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여성의 백화점 의류 제품에 대한 만족도

        박순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패션의식과 여성 의복 구매 기호에 따라서 백화점 의류 제품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특성에 따라 보다 구체화된 소비자 욕구 파악과 제품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이론적 고찰과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패션의식 문항, 의류 제품에 대한 만족도 문항, 성인 여성의 기호에 관한 문항 등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수집은 2001년 2월 28일부터 3월 13일 사이에 총 7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73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PC+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VARIMAX 회전을 통한 요인 분석, χ2-검정,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여성의 패션 의식은 패션지향성, 상징성, 실용성, 적합성의 4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성인 여성은 의복 구매시 자신의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옷을 구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구입 스타일의 경우는 캐릭터 스타일, 스포티 스타일, 트래디셔널 스타일, 영 스타일순이었으며, 사무직과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성인 여성들은 캐릭터 스타일의 젊어 보이는 옷을 주로 구입하였고, 40대의 자영업에 종사하는 사람 및 주부들은 스포티 스타일의 옷을 주로 구입하였다. 셋째, 백화점 의류 제품에 대한 만족도는 단품류의 경우 디자인이나 캐주얼한 감각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세트 정장의 경우는 착용시의 모양새(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영 스타일과 스포티 스타일을 구입하는 집단에서의 판별력이 높은 변인으로는 '캐주얼한 감각의 옷들이 많다'였으며, 스포티 스타일을 구입하는 집단의 판별력이 높았고, 캐릭터 스타일과 트래디셔널 스타일을 구입하는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위나 직업에 어울리는 스타일이 많다'였으며, 트래디셔널 스타일을 구입하는 집단의 판별력이 높았다. 직업에 있어서 세트 정장의 경우는 '캐주얼한 감각의 옷들이 많다'에 대하여 자영업에 종사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위나 직업에 어울리는 스타일이 많다'에 대해서는 주부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단품류의 경우는 '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입어서도 잘 어울린다'에 대하여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거주지에 있어서는 부산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서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se how Korean female consumers satisfy with apparel products sold at department stores, and how differ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ir fashion consciousness and clothing buying patterns.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473 female consumers residing in Seoul and Pusan. Likert scales were used for most mesures with 1=never or disagree and 5=always or agree. Data was gathered during February 28 - March 13 in 2001 and analysed by factor analysis, x², ANOVA,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ashion oriented, symbolism, practicality, and conformity were found as the factors of Fashion consciousness of female consumers.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buying patterns according to consumer's fashion consciousness. The group who prefer to character style showed highest interest in the factor "fashion oriented".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buying patterns according to consumer's age, number of children, monthly expenditure for clothing, and occupation. The group at the age of 20's - 30's who belong to professional, official, and service oriented occupation showed a high tendency of purchasing character style that makes its wearer looks younger than their age. The group at the age of 40's who runs their own business and housewives prefer to purchasing sportive style. Those who have more than two children prefer sportive style. The group having only one child wants character style more, and young style was more preferred by the respondents who do not have child. Those who spend below 100,000 won monthly for their clothing, were apt to buy sportive style more often. Traditional style was preferred by the group spending between 100,000 and 300,000 won. Character style was preferred by the group spending between 300,000 and 500,000 won. 4. In both case, the case of set formal wear and isolated item like blouse, female consumers showed highest score in usability or practicality of design itself. Therefore they found it is good not only when it is displayed but also weared(put on). 5. Fash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in the variety of casual mood clothing. On the other hand, non-fash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in the clothing symbolizing social status and occupation of the wearer. 6.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about other factors affecting consumer's satisfaction with apparel products.

