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麗時代 陶器生産施設과 生産品에 대한 硏究

        김여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about pottery representative the Koryo period with celadon started to research from the late 1990's through explosive excavation. Up to now, it was incomplete. Because, it has been discovered imperfectly in living sites and its' aesthetic point of view had been regarded as humbleness than celadon. The change phase follows the time had been not grasped definitely, too. Fortunately, archaeological base is more extensive and study about this period is going forward actively. So I expect to restoration of the Koryo social aspect through material cultures. This paper aimed at grasping the change phase by time through the Koryo period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 observation of a pottery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restoration of a manufacture method by a pottery trace-analysis. Up to now, Production-sites of pottery excavated in Koryo period are 24 units; Gyeonggi Province 10 units, Chungcheong Province 6 units, Gyeongsang Province one unit and jeonla Province 7 units. These sits have common conditions of a location for production. for example, exist of watercourses more than one unit and a facile location to get water, Such as the slope of a valley. To add to these, the change phase of a kiln is divided into 3 stage through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of kiln, management, surrounding facility and so on. The change elements are the most plainly seen in plane shape, firing chamber's bottom and drainage way. First, the plane shape is changed from narrow-rectangle to oval, and a out line divided combustion chamber, firing chamber, and flue is cleared. this phase is confirmed between stage1 and stage2. The firing chamberms bottom is divided into slope-type and stair-type. The majority take on slope-type, and they are shown all the period. The other side, stair- type appear stage 2 entry completely into the Koryo period. It is maintain to stage 3. lastly, the drainage way is divided into no facility 'has U'-shaped section and stone embankment facility. The former occupy majority, and It is confirmed stage1 only. A manufacture method is divided into shape formation and surface modification. shape formation method is subdivided into hand building, coil building, ring building and plate building. Among the surface modification, a beating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outside is almost cross stripes, inside's pattern are more variety. The beating pattern have a little difference by scale of production facility. Now, excavated articles of Gangjin Samheung kiln-site is assumed '所' have a herringbone pattern and Tang dynasty vine pattern band have been never discovered. Also, a glaze method different from excavated articles of the other sites. These differences of excavated articles' aspect by kiln scale have possibility duality of pottery production system such as celadon. While celadon have nationwide circulation network(distribution) in dualistic production system, pottery have itself-acceptance aspect. This is a consequence by production costs and conveyance costs. So far, elements are shown a distribution network of pottery are not variety unlike celadon. However, I expect to obtain excellent redult through open up a lot of methodology such as scientific analysis of celadon. 청자와 더불어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器皿인 도기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로 이는 폭발적인 발굴조사와 더불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동안 도기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데에는 우선 대부분 생활유적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출토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심미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청자에 비해 가치가 떨어진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또한 시기적인 변화양상이 뚜렷하게 파악되지 않는 점도 연구의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다행히도 고고학 연구의 저변이 넓어지면서 도기를 비롯한 이 시기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물질문화를 통한 고려시대의 사회상이 복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고려시대 생산시설들을 정리하여 시기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더불어 도기편에서 확인되는 잔흔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복원을 통해 당시 도기 생산체제의 일단면을 관찰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고려시대 도기 생산유적은 경기도 10개소, 충청도 6개소, 경상도 1개소, 전라도 7개소이다. 