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용자 인지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 인터넷 메시지 주제와 전달 형식에 따른 설문과 뇌파분석을 중심으로

        김은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인터넷 공간에서 이성적인 메시지와 감성적인 메시지 인식에 따른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 나타난 처리 과정을 설문과 뇌파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맥루한의 주장에 따르면, 의사소통 기술을 통한 인간 감각의 사용과 확장은 인간의 인식과 사고 그리고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단일한 감각에 의존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결과적으로 인간을 내성적이고 이성적이며, 개인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선형적 명료성’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반대로 다양한 인간의 감각을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는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성적이고, 시각적이기 보다는 촉각적이며, 파편적이기 보다는 통합적인 성격의 인간형을 부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총체적 즉각성’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루한의 미디어 이론은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통해서도 같은 맥락의 논의가 지속 될 수 있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는 메시지 수용 과정의 중요한 요인을 ‘수용자 요인’과 ‘메시지 특성’ 요인에 따라 이성적이고 비판적 사고의 중심경로와 일시적이며, 가변적인 주변경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메시지 수용 과정에서 수용자의 능력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면, 메시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수용자의 인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공간에서 공유하고 수용하는 뉴스 메시지와 게임 메시지를 중심으로 메시지의 수용과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인터넷 공간의 특성 상 인터넷 미디어를 통하여 소비하는 뉴스와 게임은 수용자 요인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오히려 인터넷 공간에서 소비되는 메시지 특징에 의한 수용자의 메시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수용되는 메시지 특징에 따른 인식에 대한 영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동일한 내용의 메시지일지라도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과정과 내용에 따라 최종적인 인식과 수용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설문과 뇌파 분석을 사용하여 메시지 특성이 수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이성적 처리와 감성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달되는 메시지 내용은 수용자의 심리적, 지각적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시에 메시지 내용이 포함하는 정서자극에 따라 메시지에 대한 이성적, 감성적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측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확장하여 이해할 수 있는 결과도 측정할 수 있었다. 다양한 감각의 사용으로 수용자들은 메시지를 수용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메시지의 전달 형식에 함몰되어 비합리적인 정보 처리에 영향을 미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 보다는 이성적인 메시지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단일한 감각의 사용이 수용자의 중심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제한된 감각의 사용을 통한 메시지 수용 과정 에서도 메시지 수용자의 감성적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 대학 육상 중·장거리 선수들의 심리적 유연성을 위한 수용전념훈련의 적용

        한우리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육상 중·장거리 선수에게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심리적 유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운동수행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심리상태에서도 최고수행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된 H대학 중·장거리 선수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심리적 유연성 향상을 위해 재구성한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이 훈련 프로그램은 예비실험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운동수행 전 주 1회, 회기당 90분으로 진행하였다.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 육상 중·장거리 선수들의 심리적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은 수용행동질문지Ⅱ, 스포츠 심리기술 질문지, 스포츠 마음챙김 질문지를 사전·사후·추후에 걸쳐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개인의 세부적인 심리상태와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심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회기별 프로그램 평가가 이루어졌고, 반구조화 면담 및 프로그램 총 평가가 1회씩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점수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도 대부분 평균점수가 향상되었지만 실험집단보다 낮은 점수 차이를 나타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수용행동과 스포츠 심리기술 요인 중 심상에서 집단과 검사시기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심리기술 총점에서 집단 내 검사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세부적으로는 자신감, 목표설정, 의지력, 불안조절 요인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스포츠 마음챙김에서는 총점과 재집중 요인에서만 집단 내 검사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요인의 사후·추후 검사의 점수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용전념훈련은 수용행동은 물론 스포츠 심리기술, 스포츠 마음챙김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수용전념훈련은 대학 육상 중·장거리 선수들의 심리적 유연성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적절한 훈련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s an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to college middle-long distance athletes and promotes their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enable them to exhibit the best performance in a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appearing in an exercise performance sit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0 middle-long distance athletes in H. University registered in the Korea Athletics Feder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 reconstructed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his training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paratory experiment.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which was executed prior to exercise performance,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on college middle-long distance athletes’ psychological flexibility,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measurement was taken, using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Ⅱ (AAQ-Ⅱ), Psychological Skills Inventory for Sports (PSIS), and Mindfulness Inventory for Sports (MIS) in a pre-test, a post-test and a test conducted afterwards. In addi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per ses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research participants’ detailed psychological state and psyc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a general review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onc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scores in the post-test improved from those in the pre-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he average scores for most test questions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as well, but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were lower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 repeated measure ANOVA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time of testing in the factor of image among the factors of acceptance behavior and psychological skills in sports. In addition, in the total score for psychological skills in spo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of testing within the group. Also, in detai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factors of confidence, goal setting, willpower and anxiety contr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total score and the factor of refocusing between the times of testing within the group for mindfulness in sports. Si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in the scores for all factor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program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skills in sports and mindfulness in sports as well as acceptance behavior and had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commitment training can be suggested as a training method appropriate for the enhancement and maintenance of college middle-long distance athletes’ psychological flexibility.

