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청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들어 다문화가족이 경험하는 언어적인 특수성을 긍정적 자원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면서 정부는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추진 중인 다문화가족 자녀 이중언어교육 지원 사업은 주로 학교를 중심으로 이중언어 강사의 양적 확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중언어로 선호되는 주류언어의 언어구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외의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이 경험하는 가족 내 이중언어가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건강한 민족정체성 형성을 돕는 등 ‘문화사회화’로서 가지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화사회화 과정의 일부로 다문화가족 내에서 이중언어를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부·모 모두가 협력적으로 이루어야 하는 사회화과정이다. 또한 이중언어로 선호되는 언어가 아닌 한국사회에서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받지 못하는 동남아출신 어머니의 모국어는 언어구사능력을 위한 교육의 의미보다 문화전수과정으로서 가지는 의미가 더 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부모가 가족 내에서 이중언어 사용에 대해 격려하고 교육하는 것을 ‘이중언어사회화’라고 명명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중언어사회화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여러 심리사회적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자신의 문화적 배경, 즉 자신이 다문화가족의 자녀라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외국출신 부모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특별히 중요하고 여러 위기상황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외국출신 부모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출신 아버지와 동남아출신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족의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 각각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어머니와의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의 청소년 자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그 중 만 9세에서 만 17세에 해당하는 청소년 318명에 대한 자료를 통해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측정모형 검증과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출신 아버지가 가족 내 이중언어 사용에 대해 격려할수록 동남아출신 어머니가 자녀에게 이중언어를 교육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한국출신 아버지의 이중언어사회화는 청소년 자녀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데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때 동남아출신 어머니의 이중언어사회화는 이 경로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둘째,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는 동남아출신 어머니와의 관계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단일문항으로 측정된 변수를 사용하여 타당성에 문제를 가진다는 점과,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와 관계만족도 간 인과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 내 이중언어사회화에 있어 한국출신 아버지의 격려와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변수임을 밝힘으로써 다문화가족 지원에 한국출신 배우자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현재 시행되는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주류언어를 중심으로 언어구사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가족 내 문화전수과정으로서의 이중언어사회화가 가지는 의의를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자가 각 가족 내에서 이중언어 교사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족 환경 조성을 돕는 방향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시행된다면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정체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 교직사회화의 세대 차이에 대한 질적 분석

        우옥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임교사 사회화 과정이 세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직사회화는 세대차이 보다는 경력에 따라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세대에 따라 교직사회화 과정이 실제로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교직사회화는 교사로서 준비·성장하는 모든 과정을 일컫는다. 교직사회화는 개인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먼저 개인적인 차원에서 교직사회화는 교사가 성인으로서 사회화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교직과 관련된 규범, 가치, 태도, 지식, 기술을 능동적으로 배우고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상호작용 차원에 따르면 교직사회화는 교직 구성원으로서 학교 환경에서 기대되는 역할과 직무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되고 있는 과정을 말한다. 교직사회화의 핵심은 개인으로서의 성장과 교사로서의 성장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어떠한 시대를 살아왔는지에 따라 그 노력과 여정은 다를 것으로 가정하고, 교직사회화 현상의 본질을 그 시대를 겪은 교사로서의 성장으로 보고, 교사의 사회화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울산지역에 소재한 9개 중학교에 초임교사 발령을 받고 현재 재직 중인 9명의 중등 교사들이다. 세대차에 따른 중등교사 사회화를 연구하기 위해 민주화 세대(386세대) 교사 3명, 자율화 세대(X세대) 교사 3명, 신인류 세대(N세대) 교사 3명을 선정하였다. 선정 과정에서 다양한 담당 과목과 성별 비율을 비슷하게 고려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그리고 지역에 따른 차이를 가능한 배제하기 위해 울산에서 초임교사 발령을 받았고, 현재도 울산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 교사들로 한정시켰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11월말까지 대상자에 따라 최소 3회, 최대 5회까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진술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지오르기(Giorgi, 2003)의 질적 분석단계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전 과정에서 다각적인 자료 수집을 통한 검증, 연구 참여자에 의한 검토, 동료 간의 협의를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고, 연구 참여자에게 어떠한 불이익이나 부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연구 윤리에 유의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되기 이전 단계에서 세대별로 겪은 경험에는 차이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인 386세대, X세대, N세대가 각각 ‘초・중・고 학창시절’, ‘교원 양성 과정’, ‘정식 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 겪은 경험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에 대해서 세대별로 정리하였다. 둘째, 초임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에서 세대별로 차이점이 나타난다. 386세대의 초임교사 시기는 ‘교실 안의 왕, 밖에서는 중산층’으로, X세대의 초임교사 시기는 ‘나 홀로 철밥통’으로, N세대의 초임교사 시기는 ‘쉬운 게 없는 샌드백’으로 비유하여 각 세대별로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차이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청소년소비자의 성장단계별 소비자사회화 특성 변화

