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ER Stage에 따른 부산지역 암생존율

        최순영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의 배경 전국단위 암통계가 집계된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암으로 진단받고 2012년 1월1일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된 암경험자수가 110만 명에 육박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암발생자수는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연평균 3.6%의 암발생 증가율을 보였고, 여자(5.7%)의 증가율이 남자(1.6%)보다 더 많이 증가율을 보이며 평균수명까지 생존 시 남자는 5명 중 2명이, 여자는 3명 중 한명이 암에 걸릴 확률을 가지고 있다. 암생존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낮은 부산지역의 암생존율에 대한 분석이 절실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병원에서 암등록 한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암수진자 중 암환자일 확률이 있는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부산지역암등록본부에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등록된 암환자 중 통계청 사망 자료와 안전행정부 주민등록전산망에서 2012년 12월 31일까지 생사가 확인된 부산지역 거주암환자 70,349명 (남자 37,046명, 여자 33,303명)에 대해 암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지역 암발생자수는 2007년 12,032명에서 2008년 13,108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07년에 비해 2011년에는 35.2% 암발생자수가 늘어났다 연령별로 암발생자수를 살펴보면 10대가 가장 적게 197명으로 0.2% 발생하였고, 나이에 따라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며 40대가 10,408명으로 14.8%, 50대가 17,743명으로 25.2%가 발생하였으며 60대가 18,663명으로 전체의 26.5%로 가장 많은 암이 발생하였으며 남성은 60대, 50대, 70대 순이고 여성은 50대가 가장 많고 40대, 60대 순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국의 생존율이 66.3%, 남자는 57.6%, 여자75.2% 인것에 비해, 부산은 60.9%, 남자 51.9%, 여자 70.7%로 전국에 보다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암종별 SEER stage(요약병기)별 발생자수를 살펴보면 위암에서는 localize(국한)가 6,534명56.8%)으로 가장 많은 비율이며, 갑상선암도 마찬가지로 localize(국한)가 42.5% 발생하였고 Distant(전이)는 1.5%로 가장 적은 반면 폐암과 췌장암은 Distant (전이)가 44.7%와 41.8%로 가장 높게 나와, 폐암과 췌장암은 조기에 발견되지 않고 어느 정도 진행 된 후 발견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EER Stage(요약병기)별 생존율을 살펴보면 Localize(국한)와 Regional(국소) 의 생존율의 차이가 가장 적은 암이 갑상선암과 전립선암으로 Distant (전이)에서도 70.7%, 39.4%의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반면, 췌장암은 Localize(국한)에서도 21.1%의 낮은 생존율을 보인다. 재정자립도에 따른 부산지역 구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Localize(국한), Regional(국소), Distant(전이)모두에서 재정자립도가 중간 그룹인 B그룹이 생존율이 제일 높고, 그다음이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A그룹, 가장 낮은 C그룹 순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음주율 흡연율에 따른 부산지역 구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Localize(국한), Regional(국소) 에서는 음주율과 흡연율이 낮을 수 록 생존율이 높게 나왔고 Distant(전이)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결과적으로, 흡연율은 암발생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암생존율과도 뗄 수 없는 인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이 타 지역보다 간, 췌담도암의 발생비율이 높은 원인을 밝혀 생존율을 전국과 같은 수준으로 올릴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암종별 SEER Stage(요약병기)가 Distant(전이)일 때 많이 발견되는 폐암은 조기 검진할 수 있는 진단기술의 발달이 시급하며 Localize(국한)에서도 생존율이 낮은 췌장암은 조기검진 뿐만 아니라 치료기술이 빠르게 발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위암환자의 생존율에 관한 역학적 조사연구

        김덕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박사

        RANK : 247806

        To find out the survival rates of stomach cancer patients, the author studied 288 stomach cancer patients who took opera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 1985 to December 31, 199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total patients, 67. 4% were male: but 32. 6% were female. 2. 64. 6% of patients lived in rural area and 35.4% urban; 98.3%of those were married; 30. 6% were farmers and 17.4% were commercial workers; 54.5% were smokers; 48.3% were alcohol drinkers. 3. By types of gastric cancer, 84.4% were progressive gastric cancer patients. Among these, type 2 patients were more than other type patients. 61. 5% of those had metastasis to lymph node. 55. 2% of those took operation by RSG with gastrojejunostomy; 97. 6% of those knew that they had cancer; 19.1%of those had a family history that at least one of family members had cancer. 4. The gross 5 year survival rate of total patients was 47.2% 5. The 5 year survival rate of male patients was 41.6% but that of female was 46.3%. The 5 year survival rates by residential area, chemotherapy, marital status, blood type, family history, smoking, and drink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6. The 5 year survival rate of type 2 progressive gastric cancer patients was the highest with the rate of 72.0%. Metastasis to lymph node and type of oper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5 year survival rates.

