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콘의 기하학적 구조와 상징에 관한 연구 : 성탄, 거룩한 변모, 삼위일체 작품을 중심으로

        연주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ligious symbols of Christ's icons or Holy Birth, Holy Transfiguration and Trinity and thereby, examine the symbolic meanings of their themes in terms of their interactions with the geometric structure. For <Holy Birth>, the grids and the structure of the circle were examined. As the various episodes in the Holy Birth icon are depicted simultaneously, the grids may well be accidental structure dividing the screen. However, the simultaneous description of the Holy Birth means the coincidence with no space-time limit and the continuation of God's incidents, and therefore, the grids are deemed related with the union, meaning the unity. Moreover, when the elements deployed within the circle and the square in <Holy Birth> are related with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icons, the expression of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most apparent. Then, the researcher reviewed <The Holy Transfiguration> centering around Theophane Greg's works and focusing on the symbolic meanings of mandorla and the geometric symbols of grid, circle and rectangle. The mandorla that is used for Christ also indicates the holy space surrounding Him or the Sun symbolized by the circle. Within the mandorla, two rectangles or the geometric figure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can be found. On the other hand, <the Trinity> is divided into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ones. For the Old Testament Trinity, the expressions of the dogmas and their causes are analyzed centering around Andrei Rublyov's 'Trinity' applying the circular structure. The Old Testament Trinity like Rublyov's one is based on the Bible to focus on the doctrines of the Trinity, omitting the symbols intentionally, while rendering unity, stability and identity. In addition, in relation with the Perfectness of the circle or the God Himself, the circular structure is used as a symbolic structure befitting the concept of the Trinity. The Trinity of the New Testament was reviewed centering around the geometric expressions and shapes of the stars shown in the halo. The stars can well be found mainly in the halo of God the Father or depiction of the Holy Spiri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s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rikes of the stars. In conclusion, the visible symbols or the invisible geometric diagram structure are associated with the themes of the picture, while the symbols and the geometric figures or structures are communicative symbols rater than an aesthetic decoration or a visual mechanism, being related with the symbols connoted in each theme 본 연구는 성탄, 거룩한 변모, 삼위일체의 그리스도 이콘을 통해 이콘규범에 따른 종교적 상징을 살피고 주제의 상징적 의미를 기하학적 구조와 통상적으로 어떠한 상호작용이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성탄>에서는 격자무늬와 원의 구조를 확인 해보았다. 격자무늬는 성탄 이콘에서 여러 사건을 동시적으로 묘사했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화면을 분할했을 때 나올 수밖에 없는, 우연한 구조로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성탄의 동시적 묘사는 시공간의 제약 없는 일치와 하느님의 사건들이 교회에서 언제나 지속됨을 의미하며, 격자무늬는 통일성의 뜻을 가지고 또 결합과 연관 있다는 데에서 상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성탄>에서 볼 수 있었던 원과 사각 안의 배치된 요소와 도형의 상징의미를 관련하였을 때 <성탄>에서 천상과 지상의 세계의 표현을 기하학적 상징과 결부함으로써 공고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거룩한 변모>는 테오판 그렉의 작업을 중심으로 만돌라의 상징의미와 앞서 <성탄>에서도 살펴보았던 격자, 원형, 사각형의 기하학적 상징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았다. 그리스도에게만 사용되는 전신 후광인 만돌라는 그리스도를 둘러싼 신성한 공간과 원이 상징하는 태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만돌라 안에서는 두 개의 사각형이나 기하학적 도형과 그 상징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삼위일체>에서는 구약의 삼위일체와 신약의 삼위일체로 분류하여, 구약의 삼위일체에서는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원형구도를 적용한 삼위일체의 교리 표현과 연유를 분석 하였다. 루블료프의 <삼위일체>와 같은 구약의 삼위일체는 기본적으로는 성경을 원전으로 하여 의도적 상징 생략으로 삼위일체의 교리에 집중하고 원형의 구도로 일체감과 안정감, 특히 동일성을 부여한다. 또한 원이 완전함 혹은 신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는 점과 연관하여 원형 구조는 삼위일체의 개념에 잘 맞는 상징적 구도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약의 삼위일체는 후광에 나타난 기하학적 별의 표현과 모양에 따른 상징의미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별 모양은 주로 성부의 후광이나 성령과 함께 묘사된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별의 획수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님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가시적인 상징이나 혹은 비가시적인 기하학적 도형 구조는 그림의 주제와 연계되며, 이콘에 표현된 상징이나 기하학적 도형 및 구조가 미적 장식이나 시각적 장치가 아닌 의사소통적인 상징 기호임을 확인하고, 각 주제와 내포한 상징들과 결부됨을 알 수 있었다.

