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15~1922년 社會革命黨 세력의 활동과 이념

        최선웅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1910년 日帝에 합병된 한국은 식민지의 근대성을 지양한 국민국가의 수립을 위해 끊임없이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해방을 추구한 많은 한국인들은 해방된 근대국가의 전망을 서구의 근대사상에서 모색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일본에 유학해 서구의 근대문물과 새로운 사조를 흡수하였다. 당시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서구적 근대국민국가를 이룩한 현실적 ‘모범’이었다. 동시에 한국을 병탄한 ‘저항’해야 할 제국주의 식민모국이었다. 日帝에 대한 이 ‘모방과 저항’의 딜레마에서 일단의 재일유학생들은 1916년 비밀리에 신아동맹당을 결성하고 저항의 움직임을 조직했다. 이들은 학우회 등을 통해 각종 반일운동을 전개하며, 민족의식과 민족해방의 열망을 모아나갔다. 그러면서 이들은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근대국가를 구상하였다. 제국주의화한 서구적 근대국가, 그리고 그 시현인 日帝와는 차별화된 전망이었다. 그러나 신아동맹당의 구상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던 관념 속의 이상적 근대국가였다. 오히려 이상적이었기에 현실의 日帝와 대치할 수 있었다. 신아동맹당은 1917년 9월 30일 해산을 결정하였다. 해산결정은 학우회 장악이라는 유리한 정세를 감안하여 비합법에서 합법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신아동맹당을 해체하였지만, 계속해서 각자 가담하고 있던 공개조직을 통해 반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은 2·8독립선언과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3·1운동을 통해 신아동맹당 출신들은 국내 민족해방운동가들과 연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혁명당이라는 비밀독서회를 조직하였다. 사회혁명당은 식민지 극복과 근대국민국가의 수립을 위해 새로운 사조, 특히 사회주의를 학습하고 이론화하는 공간이었다. 이들은 신진사조의 학습과 함께 해외의 민족해방운동단체와 교류를 꾀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려공산당 창당을 준비하던 上海의 한인사회당과 연결되었다. 한인사회당과는 사회혁명당 결성 이전부터 인적 관련을 맺고 있었다. 이런 인적관련은 운동 초기에 조직을 결성하는 기본토대로 작용하였다. 이와 함께 현단계 한국의 민족해방을 우선시하던 한인사회당의 혁명노선도 사회혁명당과 일치점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사회혁명당은 상해파 고려공산당 창당대회에 9명의 대표를 참가시켰다. 이로써 사회혁명당은 상해파 국내지부로 전환하였고, 독서회에서 공산당 지부로 위상을 격상시켰다. 그리고 자신들의 활동을 국내와 해외를 아우르는 전체적인 민족해방운동의 범주 속에 위치지울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사회혁명당은 사실상 고려공산당 창당대회를 공산당 보다는 민족해방운동단체의 결성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런 인식 상의 차이는 창당대회에서 해소되었어야 했지만, 대회에서 민주주의적 절차는 생략되었다. 이는 이후 상해파가 다른 사회주의자들로부터 치명적인 비판을 받게 되고, 심각한 내분을 야기하는 결정적 갈등요인을 잠복시켰다. 상해파 국내지부의 활동은 사회혁명당을 통해 전개되었고, 이들은 동아일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은 민족내부의 결집을 통해 실력을 모아내어 日帝를 자신들이 원하는 사회정책적 방책으로 추동해내기 위해 문화운동을 제창하였다. 사회혁명당 세력의 구상은 분배구조를 개선하여 ‘합리적’으로 통제된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는 민주주의적인 자유정치의 근대국민국가를 전망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자칫 日帝의 근대적 조치들을 승인·방조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더욱이 이런 非마르크스주의적인 문화주의는 고려공산당 지부로 전환하여 활동하던 사회혁명당 세력에게 치명적인 ‘결함’으로 작용하였다. 이 때문에 고려공산당이라는 비합법적인 영역을 자신들의 본질로 내재하던 사회혁명당 세력은, 공산당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정당하는 순간 타협적인 ‘부르주아 우파’의 문화운동론과 차별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신자유주의적 경향과 달리 사회혁명당 내부에서는 학습을 통해 점차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하는 인물들이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김명식과 유진희를 꼽을 수 있다. 이들의 사상적 궤적은 1910년대 (신)자유주의의 범주에서 벗어나 1920년대 마르크스주의로 전화되는 신지식층의 모습을 보여준다. 즉, 이들은 윤리적 이상주의·신자유주의와 역사학파 경제학 등에 대한 이해를 넘어 아나키즘과 역사적 유물론을 비롯해 카우츠키의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일정하게 수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 마르크스주의는 ‘해방과 자유’의 담론으로 상징되는 이상적인 新思想이었다. 그래서 김명식은 러시아혁명이 인류의 해방과 인간의 자유를 위한 신사상을 실현하는 새로운 역사를 창도하리라 전망했다. 유진희도 자본주의체제의 계급모순은 도시와 농촌, 제국주의와 식민지를 불문하고 공산사회를 지향하는 세계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해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공산주의 전망으로 러시아를 주목했다. 한국 사회혁명의 복선이 농촌에 있다고 확신했기에 러시아 농촌문제의 始末에서 그 현실적 답안을 찾으려고 하였다. 러시아의 공산주의국가 건설을 모범으로 한국의 식민지적 상황을 극복하고 근대국민국가를 건설하려했던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공산주의적 대안으로 한국혁명의 필연성을 세계사적 차원에서 확보할 수 있었다. 