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업건축물의 통합적 입면구성에 따른 이용자의 이미지 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안누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도시경관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가로를 구성하는 건물의 입면이다. 가로변 건축물의 외관 디자인은 보행자들에게 시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남기며 직접적으로 가로환경의 이미지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용도의 목적에서 비롯되는 표현성으로 인해 경관의 맥락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동안 상업건축물의 입면은 무분별한 옥외광고물 난립으로 인해 혼잡하고 어지러운 가로경관을 연출하였으며, 최근에는 상점별로 건물외벽 마감재 일체형 광고물을 통해 홍보하면서 입면에 나타나는 분절적 구성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표현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상업건축물의 입면관리문제를 해결하고자 2003년부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간판정비사업 및 가로환경시설물 개선사업 등 여러 연구와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자치구별로 입면디자인가이드라인 지침을 마련하여 민간건축물의 외관관리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불법간판설치를 줄이고 입면관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이들은 주로 옥외광고물과 같은 비(非)건축적 요소에 집중되어있는 경향을 보이며 민간건축물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입면의 구성방식에 대한 자세한 지침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정체성 있고 쾌적한 가로경관연출을 위한 상업건축물의 입면경관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하며, 현재 옥외광고물 차원의 분절적 접근이 아닌 건축물의 전체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통합적인 면적 접근방식을 통해 새로운 입면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업건축물에 있어 ‘통합적인 입면구성’의 특성을 가장 극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flagship store'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입면구성 연출의 배경과 이용자들의 인지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흐름은 입면관리 유형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통합형 입면’에 대하여 두 개의 흐름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로 상업건축물의 ‘통합적 입면구성’의 일반적인 특성 파악을 위해 서울시 상업건축물의 입면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통합적인 입면구성’을 통해 표현하는 상업건축물을 전수 조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다. 이어 두 번째로 ‘통합적인 입면구성’에 대하여 이용자들의 이미지 인지와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SD법을 이용한 설문을 시행하였고, 기존의 상업건축물의 입면 이미지와 비교하여 이미지 형성과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분포하고 있는 ‘flagship store’를 전수조사한 뒤, 이 중 중소형 규모의 건축물이며 입면구성의 특성이 잘 나타난 건물 66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이들은 건축물 외피를 분할하지 않고 전체를 하나의 캔버스화하여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며 일반적인 광고물과 달리 입면 디자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브랜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특성을 보인다. 이들은 운영주체가 일원화되어 있어 건축물 입면 전체를 통합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었으며 크게 건물 매입(34%)과 장기책임임대(66%)의 경우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임대인 경우 건물 전체를 임대하고 브랜드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건물 입면 전체를 리모델링한 뒤 이에 맞는 임차인을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건물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기존의 일반적인 상업건축물과 달리 건물 전체 이미지에 대해 관리가 가능한 운영구조로 건물 전체이미지 제고는 물론 내부의 임차인 구성까지 기능적으로도 통합적인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입면을 전체를 캔버스화하여 이미지를 제고하는 건물은 그 디자인 구성에 있어 운영주체 및 관리주체가 일원화되어 이와 같은 입면 연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입면 연출에 대하여 이용자들의 이미지 인지를 파악하고자 서울시민 220명을 대상으로 입면구성방식을 일반적 상업건축물 입면에 해당하는 ‘분절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통합형 입면’으로 나누어 이미지 인지와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SD법을 통한 설문항목은 요인분석을 통해 심미성, 명료성, 조화성, 친근성, 흥미성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이미지 인지를 파악한 결과 분절형 입면은 친근성을 제외한 나머지의 요인에서 모두 (-)의 점수로 나타나 이용자들이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선호도 측정항목에서도 모두 (-)의 점수로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비해 건물 전면을 통일적으로 구성한 입면에 대하여는 조화성과 심미성, 명료성을 강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근성에서는 다소 낮은 점수가 나왔지만 요인 모두 (+)의 점수로 측정되어 통일적으로 구성한 입면에 대해 조화로우며 아름답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호도에 있어서도 전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한 입면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옥외광고물이 아닌 입면을 통해 표현하고자 할 때 보다 더 알기 쉽고 인상적이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면구성에 있어 2차적 요소인 옥외광고물보다 건물의 면 차원에서 경관을 관리하는 것이 이용자들에게 더욱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통합적인 입면 구성이 이용자들에게 이미지 인지와 선호도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이와 같은 입면 연출에 있어서 건물 전체에 대해 통합적으로 운영 및 관리가 가능한 주체와 각 개별 상점의 기능적인 연결이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입면경관관리에 있어 면 전체에 대한 통합적인 구성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商業建築物의 改造傾向과 改造企劃 時事點에 관한 硏究

