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격유형과 여가활동과의 관계

        김명기 순천향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그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인 여가태도와 여가기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대학생들이 보다 나은 형태의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의 착수에 들어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 여가기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충청남도 A시 S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MBTI (Myers-Br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검사를 받은 학생들 37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351명의 자료를 회수 하였고, 그 중 응답 내용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자료 13부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제 분석인원은 총 338명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성격유형과 여가활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MBTI(Myers-Br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검사와,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태도, 여가기능은 원형중(1989), 방지선(1996), 김경태(1996), 박수정(1994), 홍석표(2001)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예비검사를 통하여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다음 본 조사 설문지로 완성하여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태도와 기능의 관계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성격유형과 여가활동과의 관계>라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학생에게 배포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i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사전에 설문지에 관하여 교육받은 보조 조사원이 표집대상 기관을 방문하여 해당기관 관련자의 협조를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 Cronbach' α를 이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i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Ver. 12.0를 사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iysis), 신뢰도분석(Reliabillity),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t 검증(t-test), F 검증(Analysis Of Variance : ANOVA) 등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여가태도의 하위척도인 정의적 여가태도와 행동적 여가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기능의 하위척도인 여가조절, 여가심취도, 여가욕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여가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기능의 하위척도인 여가심취도에서 p<.05*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에 따른 여가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가기능 하위척도에서 여가자신감 p<.001***이 나타났고, 여가조절 p<.05*, 여가 심취도에서는 p<.01**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참여 횟수에 따른 여가태도의 하위척도인 정의적태도는 p<.01** 이며, 행동적 여가태도에는 p<.000***으로 나왔다. 여가기능의 하위적인 여가조절 p<.05*, 여가심취도 p<.000***으로 나타났으며, 여가욕구 p<.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태도하위척도인 정의적태도 p<.000*** 이며, 행동적 여가태도에는 p<.000***으로 나왔다. 여가기능의 하위적인 여가자신감 p<.01**, 여가조절 p<.05*, 여가심취도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식기업 조리사의 성격유형이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을 조절변수로

        장동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Foodservice industry is highly depend on human resources. The human resource is very important,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business, and it can be a financial mean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In other words, relationship of corporate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is always coexist complementarily. Because develop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rapidly and the natural publicity of the mass media. that is recognized culinary as one of the jobs that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However, turnover rates and even lower-level employees are significantly high, which is a major impediment to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and foodservice industry. It is reported that many competent chefs leave the organization because of irregular working, nonstandard working hours and long working hours, which are perceived as an industry that sacrifices their own family and personal life. Due to the job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as occupational groups with a high risk of being exposed to exhaustion. Excessive work has been reported to be consiste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negative impacts such as depression and physical fatigue as well as personal health problems, decreased productivity, negative work attitudes such as increased turnover, and reduced job performance. As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t the MOT between chefs and consumers in a foodservice business. Because of Policy consideration for them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us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big5)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erformance. Also, in the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the foodservice industry has difficulties in differentiation and has a high reliance on human resources. In many cases, the evaluation of the foodservice business depends on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to the customer. Therefore, it is time to provide sufficient organizational support for employees including internal customers, such as chef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otional labor effects on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of foodservice business chefs an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organizational support as a control variabl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concept of personality type(Big5),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exhaus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are summariz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and the model and hypothesis of this study are set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studies. Five variables a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type of personality(Big5) of the chefs in the foodservice business is the independent variable, emotional labor is the parameter, and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are the 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was set as a control variab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SmartPLS 3.4 after data cleaning.