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설에서 자립한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 생육권 행사 경험

        김용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시설에 거주하며 사회적 배제와 편견 속에 조명받지 못하였던,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자립한 지적장애인 부부 7쌍의 자녀 생육권에 관해 질적 사례연구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생육권을 보호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향후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장애 패러다임의 양대 축인 재활 패러다임과 자립생활 패러다임을 개관하고,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장애 패러다임의 실체와 상기 패러다임의 대치양상에 관해 논하였다. 이어 탈시설화를 통한 지적장애인 자립이 갖는 의의와 지적장애인 부부에게 생육권이 주는 의미와 행사에 있어서의 실현과 제약의 제반 요소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283개의 노드를 생성, 취합하였고, 이 중 연구주제에 맞는 40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40개의 개념에 관해 유사한 개념을 묶어 16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고, 도출된 하위범주를 정리하여 6개의 범주로 추상화하였다. 이들 범주는 ‘생의 긍정’, ‘생의 부정’, ‘육의 긍정’, ‘육의 부정’의 4개 차원에 배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7쌍의 지적장애인 부부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에서 사용하는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범주를 상기 4개 차원에 배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의 긍정 차원에서의 범주에는 ‘자녀 계획 결정의 갈림길’을 배치하였다. 이어 생의 부정 차원에서의 범주에는 ‘힘든 임신과 출산보다 둘이 행복하게’를 배치하였다. 한편 육의 긍정 차원에서는 ‘육아의 어려움 속 즐거움 공존’, ‘사회적 지원 하의 양육’의 두 개 범주를 포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육의 부정 차원에서는 ‘아이 돌봄의 어려움’, ‘사회, 국가의 양육지원 환경 미비’의 두 개 범주를 배치하였다. 연구의 함의는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난 6개 범주에 근거한 함의와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른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에 따른 함의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 결과를 통해 나타난 6개의 범주를 근거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의 긍정 차원에서 자녀 계획 결정의 갈림길에서는 자율적 자녀 계획 결정 경험과 주변의 우려와 설득 속에 피임을 한 경험이 나타나 임신 및 피임에서의 자기결정권 보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의 부정 차원에서 임신과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정보제공과 안전하게 임신하고 출산할 환경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의 긍정 차원에서는 양육의 기쁨과 어려움이 있었으며, 가족지원체계의 지원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문제 해결 노력도 나타났다. 양육의 어려움으로 자녀교육과 관련된 학습지도, 진로지도의 어려움이 나타나 아동, 청소년기 자녀교육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육의 긍정 차원에서 사회적 지원으로 시설 퇴소 이후 지역사회 자립생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거주시설의 사후관리와 장애인복지관의 출산 준비 지원 프로그램이 생육권 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육의 부정 차원에서 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육의 부정 차원에서 사회, 국가 차원의 양육지원 환경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을 원용한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시체계에서는 생의 긍정과 부정이 나타난 범주 1, 2와 관련해 자녀 계획 결정 과정에서 사회복지사, 거주시설, 부모와의 상호작용 속에 생의 권리의 실현 양상은 다양하였다. 둘째, 중간체계에서는 육의 긍정으로 나타난 범주 3, 4와 관련해 양육 과정에서 지역사회 생활지원과 공적 지원을 통해 육의 권리를 실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시체계에서는 육의 부정으로 나타난 범주 5, 6과 관련하여 주거 부담, 사교육비 부담 등 경제적 문제와 공적 양육지원 부족으로 육의 권리 실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지적장애인 부부의 생육권을 촉진하기 위한 사회복지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지적장애인 부부의 생육권 관련 법과 제도의 안정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의 시설에서 자립한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 생육권 외에 재가 지적장애인 부부의 자녀 생육권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시설 거주 장애인의 이성 교제, 결혼, 생육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가 시급하며, 그 결과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work, we study the right to grow children of seven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ho lived in facilities for a long time and didn’t get any attention by social exclusion and prejudice. Through this work, we tried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tecting the right to grow, helping them to achieve a happy family, and directions for support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policies. We will introduce the two major disability paradigms in Korea, rehabilitation paradigm and independent living paradigm, then discuss about the reality of paradigm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nd the confrontation aspect of the paradigm. Subsequently, we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independence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rough deinstitutionalization, the meaning of the right to grow and the factors of realization and restrictions in the exercise. As a result, we created and collected 283 nodes, and derived 40 concepts about the research topics. About 40 concepts, we group the similar concepts into 16 subcategories, which were summarized and abstracted into 6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placed in four dimension: 'positive to childirth', 'negative to childbirth', 'positive to parenting', and 'negative to parenting'. By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about seven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it was organized into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which used in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results of arranging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tegory of birth positive, a 'crossroads of child planning decisions' were placed. Second, in the category of birth negative, 'Happier couple rather than difficult of pregnancy and childbirth' was placed. On the other hand, two categories were placed in parenting positive: "Coexistence of Joy in Childcare Difficulties" and "Raising under Social Support,". and Finally, "Difficulty in Child Care" and "Insufficient Social and National Parenting Support Environment" were arranged in parenting negative. We propose the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six categori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micro-system, intermediate system, and macro-system according to Bronfenbrenner's theory of ecological system. First,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six categori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crossroads of child planning decisions as childbirth positive, it was appeared that experiences of autonomous child planning decisions and contraception caused by concerns and persuasion around them. And it indicates that self-determination in pregnancy and contraception is necessary. Second, it was found that fear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ppeared in terms of childbirth negative. It indicates that providing information on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preparing of safe environment are necessary. Third, there were joys and difficulties in parenting at parenting positive, and the support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and efforts to solve problems through social networks were also revealed.