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 연구

        김정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반적인 전승현황을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는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역사인물설화에 나타난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 - 강원도 편』과 『강원설화총람』의 검토 결과, 『한국구비문학대계 - 강원도 편』의 역사인물설화 각 편은 347편, 인물수는 107명이었고, 『강원설화총람』의 역사인물설화 각 편은 445편, 인물수는 102명이었다. Ⅱ장에서는 이 설화들의 전승현황을 시․군별로 정리하고 이 가운데에서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를 선별하였다. 지역적인 속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는 특정 지역과의 연계성을 가지고 전승되는 각 편들로 출생, 거주, 부임, 도읍, 유배가 연계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출생․거주․부임․도읍․유배를 선별 기준으로 삼아 다수의 채록수(5편 이상)를 가지고 있고, 전승양상에 있어 유의미한 설화 내용의 역사인물들에 대해 각 인물의 약력과 설화의 전승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정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지역 출신 인물, 목민관, 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에 연고를 두고 전승되는 설화들은 그 지역의 자연적․사회적․역사적 환경 등에 영향을 받기에 이와의 연관성도 고려하였다. 강원 지역 출신 인물설화로는 표 순서에 의해 범일국사, 이이, 임경업, 허균, 김병연, 이괄 설화의 각 편들을 차례대로 살펴보았고, 설화 속의 인물들이 각각 특정 지역과의 연계 가운데 신이한 탄생, 태몽, 풍수, 무용담 등을 통해 뛰어나고 비범한 인물로 위상이 고양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 지역의 목민관 설화로는 강감찬, 권두문, 정철, 허목, 황희 설화의 각 편들을 살펴보았고, 선정을 베푼 목민관으로 전승되고 있는 강감찬, 권두문, 허목, 황희와 달리 정철은 오히려 백성의 삶을 더욱 곤궁하게 만든 목민관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설화가 한 인물의 생애보다는 목민관으로서의 위민 행적을 형상화하는 데에 더욱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 지역의 왕 설화로는 경순왕, 공양왕, 궁예, 단종 설화의 각 편들을 살펴보았고, 왕을 바라보는 시선에 주목해 보았을 때 이들 모두가 실패한 왕이라는 공통분모 가운데 경순왕에게는 백성을 위해 전쟁을 하지 않고 고려에 귀부한 인물이라는 긍정적인 시선, 공양왕에게는 미련스럽고 심술궂은 인물이라는 부정적인 시선, 궁예에게는 패주하는 왕을 연민의 마음으로 바라보는 시선, 단종에게는 어린 왕을 지키지 못한 채 그의 죽음을 지켜봐야만 했던 안타까움의 시선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바탕으로 하여 이에 나타난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강원 지역 출신 인물 설화를 통해서는 인재의 출현이 많지 않고 인재 등용 또한 어려운 지역 여건 속에서 인재 출현에 대한 민중의 간절한 소망과 역사에 이름을 남긴 지역 출신 인물들에 대한 민중의 자부심을 읽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강원 지역을 다스렸던 목민관 설화를 통해서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목민관이 백성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이야기도, 심술궂은 목민관이 백성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이야기도, 실제 선정을 베풀었던 목민관을 설화 속에서 다시 이야기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좋은 목민관이 부임하여 척박한 환경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자신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주었으면 하는 민중의 간절한 염원의 표출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강원 지역의 왕 설화를 통해서는 성공한 왕과 실패한 왕에 대한 상반된 인식, 자신의 지역에 나라를 세웠던, 그러나 폭군으로 기록된 왕에 대한 재인식에서 지역의 안정과 발전, 그리고 영광의 재현이라는 민중의 열망을 읽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승현황 정리 및 전승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가 지역의 역사인물설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교육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韓國繼母說話硏究

        전용신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I studied Korean folktale of a stepmother in the focus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outline. I adopted various kinds of 15,000 folktales all over the countries, and among of them,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was the kinds of 103 folktales. I focused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which had been transmitted persistently,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pattern, structural analysis of the tale of a stepmother, social meaning of transmission group and effection on a documentary literature etc. The contents discussed in main subject is like this. (1) There are two types of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one is a good stepmother and the other is a bad. Most of tales are bad stepmothers and good are not so many. The folktales of a good stepmother has two types. One is a naturally good stepmother's story that she loved stepchildren like her real kids from the first. The other is a reformed stepmother's story that at first she hated and tormented stepchildren, but later was moved by stepchildren who loved her and her real kids sincerely and changed to be good. (2) The folktales of a bad stepmother are so many and have various contents. A general story is like this. (A) A growing child who was loved from his parents had his mother die. (B) He came to have a stepmother by his second marriage. (C) A Stepmother treated a real kids cruelly. Finally, she planned to kill them by using a plot and trick. (D) A real children received the aid of a helper, or overcame his sufferings through their effort and will. Then he became happy but stepmother was punished. In this four summary, (C) showed the intriguing ways to for a stepmother torment and trap stepchildren, (D) revealed the various ways to solve the problems. (3) I classified the folktale of a bad stepmother focusing on her bad habits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ir hardships in several patterns. These indicated that (A) a stepmother who imposed heavy suffering, (B) a stepmother who killed the children of former wife, (C) a stepmother who intrigued her daughter's injustice, and (D) a stepmother who did injury them. (4) I analyzed structures of each paragraph and arranged the contents of each type and general stories in a classified paragraph. In result, these folktales have orderly structure of luck→unluck→luck unexpectedly. In this successive structure which crossed luck and unluck was repeated and developed, and then concluded