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장 시범단원의 사회적지지 인식과 운동지속,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규린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831

        태권도장 시범단의 사회적지지 인식과 그릿, 운동지속,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태권도학 전공 김 규 린 본 연구는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교 시범단 수련생들의 사회적지지 인 식과 운동지속,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교 시범단 수련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태권도장 시범단 활성화 및 엘리트화를 위한 선수층의 확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을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배부하였다. 수거된 응답 데이터 중 무기입 및 오 류 데이터 61부를 제외한 439부의 데이터를 SPSS Ver 28.0을 사용하여, 빈도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차이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PROCESS Macro 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지지, 그릿(Grit), 운동지속, 진로준비행동은 부분적으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의 사회적지지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부모지지, 친구지지 요인이 그릿(Grit)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의 사회적지지가 운동지속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지도자지지, 친구지지 요인이 운동 지속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친구지지, 지도자지지 요인이 정보수집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 구지지 요인이 도구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친구 지지 요인이 목표달성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지지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Grit)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에서 그릿(Grit)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태 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은 지속적인 운동 참여를 위해 명확한 목표 의식과 도전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더불어서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 학생 시범단원들이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며 다양한 그릿(Grit)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태권도장에서 수련하는 고등학생 시범단원들이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하도록 새 로운 교육방안이 필요하며, 고등학생 시범단원들도 개인의 진로설정과 진학을 위해 열정을 다 할 수 있도록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 사회적지지체계가 여성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동구지역을 중심으로

        서창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대구 동구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 인구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와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라 우울 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동구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218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에 걸쳐 설문면접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우울 감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사별로 인해 혼자 생활하는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 우울 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의 우울 감에 미치는 가장 큰 변수는 가족 및 친족의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으로 가족 중심적 가치관으로 살아온 여성노인에게 가족은 현재까지 중요한 사회적 지지로써 이러한 친족 및 가족의 지지에 따라 여성노인의 우울 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노인의 우울 감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은 정서적 지지임을 알 수 있다. 여성노인의 우울 감에 있어서는 다양한 물질적 제공 및 정보제공과 같은 도구적 지지보다는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여성노인에게 정서적 지지는 노인의 우울 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한 요인으로 각 사회적 지지의 원천인 가족 및 친척, 친구 및 이웃, 전문가가 다양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비공식적 지지체계에서는 정서적 지원을 쉽게 제공할 수 있지만 공식적 지지체계의 경우 오늘날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에서 노인들을 위한 도구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정서적 지지는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여성노인에게 가장 중요한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해 공식적 지지체계에서 사회복지 정책이 효과를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이슈화 될 수 있는 도구적 지원보다는 실질적으로 노인에게 필요한 정서적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who live in Dong-gu, Taegu, Korea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depression by social demographic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determined by the types of social support for elderly women who reside in community. A survey was conducted of 218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who reside in Dong-gu, Tageu from April 1st, to April 30th, 2010 through question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s of depression are high o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by bereavement, in poor health and in poverty as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affect depression of elderly women. Secondly, the main variable which has an effect o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s the support of family and relatives. Up to now, A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social support for elderly women who have been living under family-oriented values traditionally, so relatives and family support influence greatly o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Thirdly, the functional aspect of social support which affects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s emotional support. It shows that emotional support should be satisfied with elderly' needs than instrumental support like the supply of various material needs and information on depression of elderly women. As emotional support is the main factor to decrease depression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various emotional supports from family and relatives which is a fount of social support, friends and neighbors, specialists should be required. Also in informal support systems, emotional support can be supplied easily, but in formal support systems, instrumental support for the old has been reinforced in variou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has been in trouble. But it is suggested that emotional support which is needed for the old practically should be supplemented than instrumental support which can be measured easily in social welfare policy and can be mattered in formal support systems, relating with the fact the most important social support for elderly women is emotional support.