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led to difficulties in learning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 indicating that support for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needed. Fourth, in terms of parenting positive, it was found that the follow-up management of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 childbirth preparation support program of the disabled welfare center, which continuously supports independence after leaving the facility, had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grow. Fifth,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burden of parenting was greatly felt in terms of parenting negative. Sixth,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 for parenting support at the social and national levels was insufficient in terms parenting negati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rom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theor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icro-system, the right to childbirth was various in the interaction with social workers, residential facilities, and parent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children plans in relation to categories 1 and 2 where childbirth positives and negatives appeared. Second, in relation to Category 3 and 4 where parenting positive appeared, it was found that the were right to parenting was realized through community life support and public support in the parenting process. Third, in relation to categories 5 and 6 where parenting negative appeared, it was found that economic problems such as burden of housing and education cost and lack of public parenting suppor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rights to parenting.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a follow-up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the growth right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Second,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stabilization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the growth right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is needed. Third, in addition to the right to grow children of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who are self-reliant in the facilities, research on disabled couples at home should be conducted too. Fourth, it is urgent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ating, marriage, and growth of disabled people living in facilities and academic discussions on the result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Keywords: the rights to bear and raise, independent living, care facilities, intellectually disabled couples, motherhood, fatherhood, case study, parenting support, wedding, independence paradigm, Deinstitutionalization

      • 관상용 수경재배에서 실내식물의 염류집적 한계농도 평가

        손혜미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growth response of Dracaena braunii due to salt accumulation in ornamental hydro-culture and find utilization of activated carbon. It was conducted in a plant growth chamber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hamber was set at temperature 23 ± 1℃, humidity 70 ± 3%, brightness 1000lux. Chloride ion processing used calcium chloride(CaCl2) and processed in triangular flask by 100ml in a water solution state and then placed Dracaena braunii. Experiment plot was created in CON(0), C10(4.72), C20(9.44), C50(23.6), C100(47.2), C150(70.8g/L) in high concentration. In order to find the withstand salinity, CON(0), C1(0.47), C2(0.94), C5(2.36), C10(4.72), C15(7.08g/L) were created and each processing plot was arbitrarily allocated in 10 repetitions. After finding the withstand salinity of Dracaena braunii, the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by combining activated carbon.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wth limiting concentration of Dracaena braunii due to high-concentration salt accumulation, pH of media showed alkalinity(6.35∼10.38) as chloride ion concentration became higher and electric conductivity became also higher. C20 treated plot of 2ms/cm and higher was determined to show poor growth. As C50 or higher manifested no root and Dracaena braunii withered, The limiting salt concentration of Dracaena braunii was determined to be C20 treated plot, chlorine ion 23.6g/L. As a result of assessing the withstand salinity of Dracaena braunii based on high concentration experiment, pH became higher as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but after planting Dracaena braunii, pH decreased from subacidity to neutral(6.24∼7.36). In case of electric conductivity, regardless of before and after planting Dracaena braunii, it increased as chloride ion concentration became higher. The growth of Dracaena braunii showed good growth of above and under ground parts in the order of C1, CON, C2, C5, C10, C15 and showed lots of increase. The treated plot which had the best growth of Dracaena braunii was treated plot with calcium chloride 1g added and the withstand chloride io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to be 4.72g/L.