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상생리대 사업의 젠더정치 : '생리빈곤'을 통한 여성청소년 문제의 재구성과 선택적 개입

        탁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50

        This thesis analyzes how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have reconstructed the "adolescent girls’ probl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se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 2016 "insole girls" scandal — an issue about a girl who could not afford to buy sanitary pads and used shoes' insoles instead. The "insole girls" scandal was an unverified incident, in which it is unclear whether the "insole girl" really existed or whether the incident occurred. The scandal originated from a tweet on Twitter regarding a controversial debate about the announcement of the price-raising plan by Yuhan-Kimberly, the dominant producer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in Korea. The tweet mentioned, "I heard that a friend of mine used shoe insoles instead of sanitary pads." Korean media outlets reported the tweet extensively under the headline "insole girls" scandal. After the news broke,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such as corporations and NGOs, introduced and implemented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as an "emergency plan" to address the issue. In the process,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which require long-term and structural solutions, were subsumed under procedural discussions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period povert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 of reducing the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to "period poverty" and sanitary pads from a gender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thesis conducts literature reviews, critical discourse analyses, and in-depth interviews. Accordingly, it requires the analysi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ws, articles, and images related to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early March to the end of August 2021 with 16 "beneficiarie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nd ten other program participants, including activists from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the local government, and companies. Key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ecame a place where the various contexts and need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al actors converged. This thesis places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in the context in which women's agenda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s "social services," focusing on family policies as low birth rate solutions since the 2000s. During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governments, the women's movement agendas that infiltrated national organiz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as family agendas, such as childcare.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ized women’s or family agenda as "services" with specific targets through the social service voucher system introduced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introduced in 2019, was a sort of extension of the existing women's policies, focusing on supporting "unprivileged women" through social services and not on structur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ssues. Meanwhile, private companies articulat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with language such as "rights," "care," and “empowerment.” They sought to represent themselves as companies contributing to social change, being more "careful" institutions th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llowing the "insole girls" scandal, NGOs expand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o Korea, conduct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phere targeting the "Global South." NGOs have adopted new "crisis" representation strategies suitable for Korean society, mobilizing the "insole girls" scandal as primary advertising material for fundraising. In the field of