        하종수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 도시에 개발되고 있는 상업건축물은 그 수적으로 상당하다. 아울러 그 건축물에 대한 개조행위 또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후화나 인문·사회적인 요인, 개인적인 이유 등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산발적인 개조행위와 과정의 비체계성 등으로 인해 개조 측면에서 제반문제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상업건축물 개조시 적합한 지침사항이나 개조기획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선행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상업건축물의 개조를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방안으로서 '기획적 측면의 제안'과 '개조기획 과정에 대한 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건축물 개조기획 측면에서 합리적인 방향제시와 체계적인 개조기획 과정에 대한 선행 연구이며, 이울러 개발되고 있는 현 건축환경의 산발성과 사적부분 팽창에 대한 시사적 제안을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대해 고찰하면서, 상업건축물의 개조행위에 대한 이유와 현 개발상의 문제점들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제시된 제반문제들에 대한 연구 가능한 범위를 구분하여 좀더 구체적인 부분에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법제도상의 용도분류와 개조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앞으로 전개될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상업건축물의 특성과 건축물의 개조, 그리고 상업건축물에서 개조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상업건축물의 기획방향에 대한 고찰로, '4장 분석'과 '5장 기획내용 제안'에 대한 방향설정으로 위한 선행 연구단계이다. 본 장에서 제시하는 기획의 방향은 프로젝트기획과 사회적기획에 대한 것이며, 각각에 대해 기준과 내용을 서술하였다. 4 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제시한 이론과 기획방향을 근거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조경향과 문제점을 도출한 후 기획적 측면의 문제들을 유형화하여 5장의 개조기획 제안 내용에 반영한다. 본 장에서 유형화된 문제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기획 측면; 1) 사업기획의 문제: 예측, 용도설정, 초기 예산편성, 공사기간 산정 2) 건축기획의 문제: 공간구성, 건물 기능의 유지·변경, 시설계획, 구조진단3) 유지관리 기획의 문제: 건축주 의식, 관리, 기존 이용자와의 관계, 초기 기획의도사회적기획 측면; 1) 산발성 2) 의식 부족 3) 공적부분의 저해 5 장에서는 4장의 분석내용과 유형화된 문제들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기획 측면의 개조기획시 고려할 지침사항과 개조기획 모델의 제시, 그리고 사회적기획 측면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상기에 대한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기획 측면의 제안; 1) 사업기획: 초기의 수요자나 주변상권에 대한 예측, 용도설정의 타당성, 예산편성에 대한 정확성과 공사기간 산정에 대한 효율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건축기획: 공간구성을 위한 이용프로그램의 작성과 건물의 기능성 고려, 시설계획의 효율성, 구조진단의 선행이 중요하다. 3) 유지관리 기획: 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관심과 초기의 기획의도, 기존 이 용자에 대한 관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사회적기획 측면의 제안; 1) 건축주나 사회인식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며, 공공환원에 대한 사업의 효율성 측면도 인식시켜야 한다. 2) 준공적 범위의 확대로 향후 공적부분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3) 공개공지나 set back과 같은 공공적 측면의 활용이 중요하며, 이는 사회적기획이 프로젝트기획 측면의 결과물이나 가치를 올리는 도구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건축물이나 도시환경에 대해 긍정적인 사회적기획 수행이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6 장에서는 앞에서 조사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종합하여 상업건축물의 개조기획에 대한 전체적인 제안사항을 프로젝트기획 측면과 사회적기획 측면에서 관망하면서, 본 연구의 마무리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외에 부록에서는 본 논문의 대상사례에 대한 도면과 사진을 첨부하여 분석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Commercial buildings that developing in urban environment are many. In addition, renovation actions of such buildings occur very frequently, the reason is that building's timeworn, social effect, private excuse. But it is happen that problem a side renovation view, because of sporadic renovation action and unsystematic renovation flow process, the reason of these problem is caused by the lack of suitable guide factors and a course of systematic renovation. For this, this thesis was analyzing of the trends in compensation for building's renovation. And for solving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osal a side of project planning and model of renovation flow process. This thesis is a pre-study on suggestion of logical direction and flow process of systematic renovation project planning, in addition it is meaning of proposing implication on sporadic architecture environments and private part's expansion of renovation project planing. Chapter 1 examine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scope and method of study. And explaned the reason of renovation action of commercial buildings, problem of developing surroundings. The method of study is case survey and refering to documents. Chapter 2 consider the theoritic establishment of commercial buildings, renovation, as the subject of study, a property and the meaning of commercial buildings renovation. Chapter 3 considered the project planning direction of commercial buildings, and it was pre-study stage as a step of direction establishment of project planning content on chapter 4 and 5. This chapter suggested that the project planning direction suggesting in this chapter is individual project planning and social aspect planning, and explained the contents and standard of its. Chapter 4 analyzed the case of 32 renovation. It is the basis of a chapter 2, 3's contents of theory and project planning direction. After knowing the problem as analyzing the renovation case, arranged the problem type. It is next things. a side of Individual Project Planning; 1) Business planning : prediction, use establishment, a estimate formation, computation of construction work time 2) Architectural project planning : space program, maintenance or alteration of building function, facility planning, structure diagnosis 3) Management planning : consciousness of building host, building management, spatial project planning intention a side of Social Aspect Planning 1) sporadic development 2) lack of consciouness 3) invation of public space Chapter 5 suggested that a guide items and process model of renovation project planning, and implications on social aspect planning in center of analysis things of chapter 4 and problem to type. Major results contain the problem contents to type, it is a things that propose direction to improvement and refomation of problem type. Chapter 6 comprehensively intergrated the above examined contents, observing the proposal of renovation project planning totally a side of individual project planning and social aspect planning, suggested of a subjects in future. Besides, arranging the drawings and photos for case in these, suggested evidences of case analysis.

      • 도심 중소상업건축물 외관 이미지 표현과 선호에 관한 연구

        남경만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도시의 생활 속에서 우리의 문화와 삶을 가장 잘 대변하는 것은 상업건축물이다. 이러한 상업건축물은 건축 형태에서 많은 제한적 요소를 가지지만 이를 극복하여 최대한 자기만의 개성과 메시지를 나타내려고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 구성요소인 상업건축물의 이미지표현과 그 표현의 인식과 선호에 대해 살펴보아 올바른 상업건축물의 이미지와 효과를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범위는 이미지 표현이 다양한 상업건축물을 중심으로 그 규모에 있어서도 5층 이하의 중· 소 상업건축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 건축물의 외관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2. 상업건축물의 표현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3. 상업건축물의 이미지 표현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4. 중·소규모 상업건축물 사례를 규모와 이용형태에 따라 표현성을 조사한다. 5. 중·소규모 상업건축물의 규모와 이용형태별 선호이미지를 분석하여 표현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 방식으로 제안된 상업건축물의 이미지표현을 위한 파사드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건축물 전체 이미지 디자인은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박스형 건물형태에서 개구부의 확장을 통한 개방적인 디자인을 추구해야 할 것이며 3차적 요소인 색채와 재료에 있어서도 안정되고 조화되며 통일성 있게 디자인해야할 것이다. 둘째, 규모에 따른 상업 건축물의 이미지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2층 이하의 상업건축물 이미지 표현은 개방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위해 투명을 강조하며 흥미로운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밝은 색채를 사용하여 산뜻한 이미지를 부가시켜야 한다. 3층 이상의 상업건축물 이미지 표현은 개방적인 디자인보다는 견고성이미지를 부가시켜야 하며, 디자인에서도 알기 쉬운 단일 색채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셋째, 용도에 따른 상업 건축물의 이미지 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단일용도 상업건축물 이미지 표현은 단일용도의 단순성을 더욱 강조하기위해 특정한 단일색채와 재료를 사용하여 알기 쉬운 상업이미지를 나타내야 한다. 복합용도 상업건축물 이미지 표현은 단순히 개구부의 확장이나 간판에 의존하는 기존방식에서는 탈피하여, 좀 더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이미지를 연출해야 한다. The thing that represents our life and culture mostly in city is commercial buildings. Even though such commercial buildings have limiting factors, they get over them and try to express their own identity and messages at maximum level. This study looks into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constitutive elements, 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 about those expressions and, aims at gaining proper image and effects of commercial buildings. The subject is limited to commercial buildings that are expressed with various images and small and medium size commercial buildings less then 5 stories. This study had been progressed like followings. 1. Examine exterior of the building in theory. 2. Look at constitutive elements of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3. Examine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in theory. 4. Check expressions of small and medium size commercial buildings by classification of size and use. 5. Analyze preferred image by classification of size and use of small and medium size commercial buildings and suggest expression. After this study, I suggest facade design for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image design of the commercial building should go for efficient and economical box shape with wide and large entrance, which would present openness, and also use 3rd factors such as color and materials considering stability, harmony and unification. Second, image design of commercial building according to size is as follows. As for the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less than 2 stories, transparency should be emphasized to present opened image, and bright color should be used to produce interesting and fresh image. As for the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s less than 3 stories, solid image should be more stressed than open image, and it would be better to use one color or material. Third, image design of commercial buildings according to use of the building is as below.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 for single use should be presented with one specific color and material to emphasize simplicity of single use. Image expression of commercial building for multiple use should escape from conventional way relying on expansion of entrance or signboards, but instead, produce more lively and interesting image.

