멀리하고 어렵게 느끼게 하고 있다. 둘째, 작품의 대표성이 떨어지는 부분으로 지문을 구성하였다. 이 경우 작품의 전체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감상하기보다 부분 중심으로 지엽적으로 이해하게 되고, 자칫 일부만을 통해 작품 전체의 내용이나 맥락을 오독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단일 작품만을 활용하여 획일적이고 기계적으로 구성하였다. 고전 서사는 수능 초기부터 단일 작품을 두 개의 내용 단락 정도로 소개하는 형태의 지문 구성을 일관되게 추구해왔다. 하지만 이미 문학 교과서에서는 다른 갈래의 작품과 연결하는 복합 지문을 구성할 수 있는 환경이 제시되어 있음에도 단일 작품을 활용하여 획일적이고 기계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수준별 수능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게 국어 A/B형이 구성되어 있었다. 2014 수능이 시작되면서 가장 크게 변화한 것은 수준별 수능이다. 수준별 수능은 A/B형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층위의 문항을 통해 교과별로 다르게 설정된 교육과정의 목표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형과 B형을 동일한 지문과 동일한 문항으로 설계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과 수준별 수능이라는 본질적 목표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어서 문항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먼저 ‘문항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다양한 문항 유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출제되어야 함에도 수능과 모의 평가에서는‘자료 추가형’과 ‘조건 부과형’의 특정 유형에 집중되어 출제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행동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행동 영역이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처럼 특정 행동 영역에 치우쳐 출제 되다보니 ‘어휘․개념’, ‘적용․창의’와 같이 문학 교육의 목표와 직결되는 중요한 행동 영역이 소외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2009 교육과정의‘내용 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는 내용 체계에서는 특정 내용 체계에 지나치게 치우쳐 출제되고 있었다. ‘문학Ⅰ’에서는 ‘문학과 생산’, ‘문학과 매체’와 같이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 체계에 대한 문항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문학Ⅱ’에서는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 ‘한국 문학의 세계화’, ‘문학과 자아’와 같은 내용 체계에서 문항이 전혀 출제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작품 선정의 측면에서는 첫째, 고전소설 중심의 출제에서 벗어나야 한다. 다양한 고전 서사 제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고전 문학의 방향을 인식해야 한다. 또 영웅․군담 소설 중심의 작품 선정에서 탈피해야 한다. 다양한 서사 구조를 가진 고전소설 유형을 출제하여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고전소설의 폭을 확대해 주어야 한다. 둘째, 문학 교과서에 다룬 작품을 출제해야 한다. 특히 문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활동’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문항 유형으로 변형하여 출제할 필요가 있다. 지문 구성의 측면에서는 첫째, 작품의 고어(古語)를 현대어로 쉽게 풀어서 지문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우리가 고전 문학을 통해 목적하는 것은 고어가 다수 섞여 있는 글자의 해독이 아니라 고전 문학 속의 서사 구조나 과거의 문화와 삶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과도한 고어 위주의 지문에서 벗어나야 한다. 둘째, 작품을 대표할 수 있는 부분을 지문으로 선정해야 한다. 갈래, 시기, 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표 작품을 선정하고 특히 작품의 서사적 기능이 강한 부분을 지문으로 선정해야 한다. 셋째, 고전 서사 작품을 서사 구조가 유사한 현대 문학 작품과 연결한 복합 지문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즉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의 다양한 갈래를 접목하여 지문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국어과목의 다른 영역인 화법, 작문, 독서와 연결된 복합 지문을 통해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아야할 시점이다. 다음으로 문항 설계의 측면에서는 첫째, 다양한 문항 유형을 활용하여 출제해야 한다. 특정 문항 유형에 치우쳐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역 통합형이나 제재 통합형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답형 문항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나 학습 수준을 보다 다양화하여 측정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하며, 하나의 문항에 하나의 정답을 요구하는 형식에서 탈피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행동 영역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는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적용․창의 요소와 같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직결되는 문항을 적극 개발하고, 언어 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어휘․개념’ 문항의 출제 비중을 높여 다양한 행동 영역이 고르게 출제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에 근거로 하는 내용 체계가 모두 반영될 수 있는 문항을 설계해야 한다. 수능은 학교 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만큼 철저하게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근거해야한다. 수능이 처음 시작되고 학교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던 것처럼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과 교육과정에 맞는 수능 국어영역의 새로운 변화를 기대한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생활과 윤리 과목의 선택형 문항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웅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과 윤리 과목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선택형 문항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생활과 윤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현대 생활과 윤리 과목과 전통 윤리 과목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과목이다. 