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시대흐름에 따른 아파트의 변화와 소형아파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상하이시를 중심으로

        임한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China, as the modern society develops, an increasing number of rural people are desiring for city life and moving to cities, which results in rapidly-increasing number of city population and housing price. In 1983, the Chinese government initiated the "one-child policy", since when the family members decreased to less than 3 in 2017 from 4.41 in 1982. From Chinese main family structure nowadays, small families take up large proportion and family members of 1-2 are continuously increasing. Moreover, small family structure, including dink family, single-member family, single-parent family and big family with 4-5 members are also existing. The trend of aging and low productivity are also reasons resulting in new small family. Shanghai, a major city in China, has a flat history of more than 100 years since the 1920s, and now in Shanghai there are more than 3,000 flat buildings built before 1949. On the basis of 2010, single-member family taking up 20%, while a family with two members taking up 32% and three members taking up 33%, all of which taking up 85% of total family members of 1-3. The family member of 2-3 occupies the most with the proportion of 65%. Therefore, this paper, focusing on Shanghai city, conducts analysis on historical evolution of small flat and main examples in each year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layout trans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 study method of this paper is document retrieval and example investigation. First, document retrieval refers to investigating on the history of Shanghai flat from relevant books and website reference. Second, example investigation refers to investigating through time and space. The author selects small flats built before 2018 which are classified as per ten years, such as small flats built during 1979-1989, 1989-1999, 1999-2008 and 2009-2018 in different sizes. Similarly, the author also selects flats in 30m2 - 90 m2, including 30㎡-49㎡, 50㎡-69㎡, 70㎡-90㎡ with four flats in each space size and the total number of 12. The objects for investigation are selected from China's popular real estate websites- soho and anjuk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 the 1950s to 1970s, Shanghai flats were observed with the features of small room size, shared kitchen and bathroom. After the 1980s when the Reform and Open Policy came into effect, rooms were separated from dining room and living room as people's living condition was improved. From then on, separate kitchen, bathroom and living room were observed and the day lighting of sleeping room and ventilation condition in kitchen were gradually improved. In 1990s comfortable housing appeared with the features of dining space with reasonable layout, separated room and living room. For bigger flats, big dining room, kitchen, bathroom and balcony space were obtained with substantial day light, good ventilation condition and improved sound isolation and lighting condition. In 1998 and 1999, the mechanism of welfare house distribution and welfare house were terminated, which led to the opening of commercialized housing era. The Chinese government took one family one flat as their goal before 2000, while after that their goal was one family member one room. Since the society develops rapidly, the number of people who prefer small flat are increasing continuously. The results can be drawn from analysis of space size in each times that since the end of 1990s, public space are increasing rather than private space. Moreover, the rooms between children's and parents' were becoming farer, or study room appeared instead of children's rooms. From the above results we can see that small flats in Shanghai emphasizes more on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of living room and dining room is gradually increased, evolved into space for different functions. Since this paper selects a small proportion of small flats in Shanghai, there exists limitation that cannot be popularized. More example investigation and deep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connection of social incidents in the future. 중국은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더욱 많은 농촌인들이 도시생활을 지향하여 도시로 이전하고 있다. 이로부터 사람들은 도시생활을 지향하며 도시로 인구가 급증하여 상황은 도시 집값의 급격한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1983년, 중국은 산아제한제도를 시행하기 시작해서 이후 세대규모가 1982년의 세대당 4.41인에서 2017년에는 3인 미만으로 하락하게 되었다. 현대 중국의 주요 가구 구성을 살펴보면 주로는 핵가족 구조로 구성되었지만 1~2인가구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딩크족, 독신가족, 한부모 가정 등 소형가구 구조와 4-5인 확대가족도 존재하면서 고령화, 저출산화로 인해 새로운 소형규모의 가족도 나타나게 되었다. 중국의 주요도시인 상하이시는 아파트 역사가 1920년대 시작하여 100년간 이르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상하이시에는 1949년 전에 건설했던 아파트가 3천여 채가 존재한다. 또한 상하이 시의 1인가구는 계속 증가하여 2010년 기준으로 약 20% 거주하고 있으며 2인 가구는 32%, 3인 가구는 33%를 차지하고 있다. 1-3인 가구가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2-3인 가구 가장 많은데 총 65%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하이 시를 중심으로 소형아파트의 역사적 진화 및 연도별 주요 사례를 분석하여, 배치의 변천과 사회 발전의 관련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로 진행한다. 첫째, 문헌조사는 관련 도서나 인터넷 자료를 통하여 상하이시 아파트의 역사를 고찰한다. 둘째, 사례조사는 시간적과 공간적 2가지 범위를 통해서 조사한다. 시간적 범위는 2018년까지 건설된 소형아파트를 기준으로 하되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1979년-1988년, 1989년-1998년, 1999년-2008년, 2009년-2018년의 기간 중 소형아파트의 대표 사례를 면적별로 선정한다. 공간적 범위는 전용 면적30㎡이상 90㎡이하이며, 면적별로 30㎡-49㎡, 50㎡-69㎡, 70㎡-90㎡를 대상으로 나누어 각 4개씩 총12개이다. 조사 대상은 중국 대표 부동산 훔페이지 ‘소호’와 ‘안거객’을 통해서 선정한다. 마지막 결론으로, 아파트의 역사적 발전 진화 과정을 통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주택은 방의 면적이 작고, 주방과 화장실은 공유하는 특징을 자지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개혁 개방을 일으켜 1980년대 후반부터 주민들이 생활조건이 개선되면서 식사와 취침을 분리시켰으며, 침실과 거실도 분리되었다. 이 시대부터 독립적인 주방, 화장실, 거실이 나타나고, 침실의 채광과 주방의 환기 조건도 점점 증가하는 방향을 발전하였다. 90년대는 샤카오 주택의 시대이다. 평면구성이 합리적인 식사공간, 취침공간과 거실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니, 면적이 약간 크면 거실, 취사, 화장실, 발코니 공간이 큰 편이다. 방의 채광이 충분하고 환기도 잘 되며, 방음효과와 조명수준도 향상되었다. 1998년 이후 복지주택분배제도를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1999년 이후 복지주택제도가 점차 중단 결정되면서 주택의 상품회 시대가 열렸다. 2000년 이전 정부는 1가구 1주택의 목표와 함께 2000년 이후 1인 1침실의 목표로 변경하였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도시화를 맞아 소형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들도 증가하였다. 시대별 면적에 따른 공간 분석을 통해 결과는 1990년대 말부터 사적공간보다 공적공간이 더 커지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녀 침실과 부부침실이 서로 멀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거나 자녀침실이 없어지고 서재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에 상하이시 소형아파트는 개인의 생활을 중시하면서 거실과 식당 등의 공적공간도 커지며 다양한 행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진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상하이시의 소형아파트 사례를 일부분만 발취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일반화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우 더 많은 사례 분석과 함께 사회적 이슈들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있어야 될 것이다.