      • 상업건축물의 표현성을 고려한 외관 리노베이션 계획에 관한 연구

        박기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도시의 상업건축물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상업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특성으로 인해 다른 유형의 건축물보다 외관의 인지성·식별성과 상업성의 건축적 표현이 요구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도시의 상업건축물은 도시화 과정의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최소의 기능만을 수용하는 기능주의적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상업적 기능의 표현을 간판과 사인류 등의 비건축적 요소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도시미관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었다. 기존 상업건축물 외관의 문제점은 의미전달기능의 부재와 그에 따른 2차 요소의 무분별한 적용과 건축물의 군집화(群集化)에 따른 양적인 포화와 질적인 조악성에 있으며 건축문화의 점진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상업지역 내의 대부분의 상업건축물에 있어서는 이러한 현상이 개선되고 있지 않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업건축물 자체의 변화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며,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외관 리노베이션을 통한 문제점 개선이 보다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제시되고 있다. 상업건축물 리노베이션에 있어서 과거에는 업종의 변경이나 상업성의 제고를 위해 내부를 변경하는 정도에 국한되었지만 최근에는 건물외관의 상업적 표현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건축물 자체의 인지성·식별성을 높이고 상업내용의 은유적·상징적 표현으로써 상업성을 극대화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상업성을 건축적으로 표현하는 시도가 증가되면 2차 요소에 의존하지 않고 건축물 외관 그 자체로써 주변과의 차별성과 상업적 내용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도시미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계획될 수 있다. 따라서 리노베이션 계획에 있어서 기존의 노후화된 외장재의 개보수에 국한되지 않고 상업성을 표현할 수 있는 외관 리노베이션 계획은 상업적 요구에도 부합함과 동시에 도시미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건축방법이 될 수 있다. 기능주의적 박스형태의 건물은 그 건축원리 자체가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배제한 건축원리이므로 건축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건축원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현대건축의 다양한 양상 중에서 공통적으로 인터페이스 기능을 회복하려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으며 건축물 외피(外皮) 자체의 표현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외피에 관한 다양한 건축방법의 전개는 제약요소가 많은 외관 리노베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기존의 기능주의적 박스형 건물에 상업적 표현성을 부여하고 도시미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상업건축물의 외관 리노베이션 방법과 표현성을 분석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외피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존의 형태와 외피를 유지한 상태로 새롭게 요구되는 상업적 표현이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며 건축재료와 시공방법의 발달로 인해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둘째, 외피에 혼성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는 기존 건물이 단조로운 박스형태일 때 적용되어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하며 재료와 색채의 혼성을 통한 병치효과로써 주변건물과의 차별성을 표현하는데 용이한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건물의 외관조명이 외관 리노베이션과 연계되어 계획됨으로써 리노베이션이 지니는 평면적 디자인의 제약을 극복하고 새로운 이미지의 표현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야간도시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넷째, 간판과 CI, BI 등의 사인(Sign)물이 외관 리노베이션과 연계되어 계획됨으로써 수량과 크기가 줄어들며 건물의 전체적인 이미지형성의 한 요소로 기능이 변화하였다. 상업건축물의 인지성과 상업성이 건축적으로 표현됨으로써 2차 요소의 외연적 기능에 의존하는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2차 요소가 외관 리노베이션과 연계되어 계획됨으로써 크기와 수량이 줄어듬과 동시에 건축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외관구성요소로 건축화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관습적 건축형태에서 벗어난 방식의 적용으로써 외관 리노베이션의 가능성이 다양하며, 경제적인 방법으로도 상업성과 공공성에 부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금속재료를 이용한 이중외피와 같은 방법은 설치의 용이함에 반해 재료자체의 내구성의 문제로 인해 쉽게 노후화되므로 지속적인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리노베이션 자체의 개념이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의도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건축활동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Renovation of buildings is providing a lot of solutions in recycling old buildings and street environment. Commercial buildings of small-medium scales in Korea are being developed by multiple aspects. because of economical aspect, the minimally functional buildings have developed in the most cities. Commercial buildings of small-medium scales are lacking in representation of commercial function and characteristic image of their own.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commercial function is substituted by many billboards and signboards and the visual street environment has been going from bad to worse. Planning of exterior renovation must include the representation of commercial function and the representation must be formed by architectural methods. Representation of commercial buildings means that communicational function of architecture and identity of architecture.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1.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representation of architecture 2.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undergoing changes of representation 3. An overview of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commercial buildings 4. An overview of renovation of commercial buildings 5. The examination of interelations between the exterior renovation of commercial buildings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commercial buildings 6. The extract of major methods of exterior renovation based on representation 7. The survey of 10 commercial buildings in Seoul and Pusan 8.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through extracted element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method of Double skin is adequate for exterior renovation of commercial building Double skin. Double skin is effective and economical method to increase representation of commercial function. but the second skin is mostly composed of steel and glass, so durability is important consideration. 2. Hybrid of surface is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differentiation among neighbor commercial buildings according to visual effect of contrast and juxtaposition. 3. Using new material on surface and wall is effective method. availablity of new material is increasing in nowadays.