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growth response of plant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ctivated carbon, pH treated plot which combined activated carbon maintained subacidity to neutral(6.27∼7.32) and electric conductivity inside media decreased. As treat plot which added activated carbon showed good growth, the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was pro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growth of plants. However, as the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may decrease over time and combination of high concentration activated carbon may cause shortage of nutrition, various concentration combination ratios of activated carbon and absorption effects need to b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관상용 수경재배에서 염류집적에 따른 개운죽의 생육반응을 분석하고 활성탄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식물 생장상(growth chamber)에서 진행되었으며, 챔버의 내부 환경조건은 온도 23 ± 1℃, 습도 70 ± 3%, 광도 1000lux로 조성하였다. 염소이온처리는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하여 수용액의 상태로 삼각플라스크에 100ml씩 처리한 뒤 개운죽을 안착시켰다. 실험구는 고농도일 때 CON(0), C10(4.72), C20(9.44), C50(23.6), C100(47.2), C150(70.8g/L)으로 조성하였다. 내염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CON(0), C1(0.47), C2(0.94), C5(2.36), C10(4.72), C15(7.08g/L)로 조성하였으며, 각 처리구는 10반복 임의배치 하였다. 개운죽의 내염농도를 파악한 뒤 활성탄을 배합하여 활성탄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고농도 염류집적에 따른 개운죽의 생육한계농도를 분석한 결과, 배지의 pH는 염소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알칼리성(6.35∼10.38)을 띄었으며 전기전도도 또한 높아졌다. 2ms/cm이하인 C20처리구 이상에서는 생육불량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었다. C50 이상에서는 뿌리의 발현이 전무하였고 개운죽이 고사하여 개운죽의 한계염류농도는 C20처리구인 23.6g/L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농도의 실험을 토대로 개운죽의 내염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pH는 염류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나 개운죽 식재 후 약산성에서 중성(6.24∼7.36)으로 pH가 낮아졌다. 전기전도도의 경우, 개운죽의 식재 전과 후에 관계없이 염소이온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개운죽의 생육은 C1, CON, C2, C5, C10, C15순으로 지상부,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증산량이 많았다. 개운죽의 생육이 가장 좋았던 처리구는 염화칼슘 1g을 넣은 처리구였으며, 내염염소이온농도는 4.72g/L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활성탄 유무에 따른 식물생육반응을 살펴본 결과, 활성탄을 배합한 처리구의 pH가 약산성에서 중성(6.27∼7.32)으로 유지되었으며 배지 내 전기전도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생육이 좋았던 것으로 보여 활성탄의 흡착효과가 식물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활성탄의 흡착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고, 고농도의 활성탄 배합은 양분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다양한 농도의 활성탄 배합비율과 흡착능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파프리카의 정지작업시 측지 및 착과수 조절이 생육단계별 영양생장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양승호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실험은 정식 후 생육초기부터 생육후기까지 측지엽수, 착과수, 측지엽 제거 주기를 조절하여 생육단계별 외부 기상 환경에 따라 영양생장 및 수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본 실험은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측지엽수를 달리하여 생육조사를 통하여 생육의 변화와 수량을 조사하였고 두 번째는 착과수를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고 세 번째는 측지엽 제거 주기에 따른 생육 및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통하여 측지엽수가 감소할수록 생육초기에는 평균과중은 증가하지만 그에 반해 착과군과 수확군이 감소하여 수량이 감소하였고 측지엽수가 증가할수록 생육초기에는 평균과중이 낮아지지만 높은 착과율로 인해 수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육후기에는 측지엽수가 많을수록 엽면적지수가 증가하여 광투과율이 떨어지고 통기성이 불량해져 공기유동이 원활하지 못해 과습한 미세환경이 조성되어 잿빛곰팡이병 발생증가로 인해 총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외부 기상 환경에 맞는 적정한 엽면적지수일수록 광합성을 통한 동화산물이 식물의 영양기관과 과실쪽에 균형있게 전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저광일때에는 측지엽을 적게 남긴 처리구들이 생육균형이 좋아지는 반면 고광일수록 측지엽을 많이 남긴 처리구들이 생육균형을 유지하면서 원활한 착과와 수확군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번째 실험은 착과수 조절에 따라 생육 및 생산량을 비교하기 위해 원가지 1착과 처리구와 원가지 1착과, 곁가지 1착과 처리구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착과율은 대체적으로 원가지 1착과, 곁가지 1착과 처리구가 모든 구간 높았고 수확군 또한 생육초기를 제외하고서는 생육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다만 평균과중의 감소가 원가지 1착과 처리구보다는 감소하였다. 수량은 누적광이 감소할수록 평균과중은 증가하였지만 착과율의 감소로 인해 생육후기로 갈수록 원가지 1착과 처리구의 수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번째 실험은 측지엽 제거 주기에 따라 생육 및 수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0일, 14일, 18일로 나누어 측지엽 제거 작업을 실시하였다. 18일 주기로 측지엽 제거 작업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착과군과 수확군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낮았지만 평균과중이 높아 총 수량이 가장 높았다. 10일마다 측지엽 제거 작업을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14일마다 측지엽 제거 작업을 실시한 처리구보다 평균과중이 높고 생육균형도 좋았지만 장마기에 접어들면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불량해지며 수량이 감소하였고 과습한 조건이 형성되어 측지엽 제거 작업을 한 상처부위가 늦게 아물어 곰팡이병의 2차감염에 다른 처리구에 비해 더 쉽게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재배환경이 인삼의 생육특성과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오동주 부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shading material of rain shelter in Panax ginseng C. A. Meyer. Light saturation point of ginseng leave commonly increased to 22,000 lux in low temperature 15'C , as reported before, and the optimum light of photosynthetic rate changed as the different temperatures by 11,OOO lux at 20'C and 9,500 lux at 25'C as the optimum level, which also different among growth stages. Leaves photosynthesis cultivated at different light condition were different because light saturation point of leaves cultivated at front showing high light was 10,000 lux but that at rear was 4,000 lux. Thus, we considered that Ginsenoside as the important pharmacological ingredient would also be affected by the different light condition as well. Meanwhile, Ginsenoside contents fluctuated striking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clima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nd growth stages. Therefore, this study was practic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position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e-year-old domestic variety of Panax ginseng obtained from ginseng elite farmers were cultivat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s farmland (located at Bubuk- myeon in :Wliryang city) in 2008. Ginseng administrative standard establish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s followed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on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light in the shade structure during .June, July, August with different shade structur e, there indicated differences depending on period, and as to the speed of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Rain-cut hade plate indicated higher than Shade net. Chlorophyll fluorescence indicated high tendency of Fo showed this order: Blue plastic film > Polyethylene net> Rain-cut hade plate, and in terms of Growth period August indicated big difference compare to June.