생활과 윤리는 다양한 윤리 이론들을 구체적인 윤리 문제들에 적용하여 윤리적 해결책을 탐구하는 응용 윤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생활과 윤리는 응용 윤리학을 학문적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윤리 문제를 학습 주제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덕적 고려 사항이 여럿인 윤리적 딜레마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이 토론을 통해 의사소통하여 공동으로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수험생이 대학에서 어떤 수준으로 학문을 연구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다. 수능은 대학 입학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험생 성적을 상대적으로 서열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높은 신뢰도와 정확성을 요구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주로 선택형 문항을 사용한다. 생활과 윤리 과목은 2014 수능 때부터 사회탐구 영역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15 수능에서는 사회탐구 영역 10개 과목 중에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수능은 단지 대학 입학 인원을 선발하기 위한 학업 적성 고사에 머무르지 않고,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평가이다. 하지만 도덕과에서는 선택형 문항을 통한 도덕성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아 선택형 문항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선택형 문항은 도덕적 행동을 위해 필요한 도덕 지식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평가의 신뢰도가 높고 채점이 객관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덕과에서도 선택형 문항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생활과 윤리 수능 선택형 문항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항 분석은 2014, 2015 생활과 윤리 수능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른 사회탐구 영역 수능 문항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양한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문항 형식의 측면, 문항 내용의 측면, 평가 목표의 측면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통하여 생활과 윤리 수능 문항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생활과 윤리 평가 목표에 적합한 선택형 문항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른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과 비교했을 때 생활과 윤리 수능 문항의 두드러지는 형식적 특징은 ‘최선답형’ 문항 유형의 출제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행동 영역별 평가 목표 중에서 ‘가치 판단 및 의사 결정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비율이 높다. ‘가치 판단 및 의사 결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최선답형’으로 출제된 문항의 문제점은 수험생의 도덕성을 측정하기보다는 읽기 능력을 측정하게 되어 평가의 타당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험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쉬운 문항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평가의 변별력이 떨어진다. 또한 문제 풀이 과정에서 수험생마다 주관적인 해석이 다를 수 있어 평가의 객관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생활과 윤리 수능 문항 분석을 통해 드러난 내용상의 문제점은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지 않거나 지엽적으로만 다루고 있는 내용을 수능 문항에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윤리 사상 내용을 평가 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문항에서 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과 윤리 교과서 중에 특정 교과서에만 실려 있는 내용이 출제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수험생의 입장에서 수업 시간에 배우지 않은 내용을 평가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평가의 본질에 어긋난다. 교사의 입장에서도 생활과 윤리 수업 내용을 구성할 때 어느 수준과 범위까지 준비해야 할지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 다른 내용상의 문제점은 생활과 윤리 수능에서 윤리와 사상 문항과 유사한 문항이 출제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변별력이 높은 문항을 출제하기 위해 윤리 사상 내용을 심화하여 출제하는 경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생활과 윤리를 수능에서 선택한 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생활과 윤리와 윤리와 사상을 둘 다 공부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줄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생활과 윤리와 윤리와 사상의 차별성이 사라져 생활과 윤리 과목의 정체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생활과 윤리 평가 목표에 부합하는 수능 문항을 출제하기 위해서는 생활과 윤리의 응용 윤리학적 성격을 구현할 수 있는 선택형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생활과 윤리 수업에서 특히 강조하고 있는 토론 활동을 수능 문항에 반영해야 한다. 특히 이론 윤리를 실생활의 윤리 문제에 응용하는 유형의 토론형 문항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즉, 토론이 가능한 윤리적 쟁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제시하고, 제시된 자료를 이론 윤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가치 판단 및 의사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방식의 토론형 문항 개발이 필요하다.