      • 성인여성의 평생교육 참여와 학습동아리 활동이 재취업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 미 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재취업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이 경험하는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의 참여여부와 재취업과정(재취업여부, 재취업지속)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여성 중 평생교육 참여자, 비참여자,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자 세 집단 은 재취업여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후, 세 집단 간에 구직효능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둘째, 성인여성 중 평생교육 참여자, 비참여자,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자 세 집단의 재취업지속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후, 성인여성들이 인식하는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성과에 대해서 알아본다. 셋째,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 경험은 어떤 방식과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성인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지속에 기여하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평생교육 및 학습동아리 참여와 재취업과정의 관계를 규명하여, 평생학습시대에 성인여성의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의 의미를 재고하여 재취업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에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추가한 혼합연구방법론(mixed methods)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조사는 사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는 성인여성의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 현황과 재취업과정으로 설계된 설문지를 가지고 2015년 3월 한 달 동안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면서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 경험이 있는 214명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9개의 평생교육기관에서 실시하였다. 사전조사의 미비점을 전문가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5차례 걸쳐 수정·보완하였으며 본조사에서는 403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3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SPSS 22.0을 이용하여 성인여성의 일반적 특성과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경험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인여성의 재취업과정(재취업여부, 재취업지속)이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통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분석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 대상자 가운데 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를 모두 참여한 성인여성이 평생교육 참여 여성과 비참여 여성보다 재취업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구직효능감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직효능감이 높을수록 재취업을 많이 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인여성에게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여부에 따른 재취업지속의 차이를 교차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재취업지속 기간별 빈도수를 확인해 보니, 재취업지속 기간이 오래될수록(3년 이상)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를 모두 참여한 성인여성들의 재취업지속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동아리활동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이 재취업지속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학습동아리 참여가 재취업지속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성인여성들이 인식하는 평생교육 참여성과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아실현의 기회’가 가장 높았으며, 학습동아리 참여성과는 ‘대인관계 원활 및 삶의 활력소 생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여성은 학습동아리를 통해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끈끈한 연결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재취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에서 만난 사람은 심리적인 지지자(멘토)이자 닮아가고 싶은 사람이고 대화의 활력소를 제공하고 ‘우리’라는 동지애를 구성하였다. 또한 학습동아리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자신감 회복, 재취업의지의 끈끈한 연결고리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성인여성은 학습동아리를 통한 지속적 만남으로 자긍심을 갖게 되고 지속적인 계속학습으로 전문성을 갖춤으로써 재취업지속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부가적으로 알게 된 점은 성인여성의 주요 참여 평생교육기관으로 ‘여성인력개발센터’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주요 참여 평생교육프로그램으로는 ‘자격증 취득’, ‘전문기술교육’ 등의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재취업’이 가장 많았고, 평생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가 가장 많았다. 성인여성들의 학습동아리 참여 경로는 ‘평생교육 수강생동기들의 자발적 지지’가 가장 많았고, 주요 참여 학습동아리 분야는 ‘지도자 분야’가 가장 많았다. 학습동아리 참여 동기는 ‘나의 성장과 자아실현’이 가장 많았고,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 때문에’가 가장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아리 활동은 성인여성이 재취업을 할 수 있도록 자신감, 재취업의지를 갖게 해주고, 지속적인 만남과 계속학습으로 자긍심,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 재취업지속 가능성을 높여준다. 따라서 성인여성의 재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아리 참여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평생교육 참여 후 재취업을 원하는 성인여성들의 사후관리가 활성화 되고 있지 않는 것을 고려해 보았을 때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다양한 현장 경험 및 학습 체험 기회를 제공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성인여성이 일의 세계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직업적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서비스가 학습동아리에 연계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부와 지역사회에서 그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사업형 학습동아리에 대한 지원이 확산되고 있는데 자발적으로 생성되어 유지되고 있는 학습동아리는 천천히 재취업 효과가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자생적인 학습동아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학습동아리 참여기반인 장소 제공을 위해 지역사회의 지원정책이 중요하고도 필요하다. 셋째,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는 일회성으로 끝나 재취업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므로 성인여성의 평생교육이 학습동아리활동에의 지속적인 참여와 특화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재취업 이탈을 막고 재취업이 만족스럽게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성인여성의 평생교육과 학습동아리 참여여부에 따라 나타난 구직효능감에 차이는, 성인의 학습은 연령보다는 학습자의 교육이수기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한 Birren의 성인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뒷받침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성인 여성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공유적 실천 모형