      • 수용론적 관점에 기초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박양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수용론적 관점에서 중등학교 고전시가 교육에 대해 고찰해 본 과정과 결과를 싣고 있다. 현행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에 고시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실천을 성격과 목표,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에 이르기까지 고루 표방하고 있다. 특히 고전시가는 조상들의 진솔한 삶과 정서가 함양된 문학 제재로서 그들의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고, 시대적 상호 작용을 통해 문학 체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고양된 심미적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하다는 점에서 그 문화적 동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학 교육 현장에서 고전시가 교육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분석 및 암기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개별 독자로서 학습자의 심미적 수용이 가능한 수업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개별 독자로 인정하면서 문학의 본령인 삶의 문제에 다가갈 수 있는 교육 방법의 기초를 수용론에서 찾아 방법적 구현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수용론의 문학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인정하고, 그 토대 위에 수용론적 문학 교육의 실현을 위한 고전시가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면서 실제 고전시가 수업 현장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과 교육의 관계 설정에서부터 기존 문학 교육의 실태에 대해 점검하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제7차 문학과 교육과정과 2007년 2월에 고시된 개정 문학과 교육과정의 전반적 흐름의 양상이 수용론적 가치관과 깊게 연관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수용론의 문학 교육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피기 위해 야우스(H. R. Jauß)와 이저(W. Iser) 등 독일 수용론 이론가들의 핵심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이 이론들이 지니는 문학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 교육의 이론적 기저를 바탕으로 기존의 시 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한 뒤 수용론적 문학 교육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텍스트로서 고전시가 작품을 선정하고 전략화한 교수·학습 모형을 학습자를 대상으로 적용시킨 뒤에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결과 대체적으로 학습자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느끼는 재미와 유용성, 그리고 다른 작품에의 적용과 관련한 태도 면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의 양상을 보였으나, 수업 방법상의 유의미성 및 작품 이해에서 발전한 작품 창작 활동의 영역에 있어서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이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략화한 교수·학습 모형은 학습자들이 시 텍스트를 수용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적용한 결과 이 방안이 학습자들에게 시 텍스트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즐거움을 주며 다른 작품을 찾아 읽게 만드는 유의미한 수업 방식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스로의 경험을 통한 경우 학습자는 좀 더 쉽게 텍스트에 접근한다. 그러나 이 경우 학습자들은 자신이 이해하기 쉽고, 감상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주어진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학습자에게 일임하였을 경우 그 결과가 혼란스럽고 자의적일 것이라는 상황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동료 학습자 및 교사와의 상호 인식의 교섭 작용을 통해 그 우려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이해한 내용을 다른 동료 학습자와의 대화와 토의를 통해,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을 거치면서 상호 간에 구성한 의미를 공유하게 되고 자신이 이해한 바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용론이 지닌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해석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는 교사의 적절한 안내와 조력을 바탕으로 동료 학습자 간의 소통을 통해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문학 주체로서 학습자를 성장시키기에 시 교육은 커다란 이점을 갖고 있다. 학습자가 문학 주체가 되는 시 교육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본 연구자가 구안해 낸 프로그램을 조금 더 지속적으로 적용시켜 보고 다시금 사후 검사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해 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examination on the middle school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emphasizes the learner centered self-leading learning practice ranging from the nature, aim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t is obvious that classical Poetry has the cultural motive power in that it enables one to understand the values of the ancestors as a literary work including their sincere lives and emotions, provides one the chance to enlarge one's literature experiences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the times and furthermore, is enough to give the heightened aesthetic pleasure to all of us in the present-day world. Therefore, in the field of literary education, classical poetry education has to be changed from teaching centered on the analysis and memorization into learning centered on enabling learner's aesthetic reception.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has tried to seek for the methodical embodiment by finding the basis of the teaching method to enable to approach the issue of life from the reception theory with recognizing learner as individual reader. And with admitting the applicability to the literary education of the reception theory, this study suggested the classical poetry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alization of the reception theory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the real classical poetry lesson in the field. For this, the study firstly tried to find out what the problems were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raditional literature education from the relation setting between literature and education and realized that the overall aspec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were deeply related to the values based on reception theory. Next, to look into the applicability to the literary education of the reception theor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ritical concepts of German reception theorists such as H. R. Jauß and W. Iser and examined the literature educational significances contained in those theories. And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poetry teaching-learning models on the basis of these literature educational theor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new poetry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literature educational realization of reception theory.