when this happiness continued for a long time. (5)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has three social meanings. First, these folktales have belief, if man does his best with his will to solve the problems, he will overcome his sufferings, trying to overcome his pain with diligent, the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Second, they indicate that good people have a fortune, otherwise, bad people must be punished. I could know that they were saluted the idea of th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All the stepmothers was punished and dismissed to intrigue and torment her stepchildren. Third, transmitting group of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doesn't defend rampancy of traitors through incapable father, it also has a satirial meaning which finds fault with the king who doesn't cares for pain of the people, playing into their hands. They criticize the mistakes of the king indirectly, and partly want him to recover wisdom, govern righteously and remove the traitors. I tried to endow the study with social meaning of tale of a stepmother like this. (6) I analyzed the aspect of the history of Gasa's materials, the novel of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and the documentary literature. At first,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melting into the old nol consists of several frames. Especially, there are many folktales that are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old novels as like Jang-Whya Hong-Lyun Jun, Kong-Gui Pat-Gui Jun. The motives as like the stepmother caught in a trap her stepdaughter to make her sick by eating poisonous herb, or pretend an abortion by putting skin-stripped rat into carpet tells that the sources of these novel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old novels of Jang-Whya Hong-Lyun Jun, Kim, In-Hyang Jun, and Whyang, Eol-Sun Jun. Gasa literature has the case living together in these folktales. Father had been hurt by stepmother sung a song sorrowfully by means of sign for regret after being killed the children of his former wife. Gae-Mo-Gyun-Ju-Ga originated in Kyungnam area is the folktale that are consisted of only Gasa. Therefore, I think these folktales and Gasa affected Gasa literature with being transmitted between the people. Not having conscious effort and the process of the training, they were familiar with traditional Gasa in their lives, so the musical tune was simpifiated and was routine not as chargeable as in memory. Considering this entire study, it is guessed how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having strong immortal elements had been transmitted constantly in feudal society which take a serious view of ethic and moral. Seeing a dark aspect of society, we think a bright aspect of it, there is often this case that the good is revealed by the evil. Our ancestor could more emphasize the story of filial sons and exemplary women through their actions. I think that these elements are immoral relation of family as well as a source of power make them handed down the folktale of a stepmother constantly.

      • 뱀 변신설화 연구

        손근조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뱀은 일상생활 속에서 공포의 대상이 되거나 흉물스럽게 취급되기도 하고 민간신앙에서는 사신, 당신, 업 등으로 숭앙되어지기도 한다. 또한 설화 속에서 변신화소를 수용함으로써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져 간다. 본 연구에서는 뱀 변신설화의 인식의 기저를 먼저 살펴본 다음에, 뱀 변신설화의 여러 각편을 살펴 유형을 나누고, 각 유형에 속하는 각편의 구조를 살펴 그 속에 나타난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뱀의 변신설화를 살펴보기에 앞서 변신설화의 연원을 정령숭배 사상과 통과제의 그리고 불교의 윤회사상을 통해 살펴본 다음, 민간전승에 나타난 뱀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뱀 변신과 관련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뱀 변신설화의 유형은 크게 둔갑형과 변생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둔갑형은 변신 주체자의 자의적인 욕구에 의해서 다른 형태로 변하는 것이고 이때, 변신 후 다시 본체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회귀적 구성을 띠거나 또 다른 변신체로 변한다. 둔갑형에는 대표적으로 <구렁이 색시>류 설화와 <까치의 보은>류 설화가 있었다. 변생형은 변신주체자의 모습이 어떠한 계기로 변한 후 그 모습이 지속되는 것이다. 이때의 계기에는 첫날밤 허물을 벗는 경우와 죽음을 통해 변신하는 경우로 나뉠 수 있고, 죽음을 통해 변신하는 경우는 다시 인간뱀화형과 뱀인간화형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허물을 벗음으로써 변신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표적인 설화로는 <구렁덩덩 신선비>설화가 있었다. 죽음이라는 과정을 거친 후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것에 인간뱀화형과 뱀인간화형으로 나뉘어 진다. 인간뱀화형에는 대표적인 설화로 <상사뱀>설화가 있고, 뱀인간화형에는 <뱀의 보복>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설화로 <허미수 형제와 뱀의 혼령>설화가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하여 그 구조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 살펴본 둔갑형과 변생형의 대표적인 설화의 순차적인 구조를 살펴보면서 두 유형에 속하는 구조를 통해 뱀 변신설화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둔갑형은 본체에서 변신체로 둔갑하여 다시 본체로 회귀하거나 다른 변신체로 변신하는 순환체계를 이루는 데 반해, 변생형은 본체에서 어떤 계기로 인해 변하게 되면 다시는 회귀하지 않는 고정체계를 이루고 있다. 둔갑형인 <구렁이 색시>류에서는 구렁이→색시(여인)→용으로 변신하고, <까치의 보은>류에서는 구렁이→여인→구렁이(혹은 용)로 변신한다. 변생형인<구렁덩덩 신선비)류에서는 구렁이→신선비로, <상사뱀>류에서는 여인(혹은 총각)→뱀으로, <뱀의 보복>류에서는 구렁이→아이로 변신한다. 또 둔갑형은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의 반복된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변생형은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의 연속적이 반복이 아니라 다음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 사이에 변생을 결정짓는 중요한 모티프가 포함되어 있었다. <구렁덩덩 신선비>류에서는 '금기'라는 모티프가, <상사뱀>류에는 '약속'이라는 모티프가, <뱀의 보복>류에는 '수단의 획득'이라는 모티프가 삽입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모티프를 사이에 두고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은 대립을 이루고 있다. <구렁덩덩 신선비>류 설화의 구조는 '결점 - 해결시도 - 결핍해소 - 금기의 제시 - 금기의 파기 -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로 나타난다. '금기의 제시' 이전에는 신선비가 중심이 되어, 신선비가 '허물'을 벗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는 반면, '금기의 파기'가 일어나는 이후에는 신부가 중심이 되어 신랑 찾는 모험담을 다루고 있다. <상사뱀>류 설화의 구조는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 - 약속의 제시 - 약속의 파기 - 결핍 - 해결시도 - 결핍해소'로 나타난다. '약속의 제시'가 나타나기 전에는 두 사람의 사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는 사랑이 충만한 시기이다. 