      • 일개 대학병원에 등록된 암환자들에 대한 생존 분석 : 기간분석을 이용하여

        이현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5

        암에 대한 조기 진단과 암치료법의 발달로 암치료율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암치료와 다양한 보건 정책 개발의 척도가 되고 있는 생존율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코호트 분석 방식이나 완전 분석 방식의 생존율은 오래전에 진단받은 환자들로 인해 실제 생존율에 비해 생존율이 낮게 계산된다. 기간 분석(Period Analysis) 은 일정 기간에 등록된 초진 환자 중에서 생존율에 관심 있는 기간에 추적된 환자만을 대상으로 생존율을 분석함으로서 추세를 반영하는 생존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코호트 방식과 완전 분석방식, 기간 분석 방식을 사용하여 관찰 생존율과 상대 생존율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는 1개 대학병원에 등록된 51,982건의 암환자 등록 자료중 7대 다빈도 암(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 경부암, 갑상선암) 34,217건이었으며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생존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1995년에서 2004년 환자에 대해 코호트분석, 완전분석, 기간분석을 사용하여 7대 암종별로, 연령군별로 5년 상대 생존율과 관찰 생존율을 산출하였는데 이때 기간 분석은 2000년에서 2004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군은 0-54세, 55-64세, 65-74세, 75세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는 기간 분석을 이용하여 7대 암에 대한 1999년과 2004년의 상대 생존율의 차이를 연령별로, 병기별로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1. 첫 번째 분석에서는 코호트, 완전 분석 방법보다 기간 분석으로 산출한 5년 생존율이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또한 젊은 연령층의 생존율이 75세 이상 연령층의 생존율보다 대체로 높게 산출되었다. 2. 두 번째 기간 분석에서는 2004년의 생존율이 1999년의 생존율보다 높게 산출되었다. 연령별로 비교할 때 젊은 연령군의 생존율은 2004년에 대부분 향상했으나 65세 이상 환자군은 생존율이 향상하지 않거나 오히려 낮아진 경우도 있었다. 병기별 생존율 역시 1999년보다 2004년에 대한 생존율이 대체로 높게 산출되었다. 기간분석은 최근 추세를 반영해서 생존율을 산출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향후 최근 개발된 치료에 대한 결과가 반영된 생존율을 산출하거나, 10년, 20년간 암 생존율의 추세를 검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면 적절한 생존율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ancer survival rates show gradual improvement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cancer treatment methods. The cancer survival rates are a barometer to measure the effects of cancer treatments and to develop cancer related health policies.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the conventional ways like cohort and complete analysis, however, tend to bring about pessimistic results due to the outdated information. A period analysis is conducted to show the trend of the survival rates by calculating the survival rates focused only on the patients who have been followed-up for their survival rates during the period interested. This study calculates the observed survival rates a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by various analysis methods. It is based on 34,217 cases with seven leading cancers(stomach, liver, lung, colorectum, thyroid, breast, cervix) out of the total 51,982 cases registered in the hospital for 1995-2004. First, the study computes the observed survival rates a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with the three methods: cohort, complete, and period analysis. The period analysis deals with the years of 2000-2004 and its age is divided with four groups: 0-54, 55-64, 65-74, 75+. Seco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for the years of 1999 and 2004 are figured using the period analysis, which are compared by cancer areas, age groups, and stagesof canc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5-year survival rate calculated by a period analysis showed the highest results. The younger age group shows the higher survival rates than them of the older age group. 2. Mostly, the 5-year survival rates of 2004 were higher than that of 1999. But the survival rate of the 65+ age group did not show much higher survival rate in 2004. In some cases, they showed lower rates than them of 1999. When the survival rates were computed by stage group, most of the survival rates of 2004 were also higher than that of 1999. This study shows the period analysis is a good method in obtaining more up-to-date estimates of the long-term survival rates. The period analys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ew treatments or the new diagnostic methods without time lag.