        박영미 충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today's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people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rational consumption, which makes the issue of consumer socialization even more important these days. Consumer socialization during adolescence is particularly critical since it can have influences even throughout adulthood. Adolescence is characterized by rapid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ocialization during adolescent period will widely vary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elementary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gender.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and gender of adolescents during the period. And furthermore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iability in the process of consumer socializ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dolescents' reliability for the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would have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ir influenc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October 1 ~ October 15 2014, and 324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former stage of adolescence, 337 eighth graders in middle school in the middle stage of adolescence, and 321 11th graders in high school in the latter stage of adolescence were selected. The main results were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for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girls had a higher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than boys. For boys,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and consumer role attitude decreases; Consumer functions was no changes; And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increased as they grew up. Whereas for girls, the level of consumer socialization decreased; Consumer functions, role attitude, and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increased as they grew up. Second, as for the level of interactions with the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adolescents, it decreased with the mother and school and increased with friends and mass media. The level of interactions with the efficient causes was higher among girls than boys in general. While girls decreased in interactions with the school and increased in interactions with friends, TV, and the Internet as they grew up, boys decreased in interactions with the mother and school and increased in interactions with friends, TV, and the Internet as they grew up.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on consumer socialization itself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adolescent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 had positive effects only on it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TV had negative effects on it amo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school had positive effects on it among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of all the component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ly internet had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knowledge among all the subject groups. Mother and school had positive impacts on consumer function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iends had positive impacts on consumer functions onl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internet had positive impacts on them onl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V had no impacts on consumer function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V had negative influences on consumer role attitude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iends had no influences on it among all the adolescent groups since the bonds between peer groups became reduced according to the greater importance of study than in the past. Fif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he effects of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 consumer socialization itself according to the gender of adolescents. The mother had no influences at all on girl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ereas she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V had no influences on boy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tarted to have negative ones on them in high school. Contrary to the case of boys, TV had negative influences on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no more influences on them in high school. The school had effects on the consumer socialization of boys onl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at of girl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xth,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fluences of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 the components of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had no influences on consumer knowledge both in boys and girl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ther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 functions in boy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on them in girls onl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hool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 functions in boy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in girls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TV had negative influences on consumer role attitude both in boys and girls among all the group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except for high school girls. Seventh, the study looked into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iability on each of the efficient causes in their influential process for consumer socializa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adolescents. The results show that only reliability for the school had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 positive influences among all the subjects. Reliability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consumer knowledge, one of the components of consumer socialization, among all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liability for TV had reverse moderating effects on consumer functions among all the subjects, and reliability for internet and school turned out to reinforce the positive influences. When the effect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growth, reliability for friends had negative reverse moderating effect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liability for the school had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 positive influen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Reliability for TV had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 negative influences further on consumer role attitude among all the subjects. When the effect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growth, reliability for TV had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 negative influences furthe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liability for the Internet having negative reverse moderating effects. Reliability for TV had moderating effects of reinforcing the negative influences furthe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inally,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overall consumer socialization of adolescents that had changed in the modern society, considering that there were few researches on the topic for the last ten years or so. It also claims its significance for its attempt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iability for the efficient cause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 the consumer socialization of adolescents.