이 생산유적은 기물 생산의 효율성을 위해 공통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반경 1㎞ 내외에 1개 이상의 하천이 존재 할 뿐만 아니라, 구릉 계곡부 사면에 입지하기 제작과 관련된 물의 공급이 용이한 곳이 위치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입지양상 이외에도 가마의 구조, 운영양상, 주변 시설 등의 분석을 통해 가마의 변화양상을 총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가장 뚜렷하게 변화가 관찰되는 요소는 평면형태, 소성실 바닥의 형태, 배수로 등이다. 우선 평면형태는 세장방형에서 장축이 짧아지는 타원형으로 변화되며, 연소실, 소성실, 연도부를 구분짓는 외곽선이 뚜렷해 진다. 이러한 평면형태의 변화양상은 1단계~2단계 사이에 확인되며, 2단계~3단계 사이에서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최대폭이 넓어지는 양상을 띤다. 소성실 바닥의 양상은 사면형과 계단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부분은 사면형을 띠며 이는 전시기에 걸쳐 확인된다. 반면에 계단형은 고려시대로 완전하게 진입한 2단계부터 확인되기 시작하여, 3단계까지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배수로는 아무런 시설 없이 단면 ‘U'자상을 띠는 것과 석축시설을 한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가 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배수로는 주로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1단계의 가마에서만 확인되고, 그 이후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고려시대 도기는 청자와 기능적인 분화가 이루어지면서, 대형으로 제작되는데, 도기의 용도는 여러 문헌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제작방법은 크게 성형과 정면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성형기법에는 수날법, 권상법, 윤적법, 판적법이 있다. 정면기법 가운데 가장대표적인 것은 타날기법으로 외면은 격자문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내면은 외면에 비해 다양한 문양대가 확인된다. 이러한 타날문은 생산시설의 규모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현재 所로 추정되고 있는 강진 삼흥리요지 출토품에서는 다른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문양대인 어골문과 당초문대가 확인되었다. 또한 타날문의 문양 뿐 만 아니라 시유방법에 있어서도 다른 유적 출토품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가마 규모에 따른 출토품 양상의 차이는 도기의 생산체제가 청자와 마찬가지로 이원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청자가 이원적 생산체제 하에서 전국적인 유통망을 보이는 반면, 도기는 자체수요적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데 이는 생산비용과 운반비용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도기는 현재까지 청자와 같이 유통망을 확인할 수 있는 속성들이 다양하지 않다. 그러나 향후 도편의 과학적인 분석 등과 같은 여러 연구방법론을 개척하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조선소 생산시스템의 생산관리지표와 생산요소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조선 산업은 생산을 위한 요소들이 복잡하고 다양하다. 긴 생산 기간동안 고도의 생산 관리를 유지하기 위한 생산관리지표 또한 복잡하고 다양하며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조선소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생산에 기여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생산성을 나타낼 정량화된 생산 관리 지표들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생산을 예측할 수 있는 생산 요소와 생산 관리 지표 사이의 관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학문적 연구의 역사가 다른 분야에 비해 짧은 편인 조선 생산 분야는 다른 제조업 분야를 벤치마킹하고 적용하려는 노력을 해 왔는데, 물론 다른 분야의 성공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우리에게 맞게 적용하려는 노력은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조선 산업만의 특성 때문에 잘 맞지 않는 부분도 있어 그 적용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요구되는 조선소의 생산에 관한 법칙의 특성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객관적이며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생산 관리 지표가 정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모든 생산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생산 요소와 생산 관리 지표의 관계가 정의되어 지표의 향상을 위해 (혹은 목표 지표 달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내용을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조선산업에 적합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정량으로 측정가능한 생산 목표로서의 생산 관리 지표를 정의한다. 생산 관리 지표는 조선소 현장에서도 쓰이며 전사적인 목표 설정이 가능한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모든 생산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 체계로서 The 6-factor model을 정의한다. 이는 생산 관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초 록 ii 모든 입력 변수들을 완전하고 빠짐없이 관리할 수 있는 체계이다. 여기에는 제품, 공정, 설비, 사람, 공간, 스케줄(생산계획)의 여섯 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그리고, 생산 관리 지표와 생산 요소 사이의 관계를 구축하여 조선소 생산을 지배하는 조선소의 생산에 관한 법칙을 연구한다.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일반 제조업과는 다른 조선산업의 특성을 고려하고 조선산업에 있어서 생산 관리 지표와 생산 요소사이의 관계가 범함수적인 특성으로 나타남을 파악하여 조선소 생산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는 조선소 생산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조선소 생산 예측 모델을 적용한 예제들을 제시하고 생산 관리 지표와 생산 요소들 사이의 범함수적인 특성을 반영한 효과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에서 모델의 이해를 돕는다. 이를 위하여 조선소의 가공공장에서 절단부터 시작하여 곡판을 만드는 프로세스와 조립공장에서 panel line의 예제를 제시한다.

