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관련 변인

        정진환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 권역별에 따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과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필요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7월 충남지역의 S시, D군, H군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을 설문하여 568부를 최종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차이분석(t-test, ANOVA), 다변량분석(MANOVA),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족관계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각 요인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성적, 거주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성적은 ‘하’라고 응답한 청소년이 ‘상’, ‘중’이라고 응답한 청소년보다, 거주지역은 중소도시의 청소년이 농어촌의 청소년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특성에서는 가족 구성 외에는 다른 변인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구성은 양친부모와 자녀, 한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정이 기타로 구성된 가정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다문화가정 청소년과의 친밀감 정도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만남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다문화가정과 친밀감이 있는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이 더 낮게 나타났다. 각각의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청소년 친구가 없는 청소년,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친구가 되고자 하지 않는 청소년, 그리고 해외여행을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과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세 변인들이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가치지향성이 낮을수록, 문화의 다양성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은 자아존중감과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넷째, 권역별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 권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개인적 특성 및 가족관계적 특성에 따라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적과 거주지역에서 차이를 보인 반면, 연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가족관계적 특성에서는 가족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부모의 학력, 직업, 소득수준은 권역별로 사회적 거리감에서 차이가 없었다. 가족구성에서는 유럽권, 동북아권은 차이가 있는 반면 동남아권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성별, 성적, 가족구성, 거주지역, 다문화친구 유무, 친구가 될 의사 여부, 해외여행 유무,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을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친구유무, 친구가 될 의사, 해외여행 유무,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친구가 될 의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사회적 거리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족관계적 특성을 제외한 변인들 중에서 유럽권은 문화의 다양성을 제외한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고, 동남아권, 동북아권 사회적 거리감은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 모두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세 권역 모두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multicultural family gradually increased, our society is changing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with social distance of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The subjects were 568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 city, D and H county in Chungnam province. Data for the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comparison, M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gender, school record, and place of resid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degree of meeting.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lower self-esteem of adolescents is, the lower value orientation is, the lower cultural diversity is, the higher social distance i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school record and place of residence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or European area and the east and north Asia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Fifth, Variables affecting social distance were gender, school record, family composition, place of residence,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intention to be a friend, experience of overseas travel, self-esteem, value orientation, cultural diversity. Among them, intention to be a friend was a man predictor.

      •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지민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차별과 편견으로 인한 부적응 문제가 심각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함께 어울려 성장할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영향의 정도를 확인하여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해소를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재학하고 있는 대구광역시 내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과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생활수준, 접촉경험 유·무와 부모의 다문화적 양육태도,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 고정관념과 편견, 민족정체성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 중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며, 개인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없는 경우가 고정관념과 편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학년에 따른 민족정체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학년이 5학년 보다 경직된 민족정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경험 유·무에 따른 민족정체성은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 보다 없는 경우의 민족정체성이 더 경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정관념과 편견, 접촉경험,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 학년 순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고정관념과 편견은 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접촉경험이 있을수록 사회적 거리감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의 경우, 교사가 다문화적 태도를 보일수록 사회적 거리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 다음으로 학년이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아동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쇄적인 사고와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사회화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유아기 또는 저학년 시기부터 타문화에 대한 개방성과 다양성에 대한 가치 함양을 위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고정관념과 편견 형성의 예방 및 이미 형성된 고정관념과 편견 수정을 위해서는 연구기관 혹은 연구자, 교육기관 및 다문화 서비스 기관,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모두가 협력하여 효과적인 고정관념 · 편견 해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와 관련 서비스 기관들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경험의 장을 마련하여 활성화시킴으로서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거리감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사 준비과정에 있는 학생들과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교육과 다문화 사회의 바람직한 교사 태도에 관한 교육을 제공하여 이에 참가하도록 하며, 다문화적 교수 태도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여 교사들이 다문화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awareness tha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had a serious problem of maladjustment due to differentiation and prejudices. Therefore, it aims to determine the level of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mong ordinary children who will grow together with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level in order to devise practical schemes to solve ordinary children's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ose in multi-cultural children. The level of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effects of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gender, school year, living standards, contact experience, parents' multi-cultural nurturing attitudes,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stereotypes and prejudices, and national identity on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among 357 students in the fifth- or sixth-grade at elementary schools wher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enrolled in Daegu.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rdinary children showed a slightly-lower-than-average level of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with great interpersonal gap. Second, children having experience of contact showed higher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an those with such experience, which was significan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onal identity by the school year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xth-graders were found to have stricter national identity than fifth-graders. Children with no experience of contact were found to have stricter national identity than those with such experience, which was significant. Fourth, after carrying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main factors affecting ordinary children's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and relative influences, stereotypes and prejudice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s on their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followed by experience of contac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the school year. The higher level of stereotypes and prejudices having the greatest effects on their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higher sense of social distance; the more experience of contact, the lower sense of social distance. The more multi-cultural attitudes teachers showed, the lower sense of social distance. Following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the school yea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the higher school year, the higher level of social distanc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schemes can be suggested to reduce ordinary children's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First, to prevent socialization of closed thinking and negative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t is necessary to start providing education and environment to cultivate the values of diversity and openness to other culture in early childhood and lower school year. Second, to prevent formation of stereotypes and prejudices and revise those already form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 program to resolve stereotypes and prejudices effectively in cooperation among research institutions, resear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local self-governing bodies, and the state. Third, schools and relevant service providers need to reduce negative percep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em by providing and activating an opportunity to have experience for ordinary children and those in multi-cultural family to get together.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preparing for becoming a teacher and incumbent teachers with education about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desirable teachers' attitude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let them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to make guidelines for multi-cultural teaching attitudes in order to help teachers cultivate multi-cultural attitudes.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와 학생간의 상관관계와 통합여부에 따른 차이

