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uane Michals의 작품에 있어서 caption 敍述視點과 camera eye 視點의 비교 연구

        최혜신 숙명여자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듀안 마이클(Duane Michals)은 caption이 덧붙여진 사진으로 알려지기 보다는 오히려 sequence photo의 형식을 완성한 사진작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이 두가지 형식은 시각적 경험만을 제시하던 낱장의 사진에, 인물이나 사건, 배경이 있는 이야기를 도입했다는 의미에서 유사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그를 지칭할때 사진이야기(photographic narrative)의 대가라고 함이 타당하다. 1932년 펜실바니아 맥키스포드의 노동자 집안에서 출생한 그는 '57년에 처음으로 사진과 인연을 맺게되고, '66년에는 연작사진(sequence photo)이란 특이한 형태의 사진을 만든다. 그리고 '74년에는 사진에 caption을 덧 붙이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중적인 - 사진과 caption - 이야기 전달방식에 있어서의 話者의 視點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울러 다른 시각예술분야에 있어서의 문자(文宇)사용에 대해 연구한 결과 현대미술이나 특히 문자만을 표현수단으로 작품활동을 한 개념미술가들의 문자사용은 Duane Michals의 문자사용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Duane Michals의 caption이 서체회화로의 가능성을 배제하며 평범하게 쓰여지고, 내용 또한 자신의 個人史나 이야기를 전달한데 반해 현대미술이나 개념미술가들은 문자의 배열이나 문자모양등 문자의 시각적인 요소가 작품의 주요요소이며 그 내용 또한 관람객에게 일반적인 관념과 착상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Duane Michals의 caption은 현대미술에서의 문자사용과는 다른 맥락에서 그의 독창성을 인정해야 한다. IV장에서는 caption의 화자(話者)서술시점과 camera eye 視點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caption의 서술시점은 화자서술시점, 인물서술시점, 일인칭 서술시점으로 분류되며 camera eye 시점은 본인이 임의로 명명한 바 외부시점과 내부시점 - 내부시점에는 인물시점과 인물내면시점이 있다. - 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점(視點)」은 이야기의 敍術방식에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결정 짓는다. V장에서는 그의 작품을 story의 전개방식에 의해 크게 세가지 - 콩뜨형식의 작품, 설화형식의 작품, 수필형식의 작품으로 분류한 뒤 caption의 서술시점과 camera eye시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꽁뜨형식의 작품에서는 이야기속의 인물을 화자로 대신 기용하여 caption을 서술해 나갔으며 camera eye 또한 그 인물의 시점과 동일시하여 전개하였다. 설화형식의 작품에서는 주로 단사진으로 표현했으며, caption의 서술시점은 자신이 그이야기를 직접 우리에게 전달하지만 숨은 화자로서 이야기를 전개한다. 수필형식의 작품에서는 자신을 話者로 직접 내세워 자전적(自傳的)인 그의 개인사를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이렇듯 Duane Michals은 사진에 이야기를 도입함으로써, 單사진들이 낱장의 사진으로 어떤 이미지나 감정의 교감만을 전달한데 반해 그의 sequence photo나 caption이 덧붙은 사진은 짧막한 이야기를 전달함으로써 한편의 소형영화를 보는듯한 느낌을 준다. 그리고 그의 이러한 노력들은 사진예술의 잠재력을 개발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해야 한다. Duane Michals, the famous photograph artist is known by more the photos accomplished at sequence photo than the photo with caption. These two forms have similarity in that it lets the story which has figure, accident and background in respective photo which only shows the visual experience. In refering him, it is natural for us to call him the master of 「photographic narrative」. He was born at Pennsylvania Mckesport in 1932 as the son of laborer. In 1957, he was contact with photo at first and in 1966, He made the very unique form of photo which called 「sequence photo」. And in 1974, he added the caption at photo thus I will focus on the viewpoint in the methods of dual story - the photos and caption - delivering in this thesis. In addition we studied the entering of literature in Visual art. It was proved that modern art especially conceptional artist who express their work only with letters is very different with use of letter on Duane Michals. Duane Michals caption is used very common without the passivities of a style of penmanship pictures and it contents gives us only his personal story and narration. But conceptional artists considers visual point such as arrangement of letters, the form of letters - these are very