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by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sample secured for the empirical study, the personality type(Big5) of the chefs of the foodservice busi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 labor, the job stress and the job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emotional labor,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verified to be the controlling factor affecting emotional labor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Big5) and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at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Big5)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prevent emotional labor problem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Big5) was re-evaluated by applying to the chefs of the foodservice business. The emotional labor problem was prov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emotional labor by applying the approach through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mployees and contribut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theory. Second,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utilize personnel and management strategy for new recruitment, internal training and management of employees, and emotional labor problem solving and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internal customers And that it is an important preventive factor. Third, the managers of the foodservice business should set up various alternatives for employees who perform emotional labor. It is necessary to know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mployee in adv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lternatives that can share the duties and evaluate the job. Fourth, as has been verified, if proper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ie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Big5) are emotional labor problem can be efficiently access. In addition, it will help to stabilize the foodservice industry by enhanc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foodservice business and increase the profits. Moreover, it is thought that the domestic foodservice market can be developed steadily in various forms. 조직(組織)이란 개인의 능력만으로는 완수할 수 없는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사람들의 협동·수단·시스템(체계)을 말한다. 개인은 조직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에 불과하지만, 조직의 형성과 소멸에 절대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의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외식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산업이라 할 수 있는 외식기업은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으로, 인적자원의 관리에 관한 중요성은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성과와 직결되며, 내부고객인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재정적, 수단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기업성과와 직원의 만족은 언제나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주방설계시 보이지 않는 독립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는 고객과의 공감과 현장감, 신뢰성등을 부여하기 위해 오픈 주방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그 외에도 기업의 생존과 고객지향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외식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대중매체의 자연스러운 홍보 등으로 조리직군은 상당히 주목받고 있는 직업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자기개발등 현재경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경우가 있는 반면 높은 이직률과 심지어 하급직원들의 경우 전직률이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개인과 외식산업 발전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불규칙한 근무와 비표준화 된 근무시간, 장시간 근무로 인해 가족과 개인생활을 희생하는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직업과의 갈등이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 인해 많은 유능한 조리사들이 조직을 떠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업무의 직무특성으로 인해 외식산업에 종사하는 조리사는 직무소진에 노출될 위험이 상당히 높은 직업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장시간 동안의 노동이나 교대근무는 1급 발암물질에 노출되었을 때와 같은 수준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적정한 노동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한 소진은 우울, 신체적 피로등 개인의 건강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 및 이직증가 등의 부정적인 업무태도, 업무성취도 감소와 같은 조직차원의 부정적인 영향과도 일관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표현해야 하는 감정과 실제 느끼는 감정이 다른 상황이 지속·반복되면 더 많은 피로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외식기업의 조리사는 소비자와의 접점에서 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정책적인 배려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조직 구성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꾸준히 사용되어왔던 여러 요인 중, 개인의 성격특성은 여러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조직성과와 유효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성과예측 변수로서 인정받고 있다. ‘고객지향’만을 전적으로 표방하며 직원에게 사과만을 강요하거나 우선 참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 종전기업들의 분위기였지만, 최근에는 해당직원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들이 다방면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식기업 조리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조직적 지원을 조절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격유형,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 소진, 조직적 지원의 개념을 정리·고찰 하였고, 선행연구와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분석 및 검증을 위해 실증분석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 변수를 사용하였다. 외식기업 근무 조리사들의 성격유형을 독립변수로, 감정노동을 매개변수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을 종속 변수로, 조직적 지원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를 비롯하여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5대 광역시의 특급호텔,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뷔페 레스토랑, 일반 레스토랑, 단체급식업체, 컨세션업체 및 위탁급식업체에 근무중인 조리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과 구글설문지(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21.0 통계 프로그램과 SmartPLS 3.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확보된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외식기업 조리사의 성격유형은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격유형과 감정노동의 영향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는 성격유형에 따라 유의성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지원이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하는 요인임이 검증되는바, 본 연구에서 상정한 가설들의 유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 종사하는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조직지원간의 영향관계 분석과, 성격유형에 따른 조직의 지원은 감정노동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임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 전략적 시사점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앞서 진행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검증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종업원의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과의 인과관계를 외식기업의 조리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재검증하였다. 즉 감정노동문제를 종업원의 성격유형을 통한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감정노동으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실증분석을 통해 증명하여 이론의 일반화에 기여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신규채용이나 사내교육훈련 및 구성원관리를 위한 인사전략과 경영전략을 수립 하는데 적용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감정노동문제 해결이 내부고객인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을 해결 및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외식기업의 경영자와 관리자는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내부고객인 종업원을 위한 다양한 대안들을 수립 활용하기 전에, 종업원의 성격유형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 직무를 분담하고 직무를 평가할 수 있는 대안들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시장에서의 차별화가 어렵고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외식산업의 특성 상,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의해 외식기업의 평가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내부고객인 조리사를 비롯한 종업원에 대한 충분한 조직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종업원의 성격유형에 따라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조직의 지원방안이 효율적인 것으로 검증되었기 때문에, 종업원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의 지원정책 수립과 수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향상으로 이어져 경영성과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 외식산업 전반의 지속적인 성장 또한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하여 검증된 것처럼 외식기업 조리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적합한 조직적 지원 정책을 수립·활용하고, 감정노동 문제에 효율적으로 접근하여 예방 및 대처할 수 있게 된다면, 조리사의 직무만족은 물론 조직 충성도와 심지어 조직시민행동까지 유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또한 외식기업에 근무하는 조리사는 물론 외식기업과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외식시장 형성과 