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준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학습은 실제 상황에서의 주제적인 국어 활동이 강조되는 것이 중요하며, 주어진 문제 상황을 자신의 언어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경험을 할 때,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국어 능력이 신장된다. 담화나 글은 구체적인 상황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며 상황을 배제하고 담화와 글의 수용, 생산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생태학적 쓰기 활동은 쓰기의 환경이 외부 세계와 연관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외부 세계의 맥락과 관련이 있는 실제적인 쓰기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쓰기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수준별 양상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분당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생태학적 쓰기 활동을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은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생들의 쓰기 능력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평균 점수의 차이는 7.56점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수치로 나타났다(p=.000〈.05). 이는 실제적인 쓰기 환경을 조성하여 줌으로써 학생들이 적극적인 쓰기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쓰기 능력 하위 영역별 비교에서는 이해 및 분석력(p=.000〈.05), 내용 생성력(p=.005〈.05), 논리적 사고력(p=.010〈.05), 표현력(p=.000〈.05) 모두에서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작성한 글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요인들이 다양하게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은 고등학생의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전ㆍ사후 검사의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p=.037〈.05). 이는 자신의 필요에 의해 쓰기 과제를 스스로 계획하고 지속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학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쓰기 태도를 하위 영역별로 비교하였을 때, 인식, 반응, 태도 가운데 인식 측면에서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001〈.05). 이는 쓰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체를 고려해 볼 때, 쓰기에 대한 인식 측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컸음을 보여 준다. 셋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의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쓰기 능력 측면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남학생 p=.001〈.05, 여학생 p=.004〈.05), 쓰기 태도 측면에서는 남학생의 인식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9〈.05). 넷째,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학생의 쓰기 능력 수준에 따라 상위,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쓰기 능력 측면에서 상위 집단에 비해서 하위 집단에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상위 집단 p=.060〉.05, 하위 집단 p=.000〈.05), 쓰기 태도 측면에서는 상위 집단의 인식과 반응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인식 p=.012〈.05, 반응 p=.037〈.05), 하위 집단에는 인식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p=.031〈.05).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우선, 국어교육을 생태학적 관점으로 접근하려는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실제적인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드물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 연구는 쓰기 활동을 생태학적 관점에 의해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학적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및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착안하여 생태학적 쓰기 활동을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더욱 세부적으로 구안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생태학적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김성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기독교교육적 입장에서 밝히고,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교육과정을 제안하면서 생태영성의 회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이해된 영성은 시대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육체의 경멸, 쾌락의 부정, 가난, 훈련 등의 용어들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성에 대한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에 의해 형성되어진편협한 이해와 왜곡된 인식의 영성교육을 하나의 통전적이고, 전인적인 영성이라는 맥락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생태학적 영성교육’으로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기독교적인 바른 앎과 실천적 삶이 의미있게 잘 연결되도록 돕고자 한다. 그리고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연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를 인식하고, 그 관계 안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사 즉, 하나님의 전일적 창조와 성령의 내재 초월적 교통 및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의 구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역동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계 위기의 현실과 성격과 본질을 고찰해 보았다. 생태계 위기는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의 적용을 통해 극복될 수 있는 인간의식과 사회구조에 대한 단순한 수정 및 개혁의 문제가 아니다. 이 위기가 사회적 부정의, 점증하는 폭력과 인권유린 그리고 환경파괴와 상호연관되어 있는 총체적인 지구적 변혁의 문제라는 의식은 우리에게 농업혁명, 산업혁명과 정보혁명에 이은 제 4의 혁명인 “생태학적 혁명”을 요구한다. 생태학적 혁명의 필요성은 생태계 위기의 근본뿌리가 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계를 결정짓는 인간의식, 가치관 및 우주론, 즉 현대문명의 패러다임의 문제를 인식하면 서 우리에게 정신적 혁명(spiritual revolution), 즉 새로운 영성을 요구한다는데 있다. 