그러나 '약속의 파기'가 일어난 이후에는 여인은 죽게 되고, 두 사람 사이에 사랑은 소멸하게 된다. <뱀의 보복>류에 속하는 <허미수 형제와 뱀의 혼령>의 구조는 '결핍-해결 시도-결핍해소-수단의 획득-획득의 파기-결핍-해결 시도-결핍 해소'로 나타난다. '수단의 획득'이 일어나기 전에는 인간이 중심이 되어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인간이 우위에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획득의 파기'로 인해 인간 중심에서 뱀이 중심이 되어 이야기를 이끌어 가게 되고 뱀이 우위에 있는 상황으로 변한다. Examined base of awareness of snake transform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and breed of snake disguise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and the structure and transmissive meaning in this research. If summarize discussed contents, is a s following. Before examine transform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of snake in Ⅱ chapter, report origin of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Salpyeop through various kinds though, examined about personality and function of snake which appear in the common people. Do and sorted type to data connected with snake transform in Ⅲ chapter. Can divide type of snake transform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by Dungaphyeong and Byeonsaenghyeong greatly. Dungaphyeong is that change in other form by transform subject person's person's enemy's desire, and is charged with composition enemy anniversary of death that return in appearance of main frame again after transform this time or change by other Byeonsinche. Dungaphyeong is <serpent unmarried woman> type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and <requital of kindness of magpie) type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representatively. Byeonsaenghyeong is that the image is continued after transform Jucheja's appearance changes by some meter. This time, could know thing which can get divided on case that take off skin bridal night to meter and case that put on a makeup through death, and is gotten divided by human snake burning at the stake and snake human burning at the stake again in case put on a makeup through death. Examined about the meaning on the basis of contents that analyze in III chapter in IV chapter. Transform is accomplishing center of story as become development of the event, and meter that the event makes to flow dramatically in snake transform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serpent unmarried woman> In model cancer hollow of disguise with publics' accident which had recognized woman by existence that gain plenty to bite each other with productive ability close connection be. Because it is influenced in woman's production that all things grows .Because is an animal which take off skin that molt being ladylike existence with production function, have meaning of refreshing and rebirth. <requital of kindness of magpie) This time to kill because serpent which lose husband by human in type takes the form by woman to revenge cancer hollow of although cancer hollow hears chime and rises because is easy if think attitude positively cancer hollow of attitude if think that injure human contradictorily cancer hollow chime hear and disappear or do not escape death. This time, can speak that affirmative awareness, or contradictory awareness is publics' awareness which enjoy victor's awareness and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about serpent. <Gureongdeongdeong new scholar> Snake of type molts and it is another reincarnation that molt here to be handsome scholar, or have meaning of new birth. Belief itself which snake puts on a makeup by a person is caused in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is snake.<Gureongdeongdeong new scholar> Serpent gets polished lowly appearance and becomes scholar such a s hermit in model. Snake molts and it gouges wish which lowly people wants to escape in painful life<Gureongdeongdeong new scholar> and look that lowly body goes marriage at a precious case and changes by a precious person a s become scholar such as hermit. In actuality the impossible matter because is possible in the world of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be. Human by snake Byeonsaeng do by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that know <firm snake> type and <old woman who become serpent dying> type be. <firm snake) Type contains contents that stick in person's body and do not drop that loved in life becoming snake if die while love in vain between man and woman. So, seem to make snake in man's symbol water, and snake which top is triangle in the meantime looks that woman becomes snake if die because it does that symbolize Yeogeun. Person who love in vain hereupon is woman, and man. In the meantime, to property Tom that become inside serpent by contradictory awareness such as preconception that image of serpent occurred grimly be, and to property overly Tom to show inside that it calls anger unfortunate slip of the tongue such a s <old woman who become serpent dying) type appear. Finally, human's ill and unhappiness through snake's disguise are overcome and are converted by happiness and can know that human's disaster is originated in metamorphosis of snake too.

