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情報通信産業에서 企業規模와 硏究開發의 關係

        양소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들어 생산요소 가격의 상승과 대외 경쟁력 악화 등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미래 정보화 사회를 구현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어 지는 첨단 정보통신산업은 타산업과는 달리 기술적·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반면 투자규모가 크고 투자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혁신행위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를 선도할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건의 구명과 환경조성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개발에 관한 개념을 기술혁신과 연관시켜 기술혁신 과정상에 있어 연구개발의 위치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에서 기업규모와 연구개발활동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슘페터 가설에 입각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1990년, 1992년, 1994년 산업별, 기업별 횡단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출액과 종업원수, 자본금의 기업규모변수와 연구개발투자와 연구개발인력의 연구개발의 투입측면의 변수를 사용하여 비대수형과 대수형 모형을 추정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에 속해 있는 기업들을 대기업군과 중소기업군으로 나누어 어느 쪽이 연구 개발에 더 적극적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년도 모두 기업규모가 커짐에 따라 연구개발투자가 증가한다는 슘페터 가설은 기각되었다. 즉,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에서는 기업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그 규모의 증가분만큼 연구개발노력은 증가하지 않으므로, 대규모라는 조건이 연구개발노력을 촉진하는 동기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 어느 쪽이 더 적극적인가를 보면 1990년의 경우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행태가 동일하여 어느 쪽이 더 적극적임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1992년과 1994년의 경우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연구개발에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서 그동안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의 기술개발이 대기업 위주로 편성되었고, 기술력이 취약한 국내 중소기업이 독자적으로 기술개발을 하기에는 아직까지 여러 면에서 애로를 겪고 있는 상황하에서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R&D activies will change when the firm size increases in the Korean Infomation &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approach used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it tried to clear the concept and role of R&D i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ts relationship. Second, it adapted various indexes for measuring firm size, such as the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he assets, and for measuring R&D activities such as the R&D investment and the number of researchers. Third, it employed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R&D expenditure in the Korean Infomation & Telecommunication Industry. And also dividing into two group(large firm group and small-midium firm group), it anaiyzed which one was more positive in R&D activites. In the empirical analysis, it used non-logarlithemic linear, and logarlithemic linear, simple regression models that were introduced to test the Schumpeterian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firm size increases, R&D activities related to the firm size do not increase. Accordingly, the Schumpeterian hypothesis that R&D activies become more active as the firm size increases is not applied to the Korean Infomation & Telecommunication Industry. But R&D activities in large firms are more lively than those. of small ones.

      •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정보통신부문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박미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in KSIC(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KSIC was established in 1963 based on United Nation's ISIC. Therefore build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has become a top priority in order to understand conception and specificity and to support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dustry. Following this trends, this study looks at the prospects of the industry in Korea, compares KSIC with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s of other countries, and presents issues and problems of the system. The prospects of the Kore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s based on the data at ITMSG(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Group) in ETRI(Electronics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And three classification systems recognized by international are selected for this study : United Nation's ISIC(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OECD's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and United States' NAICS(North America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United Nation's ISIC and OECD's ICT classification system are very widely used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used by more than te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NAICS is selected for referring to trends of an industrially developed country like United States. The main problems of KSIC are as follows : 1) The classification is twofold : "Information Industry",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2) A content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independent : Content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belongs to Informatio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3)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of KSIC is slow in development and progress : it didn't reflect the importance of the industry until its 8^th revision in 2000. 4) Since the KSIC considers only one criterion of UN's ISIC, it doesn't reflect the current trends properly. 5) KSIC didn't add new industry items that would help lead the Kore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the future. Following the five problems listed above, proposed ways of improvement as follows : 1) Two classification system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of KSIC have to be integrated into one system after considering market data and demand survey. 2) To build contents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as an independent system like OECD's contents industry classification and NAICS's Information sector classification system. 3) To continuously updata the classification system. 4) To reflect other advanced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OECD's ICT, and United States' NAICS. 5) To consider wider classific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as United States did with Mexico and, Canada in establishing NAICS. In the end,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ctor of KSIC and helping to conduct systematic research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 방위산업기술정보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허아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is a science and technology that is needed for research, development, production, etc. of defense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are not protected from secrecy because it can be secured someday if research and development is done by investing manpower and budget.