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박영실 전남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광역시에 거주하고 생활체육 활동에 6개월 이상 규칙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240명을 무선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수준에서 해석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운동중독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연령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연령이 많을수록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 요인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F=1.186), 운동중독(F= 4.167)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직업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 요인에서는 주부(3.73±.71)가, 운동중독 요인은 자영업자(4.11±.5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행복감(F=2.145)과 운동중독(F=2.373)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경력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은 참여 경력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은 ‘2년-3년 미만’ 참여 집단이, 그리고 운동중독 요인은 참여 경력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참여 종목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은 배드민턴, 배구, 에어로빅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과 운동중독은 배드민턴과 게이트볼이 높았으며, 심리적 행복감(F=5.925), 생활만족(F=3.397), 운동중독(F=6.488)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주당 운동 참여 빈도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 운동중독은 5-6회(3.79±.60) 이상 참여한 사람이 가장 높았고, 심리적 행복감(F=2.763)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째, 생활체육 활동이 참여자의 1일 운동 참여 시간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행복감과 생활만족은 1일 ‘3-4시간’ 정도 참여하고 있는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운동중독 요인에서는 1일 운동 참여시간이 많은 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행복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n a psychological euphoria,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dition of the participants in life sports it was conducted by using a random sampling to achieve the purpose for an adult men and women of 240 over 20years old who have lived in Kawang-ju and regularly take part in life sports over 6months A collected data was disposed of using spss 12.0 program, T-test and the analysis of dispersion to analyze the statiscal difference on population statistic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s gain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n level .05 are as follows First, the sex of the participants. it shows that the men are higher than the women in exercise addition. In contrast, the women are higher than men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those figures are similar Second, the age of participants. It proves that the more the members are old, the more those stats are high in three aspects. Statistically, the number of life satisfacition is similar to exercise addition. Third, the occupation of participants. It indicates that a housewife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management's men in exercise addition are the highest. Statistically, the figure of psychological euophoria is similar to exercise addition. Fourth, the Influence of life sports participants'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exercise addiction to participating degree of life sports is higher as the period of exercising is longer, frequency and intensity are higher. Fifth, among life sports events, it shows that badminton's figure is higher than volleyball and aerobic's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in life satisfaction and exercise addition, badminton and gate ball's numbers are the highest. However, statistically, three aspects' figures are similar. Sixth, the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s a week. It demonstrates that the people that participate sports 5~6times a week is the highest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tion. Statiscally, the numbe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are similar. Seventh, the time of exercise participation a day. It shows that the group that have taken part in sports for 3~4 hours a day is the highest in psychological euphoria and life satisfaciton. The more the group spends a lot of time of exercise a day, the more the figures are high in exercise addition. Statistically, Two groups' figures are much like in psychological euphoria.

      •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김해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병조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산업화 및 경제성장, 소득증가, 주5일근무제 시행 등으로 인한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인간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방법과 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증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스포츠 부문의 소비증가다. 현대인들은 남녀노소 누구나가 다 자기 신체활동에 맞는 운동을 즐기려고 하고 있어 여기에 맞는 생활체육활동은 그들에게 신체활동을 통한 즐거움과 만족감을 경험하는 활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생활체육은 경쟁적 게임활동, 특수한 지형지물을 이용하는 야외활동, 심리적 리듬활동, 체력단련 운동 등을 통하여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기만족감과 자긍심을 고양시켜 생활의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직장인의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삶의 질과 행복을 향상시키는 복지활동으로 개인의 사회적 완성을 추구하는 문화 활동이다. 김해시의 경우 이러한 생활 체육을 통한 건강한 시민생활과 건전한 여가 문화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각종 생활체육 활동을 위한 시설물 건립과 지역동호회 육성, 생활체육대회 개최 등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동안 대규모 택지개발, 산업단지조성, 대도시 인접 지리적 영향 등으로 인구 50만 초과란 급속한 인구증가로 앞으로 생활체육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기대는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김해시는 생활체육회를 통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운영과 운동종목별 생활체육교실, 생활체육 지도자 배치사업, 종목별 생활체육대회 개최, 생활체육활동을 위한 시설물의 확충 및 보완 등 다양한 생활체육을 위한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그리고 경상남도의 생활체육인을 위한 대 축제인 경남생활체육대축전도 금년 10월 21부터 23일까지 3일간 경남의 생활체육 동호인 2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생활체육이 우리나라의 복지사회를 이끌어 가는데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분야라는 인식하에 김해시의 생활체육 발전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생활체육의 각종 발전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여 인구50만 대도시로서 시민의 생활체육을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시민행복을 도모하며 나아가 김해시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각종시책이 우리나라 전체에 전파 파급될 것을 기대하면서 연구에 임하고자 한다.

