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oubleness of Gothic Space and the Crumbling of Family

        김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39

        고딕공간은 미국고딕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비평적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고딕공간이 지닌 물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성에 기인하는 힘이 공간 안에 있는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양상에 주목한다. 미국고딕 속 고딕공간은 여러 형태 중에서도 특히 ‘집’으로 구현되어 왔는데, 고딕문학에서 집이란 공간은 역사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여성, 가정성, 그리고 가족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고딕적 집이 구축된 방식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며, 본 논문은 셜리 잭슨의 『힐 하우스의 유령』과 스티븐 킹의 『샤이닝』에 나타난 고딕공간 안에서 1950-70년대 자본주의 미국사회의 핵가족 관계가 어떻게 실험되고 와해되는지 분석한다. 본론 1장은 『힐 하우스의 유령』에서 힐 하우스란 고딕공간이 가족관계에 대한 엘리노어의 욕망을 자극하면서도 배반하는 압도적 ‘이중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일반적 집과 다른 힐 하우스의 특이한 내부 공간은 핵가족 관계에서 좌절을 경험했던 엘리노어에게 기존의 집에서는 허락되지 않았던 관계 맺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엘리노어가 힐 하우스에 이끌릴수록, 그녀의 기대와 어긋나는 공간의 또 다른 측면들이 드러나면서 그녀를 괴롭게 만든다. 힐 하우스는 자신을 거부하는 공간의 ‘장벽’을 해체하려던 엘리노어의 자기파괴를 초래하고, 여전히 공고한 고딕공간으로 남는다. 본론 2장은 『샤이닝』의 고딕공간인 오버룩 호텔이 그 이중성을 매개로 핵가족 관계를 폭력적으로 무너뜨림과 동시에 그 이중성으로 인해 스스로도 붕괴함을 밝힌다. 자본주의적 목적에서 구획된 오버룩 호텔은 자본주의 질서의 이중성이 가진 모순을 화려한 상업주의와 직업의식으로 통제하는 공간이다. 이미 흔들리는 공간의 이중구조를 무리하게 유지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이를 허물어뜨리고, 자본주의 질서에 순응하며 더 나은 삶을 갈망하던 핵가족인 토렌스 가족의 존재는 공간의 붕괴를 앞당기는 촉매처럼 작용한다. 오버룩 호텔은 이중성에 기초한 힘으로 토렌스 가족을 해체하지만, 그것이 이내 자기파괴의 원인이 되는 고딕공간을 보여준다. 고딕공간의 특수한 구조와 그에 기인한 힘이 작동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잭슨과 킹의 소설을 분석해 보면, 고딕공간은 단순히 기이한 사건이 진행되는 무대나 어떤 상징적 장치가 아니라 공간 안의 인물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실체임을 알 수 있다. 『힐 하우스』와 『샤이닝』이 보여주는 고딕공간의 독특한 내부를 탐색하는 것은 20세기 중엽을 전후한 자본주의 미국사회와 그 안에서 작동하던 핵가족 관계의 이면을 읽어내는 통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Despite its enduring place in American gothic literature, gothic space has received little critical attention.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mechanism of power within gothic space, focusing on its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use, the predominant form of gothic space in American gothic, and considers the related issues of women, domesticity and family. Based on the premise that such issues are inseparable from the way gothic house is constructed, this thesis will examine how the institution of nuclear family in capitalist American society around the 50s-70s is experimented with and crumbles within gothic spaces represented in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Stephen King’s The Shining. The first chapter argues that Hill House both provokes and betrays Eleanor’s desire to be in a family relationship through its “doubleness.” The unusual inner structure of Hill House appears to promise Eleanor an opportunity to build a nuclear familiar relationship that has been denied to her. Nonetheless, the space gradually contradicts Eleanor’s plans for a new family, driving her to desperation. Eleanor’s last attempt to break down the “barrier” which shuts her out only results in her violent death, and Hill House remains as an overwhelming gothic space as before.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disintegration of the Torrance family, which dramatizes the implosion of gothic space due to its doubleness. The Overlook Hotel is built upon the doubleness of capitalist system which divides a homogenous social space into work and home place. Such doubleness makes the system to be self-contradictory by not acknowledging the economic value of domestic labor while depending upon it to sustain the system. The off-season Overlook is the gothic space where this contradiction gradually intensifies and ultimately leads to the space’s self-destruction along with the Torrance family. Gothic space is not merely an arena where psychological, social or historical metaphors inhabit. It is a concrete existence which asserts power to individuals within, as the unique structures of gothic space in Hill House and The Shining exhibit.