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the leakage of technology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legal provision to clearly regulate the defense of defense technology related to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so a separate legal basis is needed.   Unlike general industrial technology, defense industry technology is directly linked to national security, so every country in the world is making efforts to protect technology as much as securing defense technology. Until recently, defense technology in Korea has been manag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laws such as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ct', 'Foreign Trade Act' and 'Act on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Leakage of Industrial Technology'. Therefore, it was enacted in June 2016 as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December 2015.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on the classification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and the classification of defense industry technolog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of technical information of defense industry by comparing Korea and US national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We have proposed a classification system that classifies defense technology information as classified information, controled technic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and designed classification criteria of controled technical information. 국방과학기술은 방산물자를 연구개발·생산 등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이다. 과학기술은 인력과 예산을 투자하여 연구개발하면 언젠가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비밀과는 달리 보호한다고 보호되는 것은 아니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기술의 유출 방지와 보호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지만, 방위산업기술과 관련된 국방 과학 기술의 보호에 대해 명확히 규율할 구체적인 법 규정이 없어 이에 대한 별도의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방위산업기술은 일반 산업기술과 달리 국가 안보에도 직결되는 만큼 세계 각국은 방산기술 확보 못지않게 기술 보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까지 방위산업기술이 ‘방위사업법’, ‘대외무역법’ 및 ‘산업기술의 유출 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등 여러 법률에 따라 관리되었고, 기술 유출 시 처벌할 수 있는 규정은 미흡하였다. 이에 2015년 12월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이 제정되면서 2016년 6월 시행되었으나 방위산업기술 식별 및 방위산업기술정보 분류에 대한 지침이 부재하여 대상기관에서도 보호체계의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국가정보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방위산업기술정보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방위산업기술정보를 비밀 정보, 통제기술정보, 일반 정보로 분류하는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고 통제기술정보의 등급 분류기준을 설계하였다.

      • 컨텐츠産業의 活性化를 위한 政府와 民間의 役割에 관한 硏究

        전희진 中央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based upon the Information Infra is rapidly developing as a leading industry representing Information Era in a worldwide scene, owing to the rapid growth of technology, integration of broadcasting media, high level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arious communication tools.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 21st century requires information that is applicable to the maximized multimedia factors rather than a single information contents service, and therefore the digital contents will be more powered in communicating informations.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 the contents is developed as information or message that is basically connected with media. The technical characteristic of changed media environment thought up the importance of content industry. Contents is related to information or entertainment industry expressed in different ways like drawing, letters, cartoons and marks. The contents is included in excising information industry as industrial classification. It is illustrated as two catagories, First, as separate form like publishing, video records service is communicated according to a specific information form and characteristic. Second, separate informations are integrated to a form of digital technology and provided on a network. The necessity of contents is increased, first, as various media is developed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more sophisticated. Second, the advent of superhighway and the merge of media through digital technology lead to integration of media industry. Third, the expansion of content industry is strongly needed, because the development of media-oriented and its transferability of contents makes domestic market being more easily dominated by foreign transnational companies. As these factor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industry, it is necessary that roles of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required for activation of content industry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established at a theoretical level, desirable pattern for roles of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And then,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this study tried a piled survey to examine a roles of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in detail. With a theoretical and field survey , this thesis attempts to a suggest more desirable mix of role patterns for both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ntent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hat role of government as a sponsor, mediator and user and the role of private sector as an issue generator, information provider, alternative provider and monitor should be properly pursued and effectively established. 초고속 정보통신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컨텐츠는 기술의 신속한 발전, 방송통신의 융합, 통신기술의 고도화,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다양화 등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초고속 정보통신시대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 발전하는 정보통신 인프라에 컨텐츠산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여 줌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초고속 환경하에서의 컨텐츠산업 적응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실제적으로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단일한 형태의 정보컨텐츠 서비스보다는 멀티미디어 요소를 최대한 활용한 정보, 즉 디지털 컨텐츠가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렇듯 유용한 컨텐츠산업 분야의 향후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서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컨텐츠산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 정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산업이건 산업의 종류와 규모를 불문하고 그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산업의 두 중심축을 지탱하고 있는 정부와 민간의 역할과 그들간의 상호협조관계가 명확히 이루어질 때만이 바람직한 방향이 비로소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바탕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엇보다 컨텐츠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담당해야 할 역할의 유형과 내용을 보다 정확히 규명해 내고자 하는 것인데,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먼저 컨텐츠산업의 특성을 밝히고, 그러한 컨텐츠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 유형을 이론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컨텐츠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담당해야 할 주요 역할들과 민간부문이 담당해야 할 역할 유형을 탐색?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정부의 지원적 역할은 물론이고, 컨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적 참여와 관련되는 민간의 참여역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먼저 정책 현실과 학문적 관찰의 결과를 살펴보는 이론적 역할 유형의 탐색에 이어, 역할 유형의 바람직한 모습 또는 실제적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당사자들에 의한 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부의 후원자, 조정자, 사용자역할과 민간의 이슈생산자, 정보제공자, 대안제시자, 감시자역할의 적절한 배합과 바람직한 역할 정립을 모색함에 본 연구의 주된 의미가 포함되는 것이다.

