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해설교에서의 삶의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적용 연구

        박현석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Researcher: Park, Hyun-seok Degree: Master of Theology in Expository Preaching Institution: Bible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Date: December 31, 2008. Advisor: Andrew D. Chang, Th.D. Title: A Study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for the Changes in the Congregation’s Life in Expository Preaching Today we live in an age where a sermon extends beyond the church walls. We can listen to a sermon anytime and anywhere we want.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the congregation’s life. Many people regularly attend a church service on Sundays but live a corrupt life for the remainder of the week.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preacher does not inspire his audience because he is unconcerned about their desire to listen to a sermon. Moreover, because the preacher delivers the sermon as if he were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the audience fails to apply the sermon to their lives. What, then, is a true sermon that changes the audiences’ life? The purpose of preaching should not just be explaining the Word of God, but should be achieving change in the congregation’s way of life. The congregation’s thinking, attitude, and actions should be changed as a consequence of the sermon. Such changes are impossible except through a faithful declaration and an apt application of the Word of God. What makes this possible is expository preaching. Based on this inform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expository preaching and an effective application for it in the congregation’s lif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the aim, the method, and the scope of this study are discussed. Chapter two concerns expository preaching in general: the definition of expository prea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ository preach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xpository preaching, and finally the types of expository preaching. Chapter three deals with the necessary preparation involved in an effective application, such as the preparation of the preache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the understanding of people in the pew. Chapter four discusses an effective application including the definition of the application, logical developments in preaching towards effective application, the moment and the types of application, and the roles of application and the Holy Spirit. Chapter five deals with things to consider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such as the ten principles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and four matters to overcome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The last chapter summarizes and concludes what is mentioned above. Preachers are not people who simply convey information. They are called to change people with the Word of God, to wholly make the congregation the people of God, and to pass on the ability of Jesus Christ. This is the calling of all preachers. Therefore, the preacher must foster the ability to make an effective and successful application based on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God depending on the congregation’s situations and needs. The saying “Where the application begins, there the sermon begins” shows the importance of application. Preachers who devote themselves to delivering an effective sermon with great passion and dedication will be able to revive the collapsing Korean church and furthermore, to bring about significant events when they declare the Word of God. I hope this paper provides some momentum for lighting the fire of passion.