important part of their works - and its contents gives spectators general concepts and idea. So in other way, we must recognize his originality his unique caption. The chapter IV, we analyze narrator's viewpoint of caption and camera eye viewpoint. In result caption's viewpoint is distinguished into narrator's viewpoint, figure narrative viewpoint the first person narrative viewpoint and in my own opinion, camera eye viewpoint is distinguished into outernal viewpoint and internal viewpoint which has personal viewpoint and a person's internal viewpoint. These viewpoints have very important point in methods of narration and it decides the whole atmosphere of on work. The chapter V, first we distinguished his work three mass in a terms of story expansion style - the form of conte, the form of a tale, the form of essay - and then we compared caption's narrative viewpoint and camera eye viewpoint and analyze that. By the result, in the form of conte he replaced the person of story by narrators and told the caption ,in the form of tale he expressed it snap shot and told the story by himself in caption narrative viewpoint but he told the story in invisual narrators. In the form of essay he told us his private story as an autobiography. Like this, Duane Michals let story in photos so snap shot only gives an image and a consensus of emotion in respective photo but his sequence photo and caption make us feel watching a small movie by transport short story. So we must recognize his values highly in that he developed the subconsciousness of photo art

      • 오정희 소설의 서술시점 연구

        정우련 경성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 안에서의 시점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등장인물의 시점을 통한 소설의 전개 기법이 소설 안에서 어떠한 미적인 효과를 드러내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바쳐졌다. 소설의 전략적인 측면에서의 시점이란 결국 작가가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독자에게 믿게하기 위한 조작이다. 여기에서 시점은 단순히 줄거리를 전개시키고 행위를 진전시키는 서술적인 부분에만 관계되지 않는다. 그것은 화자의 설명과 이야기, 그리고 주석을 대신한다. 인물들의 시점을 통한 소설읽기는 독자에게 소설이 의도한 주제와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에 일역을 한다. 그것은 오정희의 소설이 시점에 대해서 자의식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는 데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인물의 내면적인 의식의 재현과 전달을 주된 문체론적 수단으로 취하고 있는 독특한 서술방식에서도 나타났다. 첫째, "별사"는 기왕의 오정희 소설 가운데에서는 가장 많은 주목의 대상이 되어온 작품이다. 무엇보다도 사건이 일어난 순서대로의 이야기 시간과 텍스트상에서 재배열된 담화시간 사이의 시간착오에서 야기되는 작가의 서술적 책략을 얼른 알아내기가 쉽지 않았다. 현재시점으로 서술해 나가는 "별사" 전체의 이야기가 기왕의 논자들의 논의와 별반 차이가 없는 회상의 이야기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이 이 작품을 주인공의 이야기-현재의 사건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 작가가 의도한 고도의 서술적 책략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중적 시간 구조속에서 "별사"를 지배하고 있는 핵은 바로 죽음의식이다. 그것은 "별사"의 현실을 지배하고 현실마저 죽음으로 몰아가게 한다. 둘째, "어둠의 집"은 시점의 전이에 주목했다. 소설 서두에서 객관적 거리를 지키던 3인칭의 화자가 등화관제가 시작되고 등을 끄는 순간부터 인물의 내면으로 다가서는 내면 초점화 양상이 뚜렷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불이 꺼짐에 따라 일어나는 의식의 내밀화는 빛의 세계와 어둠의 세계라는 상징적 반전을 일으킨다. 그것은 또한 일상성의 문체에서 의식, 무의식의 세계를 담는 어둠의 문체로 전이되고 서술자와 주인공으로 존재하는 등장인물의 의식이 상호교류하고 혼재되는 국면으로 확산되어 급기야 내적독백으로 치닫는다. <그 여자>는 등화관제가 실시되는 20여 분 간의 짧은 시간 동안 허무적인 자신의 존재적 위상을 발견하게 된다. 