      • 진로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근로연속기대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여성인력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최근 발표된 정부의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일자리 창출 로드맵’은 진로단절여성에 대한 고용률 제고를 핵심으로 보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심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여성가족부가 2013년 발표한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통해 취업된 여성의 고용보험 취득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된 진로단절 여성 7만 1,360명 중 1년 이상 보험을 유지한 경우는 30.9%(2만 2,016명)에 불과했다. 노동시장에 재진입한 진로단절여성의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요인에 대한 연구가 꼭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를 조사하고 근로연속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독립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에 따라 가족·친구와 취업지원기관종사자로 나눈 후, 하위요인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로 구성하였다. 근로연속기대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의 4점 척도로 측정하여 그 응답값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경상북도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 고용센터 등 취업지원기관을 방문한 진로단절여성으로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86%의 회수율로 총 345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누락된 응답이 많은 경우와 부적절한 응답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총 322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으로서 빈도분석, 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차이분석으로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회적 지지가 근로연속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가구월소득, 진로단절전 종사기간, 진로단절기간에 따라 유의미가 차이가 있었으며, 취업지원기관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는 연령, 학력, 직업훈련참여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근로연속기대는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참여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참여횟수가 많을수록 근로연속기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근로연속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친구의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 물질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지원기관종사자의 정보적 지지 역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구의 정서적 지지가 낮을수록(-) 근로연속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부정적 작용에 대해 지적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너무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거나, 개인을 종속적인 상황으로 이끌던지, 개인의 자긍심을 손상시키는 등의 균형을 잃으면 사회적 지지는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취업지원기관종사자의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근로연속기대가 높다는 결과는 조사에 참여한 진로단절여성들이 취업지원기관에서 취업을 준비 중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취업지원기관종사자의 충분한 구직방법, 노동시장현황 등의 정보제공,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조언, 방향제시 등이 향후 지속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머물고자 하는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진로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에 따라 세분화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가 근로연속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근로연속기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능력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엄미화 서울한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사회적지지가 자기통제능력을 매개하여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인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6개교, 고등학교 6개교 학생 총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401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하거나 결측치를 보인 10부를 제외한 391부를 최종 유효한 표본으로 확정하여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 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행하였으며, Hayes(2018)의 SPSS MACRO PROCESS 3.5의 14번 모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지지는 성적, 평일인터넷 사용 시간, 인터넷 사용장소, 인터넷 사용 동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자기통제능력은 성별, 성적, 주말인터넷 사용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학교, 성적, 평일인터넷 사용 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인터넷 과의존은 학교, 성적, 종교, 평일인터넷 사용시간, 주말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인터넷 과의존은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부(-)의 상관관계, 자기통제능력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와 인터넷 과의존 사이에서 자기통제능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통제능력과 인터넷 과의존 사이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지지가 자기통제능력을 경유하여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조절하는 조건부 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갖는 함의는 청소년의 인터넷 과몰입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사회적지지를 통한 자기통제 능력의 증진과 동시에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청소년 활동과 문화가 구축되어야 함을 확인시켜 준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적인 표집을 통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작성 및 단일 출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사 방법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연구결과에 반하는 응답자들의 변수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전략 외에 조절효과를 보일 다양한 변수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박시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친구, 부모, 교사)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친구, 부모, 교사)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친구, 부모, 교사)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외모만족도,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배부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과 이상치 6부를 제외한 43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 사회적 지지,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예측변인인 외모만족도는 준거변인인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모만족도와 조절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변인인 외모만족도와 준거변인인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역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모지지는 조절효과가 유의했지만 친구지지, 교사지지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 산출을 통해 확인한 결과, 외모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유의했고(B=.253, p<.001),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부모지지의 경로(B=.007, p<.005)도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끼치는 예측 변인으로 아동의 외모만족도를 확인하고, 아동의 외모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부모지지 요인이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해 부모지지를 기반으로 한 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6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nd Seou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CESS Macro 4.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support of social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bu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have no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rough the path coefficient calculation, the direct path of appearance satisfaction to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 (B=.253, p<.001), the path of family support that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007, p<.005) was also found to be statically significant.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s. As a result, family support turned out to be of significance. To sum up, family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result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counseling interventions based on social support(especially, family support), and make parents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순옥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요양보호사의 높은 이직은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질과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역량 측면에서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높은 이직은 요양보호사의 채용, 선발,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이직은 노인재가요양시설 구성원간의 화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남아있는 요양보호사에게 부담을 남기고, 그들의 직무만족을 떨어뜨리며, 나아가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정착하는데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사이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유의미하고 복잡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서울지역 노인재가요양시설에 근무하는 노인재가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593명으로부터 설문응답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 통계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수에서는 가족지지, 상사지지, 동료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다소 높았으며, 이직의도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사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 상사지지, 동료지지, 가족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상사의 지지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 동료, 가족의 지지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 동료, 가족의 지지가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건대,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 사이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효과를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서 더욱 강력한 효과를 발생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한 매개효과와 더불어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독립된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국, 노인재가요양시설에 근무하는 노인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중에서 상사의 지지가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주요어】사회적지지, 직무만족, 조직몰입,