      • 韓國農業生産組織의 變化過程과 方向에 관한 硏究 : 地域農業의 組織化를 中心으로

        金良根 전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의 역사가 시작되면서 인간은 環境에 의해 지배되고 여건에 따라 이동하며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環境 속에 적응해 왔다. 차츰 무리를 지어 터를 잡고 그곳에 움막을 짓는가 하면 또한 주어진 環境을 개선하며 文明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오랜 세월이 지나는 가운데 인간의 두뇌는 놀랍게 향상되어 오늘날에 이르러선 놀라운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고, 또한 넘쳐나는 창작욕구를 충족시키며 역사는 수많은 文明의 자취를 남기게 되었던 것이다. 각 시대의 유적지와 오늘날의 都市를 構成하는 요소로써 建築은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建築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 가장 필요로 하는 조직적 공간구조물로써 建築이 가지는 풍부한 상징성은 藝術的으로도 큰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建築이 풍부한 상징성을 내포한 총체적 藝術로 나타날 때 우리는 「建築」이라는 단어의 개념 속에서 많은 造形的 의미를 읽을 수 있다. 구조적 요소나 형태, 재료, 공간 개념 등에서 많은 유사성을 느낄 수 있는 것도 그러한 이유중의 하나이다. 그중 형태는 우리 인간이 가진 감각의 반응 중 가장 초보적인 경험의 출발로 볼 수 있겠다. 눈으로 볼 수 잇는 형태의 입체성은 이미 하나의 造形的인 감각이다. 藝術이 역사나 개인의 감각적 경험에서 점차 진보됨에 따라 인간은 형태를 사상과 연관시키기 시작했다. 즉 형태를 정신으로 채우기 시작하여 마침내 인간은 사상을 특별한 형태로 구체화시키려고 시도하였을 뿐 아니라 불확실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징을 만들어 냈다. 즉, 현실 세계를 예술적인 형탱서 인식하려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측면은 역사적 경로를 밟아가면서 차차 분명해질 것이라 본다. 그러면서 彫刻藝術이 외형적인 면에서나 심미적인 면에서 建築과 어떠한 관계로 성립되어 왔는지, 그리고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transforming-process and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in Korea. The structure and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 Chapter 1. introducti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proposed, and precedent investigations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in Korea are introduced. Chapter 2. Theoretical Backgrou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transforming-proc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is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capitalism,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roductive relation. Chapter 3.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The structural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studied as a determinant o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The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concretely divided as the following index : 1)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agricultural labor power, 2)agricultural mechanization, and 3)the condition of farm land. And the forms of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from the year 1945 Liberation to now are classified, and the transforming-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are investigated. Chapter 4. Problems and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An organization of regional agriculture is proposed as a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

      • 중소 제조기업의 생산성 및 제조 물류 혁신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 T사 사례를 대상으로

        최원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중소 제조기업의 내·외적인 환경은 아직까지는 경쟁력이 취약한 구조이다. 기술력 및 노동 생산성은 일본 및 선진 강국보다 떨어지며, 인건비도 중국, 동남아 등의 신흥 산업국가보다 차이가 많이 난다. 중국도 이제는 인건비의 매력이 없으며, 기술력이 우리 기업을 추월할려고 하고 있고, 일부 분야는 이미 추월하여 우리를 경쟁 상대로 평가하지 않는다. 그나마 중소 제조기업 중에서 대기업의 1차 협력업체는 대기업에서 주기적인 평가와 지도를 통해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어가고 있지만, 2차 협력업체는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기업이 제조 경쟁력을 잃은 한국을 떠나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옮겨서 경쟁력을 만들어가고 있지만, 중소 제조기업도 생존차원에서 불가피하게 대기업이 진출한 동남아 등지로 따라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국내의 제조 산업기반은 대기업 및 대기업의 1차 협력업체는 생산 인프라를 점차 축소시키고 해외 공장에 투자를 집중하고 생산 혁신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경쟁력을 만들어 가는 구조이다. 그러나 2차 협력업체는 신규 투자 여력 및 거래 지속 불확실성으로 해외 생산기지로의 이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여건 하에서 중소 제조 기업인 T社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외부 환경 외에도 내부적으로도 다음의 다섯 가지 개선이 시급한 현안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이동통신 기지국시스템의 제품 특성상 제조기간이 길다는 문제도 있지만, T社 내부의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 제조 프로세스로 인하여 전체 생산 공정의 제조기간이 길어 적시에 고객의 납기 대응이 부족하였다. 둘째, 제품의 크기가 대형이며, 소품종 대량 생산 구조에서 제품에 맞지 않는 생산방식을 적용함으로 생산 능력 및 생산성이 낮아 원가 경쟁력이 취약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셋째, 생산 공정의 제조 물류 흐름이 복잡하고 이동 동선이 길어 물류 흐름의 낭비 요소가 많이 내재되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넷째, 열악한 인적 자원 구조 및 잦은 인력 교체로 높은 숙련 작업이 요구되는 대형 캐비닛 조립공정에서 CELL 생산 공정의 운영으로 평준화 생산이 되지 않고 생산 목표 달성도도 낮아 제조경쟁력이 취약하였다. 