성장에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식기업의 경영성과 제고와 이익 증대를 통한 외식시장 안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외식산업이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추구하고 경쟁력제고는 물론, 글로벌 기업으로 진입하기 위한 외식기업들의 정책수립과 사업방향 설정 및 인력관리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성격유형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허미영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대구지역 D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0-40대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격유형,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간호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근무 특성, 성격유형 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간호사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설문지를 통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근무경력은 25-60개월이 가장 많고 간호사로서의 시간적 여유는 별로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가 이직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점수 3점 이하로 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4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점수 2점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직의도도 5점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점수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사는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지만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이직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세 가지 중심에너지)을 살펴보면, 장형은 직무만족도가 낮을 경우에, 그리고 머리형은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경우에 이직의도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면서 간호사의 성격유형 특성을 고려하는 직무환경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이직의도를 줄이는 것과 관련이 됨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bout work-related stress, job satisfaction, character types and intention of job change of nurses in their 20s to 40s working in D hospital in Daegu. In this study I made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lated 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the nurses and turnover intention and character type. This study looked over how job related stress and job-satisfaction affected turnover intention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related stress and job-satisfaction, and character type and job 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o do this I gathered research materials through the questionnaire, set up turnove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job 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as autonomous variable. My results show that most of nurses are in their 20s and the length of their service is between 25 and 60 months. The large portion of nurses answered that they have good family relationships, while most of nurse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available time for self-improvement, leisure and their family. Their incomes are mostly from 150~200 million won and that family incomes are mostly from 300~350 million won. The nurses who have these demographics are below average in job satisfaction and above average in job related stress, and they are usually eager to turn over. When job satisfaction is high and job related stress is low, the job satisfaction doesn’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more job related stress the nurses have, the more turnover intention they have. It means we have to lessen the job related stress of the nurses for them not to turn over their job.

      • MBTI 성격유형과 직무 만족도의 상관성 硏究 : 반도체 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서동윤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성격 유형별 선호하는 직무와 성격 유형별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또한 성격유형과 직무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종업원의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 직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와 ‘성격 유형별 직무만족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성격 유형별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세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반도체 산업 종사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13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1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는 Locke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을 재구성하여 회사 경영정책, 직무자체, 감독, 동료, 작업조건, 봉급, 승진 등 일곱 가지의 직무 만족요인을 구분하여 총 45문항과 인구통계학적인 변수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문항 척도로 측정된 문항이 동질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었는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간의 내적 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alpha 값을 통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격 유형별 선호 직무와 직무 만족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 검증과 독립표본 T-Test, 분산분석을 통한 F 검증을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체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성격 유형별 선호 직무에 대한 차이를 봤을 때 다른 성격 유형에서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사고형과 감정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성격유형별 직무만족 요인 차이 또한 사고형과 감정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성격유형에서 작업조건이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 유형별 직무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감각형과 직관형에서는 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나, 내향형보다는 외향형이, 감정형 보다는 사고형이, 인식형 보다는 판단형이 직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동일 직무를 하더라도 개인의 성격 유형에 따라 직무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감정형과 사고형의 경우 직무만족 요인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종업원들의 직무배치 및 인력관리 측면에서 성격 유형을 고려한 적재적소 배치와 유형에 맞는 보상을 함으로써 종업원들의 직무 만족도 향상과 기업의 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hat find out the factors which exert influence on personality type preference job and personality type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of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To use a MBTI Test Method for grasping the point of personality type and also reconstruct the causes which can decide on satisfaction of job By Locke for questionnaire. First, it has developed that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in the personality type job satisfaction by employees of semiconductor industry. Second, the difference from factors of personality type job satisfaction only can be found out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And also it has developed that Work condition is most important thing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job in all the type of characters. Third, The result of analysis Which is about personality type job satisfaction are that job satisfaction of Extraversion type is higher than Introversion type, Thinking type is higher than Feeling type and Judging type is higher than Perceiving type,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ensing Type and Intuition typ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n view of the nature of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type This is the employees of the job placement and workforce management takes into account the personality types in terms of place a person with the right talent in the right position and the type of compensation by the employees of job satisfac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believe.

