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輸出支援金融制度에 관한 硏究

        김선화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8703

        Our government has promoted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in which foreign trade is the leading sector, in order to escape from depending on foreign aids in 1950'S. From 1962 to 1976 Korea experienced three times of five year economic plans. The export-led economic growth strategy was the main policy, which was successful as the 9.8% Gross National Products Gowth at the average rate and 42.86% export expanding rate indicate. It results from the government's supporting, in particular in terms of financing, foreign exchange administration and tax. Particulary, the endowments of domestic resources, the internal funds of export enterpris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export industry are poor in Korea. So, the government's export financ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among policy of several export supporting. This thesis attempts to study the contents of export financing system for export promotion in Korea, to analysis it's problems during 15 years from 1962 to 1976. The export financing system of Korea emphasize only increasing of export amount, so that it has consequently failed the sound export increasing effect through raising foreign exchange earning ratio. Although the amount of loans for export financing has increased year by year, they have had a bias toward the short-term export financing. Therefore, in order to exalt the effect of export financing on the part of amplifying the equipment facilities of the export industries and improve the balance of payments, the system of extort financing must be improved to be capable of coping with the changeable situations of the international economy. Al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financing system for export promotion which has to lead to strategic structure change of export commodities, bring up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y. Then it's structure must be strategic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which can be secured permanently. But export financings are exessively commercialized so it feels that the export industries have parasited to them.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effects of export support financings, it must be improved in management and system. Since "Export Financing Regulation" of the Bank of Korea, was enacted in 1961, at first, export support financing has given the most possible financings to the exporters in respect of its quantity and quality. But the enlargement of loans for export financing has not always promoted the effect to support export. Therefore our export industries must put more stress on the rationalization of the management and must try to improve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productivity of export industry. Export financing in itself must help export industries for themselves to be able to rationalize the management by means of the elevation of the industrial productivity and promo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power. Analysis of problems of the export financing system showed that following problems are serious in export orien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1. Inflexibility of rediscount of the Bank of Korea according to the abrupt increase of loans amount for export financing; 2. Extremely low rate of interest of loans for export financing; 3. Degradation of foreign exchange earning ratio, and indiscriminate support; 4. High level of dependence on the short term financing of loans comparing with the long-term export financing ; Fragility of the system of loans for medium and long-term export financing; 5. Absence of export financing system for International marketing activity ; 6. Inflexibility per $ loan rate in export financing; 7. Complexity of regulations of short-term export financing and process ; 8. Restriction on domestic credit due to the expansion in export financings and low level of export insurance system;

      • 우리나라 輸出技援金融效果 分析에 關한 硏究 : 1970年代를 中心으로

        주상철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3

        Because of the scanty resources, the Poor capital, and over population, korea has carried out export-oriented policy from the beginning of economic development. By the various export policies of government, export was rapidly increased, and economy was, too. The amounts of export, which were only 55 million dollars in 1962, were increased to 29.5 billion dollars, and the average increasing rate of export during a year was up to 40%. Especially, the great increase of 1970's made high economic growth. The financial policy for the export support, which made rapid export increase, accelerated the growth of export. The financial scale for exporting support was 179 billion wons in 1972, the highest growth year. In 1980, it came to be 3,318.3 billion wons, and so the average growth rate of this period was 47.3% and got ahead of the increasing rate in export. 「The regulation about trade financial」, which the monetary Board enacted in July, 1950, was the first instance of financial policy for exporting support, and it is continuely changed and institutionalized. The financial for exporting support is divided into the one for short exporting support, the one for middle, long exporting support, and the international one, It played an important role to extend export, to offer fands to export company, to increase employment and in come, and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economic strength, But it's negative side was appeared as well as it's positive was. To examine it's negative sides, First by the increase of the financial for exporting support, the amount of currency was increased, and the prices were raised, and so inflation was appeared. Secound, as the financial for exporting support had no limiteness in amount and was prime financial in interest rate, it didn't make the balanced development with the industry for domestic demand. Third, this prime financial leaded to the diversion and the disguised demand of funds, and was used to the unproductive port. Fourth, as the export enterprise came to depend on the foreign money excessively, the financial structures of companies happened to be deteriorated. In addition to these, the financial for exporting support was given pre ponderande to the short supporting financial, not the middle, long supporting ones, and it did not form the basis of exporting industry. Consequently speaking, the supporting financial policy for export,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korean export in during 1970's, brought about many problems. To reduce these problems to the minimum, it is needed to reduce the incentive of the preferential financing, to be improved the financial structure by the funds of export company's own, to extend the middle, long funls support, and to do flexible administration. Especially,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exporting company to give up the momentum to depend on the supporting financing, and to make the self-supporting development.

