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lorhexidine 적용이 근관와동내 axial dentin에 대한 resin core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43

        근관치료한 치아에서 부적절한 수복은 근관계의 재감염을 일으켜 예후를 감소시키게된다. 근관치료한 치아를 컴포짓 레진으로 수복시 상아질에 접착하고 파절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시간에 따라 결합력이 약화내어 지속성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Chlorhexidine은 레진-상아질 결합 감소를 억제하여 결합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와동 내에서 Chlorhexidine 적용여부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거된 대구치를 대상으로 치수강이 노출될 때까지 치관부를 제거하고 백악-상아질 경계에서 2mm 하방으로 치근부위를 제거한 후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수강벽을 편평하게 삭제하였다. NaOCl을 40분간 치수강 내에 적용한 후 Chlorhexidine 적용 유무와 bonding system에 따라 다음의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1) Priming; (2) CHX15sec+rinsing+priming; (3) Etching; (4) Etching+CHX15sec+rinsing 처리를 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그룹1과 2는 Conxtax (DMG, USA)를, 그룹 3과 4는 Adper Single Bond 2 (3M ESPE, USA) 도포 후 Luxacore (DMG, USA) 를 사용하여 근관와동을 충전하였다. 각 실험군의 절반은 즉시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 나머지 절반은 10,000회 열순환 후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Three-way ANOVA,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순환 전 미적용군과 비교시 Chlorhexidine 처리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2. Chlorhexidine 적용시 열순환 후 미적용군에 비해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감소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각기 다른 Bonding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 두 system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근관와동에 CHX(15sec)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Bonding system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pulpal wall에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비슷한 이유를 증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CHX 적용 후 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 접착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hlorhexidine with different resin systems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μTBS) to dentin in endodontic cavitie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endodontic cavities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self-etch adhesive system, Contax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after: (1) Priming(Contax); (2) Chlorhexidine(CHX) 15sec + rinsing + priming + (Contax); (3) Etching(Adper Single Bond 2); (4) Etching + CHX 15sec + rinsing(Adper Single Bond 2).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constructed with Luxacore(DMG, USA)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s.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as immediately submit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half of them was submitt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 and 55°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ree-way ANOVA test, two-way ANOVA test, one-way ANOVA test, Independent t-test at a siginificance level of 95%.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resin categories.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was found in no CHX treatment group, both self-etch adhesive system and total-etch adhesive system.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2% chlorhexidine 15s application proved to preserve the durability of hybrid layer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otal-etching system and self-etching system when they are applied to pulpal wall dentin

      • Effect of Chlorhexidine Application Tim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Dentin in Class I Cavities

        강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227

        성공적인 초기 결합에도 불구하고 접착계면의 내구성은 물리적 그리고 화학적 요소의 공격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 문제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최근 Chlorhexidine은 레진-상아질 결합 파괴를 억제하여 결합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2% Chlorhexidine 의 60초 적용이 추천되고 있는데, 이는 임상가에게 번거로운 과정으로 여겨질 수 있어 단순화 과정이 요구되어 짧은 시간의 Chlorhexidine 적용으로도 결합내구성이 유지되는지 의문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아질 변연부로 이루어진 I급 와동에서 Chlorhexidine 적용시간이 미세인장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발거된 대구치를 대상으로 4 mm x 4 mm x 2 mm 크기의 I급 와동을 형성한 후 상아질 표면을 Chlorhexidine 처리방법에 따라 다음의 5개군으로 분류하였다. (1) Etching; (2) Etching+CHX5sec+rinsing; (3) Etching+CHX 15sec+rinsing; (4) Etching+CHX30sec+rinsing; (5) Etching+CHX60sec+rinsing (대조군) 처리를 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Adpter Single Bond 2 (3M ESPE, St. Paul, MN, USA) 도포 후 Z-250 (3M ESPE, St. Paul, MN, USA) 을 사용하여 와동을 충전하였다. 각 실험군의 절반은 즉시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 나머지 절반은 10,000회 열순환 후 미세인장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Two-way ANOVA, One-way ANOVA, Independent-t-test 이용하여 95% 유의 수준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열순환 전 대조군과 비교시 Chlorhexidine pre-treatment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가 없었다. 2. 10,000번의 열순환 후, 대조군에서는 결합강도의 감소가 보였으나 Chlorhexidine 적용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3. 각기 다른 시간 Chlorhexidine을 적용했을 때, 적용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짧은 시간 (5sec) CHX 적용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5sec 적용시 미세인장결합강도 유지에 대한 확신을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장기간 보관 후 CHX 적용시간에 따른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변화나 in vivo 연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lorhexidine(CHX) with different application time on microtensile bonds strength (μTBS) to dentin in class I cavities. Flat dentinal surfaces with class I cavities (4 mm long, 4 mm wide, 2 mm deep) in 40 molar teeth were bonded with etch-and-rinse adhesive system, Adper Single Bond 2 after: (1) Etching only as a control group; (2) Etching + CHX 5sec + rinsing + etching; (3) Etching + CHX 15sec + rinsing + etching; (4) Etching + CHX 30sec + rinsing + etching; (5) Etching + CHX 60sec + rinsing + etching.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constructed with Z-250 (3M ESPE, USA) using a bulk method and polymerized for 40s. For each condition, half of the specimens were immediately submit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for evaluation and the rest of them were assigned to thermocycling of 10,000 cycles between 5°C and 55°C before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 test, One-way ANOVA , Independent-t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95%.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at the immediate testing period, regardless of application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after 10,000 thermocycling,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was found in control group.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Chlorhexidine 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in vitro bond strength of specimens tested before thermocycl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After 10,000 cycles of thermocycling, resulted in significant bond strength reduction in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 reduction in groups treated with chlorhexidine. (p < 0.05) 3. Consider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bond strength after thermocyc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s treated with different application time of chlorhexidine. (p < 0.05)