      • 옥외광고물을 고려한 가로변 상업건축물 계획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상남동 일반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박형규 창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옥외광고물에 대해서 최근에 들어서의 행정적 규제나 방침이 적용되고 있으나 건축물의 유형과 관련하여 옥외광고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가로변 상업건축물의 디자인에 있어서 옥외광고물을 고려한 건축물 입면의 디자인과 옥외광고물의 입면배치를 고려한 건축물의 매스계획, 그리고 가로경관적 측면에서의 옥외광고물설치과 관련하여 상업가로변 건축물의 계획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사례대상지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스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첫 번째, 가로와의 연결에 있어서는 가로에 바로 인접한 건축물의 경우 S2 가로에 14개, S6 가로에 3개소로 나타나며 S7 가로에서는 가로에 바로 인접한 건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S2 가로의 경우 가장 중심성이 강한 세로축 도로로서 가장 많으며, 건축물의 높이는 S6가로의 7-5를 제외한 나머지는 S2가로의 건축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전면적은 각각의 건축물에 있어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옥외광고물을 살펴보면 건축물의 높이와 입면적과는 관계없이 옥외광고물의 비중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가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바로 인접형과 전면공지형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동일레벨진입, 상승진입, 하강진입으로 나눌수 있으며, 진입부의 레벨에 따라 기단부의 형성이나 매스일부분의 돌출 혹은 후퇴 등, 진입형식에 따른 매스의 형태가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인접가로에 동일레벨로 접하는 건축물에 있어서는 S2의 19개소, S6은 10개소, 그리고 S7은 8개로소로 상승진입이나 하강진입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이러한 필지분할에 의한 가로변 건축물들의 통일감있는 구성을 이루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가로공간에 있어서 건물간의 균형에 있어서의 비중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동일레벨로 접하는 건축물과 상승진입형이 전부의 유형에 해당되며, 하강진입형은 본 연구의 사례조사대상지인 상남일반상업지역의 S2, S6, S7 가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옥외광고물에 있어서 동일레벨로 접하는 건축물의 전체 평균은 옥외광고물의 소계로서 개별건물당 32.8개의 옥외광고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2의 가로는 S6, S7가로의 건축물에 비해 평균이 40개로 각각의 26.1개, 32.3개에 비하여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하강진입형은 하나도 없는데 비해 상승진입형의 경우 대개가 기단부를 일부 포함한 건축물의 형태로 나타나며, 여기에 있어서도 S2가로가 평균 29.6개에 비하여 43.2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즉, 가로와의 관계에 따라 광고물의 수량이 변동한다기 보다는 가로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중심성이나 간선도로와의 관계에 따라서 옥외광고물의 전체 수량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면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첫째, 상남상업지역의 S2, S6, S7에서 기본형의 건축물은 S2의 18-1번지 1개소로 나타난다. 그 외에 수직성 주조형은 2개소, 수평형 주조형은 14개소로 수평형 주조형이 단일 주조형의 유형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혼합적인 형태의 주조유형을 가진 불규칙형 주조형은 S2에서 14개소, S6에서 8개소, S7에서 10개소로 합계 32개소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둘째, 상업기능의 야간조명과 관련하여 야간의 조명에 의한 광고를 고려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므로, 격자형 창호유형의 건축물은 각각 S2 1개소, S6 1개소로서 격자형의 창호유형에 있어서도 단일유형은 그다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다. 전체 옥외광고물의 비중과 마찬가지로, 가로간판과 세로형돌출간판이 가장 많다. 셋째, 횡연창의 경우 벽면형태에서 수직성 주조형은 2개소, 수평형 주조형은 14개소로 수평형 주조형이 단일 주조형의 유형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상응하게 S2에서 9개소, S6에서 7개소, S7에서 2개소로 합계 18 개소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횡연창에 의해 옥외광고물의 경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로형 간판과 세로형 돌출간판의 비중을 보면, 다른 창호유형 건축물에 비해 세로형 돌출간판대비 가로형간판의 비중이 평균 13.1/7.3로서 가로형간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면창의 경우 앞에서 살펴본 세로형 돌출간판대비 가로형간판의 비중은 평균 9.4/7.9로 가로형 간판과 세로형 돌출간판의 비중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전면창 건축물의 경우 입면적에 있어서 창호로 마감되어 있는 부분이 다른 창호유형 건축물에 비하여 높으므로 창문이용 간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전체평균 옥외광고물 소계 대비 창문이용간판의 비중은 8.0/30.2 로서 횡연창 4.5/33.5 에 비하여 확연하게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현수이용 가로간판의 경우 전면창은 1.4/30.2, 횡연창은 2.6/33.5로 적은 비중으로 나타난다. 이는 전면창의 경우 현수이용간판에 대한 설치가 어려우므로 비교적 설치가 용이한 횡연창 건축물에 다소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곱째, 횡연창을 포함한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며 그 외에서 전면창에 격자형 기본창호유형의 복합형이 다소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D형과 E형을 비교하여 보면, E형에서 창문이용간판이 3.2/19.8로 D형의 1.7/24.6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여덟째, 출입구의 형태에 있어서는 S2 가로의 4-1번지 1개소로 나타나며, 이를 제외한 전부가 평면형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상업가로변에 인접한 건축물로서 함몰이나 돌출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옥외광고물과 관련하여서도 출입구의 형태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붕 및 모서리계획과 관련하여서는, 첫째, 본 연구의 사례조사대상이 되는 S7 북측으로 위치하는 대지의 전부가 간선도로와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즉, S2 가로변에 위치한 건축물 전부가 2개이상의가로를 단일건축물이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2가로의 17-1번지만 돌입형이며, 나머지는 전부 돌출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돌출부의 곡선형의 입면부에도 곡선형태를 따라 옥외광고물이 설치된 사례가 많다. 이는 가로경관에 있어서 상업성의 증대를 최대한 활용한 사례이기는 하지만, 모서리부분의 경우, 양쪽의 가로에서 공통으로 시각회랑에 포함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가로경관을 고려한 개선이 있다면, 더욱 효율적이 방법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매스, 입면, 지붕 및 모서리에 관련된 사항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가로경관과 관련하여 다소 개선된 경관을 위한 옥외광고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관성과 관련된 분석내용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축물 유형과 관련하여 옥외광고물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이에 따른 건축계획에 대한 방침을 적용할 수는 있으나, 이에 대한 선호도 분석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 소규모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의 활성화를 통한 가로경관 개선방안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 건축물 사례를 중심으로