      • 수모세포종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예후 인자

        신준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5

        목적 : 수모세포종은 소뇌의 미분화된 신경외배엽 세포에서 발생되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소아에게 빈발하는 뇌종양중 하나이다. 과거 이 종양의 생존율은 높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생존율이 향상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종양의 치료 결과와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197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24년의 기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병리조직학상 수모세포종으로 진단 받은 137예의 환자의 임상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적인 3년 생존율은 71.8%, 5년 생존율은 65%였다. 예후에 관계되는 인자별로 3년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진단 당시 나이 3세를 기준으로 하여 3세 이상인 경우 78.2%, 3세 이하인 경우 48.9%이었고(P<0.05), 션트술을 안한 경우 85.6%, 한 경우 73.8%이었다(P<0.01).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의 3년 생존율은 방사선 치료전 항암요법군 87%, 보조적 항암요법군 82.1%, 단독 방사선 치료군 64.8%로 좋은 치료결과를 보였던 반면, 단독 항암요법군(14.3%)과 단독 수술치료군(25%)은 치료 결과가 좋지 않았다. 다른 예후 인자로 성별, 종양의 적출정도, Chang 분류 중 T 병기 등은 생존율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고위험군에서는 항암요법치료가 효과적이었으며 방사선 치료 전 항암요법은 재발을 감소시켰다. 결론 : 수모세포종은 종양적출술, 방사선 치료 및 적극적인 화학요법으로 그 생존율이 향상되었다(3년생존율 71.8%). 치료 결과가 좋으리라 예측 할 수 있는 상황으로는 진단 당시 나이 3세 이상, 션트술을 안 한 경우와 수술 후 방사선 치료전 항암요법을 시행한 경우였다. Object: The medulloblastoma is a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CNS) tumor originated from primitive neuroectodernal cell in the cerebellum and developed frequently in the children. In the past, th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this tumor was not so high, but it has increased recently.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the results of treatment and prognosis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survival rate. Method: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137 patients whose case had been pathologically diagnosed as medulloblastoma in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1979 to December, 2002. Result: Overall 3-year and 5-year survival rate are 71.8%, 65% respectively. When we compare the 3-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prognosis factors, the rate was 78.2% in the patients under three years old, and 48.9% over three years old(P<0.05). When they were shunted their survival rate was 73.8%, and when they weren't it was 85.6%(P<0.01). If we classify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s, the 3-year survival rate who were in pre-irradiation chemotherapy group was 87%, adjuvent chemotherapy group was 82.1%, radiation group was 64.8%, and all of these three groups showed rather good treatment results. In contrast, the results of chemotherapy group(14.3%) and operation group(25%) was not so good. Other prognosis factor such as, sex, the extent of resection, Chang's T stage showed no meaningful effect on the survival rate. Chemotherapy was effective in high risk group, and pre-irradiation chemotherapy reduced the recurrence. Conclusion: Owing to the resection of the tumor, aggress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the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has been increased(3-year survival rate: 71.8%). If the patients were over the age of three, weren't shunted, and were performed pre-irradiation chemotherapy, we could expect good result of treatment.

      • 상악동거상술(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후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유정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5

        상악구치부는 치아 상실후 진행되는 치조골의 빠른 흡수와 함기화 (pneumatization)등으로 수직적 가용골의 결손이 많이 일어난다.이에 Boyne과 James에 의해 발표된 측방 접근법의 상악동 거상술이 소개된 이후 생존율과 수술방법, 이식재의 종류, 임플란트 선택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초기의 이식재로 자가골이 사용되었고 점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등의 사용으로 범위가 확산되고 있고 임플란트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골접촉율의 범위가 커짐으로 rough Surface 임플란트가 machined surface 임플란트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또한 동시식립이 추천되는 잔존골의 고경이 5mm이상이었고 점차적으로 1-2mm의 낮은 고경에서 동시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거상술후 식립된 임플란트의 전체 생존율을 알아보고 식립된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식립위치, 이식재의 종류,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잔존골 고경, 수술방법등을 분류하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2002년 5월에서 2006년 12월까지 서울 보훈병원 치과에 내원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군으로는 남성 101명과 여성 30명으로 총 131명이었다. 식립된 임플란트는 251개로 보철물 장착이 완료된 환자들을 선별하였고 평균 관찰기간은 24개월이었다. 진료 기?부 및 방사선학적 검사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1. 131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251개의 임플란트의 전체 생존율은 94%였다.2. 임플란트 직경, 높이, 식립 위치별 분류에서 모두 안정된 생존율을보였다.3. 자가골, 이종골, 동종골, 합성골등의 단독, 혼합 이식에 따른 통계학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4. 다양한 임플란트 표면처리에서 모두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5. 잔존골의 고경에 따른 생존율은 1-3mm의 고경에서 가장 낮은 생존율(88.4%)을 보였다.6. 치조정 접근법, 측방 접근법(동시 식립), 측방 접근법(지연 식립)에서 93.3%, 97.1%, 77.8%의 생존율로 통계학적 분석 결과 유의성이 있었다(P<0.05). 상악동 거상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은 높은 생존율로 예지성있는 술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잔존골의 고경이 낮은 경우 수술방법등의 신중한 선택이 높은 임상적 성공율을 가져올 수 있을것이다. The placement of implants in posterior maxilla have been difficule due to insufficient bone quality, rapid bone resorption after loss of teeth and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Since Boyne and James had published subantral augmentation with lateral approach, variable studies about survival rate, operation method, graft material, implant surface have been reported.Autogenous bone graft was used for initial graft material, and it has been interested in the use of xenograft, allograft and alloplast. As the roughness of implant surface is increased, the rate of bone-contacted area is also increased, and implants of rough surface result higher survival rate than of machined surface.The residual bone may be a crucial factor in the ability to achieve and maintain osseointegr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otal survival rate of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and the effects that reach the survival rate by classifying type of graft materials, implant surface, operation method, residual bone height, and finally to analyzing of implant failure.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implant placement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ere 131. All 251 implants were inserted.The result which were estimated by clinical recordings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follows:1. Survival rate of 251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as 94%.2. Diameter, length, location of implant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3. Survival rate of implants using autogenous bone only was 8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4. Types of implant surface processing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5. Low survival rates of 88.4% was shown at bone height of 1-3mm.