이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생태계 위기가 우리의 사회적 행위를 결정짓는 인간의 신념과 가치체계 및 세계관, 즉 문화와 영성의 위기라는 것이며, 동시에 이 위기는 새로운 생태학적 영성교육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가능성은 학습자로 하여금 생태학적 인식을 갖게하여 생태학적 영성을 발전하게 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연을 인간의 소유의 대상으로 삼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성서의 창조신앙을 하나님 중심적 세계관으로 재해석하도록 돕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연합, 상호작용을 통한 통전적(holistic) 영성 형성, 영적 성숙을 위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목적이 성취될 수 있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내용은 성서의 이야기와 삼위일체 생태적 영성을 포함한다.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은 지적인 차원과 이론적 차원, 정서적 차원, 그리고 학습자의 구체적인 실천과 봉사의 차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공유적 프락시스 접근(shared praxis appoach)방법을 적용한다. 생태학적 영성형성의 기초적인 장은 가정과 교회로 설정한다. 영성교육의 평가 방법은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보완하여 평가의 깊이를 더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생태학적 영성교육은 생태계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의 한 시도이며 그 교육 가능성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to suggest a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as a way of recovering ecological spirituality. Although traditional spirituality has been understood differently every age, it has been used mainly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 world, particularly scorn of body, denial of pleasure, promotion of poverty and disciplin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help connect well Christian faith, knowledge and life by establishing a new form of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n a context of an integrated and holistic spirituality. In fact,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has been done in a narrow and distorted way based on a dualistic understanding of spiritualty. And with provision of a concrete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learners will recognize a healthy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then will find out the dynamics of seeking the work of God in the Trinity (i.e., God's creation, the fulfillment of Jesus' love, the transcendent and immanent communion of the Spirit). First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ecological crisis in terms of its reality, character and essence. We come to realize that the crisis of the ecosystem cannot be easily overcome by scientific technique,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simple adjustment or reform of social structure. But rather, the eoclogical crisis is an issue of total global transforma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social injustice, increasing violenc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ecological awareness requires the fourth renovation so called "ecological revolution" following Agricultural, Industrial and Information Revolutions. The necessity of such an ecological revolution requires us spiritual revolution, i.e., a revolution of new spirituality, as it is considered that a fundamental root of the ecological crisis is derived from human consciousness, value system and cosmology, that is, the paradigm of modern civilization that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risis of the ecosystem is the crisis of human belief, a value system and a worldview which decides human social behavior, that is, the crisis of culture and spirituality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opportunity for us to create a new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will make the learner to have ecological recognition, thereby letting them develop ecological spirituality.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will help the learner to criticize an anthropocentric world view sees nature as means for human possession, and will help reinterpret creation faith in the Bible into a theocentric world view. That is, through the unity with God, the forma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by interaction, and the critical reflection for spiritual maturity,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can be achieve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ncludes stories in the Bible and `the Trinity' ecological spiritualit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applies a shared praxis approach so that intellectual, theoretical, and motional dimensions, and the dimension of the learner's concrete practice and service may be included. And home and church will be established as a basic ground where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s practised. Regarding the method to evaluate spirituality educa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will be complemented so that the depth of evaluation can be more deepened.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researched i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enerate a new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order to overcome a crisis of the ecosystem, and i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such a kind of education.