      • 중국 상하이 소형 아파트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공·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왕이야오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중국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문화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추세이다. 특히, 상하이는 중국의 대도시로서 급격한 경제성장과 대규모의 외래인구유입, 사회의식의 변화로 가족의 형태가 전형적 가족유형에서 다양한 형태의 소형가구 유형으로 바뀌고 있어 소형평형의 아파트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소형평형 일수록 평면 계획에 따라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며, 공간을 구성하는 자연환경과 물리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를 이해한 평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급격히 늘어나는 1-2인 가구 증가율에 비해 소형 아파트 공급이 아직 부족한 상태이고 중국 소형 아파트에 대한 연구도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분양된 소형 아파트를 대상으로 20개의 사례에 나타나는 단위평면 현황을 조사하여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상하이 공동주택의 발전을 알아보고, 주택의 건설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를 바르게 인식하기 위하여 소형 아파트의 개념과 수요발생 요인을 알아보고 아파트의 공간구성의 개념과 공·사적 공간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공간구성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선정한 사례의 소형 아파트 평면을 수집 및 조사하여 일반적 내용과 수량 및 수치적 특성을 도출하고 단위평면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자연환경, 생활습관, 구성방식 측면의 공간구성 계획요소에 따라 공·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소형 아파트의 평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형 아파트의 공적 및 사적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구성 유형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사례의 조사 및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환경 측면에서 통풍·환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거의 쾌적성을 높이도록 전·후면 창을 통해 통풍이 잘 되는 대류가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습관 측면에서 주생활 및 식생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삶의 질 향상되도록 자신의 기호에 다른 서비스공간을 제공해야한다. 식사 밖에서 하거나 구매해 집안으로 가져다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식당의 면적을 줄여야할 것이다. 셋째, 구성방식 측면에서 공간배치에 따라 분석한 결과 주방과 식당이 일체화 혼합된 배치를 해야 하고 거주자가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나 공간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공간으로 계획해야할 것이다. 넷째, 구성방식 측면에서 동선체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연결이 효율적이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여 공간의 기능적 분리와 독립은 공간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되는 것이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하이 한 지역만을 대상으로 소형 아파트 평면 계획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넓은 영토와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하는 중국에 있어서 지역적 문화적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중국의 주거문화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경제 성장이 높은 대도시인 상하이를 분석함으로서 소형 아파트의 거주자들이 필요로 하는 공간과 기능에 대해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중국의 다양한 지역을 고려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Recently, China is rapidly changing the pace of economic change, and housing culture is changing rapidly as well. Especially,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Shanghai, a larg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and social consciousness changes, family types are changing from a typical family type to a variety of types of smaller households. As These changes, the supply of small houses is increasing. The smaller, more compact area requires space planning to use space planning, which requires spatial planning,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space that understands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s who make up the space. However, the supply of small houses is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growth rate of 1-2 people, it is not meeting the change, and research on Chinese small apartments is also insufficient.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small-sized apartments, which is typical of the typical housing type in Shanghai. This study focused on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in the 20 cases of the surve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last three year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The method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 of apartments in Shanghai was identifi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Recognizing the concepts of the concept of small apartments, the notion of the concept of a small apartment, the concept of spatial composition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apartments in order to correctly recogniz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rough the preceding study, the framework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was derived to prepare a framework for analysis. Second, the selec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selected small apartments was collected and investigated to derive the general contents, quantity and numer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Third, based on the element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alyzed the plans of the small apartment around the public and private spaces. And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the small apartments were be made as diagram and organized. The results of the cas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ntex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entilation, the ventilator needs to be secured with airy views through the front and rear windows to enhance the comfort of the dwelling. Second, in terms of lifestyle, as a result of analyzing living and eating habi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need to provide a different service space. And, most of people choose to eat or buy back to eat, so need to reduce the size of restaurants in order to save unnecessary space. Third,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of space layout, should be the kitchen and restaurant integration,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suit of lifestyle and space functions, to achieve a variety of changes in space. Fourth,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of moving line, the distance between the public space and the private space is relatively short and is effectively connected. Respect for privacy and spatial s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space constitutes a very important motivation for spatial composition. The study analyzed that it was not only a small area of Shanghai, but also a small apartment complex representing a large area of land and a wide variety of cit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it is a small apartment complex in China that represents the whole of China.In regard to this,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areas of China in the future.

