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고등학생의 사회적 불안감에 대한 음악 학습동기 수준과 수업참여도의 효과 연구

        향한정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사람의 육체 및 정신, 그리고 감정에 영향을 줄 뿐만 인간 행동이나 감정에 바람직한 변화를 만들어 잠재의식 (subconscious) 속에 내제되어있는 많은 것을 외부로 표현하게 한다. 교육적인 측면으로도 음악은 그 정서적, 지적, 사회적 발달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중요한 교과목으로 인식되어 왔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래 빠른 사회, 경제, 문화적으로 빠른 발전을 이룩하면서 학생들 간의 치열한 입시 경쟁 또한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고등학생들의 불안감과 스트레스는 극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현재 중국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및 신체적 발전에 불리한 영향을미치고 있다. 특히 음악 수업의 경우, 음악을 통해 학생들의 몸과 마음 그리고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생들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입시에만 전념하는 고등학교 수업 과정에서는 음악을 포함한 예체능 교과들은 중시를 받고 있진 않는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의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고등학교에서 음악 수업이 더욱 중시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음악 학습 동기와 수업 참여도가 학생들의 사회적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영향요인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음악수업이 고등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끼치는 효과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수정 및 보완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시를 앞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악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불안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나 불안감은 중간수준 이하로 낮은 편이며, 음악 학습동기와 음악 수업참여도는 높은 편이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사회적 불안감을 성별, 학년별, 그리고 방과후 음악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들의 사회적 불안감이 여학생 집단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동일하다. 학년별로는 3학년이 1학년과 2학년에 비해서 사회적 불안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과외활동 참여별로는 과외로 음악활동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에 비해 사회적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가설로 설정한 ‘학습동기와 사회적 불안감 간의 현저한 부적 상관관계’는 연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채택되었다. 수업 참여도와 사회적 불안감의 상관 관계에서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 수업에 적극 참여하는 학생들이 사회적 불안감을 덜 느낀다는 의미이다. 음악 수업참여를 통해 사회적 불안과 심리적 불안도 낮출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연구가설로 설정한 ‘수업참여도와 사회적 불안감 간의 현저한 정적 상관관계’는 연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채택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불안감에 미치는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도의 설명량은 51.6%로 매우 컸으며, 학습동기가 수업참여도보다 절대적인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학생을 지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의 수업 참여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A.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은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i.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은 학생의 수업 참여도 중 수업활동에 어 떤 영향을 주는가? B. 초등학교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C.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를 위해 인천에 위치한 M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렇게 얻어진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의 수업 참여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의 수업 참여도간의 보다 정확한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수업 참여도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집단 따돌림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와 주목할 만한 점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은 수업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업 참여도의 하위 요인인 수업 준비하기, 의사표현하기, 수업 확장하기, 수업 열정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 따돌림은 수업 참여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 활동하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수업 참여도의 하위 요인에도 수업 열정, 수업 활동하기, 의사표현하기, 수업 준비하기, 수업 확장하기 순으로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자율성을 지각하고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과 교수·학습 방법 마련을 위해 힘써야 하겠다. 셋째, 수업 참여도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집단 따돌림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나 집단 따돌림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상관없이 수업활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집단 따돌림 예방과 학생들의 원만한 친구관계 유지 및 즐거운 수업활동을 위한 여건과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 수업 참여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수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집단 따돌림 피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윤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on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Specifically, the proposed relationship is examin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and investigated. 1. How does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2. How does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 class participation? 3. How does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4. How does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5. How does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hen a mediating effect of class participation is pres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students’ attitude toward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Scale(RLTBEIS), Class Participation Scale(CPS), and Role Play Assessment Scoring Criteria Table(RPASCT)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RLTBEIS is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① Importance ② Interest, and ③ Confidence. The CPS is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① Learning preparation ② Learning activity, and ③ Group activ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two scales aptly measure sub-factors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lso, these two scales were shown to be reliable by looking at their Cronbach’s α coefficient. Meanwhile, the RPASCT is composed of four sub-constructs: ① Content ② Use of language ③ Attitude ④ Compliance with rules. A total of 125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LTBEIS and CPS were used throughout the semester and two sets of role play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these students. The first role play assessment was conducted right before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nd the participants’ pre-scores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ere collected. The second role play assessment was conducted right after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nd the participants’ post-scores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The results of paired t-test showed that the post-score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higher that the pre-score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t=13.92, p<.001). Also, there were statistical rises in each sub-category of RPASCT(p<.001). Second,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ed th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In the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path coefficient from students’ attitude toward thd students’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600, p<.001) without the control variable(the pre-score of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446, p<.001) with the control variable. Third,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ffected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path analysis of SEM, the path coefficient from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toward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543, p<.001) without the control variabl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322, p<.01) with the control variable. Fourth,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was predictive of th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The indirect effect on the attitude and th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by th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326, p<.01) without the control variabl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ndardized coefficient = .143, p<.01) with the control variabl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doesn’t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directly and class participa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conclusion,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ffected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with a complete mediation of clas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ass particip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And teachers who want to us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should consider ways to increas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before starting the Real-Life Task-Based English Instruction. 현대 사회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 중 하나는 바로 ‘의사소통역량’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핵심역량 중 하나로 의사소통역량을 제시하였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전 세계의 공용어인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역량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영어교육에 있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중 하나인 과업중심 수업(Task-Based Instruction)은 영어교사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으며 영어 교수법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행 영어 교과서 분석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과업이 실생활과 관련성이 적었으며, 과업중심 영어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측면 또는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실생활 관련 과업을 활용하는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이 학생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종속표집 t검증(paired t-test)을 활용하여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 실시 전·후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점수 차이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도’,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은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는 수업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초등학생의 수업참여도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는 수업참여도를 매개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 척도’와 ‘수업참여도 척도’, ‘영어 의사소통능력 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표’를 개발하였다.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 척도’는 ‘중요도’, ‘호감도’, ‘자신감’의 3가지 하위 영역(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참여도 척도’는 ‘학습준비’, ‘학습활동’, ‘모둠활동’의 3가지 하위 영역(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두 척도 모두 구인타당도와 신뢰도(Cronbach’ α)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8명이었으며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3명을 제외한 12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2019년도 8월 말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및 ‘영어 의사소통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이후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을 24차시 진행하였다.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 실시 기간의 2/3지점인 10월 중순에 ‘수업참여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이 끝난 10월 말 ‘영어 의사소통능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은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을 하기 전·후 점수를 활용하여 종속표집 t검증을 한 결과, 사후검사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사전검사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3.92, p<.001). 또한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이 있었다(p<.001). 둘째,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통제변인(사전검사에 따른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600, 통제변인을 설정한 경우 .446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초등학생의 수업참여도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수업참여도가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통제변인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543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통제변인을 설정한 경우에도 .322로 유의하였다(p<.01). 넷째,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는 수업참여도를 매개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가 통제변인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326으로 유의하였고(p<.01), 통제변인을 설정한 경우에도 .143으로 유의하였다(p<.01). 이때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수업참여도가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와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초등학생의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때 수업참여도가 두 변인을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수업참여가 선행되어야 하며 ‘실생활 과업중심 영어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업참여도와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길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수업용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수업참여도와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력교수를 통한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이 통합학급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력교수를 통한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이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업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K도 S초등학교 5학년 통합학급 학생(7명)과 같은 학급에 소속되어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1명)에게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교육과정의 국어, 도덕, 사회, 실과, 미술, 체육의 총 6과목 16차시의 수업용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 수업을 실시하였다. 장애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Hung(2005)과 오원석(2008)이 개발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 장애인에 대한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수업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권효진(2012)이 개발한 수업참여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통계프로그램(Ver 19.0)을 이용하여 집단의 장애수용태도 사전ㆍ사후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수업일지와 학생이 수행한 학습자료를 분석하였다. 협력수업의 여부에 따른 수업참여도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를 통한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은 통합학급학생의 장애수용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교수를 통한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장애수용태도 검사 결과(M=2.16)와 실험 처치 후 검사결과(M=3.04)를 비교한 결과 전체 장애수용태도가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장애인의 능력에 대한 인식, 장애인에 대한 행동의도도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협력수업을 실시한 수업의 학생, 교사 수업참여도 평균(M=4.20, M=3.87)이 협력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수업의 학생, 교사 수업참여도 평균(M=2.29, M=2.33)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협력수업의 차시가 진행될수록 협력수업을 실시한 수업의 수업참여도와 협력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수업의 수업참여도가 점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통합학급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협력교수를 통한 수업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교수전략이 될 수 있다.