      • 한국의 수출금융과 수출보험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황유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의 수출금융과 수출보험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xport Financing and Export Insurance on Exports in Korea 무 역 학 과 황 유 상 지 도 교 수 조 성 렬 수출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이었고, 앞으로도 우리나라 경제의 지속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수출은 1970년부터 2010년까지 연평균 18.9%의 수출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2011년 11월 현재 5,081억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무역 1조달러를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수출금융제도는 1950년에 처음 도입되어 수출기업의 자금부담을 경감시켜 주며, 수출금융에 대한 저금리정책으로 수출경쟁력을 배양시켜 수출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1969년에 도입된 수출보험제도는 무역에 따른 위험을 제거해 줌으로써 수출증대에 기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수출금융과 수출보험의 지원규모는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수출액의 49.7%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수출금융과 수출보험이 과연 우리나라의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10년에 이르는 44개의 분기별 시계열자료(time-series)를 이용하여 수출금융과 수출보험, 세계소득, 그리고 실질실효환율의 변화에 따른 수출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위근검정(unit root test)을 거쳐 여러 통계추정방법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 VEC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모형분석과 관련하여 수출금융, 수출보험, 세계 소득, 그리고 실질실효환율 등이 수출에 미치는 효과분석을 세 가지 모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수출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를 수출금융, 수출보험, 세계 소득, 실질실효환율 등 모든 변수를 사용한 모형Ⅰ, 수출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를 수출금융, 세계 소득,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한 모형Ⅱ, 그리고 수출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수출보험, 세계 소득, 실질실효환율을 사용하여 분석한 모형Ⅲ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형Ⅰ과 모형Ⅱ의 경우 수출금융과 세계 소득 및 실질실효환율은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출금융은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수출보험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Ⅲ의 경우 수출보험과 세계 소득 및 실질실효환율은 정(+)의 관계로 나타나 수출보험도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Granger 인과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수출금융과 수출, 세계 소득과 수출, 실질실효환율과 수출 등의 경우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보험은 수출에, 수출은 수출보험에, 세계 소득은 수출에, 실질실효환율은 수출에, 수출금융은 수출보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벡터오차수정모형의 분석결과, 모형Ⅰ의 수출금융 래그 값 2 및 실질실효환율 래그 값 1에서 수출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Ⅱ의 경우 세계 소득 래그 값 2 및 실질실효환율 래그 값 1에서 수출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격반응 결과를 보면 수출금융에 대한 수출의 반응은 대체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금융에 대한 수출의 반응과 수출보험에 대한 수출의 반응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지만 대체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수출금융, 수출보험, 단위근 검정, Johansen 공적분 검정, 벡터오차수정모형(VECM), 충격반응함수

      • 韓國의 貿易金融政策方向에 關한 硏究 : 現行 輸出支援金融을 中心으로

        강근수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2

        Korean trade financing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system of export support financing.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the distinctive featurer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Korean trade financing policy through the phenomenal analysis laying stress on the present system of export support financing, and studied the future-oriented course of Korean trade financing policy for the continuous enlargement of export a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y. Generally the distinctive feature of Korean trade is to be the dual cycle structure between export industry and internal trade-oriented industry. This became the source of monopolistic capital profit. In 1950's the distinctive feature of Korean trade financing policy was the inefficiency and the lack of independence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assistance. Because of concentrating on the arrangement necessary for receipt of foreign assistance, economic life of the populace was stiffen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of large enterprises and the sacrifice of agricultural fields were forced. Thereafter these have affected the character of Korean trade policy. In 1960's the distinctive feature of Korean trade was the intial stage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exporting it into advanced countries like a the United Stated to process the parts or half-finished products importing from Japan. At that time the main export industry was the texitile industry. In 1970's Korean trade shifted from the export of the texitile products to the export of the heavy chemical industrial products. As a result the character rearing the large enterprise was reinforced in Korean trade financing policy. In the large enterprise the preferential treatment was given by the special financing support for export industry, the import financing of the main raw materials, the export financing, the simplification of the ex post facto control, and so forth. But the enlargement of trade liberalization was a serious blow to the middle and small petty enterprise. In this changing process of Korean trade the export support financing of our country has deepened the dual structure of trade because of the preferential support for the large enterprise, that is, the foreign capital enterprise. Particularly the enterprise of our country which had a lack of funds and a low productive capacity has assumed the trade pattern depending on the loan and the direct investment of foreign enterprise. Our export support financing has played the role supporting this present situation indirectly. As a result the foreign dependency of the national economy was deepened, and the insolvent enterprise was appeared by the bankruptcy of the middle and small enterprise and the collusion of the large enterprise with the international capital. What is worse, the negative effect,-that is, the adhesion of politics and economics, the estrangement of consuming public, the ruin of adoriginal capital, the decline of volition for technical development, and so forth-was appeared. Accordingly the course of new trade financing policy of our countr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the export industry and the internal trade-oriented industry the dual cycle structure of Korean trade should be improved by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exchange rate policy and bank-rate policy. Secondly, for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struc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self-supporting economy structure the export support system for the middle and small enterprise should be rein forced. Lastly, for the settlement of the foreign dependency the Korean trade structure the territory of national economy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closer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structure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vision of labor.