더욱이 공산주의는 이들에게 자본주의 근대문명의 추구가 日帝를 포함해 제국주의화한 ‘서구적 기획’ 속에 존재하고 있다는 역설적 상황을 모면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식민지의 중첩된 모순을 자칫 단순화시킬 우려를 동시에 함유하고 있었다. 이처럼 사회혁명당 세력은 상해파 국내지부로 전환되어 공산당 지부로서 활동하였으나, 내부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로 사상적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사회혁명당 세력은 민족해방을 위해 (신)자유주의자와 마르크스주의자가 공산당이라는 한 조직에 동승하고 있던 형세였다. 곧, 개량적인 중도우파에서 공산주의 좌파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이념적 지평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점에서 사회혁명당 세력은 고려공산당 국내지부라는 조직위상과 그 부원들의 의식이 전면적으로 조응하지 못하고 괴리를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국제공산주의운동의 흐름은 黨內의 개량적 경향을 일소하고 공산주의자들만의 정당을 지향하는 추세였다. 이런 흐름을 인식했던 아니던 한국의 공산주의운동도 자체적인 ‘내부 정화’를 시도했다. 국내 ‘신흥’공산주의자들은 ‘김윤식사회장’과 ‘사기공산당 사건’을 통해 사회혁명당 세력의 非마르크스주의적 요소를 공산주의운동 선상에서 배제시키려 했다. 국제공산주의운동에 부합하는 측면이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전혀 민주적이거나 합리적이지 못한 채 윤리적, 도덕적 멍에를 씌우는 극단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 공산주의운동의 자기 영역 확보라는 원칙이 강조되어, 민족해방을 위한 통일전선이라는 활동방침은 부차적인 전술로 밀려났던 것이다. 반면에 상해파 중앙은 식민지에서의 민족해방이라는 과업에 압도되어 통일전선을 당의 조직방침으로 혼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들은 식민지라는 조건이 초기 한국공산주의운동을 굴절시키는 것이었다. 결국 사회혁명당 세력은 분열하게 되고, 또 일부는 공산주의운동선상에서 완전히 이탈하게 되었다. 사회혁명당 세력의 등장과 부침의 과정은 한국 민족해방운동이 이론적 실천의 장 속에 편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민족해방운동이 특정한 이론 하에 전개되면서 두가지 과업이 공존하게 되었다. 민족의 자주성 회복과 함께 식민지의 근대성을 극복하려는 이론적 목표의 달성이었다. 그런데 이론적 실천의 방법이 민족내부를 계급적으로 구분하면서 출발하기 때문에 민족을 전체상으로 상징화하는 민족자주의 이데올로기와 상충되었다. 이런 모습은 좌우를 막론하고 동일하게 나타났다. 좌파가 프롤레타리아계급의 이익에 복무했다면, 우파는 부르주아계급의 이익에 충실한 자본주의 근대국가체제를 전망하였다. 이런 모순은 민족해방운동이 자주성 회복과 아울러 식민지의 근대성을 지양한 특정 근대국가체제를 전망하는 것이었기에 불가피한 과정이었다. 오히려 이 이중과업은 각각의 가치와 영역을 가지면서도 분리될 수 없는 상호 규정하는 과제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문제는 상충하는 두 원칙을 식민지 현실 속에서 적절하게 중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는 민족자주와 이론적 실천 양자의 가치를 상호승인하는 것을 전제로 식민지라는 구조를 타파할 전술을 각각의 영역에서 다양하게 구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좌우파 모두 각자 이론적 실천의 기반을 마련한 위에 민족자주의 현실적 목표에 따라 타협과 경쟁, 때로는 일탈행위에 대한 견제와 견인의 상승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민족자주의 목표로 이론적 실천의 향방을 재단할 수도, 이데올로기적 전망이 민족의 해방을 등한시 할 수도 없었다. 공간적으로는 합법과 비합법 영역을 交互하며, 계급간 결정구도를 초월할 가능성과 소통구조를 확보해야 한다. 이로써 제국주의의 이해와 요구에 저항하고 식민지 민족의 그것으로 왜곡시키며, 민족해방의 이중적 과업을 달성해 나가야 한다. 사회혁명당 세력은 고려공산당 국내지부가 되면서 이 이론적 실천의 장 속에 본격적으로 편입되었다. 좌우를 아우르는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준 사회혁명당은 민족해방을 위한 단체로서는 적절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정한 근대국가체제를 지향하는 이론적 실천의 공간으로서는 부적절했다. 이 때문에 사회혁명당 세력은 사상투쟁에 휘말리고 헤게모니를 상실한 채 분열하였다. 자기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 가고 이 과정에서 배제와 분열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배제되고 분열된 다른 쌍은 민족해방을 위한 또다른 세력으로서 자신들의 영역을 재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영역은 식민지 구조 속에서 대안세력으로 길항관계를 이룰 수 있다. 이로써 민족해방운동의 영역은 확대되고 저항의 지점을 다각도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회혁명당 세력을 배제한 국내 공산주의 세력들은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멍에를 덧씌움으로써 배제된 영역이 재구축될 여지를 협소하게 만들었다. 확고한 원칙과 유연한 방법론의 구사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사회혁명당 세력 또한 자체적으로 내부의 이념적 차이를 극복할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하지 못한 채 민족단결의 원칙적 강조에 매몰되어 자신들의 정체성을 더욱 혼란스럽게 했다. 이러한 모습은 민족해방운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지만, 그 반면에 운동 노선의 혼탁함과 일관된 방향성의 부재를 반증하는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고려공산당 국내지부로서 사회혁명당 세력이 지향하는 근대국가의 이론적 전망과 운동노선의 타당성을 실천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이 요구되었고, 이론과 노선이 불일치했던 사회혁명당 세력은 배척당하기에 이르렀다. 요컨대 사회혁명당 세력의 부침은 한국 민족해방운동이 이론적 실천의 영역에 구조화되는 과정의 일면이었으며, 이후 치열하게 전개될 사상운동의 양상을 예시해주는 실례였다.

