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살인범죄 현장행동의 요인분석

        고선영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32319

        Of all major crimes, homicide investigation requires the greatest effort on the part of the Police. And the investigator is responsible for collecting a vast amount of evidence and coordinating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sources(Fisher, 2004). Fortunately, FBI's classification system of homicide, establishing a classification system of homicide crime scenes and related offenders can go beyond mere experience by making use of more rigorous scientific approach and studying the principles that underpin this system(Salfati, 2000). This study aim that what's component of crime scene behavior of homicide in Korea, how can classify in thematic behavior from crime scene behavior of homicide. So this study execute confirmatory analysis. Data for analysis use 543cases of murder and attempted murder, 2006-2010 and analysing execute by crime scene behavior variable of 33. As result, it's appropriate distribution of three region rather than distribution of two region(expressive vs instrumental)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irst is the Expressive_Disorganized Homicides, including most of cases and it's not different in murder weapon and injury position. For example, victim caught a glimpse of the someone(Offender) on walk on the street accidently, and insults a offender to make a meagre living. Homicide precipitated altercation or argument. Second, it's include motive of expressive, but offender may have been anticipating a confrontation with the victim and/or had previous experience relating to violent confrontation. This region shall be called Expressive_Organized Homicedes. These behaviors suggest a prio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es or at least suggest that offender knew the victim to so extent and including a professional offender. Last is the Instrumental Homicides with Sexual crime. Distributing on three region of data, forensic awareness play the role of locomotive. This action have been regard as instrumental action. But wether or not influenced by TV shows such as CSI or Law and Order, contemporary people is now more aware of these forensic techniques(Stevens, 2008). So, in the strategy with how exits the crime scene and attempts the avoid detection(Cornish, & Clarke, 2002), the offender try to forensic awareness behavior on crime. Therefore forensic awareness behavior imply the effect of disinhibitors. In other words, it can be increase that possibility, general people do homicide. Consequentially, generalization of this behavior can distribution between Korea' crime scene behavior of homicide and the others, in theoretical and investigative. Hereafter, the study need to analysis with whole homicide crime cases and apply to substitution in three themes. Besides, it's necessary to study of relation between alcohol and feature of homicide crime, get wired DB on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feature of homicide offender. Key-words : Offender classification, Crime scene behavior of Homicide, Murder of expressive vs instrumental, Forensic awareness, the effect of disinhibotor. 모든 주요범죄 중 하나인 살인 수사는 경찰력의 가장 커다란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수사관은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방대한 양의 증거와 조직화된 정보를 수집해야 할 책임이 있다(Fisher, 2004). 다행히도, FBI의 범죄자의 분류체계는 살인범죄 현장과 관련된 범죄자들의 분류체계를 설계하는 데, 좀 더 엄격한 과학적 접근과 이런 절차를 지지하는 원리에 대한 연구에 의한 소소한 경험을 뛰어넘을 수 있게 해준다(Salfati, 2000). 본 연구는 국내 살인범들의 현장행동과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범죄현장행동의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그러한 행동적 변수가 어떤 테마의 요소로 묶이는 지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43건의 살인 및 살인미수 사건을 33개의 행동변인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2개의 영역(도구적 vs 표출적)으로 구분하기보다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의 대부분을 포함하면서 범행도구 및 상해부위 등의 행동변수가 특별한 구별 없이 공존하는 표출_비체계적인 살인이 그 첫 번째 영역으로, 길을 가다가 쳐다봤다거나 돈을 못 벌어온다는 등의 모욕적인 말에 격분하여 아내를 죽이는 등 시비가 촉발되어 살인의 결과로 나타난 집단을 설명한다. 두 번째는 표출적 동기에 해당하기는 하나 범죄자가 어느 정도 피해자와의 부딪힘을 예상했거나 과거 폭력적 대결 경험이 있는 범죄자들에 의한 살인 범죄에 해당하는 행동변인으로 구성된 영역이다. 이 영역에는 범행 전에 살인 범죄자와 피해자가 아는 사이 혹은 범죄자가 어떤 식으로든 피해자를 알았을 경우와 전문 범죄자가 포함될 것임을 제안하게 한다. 마지막은 성적 행동과 관련되어 살인이 일어나는 도구적 살인집단이 해당된다. 국내의 살인 자료를 3개의 영역을 구분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한 행동변수는 법적 인식행동이다. 이 행동은 과거 도구적 공격의 행동변수로만 여겨져 왔다. 하지만 CSI나 Law and Order와 같은 TV쇼의 영향을 따지지 않더라도 현대인들은 이런 법적 기술에 대한 인식을 지니게 됐으며(Stevens, 2008), 따라서 범죄에서 빠져나갈 때와 수사를 피하기 위한 전략(Cornish, & Clarke, 2002)적인 측면에서 범행 중 법적 인식행동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이는 법적 인식 행동이 살인범죄에 대한 탈억제 효과(Beauregard, & Bouchard, 2010)로 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달리말해 일반인들의 살인범죄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행동의 보편화는 국내 살인범죄의 현장행동을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개념적으로나 수사적인 면에서의 구분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향후, 모든 살인범죄 사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실제 사례를 3가지 주제별로 적용하여 검증해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외 알코올과 범행특성간의 관련성, 살인 범죄자의 심리적, 사회 문화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범죄자 분류, 살인범죄 현장행동, 표출적 및 도구적 살인, 법적 인식, 탈억제 효과