        이민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는 담임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특성과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감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작하였다. 또한 현재 통합여부에 따라 교사들과 학생별로 사회적 거리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거리감을 측정해 본 결과 학급의 담임교사와 일반학생들 사이에 정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담임교사가 1인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측정할 수 없어 담임교사의 영향에 의한 결과라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학급에 장애아동이 소속되어 있는 지에 따라 장애인에 대해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측정치를 분석해 본 결과 통합여부에 관계없이 사회적 거리감 점수가 나타났다. 또 현재 소속된 학급에서 장애 급우와 함께 생활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에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치를 분석해 본 결과에서도 통합여부에 관계없이 사회적 거리감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학급 내 특수교육대상자 유무가 담임교사와 학생들이 느끼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문제와는 별도로 학년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학년별 담임교사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에 있어 학년별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3, 4, 5,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진행 된 본 연구에서 학년이 높아 질 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정도가 가까워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학생을 지도하며 관계를 맺고 있는 담임교사들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이해교육과 인식개선 활동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겠다. 둘째, 후속적으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 한다. 셋째, 앞으로 다양한 학교군과 지역군으로 확대 된 학년별 차이 검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년별로 적절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yp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cialties of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researching to see whether differences of social distance felt by teachers and students exist according to integration.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felt distance by using a survey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it was seen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o some extents, even though not exact, between a class’ homeroom teachers and general students. However, sin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ure could not be measured because there is only one homeroom teacher, it may be un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the homeroom teacher.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made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social distance felt on recogniz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conditions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classrooms teachers are currently in charge, the scores of social felt distance were revealed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integration. Moreover, even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asurement made in order to study the difference of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etween students who work with classmate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ho do not in currently belonged classes, the scores of social distance felt appeared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integr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felt by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is hardly influenced by whether or not the targets of special education are in class. For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by grades, aside from previous research issues, even 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ocial felt distance of homeroom teachers by gr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ith students in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y grade. In this research which was processed around students in grade 3, 4, 5, and 6; it was seen that positive feeling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rose with the higher grades because the degree of social distance felt was clos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related to the research. First, as seen in the research, since homeroom teachers influence students to some extents regarding the social distance felt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professional and systemic comprehension education and recognition improvement activities about disabilities for homeroom teachers who are guiding and making relations with students in education fields should be actively established in the future. Second, deeper studies about subordinat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distance felt should be continued subsequently. Third, if researches on verification of difference by grades which will be extended to diverse schools and districts in the future continue, i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developing disability comprehension programs for each grade.