      • 수능 영어 듣기 문항 연구 : 의사소통기능과 언어처리과정을 중심으로

        허준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언어의 네 기술 중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이 되며, 다른 언어기술로의 전이 효과도 가장 큰 기술이 듣기이다. 이런 듣기 능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은 대학 수학에 필요한 영어 사용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준하여 문항을 출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능의 듣기 평가가 교육과정의 목표를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론연구나 변별도, 난이도 등에 관심이 집중되어, 문항의 분류와 다양화가 잘 이루어졌는지, 혹은 내용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를 잘 갖추고 있는지 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이제는 수능 문항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능력과 기술을 요구하는지를 파악하여, 이것이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 기준과 의사소통 목표를 실제로 어떻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능의 듣기 문항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적 기능 분류를 기준으로 수능 듣기에서는 어떤 기능이 자주 나타나며, 어떤 기능이 덜 나타나는가? 둘째, 또한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기능의 예시문들이 수능 듣기의 대본 내용과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유사성을 띄는가? 셋째,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해기능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학생의 인지적 측면에서 수능 듣기에서는 학생들의 어떤 언어처리 과정을 주로 요구하고, 어떤 과정을 덜 요구하는가? 넷째, 또한 각 문항들이 요구하는 세부 듣기 활동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 유형별로 언어처리 과정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 본 연구는 1997학년도부터 2001학년도까지 지난 5년간 수능에서 출제된 듣기 문항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틀은 의사소통기능 분류와 언어처리과정 및 세부기술 등 두 가지를 사용하여 접근하였다. 우선 의사소통 기능 분류의 경우, 제 6차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의사 소통 기능 5개 범주, 10개 영역, 40여개 항목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언어처리 과정 및 세부기술의 경우, Peterson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식 과정 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언어사용기술 분류를 응용하여 10개 항목의 세부 기술로 분류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주로 빈도수 및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수능 영어 듣기 문항의 듣기 대본을 의사소통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5개 기능 범주를 통해 거시적으로 살펴본 의사소통 기능은 개인적 기능이 30.54%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은 지시적 기능이 23.08%로, 대인적 기능은 22.34%로, 정보탐색적 기능은 18.41%로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가장 적게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은 창의적 기능으로 5.59%에 그쳤다. 둘째, 위의 5개 거시적 의사소통 기능을 10개 영역 40개 항목을 기준으로 듣기 문항을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생각의 표현', '지시와 명령', '정보교환, '친교활동', '대인관계 형성', '느낌의 표현', '권유 부탁', '문제해결', '의견교환', '창조적 활동' 순서의 빈도로 나타났는데, 창조적 활동의 경우 너무나 적은 빈도를 보이고 있고, 게다가 위의 10개 영역 각각에 대한 세부 의사소통 기능들은 더욱 불균형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능 듣기 기출 구문들은 교육부의 의사소통 기능 예시문들과 구체적으로 상당히 유사성을 보였다. 이는 수능 영어 듣기 문항이 제6차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언어처리 과정에 따라 듣기 과정을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식 과정으로 나누어 거시적인 측면에서 언어처리 과정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식 과정 (57.65%), 하향식 과정 (23.52%), 상향식 과정 (18.82%) 순서로 그 빈도가 나타났다. 이는 수능 듣기 평가가 의사소통적 듣기 활동을 지향하기 위하여, 언어 자체에 대한 지식에 주로 의존하는 기존의 듣기 활동보다는 배경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전체적 듣기 활동을 더욱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거시적 언어처리 과정 아래 다시 10개 듣기 활동별 유형으로 수능 기출 문항들을 분류하여 해당 예문들을 직접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언어정보와 배경지식을 활용함에 있어 각 유형들이 수험자에게 어떤 식의 언어처리 과정을 요구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수능을 준비하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에게 수능 듣기 문항의 세부적인 내용들과 교육과정, 즉 교과서에서 목표로 하는 내용들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학교에서의 듣기 수업에 대한 적극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따라서 학생들이 교실에서의 듣기 수업에 만족함으로써 사설학원으로 몰려가는 현상을 줄어들게 하여 어느 정도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기초 작업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수능 문항 출제에 직접적인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 그 동안의 수능 문항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들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들이 어느 정도 비율로 구성되었는지를 알게되어, 이런 출제 경향이 수능이 기본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의사소통적인 목표와 반영되어야할 제 6차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 앞으로 개선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Listening skill is the most essential par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an be most easily transfered to other skills. In Korean SAT, this important listening ability is measured in a communicative way by listening to native speakers' convers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stening items in SAT in terms of relevance with the 6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So far most of studies have worked on theoretical background,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of the test, not on its validity and the variability of items. Now we need to study on them because SAT is supposed to reflect the 6th curriculum in order to guarantee validity as a test.