      • Politik und Philosophie bei Vladimir A. Bazarov : sein Kollektivismus als Konzept der Sozial- und Kulturrevolution

        최대희 Albert-Ludwigs-Universita@t zu Freiburg i. Br. 1998 해외박사

        RANK : 248604

        이논문의 목적은 러시아 지식인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바자로프의 정치적 행위와 사상적 편력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1874년 러시아의 한 지방 뚤라에서 태어난 바자로프는 모스크바대학에서 자연과학을 전공하였다. 그는 러시아 인뗄리겐찌야의 일원으로서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대학시절을 보냈다. 이후 그는 철학자, 문화비평가로서의 자질을 보이면서 1905년 혁명을 전후하여 러시아 사회민주당에 가입하였다. 그러나 그의 사회민주당원으로서의 활동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1908년을 전후로 레닌과의 불화를 계기로 공식적인 당활동을 그만두게 된다. 그의 활동은 주로 당시 러시아의 지적 상황과의 대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마하, 베그르송, 니체등을 비롯한 당시 러시아를 풍미한 서구유럽의 철학사조를 섭취하였다. 그의 이념적 대결자들은 당시 한편으로는 유물론에서 관념론으로 이념적 전행을 한 베르쟈예프, 불가코프, 스투르베등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레닌과 플레하노프를 비롯한 기계적 맑스주의자들이었다. 그는 그의 절친한 친구인 보그다노프와 함께 이들과 지적 논쟁을 벌였다. 그는 10월 혁명을 반대하였고 볼셰비키에 의한 정권장악후 1920년대는 경제정책입안가로 활동했다. 이후 1930년 멘셰비키소송사건과 관련하여 체포되어 1939년 사망했다. The bacteriophage λO protein localizes the initiation of replication to a unique sequence, ori λ through specific protein-DNA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Conformational changes at ori λ introduced by O protein binding have been reported and their rol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In our studies, we focused on detailed structural basis of the formation of the O protein-ori λ complex(O-some). This work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a general introduction given in Chapter 1, a brief review of genetic, biochemical, and structur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the initiation of λ DNA replication. As shown in Chapter 2, we found that the O protein exists as a dimer and demonstrated that the active DNA binding species is also a dimer. Dimerization and sequence-specific DNA recognition are specifically mediated through the amino-terminal half of O(O1-162(아래첨자 1-162입력불가)). The binding affinity of O for a single copy of its 19 bp recognition sequence was 2-3 nM. We also found that the O-some is composed of 4 dimers of O and ori λ DNA, which contains four 19 bp direct repeat recognition sites, i, e., a dimer of O is bound to each repeat(iteron). Moreover, we found that only the amino-terminal DNA binding domain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the O-some.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asis for the unique properties of O protein, we generated a number of carboxy-terminal and internal and internal deletion mutants of O. Experiments with purified mutant proteins, as shown in Chapter 3, indicated that (ⅰ) the deletion mutant retaining amino acid residues 19-110 is the smallest O protein species that can both bind to DNA and form a dimer, (ⅱ) the affinities of all mutant proteins for a single iteron are almost the same, ranging from 2 to 4 nM; (ⅲ) the portion of O that is responsible for dimerization is located between amino acid residues 19 and 85; (ⅳ) the carboxy-terminal domain (O 156-299(아래첨자 156-299입력불가)) is a monomeric species that does not recognize specific DNA sequences but instead, bind non-specifically to duplex DNA; (ⅴ) the linker joining the two structural domains is not required for O function, but its coding sequence of DNA contains several recognition sites for O protein (ori λ); and (ⅵ) a deletion! m! utant missing the amino-terminal portion of the carboxyl-terminal domain is still comparably active in the in vitro λdv replication assay. In Chapter 4, the structural basis of the O protein-DNA complex was studied in detail. Hydroxy radical footprinting was employed to obtain the high resolution structural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s between the protein and the sugar-phosphate backbone of DNA. The missing nucleoside experiment allowed us to identify energetically important base moieties that may be in contact with bound O protein. Quantitation of the extent of O-mediated DNA bending indicated that O induces a relatively sharp bend in an individual recognition sequence of 85。 ±5。 . Measurement of the O-induced topological change indicated that a region of DNA or specifically ori λis wrapped around the O protein core in a left-handed fashion with a linking number change of 0.7±0.1 turn. In Chapter 5, we present direct evidence that the O protein also has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single-stranded DNA, the first such interaction discovered among prokaryotic origin-binding proteins. The implication of this dual DNA binding specificity of O for the formation of the unwound structure at the A/T-rich region of ori λ is dis cussed. The addition of the λP-DnaB comple x to the O-some produces a new nucleoprotein species with a super-shift in migration. The presence of P and DnaB reduces significantly the amount of O required for binding to single-stranded DN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tailed model for sequential structural changes in ori λ as a consequence of O binding to the origin of λreplication.