      • 소형아파트 임대가격결정요인 : 서울시 강남구 중심으로

        김민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1인가구의 증가와 가구원수 감소 등의 인구학적 변화는 주택시장의 수요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부동산과 연계한 선행연구는 미미하다. 오늘날 가장 높은 가구 구성유형을 차지하고 있는 1인가구는 서울시에서 관악구와 강남구에 많이 밀집해있고, 강남구 주택시장 거래 건수의 약 70% 가 아파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1인 가구는 주택 사용면적 60㎡이하가 전체 구성비에 약 7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1인 가구 의 약 60%이상이 임차로 거주하고 있다. 따라서 60㎡이하 소형아파트 임대 가격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2017년 서울시 강남구 의 14㎡이상∼60㎡이하의 소형 아파트를 연구대상으로 구체화하였다. 종속 변수 ㎡당 임대료와 부동산특성과 입지요소를 고려한 20개의 독립변수를 SPSS Statistics22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으로 소형아파트 임대가격결정요 인을 분석하였다. 임차인들은 소형아파트임에도 다수의 방과 욕실의 주택 구조를 선호함이 도출되었다. 소형아파트는 통근 및 통학을 위한 20-30대 가 주된 임차인이며, 교육목적으로 자녀들과 거주하기 어렵기 때문에 초등 학교와의 근접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우수한 공용시설에 따른 높은 월관리비는 임대인과 달리 임차인에게는 임대료와 양의 관계로 도출되었 다. 반면 임대인에게 주택구입동기로 작용할 수 있는 대형종합병원과의 근 접성과 저층(1,2층)특성은 임차인에게는 임대료에 음의 관계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소형아파트 임대가격결정요인에 기초연구로, 투자 수익을 고려한 자가 거주 및 임대인과 현재의 편리함을 중요시하는 임차 인의 거주유인동기가 상이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향후 연구 발전 방향 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The demand of housing marke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nges - Increased number of single household and decreased number of household member – but there are only insignificant numbers of studies made connected with real estate market. Single household, the highest portion of current household structure, is densely distributed in both Gwanak-gu district, Seoul and Gangnam-gu district, Seoul, and the number of household transaction of Gangnam-gu district takes high portion of the total household transaction by seventy percent. Also, seventy three percent of single household are formed with less than 60 square meters usable area, and more than sixty percent of single household are taking lease. This research specified the object of study to small apartment, from 14 square meters to 60 square meters, of Gangnam-gu district, Seoul, of 2017. The determinates of small apartment rental price is researched with rental price by dependent variable, 20 independent variables considered by location element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utilizing SPSS Statistics22. The research showed that tenants prefer multiple rooms with restroom, for leasing the small apartment. The majority of tenants of small apartment are between the age of 20s and 30s, for commuting to school and work, but residing with children for educational purpose is challenging that neighboring to elementary school does not influenced dependent variable. Increased number of monthly maintenance fee by common facility with excellent quality does positive influence of residing to tenant, instead of landlord. However, the purchase motivation factors of the residence for landlord, such as accessibility to general hospital or low floor quality, have a chance to influence negatively to the tenant’s preference of residing. Thus, this study is the fundamental research of determinants of small apartment rental price factors; owner occupation of the residence, considering the return on investment, and implying the different residing motivation factor between landlord and tenants, whom considers current comfort, that propos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further research on the subject.