      • 情報通信産業의 技術移轉類型 決定에 미치는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楊延稙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I. Introduction This paper describes what factors would exert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introducing from foreign countries in Kore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dustries, to what extent influence of the factors are, and whether the achievements of technology transfer are high or not. In order to set up a model in analyzing the factors and the achievements, the paper reviews the existing theories and extensive paper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type of technology are classified as four groups: technology introducer, technology provider, technology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achievements of technology transfer, achievements are divided into technological and commercial achievements, and then variables of each group are set up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type of technology transfer. II. Empirical Evidence As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came to the meaningful conclusions. First of all, concerning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on communications industry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echnology introducer factors,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bility for the introducing technology has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e technology assimilation ability of introducers, so far as introducers adopted a license, has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e technology transfer/introduction experience does not affect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With regard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bility of technology introducer, information recognition ability concerning with the technology transfer has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shows that introducers could adopt effective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select a proper technology introduction line and achieve an objective of technology transfer. In addition, as for the fact that the technology assimilation ability and technology transfer/introduction experience in non-adoption companies does not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it is because of the enhancement of the technical capability for the information assimilation ability and the auxiliary ability for the technology transfer/introduction. Second, among the technology provider factors, the degree of profit pursuit and the market share of transferred technology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he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shows a reselling concept,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international technology market. In addition, the degree of control for the transferred technology in non-adoption companies does not affect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implies that while technology transfer is agreed upon the negotiation and the terms and conditions between provider and introducer, in the course of adoption of proper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partial dissatisfaction between the parties can be removed. This is why the degree of control is not a real affecting factor. Third, with regard to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 factors,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the technological gap for the transferring technology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implies that in the fierce competition of information industry individual companies consider the technology as a strategically important asset. Fourth, a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volume of technology market, the commercial possibility of a transferred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n other industries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suggests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broad effect on the decision. Moreover, the paper analyzes the achievements resulting from the technology transfer in Korean information industry.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have an effect on the technological achievement factors such as the reduction of development period of new products, achievement of planned technological objective, and enhancement of product performance. As for the commercial achievement factors, only the licensed technology transfer among others has an effect on the profit growth rate and the market share growth rate. This implies, as in the previous analysis, that the history of answered companies was relatively short and the technology was recently introduced. Also, the achievements may not be evaluated in short period but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after a long period of technology accumulation. III. Implications This paper dares to present some suggestion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licenses and technology training patterns are more likely to be adopted than joint ventures in technology introduction patterns from abroad.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prefer to technology accumulations in short terms, fast entry to the market, easy access to technologies, reduction of development cycles. With regard to the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of affecting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information acquirement ability and technology assimilation ability of companies who adopted licenses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implies that the companies are required to enhance information recognition ability and technology assimilation ability. Furthermore, the res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have caused the aggressive competitions and M&A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ompanies have to put more efforts in enhancing the information acquirement ability for the desired technology and copying with fast changing environments such as technology and deman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s for the technology provider factors, the level of profit pursuit, the market share for the transferred technology, and the degree of control for the transferred technology of the license-adoption companies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suggests a company have to consider the various resources of technology acquisition based on the exact analysi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echnology, the position as its technology life cycle, the technology level of itself, reasonable costs of technology introduction.