        신현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주거지역의 대표적 저층형 상업가로인 신사동의 제이타워에서 신사동주민센터 까지 655미터 구간의 가로수길에 위치한 상업건축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소규모 상업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여 상업건축물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가로의 상업건축물 69개동 중에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은 29개동 42.02%의 비율로 나타나 다른 상업가로 보다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이 활성화 되어 가로수길의 장소성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신사동 가로수길 상업건축물에 부착된 간판 수는 총 309개 이었으며 그중 단일용도 상업건축물 1개동 간판의 수는 평균 1.5개로 복합용도 상업건축물 1개동의 평균 간판 수 6.6개 보다 적게 부착되어 상업건축물 고유입면의 정체성이 적극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복합용도 상업건축물의 간판 유형은 점포마다 대부분 외벽 마감재에 덧댄 판류형의 형태로 간판의 파사드의 벽 면적 점유로 인해 건축물 고유입면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으나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의 간판은 간판정비사업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획일적이고 몰개성적인 유형이 아닌 개성적인 입체문자형과 더불어 파사드를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의 도구와 홍보 매체화로 표현하여 건축물과 간판이 일체화 되어진 모습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경관 형성요소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업건축물의 입면 특성을 고려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상업건축물의 입면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역사ㆍ문화 등의 인문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지역의 특성과 의미를 고려해서 디자인에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를 갖춘 차별화된 디자인의 특화 전문점이 확충되어야 한다. 상업건축물을 브랜드의 홍보와 마케팅의 도구로 극대화 하여 표현하고 있는 플래그쉽 스토어와 같이 단일화된 운영주체의 통합적 건축물 유지관리와 입면관리가 가능해지면, 개별 업소 간판 등 옥외광고물의 홍수로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상업건축물의 입면 개선효과는 분명히 나타날 것이며 도시 가로경관 개선에 큰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규모에 따른 건축기준 강화항목과 범위설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소규모 필지에서의 상업건축물 건축에서부터 주택 건축에서와 같은 제어적인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 넷째, 기준 완화(인센티브) 범위설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상업건축물의 건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성이며 그것의 판가름은 건축법에서 정하고 있는 용적율의 제한이나 부설 주차장 설치 기준의 완화를 통한 인센티브를 적극 제시하여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는 방안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상업건축물에 대한 법제도 뿐 아니라 실행수단의 중요성을 사례분석 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신사동 가로수길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에는 사례분석의 객관화를 위해 도시 내 활성화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상업가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실무적 차원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easibility study in term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making by analyzing existing commercial structures,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urban landscaping in order to grope a decision making tool for urban landscaping. This research probes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lying 655m from J-Tower and Sinsa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in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e examined by both literary researches and case study. First of all, total of 29 commercial structures, among 69 commercial structures of the research zone, are single-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accounting for 42.02%. An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ultural and local identity of Sinsadong Garosoo-gil Street are defined by the comparably higher concentration of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Secondly. a quantitative study for the signs on commercial structures in Sinsadong Garosoo-gil is carried out, and it shows that total number of signs attached to commercial buildings were 309. and average of 1.5 signs are attached on the 29 single-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while average of 6.6 signs are attached on 40 multi-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As one can see, fewer signs on a building helps promoting the identity of the building. And most signs on facades of the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are well fit to structural identities, while enhancing external identities and protecting the affordance of facades. Thirdly, most multi-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have rather simple panel-type signs attached on the building exterior and facade, consequently hiding and covering building’s original design. On the contrary, the signs on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have distinguished design and dimensional fonts, enhancing facade expression and its originality. And consequently the harmonized feel of building and signs become a brand promotion tool, being a essential parts of the street and making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o be one of the most favorite “want-to-walk street”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how to invigorate street environments by solving existing problems and in consideration of façade expression of commercial structures. First of all, architects should consider the natural, cultural, historical aspects of the area with a vast research effort in order to reflect location's attributes and hidden meanings in designing commercial building's facade expression and overall structure. Secondly, more shops, known for their original design schemes, for business with brand power should be invited in the area. So-called flagship stores are known for using commercial building for brand promotion and marketing. By inviting those flagship stores, single operation party, flagship store management can control both building maintenance and facade maintenance, resulting in harmonized image promotion, enhancing facade expression,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external signs and attachments of a building, and finally improving street environment. Thirdly, stricter architecture regulations for different building scale and extended regulatory scope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control the design of small commercial buildings or housings even on small-scale land. Fourthly, more building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 commercial building are profitability and business growth possibility. And those aspects are vastly affected with floor area ratio regulations or parking space rules. Therefor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attractive incentives to those who plan to build commercial buildings. This research studies regulations for small-scale commercial buildings and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methods through case study. However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on the single-purposed small commercial building on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obviou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to analgize diverse urban commercial streets through more in-depth case studies in order to provide more objectified views. And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current research method.

      • 소규모 상업건축물 코어디자인의 입면부 특성에 관한 연구

        도영길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0

        도시에서 거점 격인 여러 도심공간은 그 도시의 이미지를 창출하는 공간이며, 흔히들 도시의 얼굴이라고도 말한다. 주택가에서는 지붕과 담이 오히려 더 많은 시야의 비율을 차지하지만 도심공간의 경관을 좌우하는 것은 건물의 표피로 구성된 가로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건물의 표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코어의 경우, 평면도와 배치도에서 보여지는 위치에 따른 평면적인 분석과 개별적인 분석만이 이루어져 요소들 상호간의 관계를 알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상업건축의 외관적 양상을 종합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상업건축물의 입면에서 보여지는 코어부분의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코어 유형을 크게 편심·중심·분산코어로 구분하여 볼 때, 편심 코어형이 소규모 상업건축물의 일반적인 유형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 대상 건물 83곳 중에서 81%인 총 67곳의 사례들이 코어를 건물의 입면 디자인에 활용함으로써, 소규모 상업시설에서 코어 입면디자인이 건물 전체의 입면디자인에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다.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건물 입면 디자인에서의 코어의 활용 유형을 알아본 결과, 형태 변화, 형상 변화, 개구부 변화, 재료 변화로 다시 구분하였다. 형태와 형상 변화에서는 형태·형상 모두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형태·형상의 소극적인 변화는 상업건축물이 공간요구에 대한 경제성을 간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개구부 변화에서는 전체적인 건물의 입면 디자인에 수평형의 창을 활용하여, 수평성을 많이 강조하고 있었으나, 코어의 디자인에서는 수직형의 창을 통해 건물의 수직성을 강조하거나, 피막형의 개구부를 통해 건물의 투명성을 강조하여 입면부 디자인에 사용함을 알 수 있다. 재료 변화에서는, 조사 대상 건물의 대부분이 석재, 타일, 벽돌, 페인트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입면부의 재료의 다양화가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 건축물 내에서의 재료변화 역시 거의 보이지 않아 재료의 다양화를 통한 상업건축물 입면의 표현성 증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소규모 상업건축물에서의 입면의 변화의 경우 형태나 형상의 변화를 통한 입면의 다양화가 필요하지만, 경제성이 우선인 상업 건축물의 경우 이러한 다양성을 꽤하기는 어렵다. 공간의 경제성 고려를 통한 도심지 경관 개선을 위해서는 개구부나 재료의 다양화를 통한 경관 개선의 필요하다. Several downtown spaces, being a foothold in a city, create an image of the city, and are usually called as a face of the city. Though, in a residential street, roofs and walls account for rather more the rate of the range of vision, it may be a street composed of their outsides that decides the scene of downtown space. In case of core having a direct influence on the outsides of these buildings, it was difficult to know an interrelation among the components because only plane analysis and individual one according to a position being seen in a ground plan and an arrangement plan had been mad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re part being seen from the standing part of commercial building for the purpose of making up for these problems and of examin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commercial buildings in the synthetic aspect. When classifying core into three types of eccentric·central·dispersing core, eccentric core type was confirmed as a common type in small-sized commercial buildings, which means that the design of a core standing part in small-sized commercial buildings is given much height in the design of the standing part of the whole building, in the fact that 67 ones, of 83 buildings investigated, 81% of the whole, have used core for the design of the standing part of building.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ed cases, the research subdivided the applied pattern of core in the design of the standing part of building into shape change, figure one, opening part one, and basic materials one. In shape and figure change, there was little clear variation in both of them, which seems to be because commercial building did not rea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space demand. For the change of opening part, in designing the standing part of the whole building, they stress much the horizontal property by using horizontal-type window, but in design of core, they stress the vertical property by use of vertical-type window or stress the transparent property of building with film-type opening part. In addition, it's found that, for change of basic materials, most of the buildings investigated do not try to diversify greatly the materials of the standing part while using only such materials as stone, tile, brick, paint, and so on. And since there was little change of material seen with in the same building, it seems that the expressive property of the standing part of commercial building need to be increased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basic materials. For change of the standing part of small-sized commercial buildings, even though the diversification of the standing part through change of shape or figure is needed, it's difficult to try to diversify in case of commercial building in which economical efficiency is the first consideration. For the betterment of downtown scen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economical efficiency of space, the diversification of the opening part or basic materials is needed.