      • 생태학의 초등교육적 함의

        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생태학 및 생태학적 교육관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성격을 조명하였다. 생태학은 생태학적 사유로서 자연과 인간 세계를 조망하는데, 이런 생태학은 합일성, 평등성, 생명성의 관점을 견지하고 있었다. 이런 생태학적 원리들은 교육에서도 준용되는데, 이들은 생태학적 교육으로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교육으로 첫째,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교육, 둘째, 공생으로서의 교육, 셋째, 생명존중으로서의 교육, 넷째, 탈독선으로서의 교육을 탐색하였다. 생태학적 사유 및 생태학적 교육의 관점이 초등교육에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이 논의할 수 있었다. 첫째, 생태학 및 생태교육에서 볼 때 초등교육은 자연을 닮은 교육이어야 한다. 둘째, 생태학 및 생태교육에서 볼 때, 초등교육은 관계적 관점을 필요로 한다. 셋째, 생태학 및 생태교육은 초등교육이 진화적임을 함의하였다. 생태학적 사유의 원리에서 볼 때 초등교육의 제 현상이 자연의 원리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아동의 자연적 본성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생태학의 상호작용적 원리에서 볼 때 초등교육이 일어나는 상황,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에서 관계성에 근거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생태학의 관점에서 볼 때 초등교육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외적인 조형보다는 내적인 힘으로 유지, 변화, 발전하는 진화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생태학 및 생태학적 교육이 초등교육의 성격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초등교육의 성격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교육생태학의 성립가능성 연구

        이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생태계 문제는 자연뿐 아니라 인간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기는 인간중심의 자연관에서 비롯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비생태적인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교육적 쟁점이 된다고 판단하고 교육생태학의 성립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계 위기를 인식하면서 생태적 사유가 발생하고 확산되게 된 역사적, 철학적 배경을 밝히고 동서양의 철학을 생태학적으로 재조명하였다. 1970 년대 이후 나타난 환경문제의 근원에 대한 논쟁을 바탕으로 서양의 생태학적 사유를 근본생태론, 사회생태론, 생태사회주의, 생태마르크스주의, 생태여성주의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그리고 동서양의 자연관의 차이를 살펴본 후 동양사상이 인간과 자연의 조화라는 생태학적 사유를 이미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생태학적 사유의 특징을 일곱 가지로 분류하였다. (1) 자연을 구성하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들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인식, (2) 인간과 자연, 정신과 물질, 이성과 감성 등의 이분법적 사유의 극복 (3)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인식, (4) 소규모 생태공동체의 건설 추구, (5) 삶의 질적 측면의 중시, (6) 인간과 자연의 생명체의 가치실현을 추구하는 생태 윤리의 확립, (7) 인간중심에서 생태중심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 등이 생태학적 사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생태학적 사유들을 기반으로 교육생태학의 전제조건과 인식관심을 정리하였다. 교육생태학은 생명을 기본전제로 하며 다음과 같은 인식관심을 가진다. (1) 교육생태학은 이성중심의 사회에서 경시되어 왔던 감성을 회복하고 생태학적 민감성을 통해 이성과 감성을 조화시켜 나간다. 감성은 교육의 전제조건인 동시에 교육의 내용이다. 감성을 통해 자아를 확대하고 타자화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2) 불필요한 경쟁을 통해 단절된 관계를 회복시켜 개인과 공동체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고자 한다. 관계의 회복은 긍정적인 삶과 진정한 자아실현의 기반이 된다. (3) 교육의 장을 삶의 장으로 확대하여 교육과 삶을 일치시킨다. 삶과 교육의 일치는 삶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삶에 대한 총체적 시각과 장기적 안목 을 지닐 수 있도록 하며 자연과 조화될 수 있는 삶의 방식을 실천해 가도록 한다. (4)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생명체의 가치를 존중하고 그 실현을 돕는다. 생명의 다양한 존재형식과 가치를 인식하고 생태중심적 윤리관을 지님으로써 생명을 살리고 진정한 가치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5) 느슨하고 여유있는 구조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실현한다. 다양한 도전과 실험이 가능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개인의 성장을 돕고 탈중심화된 교육공동체를 건설해 나간다. 넷째, 몇몇 대안학교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생태학의 실천방향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교육생태학의 실천방향은 교육현상 자체를 생태학의 연구대상으로 삼고 커리큘럼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하며 교육을 생태학적 문화운동으로 전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육생태학은 교육에 대한 사고를 전환시켜 새로운 시각으로 교육문제에 접근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생태학은 생태공동체를 지향하므로 교육과 사회운동의 통합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current ecological crises threaten the existence of human as well as the nature. They resulted from the human-centered view of the nature. I considered that anti-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constitutes an educational issue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Educational ecology.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 researched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ground of the ecocentrism driven by the awareness of the crisis of ecosystem. Since 1970s there have been debates what is the 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western ecocentric thoughts have been classified into deep ecology, social ecology, ecological socialism, ecological marxism, and ecological feminism. And I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viewpoints of the nature in the orient and those of the western, and found that orientalism includes the ecocentrism of harmony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Second, an ecocentric perspectives provides an encompassing approach in that it (1) recognizes the interrelations among all lives in the nature including human being, (2) transcends dualism of human and nature, spirits and materials, ration and sensibility and so on, (3) acknowledges coexistence of