      • 사회주의자 탄압법 페지후의 엥겔스의 혁명전략과 독일사회민주당

        박관주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32318

        1891년 독일사회민주당은 Erfurt강령을 채택함으로써 그들이 명백한 맑스주의 정당임을 표명하였다. 맑스가 1870/71년 보불전쟁 이후 이제 유럽 노동운동의 중심이 프랑스에서 독일로 옳겨지게 됐다고 하는 예 견은 사실대로 나타났다. 독일사회민주당은 유럽의 맑스주의 사회주의 당 가운데 가장 강력하고 커다란 당을 이루었으며 제 2차 인터내셔널 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1890년대에 들어서서 엥겔스가 제시했던 이론적 지침들의 기본적인 토대는 독일사회민주당이 합법적 투쟁에 의해 상승발전하였고 그 물적 수단으로서 보통 선거권을 프롤레타리아트의 가장 활동적인 투쟁수단 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합법적인 투쟁을 반대하는 청년파의 반의회주의를 비판하였다. 또한 의회주의를 과신했던 당내 기회주의자 들에게 대해서는 그들이 의회주의를 통하여 현존질서 내에서 평화적으 로 사회주의로 성장 · 이행한다는 생각을 비판하였다. 그는 독일정부가 전능하기 때문에 의회를 통한 권력획득은 명백한 오류라고 지적했다. 둘째로 그는 혁명조건이 변화되었다는 사실을 명백히 하였다. 구시 대의 혁명인 기습에 의한 바리케이트 시가전 혁명과 소수에 의한 혁명 은 이제 군사 무기기술의 발전과 정부와 부르조아지에 의한 군대의 효 율적 통제로 불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현대는 다수에 의한 혁명이어야 하고, 반혁명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군대 의 다수를 사회주의세력화하거나 최소한 군대가 중립을 지킬수 있었을 때 혁명은 성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세째로 그는 상승발전하고 있는 독일사회민주당이 위험에 처하게 될 경우는 국내에서 성급히 싸움을 걸거나 유럽전쟁을 통해서이므로 결정 적 전투의 시기까지 세력을 보존하는 것이 당의 임무라는 점을 지적했 다. 그러므로 그는 청년파의 과격한 혁명주의를 당면한 현실의 경제적 정치적 힘들을 냉정히 고려하지 못하는 집단이라고 비판하였다. 또한 유럽에서의 전쟁의 위협은 그것이 지배계급에 의한 사회주의세력 분쇄 음모이며 특별히 국제프롤레타리아트의 <돌격대>를 이루고 있는 독일 사회민주당을 분쇄하기 위한 음모라고 생각했다. 유럽 각국의 도박적 군사채비는 일차적으로 독일이 알사스-로렌지역을 병합시킨 데 있으며 그것이 프랑스의 애국주의와 짜르 러시아의 정복욕과 결합된 결과라고 생각했다. 그는 경제적 파탄을 가중시키는 각국의 군사채비에 대하여 군비철폐를 위한 복무기간 단축과 상비군을 민병대로 대체할 강령을 제시하였다. 그는 1890년대부터 본격화된 독일사회민주당의 농촌선동을 지지하였 다. 그러나 프랑스의 낭트 농업강령과 Vollmar를 위시한 남부독일지역 의 농촌선 동이 몰락의 운명에 처해 있는 소농을 보호하며 소농의 영 속화를 꾀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엥겔스는 또한 사회주의혁명이 마 지막 수공업자와 마지막 소농이, 대규모 자본주의적 상상에 희생된 후 에야 올 것이라는 일부 사회주의자들의 관점도 비판하였다. 그는 아직 농민인 채로 우리편에 끌어들일 수 있는 농민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만큼 사회적 변혁은 더 빨리 그리고 쉽게 수행될 것이라고 하면서, 소농뿐만 아니라 중농과 대농에게도 협동조합적 소유와 협동조합적 생 산을 하도록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 당의 역할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1894년과 1895년의 당내 농업투쟁은 맑스 교조주의의 승리로 결말되었 고 엥겔스가 농천선동을 더욱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은 농촌선동을 사실상 포기하고 말았다. 독일사회민주당은 노농동맹의 결속을 이루어내지 못하였고 엥겔스가 그토록 강조했던 프로이센 군대의 주축인 동엘베 토지노동자들도 사회 민주당 세력으로 흡수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엥겔스의 혁명적 의 회전략은 카우츠키에 의해 수정된 형태로 독일 사회민주주의에 접목되 었다. 카우츠키는 자본주의사회의 붕괴가 이미 합법적으로 내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민주주의는 단지 이러한 자동붕괴를 단순히 기다리기 만 하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혁명적 대기주의(revolutionarer Attentismus) 하에서 당지도부는 현재의 노동자조직은 권력탈취투쟁을 전개할 만큼 강력하지 않으며 또한 이러한 노동자조직은 자본주의가 자동 붕괴된 후 권력을 인수하기 위하여 스스로를 파괴시킬지도 모를 모험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조직 애국심' 에 빠겨들고 말았다. Engels erscheint angebracht, an dieser Stelle die Grundelementeder Engelsschen Strategie wahrend der ersten Halfte der 90er Jahre aufzuzeigen. 1.Der Sieg des Sozialismus in Deutschland ist bei einer ungestorten Entwicklung der Verhaltnisse unvermeidlich. Man kannmit fast mathematisch genauer Berechnung die Zeit bestiBmen", in der die Sozialdemokratie zur Herrschaft gelangt. Engels lag der Zweck jedes Abwiegelns und jeder Berufung auf die Gesetzlichkcit beziiglich der deutschen Sozialdeaokratie nurdarin, da★ das "Hauptkorps" der internationalen Arbeiterbewegung fur den kritischen Augenblick in Bereitschaft gehalten wurde und sich nicht in "Vorpostengefechten" aufreiben durfte. 2.Angesichts des Standes der waffentechnischen Entwicklung verspricht eine bewaffnete Auseinandersetzung nur dann Erfolg, wenn die Mehrheit der Armee sich auf die Seite der Revolutionare schlagt. -die Ara der Barrikaden und StraSenschlachten ist fiir immer voruber" 3. Das wirkungsvollste Kampfmittel des nodernen Proletariats ist das von der deutschen Sozialdemokratie vorbildlich gehandhabte allgemeine Wahlrecht. Richtig beniitzt, fuhrt es mit Notwendigkeit zur Revolution Die unaufhaltsame Entwicklung zum Sieg des Sozialismus in Deutschland sah er allerdings durch zwei Momente gefahrdet, durch ein provoziertes oder unprovoziertes voreiliges Losschlagen bzw.durch einen europaischen Krieg. In dieser Lage, sah es Engels als Aufgabe der deutschen Partei an, "abzuwiegeln", vor allem in bezug auf den l.Mai. Die Haltung der -Jungen" zum l.Mai wurde von Engels als "pure Renommage" gewertet, die den prachtigen Lauf der Dinge in Deutschland nur storen musse. Engels' Taktieren bestimmt vom '-cauchemar des coalitions", d.h., von der Moglichkeit eines Revanchekrieges des mit dem Zarismus verbundeten Frankreich gegen Deutschland. er steht dap ein von Franzosen und Russen gefiihrter Krieg vor allem auch ein Krieg gegen die starkste und schlagfertigste sozialistischel Partei in Europa ist. In RuUland am Vorabend einer Hungersnot sah er die Garantie, da8 der Friede bis in die zweite Halfte des Jahres 1892 andauern werde, glaubte Anfang 1892, dap ein Krieg mit RuJBland auf drei bis vier Jahre vertagt sei, und beurteilte wenige Monate vor seinem Tod die Aussichten im Hinblick auf die Fortdauer des Friedens in Europa als ausgesprochen gunstig. Die in den Jahren 1894/95 in der deutschen Sozialdemokratie heftig diskutierte Agrarfrage, welche Engels zu dem Beitrag "Die Bauernfrage in Frankreich und Deutschland" zwang, beweist schlagend, daJS es Engels nicht urn die Bauern, sondern