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 after selecting the classical poetry works as concrete text and applying the strategized teaching-learning model to the learners. According to this study, in general, while learners showed the positive reactions to the enjoyment, usefulness which they felt and the attitude related to application to other literary works, they showed some lukewarm rea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area of creative activity developed from understanding of the work. But It is obvious that the strategized teaching-learning model can be one of the ways for learners to receive the poetry text and the way can make learner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oetry text easily, give them pleasure and make them read another work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learners can approach to the text more easily but in this case learners have the tendency to pay attention to the part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Whe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left in the hands of learners, the results can be expected to be confusing and arbitrary. In that case, the interactions of perception with other learners and teacher can be helpful in solving such problems. Through the dialogue and discussions with fellow learners and the feedback from teacher, the learners can share the meanings that other learners constructed and finally view what they understood objectively. The concerns over the arbitrary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poetry works in relation to the reception theory can be remo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based on the appropriate guidance and assistance of teacher. The poetry education has the huge advantages over growing learners as desirable literary subjects. For the poetry education that can enable learners to be literary subjects, more continued applications of the program that the researcher designed and the analysis process about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s will be required.

      • 수용자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우울대응행동 비교

        장승구 경북대학교 특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개인적 특성 즉, 성별, 수용기간, 범수, 연령, 취업여부, 수용구분(기·미결), 우울정도에 따라 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정도와 도움정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법무부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6개 기관(대구교도소 190명, 대구구치소 45명, 청송제3교도소 20명, 안동교도소 30명, 부산교도소 35명, 부산구치소 80명)과 대전지방교정청 산하 1개 기관(청주여자교도소 100명) 등 교도소와 구치소, 여자교도소 등의 수용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이영호와 송종용(1991)이 재구성한 우울 척도와 Won(1980)의 우울대응행동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절차에서 밝힌 과정에 따라 구성한 26문항의 우울대응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관련지어 고찰한 후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1. 수용자의 성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2. 수용자의 수용기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3. 수용자의 범수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4. 수용자의 연령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5. 수용자의 취업여부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6. 수용자의 수용구분(기· 미결)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론 7. 수용자의 우울정도에 따라 특정 우울대응행동의 사용 정도와 도움을 받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anti-depression behaviors according to inmates' personal traits. The personal traits mean gender, a period of be detained,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age, employee statu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level of depression. The hypothesi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gender. Secon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a period of be detained. Thir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For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age. Fif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employee status. Six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Seven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will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level of depression.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Won(1980)'s Anti-depression Behavior Questionnaire, as a result screened twenty-six anti-depression behaviors. A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all of five hundred. screened twenty-six anti-depression behaviors, from in January 2006 to in February, questionnaire to inmates of seven correction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The researcher analyzed all of four hundred thirty-six the questionnaires (male: two hundred thirty-seven, female: one hundred ninety-nine) except sixty-four the questionnaires.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Depression Scales that Lee Yeung Ho(1991) reconstructed and Anti-depression Behaviors Scales that the researcher reconstructed Won(1980)'s Anti-depression Behaviors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carried out One-way ANOVA, if the result was significant level .05, the researcher did dependable comparisons a result by Scheffe. All data were treated with SPSS for window 12.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gender. Secon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a period of be detained. Third,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the number of offenses crimes. For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age. Fif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employee status. Six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distinction of inmate(decided or undecided). Seventh, frequency of taking the anti-depression and the useful degree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inmates' level of depression.