Korea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partner, the heterogeneous contexts and needs of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converged into one goal: supporting sanitary pad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Second, the discourse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reveals how adolescent girls' agendas are problematized in Korean society and the dynamics in which adolescent girls are positioned as "deserving" subjects to receive public resources. I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appeal for patriarchal protection and relief for "girls at risk," using patriarchal paternalism discourse, or emphasize that the "same starting line" should be provided in adolescence using liberal fair discourse. They also position the programs as investments in "productivity" regarding the family or population relative to adolescent girls' ability to reproduce, using the low birth rate frame, an essential topic of women's policy in Korea since the 2000s. Alternatively, they emphasize the gendered and classified normative sexuality of "girls at risk." As such, although the "insole girls" scandal is referred to as a "poverty" issue among adolescent girls, the process of intervening to address the problem has been dominated by rhetoric emphasizing adolescent girls' reproductive health and the need for protection and the provision of "equal opportunity" in adolescence. Third, the belief that "protecting" adolescent girls through sanitary pad support instead becomes a mechanism that invisiblizes the complex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where age, gender, sexuality, and class intersect. The idea of caring for adolescent girls with segmented services such as sanitary pad voucher programs makes it challenging to possess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needs and competencies of these lives. Meanwhile, like other program participants, "beneficiaries" are also the subject of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insole girls" scandal or the advertisement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beneficiaries" also view and analyze the stigmatized figure of “girls at risk” represented in the program,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support they receive. Thus, adolescent girls who participated in this thesis sometimes ignored the programs, refused to identify themselves in the "beneficiary" category, or were internally conflicted while strategically using the grammar of the dominant discourse necessary to be considered a "deserving beneficiary." This thesis argues that critical feminist inquiry should intervene in the existing trend in which adolescent girls’ menstruation is problematized and “protected”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in a patronizing manner. This ‘selective’ protection ignores the complex challenges and needs of adolescent girls’ lives, thereby making it more challenging to find comprehensive and structural solutions to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This thesis contributes to feminist knowledge on policies and programs regarding Korean adolescent girls. This thesis also aims to further politicize the feminist discourse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situating and analyzing the programs in the larger Korean gender politics. 본 논문은 2016년 ‘깔창생리대’ 사건 이후 정부와 민간의 무상생리대 사업이 어떻게 ‘여성청소년 문제’를 재구성하고 선택적인 개입을 제도화, 상품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깔창생리대’ 사건은 사실상 그 당사자의 존재나 사실여부 등의 실체가 불분명한 사건이었다. 이는 국내 주요 생리대 제조업체인 유한킴벌리의 생리대 가격 인상 계획 발표에 대한 논란이 일던 가운데 한 트위터 이용자가 ‘내 친구가 생리대 대신 신발 깔창을 사용했다더라’고 남긴 트위터 게시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국내 언론사는 해당 게시글을 ‘깔창생리대’ 사건이란 명명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하였고, 정부와 민간은 해당 사건에 대한 ‘긴급대책’으로서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을 도입‧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하는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는 ‘생리빈곤’의 심각성에 대한 강조와 생리대 지원 사업에 대한 절차적 논의로 수렴되어갔다. 본 논문은 이처럼 여성청소년의 어려움이 ‘생리빈곤’으로 환원되었던 과정과 효과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헌연구, 비판적 담론 분석, 심층면접 방법론을 활용한다. 