세째, "중국인 거리"는 1인칭 복수시점과 단수시점을 번갈아 사용하고 있는데 화자는 완전히 겉에서만 이 인물 저 인물을 비추는 카메라의 시선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스런 인물들이 유기적인 연결없이 등장하는 인물들의 알 수 없는 행동들을 보면서도 화자는 결코 타인의 마음속을 들여다 볼 수 없는 철저한 비정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소설은 이방의 분위기를 바탕에 깔고 유년기적 시점과 비극적 현실이라는 두 축의 화합에 의해 비극은 극복의 양상을 띠고, 시점은 싱싱하게 살아서 과거이면서도 현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a descriptive point of time in novels by Oh, jung-hee and aesthetic effects of the point in developing her nevels. From a strategic view, a novel's point of time is used to make readers believe that a novelist made a story. It not only relates to descriptive parts such as plot and characters' actions but also represents a speaker's explanation and narrative and notes. Reading a novel based on a descriptive point of time of characters helps readers understand the theme and significance intended by the novel. This can be found in Oh, jung-hee's novels in that her works have a self-conscious position about a descriptive point of time. It can be also seen in the female novelist's unique way of description which adapts reproducing and delivering characters' inner consciousn- ess as her main literary style. Now I'd like to conclude as follows about novels by Oh, jung-hee evaluated in terms of a point of time. First, "A farewell speech" has attracted more attention than any other novels by the female novelist. Above all, the time confusion arising between sequential events and rearranged conversations has made it impossible to find out the writer's descriptive intention rapidly. The novel whose descriptive point of time is present is a retrospective story that has not many differences in developing from other existing novels, but the female writer intends to make readers consider a main character's story as an event happening at present. "A farwell speech" whose time structure is dualistic is controlled by consciousness of death. The consciousness also controls the novel's reality and leads it to the end. Second, I focused on changes in a descriptive point of time with her novel, "A dark house". In the beginning of the novel a third speaker keeps objectivity, but he approaches and apparently focuses on a character's inner mind as control of lights starts and the character turns off the light. A dense consciousness invokes conversion between light and dark worlds as the light becomes off. It also transfers a routine literary style into a dark one which contains the world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developing to an aspect in which a descriptor and a character exchanges spiritually and finally leading to an interior monologue. <The woman> as a main character of the novel finds herself as a futile being even during such a short-time blackout. In "The Chinese road", the female writer uses the first person's dualistic and single descriptive points of time in turn. A speaker sees each of characters separately from the whole outside as if he aims his camera. He thoroughly and cold-heartedly keeps distance from unique characters of the novel without observing their mind, although he sees they appear with no organic connections among them and do behaviors which could not be understood. With an underlying exotic climate, the novel shows a recovery from tragedy under the composition of the time of childhood as the past and a tragic reality as the present. That is, the novel employs a descriptive point of time as the past and simultaneously the present.

      • 이태준 동화에 나타난 어린이상 연구

        김규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0