        김미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기존의 기독교교육이 성인학습자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여성'에 관한 정확한 탐구와 분석이 시도되지 못했다고 본다. 따라서 성인여성의 특성과 경험을 고려하고 성인여성의 종교적 삶이 단순한 지식전수만을 통해서가 아닌 지적으로 믿는 신앙, 정적으로 신뢰하는 신앙, 그리고 행함으로의 신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독교 교수-학습모형으로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e)의 '공유적 실천'(Shared Christian Praxis)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인간은 역사와 세계와의 관계속에서 영향을 받으며 사는 존재로 그 관계를 벗어날 수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여성들이 오늘날의 성차별적 사회와 문화속에서 겪는 그들의 다양한 삶의 경험들을 해석하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돕고, 비판적 성찰의 과정을 통해 현재적 삶을 과거에 기록된 성서의 내용과 의미있게 연결시켜 변증법적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결과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촉진하며 그들의 경험과 삶을 공동체적으로 함께 대화로써 공유하며 나누어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서 그들의 앎과 삶을 연결시키며 개인의 변화뿐 아니라 사회적 변화까지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 교수-학습모형에 있어 비판적 성찰과정을 통해 성인여성들이 그들의 삶과 행동과 상황을 바르게 볼 수 있는 비판의식과 신앙공동체의 전통 중에도 해석자의 선입견이나 전이해로 인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 인식하며, 사회문화 그리고 제도 가운데 내재되어 있는 잘못된 편견과 관념들을 직시할 수 있고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여성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II장에서는 우리사회에서의 잠재되어 있는 성차별적인 문화에 대해 살펴보고, 성인 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을 위해서 먼저 학습자인 여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여성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여성심리학적 연구 가운데 벨렝키와 길리건 그리고 밀러의 연구와, 사회적 측면에서의 여성에 관한 이해 그리고 여성의 신학적 이해를 통해 여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III장에서는 성인 여성의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기독교교육의 목표, 기독교교육의 내용,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과정, 기독교교육의 구조에서 비판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IV장에서는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성인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전형적 교수-학습 모형'과 '경험적 학습'과 관련된 네 가지 교수-학습 모형,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다섯가지 교수-학습 모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모형들은 성인여성 교육의 학습자의 다양한 연령, 직업, 지적·신앙적 수준, 사회적인 상황 등의 다양한 수준과 경험등에 있어 적절한 교육을 하기 위한 분석과 프로그램개발 그리고 적용에 있어 도입되고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인여성들이 공유하며 나누는 관계적인 공동체속에서 그들의 현재의 행동과 문제들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잘못된 관념 등과 관습들에 대해 구성원들이 대화로서 함께 나누며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성서와 기독교 전통 등과의 변증법적 해석을 통해 '어떠한 삶을 살아갈 것인가' 에 대한 신앙적 결단을 하게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로 공유하고 나누는 교제를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ventional Christian education has not been correctly designed to serve the 'women' who account for the majority of adult Christian learner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omas H. Groome's "Shared Christian Praxis" model as a useful Christian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adult women's attributes and experiences to enhance Christians' intellectual, reliable and action-centered faith just beyond delivery of simple knowledge. Every human being has been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world, not being able to avoid it. Accordingly, it may well be meaningful to interpret a varie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adult women suffering from sexual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ory society and culture and thereby, help them awakened of their conditions correctly. In this context, it will also be significant to help the adult women interpret their current life through some critical meditation and in reference with the Biblical records and thereby, interpret their life dialectically to change their behaviors, link their knowledge with their life through a dialogue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community life with each other. Then, women's individual life as well as the society may be changed by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teaching-learning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enable the adult women to be aware of their life, behaviors and conditions correctly through a critical reflection on themselves. Moreover, adult women would be encouraged by this model to correct their obsessions with or mal-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community traditions and furthermore, be awakened of the wrong social culture, obsessions or concepti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sexually discriminative culture potent in our society is reviewed. Since understanding of women learners is a pre-condition for Christian education of adult women, it is deemed necessary to understand women and their conditions psychologically in reference to Belenky's, Gilligan's and Miller's theories as well as socially and theologically. In the third chapter, goal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es of Christian education are discussed together with such aspects of Christian education structure requiring some critical reviews. In the fourth chapter, four teaching-learning models for Christian education of adults which are related with 'typical pedagogics' and 'experiential pedagogics' are suggested, while five teaching-learning model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programs' are presented. These models may well be used to analyze adult learners' diverse age groups, jobs, intellectual and religious levels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reby, help develop effective programs. Lastly, adult women should be encouraged to share their views and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al community and critically reflect on wrong socio-cultural conceptions and customs through dialogue and furthermore, interpret the Biblical and Christian traditions dialectically to make their religious decisions on 'how to live their life'. In this regard, the teaching-learning model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encourage adult women to share their Christian praxis and exchange with each other socially.