      • 사회화 주관자가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사회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송재헌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사회화과정에 있어서 사회화 주관자로서 가족, 동료집단, 학교(체육선생님), 지역사회(스노우보드 지도자)의 역할과 관련하여 이들의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사회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부가하여 사회화 주관자와 관련된 여러 요인이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학습경험 및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이고 경험적으로 밝힘으로써 우수 스노우보드 선수의 육성 및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현재 각 스노우보드 협회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남녀, 중, 고, 대학교, 일반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임의표집법을 이용하여 남자선수97명, 여자 선수19명 등 총 116명을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화 주관자가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사회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서 연구에서 운동선수 역할사회화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안한 설문지로서, 임번장 등(1986, 1987), 이종영 외(1988, 1991), 김홍설(1992), 임우택(1993), McPherson(1972), Greendorfer(1974), Hasbrook(1984)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문항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항목을 발췌한 다음 <사회화 주관자가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사회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pilot test)를 통하여 설문 내용과 타당도를 검증한 다음 수정, 완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이었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방법을 기초로 하여 사회화 주관자가 스노우보드 선수의 역할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유도 할 수 있었다. 1) 가족의 영향과 관련하여 부친은 스노우보드 선수의 선수경력과 훈련빈도, 입상경력에 영향을 미치며, 모친은 선수의 훈련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2) 동료집단의 영향과 관련하여, 친구는 스노우보드 선수의 훈련빈도, 입상경력에 영향을 미치며, 선ㆍ후배는 선수의 훈련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3) 학교(체육선생님)의 영향과 관련하여, 체육선생님은 스노우보드 선수의 선수경력과 훈련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4) 지역사회(스노우보드 지도자)의 영향과 관련하여, 지역사회 스노우보드 지도자는 스노우보드 선수의 훈련빈도, 훈련강도, 입상경력에 영향을 미친다. This paper's concern goes to the influences of socializing agents on the process of role socialization among snowboard players, with relation to the role of family, peer group, school and local community as socializing agents in the process of role socializ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reference for raising and finding promising players by studying about how various factors with regard to socializing agents influences on the experience and degree of snowboard players' role learning. To this end, this paper employed the "random sampling" method targeting for 116 snowboard players(male player, 97 and female, 16) registered in the Pro Snowboarder's Association(PSA)(as of October, 2000). For this paper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was employed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sul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are made. 1. With relation to the influences of family, father and siblings have effects on players' careers, frequencies of practice, and prizewinning career, while mother and relatives have influences on the intensity and the degree of practice. 2. Concerning to the influences of peer group, a peer group of snowboard players has influenced on the frequencies of practice and prizewinning career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the senior and junior players have produced effects on the intensity and degree of the practice. 3. With regard to the influences of schools(coaches), snowboard coaches have exerted influences on the players' careers and the intensity of the practice. 4.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s of local community(snowboard leaders), community snowboard players have influenced on the frequencies and intensity of practice, and players' prizewinning careers.

      • 사회화주관자가 중ㆍ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중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화주관자가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사회화주관자의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언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학교스포츠클럽의 중요성과 교육 전략 및 운영방안 및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인천과 경기에 소재하는 총 8개 중⋅고등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30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표집 대상학교를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연구협조자에게 연구의 목적, 유의사항, 기제요령을 충분히 설명한 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사회화주관자가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회화주관자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학교급별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 순으로 나타나 우선순위는 동일하나 고등학생은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의 빈도가 긍정적인 문항이 급격히 낮아짐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학년별에서는 중⋅고등학교 1, 2학년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부모, 미디어, 형제⋅자매 순이며, 중학교 3학년은 친구 및 선⋅후배, 미디어, 교사, 형제⋅자매, 부모 순이며, 고등학교 3학년은 교사, 친구 및 선⋅후배, 부모⋅미디어, 형제⋅자매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순이고, 여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부모, 미디어, 형제⋅자매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태도에서는 긍정적일 경우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순으로 나타났으며 "보통", "부정적", "매우 부정적"은 빈도가 낮아 분석이 제한되었다. 둘째, 사회화주관자가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고등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와 교사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화주관자가 중⋅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 교사, 미디어, 부모, 형제⋅자매 순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고등학생은 친구 및 선⋅후배와 교사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화주관자는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생활만족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시기 및 성별로 사회화주관자의 올바른 역할과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고 여겨진다.