      • 기술수용모델(TAM)을 통한 핀테크 소액해외송금의 수용과 사업연속성에 관한 연구

        백남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획재정부는 2016년 6월에는 비금융회사에 외화이체업 허용을 통해서 은행의 위탁을 통한 비금융회사의 외화이체를 허용하고, 2017년2월22일 ‘외국환거래법 시행령 및 외국환거래규정 개정안 입법예고’를 통하여 소액해외송금업 제도를 구체화 하고 외환거래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등 최근 활성화 되고 있는 소액해외송금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에서는 원래 은행만이 해외송금을 가능했다. 그러나 2017년7월18일부터는 외국환거래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서 금융회사가 아닌 핀테크 업체도 등록요건을 갖추면 소액해외송금업을 자유롭게 영위할 수 있게 된다. 기재부는 자금세탁방지체계 수립과 20억원이상의 자본금, 3영업일에 해당하는 보증금, 5명 이상의 전산 인력, 2명 등의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한 업체에게 개인당 1회 3,000달러, 연간 2만달러의 한도의 해외송금울 허용한 것이다. 소액해외송금에 수용의도의 선행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현재 존재하지하지 않으며, 모바일뱅킹에 대해서 일부 자료가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이 합리적 행동이론(TRA), 계획된 행동 이론(TPB), 기술수용모델(TAM)과 같은 전통적인 기술수용 이론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다(Venkatesh et al., 2003). 더구나 우리나라와 같은 집단주의 중심의 문화를 가진 나라에서는 지각된 무리행동과 같은 사회적 상관 요인들이 기술수용 목적에 강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소액해외송금업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소액해외송금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일반소비자들에게 쉽게 소액해외송금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기여점이라 할 수 있다. In June 2016,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pproved the transfer of foreign currency to non-financial companies through the transfer of foreign currency to the non-financial company, and on February 22, 2017,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Enforcement Decree and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Regulation Amendment Bill This paper proposes a scheme for micro-foreign remittance business,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ated, such as by embodying the micro-foreign remittance business system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In Korea, only the original bank was able to send money abroad. However, since July 18, 2017,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has been amended, so that not only finance companies but also fin tech companies will be able to freely carry out small amount overseas remittances if they meet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The department is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the anti-money laundering system, paying $ 3,000 per person for companies with more than 2 billion won of capital, 3-day security deposit, 5 or more computer personnel, Abroad remittance is allowed. There are currently no existing studies on the preliminary factors of acceptance of micro-foreign remittances, and there are some data on mobile banking, most of which are based on rational behavior theory (TRA), planned behavior theory (TPB) TAM) (Venkatesh et al., 2003). Moreover, in a country with a collectivist culture like Korea, it is difficult for social correlation factors such as perceived flock behavior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echnology acceptanc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small foreign remittance business and to encourage consumers to accept small remittances abroad. In terms of the point of contribution can be said.