      • 설화의 교육적 응용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김범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 「말하기·듣기·쓰기」와 「읽기」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설화의 수록 현황 분석과 아울러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설화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습자들이 설화를 어떤 방식으로 이해하고 학습하는지, 설화의 본질을 살린 수업은 어떻게 전개해야 하는지, 설화의 본질적 의미를 살린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설화의 개념과, 설화의 범주, 설화의 내용과 주제를 통해, 설화교육이 문학교육으로서 독자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서 설화교육의 말하고 듣는 문학교육의 가능성, 설화의 서사구조의 특성을 통한 쓰기 교육의 가능성, 일상적인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5·6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의 현황을 제시하고, 설화가 갖는 두 가지 특성인 구술성과 기록문학으로의 이행 가능성 때문에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였고,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학습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설화교육이 문학교육으로서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화의 특성은 설화 교육을 통해서 읽고, 쓰는 문학교육이 아닌 듣고 말하는 교육의 가능성, 설화의 구연을 통한 쓰기 교육의 가능성, 설화가 갖는 서사구조를 통한 일상적인 문학교육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화 제재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하여서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이 지적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설화의 개작은 교육의 목적상 불가피하나, 적어도 원전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개작이 이루어진 부분은 아무리 사소한 부분이라도 반드시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개작하거나 각색한다는 것은 진정한 설화의 전승이라고 볼 수 없기 떄문이다. 둘째, 구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이행될 때 교육 목적상 개작이 불가피하다면, 적어도 개작 내용을 최소한 교사용 지도서에라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서, 설화의 적절한 기록방법을 모색하고, 그러한 방법에 의해서 기록된 설화 제재는 방언과 관련된 '국어지식'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설화의 교육적 응용은 말하기·듣기교육, 읽기 교육, 쓰기 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말하기·듣기 교육에서는 설화도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식임을 인식하고, 교육현장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구연의 기회를 갖게 해야 한다. 교사 혹은 녹음 자료가 최초 구연자가 되고, 청중 즉 학습자가 다시 구연자가 되어 이야기를 구술하는 형식을 전제해야 한다. 또한 구연 자료를 토대로 교사가 '들려주는' 것은 학습자와 함께 살아 작용하는 '설화'이어야 한다. 문어체로 된 설화를 읽어주는 방식과 교사가 직접 구연하는 방식이 훨씬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읽기 교육에서는 설화의 서사구조의 특성뿐만 아니라,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도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는 방형으로 교육방범이 모색되어야 읽기 영역에서 설화교육이 독자성을 확보하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쓰기 교육에서는 구비문학이 말하기와 듣기의 방법으로 창작된다는 점에 유의하여 다양한 방법을 구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화를 들려주고 다시쓰기', 기존 설화를 '변용하여 활용하는 글쓰기' 활동, '설화의 내부 구조를 이용하는 글쓰기' 등을 들 수 있다. 설화의 쓰기 교육 활용은 글말을 전혀 모르거나 자유롭게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도 문학 작품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전제해야 한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xisting state of the stories which are written down in the elementary texts,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and "Reading"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 7th curriculum. Also, another purpose is to point out several problems concerning a Folk-tales Education and to find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around th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of the Korean Department Teacher's Manual. Accordingly, this thesis has tried to find how learners come to understand and study. It also looks at teaching which discusses the essential qualities of study and how these are to be broken down and presented as lessons. Finally, it will look at the class which understands the essential qualities of study and how these can be embodied in the educational field. Frist, I established a theoretical basis that folk-tales in education ensures the originality as a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a ideas, a categories, contents and subjects of the narration. Furthermore, I discussed the fact that narrative education contributes much to literature and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elements of narrative structure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Also I looked at the existing texts used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These two elements are verbal peculiarities and folk-tales as a Record of Literature. The aim should always be that the Listeners' will com to be the narrators. Also, I discuss the problem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in the Teacher's Manual. I put forward the opinion that folk-tales education can highlight the originality as the literature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re reading through the folk-tales education, the possibility not writing literature education but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writing education through an oral folk-tales and usual literature education. At least, the two facts should be pointed out concerning about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subject of folk-tales. First, if the folk-tales needs to be rewritten when it is inevitabl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without damaging the original text considerably and the parts which were rewritten should be expressed clearly even though it is trifle. Rewriting and dramatizing should be clearly recorded without clarifying the origin of folk-tales. Second, if rewriting i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when oral literature is to be used with the documentary-literature, the original writings at least should be shown in teacher's manual. I searched for the appropriate style and subject of folk-tales that will be useful in the education of 'Korean Knowledge' and understood when read in different dialect.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folk-tales can be seen in the aspects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eacher should give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narrate and come to recognize that folk-tales is a type of face-to face communication. To begin, teacher or recording materials should be the first narrator and the students the audience. When the narrates literature, this teacher should be a realistic experience for the learner. It is much more effective for the teacher to narrate the story directly than to read a piece of literature.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 to expose students to both written and read aloud students to both written and read aloud literature and to narrated stories. In this way the learners will come to realize not only the special elements of narratives but also the difference between colloquial story telling and more formal literature styles. In writing education, various methods can be recognised by noting that traditional literature is created from speaking and listening. A good exercise is to involve the students in 'rewriting after letting the learner hear'. 'Write by changing and making use of the existing folk-tales' and 'Writing by using the inner structure of the folk-tales'. In the application of folk-tal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ven people who don't know the literature or have a poor command of the Korean language can be the subject of a literary work.