연구자는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과 관련된 정부‧지자체 법령, 기사, 이미지 등을 분석하였고, 2021년 3월 초부터 8월 말까지 무상생리대 사업의 ‘수혜자’ 16명 및 지자체, 기업, NGO, 시민사회단체 등 ‘기타 사업참여자’ 10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생리대 사업은 정부와 민간 기관 행위자들의 각기 다른 맥락과 필요가 만나는 장이 되었다. 본 논문은 여성가족부 주관 생리대 바우처 사업을 2000년대 이후 여성의제가 저출산 대책으로서의 가족정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화되어온 맥락 아래 위치시킨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국가기구에 진출한 여성의제는 아이돌봄 등의 가족의제를 중심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때 여성/가족 의제는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행정의 일환으로 도입된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도를 통해 각기 구체적인 표적을 지닌 ‘서비스’로 제도화되었다. 2019년 도입된 생리대 바우처는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구조적 불평등과 차별보다는 사회서비스를 통해 ‘저발전된 여성’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는 기존 여성정책의 흐름을 따랐다. 한편, 민간 기업은 무상생리대 사업을 ‘권리’, ‘돌봄’, ‘역량강화’의 언어와 접합시켰고, 이를 통해 사회변화에 기여하는 기업이자 정부‧지자체보다 ‘세심한’ 돌봄을 제공하는 기관의 위치를 점하고자 했다. NGO는 ‘깔창생리대’ 사건을 기점으로 국제개발에서 글로벌 남반구를 대상으로 진행해오던 생리대 지원 사업을 국내로 확장했다. NGO는 국내 사업 모금광고에 ‘깔창생리대’ 사건을 주요한 광고 소재로 동원하는 가운데, 한국사회 맥락에 걸맞은 새로운 ‘위기’ 재현 전략을 취했다. 민관협치 형태를 띠는 무상생리대 사업의 장에서, 이 같은 정부와 민간의 이질적인 맥락과 필요는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생리대 지원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수렴되었다. 둘째, 무상생리대 사업 담론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 의제가 문제화되는 방식 및 여성청소년이 공적 자원을 배분 받을 ‘자격’이 있는 주체로 위치 지어지는 동학을 드러낸다. 무상생리대 사업은 가부장적 온정주의 담론을 통해 ‘위기 소녀’에 대한 가부장적 보호와 구제를 호소하기도 하고, 자유주의적 공정 담론을 통해 청소년기에 ‘같은 출발선’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여성정책의 주요 화두가 된 저출산 프레임을 경유하여 무상생리대 사업을 여성청소년의 몸이 지닌 (가족/인구 재생산의 측면에서의) ‘생산성’에 대한 투자로 위치시키기도 하고, 성별화되고 계급화된 ‘위기 소녀’의 규범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기도 한다. 이처럼 ‘깔창생리대’ 사건은 소위 여성청소년의 생리‘빈곤’ 문제로 일컬어지지만, 그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빈곤보다는 여성청소년의 재생산 건강, 청소년기 기회의 평등 및 보호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는 수사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생리대 지원을 통해 이들을 ‘보호’한다는 믿음은 도리어 나이,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이 교차하는 복잡다단한 삶의 어려움을 비가시화하는 기제가 된다. 생리대 바우처 같은 분절적 서비스로 여성청소년을 돌본다는 발상은, 이들 삶의 필요와 역량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갖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수혜자’는 여타 사업 참여자들과 마찬가지로 ‘깔창생리대’ 사건이나 무상생리대 사업 광고를 접하고 해석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수혜자’들 역시 무상생리대 사업에서 재현되는 낙인화된 ‘위기 소녀’ 형상을 보고 해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받는 지원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참여한 일부 여성들은 생리대 지원을 외면하거나 ‘수혜자’ 범주와 동일시하기를 거부하기도 했고, ‘자격 있는 수혜자’로 여겨지기 위해 지배 담론의 문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가운데 내면적 갈등을 느끼기도 했다. 본 논문은 정부와 민간에 의해 여성청소년의 월경이 시혜적인 방식으로 문제화되고 ‘보호’되는 작금의 경향에 대한 여성주의 관점의 비판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택적’ 보호가 복잡다단한 여성청소년의 삶의 어려움과 필요를 생리대로 환원한다는 점, 그로써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문제해결 모색을 어렵게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같은 본 논문의 분석 내용은 기존의 가출, 성매매를 비롯한 ‘위기’ 경험 중심 여성청소년 담론이 2010년대 중반 ‘생리빈곤’을 중심으로 전환되었던 과정을 포착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십대 여성에 대한 정책적‧사회적 개입과 그 함의를 다루어온 여성주의 지식에 기여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의 빈곤과 섹슈얼리티가 다루어져온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 무상생리대 사업을 위치 짓고 비판적 질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무상생리대 사업의 연령‧소득기준, 시행절차 등에 집중되었던 기존 여성운동 의제를 확장하는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 (A) study on Korean "Comfort women" films : problematizing girlhood in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김희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199658