      • 조직의 혁신특성, 저항과 수용의도와의 관계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현숙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변화의 발전 속도, 범위, 파급효과가 매우 큰 4차 산업 혁명시대에 기술과 산업의 융합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외부의 지식과 자원을 유입하여 새로운 기술혁신을 추구하고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심리적 저항감이 높아져 혁신저항은 혁신수용 간의 상관관계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흡수능력이 정보기술의 혁신저항 및 수용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혁신특성, 최고경영진 지원, 흡수능력, 혁신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인 혁신저항 및 수용의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이에 직장인 2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해 상대적 이점, 복잡성 및 최고경영진 지원과 수용의도와의 관계에서 혁신저항의 매개효과와 흡수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같이 외부로부터 오는 혁신 지식의 가치를 인식하고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흡수능력을 고려하여 조직의 혁신저항과 혁신수용의 관계를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한 점에서 차별화된다. 기존의 R&D 활동과 조직전략 중심의 흡수능력의 연구 범위를 클라우드 컴퓨팅과 흡수능력과의 관계로 확장하여 연구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혁신특성 중 상대적 이점과 수용의도, 복잡성과 수용의도와의 관계에서 혁신저항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최고경영진 지원과 수용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혁신저항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최고경영진 지원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흡수능력은 수용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혁신저항이 증가하면 수용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이점, 혁신저항, 수용의도의 관계에서 흡수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잡성이 혁신저항을 경유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흡수능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흡수능력은 혁신저항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낮추고, 수용의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혁신수용을 촉진하고 혁신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혁신특성인 상대적 이점, 복잡성에 집중하고 최고경영진의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기업의 흡수능력 제고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새로운 정보기술의 복잡성과 최근의 ICT 융합 활성화를 고려할 때 외부로부터 관련된 자원과 지식을 활용하여 내부의 혁신능력을 강화하고 상호보완해야 하는 필요성이 강조되고, 이에 필요한 흡수능력은 기술혁신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검증되고 있으므로, 조직 내부의 흡수능력 개발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고, 외부지식 원천과의 강한 연계를 가지기 위한 방안이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혁신특성, 흡수능력, 혁신저항, 수용의도, 혁신확산, 최고경영진 지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활용한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와 행동결정에 관한 실증 연구

        김용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경제는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경영환경이 복잡·다양해지고,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위기를 맞이하면서 산업 전반에 걸쳐 양극화와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리고 원가절감, 인건비 상승에 따른 고용 불안정 등 대내·외 환경요인들로 제조업의 생산과 고용, 기술혁신을 창출하는 기반이 흔들리면서 성장 동력을 잃은 제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IT기술과 접목한 기술혁신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제조업 강국인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은 제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인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혁신하고자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 대비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이 늦고, 대기업 위주의 도입이나 확산에 치중하여, 특히 대기업보다 자금, 인력, 그리고 설비 등 모든 면에서 열악한 중소기업의 입장에서 스마트 팩토리와 같은 신기술의 도입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기 때문에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나, 중소기업이 처한 한계로 인해 도입을 망설이거나 추진조차 하지 않는 중소기업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는 중소기업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효율적이며 체계적인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위한 연구가 학계에서 확대되고 있고, 제조업의 혁신을 가져다줄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에 있어 수용의도와 행동결정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성공적인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활용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문제인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서 중소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조업 전반에 경쟁력을 강화하는 실무적 기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 신기술 수용의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활용하였으며, UTAUT의 하위속성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들 각각의 요인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 도와 사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변수를 채택해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팩토리 도입 경험이 있거나 도입 중에 있는 기업이나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0일까지 40일간 응답자가 설문지에 자기기입법으로 작성하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400부 중 회수된 282부에서 결측값을 제외한 유효응답 26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고, 실증분석은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6.0을 이용하고, 측정 변수들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Smart PLS를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UTAUT 요인이 수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분석 결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유의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각되었으나,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은 99%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UTAUT 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검증 결과, 가설1과 달리 성과기대는 95% 수준에서, 노력기대는 99%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으나,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은 유의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셋째, 가설3.