      •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구조관계 분석

        조광미 중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보고 관계모형을 확인해 통합적인 관계규명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각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특성은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평생교육기관특성은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참여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경기북부 2개 시와 충청북도 2개 시에 위치한 평생교육 기관의 프로그램 에 참여중인 20세부터 69세까지의 성인여성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설문분석 연구대상자는 670명이었다. 조사대상자는 연령, 결혼유무, 자녀수,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가족생활 주기등을 고려하였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 실태의 특성을 지역, 1년 동안 참여회수, 참여한 프로그램영역, 평생교육 참여기간, 참여의 장애요인, 참여경로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Win 18.0 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실시하고 모델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은 최초 설정한 연구모형과 수정연구모형이 대체로 적합하였다. 둘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생교육기관 경영이 인적·물적 자원관리, 프로그램관리, 적극적인 홍보 등의 기관 경영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평생교육기관특성이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평생교육기관특성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평생교육기관특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도 있고 간접효과도 있었다. 따라서 평생교욱기관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바로 미치는 것보다는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더 가져 올 때 학습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평생교육기관이 학습자들에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참여동기의 로드맵을 잘 만들어 주어야 학습만족도가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 넷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참여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인여성학습자는 본인 스스로 참여동기가 높아야 학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직접적효과가 큰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여성학습자가 지각한 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는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한 결과 참여동기는 학습성과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만족도 또한 학습성과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여성학습자들은 교육에 참여하고자 할 때 가까운 곳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의 평생교육기관 운영 지원 및 배려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향후 후속연구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적인 측면에서 각 변인별 다양한 하위영역을 더 반영이 필요하며, 둘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 향후 다양한 지역별 성인여성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대상이나 지역특성에 더 적합한 구체적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성인여성의 생활체육참가가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시흔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여성의 생활체육참가가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여성의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대한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008년 현재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20~50세)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방법(non probabillty sampling) 가운데 편의표집방법을 통하여 270명을 최종 표집하였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여성의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참가정도에 따른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s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연령에 따라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교육수준에 따라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결혼유무에 따라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운동빈도에서만 생활만족 및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계층에 따라 심리적 만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계층에 따라 생리적 만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계층에 따라 환경적 만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성인여성의 생활체육 참가가 사회계층에 따라 생활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participation of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and leisure lives in an effort to help improve women's quality of life and make sport for all more prevailing among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0 women who were selected by non-probability sampling from among female adults in their 20s to 50s who resided in Gyeonggi province as of 2008. SPSS 12.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statistical analyse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were utilized to see i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level in sport for all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Second,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 Third,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Fourth,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workout frequency only. Fifth,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just to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Sixth,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physiological satisfaction only according to social class. Seventh,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just to their environm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Eighth,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adults in sport for al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

      • 성인 여성의 기독교 교육을 위한 관계적 교수-학습모형 연구