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technology gap of the transferred technology given in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 factors hav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implies that the technology itself is critical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strategy planning. The reaction to the fast changing technologi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pattern such as the maturity, the degree of influence in competition position become more important. The need for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is highly required in the light that information industry is an advanced and highly intensive technolog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volume of technology market, the possible success of the transferred technology, the affect on other industries are adopted as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This suggests that due to the deregulation and the increasing competition of recent information market, technology innovations and policies be highly required to properly face with new competition environment. With regard to the implications of achievements caused by the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ical achievement factors such as the reduction of development period of new products, the achievement of a planned technical objective, and the enhancement of product performance have an effect on the technology achievements. This suggests that Korean information related companies are estimated on high level having advanced technology in some extent. In view of commercial achievement factors,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achievements excluding the companies that adopted licenses. This implies that at the present tim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whole information industry other than the partial evaluation of achievements of individual technology. Putting the above mentioned implications together, relatively more various factors exert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and the achievements of technology transfer in the companies which adopted licenses than on that of non-adoption companies. The higher the utilization ability of introducers and the lower the degree of control/limit of providers, the more the companies prefer to licenses. With regard to the analysis in the achievements of technology introduction such as the technological and commercial achievements, it shows that there are only technological achievements for the companies who adopted a joint venture and technical training. For the companies who adopted a license, it proves that there are commercial achievements as well. This suggests that it would be a useful result of a short-term technology accumulation and a fast market entry through a license in the light of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industry with a fast innovation and a short product life cycle. Therefore, Korean companies in the future would have to achieve, through a proper technology introduction line based on their technical ability, efficient and effective technology acquisition strategy by adopting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IV.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research model and methodology. The study could not analyze various patterns of technology transfer. The study was planned to analyze what factors would affect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from abroad, and in turn how the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affect the achievements. However,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analyzing the affecting factors, measuring the achievements, and collecting data owing to the short history of Korean information industry. With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 study, it was difficult to adopt the affecting factors because there are short of existing theories and studies to analyze the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and affecting factor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with a fast innovation and a short-term product life cycle. Also, there was probability caused by subjective answers for the questionnaires in profit growth rate and market share growth rate for transferred technologies. If the study utilized quantitative and precise measuring techniques, the analysis was more accurate for the differences of achievements resulting from the technology transfer. Also, if the answered were not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or answered affecting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its achievements. Some companies often select technology acquisition method such as self-development or acquisition from outside in way of substitute and others use mutual compliment. In view of this, where there are many cases selection both self-development and acquisition from outside though it is same technology, the study did not explain the case. In considering the limitation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toward next studies would b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ng factors and achievements for the technology transfer may not be limited to the technology introduction from abroad. A study on various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between domestic companies, between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domestic companies and their achievements may be carried out. Second, next studies may not finish at the analysis of degree of affecting factors resulting from the decision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but extend to the analysis of technology transfer patterns preferred or adopted by an individual company using each affecting factor group variables. Third, concerning the measurement of achievements caused by the technology transfer, next studies may try to measure the concrete achievements by various variables. Finally, more implications may be found by the adoption of various affecting factors and various analysis methods.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next studies for domestic companies to find out useful implications in their technology acquisition strategy and technology advancement.