      • 재소자의 범죄·성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 자존감,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권후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인근에 위치한 D, S교도소에서 출소를 앞둔 재소자 250명을 대상으로 재소자의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들과 관련이 높은 사회심리적 요인인 성격,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정서조절을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재소자들은 재산범죄(지능범죄, 절도범죄)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고, 성격유형은 1번 유형과 9번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힘의 중심에서는 행동중심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재소자의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정서조절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평균 이상의 상태로 나타났다. 셋째, 재소자의 범죄유형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요인과의 차이검증에서는 혼인형태, 교육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범죄유형에 따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차이검증에서도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범죄유형에 있어서 지능범죄가 사고, 감정, 행동의 에니어그램 세 가지 에너지를 가장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이 가장 높으며, 정서조절이 가장 잘 되는 반면, 폭력범죄는 사고, 감정, 행동의 에니어그램 성격의 힘의 중심 에너지를 가장 낮게 사용하고 자존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가장 낮으며, 정서조절이 가장 힘들게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출소를 앞둔 재소자의 성격유형,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정서조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격유형, 자존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조절곤란은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범죄유형, 성격, 자존감, 정서조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격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하위변인인 삶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자존감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출소를 앞둔 재소자들은 심리적으로 보통 정도의 안정적인 상태이며, 성격이 범죄유형에 반영되고 있었다. 그리고 각자의 범죄유형과 성격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폭력범죄가 다른 범죄유형에 비해서 자존감,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소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존감, 성격, 정서조절의 영향을 살펴보면, 성격이 출소를 앞둔 재소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소자들은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 때 에니어그램의 세 가지 힘의 중심 에너지(사고, 행동, 감정)를 모두 높게 사용함을 확인하였다(권후선·홍상욱, 2020).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할 때, 재소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일 때는 사고, 감정, 행동의 세 가지 에너지를 골고루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며, 부정적일 때는 이들이 안정적인 자존감을 가지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과학 불안과 학업 성적간의 상관관계 연구 :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병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 science anxiety and science grad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136 students (70 males and 66 females) in the first year of Junior high school. Of the students selected, 77 had a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other 59 had a low science grade. All of these students were chosen from B-Junior High School in C district, Gwang-Ju. Personality-type tests and science anxiety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Gs Form test by Kim Jung Teak and Sim Hyei Suk (1990) was used for measuring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SAMS (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by Lee Jae Chon (1992) was used to measure the science anxiety.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each variable SPSS 15 VERSION for Windows was used. The average of each rank of a mid-term exam and a final exam was used for the science grade. In order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anxiety, science grade and personality type, the following was examined: 4 different preference tendencies, 4 function types and 4 temperament types. The gender difference was analyzed with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different preference tendencies - E-I indicators, S-N indicators and J-P indicators - could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tendency and science anxiety, and preference tendency and science grade. The level of science anxiety depends on the preference tendency. Low-level students had a low preference with E-types and J-types. This is caused by E-type students being more willing to communicate, and J-type students having a clearer understanding of directions. Second, the science grade depends on the preference tendency. The N-type and T-type students had a high science grade. Third, it was found that different function types - NT indicators (males and females), ST indicators (males) and SF indicators (females) - could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function types and science anxiety, and function types and science grade. The science anxiety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ased on the function types. Fourth, the science grade depends on the function types. The NT-type students had a high science grade. Fifth, it was found that different temperament types - NT indicators, SJ indicators, and SP indicators (females) - could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types and science anxiety, and temperament types and science grade. The science anxiety depends on the temperament types. The NT-type students had a low science anxiety, and SP-type students had a high science anxiety. Sixth, the science grade depends on the temperament types. The NT-type students had a high science grade, and SP-type students had a low science grade. Seventh, i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cience anxiety, and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cience grade, there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ased on either the gender or level of students. However, this could possibly be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ents sampled. Closer observation revealed that a high proportion of high-level NT-type students had low science anxiety and a high science grade. Conversely, there were only very few low-level NT-type students who had high science anxiety and a low science grade. Based on this, it appears that high-level NT-type students for the most part are interested in a logical and analytical approach to determine facts objectively. For the same reason, low-level students of the same personality type appear highly unstable, thus resulting in higher science anxiety and a lower science grade. Thus, some special personality types of MBTI were related to the science anxiety and science grade. Accordingly, if we know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students, then science anxiety will be decreased and their science grade will improve. In other words, it is not sufficient for teachers to hold rigidly to single-level or even multi-level education methods which are based solel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personality type of individual students also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f possible, I suggest structuring the class arounds. Even if the class size is large, I hope that a development-type teaching method with varied questioning, modelled according to student personality types, will be a big help in reducing science anxiety and improving the science grade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가진 성격유형에 따라 과학불안과 학업 성적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C지역 B중학교 1학년 6개 학급의 상위 30%(77명) 학생들과 하위 30%(59명)에 해당하는 학생들(남학생 70명과 여학생 66명)로 총 136명이다.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검사, 과학불안도 검사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성격유형 검사는 김정택, 심혜숙(1990)에 의해 표준화 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검사지 Gs Form을 사용하였으며, 불안도 검사는 이재천(1992)에 의해 개발된 측정도구인 SAMS(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윈도우용 SPSS 15 VERSION을 이용하였다. 과학 학업 성적은 1학기 중간시험과 기말시험을 더한 순위를 사용하였다. 성격유형의 4가지 선호지표, 4가지 기능유형, 4가지 기질유형 각각에 따른 과학불안도와 과학 학업성적 사이의 상관관계와 이것들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지표에 따라서는 외향-내향(E-I), 직관-감각(N-S), 판단-인식(J-P)지표가 과학불안과 과학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이 있었다. 선호지표에 따른 과학불안은 하위 학생에서 외향형(E)과 판단형(J)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외부와 소통을 통해 풀어내고 분명한 목적과 방향성을 가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선호지표에 따른 과학 학업성적은 전체적으로는 직관형(N)과 사고형(T) 학생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능유형에 따라서는 직관적사고형(NT, 남학생과 여학생)과 감각적사고형(ST, 남학생), 감각적감정형(SF, 여학생)이 과학불안과 과학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이 있었다. 기능유형에 따른 과학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넷째, 기능유형에 따른 과학 학업성적은 전체적으로 직관적사고형(NT)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질유형에 따라서는 직관적사고형(NT)과 감각적판단형(SJ), 감각적인식형(SP)이 과학불안과 과학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유형에 따른 과학불안은 전체적으로 직관적사고형(NT)이 낮고 감각적인식형(SP)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질유형에 따른 과학 학업성적은 전체적으로 직관적사고형(NT)이 높고 감각적인식형(SP)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격유형의 각 영역에 따른 과학불안도와 과학 학업성적을 상하위 학생별 및 성별로 비교해본 결과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것은 다영역비교에 따른 표본수 감소로 인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질 수 없는 한계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주목할만한 사실은 성격유형의 기능유형과 기질유형 모두에서 상위 학생의 경우 직관적사고형(NT)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높고 과학불안이 낮고 과학 학업성적이 높은 경향성을 나타냈으며, 하위 학생의 경우 같은 유형 학생의 비율이 매우 낮고 과학불안이 높은 반면 과학 학업성적이 높은 경향성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것은 직관적사고형(NT)이 미래지향적이고 의미를 추구하면서도 주로 진실과 사실에 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사실을 판단하는 특성 때문에 상위 학생의 경우 과학불안이 낮고 과학 학업성적이 높은 반면 하위 학생의 경우 같은 특성으로 인해 과학불안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학생들의 성격유형의 특정 유형이 과학불안과 과학 학업성적과 상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학생들이 가진 성격유형을 아는 것이 학생의 과학불안을 줄이며 과학 학업성적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바꿔말하면 한 가지 형태로 기획된 수업방식이나 수준별 교육만으로는 학생들이 가진 개인차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할 수만 있다면 성격유형별 이동 수업 등을 제안해보고 싶지만, 현재의 다인수학급의 상황을 고려해볼 때, 다양한 발문과 유형이 혼재하는 유형별 수업방식이 계발된다면 학생들이 과학에 대해 갖는 불안을 줄일 수 있고 더불어 과학 학업성적의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남겨본다.