      • 성경적이고 적실성 있는 비유설교를 위한 이론과 실제

        박상헌 백석대학교 기독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표를 상실한 설교는 마치 방향 없이 날아가는 화살과 같다. 설교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정하는 것이 그 만큼 중요한 이유이다. 디모데 후서 3장16-17절은 모든 설교자가 성경 본문을 설교할 때 어떤 목표점을 정조준하여 화살 시위를 당겨야 하는지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라.” 사도 바울이 분명하게 강조하는 설교의 목표는 성경을 통하여 성도들을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여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성도들의 삶의 변화를 일으켜 그들을 하나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게 하는 것이 설교를 하는 가장 큰 목표가 되어야 함을 분명히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비유 설교도 역시 예외일 수는 없을 것이다. 비유 본문을 설교하는 목적은 비유를 통해 말씀하시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 그에 따라 살아가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유 설교의 목표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할 사람은 많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어떻게 그러한 비유 설교의 목적을 신실하게 달성할 수 있을 지에 대하여는 사람마다 그들의 신학적 전제와 견해에 따라 다른 입장 차이를 보이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상이한 주장들에도 불구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참된 비유 설교의 방향성을 어떻게 모색할 수 있을지를 해결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학적인 중요한 전제가 되는 것은 비유를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비유를 보면 하나님의 나라가 어떠한 것이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에 따른 핵심가치와 윤리적인 규범들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해도 지나친 표현이 아닐 것이다. 그만큼 비유는 하나님의 나라의 개념을 설명하는 가장 분명하고 알아듣기 쉬운 가르침과 설교를 위한 전달매체로 사용되어진 것이다. 그러하기에 건강한 비유 설교는 하나님 나라에 정초되어져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인 전제 위에서 본 논문에서 분명히 제시하고자 하는 핵심은 삶을 변화시키는 비유 설교란 한마디로 통합적인 관점으로 본문을 해석하여 우리 시대의 청중을 위해 적실한 메시지가 되게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통합적 관점의 비유 설교란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택일(either...or)이 아니라 “이것도 취하고 저것도 버리지 않는” 양자 종합 (both...and)의 정신으로 설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 본다면, 삶을 변화시키는 비유 설교를 위해서는 본문의 “규범성”과 청중에게 들려지는 설교를 통하여 전인격적으로 반응하게 하는 “창조성”을 함께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이렇게 두 마리 토기를 함께 포획할 수 있어야만 비유설교는 그 말씀을 듣는 성도들의 삶을 변화시켜 온전한 하나님 나라의 시민으로 이 땅을 살아가게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비유설교의 규범성과 창조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비유설교의 중요성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삶을 변화시키는 비유 설교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부분은 비유 본문이 가지고 있는 절대적인 규범성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설교가 그러하듯이, 비유 설교도 역시 설교자의 개인적인 사상이나 철학, 그리고 주관적인 교훈을 전하는 것이 아니다. 본문이 원래 의미한 것(what it meant)을 드러내어 전달하는 것이다. 이면에서 설교자는 하나님의 뜻을 가감 없이 선포해야 하는 그분의 전령자 이자 대사인 것이다. 성경 저자가 비유본문 말씀을 통하여 전하려고 했던 본래적인 의미를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 설교는 아무리 흥미롭고 유익한 교훈을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해도, 감히 성경적인 설교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설교야말로, 우리들이 신봉하는 개혁주의 신학의 가장 중요한 모토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의 정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성경은 신자들의 신앙과 생활의 절대적인 규범이 된다는 측면에서 비유본문이 말하고 있는 저자의 의도에 충실하지 못한 설교가 성도들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어불성설일 것이다. 비유의 말씀을 따라 성도들을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로 힘 있게 살아가게 하는 것이 비유 설교의 목표라면, 무엇보다도 비유 본문에 깊이 착념하여 본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저자의 중심 의도와 메시지를 밝히는 설교를 해야만 할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잡아야 하는 한 마리 토기인 것이다. 다음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비유설교를 위해서는 청중들의 귀를 사로잡을 수 있는 본문에 대한 창조적인 접근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비유설교의 창조성이란 비유 본문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성경 저자가 그 당대의 일차적인 독자를 설득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글을 전개했으며, 이를 위해 어떤 문학적이고 수사학적인 장치들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탐구

      • 상담설교에서 의미요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장태진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People of the modern society suffering from various problem in their lives. In this situation, sometimes they reached the limit that their mental ability and control over their emotions. So they want to find peace and joy. And they want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attending church. For this reason pastoral counseling is becoming more common. But many people have objections to personal counseling for a variety of reasons that the lack of time, the pressure of opening, the impossibility of meeting to special counselor.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ounseling preaching at the service. One of the problems for preachers today is that they do not have a close connection to the actual life of their audience. Not by appropriately sharing audience's sufferings, preachers are not giving an effective challenge to their lives. This i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counseling preaching to unify the pastoral counseling and the preaching. The Purpose of the counseling preaching is to use the word of God not only for healing but also for preventing people from various mental and spiritual problems. A few years ago, counseling preaching introduced to Korean Church, and this is still very much a work in progress. The most of the study of counseling preaching has focused on a research of the concept. Now, it needs the further study. In other words, more research is required about technique of counseling preaching. In this respect, I suggest you apply Viktor Frankl's Logotherapy to counseling preaching. The Logotherapy is the theory of humanistic. But the concept of the logotherapy is a very useful tool in making counseling preaching. The Logotherapy emphasizes the meaning of the life. We meet the problem and suffering in the journey of life. But, if we find out the meaning of the accident, we have developing in any difficulty. The counseling preaching must includes the change of the thinking, the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life. Through the finding of meaning, we have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life. The meaning of Counseling Preaching must find the word of the Bible. And the preacher proclaim the biblical meaning of the suffering. The first chapter shows the motive and purpose of the thesis. Chapter Ⅱ deals with counseling preaching. It describes the definition of counseling preaching, general understanding of counseling preaching, etc... Chapter Ⅲ studies Logotherapy by Viktor Frankle in detail as a suggestion by psychology. It includes the definition of the Logotherapy, background of the thought, the important concept of the theory, the methodology of therapy. Chapter Ⅳ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ing preaching and Logotherapy. First it studies the Logotherapy as the pastoral counseling. Then in the description of Logotherapy shown in Jesus' counseling. And it studies the application of Logotherapy to counseling preaching. Conclusive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thesis about the application of Logotherapy to counseling preaching. And it argues the point of thesis.