다섯째, T社는 중소 제조 기업으로 새로운 설비 투자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기술 혁신을 추진해야 함에도 투자 여력이 부족하여 현재 내부적으로 안고 있는 생산 문제점을 극복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T社가 안고 있는 기업의 현안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생산성 및 제조 물류 혁신활동을 매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소 제조 기업의 생산라인과 제조 물류 흐름을 변화시킨 결과 인당 생산성은 2배 향상되었으며, 제조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고객사 평가지표인 납품준수율을 대기업 수준으로 개선하여 제조 경쟁력을 강화함으로 고객의 T社에 대한 기업 신뢰도를 높여 지속적으로 거래 관계를 유지하도록 만든 것이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물류 흐름의 혁신이 가능했던 것은 T社 경영자가 세 가지 전략에 집중하여 개선팀원들을 리드하였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제조 혁신활동 과정에서 경영자가 먼저 나서서 문제를 찾아 개선하고 전 조직원이 참여하여 그 기업의 경쟁력을 만들어가는 기업 풍토를 만들었다. 사례연구에서 보듯 T社는 먼저 기업이 안고 있는 경쟁력 취약 요소를 찾아서 문제화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개선하도록 경영자원을 집중하여 전 조직이 참여하도록 경영자가 직접 선두에서 이끌었기에 가능하였다. 둘째,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개선활동에 대한 과감한 투자이다. 제조 현장이 가지고 있는 낭비요소, 불합리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 활동이 되어야하며,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설비 보완 및 신규 투자가 필수적이다. 개선의 아이디어나 방법은 있는데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선의 실질적인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선에는 많거나 적거나 투자는 뒤따른다. 작업자의 마인드만으로 제조현장을 바꾸기는 어렵다. 결국 개선 방안을 시스템화하고 프로세스화해서 기업 내부 체질화를 위해서는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경영자의 의사 결정사항이므로 반드시 현장의 개선안에 대해 경영자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제조 현장의 개선 아이디어를 적극 수용하여 T社의 투자 규모에 맞게 무동력 Roller 방식으로 흐름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최소의 투자비용으로 목표하는 바의 성과가 창출되도록 하였다. 셋째, 외부의 전문기관 또는 母기업의 체계적인 지원을 받고, 이를 통해 내부 인재를 육성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기업 스스로 자체 인력으로 자율적으로 지속적인 혁신 활동이 되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중소 제조 기업은 기업 스스로 생산의 변화 및 생산의 혁신을 만들기는 여건이나 환경이 어렵다. 조직이나 조직원들의 자원이 부족하고 조직화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전문가가 육성되어 있지 않아 중소기업 스스로의 혁신 활동을 끌어내더라도 만족할 만한 성과를 만들기가 어려우므로, 경영 컨설팅 등 외부의 전문 기관이나 母기업에 요청하여 전문 집단(또는 인력)으로부터 일정기간 집중적으로 지도를 받으며 개선 활동을 같이 진행하면서 내부 인적 자원을 육성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육성된 내부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 스스로 자율적인 경쟁력 혁신활동이 되도록 해야만 그 기업이 변화하고 체질을 개선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이다. T社의 사례에 보듯, 중소 제조 기업이 안고 있는 취약한 기업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제조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며, 대기업 및 정부에서도 중소 제조 기업이 생존하고 경쟁력을 갖추어 가도록 지원하고 육성하는 정책이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빠르게 시행되어야하며, 대기업은 특히 중소기업이 비즈니스 파트너이며 동반 성장해야할 관계임을 인식하고, 상생의 파트너십 전략을 구호에 그치지 말고 반드시 이루어야 할 것이다. 중소 제조 기업은 또한 대기업이나 정부의 정책에 너무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내부적으로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물류 흐름 동기화 개선을 통해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은 기업 간, 국가 간 무한 경쟁 시대이다. 국내의 대기업인 母기업 들은 경영자원의 Global Sourcing 전략으로 가는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가져온 흐름이므로, 중소 제조기업도 경쟁상대가 국내의 동종 중소기업이 아닌 경쟁력 있는 해외의 기업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 내에서 끊임없이 QCD의 향상을 위해 제조혁신 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QCD의 향상은 생산성 향상과 제조 물류 흐름의 동기화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중소 제조 기업은 이 부문에 항상 초점을 맞추어 공정내 취약한 공정은 계속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so far recognized that many small businesses in Korea are lacking of competitive powers due to i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For instance, they fall behind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Japan in terms of technology and labor productivity. For another instance, Korea lacks of its superiority to emerging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China and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in terms of labor productivity. Even more, with its labor prices getting higher, China is on the verge of gaining superiority to Korea in terms of technology, while some subdivisions of manufacturing industry has already overtaken Korean ones. Among those small businesses in Korea, it is secondary contractors than primary contractors of Korean conglomerates that are under greater attack. While its Korean conglomerates are immigrating to Southeastern countries looking for cheap labor, its weaker counterparts, small businesses tend to take part in the migration for their own survival. Under this trend, Korean conglomerates and their primary contractors are trying to increas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ir manufacturing infrastructure in Korea to gain momentum for their overseas investments, while undergoing production innovations simultaneously. However, the secondary contractors are not able to move to other nations due to uncertainty of maintaining their contracts and its deficiency in investment powers. Under this unwelcoming environment, T, a small manufacturing company, is facing five areas of problem that require imminent improvements internally and externally. First, it was unsuccessful in responding to delivery requirements, because of its inefficient and irrational manufacturing