      • 조직사회화전략과 조직유효성의 관련성 연구 : 조직사회화전략과 정보탐색활동, 멘토관계에 관한 조직구성원의 지각반응을 중심으로

        양혜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박사

        RANK : 247807

        人間이 한 組織에 同化되어 그 組織의 目標達成을 공헌하기 위해서 組織이 필요로 하는 技術, 知識, 價値觀, 慣習 및 바람직한 行爲 등을 習得하는데 이러한 것들이 이루어가는 一連의 過程을 組織社會化(organizational socialization) 라고 한다. 오늘날의 組織環境은 技術開發과 知識發展의 迅速性과 組織에 참여하는 構成員 特性(技術, 知識, 價値觀 등)의 다양성이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組織環境의 不確實性은 組織社會化의 必要性과 重要性을 더욱 더 加重시키고 있으며 보다 많은 理論的인 연구의 業績은 물론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적합한 實證的인 硏究의 必要性이 提起되고 있다. 이에 따라 本 硏究에서는 組織社會化 過程이란 組織이 組織構成員을 일방적으로 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過程으로 보지 않고, 組織이 제공하는 社會化 戰略 要因과 그에 따른 制度化 程度, 개인의 組織社會化 努力(情報探索活動)과 그들의 社會化를 支援하고 促進시키는 役割을 담당하는 멘토의 유형과 組織構成員의 組織有效性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여 假說을 도출하고 실증적인 檢證을 실시하였다. 假說 檢證을 위하여 우리 나라 기업 25개 회사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設問調査를 실시하여 536개의 標本을 사용하였고, spsspc^+ versoin6.0 프로그램 인용하여 相關關係 分析, T-檢證, 變量分析 등의 통계방법으로 실시한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制度化된 戰略集團이 個別化된 戰略集團보다 조직유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制度化 程度가 강할 수록 역시 組織有效性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初期進入者들 중에서 자신의 職務나 役割 등에 관련된 情報探索活動을 積極的으로 하는 구성원이 消極的으로 하는 구성원보다 組織有效性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도화된 組織에서 積極的 情報探索活動은 제도화의 효과의 높여 주고 消極的인 情報探索活動은 制度化의 효과를 반감하고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멘토관계를 형성한 組織構成員이 멘토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組織構成員보다 組織有效性이 높았고, 非公式的 멘토와 公式的 멘토 등 다수의 멘토관계를 형성한 組織構成員이 組織有效性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멘토관계형성이 制度化의 效果를 높여주며, 멘토관계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制度化의 效果를 반감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은 結果들은 組織構成員의 효율적인 組織適應을 위해서 制度化된 社會化戰略形態가 바람직하며, 初期進入者들이 행하는 情報探索活動의 중요성을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효과적인 組織社會化를 위해서 初期進入者 개인의 努力과 함께 社會化을 담당하는 멘토와 相互努力이 强調됨을 示唆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硏究方向은 우선 우리 나라의 狀況과 與件에 맞는 社會化 戰略을 개발하고 社會化 擔當者와 社會化 過程에 참여하는 構成員들의 努力을 促進시킬 수 있는 方案을 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Human being got accustomed to kind of organization and acquired technique, knowledge, value, custom and a desirable activity which organization needed to contribute the accomplishment of it so these things in series of processes are call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Nowadays organization environment can be specialized with technique exploitation, knowledge development and member's feature (technique, knowledge, value etc.) of variety whose participate in organization, uncertainess of it is getting more and mor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more than theoretic study of deeds as well as feature of organization and necessity of a empirical research which is suitable to situation are going to bring about. Hence in this study the organization which is call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es can't be regarded members as one which they like to do unilaterally, can be regarded them as a socialized tactice elements, it's following institutionalized level, personal organizational socialization's efforts (information seeking), types of mentor which are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ir socialization and promoting their roles, theoretic research which connected member's organizational effectivness in done, induced the hypotheses and enforced the empirical verification. In order to verify hypotheses, got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in 25 firms, used 536 samples, quoted spsspc+version 6.0 programs and then the results of study which were utilized through statistic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variated analysis etc.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showen higher the institutionalized tatics group than individual one of it, the stronger the institutionalized level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s also shown. Second, newcomers among them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presented higher members who had their the information seeking connected their jobs or roles in maximum, in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 major information seeking made the institutionalized effect high minor one did low. Thir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higher mentoring than non-mentoring, members who made some mentors like informal and formal mentor had bett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mentoring could make the institutionalized effect higher, if it couldn't happen this then one did less half. Like these following results, the institutionalized social tactics types were desirable for members to adopt themselves effectively their organization, presente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eking which newcomers did, in addition the mutual efforts between personal efforts of them and mentor which took charge of socialization for improving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ocialization were absolutely stressed. Therefore the study direction to go forward first of all was to develop socialization tatices that corresponded to home situation and condition, might well develop the socialization agent and the scheme to promote efforts that members took part in socialization processes.