      • 서울 도심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조아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0

        Research on the need for open disclosure has continued since the 80s to take advantag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public spaces in Korean cities. In 1991,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stall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Building Act. The system of setting up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was continuously improved, with the mandatory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system for Building Coverage Ratio mitigation, Floor Area Ratio mitigation incentives. Therefore, the number and area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 Seoul City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such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were either poorly utilized or poorly managed as they were designed to be a parking lot or not legally violated.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hat must be created for the role of resting place in the urban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As both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must be satisfied, research on ways to improve and utilize various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re needed. Recently, people often solve their leisure, shopping, culture, and relaxation at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all at once. The trend is that we want the most activity with the least amount of time. In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ctivities such as leisure, shopping and cultural facilities are already available. Unlike internally activated by these necessary activities, there is a lack of outside communication and amenities. In the past, the outer space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built for investment efficiency, but has recently changed to bring people together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has been proved as well. Accordingly, as a method of research, firstly, the definition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nd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reviewed and the importance of the outer space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identified. Seco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prepared b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spatial plan of the outer space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nd drawing out the role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of the open space by substituting them for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hir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Building Act in 1991, the topic changed from the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o the qualitative problem solv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completed after 2000s, its transitional period, was investigated and the methods of improvement were laid out. The following is a presentation on the direction of spatial us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First, the role of maintenan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exemplified by the IPark Mall. The space above has been changed to a community space for citizens by improving from a square-type public space to a cantilever-type public spac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nd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designed can be developed through sufficient maintenance and form changes. Secon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landscape environment, it can become a place for citizens to relax or a place of law because of blindness. The use of landscaping as a shield for subway vents and trash cans is an integrated and usable space in the functional areas. However, the landscape is surrounded by benches, and if people block their view, it becomes a smoking area for smokers. Thi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height, layout and distribution area of the planned landscape for landscaping. Third, as shown in the case,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consists of square type, pedestrian deck, bedside type (Sunken), and park, excluding the differentiated cantilever type. Square type open space is a place where activities such as promotion events, meeting squares, and cultural events are acceptable. In order to activate these squares, efforts such as improving many community activities and adding eventful elements. If planned in the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measures for the us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the activities of the outer space will be linked to the lower floor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s the public improvement of public spaces will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and citizens. Such lower floors activations will bring about a whole building activa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using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site of a complex commercial building in downtown Seoul. With the development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in Korea, the use of outer space and open space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insufficient maintenance of facilities and a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more specific foundations and improvements are needed. 도시의 환경개선과 공공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80년대부터 공개공지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고 1991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공개공지 설치 제도가 실행되었다. 공개공지 설치 제도는 일정 면적의 건축물에 공개공지 의무화와 그에 따른 건폐율,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계속된 법적 개선을 통하여 서울시 공개공지의 수와 면적이 급격하게 증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개공지 시설이 주차장으로 활용되거나 법적으로 위배 되지 않을 만큼의 자투리 공간으로 설계되어 활용도가 낮거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도시환경의 휴식처 같은 역할을 위해 조성되어야 하는 공개공지가 미흡한 실정이다. 공익(公益)과 사익(私益)을 모두 만족시켜야하는 만큼 여러 가지 공개공지에 대한 문제점 개선과 공간 활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근 사람들은 복합 상업 시설에서 여가, 쇼핑, 문화, 휴식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도심 내에서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한의 활동을 원하는 추세다. 복합 상업 건축물에서는 이미 여가시설과 쇼핑시설, 문화시설 이 설치되어 복합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설들에 의해 활성화된 내부와는 달리 외부에서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소통 및 편의시설이 부족한 현실이다. 과거에는 복합 상업 건축물의 외부공간은 투자 효율성을 위하여 건설되었지만 최근에는 집객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 중요도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공개공지와 복합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의를 고찰하고 복합 상업 건축물 외부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복합 상업 건축물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공간계획을 고찰하고 이를 공개공지에 대입하여 현 공개공지의 복합 상업 건축물에서의 역할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셋째, 91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공개공지의 양적인 문제 해결에서 질적인 문제 해결로 화두가 바뀌게 된 과도기 기간인 2000년대 이후의 완공 된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개선 방법을 정리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도출된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의 공간 활용 방향 제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유지관리 및 환경개선에 대한 역할은 아이파크몰을 가장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황량했던 광장형 공개공지에서 켄틸레버형 공개공지로 개선하여 상부 부분은 전망대로 활용하는 등 시민 및 방문객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광장주변의 조경을 재배치하는 등의 개선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현재 설계를 마친 공개공지와 복합 상업 건축물도 충분한 유지보수 관리를 통하여 발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경환경의 구성방식에 따라 시민들이 휴식을 하는 공간 또는 시야의 차폐로 인하여 범법의 공간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지하철 환기구나 쓰레기통에 대한 차폐로 조경을 활용하는 점은 기능적인 부분에서 통합되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지만, 조경이 벤치를 둘러싼 형태를 하고 있어 사람들의 시야를 막는다면 공개공지 민원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흡연자들의 흡연구역으로 낙인 된다. 이에 따라 공개공지 조경에 대한 계획 조경의 높낮이, 배치, 분포면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는 사례에 나타나듯 차별화 된 켄틸레버형을 제외하면 광장형, 보행자 데크, 침상형(썬큰), 쌈지공원 순으로 구성되어있다. 광장형 공개공지는 판촉행사, 만남의 광장, 문화의 장등에 대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광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개선 및 이벤트 적 요소를 구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위에 제시한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 공간 활용 방안의 방향으로 계획한다면, 공개공지의 공적인 기능 향상으로 방문객들과 시민들의 왕래가 증가하게 되어 외부공간의 활동이 복합 상업 건축물 저층부까지 연결될 것 이다. 복합 상업 건축물의 저층부에는 일반적으로 판매시설이 위치해 있고 건물 전체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면 대지 내의 공개공지가 상업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해당시설만 방문했던 방문객들은 공개공지에서 활성화 된 커뮤니티 활동으로 인하여 물건만 사고 돌아가는 것이 아닌 외부 활동을 즐기고 그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돌아가는 발전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 공개공지의 양적인 문제 해결에서 질적인 문제 해결로 화두가 바뀌게 된 과도기 기간의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서울 도심내의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의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국내 복합 상업 건축물이 발전됨에 따라 외부공간과 공개공지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시설의 유지관리 미흡, 커뮤니티 시설과 문화 활동의 부족 등으로 인해 공개공지 보수 및 유지관리, 공개공지내의 조경 배치에 대한 이해,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鍾路2街 商業建築物의 街路邊 立面 變化에 관한 硏究