        한국의 상업 영화 귀향 (2015)은 개봉 이후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는 제 2 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게 강제적으로 징집당해 성 노예가 된 한국 소녀들을 보여준다. 개봉 이후 영화를 본 관객들은 이 소녀들이 맞이하였던 전쟁 범죄의 잔인한 참상 속으로 초대되어 소녀들과 함께 분노하고 슬퍼했다. 이와 같은 대중의 관심과 수용에도 불구하고 귀향은 지속적인 비판과 논쟁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는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적, 정치적 분쟁 관계에서 가장 중점적인 사안이며 정치적, 문화적, 담론적 영역을 가로지르는 복잡한 쟁점 중 하나인 “위안부” 문제를 영화의 주제로 삼았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귀향의 재현 윤리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비평하였다. 이중 특히,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이 영화 내에서 사실적으로 묘사되는 폭력 및 강간 등의 선정적인 장면들이 민족주의적 열망으로 정당화되는 성차별적인 시선을 은밀하게 충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학자들의 지적은 한국 사회가 굳건하게 유지하는 민족주의적 정서가 남성 중심적으로 구성된 역사 서사와 긴밀히 연대해왔고 이에 따라 위안부 희생자들을 잔인한 전범 국가에 의해 짓밟힌 국가의 역사를 상징하는 미학적, 문학적 수사 용법으로 전유해왔다는 맥락을 고려하였을 때 더욱 정당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무력하고 수동적인 피해자로 묘사되는 소녀들에게 집중하는 서사 장치와 집단 강간 및 학살의 장면으로 이루어지는 폭력의 스펙터클에 기대고 있는 귀향의 영화적 수사학은 식민지 대한민국의 무력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소녀” 라는 다면적인 정체성을 무력한 피해자로 환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개봉된 위안부 재현 영화 눈길 (2015) 은 여성 감독 이나정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성적 폭력의 스펙터클화를 지양하고 있다는 점에서 귀향과 눈길은 차별성을 보인다. 그러나 눈길 또한 낭만화된 소녀들을 통하여 관객들의 동정심에 호소함으로 전쟁 트라우마의 기억을 흐리게 한다는 지점에서 문제적이다. 눈길운 소녀를 무고한 피해자로 재현하는 서사적 전략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귀향과 유사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는 피해자들의 주체성을 한국 식민지 역사와 위안부의 기억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소녀상”에 투영된 이상화된 이미지 틀 속에 가둬버리고 있다고 비판될 수 있다. 이 “소녀상”은 사회적 정의 실현과 일반 한국 대중의 탈식민적인 불안, 욕망, 그리고 요구를 투영하는 도상으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소녀상”은 어리고 수동적인 소녀에 대한 낭만적 이상성을 상징한다. “소녀상”이 재현하는 문제적 지점을 반영하고 있는 영화 눈길의 낭만화된 소녀들은 지난한 삶을 이어 나가며 보상과 정의 실현을 위해 투쟁중인 피해 당사자들의 다면적인 주체성을 흐리고 있다. 이와 같은 비판지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위안부 영화들의 재현 문제에 집중되어 있는 비평적 담론의 흐름에서 면밀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지점이 있다. 두 영화의 거의 동시적인 개봉 시기와 이어진 대중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고려했을 때 위안부 문제의 영화적 재현에 대한 집중된 관심이 어떠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이 영화 내의 “소녀”로 재현되는 위안부의 주체성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탈식민주의 비평적 틀로 접근하고자 한다. 귀향과 눈길 모두 1990년대 보상 운동이 시작된 이후 위안부 문제를 다시 긴급한 정치적 사안으로 다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두 영화는 한국 식민지 역사에 대한 합의된 인식을 구성하는 동시에 영화라는 매체가 일구어내는 문화적인 상상력으로 위안부라는 민감한 정치적, 외교적 문제를 평범했던 어린 소녀의 이야기로 재조립하였다. 가족과 이웃들에게 보호와 사랑을 받았던 평범한 소녀들이 마주한 비극을 통해 관객들은 동정심, 연민, 그리고 분노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정치적인 운동 주체로 고정된 나이 든 여성들의 역사를 역으로 추적했다. 이러한 영화적 효과를 통해, 일반 대중과 비어있던 위안부 주체의 이야기가 연결이 되고 개인적이고 긴밀한 유대감이 형성되었다. 이것을 두 영화에서 소녀들에게 집중되는 서사가 만들어내는 정동적 효과라 볼 수 있다. 대중 매체를 통해 역사적인 현장을 목격한다는 실천 행위는 궁극적으로 대중을 근대화의 그늘에 가려졌던 한국의 식민 역사의 한 부분에 적극적으로 관여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영화 속 재현된 어린 소녀들은 비어있는 기표로 대중들이 감정을 투영하고 기억을 형성하게 만드는 촉매로 작용한다. 소녀들을 통하여 한국 대중들은 그들의 탈식민적 주체성을 다시 기입한다. 본 논문은 위안부 문제를 다루고 있는 한국의 상업 영화 귀향과 눈길의 양면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안부를 어린 소녀들로 재현함으로 얻을 수 있는 영화적 잠재성과 위험성을 교차적으로 논한다. 두 영화 내 성 재현의 문제의 기저에 자리한 한국의 사회문화적 불평등 구조와 위안부라는 역사적 주체를 인식론적 객체로 구성하였던 한국 민족주의를 영화의 양면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 다룰 것이다. 소녀들의 몸에 가해지는 성적인 폭력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논쟁 관계를 살펴본 이후 본 연구의 영역을 영화적 재현이 대중의 정치 의식을 구성하는 데에 미치는 정동적 효과에 대한 논의로 확장할 것이다. 이러한 영화적 정동을 통해 대중은 합의된 역사 의식과 식민지 역사 속 피해자성에 대한 정치 의식을 구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 귀향과 눈길은 역사 기술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안부를 ‘소녀’ 로 재현하는 상업 영화들의 문제점과 역사 서사로서 기능하는 위안부 영화들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검토할 수 있게 된다. The astonishing success of the Korean commercial film, Spirit’s Homecoming (2015), which invited audiences to witness the horrendous war crimes committed against the innocent Korean girls forc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WII, has also sparked many controversies within South Korean academia. As the film attempts to thematize the issue of “comfort women,” one of South Korea’s most sensitive diplomatic issues crossing political, cultural, and discursive terrains, academic polemics have been actively debating Spirit’s Homecoming.