      •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박석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문화적으로도 민족적 동질성이 미약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이었고, 대상은 통일부 지정 북한이탈가정 위탁교육 기관인 경기도 A시 소재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이었다. 방법은 관찰과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연구 대상 아동들을 직접 관찰하였고 경영자 1명, 교사 2명, 코디네이터 2명, 그리고 하나원과 H학교 코디네이터 각 1명 등 총 7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 둘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교사 및 또래 학생들과 어떻게 사회적 관계를 가지는가? 셋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어떤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 결과 첫째,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를 보였다. 교사를 권위의 대상으로 생각했고, 지나치게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개인 중심의 생활에 부담을 느끼며 불안해하였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하였고, 교사의 지시를 자신의 의사보다 중시하였으며, 학급 선거에서는 선거권이 없는 참관자처럼 행동하였다. 개인 간의 약속 등 자신의 의사결정보다는 권위자의 지시에 책임을 더 느끼고 있었다. 둘째, 소속집단을 기준으로 동질감을 느끼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만 지도하는 특별학급 교사에 대해서는 초기부터 집단적 소속감을 느끼며 동질감을 형성하였으나, 한국 학생들을 함께 지도하는 통합학급 담임교사와는 이질감의 폭을 좁히기 어려웠다. 특별학급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끼리는 동질감을 느끼며 관계를 맺었지만, 통합학급에서 함께 공부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는 이질감을 느끼며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4주 이후에 조금씩 달라지긴 하였으나 12주 후에도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중심의 생활양식을 보이며 개인관리를 소홀히 하였다. 학교급식을 배급의 연장선상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의 종류 선정과 양 조절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한꺼번에 용돈을 모두 쓰는 등 경제적 관리가 계획적이지 못했다. 자기관리에서도 집단에 묻혀 넘어가려고 할 뿐 집단적 압력이나 권위자의 지시가 없으면 개선하려 하지 않았다. 학습을 귀찮고 어려워했으며 과제나 역할분담 등 주어진 것을 처리하면 반드시 교사의 확인을 받으려 하였다.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가장 먼저 소속집단을 파악하려 하였고 그 집단에 적응하려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보면 집단중심 가치로 정치사회화 된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이 S초등학교에서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겪으면서 개인중심 가치에 동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타율적 태도가 자율적으로, 소속집단 기준의 사회적 관계가 개인 기준으로, 집단주의 생활양식에서 개인주의 생활양식으로 바뀌어가고 있었다. 이는 북한이 정치체계 유지를 위해 개인가치보다는 집단가치를 중시하여 주민들을 정치사회화한 결과가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그들은 감시와 통제 속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주입식 정치사회화 과정을 조기부터 경험하여 자율적이지 못한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고, 집단을 단위로 한 생활 과정에서 소속집단 구성원이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대상이 되었으며, 개인보다는 집단을 우선하는 집단중심 가치에 따라 집단생활에 친숙한 생활양식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한국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려면 첫째, 교사와 한국 학생 및 학부모들이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특성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해야 하고, 둘째, 학생 자치활동 등 한국의 민주시민 교육을 강화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해야 하며, 셋째, 집단적 소속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들에게 친숙한 모둠 학습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 스키선수의 재사회화 과정에서 사회적 적응 메커니즘 분석

        박수근 경희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based on the social network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desocialization and resocialization of ski players after the dropout. For that, the issues of this study were defin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dropout of ski players? Second, what is the role of the social network formation i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reaction process after the dropout? Third, what is the role of the social network formatio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society for resocialization? Fifth, what is the role of the social network in the process of resocialization? Therefore, theoretical reference framework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social network theory of Barns(1977) by collect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study of social network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issues of this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ost appropriate for this research was adop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had both 5-year experience as sky players and over 5-year work experience at companies, etc, in society,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From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thods such as the narrative interview and telephone conversation.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coding, the initial conceptualization process, was conducted following the basic analysis process such as the transcription and memo works. The 'subcategory' and 'core category of theme category' were derived through the method of difference, method of agreement, and simultaneous conversion method after systematically listing the implicit meaning of coded materials and selecting the theme.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dropout of ski players was divided into the positional cause and relational cause on the basis of the social network theory. First, the positional cause was found to encompass sports ability, injury, environment of winter sports, consideration of future career, and financial difficulty. Ski players drop out for reasons such as the lack of facilities, difficulties in the pursuit of professional ski career, climate factor which prevents continuous training throughout 4 seasons, relatively higher training cost compared to other sports, including the high cost of sports equipment and off-season training. Second, the relational cause was found to include the problem of battering and the problematic relation with head couch and couch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nd out to have dropped out mostly for reasons such as th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good relation which was attributable to the problematic relation with instructors, leaders, or senior colleagues, or battering.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for domestic ski players, the ski sport has faced regional constraints, considering it has been vitalized only in some regions which suit the winter sports, and there have not been not many ski players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among ski players have not been extensive because of the closed nature of elite players. Thus, ski players may face constraints in forming various human relations with the school teachers who can become mentors to provide useful advice on future career or resolution of conflict with instructors and teammates, or in forming and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friends, senior colleagues in many different area, and this kind of problem has become the relational cause that leads to the ski players to drop out. The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reaction after the dropout is the process in which the players would experience