      • 설화의 유형과 의미 연구

        이승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쥐설화>에서 쥐의 모습은 사람과 말을 하고 행동하며 의인화되어 나타나는 동물담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12지의 동물 중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고 우리 민간사상과 띠 동물로 오랜 세월 자리한 쥐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모두 지녀 다양한 모습으로 자리한 동물이다. 본고는 <쥐설화>에서 쥐가 혼으로 나타나거나 둔갑을 하여 나타나는 의인화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는 쥐의 서사적 기능과 사회상에 나타나는 모습, 인간과의 관계를 통한 쥐의 상징적인 의미를 설화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Ⅱ단원에서는 혼쥐 설화의 유형에 따른 모습을 분석하였다. 혼쥐 설화는 사람의 몸에 깃든 혼의 모습을 한 쥐의 행동에 따라 사람이 쥐로 변해서 겪는 과정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다. 혼쥐 설화에 담긴 이야기는 조상들의 사고와 쥐가 지닌 기능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혼쥐는 1마리, 2마리, 3마리로 표현되는데 사람이 점차 자연계와 인간계, 또는 동물과 인간의 구분을 인지하면서 분리되는 복합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혼쥐 설화에서 쥐의 기능은 인간의 삶과 죽음을 연결하는 고리의 기능을 하데, 혼으로 표현된 쥐를 통해서 조상들이 생각하고 있는 인간의 탄생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알아볼 수 있다. 둔갑담 설화에서 쥐는 인간으로 변하여 인간생활에 들어와 사건을 일으키는데 쥐가 남자로 변하면서 결국은 다시 회귀하기까지의 모습을 인간과 쥐의 비교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인간과 쥐의 공유된 의식의 세계에서 인간과 자연의 분리된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둔갑으로 인해 가정 내에서는 가족간의 모습을 확인하고 여성에게는 정신적이며 사회적인 피해를 입히면서 변화되는 남녀간의 의식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Ⅲ단원에서는 혼쥐가 인간의 의식변화로 인해 신성시되다가 인간과 같은 동급의 위치에서 다시 인간과 분리된 하급의 동물로 점차 하향화되는 변화를 겪는다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다. 이것은 생명의 원리나 경외감이 담긴 신적인 동물인 쥐가 인간의 생활에 들어와 흥미와 호기심이 담긴 이야기 속의 동물로 변하고 있는 것이며, 물과 불의 원리를 알며 가장 근원적인 생명의 모습을 담은 우주적인 차원의 동물인 쥐가 일상생활에 들어와서는 인간의 생활모습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긍정과 부정의 의미를 담아내기도 한다. 그리고 인간의 무의식 속에 자리한 과거의 원형적인 모습은 분리되지 않은 동물과 인간의 공동체적인 모습이 인간의 능력으로 인해 점차 분리되어 결국 한 개체의 생명체로 존재하게 되는 변화의 의식을 보인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쥐 설화에서 쥐는 인간의 세계를 인식하는 하늘과 땅의 중간에 위치하고, 자연과 문명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인간이 자연의 세계에서 점차 인간과 자연으로 분리되고 변하는 과정의 모습을 지니고 있어 인간의 무의식을 이해하고, 인간이 간직한 원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Korean rat tale describes a rat as a human being. It talks to the people and acts just like a human being in there. A rat is in the first place among the 12 animals which symbolize a birth month by a Korean traditional custom. It has been played an very important roles in the Korean old story and described as a creature who has a variety of characters. Sometimes it acts very nice but in another times very mean in the story.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the roles, meanings and functions of a rat, focusing to the relationships of human beings and rats, and is based on the Korean rat tale about the spirit and the transformation. Chapter II is about the story of the spirit. This queer story has the main plot that a rat goes inside a human being's spirit and turn the human being into a rat. There are three rats which go into a human's spirit in this story. Each rat shows that the process which helps a human being to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ure or animal. In this story, the rat means a linking ring of a life and a death. The rat which is expressed as a spirit reveals that an our ancestor's deep understanding about a birth and a death very well. Another Korean rat tale related to this study is about the transformation. This is the story about a rat's shape transformation. While a rat changes into a man and until it finds back it's appearance in this story, the thinking pattern between a human being and a rat is analyzed. This tale implies a divided thinking changes between the nature and a human being and also shows a family life. Especially the situations that the transformation cause lots of damage to a woman reveals the differences of thinking types between a man and an woman. In chapter III the rat which is expressed as a spirit is treated with respect at first, gets down to a same level with the human. Later it descend to the more below level than a human's one. This means that a divine animal can turn into an interesting small animal which holds a affirmative and negative characters. In other words, this shows an original one unity between a human and an animal has been divided from it by the ability of a human and turn into an living creature. In conclusion, the rat in some Korean tales, is showing our life and thoughts. These Korean tales emphasizes a human bei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ky and an the land. A human being is described to be divided from the nature slowly in these tales. The process of this division shows a human being's origin type in unconsciousness.