      • 상징화 주기를 통한 아동의 과학적 개념 형성 과정

        장정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상징화 주기를 통하여 아동이 과학적 개념을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징화 주기가 과연 아동의 과학적 개념 형성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고찰해 보고 교사들이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동 및 교사들에게 교육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D광역시 소재의 우주초등학교(가명) 6학년 1개 학급 33명(남18명, 여15명)을 대상으로 2009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수행하였다. 상징화 주기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접, 포트폴리오, 활동 결과물, 사진, 일기, 교사일지 등을 통하여 아동의 과학적 개념 형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화 주기를 통하여 아동의 과학적 개념이 구축되었다. 상징화 주기를 통해 아동은 교사 및 또래집단과 상호 조정적 협력을 함으로써 과학에 대한 오개념을 능동적으로 수정하였으며 다양한 표상활동을 경험하면서 각기 다른 수준과 방법으로 과학적 개념을 점차적으로 심화 및 확대시켜 나갔다. 또한 반복되고 심화되는 표상활동을 통해 과학적 개념을 자기 것으로 소화하는 내면화 과정이 이루어졌다. 둘째, 상징화 주기를 통하여 아동에게 과학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함양되었다. 상징화 주기를 통해 아동은 다상징적 매체를 활용한 조작적 체험활동을 경험함으로써 과학학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잠재적 발달 수준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성취감을 맛봄으로써 과학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 또한 상징화 주기에 능동적으로 임하고 확산적인 사고 활동을 함으로써 과학적 개념을 실생활에 접목하는 실천의지력이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상징화 주기를 통하여 아동은 과학적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상징화 주기는 아동의 과학학습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

      • 象徵的 形象으로 본 아가페(Agape)안에서 自我循環 : 본인 作品을 中心으로

        오현철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회화는 외부현실(外部現實)에 대한 예술가의 내적반응(內的反應)과 내면세계(內面世界)를 상징화(象徵畵)된 조형언어(造形言語)로 가시화(可視化)하는 것이다. 1960년대 이후개인의 관념적(觀念的) 사고(思考)와 주관적(主觀的) 논리(論理)에 그 본질(本質)을 두고 있는 모더니즘(Modernisem)의 후위(後衛)에 새로운 성향(性向)의 예술이 대두되었다. 이는 인간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느끼게 되는 현실을 작가의 내적감성(內的感性)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표출해 내는데, 형식적(形式的) 감각(感覺)이나 감정에 호소하거나 유희적(遊戱的) 순수추구보다는 내용을 지닌 예술로 그 특색을 갖는다. 상징의 표현기호(表現記號)로써 형상(形象)들은 구체적인 외양(外樣)과 함께 복합적(複合的)인 상징성을 띄는데, 당면한 삶을 예술에 반영(反映)하는 거울과 같은 의미의 통로로 그 형상성(形象性)은 깊은 의미와 공감대(共感帶)를 형성한다. 또한 의미 적절한 형상과 독립된 색채의 상징적 의미작용(意味作用)으로 그 형상화 과정과 내용의 전달에 폭넓은 확산을 경험한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지금까지의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사회 속에서 인간이 살아가면서 자아(自我)의 본질(本質)을 탐구하는 과정을 묘사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상징화된 자아(自我)는 현대사회 속에서 절대자(絶對者)를 의지하면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자아(自我)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들에 삶의 모습을 추상적 상징표현으로 묘사하고 있다. 상징주의(象徵主義)는 보이는 것에서 머무르지 않고 형이상학(形而上學)적인 면으로 접근하는 방법인데 돔(Dome)이나 인체, 기하학적(幾何學的) 형상들의 상징을 통해 본 논고를 이끌어 가고자 한다. 그림의 주제는 ‘절대적 사랑(Agape) 안에서 본인이 성장하는 과정’을 묘사했는데, I부에서는(1996-1999년까지의 작품) ’절대자(絶對者)의 아가페(Agape) 안에서 자아(自我)의 성장‘이란 주제로, II부에서는 여성이라는 인체를 절대적(絶對的) 모성(母性)으로 상징화함으로써 (1999-지금까지의 작품) ’현대 산업사회의 여성 안에서 자아순환(自我循環)‘이란 주제로 작품을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징적 기호로서 형상적 조형 요소들이 작품에 등장한 배경과 작품에 나타난 내용과 형식의 특성(特性)과 융합에 대해 고찰하고, 자아본질에 존재하는 인간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사회 순기능(順機能)으로써 예술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A painting is a symbolical formative art to express an artist's internal world and internal response from external world. There was a big change for Modernism which was based on individual idealism and individual subjectivism after 1960. It has particular contents to appeal artist's internal world and response from external world instead of describing art by pursuing pleasure with formal sense and formal feeling. A symbol is complex concepts with concrete appearances as an expressional sign of symbol. The processing of shape and notifying the concept of shape has a great experience of wide spread as a reaction meaning of symbol and as art existent meaning of independent color. I have performed this theory to describe the research process of modems' self-awareness by my art performance from 1996 until now. I have performed this theory to describe modems' life as an abstract symbol of art. The symbol of self in this theory indicates moderns' who rely themselves on God. This theory was performed as a symbolism not only visible site of art's view but also invisible site of art's view which was approached by dome, human body and the symbol of geometrical shapes. The first part of art performance has described as a "self-developing process in Agape from 1996 to 1999. The second part of art performance has described as a "self- circulation of the modern woman in the industrial society" by describing woman's body as an Agape love in God from 1999 until present. Finally, this performance has developed to research the form of formative art based on the harmony of performance circumstance, contents and formal characteristic, thus, I have tried to approach the possibility of social pure-functional art by the human consciousness through this art performance.