environmentally and psychologically without regard to their intention after giving up the sports, and is the psychological, realistic, and social re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onal access in this study. It was divided into the cultural, psychological, and social re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ccess. The positional access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self-reflection was arisen psychologically from the need that they had to move beyond the position and environment of ski players and advance into the area other than the ski sports, and the fact that they were former ski players was expressed positively or negatively. Second, they showed a realistic reaction of pondering upon extending their ski career in order to avoid realistic problems such as the military service or scholarship or advancement into new area, including acquisition of license, or admission into schools when they drop out. Third, the social realm such as the ski techniques or knowledged related to the skiing - which had been formed and acquired through their former position as ski player - was shown as a social reaction like exploring the player career or related fields when they made preparation for resocialization. In addition, the relational acces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regional reaction was shown which was intended for the resocializ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regional culture amo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the players are concentrated only in some specific regions in the case of ski sports significantly subject to the climate or regional features. Second, ski players showed a psychological reaction which aimed to resolve their problems throug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they maintained with family, friends, colleagues, senior colleagues with regard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they faced after the dropout. Third, they showed a social reaction through the interchange with new people to find out those with social influence or explore other careers or seek other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gain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ir attempt to adapt to new environment after the dropout. The role of social network formatio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society through resocialization was divided into the one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realistic, and social change from the standpoint of positional access and the one associated with the psychological, social, cultural, and realistic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ccess in this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network of access which focused on new environment, not the players, following the phas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onflict after the dropout. Based on the positional acces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psychological change was shown among them, which aimed to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 with positive mindset toward the dropout with an emphasis on their experience, strength, motivation, including the desire to win, endurance, awareness of goal, etc, which they had developed through the first-hand experience during their previous sports activities when they were in new environment such as school, company, etc. Second, the fact that they were former ski players had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their competition with others in the society. Thus, a social change occurred through the cent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 media-based relationship for strengthening or complementing their strength or weakness in their new area. Third, the social prejudice or preconceived notion that they were former play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apting themselves to new area, which resulted in difficulties in real situation. Besides, the relational access amo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 led them to undergo psychological change by re-establishing the viewpoint of value toward new area, like learning, working at companies, running business, etc, not the ideas and actions that they had acquired during their previous sports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showed a social change by setting higher goals, meeting with many different people, and pursuing mutually beneficient relationship in fields other than ski sports. Third, they showed a cultural change like embracing a wide range of cultures such as the corporate culture or school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ulture of ski sports, and adapted themselves to the new culture. Third, they showed change such as the acceptance of monetary matters, environmental, occupational, and vocational matters, which were related to the life of the subjects of study in reality. The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process of resocialization was divided into the social adapt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realistic adaptation, which shows what role the social network has played comprehensively i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confronted by the ski play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points to the process of their advancement in new environment and resocialization after the dropout. First, the social adaptation showed the social reaction amo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reaction after the desocialization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through relational access such as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non-ski player, with their parents, friends, and those with social influence or experts in their career fields, or relationship with new people, based on the network related to the ski techniques or ski, by utilizing the positional access of ski players. In addition, they formed media-based human relationship by forming interpersonal network with people in other fields based on their ski techniques and cent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forms social network with important people through positional access