        ‘동화’의 중심에는 어린이가 존재한다. 동화가 지니는 어린이에 대한 생각과 태도는 동화의 핵심적 가치이며 동화 속 어린이상을 통해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태준 동화에 나타나는 어린이상 연구를 통해 이태준 동화가 아동문학으로서 갖는 의의와 가치를 생각해보고 그 생명력을 밝혀보고자 한다. 동화의 어린이상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어린이상 분석을 단순히 아동 주인공의 성격만으로 탐구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주인공을 어떻게 드러내는가’는 시점이나 서술 방식과는 분리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서술 시점의 변화, 주인공이 갖는 성격, 이태준의 생애와 연관 지어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어린이상을 드러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태준 동화를 1기부터 3기까지로 구분하여 동화에 나타나는 어린이상의 변모를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이태준 동화를 다각도에서 해석해 보려한다. 구분은 첫째, 시기별 동화의 서술시점 변화에 대해 분석하며 둘째, 각 시기별 동화의 주인공이 갖는 성격을 살펴보고 셋째, 이태준의 동화를 그의 생애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글을 쓰고자 했고, 양식과 묘사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이태준에게 삶의 경험은 가장 좋은 글쓰기 소재였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처럼 그의 동화를 자전적 경험들에 대한 이야기라고만 해석하기에는 철두철미하게 준비해서 글을 썼던 작가로서의 이태준의 능력이 빛을 발하지 못한다. 분명 그의 동화에는 그의 경험들이 소재로 활용되었지만, 이태준은 그 소재들을 재구성, 재배치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었다. 이태준 1기의 동화는 어린이가 대상을 관찰하고 삶에 영입하려다 자신의 실수로 죽음으로 내몰게 되는 비극을 맞이한다. 죄책감의 감정을 바탕으로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삶 속에서 대상을 지켜보며 내면의 심리적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 삶의 비극적인 편린을 깨닫는 등장인물을 그려내기 위해 서술 방식도 내적 초점화를 사용하였다. 1기의 동화를 쓸 때 이태준은 방정환을 만나 어린이라는 존재를 인식하면서 아직은 구체화 되지 않은 어린이를 위한 읽을거리를 쓰고자 했다. 2기의 동화를 쓰면서는 자신의 어릴 적 경험들을 소재로 활용하면서 기억 속에 남아있는 너무도 힘들고 불쌍했던 과거 자신이 관념화되어 더욱 비극적이고 심하게 핍박받는 어린이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삶의 경험을 가장 많이 녹여낸 시기였기 때문에 작가와 등장인물간의 거리가 가장 좁았고, 등장인물의 내면을 가장 잘 들여다 볼 수 있었던 주제였기 때문에 이태준은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내면과 외적 상황을 자유로이 서술할 수 있는 무초점화를 사용한다. 작가의 감정이 이입되어 2기 동화의 어린이는 직접 삶을 살아내면서 가난과 핍박 때문에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되거나 혹은 부당한 현실을 인지하고 자신의 처지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계몽성이 엿보였다. 3기의 동화에서는 실존하는 어린이를 발견하여 객관적으로 그려내기 위해 외적 초점화를 활용하여 감정과 서술을 최대한 절제하고 대화체 형식의 새로운 양식을 도입하면서 예술성을 확보하였다. 이는 대화를 통해 삶을 배우는 어린이를 창조해냈다. 3기의 동화를 쓰면서 이태준은 장녀 소명을 낳았고, 실제적인 어린이의 성장과정을 지켜보면서 감정을 절제하고 객관적으로 실존하는 어린이를 그릴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등장인물과의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객관적인 서술을 위해 외적 초점화를 사용한다. 서술자와 서술대상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 서사는 ‘말하기’에 의해 전지적인 특성을 갖는다. 또한 서술자와 작가와의 거리가 소멸되어, 서술자가 작가와 거의 동일시 되는 주관적인 특성을 갖게 되어 1, 2기 동화와 같이 자전적인 것이 된다. 반면에 서술자와 서술대상간의 거리가 멀수록, 이 서사는 3기 동화와 같이 ‘보여주기’에 의해 객관적인 것이 된다. 이태준은 여러 편의 동화를 창작하면서 주제의식과 주인공의 연령에 따라 다양한 시점과 서술양식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어린이가 읽을 것이라고 하여도 가벼이 여기지 않고 치밀한 인물묘사를 통해 이야기에 생동감을 주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동시대 동화와 달리 계몽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대신에 그 자리에 정서적 정감을 넣었으며 독자 스스로가 생각하고 느낄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겨주었다. 「엄마 마중」은 그 정점에 있는 작품으로 동화 속에 천진난만한 어린이도 존재하고, 그 어린이가 살아야 하는 현실도 존재한다. 그리고 짧은 글 속에 기승전결의 구조가 모두 담겨 있으며 결말도 열린 구조로 감정의 여운과 독자의 해석의 범위를 확대 해 주었다. 뛰어난 작품성뿐만 아니라 동화 속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의 모습은 과거나 현대에나 모두 존재해 왔으므로 「엄마 마중」이 7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림책 매체로 변환되었음에도 현대의 사람들에게 거부감 없이 읽힐 수 있는 이유이다. 이태준은 그의 삶을 밑거름으로 하여 절제와 함축, 뛰어난 묘사로 시대를 아우르는 어린이의 본 모습을 그려낼 수 있었기 때문에 어린이에게도 거부감 없이 읽히고 한때 어린이였던 어른에게도 감동으로 읽힐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현대 우리 동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시사해 준다.