      • 서울시 초소형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서 발간한 2020 한국 1인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인가구는 약 600만 가구로, 대한민국 국민 100명 중 12명은 1인가구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향후 1인가구 비율은 미혼율 상승, 저출산, 고령화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인구감소 시점 이후에도 1인가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인가구가 증가하면서 1인가구를 위한 식당, 생필품 등 각종 산업이 발달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또한 예외가 아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 따르면 1인가구가 가장 거주하기를 희망하는 곳은 아파트이지만 1인가구가 거주를 희망하는만큼 시장에서의 공급은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초소형아파트는 실거주 목적과 투자목적의 수요가 많지만 초소형아파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서울특별시 전체를 대상으로 5개 생활권역으로 구분한 뒤, 2018년부터 2020년 11월까지 거래된 579단지 9819건의 사례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는 면적당 매매가격이며, 독립변수는 크게 물리적 요인, 입지적 요인, 인구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나누어 총 14개의 변수로 설정한 후 헤도닉가격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시 전체 초소형아파트 시장을 5개의 생활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했다는 것에 연구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공급될 초소형아파트 시장에서 개발방향 및 실무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시사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2020 Korea Single-Person Report published by KB Financial Group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about 6 million households. It was surveyed that 12 out of 100 citizens ar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after the point of population declin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an increase in the unmarried rate, low birthrate, and aging. As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various industries such as restaurants and daily necessiti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lso developing, and the real estate market is no exception. According to the KB Financial Group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partments are the most desirable pla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o reside, but supply from the market has not been satisfied as much as as single-person households want to liv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9819 cases of 579 complexes traded in the first half of 2018 to 2020(November) targeting the entire area of Seoul with the largest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fter setting the dependent variable as the trading price per area, the independent variable has set a total of 14 independent variables,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factors, locational factors, population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and analyzed with a hedonic price model. The study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entire micro-apartment market in Seoul, which is not restricted by reg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development direction and practical help in the micro-apartment market to be supplied in the future.

      • 小型아파트에 있어서 원.룸시스템의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

        이규석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639

        House has developed not only as protecting use to seek physical quiet but also as resting place to make family life be peaceful, creative and healthful. House is like a vessel to fill human life. And it reflects a way of life and manner of society in the age. Nowadays, the incveasing rate of the need for housing due to urgent urbanization and the conspicuous trend toward nuclear families makes many people of low -income and devided families be in the minimum standard of loving. However, the study about the small-size A.P.T has not progressed, although its role will become provisional and gradual level housing as an uitimate gole. Then, this thesis is intended to know the needed elements for organization of space by introducing One- Room System which is new housing style to promote housing unification by moving wall and save the construction cost by using space at its maximum. Chapter 1 ; Manner and object of the study. Chapter 2 ; Investigation of general definition, problem & understanding of the status and changing process & introduction background of small-size A.P.T. Chapter 3 ; Merit, necessity and problem of One-Room System. Chapter 4 ; Case study of the elements for organizing space of One-Room . System which is fit for modem housing life. Chapter 5 ; Conclusion- To solve the impending housing problem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study processing.