      • 說話를 통한 創意的 글짓기 能力 硏究 : 扶餘地域 說話를 中心으로

        임경자 建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thesis has studied on the way to enhance creative writing through the tales in Buyeo area where studier is living in. The literature of tales, as a racial public literature producing recording literature, not only becomes a basis of literal creativity and is educationally valuable but also becomes a good material for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is applicable to learning thus revealed the way to utilize as a desirable studying method related to creative writing through education on tales. The summary of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thesis is as below. In chapter 2, surveyed tales and education on creativity. Reviewed the characters of tales that is a sort of oral literatur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on tales and the course of education on national language and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writing in the course of education of national language for 6th year of elementary school, examined the basis of the selection of the regional tales and discussed on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education on the tales. Review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n tales that fertilizes vocabulary, raises knowledgeability through imagination in the course of contact with the ideal worlds in the tales and enhances right living attitude, habit and collaboration, independency,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orality as well as raises fertile emotional experiences and power of imagination and develops brain by growth of the power of thought and brings up power of creation may affect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In chapter 3, classified and analyzed the tales in Buyeo area based on the patterns and selected teachable tales that may give wit, dream, romance, precept, courage and wisdom and reviewed major motives and structural characters. Reviewing that the current course of education for 6th year emphasizes on 'efficient operation of courses of education',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course of regional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nd 'compilation of regional data and school book',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re-composition of regional tales and discussed that the localization of the field of tales in the course of national language was essentially needed. In chapter 4, discussed on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education on tales for enhancement of creative writing. Propos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generally raise creative thinking and diverse study models and discussed on concrete methods to proceed lessons utilizing the study models. Based on annual plan on writing, hope that diverse plans of courses of study are made and discussed for application and thereby the study on materials of tales that are helpful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method of education on concrete and systematic writing would be the point of active discussions. This thesis proposed the materials in regional tales, the plan to utilize the regional tales and diverse teaching-learning models that could enhance creativity and applied them to the students in 6th year whom the studier is in charge of but there is limitation that the effects were not verified. Am leaving the process of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as a next task.

      • 설화의 띠 동물상징 연구 : 한국구비문학대계를 중심으로

        고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설화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이 지닌 상징에 대한 연구이며, 이 상징들이 설화의 제 기능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밝히는 연구이다. 우선적으로 연구대상을 동물이 등장하는 동물담에 한정시켰고, 그 중에서도 띠 동물이 등장하는 설화로 그 폭을 좁혔다. 띠 동물은 약 3천년 전에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통일신라시기에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중국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관념체계로 우리문화 속에 자리 잡았다. 이렇게 확립된 띠 동물의 상징은 설화 속에서 교훈이나 주제를 전달하기에 좋은 수단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으로 적합했다. 이러한 연구 대상과 범위를 선정한 후에 설화 속에서 띠 동물이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상징에 대한 근거로 옛 문헌의 기록을 제시했다. 이렇게 설화로만 한정지어 살펴본 띠 동물의 상징이 우리의 문화 속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띠 동물이 지닌 보편적인 의미와 풍속을 통해 문화 전반에 걸쳐 띠 동물이 관념체계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설화와 동물상징의 기능에 대한 고찰을 시도했다. 설화가 특정한 기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임을 전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물상징이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설화의 기능을 크게 교훈, 웃음, 기타의 세 측면으로 분류했고, 그에 따라 설화가 요구하는 상징과 동물이 지닌 상징이 일치되면 특정한 기능을 지닌 설화가 탄생함을 살펴보았다. 설화는 자신이 지닌 제 기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었다. 자신이 지닌 기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설화만이 그 원형의 틀을 유지하면서 살아남아 전승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설화는 자체의 기능을 전달하기 쉽게 동물상징을 취사선택했다. 그 결과 설화마다 등장하는 동물이 다르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화가 요구하는 상징을 지닌 동물이라면 어떤 동물이든지 이야기 속에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즉 특정 설화에 A라는 동물이 수용될 때, B라는 동물도 A와 같은 상징을 지녔다면 A를 대신해서 B가 설화 속에 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같은 동물상징을 지녔더라도 전승 상황이나 이야기 전개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조건을 지닌 동물이 우선적으로 선택·수용된다는 사실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s of animals which appears in the folk tales. This study makes it clear that these symbols were used because of their efficiency in carrying out the several functions of the folk tales. First, I have limited the subject of my study to the animal tales, especially on the tales related to the twelve oriental zodiac signs. The twelve oriental zodiac signs were invented in China approximately 3,000 years ago and came on to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kingdom, Shin-ra. The concept of the twelve zodiac signs were established in Koreas`s system of ideas quite differently from that of China. Because the animal symbols were the effective means of conveying the moral lesson or the main subject in the folk tales, it was an adequate subject of this study. After limiting the subject of the study, I examined how these twelve oriental animals appear in the folk tales and supported the symbols they carry by presenting the related record of old literature. I also examined how the animal symbols limited to folk tales appear in our culture. It was identified that through the general meanings and public morals which these animals carry, the systematic concept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overall culture of Korea. Next, I have made an attempt to examine the function of folk tales and animal symbols. On the assumption that folk tales were the tool in carrying out a special function, I have identified that the animal symbols were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achieving its purpose. I have classified the functions of the folk tales largely in three parts which are moral lesson, fun and so forth. In accordance, itis found out that when the symbol that a folk tale requires coincides with the symbol its animal carries, a folk tale with a certain function is created. It is necessary for folk tales to effectively convey several functions of a folk tale. Only the folk tales which efficiently convey their original functions can survive and be handed down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form. This is why folk tales chose animal symbols to easily present their original function. As a result, animals which appear in different folk tales vary from one another. Throughout this study, I have made it clear that any animal can appear in the folk tale if it possesses the symbol that the folk tale requires. For instance if an animal A is accepted in a certain folk tale, animal B possessing the same symbol can be replaced in the same folk tale. But one thing to be cautious about is that even if the animals carry the same animal symbol, the animal with the most adequate condition in conveying meanings would be selected and accepted in the first place according to the transmitting circumstances and development of the story.