‘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는 지속사용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지속사용의도의 R2 = 0.354로 나타나 약 35.4%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용의도는 지속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가설4.‘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는 UTAUT 요인과 지속사용의도 간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에서는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매개변수(수용의도)가 포함된 완전모형(Full)과, 매개변수가 제외된 감소모형(Reduced)의 설명력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4의 세부적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수행한 결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의 매개효과는 각각 Sobel 검증 값 2.609, 2.741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다섯째, 가설5.‘혁신에 대한 친숙성이 UTAUT 요인과 수용의도와 지속사용의도 간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에서는 분석결과 모든 관계에 서 유의수준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신기술이 기존 시스템에 비해 유용성 증대,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과 적응 용이성 및 효율성 증대 등의 기대는 도입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협력사의 권장이나 주변 관계자들의 의견 등과 조직내에 신기술 도입에 필요한 다양한 촉진요인이 구축되어 있을 경우 적극적인 도입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속사용 여부에 대한 검증 결과는 도입의도와 달리 신기술 도입에 대한 성과나 노력기대가 클수록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지가 있다고 보여 신기술에 대한 유용성과 성과가 도입 후 발생할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며, 도입의도와 지속사용의도의 관계에서도 그 효과가 검증되어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부정적인 생각을 가졌던 조직 구성원들이 도입 초기에는 변화나 자신의 입지가 위축될 수 있다는 등의 부정적 요인으로 저항을 하기도 하지만 도입 후 얻게 되는 다양한 혜택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고, 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만족도를 상승시키고자 현재 스마트 팩토리의 수준을 고도화하려는 의지가 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혁신기술에 대한 수용의도가 높으면 혁신기술 수용 후 대부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행동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혁신기술에 대한 이해나 혁신의지, 혁신에 대한 인식이 높아도 그것이 지속사용의도와 연관되려면 혁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나, 본 연구결과를 모든 제조업에 일반화 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분석 기업을 확대하고, 산업별로 세분화하여 확장된 대상 기업들을 통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고, UTAUT요인 외에도 조직이 처한 다양한 환경요인(최고 경영자의 태도, 조직 구성원의 인식, 시스템 구현 역량, 정부의 지원 등)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 산업별 기술수용생명주기의 비교에 관한 연구

        이창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경제의 발달과 함께 시작한 구 마케팅이 1970년도에 시작되었고 하이테크 마케팅이 1990년에 시작되었으며 시작 된지 벌써 20년이 되었다.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서 소비자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보를 얻고 새로운 기술과 제품의 사용방법을 빠르고 쉽게 배우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양해 졌으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신기술과 신제품의 성공과 실패가 갈렸다. 이러한 신기술 및 신제품의 수용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지금까지 한 가지 산업 및 한 가지 제품에 대해서만 연구되어 전체적인 산업들을 비교할 수가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실제로 제품을 수용하고 인지하는 시간이 수용집단과 이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 및 신제품의 실제 수용일자를 수집해 기술수용분포비교를 하였으며, 인지된 수용자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Geoffrey A. Moore의 수용자집단의 특징으로 인지된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그 특징들이 인지된 수용집단에 미치는 특성의 차이비교를 하기위해서 대면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관련 문헌연구로는 각 산업별로 선정된 통신서비스산업, 가전 및 사무기기산업, 금융서비스산업 등의 신기술 및 신제품의 수용집단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들에서 수용집단의 분류방식과 신기술 및 신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되는 인정된 변인 5개를 추출하여 산업별로 설문을 작성하고 대면설문조사를 한 달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250명의 데이터를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 프로그램의 빈도분석과 ANOVA분석을 통해서 인지된 기술수용집단에 5개의 종속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첫째, Rogers의 이론에 따라서 시간을 변인으로 하여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는 통신서비스산업과 가전 및 사무기기산업, 금융서비스산업 전부 Rogers의 기술수용주기의 집단분포와 차이를 보였으며 산업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통신서비스 산업과 금융서비스산업의 경우 후기다수수용자와 지각수용자가 가전 및 사무기기산업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Geoffrey A. Moore의 기술수용집단의 특성에 따라서 산업별로 소비자가 인지된 수용집단은 산업별로 혁신자수용자, 후기다수수용자, 지각수용자집단의 차이는 매우 적었으며, 선각수용자와 조기다수수용자의 차이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지된 수용집단에 Geoffrey A. Moore의 기술수용집단의 특성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산업별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가설1, 2에 적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기업의 신기술 및 신제품 Key Success Factors는 다음과 같이 산업별로 설명할 수 있다.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우 실제 수용집단 중 스마트폰 출시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수용집단은 조기다수수용자이다. 따라서 통신서비스산업의 경우 시장 진입에 리스크를 줄이려면 기술의 완성도 및 호환성을 높이며, 기술을 표준화 하고 가격에 민감한 집단이므로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해야하겠다. 가전 및 사무기기산업의 경우도 실제 수용집단 중 급격하게 성장한 수용집단은 조기다수수용자이다. 하지만 통신서비스와 달리 가전 및 사무기기산업의 조기다수수용자의 경우 기술의 완성도 및 호환성에 집중하여 하겠다. 금융서비스산업의 경우 실제 수용집단 중 스마트폰 출시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수용집단은 혁신수용자이다. 