        임재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학습자 가운데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성인여성의 발달과 특성을 고려하는 입장에서, 교수-학습모형이 선정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성의 특성을 긍정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성인 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모형으로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는 심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심리적 관점에서는 여성심리학적 연구 가운데 본질주의의 입장에 속하는 벨렝키와 길리건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의 인식형태와 도덕판단 형태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여성은 대화와 경험을 통한 관계를 중시하며, 돌봄과 관계를 강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으로는 가부장적인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와 남녀 불평등이 만연된 사회구조를 살펴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힘든 한국사회의 사회적 상황을 살펴보았고, 신학적 관점으로는 교회체제의 가부장적인 모습과 성서의 남성위주의 해석의 비판과 한계를 통해 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없는 현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성인여성의 특징을 고려한 교수-학습모형이 필요성을 깨닫고, Ⅲ장에서는 교수학습모형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교육학에서의 교수-학습모형을 비롯하여, 기독교교육학내에서의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관계적인 틀로 기존의 교수-학습모형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각각의 교수-학습모형에 내재된 관계적인 측면을 찾아보았다. 관계적인 교수 학습모형의 특징은 ①교수-학습과정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된 교수-학습모형(함께 만들어 가는)의 형태의 특징을 지니며, ②앎과 삶을 연결하여 지적/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교육모형의 특징을 지닌다. 또한 ③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목소리를 존중하고, 그것을 교육내용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지닌다. ④의심보다는 신뢰를 강조하며, ⑤대화를 통한 관계성 형성과 발전을 중시하는 교수-학습모형의 특징을 지닌다. 이밖에도 ⑥열려진 환경에서 학습자의 주체성과 자유를 강조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Ⅳ장에서는 성인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에서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이 추구하는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은 성인 참여자들 사이의 갈등 혹은 성인 교육의 내용에 관한 회의를 긍정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교사와 학습자 및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 사이의 의미있는 대화와 합의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지식의 생성을 그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성인여성들의 구체적, 경험적 언어로 표현되는 목표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내용에는 성인 여성의 개인적 경험, 직관적 판단, 관계와 통합을 반영하는 내용이 필요할 것이다. 교수-학습과정에는 교사, 학습자, 주제 내용과 환경 사이의 상호관계를 강조하므로 교사와 학습자에 의해 교수-학습과정이 공유되는 연결된 교수법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을 기독교교육내에서 성인여성에게 적용하는데 있어 한계점 및 비판점을 살펴보았다.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이 돌봄과 여성의 경험과 대화만을 강조하기 때문에 자신을 비판하는 상황 가운데서는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성인 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에서 이러한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이제대로 활용되기 위하여 보완하고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보았다. 성인 여성의 다양한 특성이 드러나도록 다양한 목소리를 개발하고, 자신을 비판하는 상황가운데서도 강한 목소리를 키워주기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의 특징과, 보완 발전해야 하는 부분을 적절히 활용하여 재구성해 본 것이다. 느끼기.만나기-나누기-공감하며 조율하기-다양하게 표현하기-함께 행동하기의 단계를 통하여 성인 여성이 기독교교육현장에서 자연스럽게 변화되고, 관계적인 교육을 받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계적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연구는 성인여성의 발달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교수-학습모형에 대한 유익한 통찰력을 제공함을 밝힌다. This is the study to specialize teaching-learning model so as to understand the immanent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numbering over half of christian education learner.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adult women, this thesis present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affirmatively. This thesis consider adult women from psychological, social and theological standpoints. In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is thesis make an analysis of cognitive pattern of adult women, focusing on Mary F. Belenky's and Carol Gilligan's research based on essentialism in women's psychology. From this analysis, we become aware of characteristic of adult women that regard conversation and connection as important. In a social point of view, this thesis analyze patriarchal structural contradiction of korean society. In a theological point of view, this thesis say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too masculine. In chapter III, re-examining the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immanent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is discovered to have been ignored or misunderstood all the while in the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From this analysis, this thesis critically reflect upon a problem that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have.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have six characteristics ① teaching and learning are inseparable ② this models regard connection of knowing and living as important ③ it pay regard to various voices based on experience of learner ④ it prefer trust to doubt ⑤ it develop human relationship through friendly conversation ⑥ it give emphasis to independence of learner in condition of open environment. The chapter IV provide educational purpos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pursue. The principal purpose of connected teaching-learning is meaningful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o overcome discord in adult participant. this chapter mainly states that the above-mentioned 'educational purpose' should be sufficiently considerated condition and circumstance of learner. Also, the chapter IV look into the bounds and critique of application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to adult women in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system. In chapter V, this thesis try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It present necessity of various voice to prove specific character of adult women. Through six steps(awareness. ncounter-sharing-sympathy.tuning-various expression-action all together), adult women are transformed spontaneously. In conclusion, connected teaching-learning model come in useful to develop insight into christian education for adult women.

      • 성인 중기 여성의 자아정체성 회복을 위한 기독교 교수-학습과정 연구