that they have as former ski players when they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 First, the relational access in new environment helped establish the next goals as a member of new field, not a ski player, and for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ew field through the mutually benefic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based on the positional access through the self-reflection on their past life as former ski players and the relational access through social support of family, friends or close senior colleagues or junior colleagues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In addition, they made the relational access through the positional access and reestablishment of viewpoint of value for the resocialization based on the positive mindset toward the dropout and retirement when they are adapting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 Third, the cultural adaptation helped overcom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based on the relational access through regional factors unique to the ski players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and also helped form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relational access based on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external culture when they are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 Fourth, they showed the positional access such as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es, admission into school, ponderance on the extension of their ski career in the process of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 with regard to the adaptation to the reality, and showed the positional access - such as the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fact that they were former ski player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and the relational access through the acceptance of vocation which embraces the life or work in new workplace regarding the process where they are adapting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키선수들의 중도탈락 후 탈사회화 과정과 재사회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회연결망의 역할을 통해 사회적응에 있어 사회연결망의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명하여 이론적 근거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 연구문제는 첫째, 스키선수들의 중도탈락원인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역할은 어떠한가? 둘째, 중도탈락 후 사회&#8228;심리적 반응과정에서 사회연결망 형성의 역할은 어떠한가? 셋째, 재사회화로의 사회적응 과정에서 사회 연결망의 구성의 역할은 어떠한가? 넷째, 재사회화 과정에서 사회 연결망의 역할은 어떠한가? 였다. 따라서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연구에 관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Barns(1977)의 사회연결망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준거 틀을 확립하였고, 본 연구 수행을 위한 가장 적절한 연구방법인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된 스키선수 경력이 5년 이면서 직장생활 등의 사회적 경력이 5년 이상 경과한 중도탈락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이야기식인터뷰, 전화통화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초 분석 단계인 전사와 메모작업을 거쳐 최초의 개념화 작업인 코딩을 실시하였으며, 코딩된 자료들이 내포하는 의미를 체계적으로 나열하면서 주제를 정한 후 차이법, 일치법, 동시변환법을 통해 하위범주와 주제범주 핵심범주를 도출해내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키선수들의 중도탈락원인에서 사회적 연결망의 역할은 사회연결망 이론에 따라 위치적 원인과 관계적 원인으로 구분 되었다. 첫째, 위치적 원인은 운동능력, 부상, 동계스포츠의 환경, 진로고민, 경제적 어려움으로 발견 되었다. 스키선수들은 중도탈락 원인에 있어 부족한 시설 환경, 전문선수로서의 진로의 어려움, 4계절 계속 훈련을 할 수 없는 기후적 환경, 장비 및 전지훈련 등 다른 종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훈련경비 등 스키선수로서 갖는 특성들은 인하여 선수생활을 중간에 포기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관계적 원인은 구타 및 감독 코치와의 관계가 발견 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 들은 지도자 또는 선배와의 관계에 있어서 불화나 구타 같은 부분이 발생 하여 원활한 관계가 유지 되지 않을 경우 중간에 운동을 그만두는 중도탈락의 원인이 되었다. 국내 스키선수들의 환경은 좁은 선수층과 일부 동계스포츠 환경에 맞는 일부 지역에서만 활성화 되었다는 지역적 특성, 엘리트 선수들의 폐쇄성 등은 좁은 관계망을 구성한다. 따라서 지도자 및 팀원들과의 불화가 발생 하였을 시 진로나 고민거리의 멘토가 될 수 있는 학교 선생님, 다른 분야의 친구 및 선배 등 다양한 인관관계를 구성하는데 제악을 받았으며, 이와 같은 원인은 스키선수들의 중도탈락의 관계적 원인이 된다. 중도탈락 후 사회·심리적 반응과정에서 사회연결망 형성의 역할은 운동선수들이 선수를 그만두게 된 후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환경적·심리적 변화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치적 접근에서 심리적, 현실적, 사회적 반응으로, 관계적 접근에서는 문화적, 심리적, 사회적 반응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위치적 접근은 첫째, 그동안 스키선수의 위치와 환경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선수생활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부분은 심리적으로 자기성찰을 불러 왔고 과거 스키선수였다는 것에 대한 부분이 긍적적 또는 부정적으로 표출이 되었다. 둘째, 현실적으로 스키선수를 중도탈락하게 되면 자격증 취득 및 진학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이나 군대 또는 장학금 문제 와 같은 현실적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하여 선수생활 연장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는 현실적 반응이 나타났다. 셋째, 스키선수시절 자신이 선수였다는 위치를 통해 만들어진 스키기술과 스키관련 분야의 지식과 같은 사회적 영역 들은 재사회화를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 선수경력이나 관련분야 탐색과 같은 사회적 반응으로 나타난다. 또한 본 연구 참여자들의 관계적 접근은 첫째, 기후나 지역적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는 스키종목의 경우 선수들의 일부 특정지역에만 분포한다는 지역적 특성은 본 연구 참여자들에게 지역적 문화의 관계를 이용하여 재사회화를 시도 하려는 지역적 반응이 나타난다. 둘째, 중도탈락 이후 사회적 ·심리적 어려움에 대하여 가족이나 친구, 동료, 선배와 같은 자신의 인간관계를 이용하여 본인이 가지고 있는 고민들을 해결하고 사회적 지지를 얻어 내려는 심리적 반응이 나타났다. 셋째, 중도탈락 이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회적 영향력 자나 다른 진로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사회적 반응이 나타난다. 재사회화로의 사회적응 과정에서 사회 연결망의 구성의 역할은 중도탈락 이후 사회적·심리적 갈등 단계를 지나 새로운 환경에 들어가 선수가 아닌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연결망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치적 접근에서 심리적, 현실적, 사회적, 현실적 변화가, 관계적 접근에서는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현실적 변화로 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위치적 접근은 첫째, 학교나 직장 등 새로운 환경에 들어와 과거 선수였다는 경험을 통해 습득한 승부욕, 인내심, 목표의식 등선수시절의 경험과 장점, 동기부여를 통해 중도탈락에 대한 긍정적 마음가짐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 해 나가는 심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스키선수 출신 이였다는 점은 새로운 사회에 들어와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데 있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새로운 영역에서 자신의 장점 또는 단점을 강화·보완하기 위해 중심적 인간관계나 매개적 인간관계를 통한 사회적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선수였다는 사회적 편견이나 선입견은 새로운 영역의 적응에 있어서 부정적 인간관계로 현실적 변화의 어려움이 나타난다. 