      •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태도의 매개 효과

        김민하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청소년중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의 두 개의 인문계 고등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7일부터 2021년 4월 16일까지 사회지지체계 척도,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주도학습태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지지체계의 가족, 교사, 친구지지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 보였고, 자기주도학습태도는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사회적지지체계의 가족, 교사, 친구지지는 학교생활만족도와 약간 높은 중간 수준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주도학습태도가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가족, 교사, 친구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를 자기주도학습태도가 매개 하였다. 이는 가족, 교사,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태도가 좋으며, 자기주도학습태도가 좋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중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체계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태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다솜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진로성숙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S 대학, K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점은행제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0년 11월 2일부터 2020년 11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13부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4.0 버전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 참여지속의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평가적지지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와 관련된 정보 전달을 하는 평가적지지가 높을수록 참여지속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자립성이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계획성, 현실성, 확고성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를 선택할 때 자신 스스로 선택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참여지속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가 동시에 존재할 때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타인과의 상호작용속에서 긍정적인 지지를 많이 받고, 현명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높을수록 참여지속의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높은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는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참여지속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교, 가족, 사회 등의 환경 속에서 긍정적 지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진로를 준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해서 진로성숙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proficiency of the learner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affec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hat is the impact of the social support of the learner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Second, what is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f the learner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on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redit bank system learners'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n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redit banking program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S University and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period was from November 2, 2020 to November 9, 2020, and a total of 213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and used for research.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4.0 version. In addition, Pearson moment-r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career maturity,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of the credit bank system learn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of learners in the credit banking system, evaluation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articipation persistence intenti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valuation support for delivering information related to self-evaluation, the better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of learners in the credit bank system, independ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Planability, reality, and firmnes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When choosing a career path, the higher the ability to choose by oneself, the better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ird, when the credit banking system learners'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existed at the same time, the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ability to receive positive support and make wise career choices in interactions with others,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The high social support and career proficiency of the learner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have been verified as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as they improve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erefore, it can improve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o improve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receive positive support in the environment of the learner's school, family, and society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learners in the credit bank system. In addition, career maturity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so that learners can plan and plan career paths with confidence.

      •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의 연관성에 대한 종단적 연구 : 한국아동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경시적 자료 분석