      • 위암 환자의 생존율 분석에 근거한 새로운 병기분류법의 제안

        형우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5

        병기결정의 목적은 치료방법의 선택, 예후의 예측, 치료결과의 평가, 치료기관들 간의 정보교환 및 지속적인 암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제5판UICC/AJCC 병기 분류법은 이전의 분류법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신뢰도가 높고 객관적인 방법임이 여러 보고에서 입증되었으나 수술적 치료방법의 선택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여전히 동일병기에서도 그 예후가 다양하여 병기의 분류가 예후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에 미흡하다. 이에 따라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여러 제안 또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들의 생존율의 분석을 통하여 제5판 병기분류법의 타당성을 알아보고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병기분류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4217명 중 제5판 UICC/AJCC 병기분류 기준에 따라 병기의 분류가 가능하였던 4040명을 대상으로 조기위암 환자 1202명의 생존율은 전이 림프절의 수에 따라 진행위암 환자 2838명의 생존율은 각 병기별, TNM그룹별로 분석하였다. 2001년 6월 30일을 최종 추적일로 하였으며 대상환자들 중 추적관찰이 중단되었던 환자는 114명(2.8%)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yer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통계적 검정은 log rank 법을 이용하였다. 전체 4040명의 병기별 분포는 Ia기 1052명, Ib기 512명, II기 717명, IIIa기 689명, IIIb기 342명, IV기 728명이었다. 병기별 5년 생존률은 I기 93.3%(Ia기 94.6%, Ib기 90.5%), II기 72.5%, III기 50.1% (IIIa기 57.4%, IIIb기 35.2%), IV기 13.3%이었다. 조기위암 환자 1202명의 생존율은 Ia기 94.6%(n=1052), Ib기 92.9%(n=128), II기 이상은 40.9%(n=22)이었다. 전이 림프절 수에 따른 조기위암 환자의 생존율은 전이 림프절이 없는 경우 94.6%(n=1052), 1-2개의 전이 림프절이 있는 경우 95.1%(n=82)이었으나 전이 림프절이 3개 이상인 경우는 73.4%(n=68)이었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조기위암 환자들의 평균생존기간을 비교하면 전이 림프절의 기준을 3개로 분류한 경우가 제5판 UICC/AJCC 병기분류에 비해 보다 좁은 평균생존기간의 95% 신뢰구간을 나타냈다. 진행위암 환자 2838명의 각 TNM그룹별 5년 생존률은 Ib기의 T2N0M0(n=384) 89.8%, II기의 T2N1M0(n=354) 71.5%, T3N0M0(n=344) 74.9%, IIIa기의 T2N2M0(n=134) 55.2%, T3N1M0(n=528) 58.6%, T4N0M0(n=27) 44.4%, IIIb기의 T3N2M0(n=342) 35.1%, IV기의 T4N1M0(n=67) 32.3%, T4N2M0(n=53) 9.4%, TanyN3M0(n=369) 14.1%, TanyNanyM1(n=240) 7.1%이었다. 제 5판 UICC/AJCC 분류법에 따른 각 병기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동일 병기내 둘 이상의 TNM 그룹을 갖는 II기(p=0.6945), IIIa기(p=0.1508)와 IV기(p<0.0001) 중 IV기의 경우 동일병기 내에서 각각의 TNM 그룹 간에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IV기로 분류되는 T4N1M0그룹과 IIIb기로 분류되는 T3N2M0그룹 간에는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p=0.9225). 이상의 결과 동일 병기에서 다양한 생존율의 양상이 조기위암에서는 전이 림프절의 기준을 너무 넓은 범위를 이용하는 것에, 진행위암에서는 동일 병기내의 TNM 그룹간의 차이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의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에서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병기의 기준 전이림프절 수를 7개에서 3개로 하여 전이림프절의 수가 1-2개인 경우를 N1a로 전이림프절 수가 3개 이상인 경우를 N1b로 정의하여 조기위암의 병기를 Ia(T1N0M0), Ib(T1N1aM0), 및 II(T1N1bM0)기로 분류하고 진행위암에서는 제5판에서 Ib기로 분류되던 T2N0M0와 IV기로 분류되는 T4N1M0를 각각 Ic기와 IIIb로 재분류 하는 새로운 병기분류가 제5판 UICC/AJCC 병기 분류법이 가지는 제한점을 극복하고 치료방법의 선택과 보다 정확한 예후의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a new staging system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urrent UICC/AJCC staging system such as heterogeneous survival in the same stage and lack of information for selecting treatment modality. A total of 421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from 1987 to 1997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mong them, 4041 patients that had either early gastric cancer(EGC, n=1202) or advanced gastric cancer (AGC, n=2838) can be appropriately staged by the 5th UICC/AJCC system. Survival rates of EGC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is. Survival rates of AGC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NM classifications.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5th UICC/AJCC were 94.6% for stage Ib, 92.9% for stage Ib, and 40.9% for stage II or IV.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is in EGC patients were 94.6% for EGC patients with node negative, 95.1% for those with 1 or 2 positive nodes, and 73.4% for those with 3 or more positive node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mean survival duration are narrower when patients were grouped with a referenc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as 3 than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5th UICC/AJCC staging system.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NM classifications in AGC patients were 89.8% for T2N0M0 (stage Ib), 71.5% for T2N1M0 (stage II), 74.9% for T3N0M0 (stage II), 55.2% for T2N2M0 (stage IIIa), 58.6% for T3N1M0 (stage IIIa), 44.4% for T4N0M0 (stage IIIa), 35.1% for T3N2M0 (stage IIIb), 32.3% for T4N1M0 (stage IV), 9.4% for T4N2M0 (stage IV), 14.1% for TanyN3M0 (stage IV), and 7.6% for TanyNanyM1 (stag IV). The survival rate of T4N1M0 in stage IV was rather similar to that of T3N2M0 in stage IIIb(P=0.9225) than other TNM classifications in stage IV(P<0.0001). With these results we may propose following new staging proposal. For EGC patients, dividing N1 into two groups; 1 or 2 positive lymph nodes as N1a and 3 or more positive nodes as N1b is recommended. With new nodal classification in EGC, staging recommendation for EGC patients is Ia for T1N0M0, Ib for T1N1aM0, and II for T1N1bM0. For AGC patients, redistribution of TNM classification into staging system, i.e. regarding T2N0M0 as stage Ic and T4N1M0 as stage IIIb, is recommended for a new staging system.