      • 미국 고딕소설에 재현된 여성과 집: 제임스, 잭슨, 벡델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235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and ‘women’ represented in gothic novel. Based on it, the relations and structures of various forces acting on the world around women can be identified. In gothic novel, for women ‘house’ appears as ambivalent meaning of imprisonment and escape. In the space of imprisonment women are under the paradoxical circumstances from where they want escape but have to conform the condition of oppression in order to gain protection and stability. The lives and experience of women in gothic novel are not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but appear to be as distressing and strange state. Women feel a sense of separation and ‘uncanniness’ in where the ‘house’ should be protective and stable place.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how the meaning of female experience and reality which present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by considering Henry James’ The Turn of the Screw, Shirley Jackson’s The Haunting of Hill House and Alison Bechdel’s Fun Home. In the first chapter, I argue women’s placement and meaning of existence in patriarchal society represented in The Turn of the Screw. Women can be considered as the drifting existence which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ess and the ghosts. Moreover, I examine the novel’s ‘narrative of frame’ in relation with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ce of women trapped in domestic spac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second chapter, I read the social pressure and repression on wome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nor Vance, the main female character, and Hill House in The Haunting of Hill House. At the end of the novel, Eleanor's choice represents the subversive possibility of society's power to confine and oppress women. Though Eleanor’s ending is self-destructive, she pursues her desires by her own will and rejects social coercion. In the third chapter, I consider Fun Home as an alternative to the new pos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space in gothic novel. In Fun Home, Bechdel escapes from her father who oppresses and manipulates her, and his home. Furthermore, she dissembles the house and recreates the house of her own by constructing archive about father and inscribing her personal story on canonical modernism literature. With her own perspective as a female / lesbian / graphic narrative artist, she creates whole new literary space. Bechdel's attempt is significant, for it acts as an subversive force on the power structure of male / heterosexual world / canonical writer. In additio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house in gothic novel shows th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space. While the space in James' The Turn of Screw reflects the conventional elements of British female Gothic novels, the spaces in Jackson and Bechdel’s novel show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American society, along with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ategory of gothic novels’ content and for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women presented in gothic novels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reality reflected in literature. However, the sense of ‘uncanny' in gothic spaces is also important, for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literary research into not only women but also those who are seen but considered as not-be-seen.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여성을 둘러싼 세계에 작용하는 다양한 힘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본다. 고딕소설에서 여성에게 ‘집’은 감금과 탈출의 양가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이러한 억압과 감금의 공간에서 여성은 탈출하기를 원하면서도 보호와 안정을 얻기 위해서 억압과 감금의 조건에 순응해야하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한다.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의 삶과 경험은 우회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고통스럽고 기이한 상태 그대로 드러난다. 여성은 보호와 안정의 공간이어야 할 집에서 오히려 불안하고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괴리감과 낯설음을 느낀다. 본 논문에서는 고딕소설에서 재현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과 현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나사의 회전』에 나타나는 가부장 사회에서 적법한 자리를 갖지 못하고 가정교사와 유령처럼 부유하는 여성의 모습과 존재 의미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소설의 액자식 구성을 여성의 대상화와 가부장 사회에서 가정공간에 갇힌 여성의 존재 의미와 연결해서 살펴본다. 2장에서는 잭슨의『힐 하우스의 유령』의 엘리너와 힐 하우스의 관계를 통해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압박과 억압에 대해서 고찰해본다. 엘리너를 압박하고 사람들 간의 관계를 단절시키는 힐 하우스의 구조와 초자연적인 힘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보수적인 미국사회에서 여성에게 작용한 가부장 사회의 억압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힐 하우스에서 고통 받는 엘리너는 이상적 여성상으로 제시된 가정에 제한되는 삶을 강요당하는 당대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다. 엘리너의 자기파괴적인 결말은 엘리너가 스스로의 선택으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고 사회의 강요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저항적 의미를 갖는다. 3장에서 살펴볼『펀 홈』은 고딕소설에 나타나는 여성과 공간의 관계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의 대안을 제시하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아버지의 집에서 탈출한 벡델은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관련 자료들을 모아서 이를 그래픽 내러티브 형식을 통해 시각화하여 『펀 홈』이라는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또한 벡델은 아버지와 자신을 연결해주는 요소인 문학을 차용하여 정전으로 불리는 문학작품에 사적인 경험과 기억의 조각들로 채워넣고 여성/레즈비언/예술가로서의 자신의 시각을 중심으로『펀 홈』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벡델의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남성/주류작가/이성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던 공간에의 권력 구조에 전복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여성과 고딕적 공간의 관계의 의미와 그 변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는 또한 고딕소설에서 구현되는 공간의 변화도 함께 나타난다.『나사의 회전』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영국 여성 고딕소설에서 비롯되는 전형적인 요소를 반영하고 있다면 『힐 하우스의 유령』과 『펀 홈』에서는 이를 미국 현대 사회의 환경에 적용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내용적으로도 형식적으로도 고딕소설의 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고딕소설에 재현되는 집과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여성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여성의 현실을 고찰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고딕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익숙함 속의 낯설음’의 감각은 여성뿐만 아니라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존재로 치부되는 존재들에 대한 문학적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것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