urn die Revolution ging. Das Gerede vom Schutz des Kleinbauern wurde von ihm mit einer Handbewegung abgetan. Besinnen wir uns zum SchluB auf die konstitutiven Elemente der revollutionaren Strategie Friedrich Engels' nach dem Fall des Sozialistengesetezes, so stellen sie sich folgendermaUBen dar;Der Sieg des Sozialismus in Deutschland, der den Sieg des Sozialismus in Europa impliziert, ist bei einer ungestorten Entwicklung der Verhaltnisse nicht aufzuhalten, und sein Zeitpunkt ist mit mathenatischen Mitteln zu bestimmen Weil dem so ist, mu/b ein europaischer Krieg, speziell ein Krieg Frankreichs im Bunde mit dem Zarenreich gegen Deutschland mit alIen Mitteln verhindert werden. Die ruhige Entwicklung darf auch nicht durch innenpolitische Ereignisse aufgehalten werden, vor alIen ist es zu vermeiden, sich auf Provokat i onen einzulassen, solange das Militar, speziell die Kernregimenter der preuUischen Armee, in seiner Mehrheit noch nicht fur den Sozialismus gewonnen ist Im allgemeinen Stimmrecht besitzt das Proletariat ein Mittel, seine Krafte und Moglichkeiten richtig einzuschatzen. Bei alledem ist zu berucksichtigen, da/3 die entscheidende Kraft die deutsche Partei ist. Das Ergebnis einer politischen Umwalzung in Deutschland mupte gema/b den Einsichten von Engels die "demokratische Republik" sein, welche von ihm als die "spezifische Form fur die Diktatur des Proletariats" charakterisiert wurde

      • 디지털혁명과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초등학교 경제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이수진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2303

        지금까지의 경제교육은 개인의 소질과 적성이 무시된 채, 고전적 경제논리를 지식의 전형으로 보았고, 또한 경제교육 방법도 학생들에게는 수동적이었다. 그러나 사회가 달라짐에 따라 교육 또한 당연히 바뀌어야 할 것이다. 최근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은 디지털혁명과 유비쿼터스 사회를 초래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 적합성에 의거 새로운 시회의 주역이 될 초등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경제적 소양(literacy)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초등사회과 경제교육 내용과 새로운 지도방법을 모색하는 데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디지털혁명과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는 디지털경제로의 이행, 접속의 시대와 네트워크경제, 지식기반 경제사회 등의 사회 변화를 초래하였다. 한편 경제활동의 특징으로는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신용과 전자서명의 중요성, 금융시장의 변화, 소비의 동조화를 보이고 있으며, 디지털 격차와 정보보호문제 등이 해결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경제교육 내용은 이러한 경제활동의 특징을 바탕으로 소비·디지털·금융 리터러시로 나누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소비리터러시 측면에서는 전자상거래, 합리적인 소비, 소비자와 생산자로서의 역할의 변화-프로슈머와 디슈머 교육이 필요하다. 다음 디지털 리터러시에서는 정보화와 네트워크에 따른 생활의 변화, 지적재산권보호, 정보의 중요성, 정보격차와 불평등을, 그리고 금융 리터러시 측면에서는 전자화폐와 전자상거래, 정보의 검색과 창출,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자산관리(주식), 신용카드 사용 등에 대해 체계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IT기술의 발전은 학교교육환경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유무선 네트워크와 가상공간의 활성화가 그것이다. 기존의 경제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정보통신기반의 교육환경에 의도적으로 접속해야하는 전형적인 Pull 방식의 교육이어서 초등학생들이나 주의가 산만한 환경에서는 교육의 효과가 극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 현 단계에서도 경제교육을 위해서는 휴대할 수 있는 PDA나 모바일 폰, 타블렛PC, 무선네트워크 등을 구축하여 수업시간에 전자상거래, 증권 및 은행업무 등 경제활동이나 실시간 신문뉴스, 게임이나 경제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유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u-러닝의 경우 사물의 모든 부분에 인지칩인 센서를 이식시켜, 센서기반 무선네트워크 기술과 센서가 심어진 사물이나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상황인식 차원에서 실시간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기술을 통해 경제교육의 역량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e-Learning과 u-Learning 및 블로그와 커뮤니티, 온라인게임, 인터넷방송, M-commerce, U-commerce,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DMB), 와이브로(Wibro) 등 디지털콘텐츠 및 정보화기기를 활용한 다양한 경제교육 방법들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Economic education has considered classical economy as a type of knowledge neglecting individual talents and aptitudes, and students have been passive under condition of teaching style of economic education so far. However, education surly must be changed as society has been changed. Recently, remarkable development of IT industry caused digital revolution and Ubiquitous society. This study on the basis of society conformity, has focused on finding what is needed economic literacy to primary school students who are supposed to be leaders in approaching new society. The introduction of digital revolution and ubiquitous society lead to society changes such as digital economy, the period of connection, network economy, and economic society on information technology,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itality of e-commerce operations, importance of credit and e-signature, change of financial market, and consumptive sympathization as other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y. There are also some related problem which are needed to be solved such as a digital gap and a protection issue of information. Hence, Elementary School's Economy Education has to be judged, by dividing into consumption, digital, and financial literacy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y. First of all, education of e-commerce operations, rational consumption, and prosumer and disumer-change as producer and comsumer- are needed for the side of consumptive literacy. After