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ethics of cinematography with regard to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the film. In particular, feminist critics argue that the film’s realistic portrayal of violence and rape in fact insidiously serves the inherent male gaze of the audience, which is justified by nationalism. Since the beginnings of the comfort women discourse in South Korea, nationalistic sentiments tied with an androcentric perspective formulated the victims of the comfort system as an aesthetic or literary trope representing a victimized nation trampled by a brutal perpetrator. From scenes depicting young and vulnerable girls being helplessly trafficked to the scene of mass rape and massacre, the film strategically appropriated the images of the victimized girls to accentuate the helplessness of colonized Korea. The subsequently released film Snowy Road (2015), directed by a female producer, seems to bear similar limitations as Spirit’s Homecoming in terms of how it represents girl victims. Despite its omission of provocative spectacles of sexual violence, the film tends to portray the traumatic memory of comfort stations through idealized, romantic girl characters as they harmlessly arouse the sympathy of audiences. Thus, Snowy Road tends to fix the multi-dimensional subjectivity of victims into the mold of the ideal image projected in the “Statue of Girl,” which was erected in memory of the painful history of comfort women in South Korea. Though the “Statue of Girl” operates as an icon of public demands for social justice, the romanticized image of girls in Snowy Road blurs the subjectivity of victims who, in real life, are still fighting for reparations and redemption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Nevertheless, there is an aspect that the critical discourse surrounding “comfort women” films representing girls as victims or martyrs does not deal with. It is possible to analyze comfort women films through the framework of postcolonialism due to the contextual circumstances that fueled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cultural projects dealing with comfort women. Both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help build public consensus about the urgency of the comfort women issue which gained attention again in the 2010s after movements for reparation began in the 1990s. Popular cultural imagination enabled the public to revisit the previously overlooked colonial memory of Korea. Those in the audience who were once young girls, protected and cherished by their families, feel a personal connection as the films trace the history of the old ladies crying for justice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The practice of witnessing through entertainment,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affect of girls, ultimately makes the audience engage with the parts of Korea’s past hidden in the shadows of the modern. Young girls trigger a dramatic cinematic affect as the audience is made to vicariously experience their horror and sadness. Through the act of witnessing and comprehending the cruelest aspect of Korea’s colonial history, the public rewrites their own postcolonial subjectivity urging for social justice. In this thesis, I will examine the ambivalent aspects of commercial films about comfort women produced in South Korea. My goal is to shed light on the subject of rewriting postcolonial memory and the trauma of victimization. In order to do so, I will discuss the seemingly contradictory potential and risk of representing comfort women as young girls in Spirit’s Homecoming and Snowy Road. The issue of the sociocultural establishment of gender representation in both films, and its intersecting discourse about Korean nationalism, are a natural part of this discussion. After analyzing feminist arguments about girls’ bodies and sexual violence, I will expand my research into the cinematic affect of girls’ representation in forming public political consciousness. The cinematic affect transmitted by the victimized girls in the movies ultimately establishes a collective awareness of the memory of victimization in Korea’s colonized history. In this context, I will present the potential for comfort women films to act as historiography.