processes,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products it produced needed long manufacturing peri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base stations. Second, it was weak in productiv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s it was producing big-sized products while adopting manufacturing system that is not suitable for its products under mass production of limited items structure. Third, its operation system was inefficient. It is because the logistics system was complex and it required long movements, which generated wasting of time and resources. Forth, its production competitiveness was kept low, as it has operated CELL production processes for big-sized cabinet assembly processes due to its low-skill human resources and frequent worker replacements even though the big-sized cabinet assembly processes requires skilled work. Fifth, due to its limitation as a small business, the T failed in eradicating its internal production issues because it could not make more investments for productivity and technology innovations by investing more on new equip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the T has conducted production and logistics synchronization every year. As a result, it has transformed its production processes and logistics flow, which resulted in doubling productivity per capita. It also has reduced manufacturing period dramatically, improving delivery-observance-rate, which is an important evaluation index, up to the level of Korean conglomerates. This resulted in gaining more trust from its counterparts, resulting in maintaining its trade relationships. The T’s innovation in productivity and logistics flow was possible because the T’s executive members were focusing on the three areas below, while leading its workers to follow the decision. First, the T has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the executive members step up to find areas of improvements and all its members participate in making improvement on those areas, which resulted in increasing its competitiveness. As the case study shows, the T’s innovation was possible as the executive members directly led the innovation, by pointing out the issues and weak points the company was facing, and focusing all its business forces to deal with the issues. Second, the T has made decisive investments on efficient and continuous improvements. In order to reduce wasting of resources and to improve irrational system that the manufacturing site possesses, continuous innovation activities are necessary. To make the innovations work, equipment supplementation and new innovations are required. Innovation always entails investments, as no one can expect substantial outcome of innovation, when there is only ideas or methods of innovation not substantiated by investments. Workers alone cannot transform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with their own ideas because for such transformation investments must be made in advance to systemize and process innovative ideas. This is the area where the executive members have to step in to make decis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executive members create an accept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 where ideas for innovation from the worksite are act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s. The T has accepted the ideas from the worksite. It has adopted unpowered Roller system to its flow process, and succeeded in obtaining its goal at minimum cost. Third, the T was open to accept consulting from expert organizations and its mother company, the Korean conglomerates, thus developing its own internal human forces. As a result, the T was able to continue its innovations on its own with its own people from inside. In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it is difficult for small-sized manufacturing businesses to lead innovations in production on its own. This is because their human resources lack capabilities, their organization is not fully systemized, and they lack internal expert groups to arrive at satisfying outcome after their struggle for innov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for small-sized manufacturing businesses to actively ask for consulting sessions from external expert groups or their mother compan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internal human resources by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nd even leading the innovation activities together with them. Their continuous growth will be possible when the small businesses actively leverage on its internal human forces and lead spontaneous innovations with them. As the T’s case shows, the company has to make painstaking efforts to overcome its unwelcom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lso, the