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ginseng root portion by shading material, Rain-cut hade plate indicated high tendency in case of root length, root diameter, fresh weight, dry weight. total content of Ginsenoside indicated tendendes as to Polyethylene net 3.26%, Rain-cut hade plate 4.00%, Blue plastic film 3.60%.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on the change of the light in the different planting positions June, July, August with different shade structure, there indicated differences depending on period, and as to the speed of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front indicated higher than rear. Chlorophyll fluorescence indicated high tendency of Fo showed this order: front > Center > rear, and in terms of Growth period June indicated big difference compare to August. Referring to shoot growth characteristics, stem length, stem diameter and leave area were higher at front than rear, increasing as the proceeding of growth stages. According to root characteristics, root length and main body length were higher at front, with a positive correlation to growth stages, which was also shown on fresh root weight and dry root weight with the maximum in August. Meanwhile, the effect of planting position on ginsenoside content could also be definite by the highest content at front showing high light intensity, increasing as the proceeding of growth stages as well. Ginseng seedling growth in the plastic house indicated higher photosynthetic rate than ginseng seedling in the traditional shade. In the case of Chlorophyll fluorescence, Fo value showed a low tendency for ginseng seedling of plastic house compare to that of traditional shade and Fv/Fm values indicated lower tendency for traditional shade than that of Plastic House one. In Ginsenoside contents, traditional shade 0.65%, and in the plastic house 0.57%. As to co-relationships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quantity characteristic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s at pH, O.M, Ca, Mg and negative correlations at EC, P2O5. As to correlations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insenoside, application of organic substance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in O.M. The paddy field Chunpoong indicated tendency of Higher photosynthetic rate whereas Yunpoong in the farm distributed higher position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rate. Also, the result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alysis indicated that in the paddy field, Yunpoong tended to have higher light stress than Clhunpoong. Though photosynthetic rate increased as Photosynthetic active radiation increased, compared to Panax ginseng C. A. Meyer, Panax quinquefolium L reached the photosynthesis maximum at higher PAR by 400~600 umolm-2s-1 but 300~400 umolm-2s-1 in Panax ginseng C. A. Meyer. According to transpiration rate, was higher to Panax ginseng C. A. Meyer at low photosynthetic rate, but it increased more at high photosynthetic rate to Panax quinquefolium L. Fo, as chlorophyll fluorescence target, was higher in Panax quinquefolium L but a higer Fv/Fm in Panax ginseng C. A. Meyer conversely. Rb1 for 6 year Unpared Straight Ginseng, Rgl for Taeguk Ginseng indicated higher tendencies respectively, and in case of Rg3 & Rh2 6 year red ginseng measured the highest. There was a tendency of Ginsenoside contents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teaming treatments but Rb1, Rb2, Re, Rgl tended to show decrease, specially Rgl decrease was significant, but Rg3 increased. In case of roasting treatment, Rg2, Rg3, Rh1, Rh2 has a tendency to be increased at higher temperatures compare to untreated control, but Rg2 and Rg3 tended to decrease at very high temperature(210'C).

      • 생육개량물질을 활용한 노거수의 효과적인 보호관리 방안

        이동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난개발과 환경파괴로 인하여 많은 보호수들과 수령이 100년 이상 된 노거수들의 숫자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목의 정상적인 생육과 활착을 가능하게 하는 생육개량물질의 사용방법을 학술적으로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묘목 시험으로 2~3년생(실생) 은행나무 묘목을 화분에 재배하여 실시하였다. A(일반토양+일반용수), B(일반토양+발근촉진제), C(생명정+일반용수), D(생명정+발근촉진제) 처리구를 기본으로 하여 C, D 처리구는 생명정과 일반토양의 혼합비율을 각각 8:2, 7:3, 6:4, 5:5로 하여 처리하였다. 처리된 화분에 묘목을 식재한 후 서울시립대학교 온실에 완전 임의 배치법으로 2006년 4월 19일부터 9월 28일까지 200일간 재배하면서 식재 150일, 180일, 200일 총 3회에 걸쳐 생육조사와 식물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묘목시험의 1차 생육조사 결과 근원경, 잎수, 지하부 생체중, 전체 생체중은 A(일반토양100%+일반용수), B(일반토양100%+발근촉진제), C(생명정100%+일반용수), D(생명정100%+발근촉진제)에 있어서 모든 시험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묘고는 D-1(생명정8:일반토양2+발근촉진제)과 C(생명정100%+일반용수)가 유사한 생육상태를 나타내었다. C가 D-2(생명정7:일반토양3+발근촉진제)의 시험구와 동일한 엽면적을 보였다. 묘목 시험의 2차 생육조사 결과에 따르면 근원경, 잎의 숫자, 묘목의 묘고는 통계적으로 동일한 값을 보였고 뿌리길이는 C, C-1(생명정8:일반토양2+일반용수), D에서 좋은 생육을 나타내었고 그 외 처리구에서는 발근촉진제 처리로 좋은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 지하부의 생체중은 처리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지상부의 생체중은 D-1처리구가 가장 좋은 생육상태를 나타내었다. 묘목시험의 3차 생육조사 중 근원경 조사에서도 발근촉진제의 처리가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엽의 갯수는 모든 시험구에서 거의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묘고에서는 D-1, D-2, D-3(생명정6:일반토양4+발근촉진제) 시험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B, D-4(생명정5:일반토양5+발근촉진제)에서는 가장 낮은 묘고를 볼 수 있었는데 생명정보다 우수한 묘고생장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뿌리의 길이는 D-1의 결과가 가장 좋았고 C, C-1, D의 시험구도 왕성한 뿌리 생육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는 않은 것이었다. 