        김지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Background and Purpose: parenting stress could influence mental health of women and personal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it makes it difficult for women to enter society and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nd furthermore, they think negatively about second childbirth. Then, it is also a social problem resulting in a low birth rate. Social support is one of coping resources to relieve parenting stress. Many prior researches already had discuss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However, most of them had limitations to clarify their causal relationship because they were short term studies using cross-sectional data.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and their results are not consist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by utilizing data from repeated measures. Subject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especially of mothers with children who are from one year old to 8 years old by utilizing data of repeated measures for 8 years from the first year (2008) to the 8th year (2015)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that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conducted, in which data of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were being measured. This study selected 1,227 mothers as research subjects out of 2,150 total samples, excluding 921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and 2 who do not have data on the parenting stress variables every year, which is important. It chose parenting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et social support as a key variable of interest. It set control variables that could influence parenting stress as control variables by categorizing them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family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children factors.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this study conducted a Group-based Trajectory Mode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of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it verifi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by operat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l- Wallis test by each potential class. Then, in order to recogniz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it analyzed the data by using the Linear Mixed effect Model. The analysis started in order from model 1, which has socio-demographic factors, to model 2, which adds family factors, model 3, which add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model 4, which adds children factors, and this study verified effects of each factor. It utilized SAS version 9.4 for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ormed three potential groups (Low, Moderate, High) of social support, and four potential groups (Low-declining, Moderate-declining, High-declining, Stable High) of parenting stress. Generally, it is found that mother&s social support was being decreased from when the age of their children is one year old to when they become four years old, and also their parenting stress was getting reduced from when their children become 5 years old to when they become eight years old.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when every variable was controlled, parenting stress was being decreased, as social support, education background, marriage satisfaction, participation of husband in parenting, and sociality of children were getting higher, and parenting stress was being increased, as emotionality of children was getting low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subcategory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when a group is older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is lower social support has greater effects on parenting stress. Every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y utilizing repeated measures this study conducted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based on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parenting stress that mothers experienc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ime went on, but it could be decreased greater as their social support was more hu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marriage satisfaction, participation of husband in parenting, and temperament of children.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mothers,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who are infant or preschool aged, to introduce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Since social support could influence parenting stress much more when they are older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re lower, it would be more effective that health policies introduce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for them. In the future, by complement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seems necessary for follow-up to include and materialize more broaden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parenting stress. 연구 배경 및 목적 : 양육 스트레스는 여성의 정신건강과 자녀의 성격,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여성의 사회 진출과 경제 활동을 어렵게 하고, 나아가서는 여성이 후속출산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됨으로써 출산율 저하의 원인이 되는 사회적 문제이기도 하다. 사회적 지지는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대처자원 중 하나로, 이미 여러 선행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의 부적 상관관계에 대해 논해진 바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횡단자료를 이용한 단기간 연구로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두 요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의 수가 적고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 조사를 통한 자료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이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시행한 한국아동패널(PSKC) 조사 자료 중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가 측정된 1차 년도(2008)부터 8차 년도(2015)까지의 총 8개년도의 반복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1세~8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체 표본 2,150명 중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대상자 921명과 주요 변수인 양육 스트레스 변수가 모든 년도에서 결측인 대상자 2명을 제외한 1,22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양육 스트레스를, 주요 관심 변수로 사회적 지지를,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족 요인, 건강 요인, 아동 요인으로 구분하여 통제변수로 이용하였다. 종단적 자료의 기술통계분석을 위해 집단중심추세모형을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잠재계층별로 카이제곱 검정, 피셔의 정확도 검정,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을 통해 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후에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 혼합 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포함한 model 1부터 가족요인을 추가한 model 2, 건강 요인을 추가한 model 3, 아동 요인을 추가한 model 4 모형으로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각각의 요인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은 SAS version 9.4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 사회적 지지에 대한 잠재계층은 3그룹(Low, Moderate, High),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잠재계층은 4그룹(Low-declining, Moderate-declining, High-declining, Stable High)이 형성되었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자녀가 1세부터 4세가 될 때까지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양육 스트레스 또한 자녀가 5세부터 8세가 될 때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변수 분석 결과,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양육 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 학력, 결혼 만족도와 남편 양육 참여, 아동의 사회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성이 낮을수록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하위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은 군과 학력이 더 낮은 군에서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이 연구는 반복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 스트레스의 연관성을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어머니가 경험하는 양육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감소하지만,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더 크게 감소하며 학력, 결혼만족도, 남편 양육 참여, 아동의 기질에도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학령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여러 가지 사회적 지원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대상자에게 사회적 지원 제도를 도입한다면 보건 정책이 보다 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다 폭 넓게 포함하고 구체화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