mother companies, Korean conglomerates, and the Government have to assist them and provide policies to support them substantially and systemically. More importantly, the Korean conglomerates must understand that they are i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the small businesses and let the coexistence partnership they campaign for actualize. The small-sized manufacturing businesses should not depend excessively on the policies from Government or conglomerates, while internally fortifying its productivity and logistics flow synchronization to increase competitiveness. The recent years have been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and countries. While the global sourcing of business resources has long been a trend, small-sized manufacturing businesses also have to understand that their competitive competitors does not only reside in Korea but are in overseas as well. In order to survive this situation and thrive, they must lead constant manufacturing innovations for QCD improvements. As QCD improvements are achieved by productivity increase and logistics synchronization, the small-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must target these areas and constantly search for rooms for changes.

      • 다품종소량생산기업의 스마트공장화가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3D프린팅 및 협동로봇 중심으로

        이용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제조 기업 중 다품종소량생산기업이 거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다품종소량생산기업들의 대부분이 중소규모의 기업이고, 자동화 생산체계가 미흡하며, 공정 표준화 수준도 낮은 편이고, 불량률도 높은 편이다. 또한 제품 수주에서 납기까지의 기간도 길고, 재고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기업들의 경우 JIT, 모듈러생산 등과 같은 생산방식을 기업의 환경에 맞게 보완 적용을 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다품종소량생산기업들의 경우 비용 등의 문제로 기존의 낡은 생산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품종소량생산기업의 생산라인의 공정을 분석하여 3D프린팅과 협동로봇을 도입하기 전과 도입 후의 효과를 수치화하고, 이러한 효과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를 직접 필드테스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필드테스트는 다품종소량생산기업에 대해 기존의 생산라인과 3D프린터 및 협동로봇을 일부 생산라인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실제 발생효과(인건비 절감, 불량률 감소, 생산량 증대등)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효과를 수치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등에게 생산 현장에 직접 도입해서 체질을 강화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하였다. 주요어: 다품종소량생산기업, 3D프린팅, 협동로봇, 스마트공장, 생산성 Almost 50% of manufacturers in South Korea are multi-product/low volume manufacturers. However, most of these manufacturers are small to medium sized companies an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automated production system, low processing standards, and high defect rates arise. In addition, lead times are long and inventory management efficiency is low. Companies have tri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applying supplementary production methods such as JIT and modular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mpany’s environment, but many multi-product/low volume manufacturers are unable to invest in automation due to high costs, so the problem of low production efficiency persists. This study analyzes the production process of a multi-product/low volume company before and after incorporating 3D printing and collaborative robot into an existing production line. The effects of whether these smart factory solutions will increase the company’s productivity (labor cost reduction, defect rate reduction, increase in quantity produced, etc.) is analyzed through a direct filed test. The effects are digitized and put into a database in order to introduce SMEs, who lack funds and manpower, smart factory solutions that can help them increase their productivity and improve financial structure. keyword: Multi-product/Low volume company, 3D Printing, Cooperative robot, Smart factory, Productivity

      • 생산자-조직가의 매개체로서 유튜브 플랫폼 : 지식순환 네트워크와 대안적 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변현지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는 인터넷에 개인 채널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누구나 영상을 만들고 유통할 수 있는 환경은 산업화된 영화 시장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영상을 향유하게 해준다. 이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상영되는 영상들은 영상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의 네트워크, 소비자들 사이의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새로운 관계를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유튜브 영상들이 형성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경로를 분석하여 직업·환경·성별 차별 없이 민주적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대안 공동체 형성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플랫폼은 어떻게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가? 