      •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생존율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영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4

        우리나라에서 신규창업 기업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기업의 폐업률 또한 높은 편이다. 기업이 폐업하지 않고 지속해서 생존을 유지하는 힘은 다양한 내ㆍ외부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겠지만, 무엇보다도 창업가 특성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창업가의 역할과 그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매년 창업을 시작하는 창업가들에게 지속 성장을 위한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을 제시한다면 실패율을 낮출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 여성기업인 육성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떨어지는 국가 경제에 여성 경제 인력이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높을수록, 매출이나 이익 등 기업의 경영성과가 높아짐은 물론, 직무만족도, 기업 혁신성, 다양성 등 비재무적 측면도 건강하게 변화된다는 많은 실증적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생존율과 경영성과를 높이는 요인으로써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을 살펴보고,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 간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의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창업 7년 미만의 대표자 147명에게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기업생존율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가의 특성 중 관리적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중 재무적 성과(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독립변수 모두 기업의 경영성과 중 재무적 성과(매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 특성과 기업의 여성친화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중 비재무적 성과(수익ㆍ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높을수록 비재무적 성과(수익)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여성친화적 다양성과 창업가 역할이 클수록 비재무적 성과(고객만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과 차별화되는 요인을 찾아내고자 하였으나, 고성과 기업과 그 외 기업은 창업가 특성이나, 기업의 여성친화성에 큰 차이가 없었고, 기업의 여성친화적 다양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성과 기업이 그 외 기업에 비해 여성친화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가의 창업가적 역할과 기술ㆍ기능적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고성과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 다양성을 인정하고 반영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new start-ups in Korea is steadily increasing, but the closure rate of companies is also high. The ability of a company to continue to survive is determined by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but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can be said to be among the most essential factors. Especially, the smaller the company’s size, the higher the CEO's role and the company’s dependence on it. Therefor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mitigate the failure rate if we present a process that provides CEOs starting a business with a direction towards sustainable growth. Fostering female entrepreneurs is a global trend. This is due to the expectation that female economic manpower will become a new engine in the national economy where growth potential is hindered due to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There are many empirical examples that the higher the female-friendliness of a company is, the higher the company's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an increase in sales and profits, as well as non-financial aspects such as job satisfaction, corporate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women-friendliness of enterprises as factors that increase the survival rat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enterprises between high performing enterprises and others. To achieve this, a 56 ques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to 147 entrepreneurs with less than 7 years in operation. Five of these entrepreneurs were interviewed in-depth. Firs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on the corporate survival rate showed that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he technicalㆍfunctional rol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corporate survival rat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agerial role.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showed that neither had an a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sales) among business performanc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and women-friendliness of a company on non-financial performance (revenue, customer satisfaction) among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s, the higher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echnicalㆍ functional role, the highe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revenu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women-friendly diversity and entrepreneurship role of a company, the highe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while trying to find the factors that differentiate between high-performing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ntrepreneurship characteristics or women-friendli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high-performing companies had lower female-friendly diversity than general companies. Therefor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a company and increase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ial role and the technicalㆍfunctional role of entrepreneurs are most important. In order to grow into a high performing company, a culture that recognizes and reflects the diversity within the company should be created.