      •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정준수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The receptive attitude of local community toward mental diseases and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re cruci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which the successful prevention, early discovery and early treatment of mental disease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rehabilitation hinge. Such an attitude can be defined as behavior that is learn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from childhood, and that is under the influence of multiple factors such as local traditional culture, values, social class, occupation, personality traits, personal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patients o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social welfare majors and other students according to volunteering experienc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on the assumption that an attitude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is learned through society and could be variable. It's basically meant to seek down-to-earth ways of minimizing social distance between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5 students at six colleges that were selected from among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city of Daejeon. There were departm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he selected universiti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54 respondents were analyzed. A SPSS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ultiple-response analysis, t-test, F-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gap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by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club membership, volunteering, the terms of volunteer work and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It implied that being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y taking related courses or doing volunteer work could be of great use for taking a positive attitude or building values that could narrow social distance. Second, concerning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etween the social welfare majors and nonmajors, the social welfare majors scored higher than the nonmajors. It indicated that the former felt less social distance than the latter. Third,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intergroup gap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and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field work experience, and only volunteering experience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4.428, p<.001). Four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intergroup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social will, knowledge, emotion and contact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majors' volunteering experience related to mental health, experience of taking relevant courses and the number of relevant field work experience. As a result, just contact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who were mor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cored higher. Fif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variables on social distance. And social dista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religion, age,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volunteer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and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dis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experience of conversation with the disabled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unpleasant experience with the disabled, age, experience of taking mental health courses, religion, experience of taking volunteering courses and volunteer work experienc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ridge social distance from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First, students should be urged to do more volunteer work to have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rom them. To make it happen,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hould map out systematic publicity plans and reinforce their cooperation with volunteer clubs to encourage students to do volunteer work on a long-term basis. Second, more courses related to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social welfare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mental health should be offered to other students as well. To boost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ourses, practical education and field instruction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ird, the departments of social welfare should keep track of relevant local facilities and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to expand the scope of mental health field work practice geared toward social welfare majors. Loc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hould publicize themselves to attract trainees and provide them with more opportunities to make a face-to- face contact with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narrow their social distance. Fourth, massmedia should use discretion in carrying reports about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ry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on mental diseases and those people and to publicize related local events.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적 태도는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발견, 조기치료 및 재활을 좌우하는 중요한 환경적 변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태도는 어릴 때부터 접해온 문화적 환경 내에서 학습된 행동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지역사회의 전통 문화와 가치관, 사회계층이나 직업, 개인의 성격특성, 정신질환자에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 교육수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로부터 학습을 통해 습득된 것이며 변화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관련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정신보건 관련 실습 경험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에 사회적 거리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 중 사회복지 관련학과가 개설된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다중응답 분석, t검증과 F검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분석 결과 성별, 종교, 동아리 가입유무, 자원봉사 활동유무, 자원봉사 기간,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인 교과목의 수강경험과 자원봉사 경험을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과 타 전공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복지 전공집단의 평균이 타 전공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 전공집단이 타 전공집단 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목 수강과 실습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자원봉사 경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428, p<.001). 넷째, 사회복지 전공생 중 정신보건 관련 자원봉사 경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 정신보건 영역 실습 경험 수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 사회적 의지, 지식, 정서, 접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접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경험수가 많을수록 평균이 높았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인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종교, 연령,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장애인과의 대화정도는 사회적 거리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은 사회적 거리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과의 대화정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한 불쾌한 경험, 연령, 정신보건 교과목 수강, 종교, 자원봉사 교과목 수강, 자원봉사 여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원봉사 활동 활성화를 통한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접촉 경험 기회를 늘려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관련 시설에서는 체계적 홍보방안의 마련과 자원봉사 활동 동아리와 연계⋅협력을 강화하여 자원봉사가 안정적,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타 전공생을 위한 교양과목의 개설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습을 병행한 현장위주의 교육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전공생의 정신보건 영역 현장실습의 확대를 위하여 사회복지학과에서는 지역사회 내 관련시설에 대한 체계적 현황 파악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며, 정신보건 관련 시설은 실습생의 적극적 유치를 위한 기관의 홍보와 실습생과 정신장애인과의 직접적 대면접촉 기회 제공을 통한 사회적 거리감의 감소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중매체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주 정보제공원으로서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내용의 보도에 신중을 기하고,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정보의 제공과 지역사회 내 정신장애 관련행사의 홍보에도 적극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자원봉사자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보호작업장 중심으로