      • 담임교사와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담임교사에 대한 신뢰감 차이

        손성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personality types of homeroom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o examine the interpersonal trus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hich have a general influence on their school liv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tudent's personality on the interpersonal trust in relation to the personality types of homeroom teachers and their students.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st building of homeroomteachers and his/her student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2) Do background variables and personality types of teachers andstudents have an effect on their trust building?(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st levels between teachers andstudent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the personality types ofhomeroom teachers and their students?Objects of this study were 1,202 students and 36 homeroom teache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from 6 middle schools in Gangseo educational district in Seoul. A Jang Su-hyung's adaptation(1983) from Framingham Type Scale was used as the index for measuring personality type, and an Yun Ju's adaptation(2001) from Wilson & Carroll (1991) was used as the index for measuring trust test. SPSS 12.0 was applied to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d Cronbach's α, t-test, One-way ANOVA, Sch?ff? post-hoc test, Two-way ANOVA were also used when necessary.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case of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s, there was little gap of distribution between type A and type B students. On the other hand, comparatively many male teachers were distributed in type B, and female teachers in type A.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rust building between homeroom teachers and his/her student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ir personality types, developmental stages and sex of teachers.Thir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trust level in relation to personality type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hypothesis that personality types would influence on the trust level was not supported.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nterpersonal trus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ccording to students' preference of specific sex for their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personality types(p<.05).Fourth,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an identify of sex and personality typ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 trust building. The hypothesis that same sex and same personality typ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ould influence the trust level was not supported.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trust level when teachers and students have nonidentical personality type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ir personality types are same. Therefore, a positive and promotive commun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build a good interpersonal trust between type B teachers and type A stude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However continuous researches on students' personality can help their positive relationship building and development.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에 갖는 신뢰감이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신뢰감을 담임과 담임 반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관련지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학생들과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생과 담임교사간 신뢰감 형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들과 담임교사의 성격유형이 학생과 담임교사간의 신뢰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생과 담임교사 성별과 성격유형의 일치여부에 따라 학생과 담임교사간의 신뢰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교육청 관내 6개 중학교 1,2,3학년 각 2개 학급의 학생 1,202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격유형과 신뢰감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여기에 사용된 성격유형 검사지는 Framingham성격유형척도를 번안한 척도(장수형, 1983)를 사용하였고 신뢰감검사는 Wilson과 Carroll(1991)에 의해 만들어진 신뢰감 검사지를 번안한 척도(윤주, 2001)를 5단계 평정척도로 만들어 사용하였다.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Cronbach's α,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ff?의 사후검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조사결과 성격유형의 분포는 학생은 남·여별 A·B유형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경우 남교사는 B유형, 여교사는 A유형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였다.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성격유형별, 발달차이별, 교사의 성별에 따라 여러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둘째, 학생들과 담임교사에 대한 선호성별과 학생의 성격유형 특성에 따른 담임교사에 대한 신뢰감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5).셋째, 학생과 담임교사의 성별과 성격유형의 일치여부에 따라 학생과 담임교사간의 신뢰감 수준의 차이가 있으리라 기대되었던 것 중에서 성별이나 성격유형이 같을 때 다른 경우에 비해 신뢰감 수준에 차이가 있으리라 기대하였던 것은 의미 있는 차이가 나오지 않았다.결론적으로 학생과 교사의 성격유형이 일치할 경우에 신뢰감은 유형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성격유형이 다른 경우에는 신뢰감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A유형 학생들의 B유형 교사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와 학생간의 긍정적인 높은 수준의 촉진적 의사소통이 사용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나 본 연구와 같은 성격의 특성적 접근에 의한 연구뿐만 아니라 관계적 접근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로 학생과 담임교사간의 관계형성의 긍정적 발전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고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학생들의 성장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남경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parents' learning skills through which they can help their children improve academic competence. It also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structure this education program, existing studies on the parental role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parents' support fo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for learning skills have been reviewed. 