      • 지식정보보안산업 고용계약형 석사과정 지원사업 개선방안 연구

        서혜정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IT산업이 발달하고 IT를 기반으로 한 관련 산업들이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우리의 IT의 의존도는 높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IT산업 발달의 이면에는 그에 따르는 부작용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게 되었다. 작게는 타인의 개인정보 도용으로부터, 기업의 회원정보를 경쟁업체에 팔아넘기거나, 또는 기업의 원천기술 유출, 심지어는 국가의 중요 전산망 해킹 등 다양한 수법으로 지능화되고 범죄수준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조직 내․외부의 정보유출 위협들이 증가하면서 동시를 이를 지키기 위한 보안산업 역시 급속이 발전되고 있으며, 보안의 업무도 복잡해 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이 ITU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세계 1위, UN전자정부 평가 세계1위 등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개인정보침해사고와 기업 및 중요 정부기관에 대한 디도스 공격 등의 해킹사고는 끊임 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기능에 대응하여야 할 기업은 위기를 느끼고 있으면서도 그에 대한 대응책은 미비한 수준이다. 이는 보안에 대해 경영진의 이해부족에서 오는 경우도 있으며, 경영진이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예산이나 인력투입의 부족에서 오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식정보보안 고용계약형 석사과정의 개선방안을 목표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용계약형 SW석사과정과 비교 검토해 보고 지식정보보안 고용계약형 석사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 情報通信서비스産業 競爭力强化를 위한 政府役割에 관한 硏究 : 포터의 다이아몬드 模型을 中心으로

        박덕수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정보통신서비스 산업은 독점적 공기업형태에서 민영화, 개방화, 전면적 경쟁도입으로 치닫고 있고, 이용자의 욕구와 권익은 더욱더 신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추세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세계 경제체제의 변화, 그리고 시장의 힘이 혁명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역할의 방향을 다이아몬드 모형에 따라 요소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 산업, 경쟁조건이라는 4가지 조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소조건 발전방향을 살펴보면, 우선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 IT인력의 육성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고속망 고도화 및 정보통신 연구개발 방안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파통신 개발을 위한 방안과 정보통신 표준화를 강구하여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신 개념의 기술과 사업이 계속 수혈되도록 정보통신 관련 벤처기업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벤처캐피탈의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신규 수요의 지속적 창출이 중요하다. 신규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선인터넷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과, 인터넷을 활용한 e-business 활성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용자 이익 및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PC통신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채택하여 데이터 망도 보다 더 활용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은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관련 및 지원 산업의 발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정보통신설비산업의 발전이 없이는 양질의 서비스를 담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설비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정보통신서비스와 통합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하드웨어적 장비의 보완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창출 및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산업 육성방안을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단지를 조성하여 관련 부문간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쟁력강화에 가장 중요한 조건은 경쟁조건이다. 경쟁조건은 다른 조건의 혁신을 유도하고 산업자체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경쟁조건 발전방향은 유효경쟁 시장이 조성되도록 경쟁을 활성화시키되 민간의 자율과 창의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쟁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쟁구조를 유효경쟁이 이루어지도록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효율적인 진입규제 정책이 요구되고, 합리적인 망 세분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인수․합병 및 퇴출 제도를 개선,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유효경쟁을 조성하기 위한 행태 규제인 사전적 규제와 사후적 규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불공정행위 등을 제어함은 물론 사전적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효율적 규제기관이 요구되므로 통신위원회의 위상과 기능을 발전적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경쟁력강화를 위한 4가지 조건은 상호간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정부는 4대 조건이 선순환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정보통신서비스산업 전체를 통괄하는 통합적 시각을 갖고 시장에 개입해야 한다. 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첫째,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4대 조건별 주요 요소를 특화 발전시켜야 하고, 둘째, 정부규제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필요시 경쟁자간 관련 산업간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하고, 넷째,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유인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첨예한 경쟁이 지속되는 시장구조를 조성해야 하고, 여섯째, 반경쟁적 행위를 차단해야 한다. 일곱째, 경쟁구도가 정착되면 정부규제를 완화하여 민간의 자율과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해야 한다.