둘째, 유튜브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유튜브 콘텐츠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전자의 질문은 가족, 친구 관계, 이웃 관계는 물론 그 외의 밀접한 관계까지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 새로운 대안 공동체 형성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으며, 후자의 질문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대안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나아가 대안 공동체가 외부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만드는 해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발터 벤야민과 심광현의 논의를 통해 유튜브 플랫폼이 생산자-조직가의 매개체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설정하였다. 그리고 유튜브 콘텐츠 제작 과정은 마이클 폴라니의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이 순환 하는 지식 순환 과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유튜브 플랫폼이 생산자 역할을 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다중스케일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유튜브 플랫폼이 생성하는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유튜브 플랫폼이 생산자에서 더 나아가 조직가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유튜브 채널 운영을 실제 대안 공동체에 적용한 프로젝트를 직접 시행하였다. 대안 공동체인 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유튜브의 문학적/지적인 생산수단의 사회화 촉진 가능성을 포착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제안해 보았다. 유튜브 플랫폼은 다양한 사람들이 언제든지 자유롭게 자신의 활동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 같다. 하지만 유튜브 플랫폼은 플랫폼 위에 사용자의 활동을 데이터로 만들어 우리의 일상을 자본에 스며들게 만든다. 플랫폼 자본주의에 맞서 유튜브 플랫폼을 새롭게 활용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유튜브 콘텐츠의 잠재력에 주목하여 유튜브를 통한 대안 공동체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YouTube as an online video-sharing platform provides services that enable users to upload and distribute videos on the internet by creating their own channel. These services create a new media environment that allows users to enjoy new videos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industrialized film market. Through distributing videos on the internet the YouTube creates new social relationships across the world by building social network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among consumers who often keep continuous network.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types of networking path created by the YouTube services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 alternative community that hasa feature of democratic society where community members are not discriminated by occupation,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and gender. Accordingly, the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1) how does YouTube platform build new social networks? (2) what meanings does YouTube content on YouTube platform have?The first questio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new type of alternative community while understanding the feature of modern society where social relationships among families, friends, and neighbors are getting weaker. The second question examined social interactions built through the YouTube contents among the members of an alternative community and to suggest a solution for the alternative community to have active interactions with other communities as well. Considering the opinions of Walter Benjamin and Kwang-Hyeon Shim, the study firstly set out that the YouTube platform plays a function as a “media of Producer-Organizer”.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YouTube platform plays a role of producer a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YouTube contents involves the circulation process of knowledge which was explained by Michael Polanyi’s notion of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Also, the study used the Bruno Latour’s Actor-Network Theory(ANT), Multi-scale network to analyze the network created by the YouTube platform, and found that the YouTube platform plays beyond the role of producer, but also the role of organizer. To further clarify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 study carried out a project with an alternative community to create and manage a YouTube channel. The project target group was focused on the alternative community, Knowledge Circulation Cooperative Alternative College. Through the project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the socialization of YouTube’s literary and intellectual means of production and suggested specific cases regarding the socialization. The YouTube platform provides the environment where various people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 and share activities.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way of using user statistics by the YouTube under the platform capitalism. In other words, we need to make a new use of the YouTube platform while challenging the issue of the platform capitalism.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tential power of the YouTube contents and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he alternative community through the YouTube platform.