256 parents liv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were asked to review the questionnaires on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ts procedures as well as their formal experience in parent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a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The final program called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Learning Skill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ized U & I personality-learning type test.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help parents acquire sub-learning skills such as management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exam skills. It was composed of 11 weekly sessions, with 10 subjects whose children are in 5th or 6th grade.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pre and post tests of learning skills, the level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observer's reports were examined. In order to guide parents to support children with skills, the participants were trained to acquire specific learning skills specialized for each typ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ough Wilcoxon signed-ran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ogram had an impact on the parents' learning skills significantly. The participants' learning skills improved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management skills and motivation skills, 2) Parents' learning skill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learning skills. In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personality-learning types and adjust their parenting behaviors to promote their children's learning skills. 본 연구는 자녀의 학업성취가 가족 전체의 삶에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그 출발점으로 하였다. 부모-자녀의 학습성격유형 이해를 통해, 학령기 자녀와 갈등을 줄이고, 자녀의 학습지원 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부모역할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녀의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는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학령기 자녀의 부모역할, 학업과 관련된 부모의 학습지원행동, 학습기술을 적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 등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요구도 조사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56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실시방법, 이전 부모교육 경험여부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와 요구도를 바탕으로 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비실시 하였으며, 예비실시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5·6학년 자녀를 둔 1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총 11회 동안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연구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기술 사전·사후 검사, 프로그램 만족도, 관찰자의 보고 등을 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성격유형별 학습기술 지도를 위해, 부모-자녀의 U&I 학습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였고, 유형별로 학습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요구도 조사에서는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다형 질문문항에 대한 응답빈도를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학습기술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자녀 학습기술 차이를 검증할 수 있는 비모수검정의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구도 조사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자녀의 성격에 맞는 학습방법과 자녀학습지원을 위해 자녀학습 기술지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프로그램 목표에 대한 질문에서도 자녀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찾거나 자녀에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부모교육프로그램에서 다루어 주었으면 하는 내용으로는 학습성격유형, 주의집중력, 관리기술과 학업동기, 기억기술과 읽기기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요구도와 선행연구의 고찰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예비실시를 거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여 부모들이 구체적인 학습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준화된 진단검사인 U&I 학습성격유형 검사 결과를 부모교육에 활용하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부모와 자녀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각각의 학습성격유형에 적합한 학습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했다. 특히 본「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학습기술의 하위요소인 관리기술, 정보처리기술, 시험치기기술 등을 부모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육은 강의 및 훈련을 통한 학습 및 실습, 과제 제시 방법 등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회기별 프로그램 주제는 다음과 같다.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소개와 프로그램의 참여동기 부여를 부여하였다. 2회기는 자신과 자녀이해로 학습성격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유형에 맞는 학습방법 교육을 교육하였다. 3회기에는 학습환경관리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부모역할에서 학습지원과 관련하여 환경관리방법에 대한 교육하였다. 4회기는 시간관리기술로 효과적으로 시간을 관리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하였다. 5회기에는 읽기기술로 글을 읽을 때 단계별로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방법(SQ3R)을 교육하였다. 6회기는 기억기술로 학습상황에서 기억력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기억력 향상방법 훈련하였다. 7회기는 쓰기기술을 말로 하는 설명이나 칠판에 쓴 내용을 노트에 옮겨 적거나, 학습자가 읽고 난 후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노트에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을 교육 하였다. 8회기에는 긴장이완기술은 공부 및 시험 성적에 대한 학생들의 긴장과 불안을 다루는 기술로써, 이완 을 통하여 부모자신이 편안함을 경험해보도록 훈련 하였다. 9회기 시험치기기술에서는 시험 준비 방법, 시험문제를 읽고 답을 적는 요령, 답을 쓴 다음 정답여부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기술, 시험불안을 이기는 여러 가지 훈련을 실습하였다. 10회기 집중기술에서는 자녀의 학습집중을 방해하는 요인을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훈련하였다. 11회기는 마무리 단계로서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양적평가와 내용평가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부모의 학습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습기술이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낮은 사람은 없었으며, 학습기술 향상을 요인별로 보면 정보처리기술, 관리기술, 동기기술 등이 향상을 보였다. 둘째, 자녀의 학습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부모의 학습기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학습기술을 얼마나 잘 익히고 소화했느냐에 따라 자녀의 학습기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자녀 학습지원을 위한 부모역할 행동에 부모들의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자녀의 학습성격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유용함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성격유형을 고려해서 개발한「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활용하여 자녀의 학업성취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와의 갈등도 줄일 수 있고, 학습기술이 부족한 성인에게 적용하여 평생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이 학습전략 선호에 미치는 영향 : MBTI성격유형을 중심으로