        안정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인 중기에 여성들은 자신의 유한성을 인식하는데서 오는 실존적 불안과 가족관계의 변화로 인한 역할 감소 등으로 인하여 나는 누구인가? 나는 앞으로 무엇을 위하여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라고 하는 자신의 정체성과 이제까지의 삶의 구조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되는 위기를 겪는다. 이는 성인 중기 여성이 자신의 가치와 정체성을 남성과 가족관계를 통해 발견하고자 했던 타인 중심적인 성향에서 비롯된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관계지향 동성에서 벗어나 하나님 앞에서 자아정체성을 추구할 수 있기 위한 기독교교육이 교회에서는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중기에 자아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여성을 위해 신앙 공동체를 통한 효과적인 교수-학습과정을 연구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학습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Jung, Erikson 그리고 Levinson의 성인 중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성인 중기 여성들이 갖고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 문화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성인 중기 여성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성에 대한 인식방법과 도덕판단 형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여성들은 자아인식의 문제 있어 타인과의 관계성과 보살핌을 우선시 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이 인생의 커다란 전환점인 성인 중기에 겪는 자아정체성의 위기는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존재로서 하나님과 자아 그리고 이웃과의 관계 안에서 존재하는 관계적 존재이며 또한 그러한 관계적 맥락 안에서 책임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 책임적 존재라는 이해를 통하여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무비판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전형적인 기독교교육 방법은 성인 중기 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효율성 뿐만 아니라 적절성에 대해서도 재조명의 필요성을 갖게 한다. 따라서 성인 중기 여성의 자아정체성회복을 위한 신앙공동체 안에서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과정은 자신들의 다양한 “개인적 경험”과 그러한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직관의 판단”그리고 “관계적인 앎”이라는 인식 형태에 주로 의존하는 여성들을 학습자로 삼고 있는 기독교 교수-학습과정이 요청된다. 이 같은 성인 중기여성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과정의 형태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인간 경험의 다양한 양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 뒤에 어떠한 이해와 해석이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맥락에서 가장 성서적인지를 찾아내고 밝혀 보게 하는 -삶과 앎을 자신의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연결하게 하는- 해석학적 교수-학습과정, 자신의 풍부한 삶의 경험, 지혜들을 토대로 한 관계적인 맥락속에서 위기를 극복하며,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게 하는 담화적 교수-학습과정, 그리고 다양한 신학적 상징을 통해 참여자들은 아픔을 주는 현실 구조에서 분리되어 중간기적 변이를 경험함으로써 과거보다 건강한 상태가 되어 사회로 재통합할 있는 예전적 교수-학습과정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self-identity recovery in mid life women. Mid life women has an underlying order in the progression of our lives as three i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review of earlier concepts in dealing with the mid life women includes the studies by Carl G. Jung, Erik H. Erikson and Daniel J. Levinson. The autjor also inquired an psychology of women by C. Gilligan and M. Belenky, which is related to women's experiences and stories revolving around a feminist standpoint. The author emphasizes importa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timacy, care and attachment in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also includes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from such factors a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cultural characters. This thesis, points out a critical point that the above theories have as a narrative hermeneutical christian education for adult women. The reason is that the stages or ways of women's self-formation show each different kind of education is needed according as in which stage as adult woman is. Narratives as the contents and a connected teaching an experience-based teaching, or hermeneutics - imagination - using teaching, and a dialogue- stimulating teaching. Narrative hermeneutical christian education for adult women needs the mature christian self-formation as object, christian narratives and individual This thesis shall be helpful as basic sources to a theoretical study and to education. In particular it will be useful for ceremony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여성성인학습자 특성유형과 학습참여요인 및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민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평생학습에 참여한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과 학습참여요인 및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생학습 참여경험이 있는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을 독립변인으로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영향력을 탐색하고자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연령,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 삶의 질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은 삶의 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가? 이다. 조사대상은 부산 전지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누어 20세이상 60세미만 여성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717부를 배포하고 결측치를 제외한 최종 68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은 학력, 배우자, 자녀,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학습참여요인의 참여동기는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참여저해요인은 연령,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습성과인식은 배우자,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삶의 질은 학력, 배우자, 자녀, 직업,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의 참여동기, 학습성과인식은 삶의 질과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습참여요인의 참여저해요인은 삶의 질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학습자특성유형, 학습참여요인, 학습성과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업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다. 삶의 질에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학습성과인식의 신체적영역, 가정생활영역, 사회활동영역, 학습자특성유형의 학습애착, 학습효능감, 학습참여요인의 목표지향동기, 성향적저해요인, 상황적저해요인의 순이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유형인 배움의 즐거움과 관심도의 유지 및 강화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습과 관련된 정보파악의 용이성 및 활용도를 높이고, 연령을 기본 축으로 각 발달단계상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생애맞춤형 학습프로그램의 통합적이며 전략적인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를 높이기 위해 맡은 역할의 전문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적응을 돕는 공인자격증 및 평생학습의 기회제공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저해요인을 낮추기 위해 구조적 역량개발 및 일과 학습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노력이 상설화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성인학습자의 체력 증진, 외모의 변화, 가족관계, 인맥형성, 대인관계의 활성화 등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이고 질 높은 프로그램의 기획 및 연구개발을 기대한다.