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ng listening items of SAT in detail based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bjects of the 6th curriculum in two aspect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language processing modes & activities; (1)what kind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re more favored in SAT listening, and what kinds are less favored? (2)are there any concrete similarities between example sentences of each communicative function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scrip of SAT listening (3)which processing mode is most favored among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process? (4) what detail processing is required by each item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AT listening based on 5 general communicative functions proposed in the 6th curriculum, personal function is the most common (30.54%), creative function the least (5.59%). (2) When the script of SAT listening compared with the example sentences of each function in the curriculum, there is a big similarity; it means that the SAT listening tries to reflect the curriculum. (3) Among three language processing modes (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process), top-down process is shown most commonly (57.65%), interactive one least (18.82%). (4) By analyzing the detail processing in solving example items of each processing mode, it is shown that each mode has its own type of questions which mainly requires one of three processing modes.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 영역 (나)형 문항 분석 및 출제 경향에 관한 연구(2005-2007) : 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박선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s (second type) questio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rom 2005 to 2007 and to grasp the tendency of its questions based 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o fulfill this study, I have divided 4 main areas, which are content, activity, real-life related, and figures and graph area, to analyze the mathematics(second type) questions of CSAT from 2005 to 2007. In conclusion, I have analyzed mathematics(second type) questions of the CSAT and studied the tendency of its questions(2005-2007), in order for teachers and students find better ways to prepare for the forthcoming coming CSAT. Moreover, this analysis of the tendency of its ques- tions(2005-2007) will suggest ways for teachers to evaluate students' ability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법과 사회」문항 분석에 관한 연구

        김윤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w & society」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AT) as an educational evaluation. This study selected consistency between the education curriculum’s objective of nation-level and SAT’s evaluation objective as a standard for the analysis on「law & society」items in SAT. In the case that educational evaluation’characteristics of SAT are examined by measuring the scholastic achievement, we should measure the degree to which the objective of SAT achieve and the evaluation objective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the evaluation objective coincided with SAT’s evaluation objective through an analysis on「law & society」items in SAT. The contents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to analyze are total 60 items in「law & society」in SAT from 2005 to 2007. The educational objective of「law & society」was analyzed for each unit, ba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s of「law & society」, which 7th education curriculum proposed. SAT’s evaluation objective was analyzed based on the evaluation objective which [the questions-presenting manual for SAT ?the field of Society exploration] proposed. And this study analyzed the fieldin which prior items of「law & society」in SAT was located in the view of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objective, and tried to analyze the coh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evaluation objective based on whether each result coincided with them. Second, before analyzing according to the objective, the lesson’s number on the curriculum and the frequency in which items were taken from each unit were compared to each other. As a result, it can be found that the frequency from Unit 4 with largest lesson’s number is highest. There was worry that about 50% of the total items were taken from Unit 4 of Public law and then this point may involve the biased learning. Third, on the curriculum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unit from which the items was taken had moved toward both cognitive field and definitive field, while for the evaluation objective in SAT most of items inclined toward the measurement of such knowledge field as understanding concepts and principles. Especially, because there were items which students can solve only with knowledge among the items which tried to evaluate the function field not the knowledge, as a result it was drawn that the evaluation objective resulted in knowledg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evaluation items which can measure both function