      • 읽기·쓰기를 통합한 설화 지도 방안 연구-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김미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설화는 재미있기는 하지만 단조롭고 현실성이 없으며, 글을 쓴다는 것은 어렵고 힘들다”는 학생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수업시간에서 다루는 가장 대표적인 설화를 대상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단계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설화 지도의 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여기서 설화의 지도에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교수-학습을 모색한 것은 첫째, 통합 언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며, 둘째, 통합 지도가 이루어질 때보다 효율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정작 설화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연구는 많지 않았고, 셋째, 설화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로 진정한 의미의 읽기․쓰기 통합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을 실시한 후 학생들은 설화가 더 이상 비현실적이고 허황된 이야기가 아니며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편안하게 즐기며 감상할 수 있는 문학임을 깨닫게 되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 참여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읽기와 쓰기는 각각 구분되어 지도되는 것보다는 통합되어 지도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 읽기와 쓰기의 ‘원리’를 통해 방법론을 제시하고, 읽기를 통한 문학의 ‘수용’과 쓰기를 통한 ‘창작’으로 문학 교육이 실천될 때 문학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을 실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읽기와 쓰기와 문학은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활동으로 얼마든지 통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설화 학습은 단순히 읽기와 쓰기 영역뿐 만 아니라 국어 능력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언어 능력에서 하나의 영역 능력 신장은 다른 영역 능력의 신장까지 확대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학습자의 언어 능력은 각 영역이 독립적으로 신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여 길러지며, 언어 능력의 향상은 곧 문학 감상 능력의 신장과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통합 지도의 효과는 단기간에 수치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의 능력과 연령을 고려하여 적절한 학습 방법을 제시한다면 학생들이 활동에 부담을 느끼지 않으면서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통합 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은 국어에 흥미를 가지게 되고, 설화 작품을 읽으면서 쓰기를 하고 쓰기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읽으면서 문학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설화 학습 활동을 실제 수업 현장에 활용함으로써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수업 진행으로 소외되고 다소 방관자적 태도를 보이던 학생들을 활발한 학습 활동의 주체로 데려올 수 있다. 또, 학생들이 비현실적이고 황당하다고만 생각했던 설화 작품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찾을 수 있고 다른 고전 작품도 스스로 찾아 감상할 수 있는 문학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 韓國 虎說話 硏究

        배도식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한국 호랑이설화의 유형구조를 밝혀 내고 서사전개와 설화의 의미, 그리고 호설화의 분포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의 범위는 한국 호설화를 대상으로 삼는데, 문헌설화와 구비설화를 모두 대상에 넣었다. 문헌설화는 24권의 고문헌에서 116편의 자료를 뽑았고, 구전설화는 24종류의 자료집에서 901편의 자료를 뽑았는데, 이를 합치면 모두 1017편의 자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호설화를 크게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했다. 사람을 도와주는 착한 호랑이 이야기를 선호형설화, 사람을 해치는 나쁜 호랑이 이야기를 악호형설화,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어리석은 호랑이 이야기를 우호형설화, 위의 선호와 악호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는 호설화를 혼합형호설화로 분류하였다. 선호형설화에는 6개 유형이 있고, 악호형설화에는 11개 유형이 있으며, 우호형설화에는 8개 유형이 있고, 혼합형설화에는 5개 유형이 있다. 이를 합치면 모두 30개의 작은 유형이 된다. 호설화의 유형구조를 밝혀내고, 변이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각 유형마다 5∼6편의 자료를 제시하여 이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설화 구조의 골격이 되는 기본 모티핌(motifeme)을 추출하여 이들이 연관되어 구성하는 유형구조를 밝혀냈다. 유형을 구성하는 모티핌은 '기점'에서 출발하여 '결과'에서 끝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주요 모티핌을 제시하면 결핍, 결핍의 제거, 과제, 과제의 성취, 원조, 금지, 위반, 분리, 결과, 보상, 결과로부터 탈출 등이다. 그리고 설화 내용의 대립 구조를 간단히 살폈으며, 변이양상도 살펴 보았다. 변이양상은 등장인물이나 핵심 어휘 등 가장 간단한 요소변이와 설화 내용에서 중요한 줄거리인 화소의 변이, 이야기의 큰 줄기인 삽화가 변하는 구조변이를 살펴 보았다. 서사전개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단선진행, 병렬진행, 연쇄적 진행, 회귀적 진행, 반복의 방법, 인과율의 구조, 화소의 삽입, 인물교체, 등장인물의 변신 등을 고찰했다. 그러나 각 유형이 다 이러한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설화의 유형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고찰했다. 이를테면 단선진행에서는 이야기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살폈으며, 병렬진행에서는 비슷한 화소나 삽화가 대등한 자격으로 나열되어 진행되는 서사구조를 살폈다. 연쇄적 진행에서는 비슷한 내용의 행위가 인과관계 없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구조를 살폈으며, 회귀적 진행에서는 이야기의 진행이 우여곡절을 겪게 되나 결국 처음과 같은 형태로 돌아가는 구조를 고찰하였고, 반복의 방법에서는 같은 화소나 삽화에서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살폈다. 