      • 한ㆍ미 정보보호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원종성 高麗大學校 情報保護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은 국내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여 국가차원의 핵심적인 전략산업으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보안 산업은 세계수준의 기술력으로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시장 진출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정보보호 시장은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IT 인프라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며 인터넷 활용이 높아지고 있는 신흥 개발도상국들의 관심도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정보보호 시장은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클 포터의 다이몬드 모델을 이용하여 정보보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위한 정보보호산업의 국가경쟁력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정보보호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개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산업발전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기업전략과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한 개인의 의견을 제시한다.

      • 정보산업 공급자 분석 모델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허남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0년대 중반 이후 e-Business열풍과 함께 정보산업이 급속히 발달하고, 그 규모가 커져가고 있다. 가트너 그룹은 정보산업이 향후 매년 두 자리수의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와 맞물려, 정보산업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와 이들 제품 및 서비스를 도입하여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고객의 수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정보산업 기업에 대해 분석 및 평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평가 모델들은 주로 프로세스나 고객 만족도, 재무 등의 단일 평가 기준을 가지는 모델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모델들은 기준으로 삼고 있는 해당 평가 관점에서는 적절한 평가가 가능하겠지만, 오늘날과 같이 기업 내·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적용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 특히 정보산업 공급자에 대한 다양한 분석 요소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산업 공급자 분석을 위해 필요한 요소(데이터)로 재무, 인적자원, 기술력, 시장가치, 고객만족도 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항목 별로 요구되는 세부 분석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개발된 분석 모델을 각 업종 별로 적용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SI/Consulting 업종을 선정, 해당 업종의 고유 특성을 반영한 SI/Consulting사업자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고, 아울러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정보산업을 단순히 제조업과 동일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여, 공급자 관점에서 정보산업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정보산업 공급자에 대한 다양한 분석 관점을 가진 모델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모델들은 재무, 프로세스 성숙도 또는 고객 만족도 등 단지 하나의 분석 관점을 가지는 모델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 특히 정보산업 관련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가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현실에서 분석 결과에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범용적인 정보산업 공급자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정보산업 각 업태 별로 적용 가능한 특화 모델의 개발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을 통하여 정보화에 관심이 있거나, 실제로 추진하고자 하는 잠재적 고객에게는 적절한 공급자 선정을 위한 참조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고객에게는 계약 연장 여부와 관련된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으며, 주주에게는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산업 공급자에게는 현재 자신의 위치를 진단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여,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formation industry with e-Business' strong wind is developing rapidly and the scale is growing since the mid-1990s. Gartner Group forecasts that the size of information industry may show increasing more than 10 percents every year. The number of suppliers that provide information industry products and customers that propel informatiz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reby, the research on analysis and estimation of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s becomes lively. So far, analysis models that have only single view-point (process, customer satisfaction, finance) were most. These models have a limitation of adaptability in actuality that various factors that is enclosing corporation like today are acting each other intricately. Therefore, Systematic and synthetic model that consider various factors about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 is necessary. This paper suggests analysis elements (ex. Human resource, Technology, finance, Market value, Customer satisfaction) that is required for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s analysis. With this, this paper suggests analysis model for SI/Consulting enterprises. Th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First, overcome existing model's limitation which analyze information industry from simply manufacturing industry viewpoint and suggests analysis model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industry in supplier viewpoint Second, suggests model that has various analysis viewpoint about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s. Third, based on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 analysis model that i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models(ex. for SI/Consulting enterprise, S/W vendors ) is possible. The model that is suggested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model for suitable supplier selection to potential customers and can help decision-making related to contract extension to present customers, and supplier information for reasonable investment decision-making to stockholders. Also, the model can help diagnosis of current competitiveness, and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and planning for future to information industry suppl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