      • 소형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건축계획적 요소에 관한 연구

        장철훈 檀國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소형 아파트 가변형 평면구성을 위한 建築計劃的 要素를 導出해 내는 작업을 중심으로 소규모 집합주거의 계획시 거주자들의 자유로운 생활과 삶의 質을 높이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건축계획적 요소들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동주택의 公共性과 集合性이라는 건축적 특성상 획일적인 평면형으로 고정되어 거주자들의 다양한 住要求에 대한 순응이 어려운 현실에서 본 연구는 설계당시에서 부터 거주자들의 다양한 住生活 변화에 적응가능한 계획요소를 적응하여 住生活 욕구를 해소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험연구와 연구자료중 현실성을 반영하고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부분을 추출하여 본 연구를 위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로 선정하였고, 전용면적 85㎡이하를 중심으로 하는 硏究範圍를 가지고 제한적인 집합주거의 평면형에서 적용이 가능한 건축적 가변성(Flexibility)의 요소를 실제사례에 대입시켜 현실과의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第 2 章 주거현황 및 주요구, 第 3 章 주거공간의 가변성, 第 4 章 가변형 평면구성의 계획요소로 나누여 住要求사항에 대한 건축적 가변성이 어떻게 실제적용이 가능한 요소로 구체화되는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건축계획시 실제적용이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여 각 부분별로 도식화 작업을 하였다. 먼저, 第 2 章의 주거현황 및 주요구에서 현재 획일적이고 경직된 주거 현황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1) 생활의 단조로움과 생활수준의 質的 저하. 2) 기능에 따른 무계획적인 室의 변용과 변경. 3) 주거의 이동성과 住생활의 불안정한 현상. 이상의 3가지 대표적 항목으로 분류하여 住생활양식과 가족주기에 따른 公, 私的 住要求와 室使用을 고찰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5가지의 대표적인 住요구 사항을 추출하였다. 1) 가족구성원수의 증가에 따른 전용면적의 확대. 2) 가사공간과 수납공간의 협소. 3) 폐쇄적이고 단순한 평면에 대한 불만. 4) 가족단란실로서 공간기능의 미비. 5)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거실배치. 다음 第 3 章의 주거공간의 가변성에서는 건축적 가변성의 추출을 위해 범위를 내적 가변성으로 결정한 후 그 안에서 고정요소, 半고정요소, 非고정요소와 정신 · 문화적 요소, 행위 · 행태적 요소, 건축계획 · 구조 · 설비적 요소로 분류하여 가변성을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모듈라 코디네이션(M.C)설계와 가동비내력벽체의 개념을 반영하는 건축계획요소와 각 부분별 건축적 가변성의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第 4 章 가변형 평면구성의 계획요소에서 제시한 건축적 가변성은 실제로 광범위한 영역과 무수한 계획요소를 가지나 현실에 가장 근접해 있고 실제적용이 손쉬운 소형 아파트 계획의 가변성 요소중 대표적인 것들만을 제시하였으며 미흡하나마 본 연구가 住生活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다양한 住要求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서 집합주거의 가변성 요소의 방향과 그 기초작업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flexible planning elements of the small apartment housing in our country. In the limited spac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ife style changes rapidly. The "Flexibility" means changeability, adaptability for the practical needs in the apartment life. The realization of flexibility, the fixed environmental elements should be minimized. The fixed elements are rigidity form like as structure system, plumbing system, entrance location and unique, traditional life style. The flow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Ⅰdeals with problems, purpose, method and limit of this study. Chapter Ⅱ deals with the residence situation, needs of our country apartment housing. Chapter Ⅲ deals with the concepts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flexibility. Chapter Ⅳ deals with the flexible planning elements for the practical needs. Chapter Ⅴ deal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abstract solution for the problems mentioned at Chapter Ⅰ.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oblems of the rigid, uniform apartment housing situations ; 1) Monotony and low quality of life style. 2) Planless change of space usage location and size. 3) Frequency of movement and unsettlement. 2. The representative needs based on life style and life cycle are as follows. 1) Enlargement of net area by the increase of family numbers. 2) Limited area of the utility and storage. 3) Dissatisfaction of the closed and simple plan. 4) Living room layout unconsidered circulation. 3. The adaptive solutions of some problems above mentioned are as follows. 1) Grouping and Seperations of life space. (public, semi-public, private) (fixed, semi-fixed, non-fixed els.) 2) Minimization of architectural rigidity elements. 3) Being horizontalization of vertical elements. 4) Application of Modular Co-ordination and movable unbearing wall.