      • 저온송풍건조에 따른 우리나라 토착형 와인효모 균체의 생존율 향상 및 포도주 발효 특성

        최원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4

        국산 와인 발전을 위해 국내포도에서 분리한 내당성 토착효모 (S. cerevisiae D8, M12, S13)를 이용하여 분말형의 건조효모 제조와 건조효모의 생존율 향상 및 건조효모에 의한 포도주 제조에 대한 발효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건조효모의 상업적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균주들을 저온송풍건조법으로 분말형 효모를 제조 하였고 보다 건조효모의 생존율의 증가를 위해 여러 보호제와 부형제를 이용하였다. 균주들을 배양하여 원심분리 후 남은 pellet에 보호제로서 skim milk를 농도별로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생존율이 극히 낮아 락토밀, 돼지감자 분말, 밀가루 ,누룩과 같은 부형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들을 이용하여 적절히 건조한 후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누룩과 밀가루에서는 3% 정도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돼지감자를 이용했을 시에는 2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락토밀의 경우에는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락토밀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로 건조를 하여 생존율 및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1시간 저온송풍건조 시 70% 정도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9-10% 로 건조효모로서의 적절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조건을 이용해 10% skim milk 와 여러 당류를 5% 또는 10% 의 농도로 혼합 제조한 보호제를 락토밀과 함께 균질화 한 후 건조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76% 정도 또는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보호제를 이용한 건조효모를 4℃에 저장 하였을 시 지속적인 생존율을 보였으나 30℃ 저장 시 대부분의 균이 감소함을 보였다. 건조 효모로 제조 시에도 기존의 효모 특성 유지에 대한 내당성 분석결과에서는 건조 전과 비슷한 효모 생육도를 보여 포도주 제조에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모를 이용한 포도주와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건조효모로 제조한 포도주의 발효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포도주에서 유사한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당도는 발효 5일차에 대부분의 당이 소모되었으며 알코올은 최종적으로 모든 균주에서 13.4~14.2%의 함량을 나타내어 일반 과실주에 비해 약간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생균수는 주모를 이용한 포도주 발효와 초기균수를 맞추기 위해 건조효모의 생존율에 따라 1×107 cells/mL 의 정도로 계산 후 재수화 하여 포도주에 첨가하였으며 모든 포도주에서 일정한 생육을 보여주었다.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최종적으로 초기 함량보다 증가한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건조효모들의 경우 일반 효모들보다 약간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유리당은 건조효모를 이용한 포도주에서 부형제인 락토밀에 포함되어 있는 lactose 가 검출되었다. 관능평가는 S13 건조효모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S13과 M12는 주모와 건조효모 사이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D8의 경우에는 향과 색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로 보아 저온송풍건조법을 이용한 건조효모는 건조 전 효모와 균주특성 및 발효 특성에서 유사함을 나타내어 포도주 제조를 위한 사용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보다 높은 저장성 연구 및 제조기술 등의 활발한 연구를 진행 한다며 상업적 이용 및 국산포도를 이용한 와인사업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In the powder form of dried yeast strains were prepared by using the three kinds of sugar tolerant yeast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grapes. Yeast strains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D8, M12 and S13 which were showed high level of tolerance against osomotic pressure in the glucose. For the mass production of dried yeast, low temperature air-blast drying method was utilized. Air-blast drying method reduced the time and cost more ten times than the freeze-drying.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air-blast dried yeasts, excipient (lactomil) and protective agents (10% skim milk with various sugar). As the results of the diverse methods, the best viability of three dried yeast strains was over 75% and water content was less than 10%. The highest viability of dried D8, M12 and S13 was 97%, 85% and 76% when 10% skim milk was mixed with 10% trehalose, 10% sucrose and 10% raffinose respectively. Appropriate storage temperature was 4℃. A sugar tolerance analysis proved that characteristics of yeasts were not changed after air-blast drying. Campbell grape wine were fermented by three non-dried yeast culture and rehydrated three air-blast dried yeast. During the fermentation for seven day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all wines. As a resul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ll yeasts dried and non-dried yeasts used in winemaking was not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residual sugar, alcohol, total acid, viable cell counts, organic acid and phenolic compounds. However, lactose of free sugars was detected in the all wines fermented by dried yeasts because lactomil was used to air-blast drying.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were not detected in all wines. In sensory evaluation, wine with D8 obtained the highest value in color and flavor, wine with dried S13 obtained the highest value in taste and overall phas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ine with dried and non-dried S13 in a sensory evaluation. M12 was the same but D8 showed differences in color and flavor.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at characteristics of yeast and dried yeast is similar. Therefore, The air-blast dried yeast has the commercial availability in the fermentation of a wine.