      • 한·중·일 도시상징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연구 : 중국 난징시 캐릭터디자인을 중심으로

        양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산업혁명 이후에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사회도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서 동시에 도시인들의 삶도 치열하게 되었다. 교통수단과 통신수단의 발전으로 사람들은 쉽게 소통할 수 있게 되었고 그로 인해 도시간의 차별화를 위해서 경쟁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는 수단으로 많은 도시에서는 “도시 아이덴티티 강화”라는 개념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했다. 도시의 브랜드를 발전시키고자 도시의 심볼이나 슬로건 그리고 캐릭터를 개발하고 그것을 통해 효율적으로 홍보하고 발전시키고자 했다. 그리하여 도시의 아이덴티티는 단순히 도시만의 홍보수단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브랜드이미지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도시상징의 개념은 도시 아이덴티티를 대표할 수 있는 문화아이콘이다. 도시의 고정적이고 특별한 가치기호로 존재하면서 한 도시 이미지의 상징적 대표성을 띠고 있다. 도시상징 캐릭터는 도시 상징체계의 한 부분으로 많은 도시들이 자기 도시의 상징캐릭터를 개발하였다. 특히 아시아권에 있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많은 지역에서는 이미 도시 상징캐릭터가 자리를 잡고 있다. 본 연구에는 도시 아이덴티티 구축에서 도시 상징물디자인 중 캐릭터디자인에 관련된 이론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슷한 문화배경을 지닌 아시아권에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의 역사문화도시의 도시상징캐릭터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도시상징 캐릭터디자인 개발에서 주의해야 할 점과 좋은 경험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한다. 분석한 내용들을 참고해 중국 난징시(南京市)의 대표 문화라고 할 수 있는 원소 벽사(辟邪)을 선택하여 난징시의 도시상징 캐릭터를 디자인했다. 도시상징 캐릭터를 활용하여 다 매체에 적용된 상품 개발도 같이 하고자 했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확한 사용 매뉴얼도 같이 제작을 했다. 작품을 통해 난징시의 도시 아이덴티티 추세에 맞춰, 더 효과적이고 더욱 지속적 가능성 있는 도시이미지를 창출하려고 한다. After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the society has been growing rapidly also, people are becoming more competitive with the improvement in standard of living, and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ools and communication tools, it is also much easier for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which case, cities are competitive to show their differences, which shows this is that most cities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improve compatibility with a concept of “reinforcement of city identity”, for example, they developed symbols, slogans and character for the city to develop city brand, in this way, the cities are highly promoted. Therefore, the image of city is not only limited to a way to promote the city, but it also has influences on national brand image. The city emblem is a cultural icon that represents city identity. It exists as an innate and special value sign of city and it can be the emblematic representative of the city identity. Urban emblematic character is a part of city symbol system, many cities has created their emblematic character. Especially in Asia, city emblematic character existed already in many places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analyses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design among urban emblematic icon design on the basis of city identity design, and it examined cases of urban emblematic character of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which have similar cultural backgr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These case studies and researches show the part that needs to be taken care and give valuable experience in building urban emblematic character design. The urban emblematic character of Nanjing was designed by choosing Kylin which represents culture of Nanjing, China. Product that is applied to other media using urban emblematic character is produced. In order to make it efficient enough for user, a manual for the Nanjing city character is also provided. By combining the city identity of Nanjing from the work, a more efficient and more sustainable city image is being created.