      • 여성 성인주기별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이에리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면은 인체의 기능을 최적의 수준으로 회복하고,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킨다. 또 수면은 에너지를 충전시켜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며, 일상생활과 업무를 수행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건강증진에 있어서 수면의 질은 대단히 중요하다. 여성의 수면을 살펴보면 연령 변화에 따라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 성인 전기에는 다양한 대중매체의 발달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생활 패턴이 달라지면서 수면시간이 변화되고, 결혼과 임신, 분만 및 육아로 인해 효과적인 수면을 취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으며, 성인 중기에는 폐경기에 접어들어 여성의 호르몬 변화로 인해 불면증을 경험한다. 성인 후기에는 노화에 따른 수면 양상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잠자리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실제 수면시간은 감소하고 깊은 잠을 자지 못해 수면의 질을 방해한다. 이와 같이 여성의 연령에 따른 생리학적인 변화와, 더 나아가서 사회 구조의 복잡함과 인터넷 등의 발달로 인해 수면시간이 불규칙해지고 이에 따라 여성의 성인 주기별로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수면 문제는 더욱 많은 관심이 필요한 부분이며, 간호학적 측면에서 수면에 대한 접근은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 여성의 수면의 질이 어떠하며,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서 여성의 수면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3교대 근무자를 제외한 여성을 대상으로 병원, 학교, 노인정, 복지관, 교회, 공원 등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4년 4월 17일부터 5월 9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일반적 특성 22문항과 수면의 질에 관한 9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면의 질에 사용된 도구는 Buysse 등(1989)이 개발한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의 10문항(하부 영역별 항목 24문항)을 윤종철(2003)이 번안한 것 중 수면의 질 점수에 포함이 되는 9문항(하부 영역별 항목 18문항)을 채택하여 사용하여 측정한 것으로, 측정 점수가 낮을수록 수면의 질이 좋음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ANOVA, 다항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0.78세로, 18-39세가 52.83%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기혼 55.98%, 학력은 고졸 43.70%, 월수입은 200만원이상-300만원미만 27.28%, 직업유무는 직업이 있는 경우 41.20%, 직업형태는 낮 동안의 정규직 82.85%, 종교가 있는 경우 72.07%였고, 동거유형은 미혼자녀와 사는 경우가 38.26%로 가장 많았다. 건강관련사항은 자가 보고한 신장과 체중에 근거하여 산출한 BMI는 25미만(정상)이 87.07%,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64.02%,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이 없는 경우가 68.26%, 질환의 개수는 1가지 17.61%, 질환의 종류로 고혈압 16.23%, 복용중인 약물이 없는 경우 74.89%였고, 낮 동안의 활동정도는 적당하게 한다 75.22%, 취미생활을 하지 않는 경우 56.52%, 운동유무에서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74.02%였다. 커피섭취유무는 마시는 경우 72.07%, 흡연유무는 흡연상태가 아닌 경우 97.93%, 음주 유무는 마시지 않는 경우 63.91%였다. 월경상태는 규칙적으로 월경을 하고 있는 경우 58.44%, 호르몬제를 투여 받고 있지 않는 경우 95.54%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수면양상 평균수면시간은 6.45±1.19시간으로, 6-7시간 42.39%, 잠들 때까지 걸린 시간은 15분 이하 56.20%, 취침시간은 0시-1시 이전 60%로 가장 많았고, 기상시간은 6.45±1.18시로, 6시-7시 이전 38.80%, 낮잠유무는 낮잠을 자지 않는 경우 66.52%, 낮잠시간은 81.88±48.47분으로, 30분 이하가 76.96%였고, 잠자리는 침대 54.57%였고, 동침자가 있는 경우 6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수면의 질 대상자의 수면의 질 점수는 21점 만점에 평균 5.22점, 수면의 질의 하부 영역별 점수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1.04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체 대상자 중 수면의 질이 양호한 대상자 62.30%, 연령별 수면의 질은 수면의 질이 양호한 대상자 18-39세는 62.55%, 40-59세는 66.32%, 60세 이상은 53.15%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전기 대상자 중 수면의 질 점수는 기혼 여성 4.64점으로 미혼 여성 5.45점보다 낮아 수면의 질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연령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대상자의 연령별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은 전체 대상자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연령(p=.000), 결혼상태(p=.000), 학력(p=.000), 월수입(p=.000), 직업유무(p=.005), 동거유형(p=.04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련사항 중에서 지각된 건강상태(p=.000), 질환유무(p=.000), 복용약물유무(p=.000) 운동유무(p=.013), 흡연유무(p=.045), 월경상태(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환별 수면의 질을 보면 질환을 3가지 가지고 있는 경우 7.36±3.1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질환의 개수에 따른 평균수면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성인 주기별 수면의 질을 살펴보면, 18-39세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결혼상태(p=.001), 학력(p=.000), 동거유형(p=.0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련사항 중에서 지각된 건강상태(p=.000), 질환유무(p=.000), 운동유무(p=.002), 흡연유무(p=.026), 음주유무(p=.002), 월경상태(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0-59세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없었으며, 건강관련사항 중에서 지각된 건강상태(p=.000), 질환유무(p=.000), 복용약물유무(p=.001), 호르몬제투여유무(p=.04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0세 이상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결혼상태(p=.013), 월수입(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관련사항 중에서 BMI(p=.041), 지각된 건강상태(p=.003), 질환유무(p=.002), 복용약물유무(p=.02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연령별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반적 특성 가운데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만을 선택하여 각 연령별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18-39세의 경우 건강상태(p=.000), 운동유무(p=.010), 음주유무(p=.028), 40-59세의 경우 건강상태(p=.000), 60세 이상의 경우 결혼상태(p=.022), 건강상태(p=.04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 교육적 측면 여성 성인 주기별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해 성인 전기, 중기, 후기 대상자들에게 인지시키고, 수면 방해 요인을 감소시키며, 수면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 실무적 측면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간호 실무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이 수면에 대한 중재를 수행할 때 여성 성인 주기별 연령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본 연구결과 성인 연령별 모든 대상자에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보고되었으므로, 여성의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3. 간호 연구적 측면 여성 성인 주기별 수면의 질의 정도와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 관해 다양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반복, 비교연구가 필요하며, 지역사회 여성을 대상으로 한 수면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leeping quality of the women in diverse age groups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leeping quality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women's sleeping quality. For this purpose, 920 women aged 18 or older were sampled from hospitals, schools, elderly houses, welfare centers, churches and parks in Seoul city and Kyonggi province. Those female workers subject to a three-time shift system were exclude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7 to May 9, 200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31 question items: 22 item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9 ones about sleeping quality.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developed by Buysse, et. al., (1989) and translated by Yun Jong chul (2003) was adapted to this study. The lower an item scored, the better the sleeping quality wa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AS ver. 8.2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SDs,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40.78, while those aged between 18-39 accounted for 52.83%, those aged between 40-59 for 31.63%, and those aged 60 or older accounted for 15.54%. 