      • 비만 및 기타 유방암 위험인자와 유방암 생존율과의 관련성 연구

        오현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4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in women and is the second cancer in Korea recently. Although the improved treatment and early screening played a role in the increase in survival rate of breast cancer, there are few reported its prognostic factors for stage and method of treatment. Obesit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might also affect its prognosi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with obesity at diagnosis or other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and its survival rate. This study is a cohort study using breast cancer cases from a case-control study from Samsung Medical Center in Ilwon from the year 1998 to 2004. We confirmed presence of death among women aged 35 to 70 through follow-up by December 31. 2007. 1,399 breast cancer patients were interviewed on life-style related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1,357 of 1,399 breast cancer patients that were confirmed as cancer after operation is analyzed. We calculated obesity at diagnosis and weight change for recent 2 years by using weight and height at interview. Obesity group is considered as BMI over 25(kg/m2). We conducted a stratified analysis after classifying menopause status. The all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χ2-test, log-rank test, cox regression hazard model and the survival rates were generated by Kaplan-Meier methods. The percentage of stage for all patients were were 8.3%, 28.4%, 46.7%, 14.8%, and 1.8% at 0,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t diagnosis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stage, tumor size, histological grade, nuclear grade, hormone receptor status, method of treatment, c-erbB-2, and p53). In according to the stage, the 5 year survivals rates were 97.0%, 93.6%, 79.4%, and 58.% at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Adjusted for stage, age at diagnosis, and method of treatment,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obesity at diagnosis and risk of dying from breast cancer(obese vs. nonobes HR, 0.8; 95% CI, 0.5-1.6 in pre-menopausal women: HR, 1.7; 95% CI, 0.9-3.5 in post-menopausal women). In premenopausal women, weight loss for recent 2 yea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of dying from breast cancer(weight loss vs. weight stable HR, 2.6; 95% CI, 1.5-4.7) adjusted for stage, age at diagnosis, and method of treatment. In clinicopathologic factors adjusted stage, age at diagnosis, method of treatment, obesity at diagnosis, and weight change for recent 2 years, premenopausal women were at increased risk of dying from breast cancer for late stage(Stage Ⅲ+Ⅳ vs. 0+Ⅰ+Ⅱ, HR, 7.6; 95% CI, 3.0-7.0), hormone receptor negative tumors(ER-PR- vs. ER+PR+, HR, 2.4; 95% CI, 1.5-3.9), those who gotten chemotherapy(done vs. none, HR, 2.6; 95% CI, 1.1-6.2), and those who gotten radiation therapy(done vs. none, HR, 1.6; 95% CI, 1.0-2.4) and postmenopausal women were at increased risk of dying from breast cancer for late stage(Stage Ⅲ+Ⅳ vs. 0+Ⅰ+Ⅱ, HR, 3.0; 95% CI, 1.5-6.3). Adjusted for stage, age at diagnosis, method of treatment, obesity at diagnosis, and weight chage for recent 2 years,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family history, age at menarche, history of parous, and breast-feeding duration) and risk of dying from breast canc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ight loss and hormone receptor negative tumors increases the risk dying from breast cancer in premenopausal women and the stage increases the risk dying from breast cancer in all patient. Objectives: 유방암은 전세계적으로 여성에서 가장 흔한 암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암발생률 2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최근 국내외적으로 유방암의 조기 발견과 개선된 치료로 인해 생존율이 증가하였지만 아직까지 병기나 치료방법 이외에 환자들의 생존률을 높이는 정확한 원인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비만은 폐경 이후 여성 유방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진단 후 예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암을 가진 여성에서 진단당시 비만도가 유방암 환자의 예후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또한 기타 유방암의 위험인자 중 어떤 인자가 유방암의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Method: 본 연구는 1998년에서 2004년까지 수행된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유방암환자군만을 대상으로 2007년 12월 31일까지 추적조사한 코호트연구(Cohort Study)이다. 새로이 유방암으로 확진 받은 35세에서 70세까지의 환자군을 추적조사를 통하여 사망여부를 확인하였고 1,35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을 통한 면접조사와 서울 삼성의료원의 의무기록 자료를 통하여 획득하였다. 비만도(kg/㎡)는 설문조사에서 측정된 수치를 사용하였고 체중변화는 최근 2년간 체중변화를 사용하였다. 비만도가 25kg/㎡ 이상인 경우 비만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분석에 대해 연령 또는 폐경에 따른 효과 조정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폐경 유무에 따라 나누어 층화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AS 9.1와 SPSS 17.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생존율 계산을 위해 추적관찰기간을 person-month로 둔 후 생존곡선을 그리고 비만여부에 따른 생존율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Log-rank test를 통해 검증하고 유방암의 사망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해 Cox regression hazard model을 실시하였다. Results: 유방암 환자의 병기 분포는 0기가 8.3%, Ⅰ기가 28.4%, Ⅱ기가 46.7%, Ⅲ기가 14.8%, Ⅳ기가 1.8% 였다. 진단시 비만여부와 병리학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 모두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92.0%이며 폐경 전 여성(91.2%)보다 폐경 후 여성(93.6%)의 5년 생존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병기별 5년 생존율은 Ⅰ기가 97.0%, Ⅱ기가 93.6%, Ⅲ기가 79.4%, Ⅳ기가 58.4%였다. 진단시 비만여부는 유방암의 생존율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obese vs. nonobes HR, 0.8; 95% CI, 0.5-1.6 in pre-menopausal women: HR, 1.7; 95% CI, 0.9-3.5 in post-menopausal women). 최근 2년간 체중변화 중 체중감소는 폐경 전 여성에서 유방암의 사망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나타났다(weight loss vs. weight stable HR, 2.6; 95% CI, 1.5-4.7). 유방암의 병리학적 특성은 폐경 전 여성에서 병기가 높은 경우(Stage Ⅲ+Ⅳ vs. 0+Ⅰ+Ⅱ, HR, 7.6; 95% CI, 3.0-7.0), 호르몬 수용체가 없는 경우(ER-PR- vs. ER+PR+, HR, 2.4; 95% CI, 1.5-3.9), 항암치료를 받은 경우(done vs. none, HR, 2.6; 95% CI, 1.1-6.2),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done vs. none, HR, 1.6; 95% CI, 1.0-2.4)가 유방암의 사망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나타났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병기가 높은 경우(Stage Ⅲ+Ⅳ vs. 0+Ⅰ+Ⅱ, HR, 3.0; 95% CI, 1.5-6.3)가 유방암의 사망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나타났다. 유방암의 위험인자인 가족력, 초경나이, 출산력, 모유수유기간은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 모두에서 유방암의 사망위험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s: 유방암의 생존율을 낮추는 요인은 폐경 전 여성에서는 체중감소, 호르몬수용체가 없는 경우였으며 폐경 전과 후의 모든 여성에서는 병기였다.