        김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논문은 서울 종로2가 상업건축물의 입면에 관한 연구이다. 즉, 1910년경부터 현재까지 종로2가에 존재하였거나 존재하고 있는 가로변 상업건축물의 입면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축물의 가로변 입면은 그시대, 그지역의 건축사조 뿐만아니라, 당시의 시공방법과 유행하던 재료까지도 알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자료이다. 따라서, 상업건축물 입면 변화의 연구를 통해 건축물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가로경관의 변화까지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종로는 조선왕조의 유력한 상업가로로서 한성부의 수평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중 연구대상지인 종로2가는 남대문로와 종로가 서로 만나는 지역으로 종로 중에서도 가장 상업적인 집적도가 높았다. 또한, 일제시대 명동이나 충무로등이 일인상권에 의해 대부분 장악된 것에 비해, 종로는 상대적으로 한인상인들의 비율이 높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같이 종로2가 상업건축물들은 다른 지역과는 차별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입면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종로2가 가로경관의 건축적인 변화상뿐만 아니라 종로의 상권의 변화상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종로2가 상업건축물을 개별적으로 파악한 후 유형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우선 필지 폭 28m을 기준으로 대규모 필지 건축물과 소규모 필지 건축물로 나누었다. 특히, 소규모 필지 건축물에 주목하여 다시 세부적으로 한옥상가, 한양절충상가, 2,3층 양옥상가, 1960년대 전반기와 후반기 상업건축물로 나누었다. 각각 유형들은 종로2가에서 우세하던 시기가 있었으며 이를 개별적으로 유형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형별 분류를 통해 각각의 필지에 기초한 종로2가의 인사동측, 관철동측 상업건축물 연표를 작성하게 되었다. 이와같은 연구들은 모두 가로변 입면을 구성하기 위한 사전작업들이었다. 원칙적으로 모든 시기의 종로2가 변화상을 파악함이 이상적이겠지만, 그 연구범위가 너무나 광범위해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시기를 1910년대 전후부터 현재까지 약 90여년간으로 한정하게 되었다. 이를 연구 편의상 몇 개 시기로 나누게 되었으며, 종로2가 입면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던 두 시기를 주목하게 되었다. 대략 1930년대와 1960년대를 전후로 큰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가로경관 변화를 파악하게 되었다. 1910년대까지 종로2가 가로경관의 주된 구성요소는 한옥상가였다. 이것은 이전의 종로 상업건축물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한옥상가는 점차적으로 한양절충상가와 양옥상가로 대체되어갔다. 특히, 2,3층 규모의 양옥상가의 등장은 상업건축물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주출입구가 가운데 있고 입면이 좌우대칭인 것을 고려할 때 본격적인 임대건물이 아닌 하나의 사옥으로 사용되었으리란 추측을 할 수 있다. 이들 양옥상가는 일제시대 종로2가 가로경관을 형성하는 주요소였다. 또한, 그때까지 종로2가의 대규모 상업건축물들은 기독교 관계 시설이라는 점도 그 특징이라 할 만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한인세력이 많았던 종로지역으로 선교사들이 선교를 목적으로 기독교 시설들을 설립하였던 것에 기인한다. 1930년대 중반에 이르면 한인 신흥자본가에 의해 4,5층 규모의 대규모 상업건축물들이 세워진다. 특히 일제시대의 대표적 건축가 박길룡은 한청빌딩, 종로빌딩, 화신백화점 세 개의 유력한 건축물을 종로2가 초입부에 설계하면서 종로의 면모를 바꾸어놓는다. 이외에도 군(Gunn)의 기독교성서공회, 이천승의 영보빌딩 등 규모가 큰 건축물들이 신축되어 종로2가는 명실상부한 상업가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해방과 6.25를 거치면서 파괴된 종로2가를 복구하는 것은 195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가능했다. 파괴된 건축물들은 대부분 이전의 건축물 형태로 다시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이전 건축물들을 다시 재현하였기 때문에 종로2가 가로경관은 1940년대와 1950년대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와 새로운 양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1965년의 YMCA회관의 신축 시점을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그 변화상을 나누었다. 1960년대 전반기에 4,5층 규모로 지어진 건축물들은 이전의 벽돌라멘조의 형식이 아닌 철근콘크리트조 구조형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입면을 구성함에 있어 콘크리트인방체를 돌출시켜 입면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였다. 무엇보다도 출입구와 코아가 건축물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입면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층별임대가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1965년 김정수 설계의 YMCA회관 신축은 종로2가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7층 규모의 대형 건축물이며, 커튼월을 도입한 입면도 그 형태가 새로웠고, 여러 가지 시설물이 복합된 대형 건축물이었다. 이후에 1960년대 후반기에 이르러 상업건축물들의 양상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조립식 PC공법에 의해 보다 다양한 콘크리트의 조형성을 표현하는 경향이었다. 또하나는 건축물들의 입면외벽과 창호가 층별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단순화된 경향이었다. 이것은 그전까지 종로2가만의 특성을 사라지게 하는 주원인이었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1970년대 초반 관철동측에 집중되는 것도 특이하였다. 1970년대에 이르러 종로2가는 도심 재개발계획 지구에 지정되었으나, 결과적으로 기존 건축물들이 노후화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1980년대 중반 건축법의 개정으로 건축물의 대수선이 용이해진게 이후에 일부 건축물들 입면이 리모델링되었는데, 이는 더더욱 종로2가의 가로경관을 이질화시기는 원인이 되었고 현재에도 이러한 입면의 대수선이 행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이상과 같이 종로2가 상업건축물의 입면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에따라 가로변측 입면이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한국에서의 가로경관 변화가 매우 급격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종로2가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종로2가라는 상징적인 지역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기록하는 과정이 되었다. 가로변 입면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몇가지 새로운 사실도 찾아낼 수 있었다. 즉, 조선시대부터 종로2가에 대규모의 상업관계 시설물이 있었을 가능성과 1970년대 지하철 공사때 관철동측으로 종로2가의 도로폭이 확장되지 않았을 가능성 등이 그 예이다. 앞으로의 종로2가 가로변 입면의 변화를 기록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 이후에도 자료의 수집과 분류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내용들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로써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Facade of the Commercial Buildings in Jongno 2ga, Seoul. From 1910's, many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and demolished in Jongno 2ga. By researching the Facade of these buildings, we could know what was the prevailing trend in that time and how the Facade was designed. And we could understand each buildings and the street scenery. Among the other commercial streets, Jongno has bee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treet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Jongno 2ga which exists in the crossing point of Jongno and Namdeamunno, is the most remarkable street of the entire Jongno. In the Japenese Era, the Jongno's merchant was almost Korean although in the other street like Myundong, Chungmuro Japenese was prevailing. The study explains how the architectural change of the Facade became and how the commercial merchant changed in Jongno 2ga. After investigating the Facade, the commercial buildings could be classified. The factor of dividing into large-site buildings and small-site buildings is whether the width of site is 28 meters or not. And small-site buildings could be divided into Korean-style shop, Compromised-style shop, Western-style shop and 1960' commercial buildings. Each style had a superior period in Jongno 2ga. So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a chronological table of the Jongno 2ga's buildings according to the buildings of Insa-dong and Guanchul-dong. Finally, we could revive the entire Facade of Jongno. Because this study is a research through almost 90 years from 1910's until no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ssortment in terms of each period. The change of the Facad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table, 1930's and 1960's are the two major period when Jongno 2ga made a remarkable change in Facade. So these two periods would be concentrated on. Until 1910's, Korean-style shop was the main element of Jongno 2ga. But it was substitute by Compromised-style shop and Western-style shop. The appearance of this two type means a vertical expansion of the traditional shop which was prohibited in Joseon Dynasty. Western-style shop which was generally 2 or 3 storied buildings and made of brick, had the entrance in the center of the Facade and the Facade was complete symmetry. At that time, Christian institute was propagating in Jongno and this means most of the people in Jongno was Koreans in spite of the immigration of Japenese. So there were many Christian institute buildings especially in Jongno 2ga. In 1930''s some of the Korean capitalists could afford to construct a large rental building in Jongro 2ga. Hanchung Building(1935), Jongno Building(1935), Whashin Department Store(1937) were the three remarkable buildings in Jongro 2ga which were designed by Park, Gil-Yeung a representative Korean architecture in the Japenese Era. After late 1930's, Jongno 2ga became the one of the most popular street in Seoul(Gyeungseun-Bu). The Liberation in 1945 and the Korean War in 1950, this two historical affair implies 1940's and 1950's was a depressed time to Koreans. Not until late 1950's, could the destoyed building including Jongno 2ga be recovered. These were rebuild in the similar Facade of the prototype, so the scenery of 1940's and 1950's would be much alike that of 1930's in Jongno 2ga. 1960's was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of Korea and the change of Facade was intense. In 1965, YMCA institution was designed by Kim, Jung-Su and it was a symbol of Jongno 2ga in terms of the scale, Facade and its service. The difference of Facade could be found between first 1960's and late 1960's. In first 1960's, there were 4 or 5 storied buildings and Concrete Lattice was the main element of the Facade. But in late 1960's, more simple Facade which was repeated by the long-window and an outer wall, became the main trend. So the tradition factor of Jongno Facade seemed to be disappeared between these similar buildings. In 1970's, a plan of the reconstruction of downtown was made which included Jongno 2ga. But this made worse environment because of the delay of the plan. After 1980's Renovation of the Facade was a new change in Jongno 2ga. But despite of the remodelled buildings, the whole scenery of Jongno became more different form the lasting Facade. This study has a careful research about the change of Facade in Jongro 2ga and by this study, we could explain a trend how the commercial buildings' Facade has been changed in Korea. Besides this is a record of past and present of Jongno 2ga's commercial buildings. And some new fact are found, for instance the existence of the big scale Korean-style shop in Joseon Era and impossibility of widening Jongno 2ga in 1970's. And after this study, more resource should be observed and developed to make the study more reliable.