human and non-human lives, (4) builds the ecological communities, (5) respects the intrinsic values of lives, (6) organizes ecocentric ethics implying the unfolding rights of human and non-human lives, (7) transforms a human-centric paradigm to an ecocentric one. Third, I defined the premise and epistemological fields of educational ecology. Life is the premise of educational ecology. Educational ecology (1) revives "sensibility" which has been neglected in rational-oriented societies and conciliates ration with sensibility through ecological sensibility. The sensibility is not only the premise but also the contents of educational ecology. It enlarges self and makes us recognize 'others'. (2) reconstructs relationships cut off by unreasonable competitions and realizes the freedom and equity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Constructing relationships is the ground on which we can live affirmative lives and realize genuine ourselves. (3) enlarges a domain of education to a domain of living, and identifies education with living. It makes us get interested in living, keep a whole and long-term approach to life, and find lifestyles and attitudes which go along with the nature. (4) respects the intrinsic values of all lives in human and non-human world, and helps self-realization. If we learn that they have various ways of living and intrinsic values of their own regardless of our evaluation of them and we develop our ecocentric ethics, then we can take practical steps to give life to lives and assist their completion of self-realization. (5) pursues various educational values in its loose and open structure. It creates an atmosphere that encourages us to take unchartered temtory and attempt new ways, and promotes growth of individuals. Also it leads decentralized educational communities. Fourth, I researched a few alterative schools and then I could find the practical directions of educational ecology ; taking educational phenomena themselves as a subject of ecology, reorganizing curriculums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and developing education as a part of cultural movements. Educational ecology transforms the paradigm of education. It could help us get new approaches to educational issues and find their solution. And it shows that education can be unified with social movements because one of its objectives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communities.

      • 생태학적 교수학습 기법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인터넷 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보사회가 긍정적으로 전개되어 나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도 이에 맞는 의식과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의 질을 평가할 수 있 는 능력과 불건전한 정보를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정보통신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는 그 사람의 윤리 의식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학생들 각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 면서 본인과 외부의 실제적인 상황을 연관 지어 자신만의 쓰기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계획하고 평가 및 반성에 의해 자기 주도적으로 지속해 나가는 것이 생태학적 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세계의 맥락과 관련이 있는 실제적인 쓰기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중요한 요인으로 설정하는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학습 기법의 이론을 토대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인터넷 윤 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워크숍 쓰기 수업모형으로 설계하고 그것을 적 용하여 인터넷 윤리 의식의 향상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학습 기법을 정보통신윤리 교육에 통합적으로 적 용한 수업 모형의 프로그램은 2차시를 묶어 진행하고 4차시에 걸쳐 투입 되었다. 연구 대상인 특성화고등학교 뷰티경영과 2학년 학생들은 컴퓨터 및 그래픽, 동영상 등의 관련 과목을 학습하여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학생들로서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쓰기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출판물을 완성해 가는 과정을 자유롭게 진행하도록 하였다. 우선 사전활동에서 인터넷 윤리 의식을 사전 검사한 후, 쓰기 활동을 통해 다양한 출판물을 자기주도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수업 진행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1, 2차시에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주제를 스스로 선정하여 마인드맵이나 스토리보드를 활용해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초고 쓰기를 하였다. 3, 4차시에는 동료들과 공유하며 피드백을 제공받아 내용적인 면을 고쳐 쓰고 결과물에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편집 하기를 하였다. 사후활동에서는 작성한 결과물에 대해 출판에 대한 지도 와 자기평가지를 통해 스스로 평가해 보고 인터넷 윤리 의식의 변화를 사후검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하여 생태학적 국어과 쓰기 교수 학습 기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인터넷 윤리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사후검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국어과의 생태학적 교수 학습과 통합 적으로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구현한 점과 이러한 생태학적 국어과 교수 학습 기법이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통해 인터넷 윤리 의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착안하여 생태학적 교수학습 기법 을 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더욱 세부적으로 구안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For the positiv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young people should have their attitude and consciousness accordingly. To do this, It requires the ability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salutary information, and also critical evaluation ability.