      • 창업교육의 수업참여도 구성요인에 따른 초기창업가의 수업형태 선호도 비교 연구

        배건일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우리나라는 ‘고용 없는 성장’ 현상으로 경제적으로 발전은 하고 있지만, 신규 일자리와 청년 일자리 부족 현상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경쟁력 향상 및 고용 창출의 중요 원천으로서 창업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기 위하여 ‘창업국가 조성’을 핵심 국정과제로 정하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창업교육의 관심과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하에 다양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지만, 양적 측면에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질적 측면에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질적인 효과 향상을 위하여 초기창업가의 업력과 업종 등의 특성별 창업교육의 수업형태에 따른 수업참여도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창업과 창업가의 개념, 창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유형으로 지원되는 국내 창업지원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창업지원 유형 중 창업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국내 창업교육의 역사와 지원 사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아울러 초기창업가의 특성과 창업교육에 적용되는 다양한 수업형태와 창업교육에서의 수업참여도의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초기창업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창업가의 다양한 역량과 특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창업교육에 적용되는 다양한 수업형태와 창업교육 수업참여도의 개념을 정리하여 초기창업가의 특성별 창업교육의 수업형태에 따른 수업참여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명목척도로 ‘초기창업가의 업력과 업종’을 독립변수로, ‘이론강의식, 현장실습식, 멘토링식 수업형태’를 조건으로 하여 등간척도인 ‘수업참여도’를 종속변수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기창업가 62명이 교육 전, 후에 각각 응답한 124부의 설문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업력 및 업종별 각 3인씩 총 12인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도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의 세 가지 수업형태(이론강의식, 현장실습식, 멘토링식)에서 업력 1년 미만 초기창업가는 현장실습식과 이론강의식 수업형태에서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력 2〜3년 미만 초기창업가는 멘토링식 수업형태의 수업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D제조업종의 초기창업가는 현장실습식 수업형태가 수업참여도가 높았으며, 서비스기타업종의 초기창업가는 멘토링식 수업형태의 수업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한다. 첫째, 창업교육의 수업형태에 따른 초기창업가의 업력과 업종별 수업참여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창업교육에서의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하나의 근거를 제시하고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창업교육프로그램에서의 수업형태별 세부적인 수업참여도의 차이를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변수를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창업교육프로그램에서 초기창업가의 창업교육 수업형태에 따른 수업참여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조건과 독립변수의 추가적인 확인과 확장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형태에 따른 조건의 다양한 실증분석 연구들의 추진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창업가의 수업참여도 향상을 위해서 초기창업가의 업력과 업종특성에 맞춘 수업형태별 교육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그리하여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초기창업가의 수업참여도를 높여서 보다 효과적인 창업교육으로 실질적인 창업교육의 활성화의 계기를 제공하여야 한다.