then, change of life sty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network ag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equality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r digital literacy. Electric money, e-commerce, searching and creation of information, internet banking, mobile banking, asset management(stocks), use of a credit card should be well organized in terms of financial literacy as well. Furthermor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s caused change in education surroundings of a school. That are wire and wireless network and revitalization of virtual space. Existing economic education has been the Pull type education. Students should approach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facilities by themselves in Pull type system, so effect has to be extremely low to primary school students and being in the distracting situation. of course, at the current stage, activ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can be expected through economic activity at a class such as e-commerce, stocks and banking transaction by building up PDA, mobile phone, tablet PC, wireless network. There are also other useful activities such as real-time newspaper, a game, an economic education program. In case of u-learning, sensors, recognition chips, would be implanted in all parte of objects, so it will analyze interchange between things and people at the level of situation recognition. From those process will increase capability of economic education through ubiquitous computing and network technology. As a result, various economic education methods would have to be attempted using digital contents and information-oriented equipments such as e-Learning and u-Learning, Blog, and community, on-line game, Internet broadcasting, M-commerce, U-commerc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and Wibro.

      • 역성혁명 예언문학으로서의 『정감록』 연구

        남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고의 목적은 예언문학의 관점에서 『정감록(鄭鑑錄)』에 나타나는 역성혁명 예언의 서사 구조와 형성 과정을 살피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정감록』은 왕조의 흥망, 국난(國難)의 징조, 새 시대를 개창할 인물 등에 대한 예언을 기록한 책이다. 조선왕조에 반(反)하는 역성혁명의 내용을 담고 은밀히 유포되었기에 저자와 저작 시기는 미상(未詳)이다. 18세기 이후 그 존재가 처음 확인되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향유와 전승이 이루어졌다. 본고는 『정감록』에 나타나는 예언이 미래에 대한 다양한 형상을 내포하고 있고, 독자들이 상상 속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예언과 문학의 관계를 고찰해 예언문학을 정의하고, 관련 작품들을 대상으로 예언문학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우선 우리 문학사에서 예언을 어떤 방식으로 다뤄왔는지를 살펴 예언문학의 개념을 설정하고자 했다. 예언이란 신의(神意)로 앞날의 일을 미리 알고 전달하는 것으로 고대부터 이야기나 노래와 같은 문학적 형식을 통해 향유되어왔다는 측면에서 문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동시에 예언 기록은 당대인의 현실인식과 미래에 대한 상상이 텍스트를 통해 형상화된 것이라는 점에서 문학적 성격을 갖는다. 이에 본고는 예언을 문학의 범위 안에서 고찰하는 것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예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문학 양식 전반(全般)을 ‘예언문학’이라 지칭했다. 이는 예언 모티프를 갖는 작품들을 하나의 장 안에서 다룰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요긴하며, 나아가 문학 연구대상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예언문학의 개념을 설정한 후에는 예언을 핵심 소재나 형태로 사용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예언문학의 존재 양상을 살폈다. 예언문학은 예언의 대상과 내용 등에 따라 크게 국가문제 예언문학(역성혁명, 전란)과 개인문제 예언문학(액운, 길운)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국가문제 예언문학은 국가의 멸망과 혁명, 전란 등에 대한 예언을 다루며, 이것이 실현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개인문제 예언문학은 특정 인물이 장래에 겪을 재앙이나 영달에 관한 이야기로 예언의 실현뿐만 아니라 인간의 의지나 노력에 따라 예언이 좌절되고 운명이 극복되는 모습도 나타난다. 특히 우리 예언문학에는 국가의 운명과 관련된 내용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역성혁명(易姓革命)을 다루는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역성혁명 예언문학은 기존 왕조가 쇠퇴하는 과정에서 겪는 국난과 새로운 통치자의 등장, 새 왕조의 터전에 대해 예언하는 내용들로 구성된다. 이는 새롭게 등장한 국가와 통치자에 대한 정당성을 강조하는데 사용되었으며, 국가 존폐를 건 혼란기나 왕조 교체가 성공한 시기를 전후해서 형성, 향유되었다. 3장에서는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역성혁명 예언문학으로서 『정감록』의 주요 이본과 서사 단락을 살폈다. 우선, 『정감록』의 주요 이본을 확인하고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때 죽하(竹下) 김승렬(金承烈)이 저술한 『정감록고핵(鄭鑑錄考覈)』은 본고에서 처음 소개되는 자료로 주목을 요한다. 이는 수경실(修綆室) 소장본으로, 『정감록』을 조사하여 밝힐 목적으로 만들어진 저서이다. 본문에 저자가 원본이라 밝히고 있는 『정감록』 이본의 내용이 필사되어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정감록』 텍스트의 범위는 실제 조선후기에 등장해 20세기 이후까지 향유되었던 「감결」로 한정해서 다루었다. 따라서 현전하는 이본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이본이자, 이후 텍스트들의 저본으로 여겨지는 아유가이본에 수록된 「감결」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연구대상을 확정한 후에는 『정감록』의 서사 단락과 서사 형성 과정에 대해 다루었다. 우선 『정감록』 텍스트를 단락별로 정리해서 전체적인 서사 구성을 살피고 이본 간의 비교를 통해 핵심 서사를 파악했다. 󰡔정감록󰡕의 핵심서사는 다음과 같다. 조선왕조 말년에 일어날 재앙과 새롭게 왕이 될 정씨(鄭氏) 진인(眞人)의 등장, 새 나라의 터전이 될 계룡산에 관해 예언하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는 앞서 확인한 역성혁명 예언문학의 핵심 서사와 동일하다. 그런데 이러한 예언은 『정감록』이 서적의 형태로 출현하기 이전부터 예언문학의 전통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고대부터 관련 참요와 참설들이 사회적, 정치적 변동을 가져오는 사건들 속에서 반복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부각된 기억들이 새로운 이야기로 재생산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형상을 더해간 것이다. 요컨대 󰡔정감록󰡕은 전승되던 예언문학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한 편의 서사로 엮어낸 것이라 하겠다. 4장에서는 역성혁명 예언문학으로서 『정감록』이 변화하는 시대 현실에 대응하여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조선후기에 등장한 『정감록』이 왕조로 대표되는 기성 권력에 맞서 전복(顚覆)을 상징했다는 측면에 주목했다. 18세기 왕조 사회에서 『정감록』 향유자들은 기존의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 나라를 이끌어줄 진인의 존재를 갈망했다. 