      •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정애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인의 생활체육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W시에 소재한 60세 이상 노인 160명을 대상으로 생활체육활동, 행복감,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은 박유진(2002)이 Callero(1985)와 Laverie(1995)의 연구에서 사용된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 여가정체성 척도를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을 측정하는데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행복감 척도는 Lyubomirsky와 Lepper(1999)이 개발하고 임지숙(2004)이 번안한 주관적 행복감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아효능감 척도는 Mahoney(1988)가 개발한 척도를 우희정(1993)과 서채원(2012)이 번안, 수정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노인의 생활체육활동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체육활동과 자아효능감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체육활동을 하는 노인들은 자아효능감이 높고 행복감이 높았다. 둘째, 노인의 생활체육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검증을 사용한 결과 노인의 생활체육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세 하위요인 모두 생활체육활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은 노인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노인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행복감을 높이는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본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impact of sports for all activities on the feeling of happiness in the elderly and investigate whether self-efficacy has an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for all activities in the elderly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To achieve this, our survey targeted 160 old individuals who were over 60 years old in W city. Sports for all activities are the instrument that Park Yu-Jin(2002) adapted 4 questions used by Callero(1985) and Laverie(1995) and entered additional questions that could measure sub-factors and finally developed 21 questions and that the questionnaires used by Lee Won-Hee et al.(2002) were amended and supplemented. The sub-factors of leisure identity were made to contain 21 questions including identification, emotional attachment, self-esteem, and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happiness scale, Lyubomirsky and Lepper(1999)’s Subjective Happiness Scale was adapted for use. The questionnaire items to measure the variable of self-efficacy were based on the general self-efficacy items generally used by Kim A-Young(1997), Choi Gong-Jip(2003), et 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sports for all activities in the elderly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feeling of happiness and sports for all activities had also a static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the elderly who engage in sports for all activities have a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happiness. Second, Baron and Kenny(1986)’s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and Sobel verification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for all activities in old individuals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had a partially-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for all activities in the elderly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 self-confidence, self-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found to have a partially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for all activities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This shows that old individuals’ sports for all activities enhance their feeling of happiness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an old individual feels, the higher their feeling of happiness gets. Finally, discussions on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 생활체육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이용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생활체육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에 논지의 기초를 두고 생활체육 참가유형과 사회적 기능 (결연기능, 사회화 기능, 정화기능) 효과와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는 "생활체육활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기능에 관한 조사"설문지를 이용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 (Systimatic Stratified Clucter Random Sampling) 으로 서울시 관악구 구민을 대상으로 생활체육 비 참가자와 참가경험이 있는 성인 총 5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을 독립 t검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참가자의 참가유형과 관련하여 남·여 각각 그리고 전체참가자 모두에서 생활체육참가자가 비 참가에 비하여 결연기능의 효과, 사회화 기능효과, 정화기능의 효과 그리고 전체 사회적 기능의 효과가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활동 참여정도와 관련하여 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 는 사회적 기능의 효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참여빈도는 결연기능의 효과에, 참여기간은 사회화 기능의 효과에, 참여강도는 정화기능의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were involved in lifetime sports activities and others who weren't in social relations, socializing and social purifi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lifetime sports activities might have social impacts on local commu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33 adults who were selected by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rom Gwangak-gu, Seoul. Some of them were experienced in lifetime sports, and the others wer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designed to determine the social function of lifetime sports activities in local community. For data handling,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y gender, those who were involved in lifetime sports outperformed the others who weren't in social relations, socializing and social purifica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that also was the case for the overall group. Second, as for the extent of being engaged in lifetime sports activities, its frequency, term and intens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e social relations, socializing and social purification. Specifically, the frequency exercised the biggest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 and the term affected socializing the most. The intensity had the greatest impact on social purification.