금융서비스산업의 경우 혁신수용자 경우 혁신성, 성능과 혜택이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금융서비스 산업의 경우 신기술 및 신제품을 출시할 때 기존 제품과 다른 혁신성이 높은 기술 및 제품을 출시하며, 기존의 제품에 비해서 높은 성능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old marketing skills had commenc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n 1970, and twenty years have passed away since the new marketing skills backed up by high technologies have started since 1990. Also, consumers have come to acquire information concerning new technologies, and have learned how to use those technologies and products, being commensurat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s. The needs of consumers have become so various that either success or failure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will depend on whether or not their needs can be satisfied. Because studies about the acceptance of these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have been focused mainly on one industry and product, it is unavailable to figure out how overall industries tend to accept new one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analyze how time spent in accepting and recognizing a product by a consumer will differently influence upon the other groups that accept the product. In this research, comparison of technologies acceptance distributions is completed by collecting data about consumers’ actual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he recognized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by the features of accepting groups defined by Geoffrey A. Moore in order to analyze impacts inflicted on the recognized distribution rates among the accepters; and face-to-face questionnaire surveys have been implemented to figure out how these features impact on the recognized accepting groups. Analyses pertaining to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 such as selected communication services, home and office appliances, financial services industries and so forth - on the accepting groups and their acceptance have been done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s for the methodology of analyses, five recognized variables which are presumed to influence up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upon the previous studies’ impact on the ways of classifying accepting groups and of accepting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were extracted; and questionnaires were written to facilitate face-to-face surveys conducted for a month. Also, the impacts of five dependent variables on the groups - recognized through frequency and ANOVA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from 250 consumers being supported by statistics program of SPSS 18.0 for social science - accepting technologies were compared with. Examining outcome of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Rogers that uses time as a variable, and as a result, all sectors of industry including communication services, home and office appliances, and financial services have been revealing differences not only from the group distribu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cycles of Rogers but from other industries. In terms of the cases regarding communication and financial services industries, late multiple accepters and perceived accepters account for higher portion than they do for those of home and office appliances. Second, the accepting groups that have recognized consumers by industry in accordance with Geoffrey A. Moore's definition of the features for technology accepting groups have shown very little differences between and among the groups of innovative accepters, late multiple accepters, and perceived accepters, but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foreseeing accepters and early multiple accepter. Third, the conclusion about applying the outcome gained from analyses and comparisons of differences in the impacts inflicted by Geoffrey A. Moore's features for technology accepting groups to hypothesis I and II is as follows: The key success factors with regard to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can be explained by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case of communication services industry, the groups out of all actual acceptance groups which grew rapidly after smart phones began to be sold in the market are early multiple accepters. Accordingly, some actions such as raising degree of technical completion and compatibility, standardizing technologies, and setting up reasonable prices in consideration of the price sensitivity need to be taken by the manufacturers in communication services industry to diminish risks in entering markets. In the area of home and office appliances industry, the actual accepting group which has grown rapidly is that of early multiple accepters. However, unlike communication services industry, the early multiple accepters of home and office appliances need to concentrate on technical completeness and compatibility. In case of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the group out of all actual accepting groups which rapidly grew after smart phones came into the markets is composed of innovative accepters. In case of financial services industry, innovative accepters have shown that they influence much on innovation, function, and benefits in their industry. Therefore, when offering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to financial services markets, it is required that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roducts surpassing those which already exists be offered to the consumers, and be much more functional than those old ones.