지하부 생체중은 큰 차이 없이 거의 동일한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지상부 생육이 가장 좋은 D-1은 제한된 크기의 분으로 인해 더 좋은 생육을 나타내지 못했다. 3차 생육조사시 전체 생체중은 거의 모든 시험구에서 통계적으로 동일한 수치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묘목시험에서 얻은 생명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용산구 소재 수령 320년인 은행나무(구지정보호수: 1-3-10)를 이용하여 2차 실험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목 근원경의 약 1.5배에 해당하는 원을 설정하고 그 원을 16등분하였다. 이 16지점 중 12개 지점을 택하여 이들을 시험구(4처리, 3반복)로 정하였다. 4개의 처리구는 각각 A(원토양+일반용수), B(원토양+발근촉진제), C(생명정+일반용수), D(생명정+발근촉진제)였다. 은행나무 노거수 근부 생육조사는 처리구 A(원토양+일반용수)의 첫 번째 지점에서 65개, 두 번째 지점에서13개, 세 번째 지점에서는 0개의 신근이 유도 되었다. B처리구(원토양+발근촉진제)에서는 첫 번째 지점이 가장 많은 6개, 두 번째 지점은 3개, 세 번째 지점은 1개의 신근이 유도되었다. C처리구(생명정+일반용수)에서는 첫번째 지점은 3개의 뿌리가 유도 되었는데 뿌리의 길이는 긴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두번째 지점은 단 1개의 뿌리만이 유도되었다. 세 번째 지점은 가장 많은 14개의 새 뿌리가 유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D처리구(생명정+발근촉진제)에서는 첫번째 지점은 가장 많은 33개 가량의 신근이 나타났다. 두번째 지점의 뿌리의 갯수는 7개였으며 직경은 다른 시험구의 뿌리들보다 더 굵었고 세 번째 지점에서는 16개의 신근을 목격할 수 있었다. 생명정을 이용한 노거수의 근부 활성화를 통하여 적절한 유지관리방안을 찾고자 실시한 본 시험에서 생명정은 묘목과 노거수 모두에 적절한 근부의 활성을 유도하는 생육개량물질임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들이 나왔다. 생명정을 노거수에 이용할 경우 정확한 위치선정이 신근 유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도 본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의 비교

        진주현 여수수산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6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cockle shell, lipid components, nitrogenous compounds and minerals, its the raw, cooked east and cooked meat extracts were analyzed. Cooked meat(95℃, 15 sec 3Kg/2001 water) showed a slight lower content in moisture and total crude lipid them raw meat but those meat had more crude protein and ash them raw one. Non-polar lipid of the raw, cooked meat and its extract consist of 25.4%, 22.4%, and 48.7%, of total lipid, while polar lipid, 74.6%, 77.6,% and 51.3% respectively. Non-polar lipid was mainly was consist of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and polar lipid mainly was consisted of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The major fatty acids of total lipid and fractionated lipid were 20:5(n-3), 22:6(n-3), 16:0, and 18:0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and showed higher contents in polyenes such as 20:5(n-3), 22:6(n-3). In abundant free amino acids, in both meets were glutamic acid 129mg% in raw meat, 105mg% in cooked meat, 28mg% in cooked meet extracts,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lysine, leucine, and alanine in order. The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lysine, arginine and leucine, and the minor compon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proline, tyrosine, serine and cystine. Some of ATP, ADP, AMP, inosine and hypoxanthine were identified in raw and cooked meat, but IMP and inosine were not detected in cooked meat extracts. A slight drop in content of ATP was showed in cooked meat and those had a higher content in inosine and hypoxanthine compared with raw meat. TMA, TMAO and betaine were also checked in all meat products and TMA slightly increased during cooking. Minerals in cooked cocked shell products were phosphorous, potassium, calcium and zinc. The content of phosphorous, showed the highest value 16mg% in raw, 185mg% in cooked 25mg% in extracts among them. 여수지방에서 많이 생산될 뿐 아니라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조개의 식품학적인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새조개의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함질소엑스분, 지질성분 및 무기질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1. 자숙육의 수분이 생육보다 다소 적었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수분과는 반대로 생육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약간 감소하였고 glycogen은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염기질소량은 생육의 경우 1.8mg%로 적었으며 자숙시 3.7mg%로 약간 증가하였다. 2.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총지질조성은 각각 비극성지질이 25.4%, 22.4% 및 48.7%, 극성지질이 74.6%, 77.6% 및 51.3%로 대부분 극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비극성지질의 성분은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극성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 amino이 주성분이었다. 총지질과 비극성지질 및 극성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 조성은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가 20:5(n-3), 22:6(n-3), 16:0 및 18:0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고 20:5(n-3)와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polyene산 경우 20:5(n-3)이 증가하는 반면 22:6(n-3)은 감소하는 경향이고 포화산의 경우 16:0는 증가하나 18:0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숙액즙에는 20:5(n-3)과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생육이나 자숙육에 비해 낮았으나 16:0을 주체로 하는 포화산의 비율이 높았다. 3.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생육과 자숙육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iysine, leucine 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숙액즙에는 glutamic acid의 용출율이 가장 높아 21.7%였고 cystine의 용출율이 가장 낮아 7.3%였다.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 유리아미노산 조성중 필수아미노산은 iyaine, arginine 및 leuc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methionine, histidine 및 tryptophan의 함유율이 낮았다. 그리고 비필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및 alan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proline, tyrosine, serine 및 cystine의 함유율이 낮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생육과 자숙육 모두 ATP, ADP, AHP, inosine 및 hypoxanth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숙액즙에는 미량의 ATP, ADP, AhtP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다. 리산 관련물질은 자숙함에 따라 ATP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약간 증가하였다. TMA함량은 생육에 0.3mg%이었던 것이 자숙시 0.8mg%로서 다소 증가하였고 TMAO함량은 생육에 5.2mg%이었던 것이 자숙시 4.5mg%로 다소 감소하였다. betaine함량은 매우 적었다. 5. 무기성분 중 P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K, Ca 및 Zn의 순이었고 Fe, Zn의 함량은 다른 패류에 비해 높았다. 자숙액즙에는 P, Zn 및 Na의 용출율이 높아 각각 15%, 12.2% 및 11.9%였다.