      • 상징과 모티브를 통한 내적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영랑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인간의 내면을 상징적 모티브를 이용해 표현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내면의 혼란과 우울을 야기하는 외부적 요인들을 피해 숨어버린 소외된 자아를 표현하고 있다. 본인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중심 주제는 자아의 외로움과 우울이다. 본 연구자는 내면의 혼란과 우울, 소외와 같은 비형상적인 모티브를 작품 안에 나타내기 위해 상징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내면세계는 감각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가시화하기 위해 상징물을 이용하였는데, 상징이 부여되는 과정에 있어서 오랜 세월동안 역할 특성과 성격, 역사를 통해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그렇다고 인식이 되는 것이 기본이 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새롭게 상징을 구성하였다. 내면의 혼란을 야기하는 외부적 요인을 의자로, 자아를 대신하는 대리물을 인형으로, 자아를 아이로 상징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상징물의 위치에 따라 자아의식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도록 작업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은 다양한 곳에서 목소리를 내며, 삶과 인간의 본질을 끊임없이 탐구하고, 수면 위로 올려내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탐구과정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상징물을 통해 나타내어 갈등하는 자아의 해소를 기대하고 있다. ※주제어: 자아, 의자, 인형, 어린아이, 상징 Abstract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Inner Consciousness through the Symbol and Motifs Kim, Young Rang Art department Mok-w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k of researcher expressing the inner side of human by using symbolic motif. My work expresses an alienated self that has hidden away from external factors causing internal confusion and depression. The most important central theme in this study is the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the self and it uses the symbolic method to express the non-geometric motif like internal confusion, depression and alienation in the work. Because the inner world is not visually visible, it uses symbols to visualize that. And in the process of being given a symbol, it based on what people perceive naturally through role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history for many years. Then, using these basic features, new symbols are constructed with images that are objectively and universally recognized. The external factor that cause internal confusion is the chair, Surrogate that substitutes me is the doll and the symbol that symbolizes me is the child, using these symbols, the story of the work begi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ymbols that make up the work, it informs see where self-consciousness is. The researcher thinks art is voicing in various places, exploring the essence of life and humanity constantly, and putting i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is study, the process of sublimating the process of invisible unconscious inquiry into works of art is represented through a symbol, to resolve the conflict self is expected with this. Key words: self, chair, doll, child, symbol

      • 옥외광고물에서 나타난 지역적 상징성 및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시환경을 중심으로