      • 수용자 범주에 따른 휴대인터넷의 수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이승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New Mobile Internet(WiBro) Adoption and differences as adopter''s class. WiBro is the form of mid-term serive between hand-phone and W-LAN. This service combine ''mobility'' with ''speed of data transmission'' for complementing weak points of existing mobile internet. As Increasing of WORLD mobile internet market, Specific Analysis of WiBro adopters must be needed. So that, establishing extended-TAM(Technology Adoption Model) based on existing TAM,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WiBro. To collect the effective data, Inter survey had been done for one week. Consequently, factors were extracted into 4 factors and all extracted fators influenced ''recognition of worth'' and ''durable intention of using''.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wo former factors are ''social culture influence + playfulness'', ''usability + usefulness'', ''recognition of cost'' and ''connection of using serivce''. There are a few diference among adopter''s class, it had no effect on ''recognition of cost'' in case of ''early adopter'' and it had no effect on ''connection of using service'' in case of ''late-large adopter''. Also, there are difference of important order as adopter''s class. This result will can contribute the early-market strategy and strategic selection of time-flowing of enterprise. 본 연구에서는 휴대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용결정요인과 수용자범주에 따른 수용결정요인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휴대인터넷서비스는 전송속도, 이동성, 셀 반경 등의 측면에서 현재의 이동전화 및 무선랜의 중간영역에 위치한 형태로, 이동전화의 ‘이동성’과 무선랜의 ‘데이타전송속도’를 적절히 결합하여 기존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한 서비스이다.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무선인터넷시장추세에 편승하여 이러한 휴대인터넷에 대한 구체적인 수용자 분석이 요구됨은 자명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을 토대로, 혁신확산이론과 휴대인터넷 특성을 감안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하였다.핵심되는 말 : 기술수용, 사회문화적영향, 유희성, 편리성, 유용성, 인지된비용, 연계성,조기수용층,조기다수수용층,후기다수수용층,비혁신층 요인분석결과 ‘편리성+유용성’, ‘사회문화적영향+유희성’, ‘인지된 비용’, ‘기존 서비스와의 연계성’ 의 4개요인으로 나뉘었으며, 4개의 요인들은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종속변수인 ‘인지된 가치평가’ 와 ‘지속적 행위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들의 중요도 순서는 ‘사회문화적영향+유희성’, ‘편리성+유용성’, ‘인지된비용’, ‘연계성’ 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용자범주에 따라 차이점을 보였는데, ‘조기수용층’ 의 경우는 ‘인지된 비용’ 이 , ‘후기다수수용층’의 경우 ‘기존서비스와의 연계성’ 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용범주에 따라 중요영향순서가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휴대인터넷 수용자결정요인이 4개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그 요인들은 수용자범주에 따라 중요도순서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제시된 결과는 초기시장전략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업의 전략적 선택에 있어 기여할 것이다.

      • 정책수용도 제고를 위한 정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 타다 이슈와 관련하여

        임소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타다금지법이 국회에 발의되면서 소비자들은 곧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좋은 정책이란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고 수용가능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타다와 유사한 서비스들이 전통산업인 택시와의 갈등으로 인해 시장에서 사라질 때마다 국민은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타다 문제는 이해관계자가 극단적으로 첨예한 대립의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러한 갈등 과정을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는 정부의 역량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국민들의 정부정책 수용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정책 결정 과정에서 진행되는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이 공중의 인식이나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주목한다. 정책집행과정에서 국민의 순응이 전제되어야 정책신뢰가 확보되고, 이는 정책수용을 높일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토대로 국민의 지지를 높이기 위한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해보자 한다. 본 연구에서 타다 이슈와 관련하여 정책 결정 과정이 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책 PR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타다를 알고 있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타다 이슈에 대해 국민이 인식한 정책결정과정의 소통성, 공정성, 일관성 정책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타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집단 간 비교 결과 이용자집단은 공정성과 투명성이, 비이용자 집단은 소통성, 전문성, 일관성이 정책 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수용도 제고를 위한 적합한 PR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모든 신산업 서비스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방안을 위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