      • 나도공단풀의 생육시기별 대사체 함량 분석 및 전립선비대증 개선 활성 연구

        박민규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In the previous study searching for bioactive candidates from medicinal plants to improv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t was found that the methanolic extract of Sida rhombifol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type 2 5-alpha reductase (5αR2) and androgen receptor (AR) in human prostate cell activated with testosterone propionate. S. rhombifolia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malvaceae family, is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Phytochemical investigations have revealed the presence of alkaloids, coumarins, flavonoids, ecdysteroids in S. rhombifolia. Also, anti-inflammatory, anti-arthritis, liver protection, vascular relaxation,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S. rhombifolia extract have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 rhombifolia at different growth stages, and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of secondary metabolites in S. rhombifolia and bioactivities in vitro. Growth characteristics of S. rhombifolia including plant height, stem diameter,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ves were investigated 6 times at 45, 60, 75, 90, 105, 120 days after transplantation (DAT). The contents of 20-Hydroxyecdysone (20HE) and α-Ecdysone (E), the major constituents contained in S. rhombifolia at each DAT were analyzed using LC-ESI-MS/M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S. rhombifolia at each DAT on the expressions of AR, 5αR2, PCNA and PSA, the biomarkers of BPH were evaluated in human originated prostate cells, RWPE-1 and LNCaP. Investig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 rhombifolia showed that the plant length and stem diameter increased rapidly until 52 DAT and then become gradual. The average dry yield of S. rhombifolia stems was found to be excellent 44.46%. LC-MS/MS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20E and E in both stems and leaves were high at 60 DAT, decreased thereafter, and increased again up to 90 DAT. The contents of 20HE and E were highest in flowers compared to those in stems and leaves. In RWPE-1 and LNCaP cells activated with testosterone propionate, the extract of S. rhombifolia stems, leaves and flowers showed the moderate suppressions on AR, 5αR2, PCNA and PSA, and the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growth stages. Interestingly, the expressions of AR and 5αR2 were remarkably suppressed by the extract of S. rhombifolia stems and leaves at 90 DA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collection time for S. rhombifolia as a active material to improve BPH is considered to be 90 DAT in consideration of 1) inhibitory activities on biomarkers of BPH, 2) the content of major constituents, 3) the yield of the raw materials.

      • 가로수 생육상태에 따른 토양환경 특성 분석

        문종서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가로수 식재 및 관리기준에 있어, 서울, 수도권 등의 연구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도시에서 만들어진 기준으로만 구분하고 이에 따른 자료만을 통하여 지방도시의 토양 환경 등 지역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식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가로수 4대 수종은 느티나무의 경우 총 435m에 걸쳐 조성되어 있었다. 그중 생육양호 구간은 길이 198m였으며, 반면 생육불량구간은 237m로 54.5%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은행나무의 경우 총 344m에 걸쳐 조성되어 있었으며 그중 생육양호 구간은 길이 129m, 불량 구간은 215m로 62.5%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왕벚나무 경우 총 500m에 걸쳐 조성되어 있었으며, 그 중 양호구간은 길이 232m, 생육불량구간은 268m였다. 