      • 1980년대 순정만화의 젠더 재현 : 『별빛 속에』와 『아르미안의 네 딸들』을 중심으로

        현찬양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50380

        Sunjung Manhwa is a term that combines a form of ‘romantic love’, which has been reproduced in cultural media of Korea since 1950s, and a medium that expresses ideas by images and text. Although Sunjung Manhwa disappeared from cultural media in 1970s, it was reconstructed in 1980s when Japanese ‘Shojo manga’ were impor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Sunjung Manhwa in 1980s as well as a history of Sunjung,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Korean literary culture. Specifically, I aim to review『In the Starlight』and 『Four daughters of Armian』, both of which represent Sunjung Manhwa in 1980s,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Sunjung Manhwa in Korean pop culture. Sunjung Manhwa in 1980s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through a popular use of rental libraries and qualitatively through two cartoon magazines: a coterie magazine《9thmythology》and 《Renaissance》, the first comic magazine for Sunjung Manhwa. Sunjung Manhwa standardized characters, established structures of stories, and proposed a new structure by adopting roman-fleuve, resulting in a unique genre in Korea. Although a drawing style of Sunjung Manhwa is characterized by a westernized body ty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it is hard to distinguish genders of characters by their visual representation. The gender representation, which seems to deny body dualism, is indicated by a warmhearted male character with blond hair or a coldhearted male character with black hair. Based on this visual representation of Sunjung Manhwa in 1980s, the tradition of the gender representation continues even after 1990s. The present study reveals how ‘completion of romantic love’, which is a consistent theme of Sunjung Manhwa, is presented by the gender reproduction of Sunjung Manhwa in 1980s. 순정(純情)이란 50년대부터 한국 문화 매체에서 재현되어온 특수한 형태의 감정인데 이것이 그림과 글로 표현되는 매체인 ‘만화’와 결합하여 ‘순정만화’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50년대부터 ‘순정’의 전통이 있었으나 70년대에 잠시 맥이 끊겼다가 이후 수입된 일본 소녀만화의 형식과 함께 발전하여 80년대에 와서 재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 순정만화의 특성을 규명하면서 동시에 그간 한국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던 ‘순정’의 역사를 정리했다. 또한 1980년대 순정만화의 젠더재현을 통해 이분화 된 성적 역할에서 벗어난 젠더 역전에 대해 지적하였다. 대본소를 위주로 하여 양적인 성장을 거듭하던 순정만화는 동인지 《아홉 번째 신화》와 최초의 순정만화지 《르네상스》를 통해 질적인 발전을 이룬다. 군부독재의 잔상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 매체의 검열제도 속에서도 작가들은 당대의 한국의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 대하서사 장르를 활용한다. 주로 과거의 역사물이나 미래물로 이루어진 대하서사 장르에서는 은유적 태도로 사회비판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서구적 체형과 세밀한 묘사로 이루어진 순정만화의 그림체는 그 시각적 재현만으로 남성과 여성을 판단할 수 없다. 몸의 이원론을 거부하는 순정만화의 젠더 재현은 그 자체로 ‘성역할’에 대한 도발적 질문을 생산했다. 1980년대 대하서사 장르의 대표적인 순정만화라고 할 수 있는 강경옥의 『별빛 속에』와 신일숙의 『아르미안의 네 딸들』은 주인공이 고향을 떠나 조언자와 동료를 구해서 미션을 해결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부와 명예를 가지게 된다는 전통적 영웅 스토리의 여성형 버전이다. 두 만화가 묘사하는 세계는 초능력자인 여왕을 중심으로 한 전근대적 계급 사회이지만 여성들은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졌다. 시이라젠느와 샤르휘나처럼 바지를 입고 초능력과 뛰어난 전투 실력으로 남성성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스와르다나 아스파시아처럼 치마를 입고 사랑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도 했다. 이렇듯 1980년대 순정만화에서는 여성들의 선택이 다양한 동기와 목표를 통해 드러났다. 남성인물들의 재현은 ‘금발온미남’ 혹은 ‘흑발냉미남’이라는 캐릭터로 대표되었다. 금발온미남은 여성주인공에게 이상적 여성상에 대한 자기 투영으로 존재했으며 흑발냉미남은 여성주인공과 이성애적 사랑을 나누었다. 이들의 사랑은 ‘남성의 죽음’으로 ‘영원함’을 획득한다. 남성의 죽음과 함께 여성이 바꾸고자 했던 세상 역시 멸망하면서 여성 주인공은 좌절을 경험하지만 이것은 비극에 머무르지 않는다. 『별빛 속에』에서는 새로운 지구로 돌아온 시이라젠느가, 『아르미안의 네 딸들』에서는 아르미안의 피를 이어받은 사무엘과 피아가 새로운 세대가 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암시한다. 1980년대 순정만화는 새로운 세대를 통해 새 시대를 꿈꾸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