        이경아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환경에 있어서 옥외광고물은 단순히 외부공간에서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어떤 현상과의 만남을 넘어서서 도시의 환경 속에서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생활의 편리함과 환경의 질을 높이며 그 지역의 이미지 형성요소 즉 상징적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옥외광고의 현상을 서울특별시의 6개 구 중에서 11개 지역을 선정하여 각 지역의 경제적·문화적 상황이 옥외광고물을 통하여 어떠한 상징성으로 표현되며, 상징의 유형으로 나타나는 광고물의 구조적 계통분류를 통하여 도시환경에 있어서 옥외광고물의 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지역적 상징성이란 옥외광고물의 설치경향, 표현상의 특징, 소재의 사용 등을 기준으로 정하되 그것이 지역의 용도나 그 어떠한 용도에 따른 개념에 대하여 그것을 상기시키거나 연상시키는 구체적 또는 감각적인 사물로 바꾸어 나타내는 것을 지칭한다. 첫번째 연구는 광고물의 구조적 계통분류를 실시하였다. 두번째 연구에서 이루어질 상징성의 연구에 앞서 광고물의 유형과 종류의 분류를 실시함으로서 지역적 상징성을 나타내는 광고물의 유형과 종류의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상징 빈도가 높고 광고물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 지역의 광고물은 간접조명 방식의 조명법의 비중이 높았고, 직사각형의 BOX 형태보다 입체형이라든가 조각글자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상징 빈도가 낮고 광고물의 수준이 낮게 나타난 지역의 광고물은 내부조명법과 사각 BOX 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상징성을 나타내는 광고물의 유형은 건물과 연관되어 표현되는 광고물로서 종간판, 횡간판, 스탠드형 간판 등이었으며 옥상광고 등과 같은 대형광고물은 제외되었다. 두번째 연구는 상징성의 문제로서 도시는 지역적·문화적 특색 즉 지역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서울은 복합도시로서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다양성은 도시 환경의 요소인 옥외광고물의 형태를 빌어 나타난다는 가설을 설정한 후, 그 지역의 문화, 상·공업상의 특징이 타지역에 비해 뚜렷하다고 판단되는 11개 지역(인사동, 대학로, 청담동, 로데오 거리, 무교동, 충무로, 동대문시장, 용산전자상가, 이태원, 구로공단, 뉴욕제과 뒤편)을 선정하여, 상징성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되는 샘플을 채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단 선정 지역 중에서도 샘플의 채취는 도로 폭 10∼12m의 기준을 만족하는 거리로 제한하였다. 그것은 도로 폭이 12m를 초과하는 대로에서는 상호간의 왕래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중심 간선도로이기 때문에 광고물의 독특한 상징성의 반영이 미약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반면 도로 폭이 좁은 골목의 경우 또한 상징성이라고 하기에는 미약한 광고물의 비중이 높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설문조사의 결과 11개 지역 모두에서 상징성은 존재하였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어서 청담동, 인사동과 같은 지역의 상징비율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동대문시장과 같은 그 비율이 51%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옥외광고물의 도시 환경적 요소의 측면에서 파악할 때 광고물은 접근성, 견고성, 호환성, 안락성, 그리고 지역적 상징성을 포함한 개념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문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몇몇 지역에서는 상징성의 문제가 올바르게 표현되지 못한 지역이 있다. 예를 들어 이태원의 경우 외국어의 무분별한 표기의 양상이 오히려 상징성으로 나타난 점이라든지, 무교동이나 충무로 같은 지역은 광고물의 관리 소홀의 현 상태가 상징성을 높인 측면은 상징성의 표현이라는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즉 도시의 이미지라고 표현될 수 있는 상징성은 광고물을 통하여 나타나야 하지만 그 표현은 도시의 환경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즐거움과 정보전달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표현이 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광고물 관리법의 재정비, 광고물과 건축물과의 조화, 색상의 아름다운 표현, 표현내용의 적합성, 광고물의 관리 문제, 광고주의 의식개선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billboard is more than an encounter between human beings and a phenomenon surrounding the human beings in an outdoor space. The billboard enhances th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by generating an information system. Moreover, the billboard contributes to the urban image, that is, symbolism of the area. In order to discover in what symbolism the economy and culture of urban areas are manifested on the billboards, eleven areas were elected of Seoul City. In addition, the structural and systematical classification was made on the billboard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they create in the urban environment. In this thesis, the symbolism of each area was categorized by the standards such as the tendency of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in expression, and selection of materials. The symbolism also referred to the transformation from the usage or the concept of the usage of an area into the expression with concrete or palpable objects that remind of the usage or the concept of the usage of the area. In the first study, the structural and systematical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on the billboards. The emphasis was put on their types and kinds that express the symbolism of the area. The result was the preponderance of certain types and kinds. The billboards of the areas which had stronger existence of symbolism and more sophistication of billboards production showed higher dependency on the indirect illumination and also on the three-dimensional or cared-letters rather than plain rectangular boards. In contrast, the billboards of the areas which had weaker existence of symbolism and less sophistication of billboard production showed higher dependency on direct illumination and plain rectangular boards. In the latter areas, overall types of billboards were vertical, horizontal, or standing, which give extended image of the building, while large-scaled billboards were excluded. The second study was centered on the issue of symbolism, First,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each urban area has its own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eoul as a metropolis has a great diversity which is expressed in the billboard, one of the constituting factors of the urban environment. Then eleven areas (Inca-dong, Daehak-ro, Changdam-dang, Rodeo road, Mookyo-dong, Chungmoo-ro, Dongdaemoon Market, Yangsan Electronics Market, Itaewon, Kuro-dong, New York Bakery area) were selected within Seoul, which have distinct features in terms of 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In each area, sample billboa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y reflected those distinctiveness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survey. The extraction of samples were made from the roads of 10 to 12-meter width. On the roads exceeding 12 meters, the communication was not made smoothly and the unique symbolism of the area was no reflected sufficiently. On the other hand, on the roads narrower than 10 meters, the duality of the billboards were not high enough to express the regional symbolism en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displayed that all of the eleven sampled areas had symbolism. Ye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symbolism. In Chongdam-dong and Insa-dong, the rate was much higher, which in Dondaemoon Market, it stayed lower at 51 percent.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when the billboards are viewed as a constituting factor of the urban environment,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embracing from accessibility, sturdiness, compatibility, comfortableness, to regional symbolism. However, as was revealed in the survey, in some areas, the regional symbolism was not expressed properly. To take an example of Itaewon, there was indiscreet uses of foreign languages. In Mookyo-dong and Chungmoo-ro, the poor management of the billboards ironically composed the regional symbolism. The symbolism of a city representing the urban image is expressed through the billboards. Therefore, the expressions should not undermine the environment, and furthermore, provide the citizens with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To this end, there should be revision of the regulations to manage the billboards, harmony between the billboards and the buildings, refined color selection appropriate use of materials, good management, and the sponso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billboards.