이팝나무의 경우 총 150m에 걸쳐 조성되어 있었으며 그 중 생육 양호 구간은 길이 65m, 불량구간은 85m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수종별 수목피해도를 종합 산정해본 결과 생육 양호구간의 경우 느티나무는 생육피해도 4.0%로 정상등급에 속하였으며, 은행나무는 생육피해도 20.7%로 경의 피해도 등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왕벚나무는 생육피해도 10%로 정상등급에 속하였으며, 이팝나무의 경우 생육피해도 12%로 경의 피해도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불량구간의 경우 전 수종의 걸쳐 생육피해도가 50% 이상으로 생육피해도 심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 간 생육상태에 따른 생리특성 중 엽록소함량 차이를 비교해보면 양호구간 엽록소함량조사 결과 은행나무 > 이팝나무 > 왕벚나무 > 느티나무 순으로 엽록소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불량구간에서는 왕벚나무 > 느티나무 > 은행나무 > 이팝나무 순으로 엽록소함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수종별 생육차이에 따른 광합성률의 경우 느티나무에서 생육양호(1.1%) > 생육불량(0.65%), 은행나무에서 생육양호(1.23%) > 생육불량(0.79%), 왕벚나무에서 생육양호(1.17%) > 생육불량(0.75%), 이팝나무에서 생육양호(0.79%) > 생육불량(0.26%)으로 전 수종에 걸쳐 양호구간이 불량구간에 비하여 광합성률이 약 0.46%정도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종간 생육상태 차이에 따른 토양환경 분석결과 생육이 양호한 지역이 28.4℃, 불량한 지역은 30.6℃로 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생육이 양호한 지역보다 2.2℃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토양용적수분, pH, EC의 경우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치환성양이온은 조경설계기준에 따라 양호구간이 전 구간에 걸쳐 중급이상이었으며, 불량구간은 하급 또는 불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도로변 가로수의 생육상태에 따라 엽록소함량과 광합성률 등 생리반응 또한 다르며, 토양환경에서 생육에 불리한 조건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problem that street trees planting and management standard of provincial cities have followed the standard of big cities based on researches of Seoul and capital area, and a situation of planting street trees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 as soil environment, etc. of provincial cities based on the existing data. As the research target, among 4 species of street trees, Zelkova serrata were planted along with total 435m. Among them, 198m was growth favorable section, while 237m, 54.5% was growth unfavorable section. Ginkgo biloba was planted along with total 344m, among them, growth favorable section was 129m, while unfavorable section was 215m, 62.5%. Prunus yedoensis was planted along with total 500m, among them, growth favorable section was 232m, while growth unfavorable section was 268m. Chionanthus retusa was planted along with total 150m, among them, growth favorable section was 65m, while unfavorable section was 85m. As the result of synthesizing and calculating tree damage degree per tree species, growth favorable section appeared, in case of Zelkova serrata, was normal grade with growth damage degree, 4.0%, while Ginkgo biloba displayed growth damage degree, 20.7%, a slight damage degree. Prunus yedoensis displayed growth damage degree 10%, a normal grade, while Chionanthus retusa displayed growth damage degree 12%, a slight damage degree. On the contrary, in case of unfavorable section, growth damage degree appeared over 50% over the whole tree species, a serious growth damage grade. When comparing difference in chlorophyl content amo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along with growth state of tree species, chlorophyl content was measured higher in order of Ginkgo biloba > Chionanthus retusa > Prunus yedoensis > Zelkova serrata as the result of favorable section chlorophyl content investigation, while in unfavorable section, chlorophyl content appeared lower in order of Prunus yedoensis > Zelkova serrata > Ginkgo biloba > Chionanthus retusa. In case of photosynthetic rate according to growth difference of major tree species, growth favorableness(1.1%) > growth unfavorableness(0.65%) in Zelkova serrata, growth favorableness(1.23%) > growth unfavorableness(0.79%) in Ginkgo biloba, growth favorableness(1.17%) > growth unfavorableness(0.75%) in Prunus yedoensis, and growth favorableness(0.79%) > growth unfavorableness(0.26%) in Chionanthus retusa, accordingly, photosynthetic rate of favorable section appeared higher than unfavorable section by around 0.46% through the overall tree species. As the result of analyzing soil environment along with growth state difference per tree species, growth favorable region appeared 28.4℃, while unfavorable region appeared 30.6℃, accordingly, growth unfavorable region appeared higher by 2.2℃ compared to growth favorable region.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n soil capacity moisture, pH, and EC. Exchangeable cation appeared over the intermediate level through the overall section of favorable section, while unfavorable section appeared lower or faulty grade. In conclusion, physiological reaction such as chlorophyl content and photosynthetic rate, etc. appeared different along with growth state of street trees, and unfavorable growth condition existed in soil environment.