호설화의 의미를 구명함에 있어 첫째, 고찰의 시각을 인물, 사건, 배경, 핵심어휘, 의미지향, 통시적 고찰 등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게 설화 속에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했다. 그리고 설화를 구연함에 있어서 설화 구연자의 의도는 무엇이며, 청자의 욕구는 무엇인가를 예리하게 고찰해 봄으로써, 설화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의미가 무엇인가까지 다각도로 고찰해 보고자 했다. 호설화의 분포를 알아 보기 위해서 출처가 분명한 호설화 762편을 가지고 그 분포 상황을 살펴 보았다. 4개의 유형별로 즉, 선호형설화, 악호형설화, 우호형설화, 혼합형설화가 각 지역에 얼마만큼 분포되어 있는가를 살폈다. 여기서 지역이란 각 도와 서울·경기를 묶은 모두 14개 지역을 말한다. 호설화의 전승 양상에서는 어떤 설화가 어떤 지역에서 어떻게 전승되는가를 살폈다. A variety of folktales about tigers have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Korea. The main reasons why we have a lot of folktales related to tig ers are due to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pecial rela 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igers. Tigers sometimes hurt and killed humans and humans were also able to gain much economic profit by means of catching and sell ing them. That's why tigers have become the major object of humans' concern from the past. So various kinds of tigers' folktales could take place naturally and we Kore ans have created tigers' folktales and enjoyed them. For the study of tigers' folktales I have collected approximately one thous and folk lores related to tigers. I have divided into the four large categories and the twenty medium categories and eighteen small categories. The large categories contain the folktales of good natured tigers and ill natured tigers and ridiculous tigers and other folktales of tigers. The central study of this thesis I am willing to deal with more emphatically is to analyze the folktales of tigers and find out what the pattern structures of them were constituted.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work. I have selected out of a total of the 181 folktales of tigers, the 35 good natured tiger types, the 61 ill natured tiger types, the 53 ridiculous tiger types, and the 32 other types. I have also intensively analyzed the folktales and found out 30 type structures. The aspects of descriptive development of the folklores of tigers are progressing as various ways of single line progression, returning progression parallel progression, chain progression and the others such as motif insertion repetition transformation, replacement of perso nality. For finding out the meaning of the folklores of tigers I focused on each different division of person category, incident category, setting category, key wort narrator's intention and possessors' desires. The representative meanings expressed in the folklores of tigers contain execution of filial piety, repayment of boon, Buddhist almsgiving, the rite of passage, elevation of social status, punishment of evil, aspiration of Utopia, comical expression of fearful feelings, restraint of immoral piety, contemplation of life, conscientious life, forbiddance of excessive greed. The thoughts of the masses found in the folklores of tigers are represented as thought of filial piety, thought of hoof thought of Buddhism, thought of virtuous woman thought of re venge, thought of WIND AND WATER(風水思想), thought of ascension to Heaven thought of retaliation for evil, thought of excessive greed. The spread of the folklores of tigers prevails properly all over the nation. Looking at the evident sources of 762 tales I can find out that there are 84 tales of Seoul and Kyung-Ki province, 95 tales of Kwang-Won pro-vince, 39 tales of Chung- Buk province, 65 tales of C hung-Nam pro-vince, 64 tales of Chulla-Puk-do province, 94 tales of Chulla-Nam-do province, 138 tales of Kyung-Buk province, 117 tales of Kyung-Nam province, 3 tales of Che-Ju Island, 43 tales of Pyung-An-Buk-Do province, 10 tales of Pyung-An-Nam-Do province, 5 tales of Ham Kyung-Buk-Do province and 2 tales of Ham Kyung-Nam-Do province and 3 tales of Hwang-Hae-Do province. The intensive regions of the spread of the folklores of tigers can be referred to as Hwa-so on district of Chulla-Nam-do, Kuo-Je-do Island of Kyung-Nam Province, Kun-Wee district, Kyung-Ju district, Yung-Duk, Sang-Ju of Kyung-Sang-Puk-Do, Hoeng-Sung, Yung-Wol of Kwang-Won-do and Jung-up of Chulla-Puk-Do. In conclusion, I found that the folktales of tigers have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the lives of the masses and enabled them to experience and feel the thought of filial piety, infusion of the thought of boo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sense of comfort and relief, and the sense of plea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