      • 〈노처녀가〉의 서사 지향적 변모 양상

        윤지혜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7

        본고는 조선후기에 나타난 <노처녀가>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에서는 여성가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노처녀가>(1)과 서사적 지향성을 보이는 <노처녀가>(2)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노처녀가>의 서사구조와 서술시점에 초점을 두고 <노처녀가>(1)과 <노처녀가>(2) 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노처녀가>의 서사 지향적 변모 양상을 자세히 살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두 작품의 문학적 작품세계를 구조적 특성, 문체적 특성, 내용적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첫째, 두 작품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면 <노처녀가>(1)은 구조적으로 서두와 결말의 관계에서 볼 때 열린 구조를 보인다. 즉 시작과 중간은 있지만 결말이 없는 구조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처녀가>(2)는 결말을 제시하여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로서의 짜임새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닫힌 구조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두 작품의 구조를 직접 나누어 보고 작품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둘째, 문체적 특성을 살펴보면 <노처녀가>(1)은 전형적인 여성가사로서 작품을 이끌어 가는 서정적 자아는 노처녀 자신이다. 또한 노처녀의 자탄은 처음부터 끝까지 현재형으로 진행이 된다. 그러나 <노처녀가>(2)에서는 작품 표면에 3인칭 술자의 목소리가 드러나게 된다. 여기에서는 과거형 서술의 사용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서술자의 목소리가 노처녀의 독백 내에서도 발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노처녀가>(1)에서 보여지는 일원론적인 언어사용은 서사지향을 드러내는 <노처녀가>(2)에 와서는 하층민의 언어가 유입되면서 다층적인 언어로서의 문체적 변이를 나타낸다. 셋째, 내용적 특성을 살펴 보면 두 작품의 서술자의 당대 사회에 대한 현실인식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노처녀가>(1)에서는 주인공인 노처녀의 한탄을 통해 봉건제 하의 신분제도와 혼인제도가 노처녀의 혼인에 장애가 되는, 사회와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으나 이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한탄에 그치고 만다. 그러나 <노처녀가>(2)에서는 노처녀가 불구라는 허구적 상황이 도입되면서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다음으로 <노처녀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봄에 있어 <노처녀가>의 서사구조와 서술시점을 살펴보고 또한 <노처녀가>의 주제의식과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 보았다. <노처녀가>(1)는 별다른 사건의 전개없이 노처녀의 탄식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노처녀가>(2)는 3인칭 서술자의 등장과 함께 노처녀의 독백내에서도 여러 사건들이 등장하고 혼인에 이르기까지의 서사적 전개를 갖추고 있다. <노처녀가>(2)에서는 액자 내부의 1인칭 서술을 감싸고 있는 3인칭 서술이 부각된다. 또한 노처녀의 독백에서 노처녀의 진술 즉 1인칭 인물의 언어에 서술자의 언어가 침투되어 나타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노처녀가>(1)의 주제는 봉건제도 내의 양반 사회 규범과 유교주의적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에의 탈피와 자유로운 인간 본성의 구현이라는 면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서사지향성을 강하게 보이는 <노처녀가>(2)에서는 위의 작품에서 보이는 사회와의 갈등이 개인의 문제로 축소되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노처녀가>(1)에서의 현실문제의 부각보다는 <노처녀가>(2)에서의 노처녀의 현실개척 방법을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다. <노처녀가>(2)의 주제는 노처녀의 근대의식 자각에서 찾아 볼 수 있겠다. 즉, 여성이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 더 이상 수동적이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상황을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인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노처녀가>의 문학사적 의의는 <노처녀가>(1)과 <노처녀가>(2)가 지닌 주제의식과 서사지향물로서 변모 양상을 보이는 문학적 특성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즉 <노처녀가>는 가사라는 틀을 지니고 있는 <노처녀가>(1)에서 뚜렷한 서사지향적 구조물로서의 <노처녀가>(2)로 변모하면서 , 당대의 현실 상황과 당시대인들의 사고세계를 적극적으로 보여준다는 데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is the study of No-cheo-nyeo-ga appear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here the subject is No-cheo-nyeo-ga (1) that shows the typical features of yeo-sung ga-sa (여성가사) and No-cheo-nyeo-ga(2) that shows the narrative intention. This is to focus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depictive point of view of No-cheo-nyeo-ga that has been dealt on the previous study in the past, and to look into deeper the narrative intentive changing features of No-cheo-nyeo-ga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No-cheo-nyeo-ga(l) and No-cheo-nyeo-ga(2). First of all, we looked into the above two works of literature dividing into Structural features, stylish features, and substantial featuers. First, regarding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m, No-cheo-nyeo-ga(1) is open structur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logue and the conclusion. In other words, it has the begining and the middle but end. However, No-cheo-nyeo-ga(2) has the structure as a complete story, suggesting the conclusion, which is the closed structure.