      • 생활체육활동 참여가 생활만족 및 가족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

        김태구 東義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생활체육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가족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 현재 B시에 소재한 스포츠 시설을 이용하는 주부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5개 문항, 참여정도(형태, 강도, 빈도, 경력)에 관한 4개 문항, 생활만족도에 관한5개 문항, 가족스트레스에 관한 17개 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생활만족도와 가족스트레스 변인의 신뢰도는 각각 α=.8405, α=.7571로 대체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 및 통계 처리는 SPSS Ver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χ2 검정과 one-way ANOVA를, 집단간의 구체적인 평균 차를 구하기 위하여 Duncan-test를 사후검증으로 이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경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활동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생활체육 참여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가계수입은 대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활동 참여자들의 참여정도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생활체육 참여정도 중에서 참여강도는 생활만족에 유의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형태와 참여빈도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경력은 생활만족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활동 참여정도는 가족스트레스 해소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참여형태와 참여강도는 유의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빈도와 참여경력은 대체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volvement in sport for all program on the degree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solution of the family stress. Fi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housewives who have made use of the sport facilities located in Busan.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used this study were composed of total 31 questions such as 5 ones ab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4 ones about the degree of the participation-form, intensity, frequency, career-5 ones about the degree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17 ones about the family stress. The reliability of factors of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family stress showed generally a high value, the former was α=.8405 and the latter was α=.7571. SPSS(ver11.0) was used as the statistical method. χ^(2) analysis was implemented to get participation on the actual condition in sport for all program,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get a concretely average value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of the activity in sport for all program, the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specially, the age and the income of the household economy generally showed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cond, the degree of the participation of participants of the activity in sport for all program had a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tion intensity of the degree of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program showed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participation form and frequency showed a signigicant difference, but the participation care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hird, the degre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activity in sport for all program had a effect on the solution of the family stress. Especially, the participation form and intensity showed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th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career showed gener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 일부도시 노인들의 생활체육활동과 시설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수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체육활동 참여와 이용시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노인들의 생활체육활동의 활성화와 제반시설 확충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하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대상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참여율이 활발하며, 대부분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하여 양호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생활체육활동에는 전체대상자 중 93%가 참여하고 있으며, 1인이 1종목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고, 체조교실에 주 4∼5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회 운동시간은 30분∼1시간 사이로 오전시간을 이용하여 주로 친구와 함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생활체육활동을 통한 변화로는 건강이 좋아진다는 긍정적인 답변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생활체육시설의 이용기간이 3년 이상으로 길고, 체조교실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증설을 원하는 시설로는 수영장과 실내체육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 넓은 시설과 다목적 시설을 갖춘 새로운 프로그램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신의 생활에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대상자가 생화체육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체육활동이 권장과 함께 시설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the expansion of various facilities and the arrange- ment of basic material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seniors' participation on life-time sports activity and their satisfaction on facilities.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like the following. 1. When we look around the distribution ratio of users(the proportion of males and females), compared with males, females' participation is more activated. And most of them feel that their heath conditions are good. 2. 93% of total subjects were participating in the life-time sports a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one event per one person were high. And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gymnastics class 4∼5 times a week. The exercising time for a time was from 30 minutes to a hour. And also, it is appeared that they usually do this at times of before noon with peers. 3. In the side of changes caused by the life-time sports activity, with the positive response that they said it makes them healthy, it is appeared that they have much interests and high expectation in heath care. 4. The time which they have used the life-time sports facilities was more than 3 years. And the gymnastics class was their favorite. In terms of facilities they wanted to use, the interest in swimming pool and indoor gymnasium were high; it means that they have much interest in the program which has spacious and multi-purpose facilities. If we say consequently, we could say that respondents who have positive thoughts participate in the life-time sports activity positively. And also, we could say that the continuous encouragement of the life-time sports activity and the study on improving directions of facilities must take place simultaneously.