55.98% married, 43.70% of the subjects had graduated from high schools, and 27.28% of them were earning between 2 and 3 million wons a month. 41.20% of the subjects had a job, and 82.85% of them were regular workers. 72.07% of the subjects had a religion, and 72.10% of them were Christians. 38.26% of the subjects were living with unmarried children. As a consequence of estimate the BMI values one self reported heights and weights, 87.07% of the subjects scored less than 25 of BMI, and 64.02% of the subjects felt that they were healthy, and 68.26% of them had no conspicuous disease. 17.61% of the subjects were suffering from a single disease, and 16.23% of them were suffering from high blood pressure. 74.89% were not being medicated. On the other hand, 75.22% of the subjects were engaged in optimal level of activities during the day, and 56.52% of them had no hobby. 74.02% of them were not exercising, and 72.07% of them were drinking coffee or other beverages. 97.93% of the subjects did not smoke, and 63.91% of them did not drink liquor, and 58.44% of the subjects were menstruating regularly, and 95.54% of the subjects were not medicated by any hormone. 2. Subjects' sleeping conditions Subjects' average sleeping time was 6.45±1.19. 42.39% of the subjects were sleeping for 6-7 hours a day. 56.20% of them fell asleep in 15 minutes. 60% of the subjects slept before one o'clock in the morning, and their average waking time was 6.45±1.18 o'clock. 38.80% of them woke up before 7 o'clock in the morning. 66.52% of the subjects did not take a nap, and the average napping time was 81.88±48.47 minutes. 76.96% of the subjects took a nap for less than 30 minutes. 54.57% of them were sleeping on bed, and 64.02% of the subjects were sleeping with others on the same bed or in the same room, 3. Subjects' sleeping quality Subjects' average sleeping quality scored 5.22. In view of areas, their subjective sleep quality scored the highest 1.04, and 62.30% of the subjects were judged as having a good sleeping quality. In view of age groups, 62.55% of the subjects aged between 18 and 39 scored high in sleeping quality, 66.32% of the subjects aged between 40 and 59 scored high, and 53.15% of them aged 60 or older scored high in sleeping qua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young adulthood subjects sleeping quality, the married women scored 4.64, lower than unmarried women who scored 5.45, which means that married women's sleeping quality is better. 4. Sleeping quality depending on subjects age group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subjects' sleeping quality were as follows; age (p=.000), marital status (p=.000), academic background (p=.000), monthly income (p=.000), job (p=.005), type of living together (p=.047), health condition (p=.000), disease (p=.000), drug(p=.000), exercise(p=.013), smoking(p=.045), condition of menstruation(p=.000). On the other hand, three levels of sleeping quality could b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seases 7.36±3.14, which means that sleeping qual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seases. (p=.001) In view of age group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group aged between 18 and 39 were marital status(p=.001), academic background (p=.000), type of living together (p=.010), health condition(p=.000), disease(p=.000), exercise(p=.002), smoking(p=.026), drinking(p=.002) and condition of menstruation (p=.001).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group aged between 40 and 59 were type of bed(p=.021), health condition(p=.000), disease(p=.000), drug(p=.001), medication of hormone (p=.047).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group aged 60 or older were marital status(p=.013), monthly income(p=.0027), BMI(p=.041), health condition (p=.003), disease(p=.002) and drug(p=.023). 5.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leeping quality on subjects age groups As a result of th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for each age group by selec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leeping quality significantly,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group aged between 18 and 39 were health condition (p=.000), exercise(p=.010) and drinking(p=.028), the factor for the group aged between 40 and 59 was health condition(p=.000), and the factors for the group aged 60 or older were marital status (p=.022) and health condition (p=.045).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s 1. Aspects of nurs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young, middle-aged and old women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ir sleeping quality by age group and develop a nursing education program whereby the factors disturbing women's sleeping can be reduced and their sleeping quality can be improved. 2. Aspects of nursing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eemed required of the nurses to adopt efficient approach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dult women's age group when they attempt to intervene in those women's sleeping problems. On the other hand, since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common factor affecting women's sleeping quality across their all age groups was health condition, it is also required of the nurses to use individualized and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s in consideration of women's health conditions to improve their sleeping quality. 3. Aspects of nursing resear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repeatedly and comparatively analyze adult women's sleeping quality by age group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by sampling more diverse adult women and thereby,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women's sleeping quality and tes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