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se two works ourselves and verified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work. Second, regarding to the stylish features, No-cheo-nyeo-ga(1) is the typical yeo-sung ga-sa and the lyrical ego is No-cheo-nyeo herself. Also her grief is shown as the present tens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ut, No-cheo-nyeo-ga(2) has the 3rd person narrative voice outside. Here, the past tense narration began to be used. This voice also is shown in the No-cheo-nyeo's monologue. And the monistic use of the language shown in the No-cheo-nyeo-ga(1) shows the stylish variation as the language of the varied classes, adopting that of the low class in the No-cheo-nyeo-ga(2) with narrative intention. Third, regarding to the substantial features, we can see the narrators' perception about the present those times. No-cheo-nyeo-ga(1) shows the conflicts with the society which is being the obstacles of her marriage under the sin-bun-je-do(신분제도) and hon-in-je-do(혼인제도) under the bong-gun-je-do(봉건제도) and complaining about it but cannot find the solution. However, No-cheo-nyeo-ga(2) shows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by introducing the fictional truth-disabled. We looked into the narrative structure and depictive point of view in looking into the meaning in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No-cheo-nyeo-ga and found the motive and the meaning in the literature history. No-cheo-nyeo-ga(1) is composed of nothing but the grief without any special events and No-cheo-nyeo-ga(2) has the narrative process from the several events to the marriage in the No-cheo-nyeo's monologue with the 3rd person narrator. No-cheo-nyeo-ga(2) is raising the 3rd person narration covering the 1st person narration inside the flame. Also it has the feature that No-cheo-nyeo's narration in her monologue or the language of the 1st person got permeated by the language of the narrator. The historal meaning of No-cheo-nyeo-ga is to find the literature feature showing the change with the motif and the narrative intention of No-cheo-nyeo-ga(1) and No-cheo-nyeo-ga(2). In other words, we can find the historical meaning in that No-cheo-nyeo-ga(1) has changed into No-cheo-nyeo-ga(2) as the clear narrative intentive structure and show the reality of the times and mental wold on the people in those times actively.

      •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와 아르노 가이거의 『유배 중인 나의 왕』에 나타나는 자전소설의 기능과 의미

        임경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4

        이 논문은 활동 시기가 서로 다른 두 독일어권 작가의 전기소설, 즉 토마스 만 Thomas Mann의 『파우스트 박사 Doktor Faustus』(1947), 그리고 아르노 가이거 Arno Geiger의 『유배 중인 나의 왕 Der alte König in seinem Exil』(2011)에서 드러나는 독일 정신과 함께, 각 작품의 주제를 전달하는 내용적 및 형식적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자전소설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독일적인 정신은 특유의 관념론적인 사상을 기반으로 범세계시민주의적인 속성을 띠게 되었다. 유럽의 여러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형성된 독일어권 민족의식은 민중을 위한 루터의 신앙론과 근대의 인문주의에서 유래됐다. 기본적으로 독일적인 정신은 범시민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경향을 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범세계시민주의가 근·현대적 예술 분야에서는 특히 바그너, 니체, 토마스 만 등으로 이어진다. 한편, 아르노 가이거는 작품 속 이전 세대 독일 작가들의 여러 문구들도 자신의 작품에서 인용할 만큼 그들에게서 영향을 받았을 법하며, 21세기에 광범위하게 두드러지는 치매담론을 통해 자신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런 배경에서 예의 두 전기소설의 작가는 자신의 개인사를 모든 인간이 겪을 수 있는 보편적인 경험으로 그려낸다. 20세기 독일 현대문학을 대변하는 작가로 평가받는 토마스 만은 주인공 아드리안 레버퀸과 그의 전기를 기록하는 1인칭 서술자 제레누스 차이트블롬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이 형성되어 온 정신사적인 과정을 그려내고, 동시에 그런 정신사가 시대적·정치적 여건에 의해 왜곡되어 나타나는 제1차 및 제2차 세계대전을 분석하며 다층적으로 풀어낸다. 한편, 아르노 가이거는 알츠하이머를 겪는 아버지의 이야기와 그를 돌보는 1인칭 서술자인 아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서술한다. 이때 아들은 아버지가 겪는 질병을 통해 아버지와 그의 삶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존재와 삶도 재발견한다. 여기에서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심경변화들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심경들이 치매를 앓고 있는 아버지에 대한 작가 아르노 가이거의 감정들을 대변하며, 아들의 이야기를 형성해가는 주축이 된다. 토마스 만이 『파우스트 박사』를 집필하게 된 배경이 나치즘에 의한 제2차 세계대전이었다는 사실은 작품의 형식적인 면에서 독특한 서술기법을 구성한다. 당시에 미국에 망명 중이던 토마스 만은 파우스트 소재를 패러디 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그것은 무엇보다 그 자신의 문학적인 자아를 주인공 파우스트-레버퀸과 그의 친구로서 전기 기록자인 차이트블롬으로 양분하는 방식으로 시작된다. 가까우면서도 먼 독특한 친구 관계에서 서술되는 영욕의 천재적 삶을 통해 작가는 천재-레버퀸 및 평범한 시민 차이트블롬과 자기 동일화를 하면서 동시에 거리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토마스 만의 이와 같은 이중적인 전략은 독일 정신이 처절하게 무너져 내리는 전쟁 속에서 자신의 정신세계와 독일적인 본질을 반추하고 또한 해명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 아르노 가이거의 『유배 중인 나의 왕』에서 치매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아버지의 이야기는 그의 곁을 지키는 아들의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전체적인 서사가 부자 관계로 설정된 두 핵심 인물에 의해 진행되거니와, 아들의 이야기도 아버지와의 관계 중심으로 펼쳐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아버지의 치매가 진행되는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아들이 얻게 되는 깨달음이 각각의 이야기를 형성한다. 