        한기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보호작업장 자원봉사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자원봉사자의 효과적 관리와 이들의 장애인에 대한 접근방법 및 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한 자원봉사자활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인식요인과 사회적 거리감 요인, 접촉 및 사회적 거리감 요인, 인구사회학적 사회적 거리감 요인, 태도 및 사회적 거리감 요인으로 나누어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비확률 표집방법인 임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장애인재활시설 보호작업장 총300명 대상으로 2014년 9월 15일부터 10월 30일 까지 본 연구자가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각 시설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시설의 자원봉사자담당자 또는 직원과 함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총17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 되었다. 자원봉사활동 시설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사회적 거리감 영향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SPSS/WIN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T-test,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 후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적 거리감과 인과관계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보호작업장 시설 자원봉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상황을 살펴보면, 장애인보호작업장 자원봉사자는 남성이 약 6% 더 높게 나타났고 연령과 학력의 분포에 의하면 장애인보호작업장 자원봉사자는 청소년층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10대의 경우 대입에 자원봉사활동점수 반영이 큰 영향을 주었다. 학력은 대졸이하가 76%로 전체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종교적은 기독교 응답자가 59.1%로 기독교인이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자원봉사활동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형 및 장애인에 대한 거리감 상황을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신체접촉 봉사활동을 활발히 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계없이, 사전교육만 제대로 하면 장애인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신체접촉봉사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고 보며, 상호봉사활동 참여에서는 학력· 종교에 따른 분석에는 응답자의 상호작용 봉사활동 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교육 유용성에 있어서는 집단적 특성 요인보다 각 개인의 교유한 특성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지적 거리감에 대한 인식차이가 집단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서적 거리감에서는 사전교육경험이 있는 봉사자는 정서적 거리감이 낮았고, 사전교육경험이 없는 봉사자는 정서적 거리감이 높게 나타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셋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상관관계분석에서 상호작용봉사활동참여도와 종속변수인 사회적 거리감 인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하고, 독립변수인 장애인보호작업장 활동시간과 타기관활동시간, 신체접촉봉사활동참여도, 상호작용봉사활동참여도 사이의 관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접촉봉사활동참여도와 상호작용봉사활동참여도 사이의 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장애인보호작업장활동시간이 종속변수인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장애인보호작업장 활동시간이 1단위 높아지면 사회적 거리감 인식은 늘어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보호작업장 활동시간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되었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상호작용봉사활동참여도가 종속변수인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인 성별이 종속변수인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여성일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별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장애인보호작업장 자원봉사자들은 타 기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많은 시간동안 할수록, 장애인과 상호작용 활동을 많이 할수록, 그리고 자원봉사자 사전교육을 받을수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의 사회적 거리감을 줄임으로써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장애인에