      • 중국 대학생의 체육 수업참여도, 학습몰입, 수업만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이혁림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 학습몰입, 수업만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가지 변수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상호관계를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구성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12개 성(후난성, 산둥성, 베이징, 광시성, 광둥성, 칭하이성, 푸젠성, 쓰촨성, 허난성, 허베이성, 안후이성, 장쑤성)으로부터 각 1개 대학씩 총 12개 대학을 선정하여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2022년 10월 5일부터 2022년 10월 19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대학생들로부터 총 609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수집된 데이터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 적합성,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연구모형의 직접 효과 및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 학습몰입, 수업만족도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몰입도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만족도는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는 수업만족도를 매개로 학습전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도는 학습몰 입도를 매개로 학습전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중국 대학생들의 학습몰입도는 수업만족도를 매개로 학습전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중국 대학생들의 체육교육 분야 연구는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매우 미흡한 편이다. 특히 다양한 요인에 의해 대학생들의 체육 수업참여와 학습전이가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밝힌 영향요인들은 향후 체육교육 학문영역은 물론 실천 영역의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수업참여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노혜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real-time remote cla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learning flow,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in the university real-time remote class. The online survey on digital literacy, learning flow,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was conducted of the 320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university real-time remote class. SPSS 26.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versity real-rime remote class, learners’ digital literacy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flow,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Second, in the university real-rime remote class, learners’ learning flow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Third, in the university real-rime remote class, learning flow partially mediate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participation, and digital literacy and achie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promote learning flow in the university real-time remote class. Lastl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 real-time remote class environment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수업참여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을 경험한 국내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몰입, 수업참여도,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6.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습몰입, 수업참여도,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 학습몰입은 수업참여도,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 학습몰입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수업참여도,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사이를 부분 매개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향상과 학습몰입 촉진이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렸고, 이를 고려한 교수·학습 설계 방향 등 대학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혼합방식 댄스스포츠 수업 참여 대학생의 학습실재감, 수업참여도 및 학교행복감의 관계

        장, 하이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2021학년도 1학기에 코로나 19의 대응 차원으로 이루어진 혼합강의로 진행된 댄스스포츠 수업을 경험한 일반대학의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 수업참여도와 학교행복감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대학에서 댄스스포츠 수업에 수강 중인 대학생들이 선정되었고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157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 방법은 IBM SPSS Statistic 26.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으로 하였다.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입증하였으며, 다중 회귀분석과 단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사회적 실재감이 수업참여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감성적 실재감은 수업참여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실재감의 하위요인인 감성적, 사회적 실재감이 학교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실재감은 학교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참여도가 학교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실재감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수업참여도가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과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의 상관관계

        이경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금까지 선행학습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선행학습이 학습자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과 관련된 자료만 있을 뿐 공교육, 즉 학교수업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규명한 자료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업참여도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어떠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동기는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관련된 보다 큰 개념이므로 학습동기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선행학습과 학습동기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더불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아래와 같은 4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초등학교 고학년은 수학 선행학습 실시여부에 따라 수업참여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초등학교 고학년은 수학 선행학습 실시여부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은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 실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76.1%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수학 선행학습을 실시하고 있으며, 수학 선행학습을 처음으로 시작한 시기는 ‘1년 미만 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수학 선행학습 형태로 ‘학원’이 가장 대중적이었으며, 시작 동기로는 ‘수학 성적 향상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수학 선행학습 수준은 ‘중’으로, 수학 선행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80%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을 실시한 학생 집단의 수업참여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을 실시한 학생 집단의 학습동기 점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은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이 학교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선행학습을 무조건 억제․축소해야 할 대상으로만 여기지 말고, 선행학습이 지닌 교육적 의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공교육의 상대적 취약성을 보충하여 공교육이 지니지 못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며, 공교육과의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