특히 역성혁명의 예언을 담고 있는 『정감록』을 이용해 반란을 야기하고자 했던 세력들은 서사 속 진인의 존재를 자신들에게 투영시켰다. 이를 통해 자신들이 진인과 같이 절대적으로 승리할 것임을 주장하며, 민중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정감록』은 왕조의 교체라는 기성 권력의 전복을 주도하는 구심점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어 『정감록』이 왕조 교체를 넘어 전반적인 사회 체제를 변화시키는 데에 활용되었다는 측면에 주목했다. 19세기에 이르러 『정감록』은 천주교, 동학과 같은 민중종교와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단순히 다른 성씨로의 왕조 교체가 아니라 봉건적 사회 질서에 대항해서 체제를 바꾸고자 하는 움직임에 『정감록』이 변혁의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후 20세기에 이르러 조선왕조와 유교적 봉건 체제가 무너지면서 『정감록』 담론은 다시 변화하기 시작했다. 역성혁명과 예언의 대상이 사라졌음에도 『정감록』 서사가 힘을 잃거나 소멸되지 않고 더욱 활발하게 향유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흥미 위주의 상업 출판이나 사교(邪敎)의 경제적 착취 수단으로 변질된 상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가 발굴한 󰡔정감록고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감록고핵󰡕에서 『정감록』이 독립운동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기록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저자 김승렬이 중국에서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를 만났을 때의 일화가 수록되어있다. 단재가 『정감록』을 구해줄 것을 부탁하자 김승렬이 귀국 후 책을 구해서 전달했다는 것이다. 단재가 『정감록』을 요청한 것은 오랜 식민 기간에 지친 민족을 다시 결속시켜 독립운동을 지속하기 위함이었다. 당시 『정감록』 속 영웅과 새로운 시대에 대한 예언은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것이라 믿어지며 우리 민족에게 널리 공유되고 있었다. 그렇기에 단재는 『정감록』을 바탕으로 민족의 힘을 모아 외부의 적에 대항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는 『정감록』 서사가 담고 있는 혁명성과 새 세상에 대한 열망이 일제강점기라는 시대 현실에 대항해 독립이라는 사회 변혁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기대 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formative process of the narrative of the dynasty-changing revolution prophecies in Jeonggamrok and to shed light on its significance. Jeonggamrok is a book of prophecies concerning the rise and fall of the dynasty, signs of national crises and the identity of a figure who will open a new era. As it contains content about a revolution against the Joseon dynasty and was originally circulated in secret, its author and composition era are unknown. Its existence was first confirmed in the 18th century and it enjoyed lively readership and circulation until the mid-20th century. This thesis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rophecies in Jeonggamrok contain a variety of conceptions of the future which can be imaginatively realized by the reader. In Chapter 2, this thesis offered a definition of prophetic literature based on a contempl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hecies and literature, then examined the different forms of prophetic literature by focusing on related work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define the concept of prophetic literature based on how prophecies have been handled in Korean literary history. Prophecies, revelations of ‘divine will’ regarding future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aving been enjoyed in literary form, such as story or song, since ancient times. Prophetic records also possess a literary nature as textual realizations of contemporary peoples’ understanding of their present reality and imaginings of the future. This study thus recognized the need for examining prophecies within the scope of literature and designated all forms of prophecy-centered literature ‘prophetic literature’. This designation allows all works containing prophetic motifs to be handled under one genre and provides potential for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ry research topics.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prophetic literature, this paper then examined the different forms of prophetic literature, focusing on works that use the theme or format of a prophecy. Prophetic literature can be divided largely into state-related prophetic literature (dynastic revolutions, wars) and personal prophetic literature (good and bad fortune). State-related prophetic literature deals with prophecies about destruction of the state, dynasty-changing revolutions and wars, and detail the realization of these prophecies. Personal prophetic literature consists of stories about future disasters or advancements pertaining to a specific individual. In addition to descriptions of the realization of such prophecies, they also demonstrate how prophecies can fail and fates be overturned by an individual’s determination and effort. Much of Korean prophetic literature deals with the fate of the state, of which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works that deal with dynasty-changing revolutions. Such works consist of prophecies about national disasters that will occur during the decline of the current dynasty, the rise of a new leader and the geographic base of the new dynasty. These works were used to emphasize the validity of the newly risen state or leader and were composed or enjoyed either before or after a tumultuous period that challenged the state’s survival or a successful switch of dynasties. In Chapter 3, based on the argument presented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copies of Jeonggamrok and sections of its narrative. After identifying the principal copies of Jeonggamrok, this paper then established a research criteria. Of the works examined in this process, Jeonggamrokgohaek, written by Kim Seung Ryeol, deserves special attention