결국 이 두 이야기는 부자간의 이야기로 이어지면서 작가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주제, 즉 가족적인 연대감의 회복과 보편적인 인간에 대한 이해가 드러난다. 이때 1인칭 서술자의 깨달음은 매우 자주 여러 작가들의 인용과 격언, 또 아버지와 아들의 실제 대화 장면을 통해 뒷받침되곤 한다. 결론적으로, 각기 다른 시대에 활동했던 두 작가의 자전소설에서 드러나는 개인의 자아성찰과 성숙, 더 나아가서는 보편적인 인간성 회복을 통해 자전소설의 기능과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s of Thomas Mann's Doktor Faustus (1947) and Arno Geiger's Der alte König in seinem Exil (2011), identifying not only the German spirit as revealed in the two literary works but also the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that convey the theme of each work. Traditionally, the German spirit is based upon a distinctive philosophy which possesses characteristics of the ideology of global citizenship. National identity in German-speaking countries, which formed relatively late compare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originates in Luther's theory of religious belief and modern humanism. At its core, the German spirit tends to pursue the values of pan-national; such global citizenship especially led to Wagner, Nietzsche, and Thomas Man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s becomes evident by his quotation of previous German writers in his work, Arno Geiger draws influence therefrom, relaying his autobiographical story through a extensively prominent Alzheimer's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Both Mann and Geiger, in their autobiographical novels, narrate personal histories as universal experiences that can be shared by all human beings. Thomas Mann, one of the leading modern German writers of the 20th century, depicts the intellectual developing process of Adrian Leverkühn’s identity through Serenus Zeitblom, the first-person narrator and biographer. Mann analyzes and unravels through diverse perspectives how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has distorted intellectual history with its chrono-political influence. In contrast, Arno Geiger tells the personal history of his father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whose son not only cares for him but also functions as the first-person narrator of the story. During the events of caring for his father, the narrator son begins to understand his father and also discovers the meaning of his own existence and life. The narrator son experiences an emotional change regarding his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This change about the father is particularly remarkable. These feelings represent the feelings that the writer Arno Geiger felt towards his father, who was being suffered from Alzheimer's disease and form the son's story fundamentally. Thomas Mann introduced an unique narrative technique in Doktor Faustus, which he developed due to the restrictions on artistic works enforced during the Nazi period, including the Second World War. When Mann was in exile in the United States, he experimented with a parody of the literary material in Faustus. The parody divides the author’s literary self into two characters: Faust-Leverkühn, the protagonist, and Zeitblom, the biographer and friend. The rise and fall of the life of a genius is described in terms of a close yet distant, and unique friendship. In Faustus, the writer simultaneously identifies with the genius protagonist, Leverkühn, and the ordinary citizen, Zeitblom, while he also maintaining distance therefrom. This dual strategy of Thomas Mann attempts to reflect on both the author’s own psyche and the German spirit, which the author struggles to define as it collapses amid WWII. In Arno Geiger's Der alte König in seinem Exil, the story of the father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son’s narrative of caretaking as well. The two key figures established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perform the narrative in its entirety. During the process of his father's Alzheimer's disease, the son also experiences a bonding sense of familial solidarity and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human life. The by other writers often quoted first-person narrator’s experience of realization, as well as the dialogues from the real interview between Arno Geiger and his father reinforce the universal significance of human experience. In conclusion, individual's self-reflection, maturity, and even the restoration of the universal significance of human experience can be discovered in the autobiographical novels of these two authors who were active in different times. More broadly, the function and meaning of autobiographical novels can be approached through comparison of these authors' work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