      • 성적살인범죄자의 프로파일링을 위한 범죄현장 행동 유형 분류 및 동기ㆍ심리 차이분석

        공은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15919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최근에는 범죄 현장에서 관찰 가능한 범죄자의 행동 특성을 중심으로 범죄자의 유형을 분류하고자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성적살인범죄자의 프로파일링을 위한 범죄 현장 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범행 동기 및 심리적 특성, 범행 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검거된 성적살인범죄자 110명의 사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와 자료 분석을 통해 40개의 행동변인에 대한 다차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살인범죄자의 유형이 표출적/충동형, 도구적/성욕추구형, 도구적/인지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3가지 유형에 따른 범행 동기를 살펴본 결과 표출적/충동형 유형은 충동적으로 범행을 하였으며, 도구적/인지형 유형는 상황적 동기에 의한 범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유형별로 심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PAI 성격 검사 결과의 하위 유형별 차이분석을 한 결과 표출적/충동형 유형이 도구적/인지형 보다 망상척도와 음주문제 척도, 비지지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별 범행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에서는 표출적/충동형 유형은 특정인에 대한 충동적인 범행이 많으며, 살해 시 주로 손으로 목을 조르는 방법을 택하며, 범행 후 현장에는 유류 지문이 남아있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살인을 하는 순간은 충동적이고 우발적이지만 살해 후에는 증거 인멸을 시도하는 등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특성이 나타났다. 도구적/인지형 유형은 사전에 범행을 계획하고 도구를 준비하며, 범행 대상자를 물색할 때 주로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계획적으로 범행을 하며, 범행 장소 선정은 인적이 드물고 침입이 용이한 피해자의 거주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범행 시 피해자를 결박하는 경우가 많으며, 성교 행위는 성공 가능성이 높고, 피해자의 질에 사정을 하며, 범행 후 대부분 금품을 강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살인범죄자의 유형에 따라 제시된 특성을 실제 수사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체발견 형태와 시체훼손 여부, 유류지문의 존재, 피해자의 살해 방법, 피해자 결박 여부, 질내의 사정 여부, 피해 장소에 대한 특성, 피해자 금품 강취 여부 등을 토대로 하여 표출적/충동형 현장 유형인지, 도구적/인지형 현장 유형인지를 판단하여 유형에 적합한 대상자의 범위를 선정하는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성적살인범죄자, 프로파일링, 범죄현장 행동, 유형 분류, 다차원척도분석 Criminal profiling techniques were introduced in Korea in recent years from a crime scene after the observable behaviors of criminals around the types of offenders has continued to attempt to classify.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of sexual homicide offenders for profiling and classifying crime scene behaviors, Type a mo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f crime-related characteristics that are aimed to try. To do this, from January 2005 to March 2011 sexual homicide offenders arrested 110 people were collecting data events, Leading research and data analysis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40 behavioral variables was performed. The findings, type of sexual homicide offenders expressive/impulsive, instrumental/sexuality additional spheres, instrumental /cognitive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seen a motive expressive/impulsive type of crime was impulsive, Instrumental /cognitive type of crime by the situational motivation appeared to be a lot. In addition,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ersonality test results for the PAI analysis of the sub-type, the result of differences expressive/impulsive type instrumental/cognitive scales and drinking problems than the paranoia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non-support measures showed that a high average. Finally, an analysis of each type of crime-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expressive/impulsive type of impulsive crime for any person synaptic, How strangulation murder when, after a crime scene remains in the fingerprin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murder of these impulsive moments after the accidental murder, but to attempt to destroy evidence showing such a stable shape are characterized. Instrumental/cognitive type of crime in the pre-planning and preparation tools, and When shopping for a crime subject is primarily intended for an unspecified crime intentionally, and The selection of rare and invasive crime scene recognition, easy to choose the residence of the victim showed. They bound the victim during the crime that is often, Sex acts with high potential for success, Matter the quality of the victim, and after the crime showed that most of the money. Keywords : sexual homicide, profiling, typology, crime-scene behaviors, M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