      • 위-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의 상징론(Symbology)

        박성용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엘리아데(Mircea Eliade)의 성현(hierophany)과 상징의 개념을 빌어서, 위-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의 상징론(Symbology)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Ⅰ장에서는 종교적 상징의 의미·구조·특성은 무엇이며, 어떤 맥락에서 엘리아데의 성현과 상징 개념이 위-디오니시우스의 상징론 체계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개괄하였다. Ⅱ장에서는 위-디오니시우스의 상징론을 분석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서, 인물의 진위(眞僞) 문제·위-디오니시우스의 저작·사상적 배경·사상사적 의의 순으로 위-디오니시우스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위-디오니시우스의 상징론의 구조를 분석했다. 첫째, 디오니시우스 문집(Corpus Dionysiacum)의 궁극적인 주제는 ‘신 인식’의 문제로서 이에는 ‘긍정의 길’과 ‘부정의 길’이 공존하며, 이 두 길은 모두 구체적으로 상징들을 매개로 접근 가능한 길이라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위-디오니시우스의 상징론의 한 축인 긍정신학의 의미와 그 통로인 다양한 히에로파니들, 곧 성서적 상징들과 전례적 상징들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셋째, 상징론의 또 다른 축인 부정신학의 의미와 부정의 작업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Ⅳ장 맺음말에서는 본 논문이 나름대로 규명한 바와 그 한계를 지적하면서 위-디오니시우스의 상징론의 구조를 도표로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보았다. 이상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는 신플라톤주의 혹은 그리스도교 사상 어느 한 시각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연구 경향을 넘어서, 종교학적 상징론의 관점에서 디오니시우스 문집을 이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purport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seudo-Dionysius' Symbology according to Mircea Eliade's conception of hierophany and symbol. In chapter I, we seek what is the basic meaning,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religious symbol, and discuss in what context the conception of hierophany and symbol of Eliade can be adapted to Pseudo-Dionysius' Symbology system. In chapter II, our focus is on the basic informations about Pseudo-Dionysius -- ① the issue of his pseudonimity ② his works(=Corpus Dionysiacum) ③ the background of his thought ④ his significance within the history of human ideas -- as the preliminary steps to analyze Pseudo-Dionysius' Symbology. In chapter III, we analyze the structure of Pseudo-Dionysius' Symbology as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To begin with, we see that the ultimate concern(-the main theme) of the Corpus Dionysiacum is the issue of 'the cognition of God ' and that two ways - affirmative and negative - coexist in it. And we see that both ways could be trodden with the help of the intermediary of symbols. Second,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the 'affirmative theology' as the one side of Pseudo-Dionysius' Symbology, and the meaning of the various hierophanies through the biblical and liturgical symbols. Third, we focus on the meaning of the 'negative theology' as the other side of Pseudo-Dionysius' Symbology, and what the negative denial means. In the last chapter, pointing out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 summarize briefly the structure of Pseudo-Dionysius' Symbology with the use of a diagram. As a conclusion, we come to know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rpus Dionysiacum in terms of symbology of religious studies beyond the precedent tendencies which have focused on one-sided points of either neo-platonism or christianity.

      • 상징적 이름짓기의 프레이밍 효과 : 태안 vs 삼성-허베이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

        나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프레이밍 효과를 발생시키는 여러 상징적 장치 들 중 특정 사건에 대한 이름짓기(labeling)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사고를 지칭하는 이름이 언론에 의해 어떻게 지어졌느냐에 따라 그 사고에 대한 상이한 책임귀인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다. 또한 통제의 소재(내부 귀인메시지/외부 귀인메시지)와 귀인메시지의 명시성(암시적/명시적) 역시 독자적으로 또는 상징적 이름짓기의 효과를 중재함으로써 수용자들의 책임귀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유추하였다. 나아가 상징적 이름짓기에 영향을 받은 책임귀인은 사고 관련 대상에 대한 특정 정서와 행동적 의지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에 2007년 발생했던 기름유출사고 상황에 주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삼성-허베이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라는 이름짓기가 등장한 기사를 읽은 피험자일수록 이 사고의 책임을 삼성으로 돌렸다. 또한 삼성에 책임귀인을 할수록 삼성에 대한 분노 정서와 태안에 대한 동정 정서를 동시에 경험하였고, 삼성에 대한 비판적 행동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태안 기름유출사고’라는 이름짓기가 등장한 기사를 접한 피험자일수록 이 사고가 인간의 힘으로 통제하기 힘든 성격으로 파악해 자연재해의 일종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자연책임귀인을 매개로 하여 상징적 이름짓기는 태안에 대한 동정 정서, 태안에 대한 지지적 행동의지와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책임귀인에 대한 상징적 이름짓기와 통제의 소재 사이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자연책임귀인에서만 유의미하게 발견되었다. 즉, 상징적 이름짓기의 효과는 귀인메시지에 나타나 통제의 소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덧붙여 책임귀인에 대한 귀인메시지의 명시성과 상징적 이름짓기 사이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상징적 이름짓기의 효과는 귀인메시지의 명시성에 따라 차별화되지 않았다. 명시성의 수준과 관계없이 언론이 이 사고를 어떻게 명명하느냐에 따라 책임을 귀인한다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상징적 이름짓기는 책임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를 매개로 특정 대상에 대한 정서를 유발하는 효과와 행동의지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징적 이름짓기는 실천적 맥락에서 언론의 이름짓기 관행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앞서 제시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수용자들은 기사 내용이 얼마나 구체적인지와는 관계없이 언론이 지은 사건명만으로 이미 사건에 대해 많은 양의 해석을 내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언론에서 사건을 명명(命名)할 때 그 중요성을 숙고하며 신중한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The framing effect of Symbolic labeling :Taean vs. Samsung-Herbei oil spill accident Hyun-jung Na Young Min, Advisor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ffect of labeling which is one of symbolic device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powerful effect of symbolic labeling against audiences's attitude. The different patterns of making a label for an accident by media can have an effect on different judgments of responsibility. Also 'locus of control(internal/external)' and 'attribution message of explicitness(implicit/explicit)' can make an effect on responsibility independently or moderating the effect of symbolic labeling. Futhermore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 responsibility attribution which affected by symbolic labeling impacts 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it audiences, general public. Based on a 2(symbolic labeling: Samsung vs. Taean oil spill accident) × 2(locus of controllability: internal attribution vs. external attribution) × 2(message explicitness: explicit message vs. implicit message) factorial designed experiment administered based survey. The symbolic labeling(e.g., Samsung vs. Taean oil spill accident) effects are found to produce a distinctive impact on the responsibility attribution(e.g., Samsung responsibility attribution vs. natural factors responsibility attribution). Futhermore Samsung responsibility attribution evoke different level of emotional response(e.g., 'anger' toward Samsung, 'sympathy' toward Taean) and behavioral intention(e.g., punitive behavior intention to Samsung),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marginal level. But emotional response(e.g., sympathy toward Taean) and behavioral intention(e.g., supportive behavior intention to Taean) on natural factors responsibility attribution effect was not appeared.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labeling and human judgements especially about an accidents which can distinct the victims and the harmers. As far as practical benefits go, the findings of current research are expected to apply to everyday practices of journalists as useful working knowledge. Because symbolic labeling which appears on articles can make powerful effect on people's judgements about responsibility toward accidents.