field such as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deal with information and definitive field such as values and attitudes, as well as knowledge fiel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law & society」in SAT, it is found that there are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evaluation objective. The educational objective on the curriculum had moved toward a widely range of from cognitive field to definitive field such as values, attitudes and civil action, while it was appeared that the evaluation objective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gave too much importance to the cognitive field and especially the knowledge field. One of the causes which generated these results might be the point that the type of SAT is a written examination.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cause is that most of the learning contents inclined toward knowledge because「law & society」was organized by the introductory content system for law-related education. According to revising 7th education curriculum in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 system of「law & society」will not move toward law-introductory organization but actualization of law-related education which is adjusted to the level of students. It is required to measure equally the cognitive field and the definitive field in order to actualize the objective of law-related education but a introduction to law. 「법과 사회」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과목으로 편성되어 2003년 전국적으로 시행되었고,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사회탐구영역의 선택과목으로서 출제되기 시작하였다. 시행 이후 법교육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으나, 그 논란의 초점은 대부분 교과서의 내용체계였으며, 교육평가로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런데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단순히 대학생 선발로서의 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는 실제 학교 교육의 지침이 되고 있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범위는 학교 교육과정에 제한되고 있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점차 고등학생의 수학능력 측정에서 학업성취도 측정으로 그 성격이 변질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법과 사회」과목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을 교육평가로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법과 사회」문항을 분석함에 있어 그 분석의 기준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상 교육목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간 일관성 여부를 선정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평가적 성격을 학업성취도 측정으로 볼 경우,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교육목표의 달성 여부를 측정하여야 하고 그 평가목표는 교육목표와 일치하여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고, 학교 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법과 사회」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상 교육목표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가 부합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분석의 대상은 2005학년부터 2007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험「법과 사회」과목으로서 총 60문항이다.「법과 사회」과목의 교육목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법과 사회」과목의 교육목표 및 내용에 근거하여 단원별로 분석하였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는「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 사회탐구영역」에 제시된 평가목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출된 대학수학능력시험「법과 사회」문항들이 교육목표 및 평가목표의 어떠한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고, 각각의 결과가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기준으로 교육목표와 평가목표의 일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목표에 따른 분석에 앞서 교육과정상 수업시수와 단원별 출제 빈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장 많은 수업시수로 구성된 단원4에서 출제 빈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전체문항의 약 50%가 공법영역인 단원4에서 출제되었다는 점에서 공법영역에 대한 편향적 학습을 유도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었다. 셋째, 문항이 출제되어진 단원의 교육과정상 교육목표는 대부분 인지적 영역에 설정되어 있었으나 약 50% 이내의 범위에서 그와 동시에 정의적 영역을 지향하고자 했던 반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목표는 대부분의 문항이 개념ㆍ원리의 이해라는 지식영역의 측정에 치우쳐 있었다. 특히, 지식 영역이 아닌 기능 영역을 평가하고자 하는 문항의 경우에도 지식만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많아 결국 평가목표가 지식으로 귀결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향후 지식 영역 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 정보 처리 능력과 같은 기능적 측면, 가치ㆍ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까지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법과 사회」문항 분석 결과, 교육목표와 평가목표간에는 일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상 교육목표는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가치ㆍ태도, 시민 행동에 이르는 정의적 영역까지 지향하고 있었던 반면, 상대적으로 교육평가의 평가목표는 인지적 영역, 그 중에서도 지식 영역에 지나치게 편중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유형이 객관식 지필고사라는 점도 한 원인일 수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법과 사회」과목이 법학 교육을 위한 법학개론식 내용 체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학습내용의 대부분이 지식에 치우친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제7차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법과 사회」과목의 내용 체계는 법학개론식 구성을 지양하고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법교육의 실현을 지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법학교육이 아닌 법교육의 목표 실현을 위하여 교육평가에서도 인지적 영역 및 정의적 영역을 균등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