      •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의 상업건축물 입면 연구

        이균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0

        Starting with 'Mokpo Modern Historical District' in 2018, 10 Places 'Modern Historical District' were registered as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by 2021. This is because the public's interest in modern cultural properties has increased, and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linked to modern cultural properties has become active. However, research on the 'modern historical District' is insufficient. 'Modern Historical Distric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management of the existing modern cultural heritage is changed to "Face unit", from "point unit". Managing it as a "Face un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in preserving the "historic landscape."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management of a wide range of 'Face units' sustainable, the revitalization of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must be premised. However, the revitalization of the "modern historical District"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should not undermine the "value of historical scenery." Therefore, I think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find values, share them with citizens, and sympathize with them as a cultural heritage that forms the "historic landscape" of the "modern historical District." 'Iksan Som-ri Modern Historical District' was created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is located in the old town where commerce developed. For this reason, commercial buildings are developed along the street, and 78.6%, or 81 out of 103 buildings facing the street, are commercial buildings, and the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s forms the "main street view." Therefore, through an analysis of the form and finishing materials constituting the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s, the value of the standing of commercial buildings constituting the "main street view" was investigated. In the standing study of commercial buildings, the standing type and finishing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types by era, and the effects of institutions, technologies, and materials industrie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causes and patterns of changes by era. 「The monthly transaction price」 published in 1962 by the Korea Construction Association,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n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the Facade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ildings as it can confirm th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building finishes distributed in each year. This data is stored as a book in the warehouse, but it is difficult to use information because it is not computerized, and it is urgent to preserve it because it is an old data published since 1962.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ercial buildings "Facade shape", "finishing material", and "structural method" in the area of "Iksan Som-ri Modern Historical Distrct" show the changes and development history of architecture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tanding form" and "finishing material" of commercial buildings are the main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of the "historic landscape." However, 41.9% of the 81 buildings, or 31 out of them, do not belong to the "Iksan Som-ri Modern Historical District", so measures are needed to preserve the landscape. Therefore, preservation management such as "expansion of zones" to include 31 buildings to preserve "historic landscapes", "drawing, photographic record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anuals"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acade and finishing materials of commercial buildings. 2018년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을 시작으로 2021년까지 10곳의 ‘근대역사문화공간’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이는 근대문화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근대문화재와 연계된 도새재생사업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대역사문화공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근대역사문화공간’은 기존의 근대문화유산의 관리가 ‘점단위’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면단위’로 변경된 점이 특징이다. ‘면단위’로 관리하는 것은 ‘역사적 경관’을 보존하는데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광범위한 ‘면단위’ 관리가 지속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참여를 통한 ‘근대역사문화공간’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시민들의 참여를 통한 ‘근대역사문화공간’의 활성화가 ‘역사적 경관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근대역사문화공간’의 ‘역사적 경관’을 이루는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찾아내고 시민들과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은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곳으로 상업이 발전한 ‘원도심’에 위치한다. 이런 이유로 가로변을 따라 상업건축물이 발달해 있고, 가로변에 접한 전체 건축물 103개동 중 81개동인 78.6%가 상업건축물이고 상업건축물의 입면이 ‘주된 가로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업건축물의 입면을 구성하는 형태, 마감재를 분석 연구를 통해 ‘주된 가로 경관’을 구성하는 상업건축물 입면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알아보았다. 상업건축물의 입면연구는 입면형태와 마감재를 시대별 유형으로 분류하고 제도, 기술, 재료산업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시대별 변화의 원인과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된 대한건설협회에서 1962년 발간한「월간 거래가격」은 각 연도별 유통되던 건축마감재의 종류 및 규격을 확인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건축시기 또는 마감재 변경시기를 유추할 수 있어 근․현대 건축물의 입면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 자료는 창고에 책으로 보관되어 있을 뿐 정보를 전산화하지 않아 정보활용에 어려움이 있고 1962년부터 발간된 오래된 자료이어서 보존이 시급하다. 이 연구를 통해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 일대의 상업건축물 ‘입면형태’ 및 ‘마감재’와 ‘구조방식’이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건축의 변화와 발달사를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업건축물의 ‘입면형태’와 ‘마감재’가 ‘역사적 경관’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만, 81개동 중 31개동인 41.9%의 상업건축물은 ‘익산 솜리 근대역사문화공간’ 구역에 속하지 않는 건축물이어서 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역사적 경관’을 보존하기 위해 31개동 건축물이 포함되도록 ‘구역의 확대 변경’과 상업건축물의 입면형태와 마감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면작성 과 사진기록’ 그리고 ‘관리 매뉴얼 수립’ 등 보존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