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ir ethics.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is self-directed learning with their own plan, evaluation and reflection through the writing activities concatenated their actual situation on consideration of their own situation In this study, it is conducted to verify the improvement of Internet ethics by designing as writing workshop teaching model with the effec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the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theory of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that set-up the important factors as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by setting-up an actual writing conditions relevant to the context of the external world. Program of model that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applied integratively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ied the 2 periods and carried out over 4 periods. It was going to be free to proceed with the process that completing a publication in various ways under the internet-based writing conditions, because the research subjects are for sophomore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majoring in Beauty management, basically know how to handle the program familiar with computer and graphics. At first, we had time to describe the progress that complete the various publications with writing activities, after pre-testing the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1,2 periods has chosen to themselves the subj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nd they made a draft letter to gather ideas by using the mind-map or storyboard. 3,4 periods have been edited to avoid causing an error in writing, and fixed the contents aspect, sharing the results, and receiving feedbacks with colleagues. In the post-activity, we looked for changes in the Internet ethics through the self-evaluation, and written guidance on the publish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ttract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through the post-examine. This study represent to a practical implementation betwee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ecolog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mited positive effect of internet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pplying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inally, we will need to create a more detail ecological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according to many different situations and characters of student.

      •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 양·한방 협진병원 Renovation을 통하여

        남순화 慶星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20세기에 들어와서 현대기술 문명의 개발지향적 경향은 사회전반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켜,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실현하고 기계문명적 사고와 배경에서 만들어낸 비인간성, 탈자연성을 복원시키고자 하는 필연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명의 위기, 환경위기, 생태학적 위기 등으로 말해지는 우리시대의 문제를 풀어가는 대안으로써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대두는 현대과학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는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을 역동적 우주관이라는 관점에서 접목시키고, 모든 현상들이 근본적으로 상호의존하고 있으며 개인과 사회가 자연의 순환과정에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사상의 뿌리에는, 서로 대립되는 양극성의 조화된 두 개체의 속성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자연의 유기적인 부분으로서의 인간과 자연의 균형에 중점을 두는, 직관적인 동양의 통합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조화적 사고, 종합적인 세계관, 자연과 인간의 공동운명체적인 관계, 유기체적 통합이라는 환경인식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이와같은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한 실내디자인 계획은 자연생태계와 인간생태계의 유기적 조화로 이해되며, 인간과 가장 근접공간인 실내공간과 생태계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자연의 순환 체계와 에너지의 유출입 관계의 조절, 생태계 보존 및 생태적 환경조성, 재생가능한 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건강증진과 쾌적성 추구등의 문제를 체계화하여 다양하게 적용시킬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시대적, 사회적 필연성에 의하여 대두된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을 구축할 수 있는 생태학적인 접근에 의한 실내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에 대한 정의에 대하여 고찰하고, 현대사회의 상황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대두 및 모색하여야 할 새로운 방향과 함께 알아본다. 둘째, 한국의 전통적 자연중심사상의 생태학적 접근 및 생태학적인 설계전략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실내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으로 연구한다. 셋째, 연구대상인 양 · 한방 협진 병원의 실내 Renovation계획을 위하여 양 · 한방협진병원의 개념 및 현황조사를 한다. 넷째, 이상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실내디자인을, 디자인 전제와 프로그래밍단계, 디자인 전개로 나누어 제시한다. 