      • 참깨(sesame indicum L.) 생육형별 개화특성 및 유전분석

        오명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6

        참깨는 무한화서로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특성때문에 생육후기 상위부의 꼬투리가 등숙불량에 의해 수량감소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고품질 다수성 참깨 품종 육성의 큰 난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참깨 고등숙 양질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돌연변이로 유기한 유한생육형 dt-45의 유한생육형 유전자를 참깨 육종소재로 이용과 생육형간 개화 및 생육 특성을 검토하고자 생육형에 따라 식물체의 경장 및 건물중, 잉여생산 효율등을 검토함과 더불어 개화 순서 및 등숙특성을 식물체의 착삭위치에 따라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생육형간 이면교잡에 의한 잡종강세, 조합능력, 유전율에 대한 변이 및 생육형간 유연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1. 생육형별 경장의 변화는 유한생육형이 파종 49일경에 생장이 둔화되며 포물선 형태의 곡선을 보였고, 반유한생육형은 70일이후 완만한 곡선을 보였는데 무한생육형은 계속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생육형간에 차이가 있었다. 2. 전 식물체 건물중의 경시적 변화는 유한생육형과 반유한생육형은 파종 후 84일부터 감소한 경향이었는데 반해 무한 생육형은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ULAR, ULWR 및 LWR의 변동곡선은 초기생육은 유한생육형이, 중기 이후의 생육은 무한생육형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3. 일장처리에 의한 참깨 품종간 개화시는 차이가 없었으나, 개화기간 차이는 품종에 따라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13시간 일장에서 반유한생육형이 56일로 짧고, 무한생육형과 반유한생육형은 각각 70일과 69일로 길었다. 4. 무한생육형의 개화순서는 주화에 비해 측화는 4∼5절 하위에서 개화가 시작되었고, 반유한생육형은 2∼3절 하위에서 개화가 시작 되었다. 그러나 유한생육형은 최정단부에서 개화가 시작되어 하위로 내려가는 특성이 있었다. 5. 생육형별 생육기간 중 총 개화수는 무한생육형 125개에 비해 반유한생육형 및 유한생육형이 적었으나, 착삭 비율은 무한생육형의 70%에 비해 반유한 생육형 81%, 유한생육형은 73%로 높았다. 등숙특성은 무한생육형에서는 착삭부위간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 반유한생육형과 유한생육형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반유한생육형과 유한생육형이 무한생육형보다 등숙이 양호하였다. 6. 잡종강세의 발현은 경장, 주당삭수, 분지수, 등숙율, 천립중에서 컸으며, 개화기간은 대부분 교배조합에서 개화기간이 단축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 조합능력은 개화기간, 성숙기간 및 등숙율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특정조합 능력에서는 삭장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있었는데 천립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특정조합능력이 일반 조합능력보다 커서 비상가적 작용이 크게 나타났다. 7. F₂ 집단에서 개화기간은 단인자 또는 보족인자가 관여하는 쌍봉분포를 나타냈고, 경장은 정규분포에 가까운 연속변이를 보이는 양적형질이었다. 주당삭수는 연속변이 분포가 양친들 사이에 분포하고 있으나 양친에 비해 다삭방향으로 정점이 기울어진 분포를 보였다. 8. 유전율은 전체 조합의 대부분 형질에서 0.79∼1.0범위로 높은 광의의 유전율을 나타냈다. 개화기간은 무한생육형(안남깨)/유한생육형(dt-45)과 유한생육형(dt-45)/반유한생육형(익산22호) 조합에서 유전율이 높았으며, 주당삭수와 수량은 유한생육형(dt-45)/반유한생육형(익산22호) 조합을 제외하고 모든 조합에서 0.93∼0.98의 높은 유전율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learly the influence of growth stem genes on the genetic variations and the characters of growth habit and flowering process in sesame breeding program for high yielding and high ratio of matured grain. The F₁ population of 5□5 half-diallel cross among one semi-determinate and two indeterminate type of sesame cultivars were grown in the green house and in the upland crop experiment field of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2000∼2001. The data of 8 inherited characters were measured and used for genetic analysis. heterosis, combining ability and broad-sense heritability were compared among three of indeterminate type / determinate, indeterminate type / semi-determinate type and determinate type / semi-determinate type sesame combinations, also, F₂ populations of growth types crosses were compared each other.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Changes of whole plant weight and each organ's weight were similar to that of plant stem height, but those of semi-determinate and determinate type, Iksan#22, dt-45 and Suwon#131 decreased after 84 DAS. also Ahnnam and Yangbaek were prosperous at lately growth stage. 2. Differences of growth types in days to flowering initiation were not significant by daylength(11h, 13h and 16h photoperiods condition) however, differences of flowering periods by the daylength treatment were highly significant. 3. Flowering periods of semi-determinate type was 56 days but indeterminate type and determinate type were 70 days and 69 days, respectively in 13h daylength. Flowers process in indeterminate type and semi determinate type were appeared progressively toward the tip of the main stem but determinate type was the opposite of them. 4. Determinate type and semi-determinate type were smaller for the number of total flowers but total capsule setting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eterminate type. Ratio of maturity is different among growth types, determinate type and semi-determinate type didn't increase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lower part and upper part capsules but indeterminate type decreased in the upper part. Ratio of maturity of lower part main stem and center capsules appeared higher than that of upper part and side capsule. 5. The heterosis over higher parents in the most of F₁ hybrids were significant for plant height,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ratio of maturity and 1,000seeds weight in the diallel cross. The mean square of general combining ability(GCA) was significant for flowering periods days of planting to maturity date, and ratio of maturity but specific combining ability(SCA) for all characters except of capsule length was significant in the diallel cross. 6. In the analysis of variance of Wr-Vr, the mean square of array for all characters except of capsule length were significant, which suggest that varieties involved in the diallel set may have non-allelic interactions for above six characters 7. In the diallel cross analysis, flowering periods, ratio of maturity, and 1,000seeds weight were nearly complete dominant, however, plant height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were predominate by the additive effects. Yangbaeck and Iksan#22 in the plant height, Iksan#22 in the no of capsules per plant, and dt-45 in the number of branches appeared to have many dominant genes. 8. Tall height dominant in most F₁ and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F₂ individuals for plant height showed a quantitative trait based on its normal distributions. Larg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was dominant in most F₁, and most F₂ populations showed the showed continuous distributions peaked in the large number of capsules than the larger capsules parent. 9. Yiel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lowering periods, plant height and number of capsule per plant but the significancy of association between these trait was changed in each indeterminate type, semideterminate, and determinate type groups according to combi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