      • 반복과 함축에 의한 상징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나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Painting reflects the eraand the painter finds the objects in reality. The realities we live in become the material and the work of paintings. We are actually within the picture of the society as we walk and exist among the innumerable buildings and streets. The paintings are no longer there to be observed by eyes only, but we became part of them and live together. The geometries of buildings and streets are expressed into the linear form to us and due to the continuity of theseforms, we are familiarized and comforted by unconsciously simplified forms and the lines. The painter is affected by this environment and uses it as material to express into the art. The internal state is visualized into the forms, the sentiment and aesthetic impression is delivered by symbolization. The art is never the natural phenomena, it's the work that has been planned with intention of painter, which carries significant meaning as the intention is based on the objective notion, emotion and psychological state. My geometric forms convey larger implications of symbolism through the lines and planes. The simplified images of stairs enable the formation from various viewpoints. Also the stairs that are built upon my own sensation, allow the expression through the possibility of endless formation. They imply the significance more than walking through the space. The repetitions of stairs expand the continuous space without the beginning and end, the repetitions of lines and planes appeal to the senses directly by visual. By forming with simplified geometric lines, the meaning of space is understood and the straight lines in the space are appreciated as the possibility of going further out of the picture. The repetitions of newly composed stairs raise the expectation in phenomenal continuation, thus the space is seen throughthe mind, not by sight. The repetitions of formalizing express the internal sensation and illustr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e attempt is made to find formative elements by comparing Mondrian's 'synchronized symbols' and Klee's 'formalized symbols'.The geometries with lines and planes by Piet Mondrian connote the synchronized symbolic formation. Their analogies through visual composition are conveyed from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expression by internal images to imagination. Symbolic expression by Paul Klee is more meaningful rather than synchronised symbol. His meaningful configurations are expressed the purity through outward drawings. His Symbolic method processes his internal realm by visualizing and becomes the antibodies for forwarding the fundamental means. Through this document I wish to express ourselves in modern time by lines and planes with geometric formation and find its implied means by symbolization along with precedent experiments to discover development for much improved paintings. Also I wish to organize various method and ideas from my own works to enhance where necessary to help my studies. 회화는 시대를 반영하고, 현(現) 시대에 살고 있는 작가는 현실 속에서 회화의 대상을 찾는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 회화의 작품이 되고, 회화의 재료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많은 건물과 도로 속에 우리는 존재하고 그 위를 걸어 다니며 사회라는 화폭 안에 서 있는 모습이 되었다. 회화는 더 이상 우리가 눈으로 감상하고, 관찰해야하는 작품이 아닌 우리가 작품이 되어 작품 안에 공존하게 되었다. 기하학적 형태의 건물과 도로는 직선의 연결고리로 우리의 눈에 다가오고, 연속된 기하학적 형태로 인해 단순화 된 형태와 선에 익숙함을 느끼고 안정감을 갖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외부 현실에 영향을 받아 회화의 재료로 사용해 예술로서 표현한다. 작가는 자신의 내면표현을 위해 이미지를 시각화 시키고, 정서와 심미적 감동을 전달하기 위해 상징화 시켜 표현한다. 예술은 결코 자연현상이 아니라 주체자(主體者)에 의해 의도적으로 계획되어 만들어지며 제작의 의도는 어떤 객관적 대상이나 생각, 느낌이라는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의미가 있다. 박이문, <예술철학>, 문학과 지성사, 1986, p.25 본인의 기하학적 형태는 더 많은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가장 함축적인 선과 면을 이용해 표현하고 있다. 단순화 된 계단의 이미지는 다시 각에 의한 시점을 통해 다양한 조형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인의 감성에 의해 재구성 된 계단은 무한한 형상의 가능성을 통해 표현을 자유롭게 한다. 간결한 기하학적 형태의 계단은 계단의 본래에 걸어 다니는 공간 그 이상의 함축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 단순화 된 기하학적 선만을 이용한 조형작업을 통해 공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간 속 직선은 화폭 안에 갇혀진 선에서 벗어나 더 넓은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인식하게 한다. 새롭게 구성된 계단의 반복은 형상의 연속에 대한 기대를 불러오고, 그 반복으로 인해 공간은 시각에 의해서가 아닌 마음에 의해 연상되어진다. 조형적 형태를 통한 반복 구성은 내면의 감성을 형상화하여 표현하고, 화면에 나타난 형상은 심리를 대변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몬드리안의 ‘조형적 상징성’과 클레의 ‘형상적 상징성’을 통한 조형표현 요소를 찾고 비교하고자 한다. 몬드리안의 선과 면에 의한 구성은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조형적 상징성을 내포한다. 선과 면으로 이루어진 유추(類推)를 통한 시각적 구상은 주관적 심리표출에 의한 내적이미지로 나타나 상상력에 의해 의미를 전달한다. 클레 작품의 상징적 표현은 조형적 상징성 보다는 의미를 가진 기호적 형상으로 나타난다. 의미를 가진 형태의 내적내용은 외화(外畵)를 통해 순수한 의미를 전달한다. 기호화 과정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거쳐 상징적으로 시각화됨으로 전달되는 의미는 본질적 의미전달에 배(antinode)가 되어 나타난다. 본인은 본고를 통해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간결화 된 선과 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통한 상징과 함축에 대한 의미를 살피고, 선행되어진 연구를 통해 더 깊이 있는 회화의 발전 방향을 찾고자한다. 또한 본인의 작품 과정에서 보여준 다양한 방법과 생각들을 정리해 미흡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학습하여 작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 상징 유형에 따른 의미점화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