      •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조사

        이소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조기발견 및 치료, 재활과 사회복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하는 간호전문 인력인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를 확인하고 향후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시키고 더 나은 간호제공을 도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신간호학 이론교육과 임상실습을 거친 D광역시 소재 3, 4 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고,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평균 2.53점(5점 만점)이며 2개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거리감은 2.50점(5점 만점), 대인적 거리감 2.56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4개의 하위 영역별로 권위주의는 2.24점(5점 만점), 자비심은 3.89점(5점 만점), 사회생활 제한은 2.28점(5점 만점),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은 3.65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수들은 성별(p=.020), 정신간호학 실습기간(p=.001), 정신장애인 관련 자원봉사기간(p=.004), 정신장애인 관련 자원봉사경험 유무(p=.006), 정신장애인 만남 빈도(p=.005), 정신장애인 만남 인상(p<.001)이었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는 4개 하위 영역별로 권위주의는 정신간호학 실습기간(p=.001), 정신장애인 만남 빈도(p=.020)이었고 자비심은 정신간호학 실습기간(p=.010), 사회생활 제한은 전공만족도(p=.014), 정신간호학 실습기간(p=.004), 정신장애인 만남 인상(p=.048)이며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은 성별(p=.037), 정신장애인 관련 자원봉사 경험유무(p=.040), 정신장애인 만남 인상(p=.008)이었다. 3.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권위주의적일수록 자비심(r=-.49, p<.001),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r=-.46, p<.00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사회생활 제한(r=.58, p<.001), 신체적 거리감(r=.26, p<.001), 대인적 거리감(r=.25, p<.001), 사회적 거리감(r=.27,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을 주는 요인을 회귀분석 한 결과 사회생활제한 영역에 사회적 거리감이(β=.57) 영향요인으로 32%의 설명력,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에 사회적 거리감(β=-.28), 신체적 거리감(β=-.24)이 영향요인으로 26%의 설명력, 자비심 영역에 사회적 거리감(β=-.32)이 영향요인으로 1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전체적으로 중간 이하로 정신장애인을 가깝게 느끼며, 정신장애인에 대해 덜 권위적이며 더 자비롭고, 덜 제한적이며 지역사회정신보건 이념이 긍정적인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거리감을 낮추기 위한 관련 변수와의 폭넓은 이해와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았던 권위주의와 자비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who were actively playing a part in the early diagnosis, treatment, recovery, and rehabilitation of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with the goal, therefore it aimed of improv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a positive dire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 of a descriptive desig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September 22, 2014 to October 2, 2014. There were 359 subjects from three nursing colleges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articipants' social distance toward a mentally disabled individual was 2.53 out of 5. The social distance scale has two subscales that are physical distance and interpersonal distance. The mean score of physical distance was 2.50 out of 5. The mean score of interpersonal distance was 2.56 out of 5. The attitude scale has four subscales: that are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The mean score of authoritarianism was 2.24 out of 5, benevolence was 3.89 out of 5, social restrictiveness was 2.28 out of 5,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was 3.65 out of 5. 2.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ocial distance were gender (p=.020), hours of clinical practicum for mental health nursing (p=.001), length of volunteer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04),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06), frequency of encountering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05), and impression of encountering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0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n attitude toward a mentally disabled individual are below. In the authoritarian subscale, hours of clinical practicum for mental health nursing (p=.001), and frequencies of encountering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2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benevolent subscale, hours of clinical practicum for mental health nursing (p=.01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ubscale of social restrictiveness, satisfaction with academic major (p=.014), hours of clinical practicum for mental health nursing (p=.004), and impression of encountering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48)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ubscale of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gender (p=.037), volunteering experience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40), and impression of encountering with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p=.008)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3.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benevolence (r=-.49, p<.001) as well as;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r=-.46, p<.00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r=.58, p<.001), authoritarianism and physical distance (r=.26, p<.001),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interpersonal distance (r=.25, p<.001), and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social distance (r=.27, p<.001). 4.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s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attitudes was social distance in the social restrictiveness domain (β=.57), explaining 32% of the variance in terms of the attitude. A social distance (β=-.28) and a physical distance (β=-.24)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ing 26% of the variances in terms of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A social distance (β=-.32) w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ing 10% of the variance in terms of benevolence.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reported a moderate or less than the moderate level of closeness toward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The participants reported less authoritarian, more benevolence, less socially restrictiveness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e positive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toward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More importantly, a social distanc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Therefor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minimize the social distance and authoritarianism and to facilitate benevolence would be needed is recommended for the nursing students.

      • 대학생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가 다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 개별특성과 경험에 따른 차이

        김민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가 다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에 있어 개별특성과 경험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 재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수준,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에 대해 기술적 분석, 단일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 그래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다문화집단에 대해 아직까지 이들을 완전한 우리국민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가장 크고,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 대한 거리감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의 경우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가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체류경험과 이주민 친구가 있는 경우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가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다문화집단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갖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일회성, 피상적 다문화 연수나 특강과 같은 프로그램이 아니라 지속적이며 심도 깊은 접촉과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문제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n their social distance to multicultural group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ose impact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From 3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Kyungbook area, 417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bout the level of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social distance for migrant workers, married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sing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wo way ANOVA and graph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did not accept fully the multicultural gropus as Korean people. Their social distance for migrant workers was the biggest and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smallest. Second, the impact of female students’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n the social distance about migrant workers and married migrant women was great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Third, the experience of foreign residents and the presence of an immigrant friends could decrease the impacts of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on the social distance for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This study indicates that in order to decrease university students’ social distance to multicultural groups, continuous and refl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rather than one-time or superficial program like a special training or lecture. Also, when developing those multicultrual education programs, emotional issues such as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should be considered.