      • 老人의 生活體育活動이 生活滿足度에 미치는 影響

        임주희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o improve the sport facilities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we carried out this research on 215 people in 상주 by a variety of standards: gender, age, health condition, the education they've received, marriage, the motive, the society they belong to, and the length and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To process our data, we carried out t-test, according to p<05, p<01, p<001, which include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mparison of average. To analyze data, we used SPSS For Windows 10.0. Following are the results. We have discov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in their lives. Gender made littl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ir lives (100 male(46.5%) and 115 female(53.5%)). It seemed that the more education they receiv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as, but the statistics have little importance. And with spouses their satisfaction was higher, but the statistics have little importanc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ce a week: 4.46 Every day: 4.41 Four to five times a week: 4.17 Two to three times a week: 4.14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among each according to p<01. Physical satisfaction Every day: 3.87 Tow to three times a week: 3.82 Once a week: 3.82 Four to five times a week: 3.75 We now can notice that people participating every day get higher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Every day: 4.45 Once a week: 4.30 Tow to three times a week: 4.09 Four or five times a week: 4.06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among each according to p<001. The satisfaction at sport facilities Every day: 4.65 Once a week: 4.61 Four to five times a week: 4.41 Two to three times a week: 4.25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among each according to p<05. The satisfaction of life on hours of participa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2-3 hours 4.34 Physical satisfaction: 2-3 hours 3.86 Social satisfaction: 0.5-1 hour 4.33 The satisfaction at sport facilities: 0.5-1 hour 4.71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among each according to p<05. If one was in bad health condition, he experienced a highe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tisfaction. If one was in good health condition, he experience a higher social satisfaction and the higher satisfaction at sport facilities.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ccording to p<05 depending their health condition.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체육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215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생활만족의 관계를 분석을 통해서 알아본 결과 노인들의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이 100명으로 46.5%, 여성이 115명으로 53.5%로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교육수준별 생활만족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유무별 생활만족도는 배우자가 있는 참여자들이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둘째, 생활체육의 빈도로서 심리적 만족도의 경우 주1일 참여하는 사람이 4.46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매일 참여하는 사람은 4.41점, 주4∼5일 참여하는 사람은 4.17점, 주 2∼3일 참여하는 사람은 4.14점 순으로 나타나 p<.01의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신체적 만족도의 경우 매일 참여하는 사람이 3.87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 2∼3일 참여하는 사람과 주 1일 참여하는 사람은 3.82점으로 동일하였고, 주 4∼5일이 3.75점으로 낮게 나타나 매일 참여하는 사람의 신체적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 만족도의 경우 매일 참여하는 사람이 4.4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1일 참여하는 사람은 4.30점, 주 2∼3일 참여하는 사람은 4.09점, 주 4∼5일 참여하는 사람은 4.06점 순으로 나타나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체육시설 이용 만족도의 경우 매일 참여하는 사람이 4.65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주 1일 참여하는 사람은 4.61점, 주 4∼5일 참여하는 사람은 4.41점, 주 2∼3일 참여하는 사람은 4.25점 순으로 나타나 p<.05의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1회 활동 참여시간에 따른 생활 만족도를 살펴보면, 심리적 만족도의 경우 2시간∼3시간이 4.34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적 만족도의 경우 2시간∼3시간이 3.86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의 경우 30분∼1시간이 4.3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육시설 이용 만족도의 경우 30분∼1시간이 4.71로 높게 나타나 p<.05의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생활 만족도에서 심리적 만족도, 신체적 만족도의 경우 허약한 사람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 체육시설 이용 만족도의 경우 아주 건강한 사람이 높게 나타나 p<.05의 수준에서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 민간영리 스포츠센터 참가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정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 대중의 생활체육활동에 대한 활성화 측면에서 민간 스포츠센터 참가자의 만족정도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서비스 개선요구가 무엇인지 찾아 이에 민간 스포츠센터 운영에 있어 향후 보안 및 개선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 응답방식의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심부경(1994), 정상원(1994), 송주현(1995), 이종길(1992) 등의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 문항을 발췌하여 내용타당도 검사를 거쳐 문항을 재구성하였고, 신뢰도 검사를 실시한 후 완성되어졌으며, 민간 영리스포츠센터에서 스포츠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참가자 4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윈도우용 통계프로그램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센터 이용 만족도 영역별로는 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로 스포츠센터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여자보다 남자가, 직업별로는 자영업 종사자와 학생이 다른 이용자보다 높았으며, 연령과 결혼여부, 학력, 월수입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상자의 스포츠센터 이용형태별로 스포츠센터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1회 운동시간이 2시간인 이용자와 기간별 이용형태가 년회원인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보다 높았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스포츠센터 지도자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월수입이 301∼400만원인 이용자가 스포츠센터 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30∼39세와 관리, 사무직과 자영업 종사자가 다른 이용자보다 스포츠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s' opinions centering around private sports center participants' satisfaction levels, identify their needs and thereby,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private sports center operation to help activate people's life sport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question items were borrowed from the preceding studies such as Shim, Bu-kyong(1994), Chung, Sang-won (1994), Song Joo-hyon (1995) and Lee, Jong-kil(1992) to be tested for their validity and thereby, reorganized after their reliability test. Meanwhile, 404 people attending the private sports centers were sampled for this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WIN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univariate analysis and posterior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males were attending the private sports centers than females, but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group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arning between 2.01 and 3 million wons a month, while participants' jobs were housewives, professionals, students, office workers and managers in their order. Second, the type of sports center used most was swimming, followed by physical training, aerobic and others in their order. Most of the participants attended the sports center programs five times or more a week, while most of them attended the centers between 9 and 12 o'clock in the morning.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attending the private sports center for less than a year, while spending a hour for each round of program. Third, the sports center users appreciated the effective deployment of exercise equipments most, while being satisfied most with sports couches' punctuality for their program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sports center programs, they appreciated a proper length of program time and convenience of use. In terms of other areas, they felt most that their health or physical conditions was being improved by the programs, while appreciating staff's services more or less.

      • 축구클럽활동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정윤 호남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occer club participants o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This study of subjects were with selected general people and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and 370 soccer club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tool was a questionaire on PWI( Prevent Medicine Society 1993).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al background and soccer club activity participation are as the followings. 1. The physical health was sociodemographical background to age, mental health was the according to age, sex and religion, social health age and sex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according to soccer club activity participation type on the career, daily participation time, soccer level and weekly participation time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