        하태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생들의 성격유형이 그들의 학습활동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격유형과 학습전략의 선호 및 전략사용의 빈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은 MBTI검사 분류에 따라 16가지 유형인 ISTJ, ISTP, ESTP, ESTJ, ISFJ, ISFP, ESFP, ESFJ, INFJ, INFP, ENFP, ENFJ, INTJ, INTP, ENTP, ENTJ가 있다. 학습전략 영역은 7가지 하위영역인 이해전략, 회상전략, 소화전략, 확장전략, 재음미전략, 학습계획전략, 주의집중전략이 포함된다. 서울시내 소재의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 3학년 5개 반 238명과 서울시내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1, 2학년 각각 2개 반씩 모두 151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이 학습전략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였는데 사용된 측정도구는 MBTI성격유형 검사와 학습전략 검사이고 두 학교 학생들의 1학기말 고사 성적을 학업성취도로 간주하였다. 각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전략의 7개 하위영역 선호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 학습자의 성격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전략의 선호차이가 각 과목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타 지표별, 기질별, 기능별, 성별에 따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향형(E)은 내향(I)형보다 확장전략과 학습계획 세우기 전략을 더 사용했고 감각(S)-직관(N)형은 학습전략 선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고형(T)은 이해전략, 회상전략, 소화전략, 확장전략, 재음미전략, 학습계획전략, 주의집중전략 모두를 감정형(F)보다 더 많이 사용했고, 판단형(J)은 인식형(P)보다 학습전략 하위영역 7개 모두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의 기질에 따라서도 학습전략 선호에 차이가 있었다. NT형은 이해전략, 회상전략, 그리고 확장전략을 나머지 기질보다 많이 사용했으며 SJ형은 회상전략, 소화전략, 재음미전략, 학습계획전략, 주의집중전략을 나머지 다른 기질보다 더 많이 사용했다. 성격유형의 4가지 기능에 따른 학습전략 선호에 대한 분석에서는 NT형이 이해, 회상, 소화, 확장 전략 모두를 다른 유형보다 더 많이 사용했다. ST형은 재음미, 학습계획, 주의집중전략에서 다른 유형보다 사용 빈도가 높았다. 성별에 따른 학습전략선호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확장전략과 학습 계획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조사에서는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형만이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학습전략 선호차이가 각 교과목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한 결과 국어과 학습에는 이해, 회상, 학습계획전략을 많이 사용했고, 수학과의 경우에는 재음미, 주의집중, 회상, 소화전략을 많이 사용했으며, 영어과는 회상, 학습계획, 재음미 전략을, 국사과는 이해, 회상, 재음미전략을 많이 사용했다. 즉 성격에 따라 과목별로 학습전략을 다르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과목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전략은 회상전략과 재음미전략이었다. 그러나 확장전략은 학업성취도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이처럼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전략의 선호의 차이가 있었으며 각 교과에 따라 선호되는 학습전략의 하위영역은 달랐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고 개개인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자신들이 우선 자신들의 성격유형과 학습전략에 대한 인식을 갖고 그에 따라 학습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교사들도 개인차에 따른 지도 방법을 연구해 본다면 학교 현장에서 보다 나은 학습지도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types on their learning activitie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their preferences/frequencies of learning strategies. To this end, 238 male students attending five classes of the grammar schools in Seoul and 151 female students attending two first-grade classes and two second-grade classes were sampl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personality types on their learning strategies. The scales of assessment used were MBTI personality type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and first-semester-end test results regarding their academic performance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7 sub-factors of students' learning strategy depending on indices, traits, functions and sexes of the personality types and thereby, review the effects of their personality types on their learning performances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pre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by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trovert students(E) used expansion strategies and learning planning more than the introspective students(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 sensitive(S) - intuitive(N) type students. The thinking(T) - feeling(T) type students used the learning strategies for understanding, reflection, digestion, expansion, reinterpretation, planning and concentration more than S typ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judgement type (J) students used more all the 7 subcategories of learning strategies than perceptive type (P) students. In terms of frequencies of using the learning strategies, NT type used more understanding strategy, SJ and NT used more reflection strategy, NT used more expansion strategy, and SJ used more reinterpretation strategy. On the other hand, SJ type used more concentration strategy than the other groups. As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four personality types, it was found that NT type used all the strategies such as understanding, reflection, digestion and expansion more than the other personality typ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used expansion and planning strategies more than male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academic performance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for TF and JP types only. Lastly, the details of the effects of strategies on academic performance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students used understanding, reflection and planning strategies more for Korean Language subject, reinterpretation, concentration and digestion strategies more for mathematics, and reflection, planning and reinterpretation for English, understanding, reflection and reinterpretation more for Korean history. Name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used their learning strategies differently. The strategy most explainable was reflection strategy followed by reinterpretation. However, expansion strateg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all, the pre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differed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while learning strategies differed depending on subjects. Thus, in order to learn effectively, our students seem to be obliged to choose learning strategies in reference to their personality types. It may be concluded that if teachers should take their students' personality types into consideration, they would find more effective ways to teach thei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