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95

        수술 중 대기시간은 수술환자 가족에게 큰 불안을 야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수술환자 가족에 대한 중재가 보편화되지 않아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간호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술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수술진행정보제공이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북지역 J시에 위치한 1개 종합병원에서 2009년 3월 2일부터 5월13일까지 정규수술을 받게되는 전신마취 수술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실험군 40명, 대조군 38명을 임의표출하였다. 수술진행 정보제공은 본 연구자의 실무경험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술환자 가족들이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알고자 하는 내용으로 절개 직후, 수술 중 검체가 나온 후, 환자가 회복실로 이동한 후 면담이 필요한 경우등 3회 이상 정보를 제공하였다. 연구도구는 Spielberger(1972)가 개발한 기질 및 상태불안 자가보고형 도구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표준화한 도구에서 상태불안 문항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두 군간의 동질성 검정은 - test로, 가설검정은 t-test 실험군과 대조군의 특성에 따른 불안 비교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술 중 수술진행 정보를 문자로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불안 점수가 더 낮았다. 실험군의 수술 후 불안 점수는 실험군40.70(7.22)점이고 대조군의 불안 점수는 45.65(8.20)점으로 나타나 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84, p=.006). 추가분석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수술진행 정보제공이 수술환자 가족의 불안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주요용어: 수술진행정보 불안 문자메세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