        이혜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상징 유형에 따른 의미점화를 이용하여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일반 아동이 상징 유형과 의미관련 여부에 따른 이름대기 과제 시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언어연령이 4;0-6;11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 16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그림·실물과 제스처·제스처 상징 유형과 의미관련 여부에 따른 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과제에 사용된 점화 단어와 목표 단어는 의미관련성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각 과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름대기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반복측정 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집단,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집단 모두 의미관련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은 상징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가 목표 단어의 의미자질을 더 정확하고 빠르게 활성화시키는 의미점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은 그림 상징과 제스처 상징에서만 의미점화 효과가 나타났고, 실물과 제스처 상징에서는 의미적으로 관련된 단어가 목표 단어의 의미자질을 활성화하는데 방해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과 마찬가지로 그림 상징과 제스처 상징에서 의미점화 효과가 나타났으나, 여전히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이름대기 능력이 나타났다. 셋째,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이름대기 정반응률이 나타난 것에 비해, 반응시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 아동 집단은 의미관련 여부에 관계없이 그림 상징, 제스처 상징, 실물과 제스처 상징 순으로 이름대기가 더 정확하게 나타났다. 언어발달지체 아동 집단은 그림 상징과 실물과 제스처 상징에서의 이름대기가 동일하고 제스처 상징에서의 이름대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일반 아동은 의미관련 여부에 관계없이 그림 상징, 제스처 상징, 실물과 제스처 상징 순으로 이름대기가 더 정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그림 상징과 실물과 제스처 상징에서의 이름대기가 동일하였고 제스처 상징에서의 이름대기가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일반 아동은 상징 유형에 관계없이 의미점화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나,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그림 상징과 제스처 상징에서만 나타났다. 즉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의미적으로 관련된 실물과 제스처 상징이 제시되었을 때 의미점화를 방해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실물과 제스처 단서를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