      • 설교자 박석순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

        송용수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 초록 ‘설교자 박석순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 송 용 수 설교와 예전 전공 목회신학박사 과정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동양의 성자’라고 할 수 있는 故박석순(길두교회 원로목사 1913. 1 .15 - 2004. 2. 26)의 설교자에 대한 참된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에 남긴 그의 복음에 대한 큰 발자취를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모든 사람들을 비롯해서 특별히 교회 설교자들이 박석순의 본을 받아 주님의 복음을 위해서 헌신하며 이웃을 섬기는 실천적인 삶으로 거듭나길 바라는 의미에서 본 논문 제목을 ‘설교자 박석순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를 붙여서 연구하게 되었다. 박석순은 강단에서 설교 할 때 언변이나 제스처 등 현대인들의 감각에 맞게 뛰어난 설교자는 아니다. 그는 다른 유명한 설교자들처럼 자신의 목회와 관련된 단 한권의 설교 책 이라든지 그 외 학술 자료도 남기지 않았다. 그는 평소에도 조용한 성품으로 인품이 매우 뛰어났으며 경건한 믿음을 소유한 자로서 하나님 앞에는 정직한 사명자로 그리고 회중들 앞에는 정직한 삶을 보여주는 목회자로서 그는 모든 사람들이 존경하고 우러러 볼 수 있는 훌륭한 실천의 설교자이다. 박석순은 끊임없는 말씀과 기도 가운데 강단에서 설교한 모습과 밖에서 생활하는 모습이 조금도 다르지 않는 언행일치(言行一致)의 삶의 본을 보임으로써 세상 사람들에게 주님의 복음을 충실하게 전하였다. 박석순은 주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낮은 자세로 섬기며 봉사하였다. 또한 육체와 정신적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치유하였고, 후학들을 위해 학교를 설립하여 배움의 길을 열어 주었으며, 어렵고 척박한 농촌지역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손수 13개의 교회를 개척하여 교회를 설립하였다. 뿐만 아니라 박석순은 자신의 목회를 위해서 끊임없는 경건 훈련을 통해서 성화의 삶을 걸어왔다. 박석순은 1950년 6.25 때, 가족을 북한에 모두 두고 월남하여 한평생 국가와 민족을 위해 끊임없이 기도 하였으며, 홀로 목회의 외길을 걸어왔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박석순을 ‘동양의 성자’라고 일컫는다. 그가 2004년 2월, 92세의 나이로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세상을 떠났을 때 양복 두 벌과 지팡이, 자신이 지녔던 성경책을 비롯하여 평소 읽었던 신앙서적을 유산으로 남겼다. 이로써 필자는 본 논문 ‘설교자 박석순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숭고한 정신과 목회업적의 발자취가 한국교회사에 길이 남겨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조용기 목사의 설교내용에 대한 비판적인 한 연구 : 성경적인 기준과 삼위일체적 기준을 중심으로

        임현택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기독교 설교에 있어서 가장 본질적이고 근원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경적 기준과 삼위일체적 기준인 두 가지 관점을 가지고 조용기 목사의 설교 내용을 분석 비판하였다. 조용기 목사가 한국교회 설교 강단에 미친 공과를 반성함으로써 초기 한국 기독교와 같이 앞으로 한국교회 강단이 사회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등대가 될 수 있도록 일조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바른 설교내용의 회복을 통해 교회가 한국 사회 안에서 등대의 역할을 감당하는데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