      • 구강내 부위별 편평 상피암종의 생존율에 관한 임상 연구

        李泰熹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4

        구강암은 모든 암중에서 3-5%를 차지하며 특히 구강내 편평 상피암은 전체 구강암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발생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치료 성적도 조기 발견시에는 높으나 진행된 암종에서는 50% 이하로 낮은데 대개 진전된 상태에서 내원하므로 낮은 치료 성적을 나타낸다. 치료 방법의 선택과 시술에 있어 중요한 결정요소이며 예후 판정에 기준이 되는 인자들로는 원발부위, 병소 크기, 경부 임파절 전이 및 원격전이, 암세포의 분화도 및 미세혈관의 침입이 있는데 이 중 병소 부위별 예후 및 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저자는 구강내 부위별 편평상피암의 생존율을 비교하여 향후 구강암 치료시 도움이 되고저 1990년 1월 부터 1999년 12월 까지 원자력 병원에 내원하여 구강내 편평상피암으로 확정받고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주요한 병발부인 하악, 상악, 구강저 및 혀 부위에 편평 상피암종을 가진 환자 228명을 임상적으로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부위 별 생존율은 혀(36.8%), 하악(33.3%), 상악(28.7%) 그리고 구강저(24.5%) 순이었으며 혀와 구강저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 2. 초기 암의 생존율은 상악(100%), 하악 (57.1%), 설(54.2%) 그리고 구강저(46.7%) 순이었으며 상악과 구강저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수술요법에 의한 생존율은 상악(60.6%), 설(56.9%), 하악(44.8%) 그리고 구강저(26.3%) 순이었으며 상악과 구강저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 4. 항암 약물 요법 및 방사선 요법에 의한 생존율은 구강저(23.5%), 하악(20.0%), 상악(9.5%) 그리고 설(9.1%) 순이었으며 각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엔 유의성이 없었다(p>0.05). 5. 진전기 암종에서 단일요법에 의한 생존율은 설(33.3%), 하악(23.5%), 구강저 (16.7%), 및 상악(0%)순이었고 상악과 설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엔 유의성이 있었으며 복합요법에 의한 생존율은 하악(38.1%), 상악(30.0%), 구강저(18.2%) 그리고 설(12.5%)순으로 생존율이 높았고 하악과 설 부위간 생존율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 228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common primary site(Mandible, Maxilla, Floor of Mouth and Tongue) in the oral cavity who were diagnosed in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9, were clinically studied and analyzed on the survival r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urvival rates of each anatomical sites were Tongue(36.8%), Mandible (33.3%), Maxilla(28.7%) and Floor of Mouth(24.5%).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Tongue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2. Survival rates for early cnacer of each site were Maxilla(100%), Mandible(57.1%), Tongue(54.2%) and Floor of Mouth(46.7%).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3. Survival rates by surgery method of each site were Maxilla(60.6%), Tongue(56.9%), Mandible(44.8%) and Floor of Mouth(26.3%).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Floor of Mouth has significance(p<0.05). 4. Survival rates by radiation or chemo method of each site were Floor of Mouth(23.5%), Mandible(20.0%), Maxilla(9.5%), and Tongue(9.1%).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each site doesn't have significance(p>0.05). 5. In advance stage, Survival rates by single therapy of each site were Tongue(33.6%), Mandible(23.5%), Floor of Mouth(16.7%), Maxilla(0%) ,and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xilla and Tongue has significance (p<0.05). Survival rates by combination therapy of each site were Mandible (38.1%), Maxilla(30.0%), Floor of mouth(18.2%), Tongue(12.5%) ,and Survival rates difference between Mandible and Tongue has significance(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