      • 우리나라 輸出支援金融에 관한 硏究

        김세원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8702

        Export financing system plays roles in increasing the external competitive power of export goods accelerating the amounts of export and improving the balance of payments through furnishing low-interest funds demanded in export financing system may be alter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cies for economic growth in each country. Therefore, it may be asserted that export financing system in a country has been changed to cope with its actual situation (e.g. the structure of foreign trade and money market). Korea has accomplished high growth of economy since the beginning of 1960's. It is the export financing system among policies for export support that played the most important part in achieving the marvellous result. Although it dares to be asserted that Korean export financing system has also been changed to meet flexible situation of foreign trade, the current export financing system involves several problems. They are the expansion of money supply due to the increase of export financing, the excessive bias towards short0term financing, the severe dependence on government of export industries and the like. Recently Korea get faced with a difficult situation in foreign trade because of the new trend of protection the decrease of external competitive power in consequence of continuous rise in wages and the difficulty in taking a direct export support policy due to the surplus in the balance of payments which is expected to go on with.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s of situation in foreign trade, several countermeasur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follows ; 1. The interest rate of short-term export financing should be gradually equalized to that of commercial loan, and short-term export financing should be ultimately abolished. 2. The unit price per dollar in export financing should be differentiated to the advantage of small and medium industries so as to encourage export of small-various goods. 3. The loan conditions of export financing should be differentiat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ucture of export industry, to uplift foreign exchange earning rate and to diversify export market. 4. Fluctuation of the unit price per dollar in export financing occasionally caused finantial instability to export industries. Indeed the unit price per dollar should maintain the fixed ratio such as 90% , 95% and so on. 5. The reinforced financing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middle and long-term export, particulary to the delayed payment export. Accordingly the amount of export will be incessantly increased through improving the structure of export goods. 6. The distribution of middle and long-term export financ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shipbuilding industry. Such biased distribution of the funds should be corrected. The reasonable distribution of them can be made by preparing support standards which may be considered added value rate, foreign exchange earning rate and reliance rate of domestic raw materials. 7. Export Import Bank should secure stable fund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contrive such devices as compensating gab of interest rate when borrowing interest rate is higher than loan interest rate, discounting delayed payment export bill and issuing loan bonds.