다섯째, 디자인 모형사례의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 및 타당성을 밝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인간과 가장 근접 공간인 실내공간의 생태학적 접근에 의한 실내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현대사회에 있어서 인간환경의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고, 인간과 자연이 유기체적 통합이라는 환경인식과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의 미래는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중심 생태계를 역동적으로 이해하는 기반위에서 성립되어 갈것으로 예견되어지므로, 인간과 자연을 유기체적인 통합으로 여긴 우리의 전통적 자연 중심사상과도 그 배경을 같이하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정립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심각한 환경문제와 무분별한 계획 및 가치의 혼란으로 야기된 생태학적 위기를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을 조화롭게 연계해서 볼 수 있는 유기적 사고를 증진시켜, 다가오는 21세기는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을 구축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With the trend of development-oriented modern technological civilization,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caused in all aspects of the society.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necessity of conserving environment, creating a safe continuable future environment, restoring both humanity and nature destroyed by mechanical civilization has been on the rise. At the same time, the rise of ecological paradigm is supported from modern science as an alternative scheme to resolve the current problems such as, a crisis of civilization, a crisis of environment, a crisis of ecology, etc. This paradigm grafts both modern physics and oriental thoughts in the view of dynamic cosmic philosophy, which means that all the states are interdependent and an individual and a society are deeply related to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nature. The idea of this paradigm is based op the integrated oriental thoughts that understand the attributions of harmonized polarity of both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 This paradigm emphasizes the balance of the human being as an organic part of nature and the nature. In other words, this paradigm makes us to recognize the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a harmonized thought, an integral view of the world, a common destiny between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 and the integration of organic groups. The ecological approach of the interior design plan that meets the era and the social requirement is understood as an organic harmonization of the ecosystem of both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 In addition,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systemizing the problems such as, harmonizing the interior space with the ecosystem to create the circulation system of nature, controlling transmission of energy, an ecosystem conservation and an environmental configuration of ecosystem, an effectiveness usage of recycling resources, and promoting health and a pursuing ameni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cological paradigm raised by the social necessity, and suggests the interior design scheme by an ecological method that can establish a higher level of human life. The brief outline is as follows. Firstly,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ecolog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modern society, and to search the new direction of the ecological paradigm. Secondly, to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ecological access of Korean traditional 'nature-oriented' ideas and the ecological design strategy by the methodology for interior design. Thirdly,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the state of the joint medical examination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hospitals for the room renovation plan which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urthly, to represent the interior design by the ecological access that divides into three different parts: the entire design, the step of program, and the design develop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ed contents. Lastl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an analysis and an evaluation of the result of the design model example. Based on this study, the problem of human environment is recognized through the case of interior design and both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the alternative scheme, which means the human being and the nature are integrated, are suggested. Besides, in order to establish the artificial environment to be naturally evolutional with seizing and utilizing the structure, the material, and the connection of each space, the Renovation, signifying the adaptability that can harmonize the past and the present, is one of the most natural affinity way of acquiring the importance more and more in the process of these efforts, and in the view of raising the effectiveness all the more this study has a value. Because the future of the design is predicted to be establish on the bases of understanding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human-oriented ecosystem dynamically, the ecological world view which has the same background with our traditional nature-oriented idea that considers human and nature as an organic integrity, must be established. From this id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solving the ecological crisis created by the confusion of the value of life,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d the reckless plan and to promote the organic thoughts that can link human and nature harmoniously. This study represents the alternative scheme that can build a higher level of human lif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 생태학적 관점의 읽기 평가 방안 연구