      • (The) effect of additional etching on the marginal adaptation of self etching adhesives : evaluation through thermo-mechanical loading

        정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5 국내석사

        RANK : 200492

        이 실험의 목적은 추가적인 법랑질 부식이 자가 부식 접착제를 사용한2급 MOD 와동의 복합 레진 수복물의 변연접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발거된 치아에 Clearfil SE Bond또는 Tyrian SPE & One Step Plus를 사용하여 Heliomolar HB를 충전하였으며, 사용한 접착제와 부가적인 산부식의 유무에 따라 4가지 군(군 1: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 군 2: 법랑질을 35 % 인산으로 부가적인 산부식을 한 후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 군 3: Tyrian SPE & One Step Plus를 사용한 군, 군 4: 법랑질을 35 % 인산으로 부가적인 산부식을 한 후 Tyrian SPE & One Step Plus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구강저작재현장치를 이용하여 5.0g의 하중을 720000회 (분당 120회) 주었고, 동시에 5℃와 55℃의 물을 교대로 치아에 총 6000회 주사하였다. 실험 전, 후 변연접합도를 전체와 부위별 변연으로 나누어서 x200 배율의 디지털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변연은 교합부 (OE), 법랑질의 수직 변연부 (VE), 법랑질 치경부 변연부 (CE)와 상아질의 치경부 변연부 (CD), 네부위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전체 변연접합도에서와 부위별 변연접합도에서의 저작재현장치 적용 전후의 분석은 paired t-test로 하였고, 추가적 산부식 유무의 차이, 재료별 차이(Clearfil SE Bond, Tyran SPE & One Step Plus)와 부위별 차이(OE, VE, CE, CD)는 3 way ANOVA로 분석 후 Ducan’s Multiple Range Test로 다중비교 하였다. 상아질의 치경부 변연부와 다른 부위와의 비교를 위하여 1군과 3군에서 2-way ANOVA를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는95%의 신뢰성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전체와 부위별 변연 모두에서 재료나 추가적 산부식 유무에 따른 변연접합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군에서 저작재현장치 적용후 법랑질 수직변연부는 다른 부위보다 낮은 변연접합성을 보였고, 상아질 치경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높은 변연접합성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adaptation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bonded with self etching adhesives, to those pretreated with 35 % phosphoric acid prior to bonding with self etching adhesiv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class II MOD cavities prepared in 28 extracted human lower molar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was bonded with Clearfil SE Bond, group 2 was pretreated with 35 % phosphoric acid before bonding with Clearfil SE Bond, group 3 was bonded with Tyrian SPE & One Step Plus and group 4 was pretreated with 35 % phosphoric acid before bonding with Tyrian SPE & One Step Plus. All cavities were filled with Heliomolar HB. Each specimen went through thermo-mechanical loading (TML) which consists of mechanical loading (720,000 cycles, 5.0kg) with the speed of 120rpm for 100hours and thermocycling (6000 thermocycles of 5 ℃ and 55 ℃). The continuous margin (CM) (%) of the total margin and regional margins (occlusal enamel(OE), vertical enamel(VE), cervical enamel(CE), and cervical dentin(C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ML under a x200 digital light microscope. Paired t test was used to assess the CM (%) before and after TML. 3 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3 variables, pretreatment conditions (with or without pretreatment), type of bonding agents (Clearfil SE Bond, Tyran SPE & One Step Plus) and tooth regions (OE, VE, CE, CD) on the CM (%).Within the group 1 and 3, 2-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bonding agents and regions (OE, VE, CE, CD) on CM (%). All statistical tests were carried out at the 95 % level of confidenc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pretreated and non-pretreated groups, neither between Clearfil SE Bond and Tyrian SPE & One Step Plus, in any tooth region. Before TM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within the same region, except the VE region between group 2and 4, which showed higher CM (%) in group 4 than in group 2. In group 3, the CD region showed higher CM (%) than the OE region and the VE region (Fig. 7, Table 4). After TML, vertical enamel regions showed lower CM (%) and cervical dentin regions showed higher CM (%) compared to other tooth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