      • 빅 아이디어에 기초한 설교 작성 연구 : 해돈 로빈슨의 빅 아이디어를 찾기 위한 성경해석학적 연구

        금필규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설교 작성법에 관한 연구로서 성경적 설교가 무엇이며, 성경적 설교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그리고 성경적 설교의 정의와 핵심 원리들을 살펴보고 그 원리에 기초해 설교를 작성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교회의 위기는 강단의 위기이며, 강단의 위기는 올바른 진리의 선포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성경적 진리가 바르게 선포되고 적용되는 것, 성경적 설교가 강단에서 바르게 시행되며, 말씀의 본질로 돌아갈 때, 엔데믹 이후 무너진 교회의 권위와 위기가 회복 될 것이라 믿는다.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를 지나, 엔데믹 시대를 사는 오늘, 말씀의 권위와 강단 회복을 위해서, 해돈 로빈슨의 강해설교를 중심으로 그의 원리들이 성경적인 설교에 적합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한다. 특히 그의 빅 아이디어 이론이 본문에 충실하면서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설교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다. 나아가 전통적인 강해설교자들이 성경을 중요하게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성실한 연구를 하지 못함으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적용의 예시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빅 아이디어 이론에 근거하여 몇 개의 성경 본문을 해석하고 그것을 설교로 전개 시키는 방법을 제시한 후, 히브리서 10장 19-25절의 본문으로 설교문을 작성하고, 이후에 결론을 맺고자 했다. 본 논문은 1장에서는 빅 아이디어 이론에 기초한 설교 작성 연구의 동기와 목적, 의의 그리고 본 연구의 범위와 한계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2장에서는 기본적인 강해설교의 대한 개념을 언급하고, 해돈 로빈슨이 말하는 강해설교의 개념과 그의 이론을 살펴보고 그의 이론을 따르거나 비슷한 입장에 섰던 설교학자들의 주장들고 살펴보았다. 나아가 3장에서는 빅 아이디어를 찾는 방법과 실제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4장에서는 빅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서 몇 개의 본문을 비교 연구한 후, 5장은 빅 아이디어에 기초한 설교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설교자에게 설교 사역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사역이다. 오늘날 설교의 위기는 설교자들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다. 위기는 곧 기회인 것이다.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성경 본문을 충실하게 주해하고 이것을 통해서 빅 아이디어를 발견한 후, 그것을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설교는 반드시 한 가지의 빅 아이디어를 가져야 하고 또 그것은 본문과 일치되어야 한다. 청중들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를 명확하고 쉽게 전달하기 위한 고민도 필요하다. 빅 아이디어에 기초한 설교를 통해서 이 문제들이 해결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설교자들이 되기를 소망한다.

      • “경축으로서의 설교”가 가지는 신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헨리 미첼과 루크 파워리의 설교이해를 중심으로

        장성식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설교학에 다양한 연구 주제들이 있겠지만, 본고는 경축(celebration)에 집중한다. 설교에서 경축을 떠올릴 때, 저마다 생각하는 추상적이고도 다양한 관점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축의 신학적 특성을 구체적이며 집약적으로 다룬다. “흑인 설교”(Black Preaching)를 신학적으로 정립했던 헨리 미첼(Henry H. Mitchell)과 루크 파워리(Luke A. Powry)가 바라보는 경축에 대한 관점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설교에서의 경축의 신학적 특징을 발견하는 작업이다. 본고는 경축의 특성이 선명히 보이는 설교를 지향한다. 이로써 한국교회 설교 강단이 “경축으로서의 설교”로 거듭나길 목표한다. 설교의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기쁨에 근거한다. 부활을 경험하며 증인 된 삶을 살았던 원시 기독교 공동체는 말 그대로 주최할 수 없는 기쁨에 사로잡혔다. 이러한 기쁨은 필연적으로 경축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경축은 설교의 원형과 본질의 핵심 요소로 자리한다. “경축으로서의 설교”를 추구해야 하는 당위성이 확보된다. 본 연구는 미첼과 파워리의 1차 문헌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먼저는 미첼에게서 발견되는 경축의 특성을 설교의 신학적 차원과 구조적인 차원을 통해 찾고자 했다. 다음으로 파워리에게 이해된 경축의 특성을 성령론적인 관점에서 살피고자 했다. 그래서 이 세 가지의 관점을 가지고 경축이 설교에서 어떤 신학적 특성을 갖는지에 대해 평가하고 정리했다. 본 연구는 나아가 한국교회 설교 강단을 살폈다. 경축이 약화된 현실에 대한 신학적이고 현상적인 고찰이었다. 마지막으로 경축으로서의 설교가 되기 위한 논자 나름의 정의와 신학적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설교에 경축의 신학적 특성이 잘 드러나길 바란다. 본고가 경축에 관하여 관심을 쏟는 이유를 찾길 바란다. 그러므로 한국 기독교 설교에 경축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나기를 희망한다. 설교 강단의 위기라고 불리는 이 시대 가운데, ‘경축’이라는 설교 신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설교 강단에 큰 의미와 통찰을 가져다줄 수 있기를 고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