      •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의식 및 요구

        문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7

        현대사회는 국민소득 증대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및 새로운 소비욕구가 표출되고 있고 이러한 생활양식의 변화는 주거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주거에 대한 요구도 생활양식의 변화나 소득, 가족주기, 교육 등에 따라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주택부문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를 반영, 예측하여 우리의 주거상황에 맞게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의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 거주자들의 특성과 주의식과의 관계, 거주자 특성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 주의식과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소형아파트 개발시 주민들의 생활 행태적 요구에 대응하는 주거 단위 외의 공간계획에 필요한 지침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고 예비조사는 면접법을 이용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이용되었다. 본조사는 1996년 8월30일부터 9월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조사대상의 표집은 광주시 소형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여 평면규모를 분양면적 25평이하의 거주자들로 제한하여 거주지역을 광주시의 행정구역별 네 집단으로 표집하고 각 집단별로 임의표결을 시도하였다. 분석에는 총 248가구의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교차분석, GLM(General Linear Model)과 Duncan-test,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주의식은 공동체 형성 지향성,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 자연환경 지향성, 지역사회 참여성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향과 자연환경 지향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2)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의식을 분석한 결과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체형성지향성은 가족생활주기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참여성은 초등교육기인 집단이 자녀성년기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만 요구는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 공간과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만 원하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지하로 들어갈 수 있는 주민전용 공동공간은 세대별 보관창고, 공동창고, 소규모 작업장, 에어로빅 시설 등이었다. (4) 거주자 특성에 따른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주부의 취업여부, 가족생활주기, 평면규모,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주부가 비취업주부보다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가족생활주기의 단계가 초등교육기이하인 집단이 중등교육기이상인 집단에 비해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평면규모가 작은 평수의 거주자들이 큰 평수의 거주자들보다 자녀관련 공간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다. (5)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에 미치는 주의식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수납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 참여성이 높을수록 기초생활 공유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동체 형성 지향성이 높을수록, 근린환경의 질 추구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자녀공간에 대한 요구가 강했고 공동체 형성지향성이 높을수록, 자연환경 지향성이 높을수록 사회·체육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근린환경의 질과 자연환경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에 대한 가치관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가고 있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 라고 볼 수 있다. 소형아파트 거주자들은 주민전용 공동공간에 대한 요구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을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미래 주거공간의 전개방향에 있어서 이러한 공동체 사회지향이 반영되어 주민전용 공동공간이 계획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민전용 공동공간 중 자녀관련공간 및 사회·체육공간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주거 외부공간에 주민전용 공동공간 계획시 거주자 특성 및 주의식 특성에 따른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사용자 집단의 계층적 차이로 인한 요구 및 주거선호들을 차별화 시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plan interior housing units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ident's housing behaviors and need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patterens of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kinds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t resident's want. It is also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ciousness and the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like the size of floor space, family life cycle,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of husband and wife, age of husband and wife and home ownership.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8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of four residential areas in Kwangju. Such technisq are used Frequency, Percentage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χ², General Linear Model/Duncan-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housing consciousness can be grouped into 4 categories the propensity to make up a common society, the propensity to pursue the quality of neighborhood, the propensity to orien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pensit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Secondly, families with children in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get involved in the community than those with children in high school or those in the stage of launching a family. Thirdly, most apartment dwellers wanted shared community space, especially space related t children and social fitness facilities. Fouthly, Families in the stage of primary school are more likely to want storage space of shared community space than those in the stage of high school and launching period. Housewives with jobs are more likely to desire basic shared community space than full time housewives. Those living in smaller apartment units tend to need Shared community space related to children. Fifth, the propensity to make a common society and pursue the quality of the neighborhood have a stronger impact on needs of shared community space. In Conclusion, Shared community space is shown to be a critical concept for designing future housing complex.

      • 小型 아파트 室內計劃에 있어서 效果的인 空間活用 方案에 關한 硏究 : 서어비스 空間을 中心으로

        노병철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is the analysis over the service space of a pocket-sized apartment. First, I understood the present actual condition of a service space occupying the most part of our Korean main living life and main consciousness and investigated the real fact over the existing dweller's using the service space as well. And then, according to this I came to make clear the using object of the each pla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out of the problem so that I might suggest the more effectual using devices of the service space through some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