또한 본 연구 참여자들의 관계적 접근은 첫째, 새로운 환경에 적응 하면서 선수생활에서 습득한 생각이나 행동의 아닌 학생, 직장인, 사업가 등 새로운 영역에서의 가치관 재정립을 통한 심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스키선수에서 벗어나 다른 분야에서의 상위 목표설정과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과 교재, 호혜적 인간관계를 통한 사회적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스키선수시절과 다른 직장 내 문화나 학교 문화와 같이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그 안에서 적응해 가는 문화적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의 현실적 생활을 위한 금전적 수용, 환경의 수용, 직업의 수용과 같은 현실적 변화가 나타난다. 재사회화 과정에서 사회 연결망의 역할은 본 연구 참여 스키선수들이 중도탈락 하는 과정, 이후 심리적·사회적 갈등을 겪는 과정, 새로운 환경으로 들어가 적응해 나가는 재사회화 과정에 있어 종합적으로 사회연결망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적응, 심리적응, 문화적응, 현실적응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사회적응은 탈 사회화 후 나타나는 심리·사회적 반응에서 스키선수로서 갖는 위치적 접근을 통해 스키기술이나 스키관련 연결망을 통한 사회적응과 부모, 친구, 사회적 영향력자 또는 진로분야의 전문가 등 선수로서의 위치가 아닌 자신의 인간관계나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 등 관계적 접근을 통해 심리적·사회적 갈등을 극복 하려는 사회적 반응이 나타난다. 또한 새로운 환경을 적응 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스키선수였다는 위치적 접근을 통해 중요한 사람과의 사회적 연결망을 형성해 나가는 중심적 인간관계와 스키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의 연결망을 형성해 나가 매개적 인간관계를 구성 하였다. 새로운 환경에서의 관계적 접근은 스키선수가 아닌 새로운 분야의 구성원으로서 다음 목표를 설정하였고 호혜적 인간관계를 통해 새로운 분야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둘째, 심리적응은 심리·사회적 갈등과정에서 과거 스키선수로서의 생활에 대한 자기성찰을 통한 위치적 접근과 가족이나 친구, 가까운 선·후배들의 사회적 지지를 통한 관계적 접근을 해 나간다. 또한 새로운 환경을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중도탈락 및 은퇴에 대한 긍정적 마음가짐을 통해 재 사회화를 해 나가는 위치적 접근과 가치관 재정립을 통한 관계적 접근을 해 나간다. 셋째, 문화적응은 심리·사회적 갈등 과정에서 폐쇄된 스키선수 들만의 지역적 요인을 통한 관계적 접근으로 심리·사회적 갈등을 극복해 나갔고 새로운 환경을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외부문화를 받아들여 조직문화 수용의 관계적 접근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넷째, 현실적응은 심리적응은 심리·사회적 갈등과정에서 자격증 취득 및 진학이 선수생활 연장에 대한 고민과 같은 위치적 접근과 새로운 환경을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스키선수였다는 과거 사실이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인간관계와 같은 위치적 접근과 자신의 새로운 직장에서의 생활이나 업무에 대한 부분을 수용해 나가는 직업수용을 통한 관계적 접근이 나타난다.

      • 사회화주관자가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이승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역할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사회화주관자로 정의하여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특정 종목 운동선수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 대한 개념정립과 제 2의 사회화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주니어 골프선수로 인생경로를 바꾸기까지 어떠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었는가를 조사하고자 하는 학문적 측면의 효용성을 겸비하게 된다. 또한 우수한 주니어 골프선수 조기발굴 및 선수육성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 할 수 있는 학문적으로 실용적인 면을 겸비하고 있기에 절실하게 요구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선행변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설정하였으며, 성별과 학생학교수준으로 이분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사회화주관자와 사회화주관자 하위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등록기간, 평균타수, 훈련강도, 필드 훈련빈도, 연습장 훈련빈도로 설정 하였다. 조사대상은 2002년 현재 중·고등학교 골프연맹 소속 주니어 골프선수 중 전국규모 대회에 참가한 304명이었으며,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작성된 설문지에 대한 응답결과를 자료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T-test, 회귀분석, 빈도분석을 실시, 통계처리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사회화주관자가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 과정에는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등록기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생학교수준에 따라 필드 훈련빈도와 연습장 훈련빈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화주관자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남자선수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아버지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등록기간에 영향을 미쳤고, 여자선수의 경우 어머니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평균타수에 영향을 미쳤다. 중등부의 경우 어머니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등록기간에 영향을 미쳤으며, 골프우상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평균타수와 필드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고등부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아버지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등록기간에 영향을 미쳤고, 골프우상의 권유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필드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화주관자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남자선수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골프치는 동료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자선수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아버지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평균타수에 영향을 미쳤고, 골프 코치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중등부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형제자매와 골프치는 동료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필드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고등부의 경우 골프치는 동료의 골프선수에 대한 인식은 고등부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화주관자는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남자선수의 경우 스포츠 역할사회화과정에 있어서 사회화주관자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여자선수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골프지도자가 주니어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중등부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골프우상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평균타수에 영향을 미쳤고, 골프치는 동료는 골프선수의 필드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골프코치는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고등부의 경우 사회화주관자 중 골프 우상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연습장 훈련빈도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사회화주관자 중 주니어 골프선수의 스포츠 역할사회화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타자는 아버지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zation into the role of junior golfers and background of significant others, and interest and encouragement to participate in sport, and attitude to sport to among significant other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in socialization into role of junior golfers.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ixed-alternative choices response to item constructed represent the operational definition for each variables.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junior golfers. Statistics employed the study to data analysis were T-test, Regression, Frequency analysis.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ppear to be warrested : 1. Personal attribution influenced socialization into role of junior golfers. 2. Significant others influenced socialization into role of junior golfers. 3. The most influence of significant others fa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