        유현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평가의 기저에 자리하고 있는 패러다임은 평가의 과정에서 평가자의 눈을 학습 결과물 자체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는 학습자에게 집중시키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수 · 학습 과정에서 평가가 필요한 까닭은 교수 · 학습과의 피드백을 통하여 교수 · 학습 체제를 개선하고, 학습자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교육적 처치를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장의 모습이 이러한 변화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그리고 적절히 수용하고 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바람직한 읽기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읽기 평가의 문제점을 교과서의 평가 장면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의 해결 방안으로 생태학적 관점의 읽기 평가 방안을 마련, 읽기 본질에 부합하는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은 생태학적 읽기 평가의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으로, 1절에서는 현행 7차 교과서에 구현된 평가학습면의 특징을 살펴보고, 읽기 평가를 내용, 방법, 결과의 활용과 운영의 측면에서 검토하여 보았다. 새로운 평가 관점의 수용과 그에 따른 평가 구조는 현재의 평가 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선행되어야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2절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으로 국어교육을 바라본다는 것의 의미와 학습이나 평가에서 생태학적 관점이 시사하는 것이 무엇인지 현장의 모습을 예로 들어 살펴보고, 3절에서는 그동안 논의되었던 국어과 평가 이론을 바탕으로 생태학적 평가의 원리와 방법을 탐색하였다. 생태학적 평가는 진행중인 교수 · 학습의 일부로서 학생들의 읽기 환경 안에서 이루어지고 실제적인 읽기 자료와 실제적인 과제 수행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시간을 두고 이루어지는 학생의 읽기 발달과 성장에 주목하며 학습의 평가 결과뿐만 아니라, 그 과정까지도 교수 · 학습의 도구로 활용한다. 그러므로 생태학적 평가에서의 교사는 학기말에 시험을 부과하고 그 결과를 점수로 평가하는 존재가 아닌, 실제적인 읽기 환경 안에서 학생을 이해하고, 읽기 사태와 행동들을 포착, 기술, 해석하면서 학생의 발달을 진정으로 돕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읽기 평가 모형과 평가 도구를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2가지 방향에서 개발하였다. 즉, 교수 · 학습과의 통합을 전제로 교과서에 구현된 평가학습면을 생태학적 평가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학습지와 기본학습이나 읽기 상황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 현장의 실천적 편의성을 도모코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 도구는 내 학급에 맞게 다시 재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을 수 있겠으나 새로운 패러다임인 생태학적 읽기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방안으로 의미가 있다. 새로운 논의가 금방 현장을 어떻게 변화시키리라고 기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평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야기하여 점차적으로 현장의 교수 · 학습을 개선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언어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A paradigm shift is required on assessment in such a way that assessing author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not merely the results of assessment, but the students themselves who produce the results of assessment.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affirmatively and properly this shift is accepted in actual situations. Before my view on the paradigm shift of assessment is accepted,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assessment system; thus I overveiw major problems of reading assessment, focussing on the text assessment situation. And I propose a reading assessment method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as I take to be the essential step for reading education. Ecological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rts takes it to be the most important precondition to accomodate the classroom, where teaching and learning take place, as if it were the real world. This precondition accords with the contents of the 7th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a which necessitate to tie their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with the reality, and also goes well with the trend in which the assessment activity of what is called the 'reviewing' is adopted as a part of the text, allowing regular hours of teaching and assessment. The ecological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rts is intended, paying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students' reading capability, to utilize not only the results of the learning assessment, but also its process, as the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Hence the teacher of ecological assessment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help students in actual on-spot reading environments, rather than give tests and grad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ecological reading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pirit, requires chores of reconstructing the assessment tool to fit each and classroom. However, this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gradually, and ultimately to enhancing the students' language capability, by correcting and amplifying the view on assessment towards the new paradigm of ecological reading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