as a work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by this paper. Stored in Sugyeongsil Library, this work was composed to investigate and make known Jeonggamrok. It contains a transcription of the content of what it claims is the original copy of Jeonggamrok. This paper chose to limit the scope of Jeonggamrok to the content of the ‘Gamgyeol’ version which appeared during the late Joseon era and was circulated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is thesis therefore narrowed down the focus of its research to the ‘Gamgyeol’ texts recorded in the representative copy of Jeonggamrok (Ayugai’s Jeonggamrok). Next, this paper dealt with the structure and formation of the Jeonggamrok narrative. First, it divided the Jeonggamrok text by paragraph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entire narrative and identified the main narrative by comparing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text. The core narrative of Jeonggamrok consists of prophecies about disasters that will occur in the final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appearance of a ‘jin-in (truly enlightened man)’ named Jeong, who will become the new king, and Gyerongsan, the future base of the new kingdom. This aligns with the typical core narrative of prophetic literature about dynasty-changing revolutions, as identified in the previous chapter. However, these prophecies were first formed within the tradition of prophetic literature before they appeared in the written form of Jeonggamrok. This is evidenced by the repetitive use, since ancient times, of related prophetic folksongs and tales during events that brought about social and political change. Memories thus brought to the fore began to take on a more specific form in the process of becoming reproduced as new stories. Therefore, Jeonggamrok can be considered the result of elements of past prophetic literature being actively melded together in the form of a single narrative. Chapter 4 contemplated the significance of Jeonggamrok as prophetic literature about a dynasty-changing revolution in connection to the reality of a changing era. First, this paper noted how Jeonggamrok,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era, symbolized a revolt against the established power represented by the dynasty. In the 18th century, readers of Jeonggamrok longed for a jin-in who could take down the current dynasty and lead the nation by establishing a new dynasty. In particular, people of power who sought to provoke a rebellion through use of Jeonggamrok, which contained prophecies of a dynasty-changing revolution, projected the image of the jin-in within the narrative onto themselves. They gathered the people’s support in this manner, asserting that they would gain absolute victory like the jin-in. Jeonggamrok is thus significant in having functioned as a pivotal force in the leading of a revolt for overthrowing the existing dynasty in favor of a new one. This paper then examined how Jeonggamrok went beyond the issue of changing dynasties and was used to transform the entire social order. In the 19th century, Jeonggamrok began to bear hints of the influence of popular religions such as Catholicism or Donghak, suggesting that Jeonggamrok was used as a revolutionary tool for a movement aimed towards transforming the entire social order of feudalism rather than the simple replacement of one dynasty with another. In the 20th century, as the Joseon dynasty and Confucian feudal system collapsed, the discourse of Jeonggamrok underwent another change. Despite the object of the dynasty-changing revolution and prophecies ceasing to exist, the narrative of Jeonggamrok did not lose steam or fall out of circulation but enjoyed even greater readership. However, it did so now in the altered form of a commercial publication for leisurely reading or an economically exploitative tool of heretical churches. Jeonggamrokgohaek, a work first discovered by this paper, requires attention within this context. This is because it is recorded in Jeonggamrokgohaek that Jeonggamrok was used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text contains an anecdote of writer Kim Seungryeol’s encounter with Danjae Shin Chae Ho in China. It states that in response to a request made by Danjae, Kim Seungryeol tracked down a copy of Jeonggamrok upon his return to Korea and passed it onto Danjae. Danjae requested a copy of Jeonggamrok for the sake of sustain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reestablishing solidary among the people who had grown dispirited under the prolonged era of colonization. At the time, Jeonggamrok was widely distributed among the Korean people under the belief that the prophecy of a hero and a new era would be fulfilled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Danjae hoped to oppose the foreign enemy by fortifying the people’s collective strength with Jeonggamrok as a foundation. This is significant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revolutionary element and yearning for a new world contained in Jeonggamrok’s narrative was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leading the social revolution of establishing independence in opposition to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