      • 建設生産性 向上을 위한 下都給發注體系 改善에 關한 硏究

        정승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업에는 단품수주생산, 생산장소와 생산조직의 일회성, 다양한 조직들의 생산참여 같은 다른 제조업과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건설업의 이러한 특성은 생산에 참여하는 조직들간의 의사소통과 정보공유를 힘들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그 결과 건설생산과정에서는 조직간 마찰, 공기 지연, 재작업 등의 문제가 다른 제조업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건설시공성능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으로서, 지금까지 건설업계에서는 이의 해결을 위해 파트너링, 하도급 계열화, 건설계약관리 등의 생산참여 조직들간의 관계개선 및 책임의 규정을 통한 생산성 향상의 노력이 계속되어져 왔으나 그 성과는 그리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현재의 건설업 하도급생산체계는 공종에 따라 분류되어지고 있다. 이는 건설업의 전문분야별 시공에 의한 시공기술의 축적, 기능의 향상, 공사비 절감, 장비 및 가설재의 효용성 증대 등의 효과에 목적을 둔 것이다. 그러나 현 하도급 생산체계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저하된 시공성능을 증가시키기에는 적합하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시공과정에서의 마찰을 더욱 조장하는 면을 지닌다. 그런 탓에 현재까지 시도되어온 '생산조직간의 관계 및 의사소통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증진의 노력은, 그 노력들이 현 생산체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성과 면에서의 한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본 논문은 현 공종별 하도급체계의 문제점 해결을 통한 건설업의 생산성 증진을 목표로 하여 공종별 하도급체계에 의해 생산참여조직들 간에 발생되는 마찰요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을 위한 하도급 발주체계 개선방안으로 '건설하도급 다공종 통합발주체계'를 제안한다. '건설하도급 다공종 통합발주체계'은 건축물 중 공종간의 간섭 및 마찰이 심한 부위에 투입되는 전 공종 혹은 대부분의 공종을 한 업체에 일임하여, 기존 하도급 방식에서 업체들 간에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마찰, 분쟁의 해결을 통해 시공성능과 생산성 개선을 꾀하는 제도이다. 이 발주체계 하에서 해당부위를 책임도급받는 하도급인들은 공종들 간의 마찰을 스스로 조율하여 결과적으로 건설업의 시공성능과 생산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새로운 발주체계를 현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보완과 선행조치가 필요하다. 발주가능부위의 규정, 발주체계의 적용방안, 새로운 발주체계의 시공성능증진효과 측정 등 지속적인 추후연구가 요구되어지는 이유이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some distinct features in procurement, for example, a unique generic process, diverse subcontractors and disciplines, a temporary organization. These features impact as disadvantage on communicating among the participants. Though many researches such as contract management, partnering, subcontract systemization have been carried out to reduce this disadvantage, they haven't been so disadvantage, they haven't been so effective because those were tried in traditional subcontract system. The current construction subcontract system is fragmented according to the work process. It is helpfu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quipment and temporary materials as well as convenient to accumulate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skill. However, this traditional system has critical problem in achieving effective teamworking with the lack of communication among subcontracto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friction among subcontractors caused by the production system based on work process. And it finally suggests new subcontract system formed by structural or spatial elements, whose subcontractors are responsible for several work items. It is profitable for subcontractor to settle the trouble among work items by themselves and to improv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