      • 포페이팅 活用 提高方案에 관한 硏究 : 수출금융위험 경감 및 금융수단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운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제매매거래에서 수출상은 수출약정 이행에 따르는 수출위험을 부담하게 되는데 특히, 수출대금 결제와 관련된 수입상의 신용위험, 상업위험, 수입국의 비상위험, 금리위험 등 다양한 수출금융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포페이팅은 새로운 무역결제수단으로서 무역금융변화에 따른 다양한 수출금융위험을 경감하고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수출거래 조건에 맞게 맞춤형 금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금융수단이다. 이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포페이팅은 취급 금융기관 및 국제적으로 통일된 준거규범의 미비로 수출보험과 팩토링 등 타 금융결제수단에 비해 아직도 광범위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포페이팅 시장도 아직 침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외국계은행과 함께 국내은행 중에서는 정책금융기관인 한국수출입은행만이 화환신용장방식에 기초한 포페이팅 수출금융을 지원하고 있을 뿐이다. 국내 상업은행의 대부분이 포페이팅 대상국가에 해외영업망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으며 높은 외화조달비용과 업무경험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위험부담이 따르는 포페이팅 시장의 진입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유럽을 비롯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포페이팅 시장이 활성화될 움직임이 보이는 가운데 2013년 1월 포페이팅통일규칙(URF 800)의 제정·발효를 계기로 포페이팅 거래의 안정성이 제고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국내에서도 포페이팅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및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포페이팅이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각 사업 특성에 맞게 구조화(structured)된 금융제공이 가능한 만큼, 포페이팅의 활용을 통하여 금융기능을 강화하고 침체된 포페이팅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페이팅의 무역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수출금융위험의 관리 및 경감기능과 금융수단적 기능에 집중하여, 무역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수출금융위험을 관리하고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수출거래 특성에 맞게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금융제공의 수단으로서의 포페이팅의 역할 및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포페이팅의 금융기능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화환신용장방식에 의한 포페이팅 지원만이 아니라 중기자본재 거래 및 민관협력사업(PPP)에서 포페이팅을 금융수단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며, 수출금융위험을 관리하고 포페이팅 활용 제고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금융기관의 해외위험 인수능력과 국내 상업은행의 지점망이 결합된 네트워크 포페이팅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외위험은 정책금융기관이 부담하고 국내 상업은행은 대외위험의 부담 없이 수출상의 신용위험만을 부담하면서 정책금융기관의 제한된 점포망으로 인해 지원이 어려운 지방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할 수 있으며 수익을 조기에 실현하고 신규거래 확대를 통해 수익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결제통화를 종전의 미화 또는 유로화에서 시장상황 및 거래성격에 맞춰 원화, AED화와 위안화로 다양화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미국, 유럽시장에 비해 침체되어 있는 국내 2차 포페이팅시장(유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네트워크가 잘 갖추어진 외국계은행과의 협약을 통해 자산매각을 전제로 한 포페이팅을 취급하고 결제리스크 평가 및 가격책정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 포페이팅의 인프라를 갖추는 방안이다.

      • 중소기업의 기술축적역량과 수출금융제도활용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글로벌확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홍정기 호서대 벤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최근 우리나라는 글로벌 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4차 산업혁명, 언택트, COVID-19등에 직면해 있으며, 중소기업은 이를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생존과 지속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해외시장에서 중소기업의 기술축적역량과 수출금융제도 활용, 그리고 글로벌확장성과 같은 글로벌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하기 위해 기술혁신역량의 하위변수인 기술축적역량, 그리고 정부의 수출지원제도중의 하나인 수출금융제도활용을 독립변수로, 글로벌확장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종속변수인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전국의 중소기업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300부 중 242부를 이용하여, 통계 도구로는 SPSS Win Ver 22.0를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축적역량과 수출성과는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 H1의 기술축적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금융제도활용과 수출성과는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 H2의 수출금융제도활용은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축적역량과 수출금융제도활용은 글로벌확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H3와 H4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가설 H5에서 글로벌확장성은 수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글로벌확장성은 기술축적역량과 수출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H6는 .기술축적역량은 수출성과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확장성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며, 글로벌확장성은 수출금융제도와 수출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H7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출 중소기업의 여러 보유 역량 및 자원 중 기술축적역량과 수출금융제도활용 그리고 글로벌마케팅역량의 수출성과와의 인과 관계를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첫째, 중소기업의 기술축적역량이 커지면 수출성과도 향상된다. 둘째, 수출금융제도활용은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적수출신용인 수출금융제도가 대기업과 같은 일정한 조건 이상의 기업에게 우선 제공되는 것이 현실이고, 또한 중소기업의 수출금융제도에 대한 낮은 이해도 때문에 수출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중소기업의 기술축적역량이 커지면 글로벌확장성도 확대된다. 넷째, 수출금융제도의 활용이 커지면, 자원우위와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되어 글로벌확장성도 확대된다. 다섯째, 중소기업의 글로벌확장성이 커지면, 수출성과도 확대된다. 여섯째, 기술축적역량은 수출성과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지만 글로벌확장성을 매개로 하여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일곱째, 수출금융제도활용은 글로벌확장성이라는 경로를 통하여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시중은행의 무역금융 관련 대출 심사기준 및 관행의 개선 없이는 수출금융제도의 활용이 여전히 어려울 전망이다. 그 이유는 은행이 대출할 때 무역보험공사 등의 보증서나 담보를 요구하는 관행과 전년도 수출실적이 있어야 하지만, 수출금융제도의 지원을 필요로하는 중소기업은 그러한 보증서나 담보제공이 어렵거나 전년도의 수출실적 때문에 수출금융제도활용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는 신규수출업체의 수출금융제도활용을 제한하거나 기존 수출업체의 수출금융활용이 특별한 하자가 없다면 당연히 연장되거나 증액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수출금융제도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