      •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

        유혜정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26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s human beings, but the reality is that in our society,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of the disabled is not yet guaranteed due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the disabled. When non-disabled people have no experience in contac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or make negative judgments, they may develop wrong perception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affects human rights issu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accep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Currently, it is a time when non-disabled people view disabled people positively and measures and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their complete social integration so that disabled people can be free from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However, in existing research,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that identify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their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their attitudes toward accepting disabled peopl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prejudice held by non-disabled people against the disabled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their perception of the disabled, and their attitude toward accepting disability, and verifying whether social dista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e aim was to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related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ways and support to prevent disabled people from being discriminated against in their lives and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for 30 days from January 17, 2023 to February 15, 2023, for a total of 675 non-disabled Korean nationals between 20 and 70 years of age, with equal allocation by age, region, and gender.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93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uman rights awareness, 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accepting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All online surveys were collected, and excluding 15 questionnaires with missing or insincere responses, a total of 660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y, an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used the bootstrapping method to present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did not affect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Third,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distance. Fourth, the social distance of non-disabled peop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Fifth, the social distance of non-disabled peop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Sixth, social distance was found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and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Seventh, social distance was found to play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and their attitude of acceptance toward disabled peopl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systems and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non-disabled people so that non-disabled people can have a positive perception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to raise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of non-disabled people, respect human rights for the disabled, improve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achiev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was suggested. In addition, the need for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reduce the social distance between non-disabled people and disabled people was emphasized. Keyword: Non-disabled, Human Rights Awareness,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Social Distance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나, 아 직까지 우리 사회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으로 인해 장애인들의 행복추구권이 보장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비장애인들이 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이 없거나 부정적인 판단을 하게 되는 경우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장애인에 대한 인권문제, 장애인을 수용하는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장애인들이 차별과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그들의 완전한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 및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나 기존의 연구에서 비장애인의 인권인 식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 및 수용태도를 파악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 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장애인의 인권인식과 장애인에 대한 인 식 및 수용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을 통하여 비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개선시키고 장애인이 그들의 삶 속에서 차별받지 아니하 고 정상화의 원리에 따른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안 및 지원을 위한 제 언과 관련 정책의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23년 1월 17일부터 2023년 2월 15일 까지 30일간 대한민국 국적의 20세 이상 70세 미만 비장애인을 대상으 로 연령, 지역, 성별 균등 할당으로 총 675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배포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93문항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권인식,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수용태도, 사회적 거리감 등의 내용 으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설문은 모두 회수되었으며, 누락된 문항이 있 거나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 15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총 660부 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SPSS 24.0과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변수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제시하기 위해 부트스트 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은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은 사회적 거리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장애인의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장애인의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비장애인의 인권인식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에서 사 회적 거리감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비장애인의 인권인식과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와의 관계에 서 사회적 거리감은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이 함양되어 비장애인이 장 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및 수용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제 도 및 교육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비장애인의 인권인식을 높이고 장애인에 대한 인권 존중,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국가수준에서의 제도적 방안에 대한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비장애인과 장애인과의 사회적 거리감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주요어 : 비장애인, 인권인식, 장애인에 대한 인식, 장애인에 대한 수용태도, 사회적 거리감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거리감 영향요인

        박현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15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e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in the area of disabled people feel, and understan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social distance. The concrete experimental questions are the following: Does a difference exist i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the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Does factors such as recognition, contact, and general factors affec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and the social welfare expert fe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research for recogni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Disabilities Act’in April 1, 2008, which was done by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subdivision of Human Rights to select subjects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for disabled was randomly selected throughout the nation using the telephone book as a source of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ensity of population in the telephone book, 1000 were selected, and 82 who answered disabled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elephone call from July 21, 2008 to August 8, 2008. Due to a request from Korean Disabilities Rehabilitation Committee, the expert set the population to be the members of RI Korea, and sent a survey via email to 350 people, including civic groups focusing on disabilities, heads of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related to this area.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August 23, 2008. The survey results from person who revealed irrelevance towards the topic of disabilities and results that contained incomplete case were eliminated, which lead to 110 survey results to be completely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 a disabled person feels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eco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actors and social distance among two populations, the disabled person and social welfare expert,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 fixed idea questionnaire, “Be a burden to other people,”was held more strongly in disabled person than i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Third, the disabled person who has a family with disabilities feels more social distance than who does not have a family with disabilities. For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which had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quality of contact, and neighbors with disabled felt less social distance. Fourth, for disabled person with their family’s monthly income less than $1,000 did not feel as much social distance as to the family with monthly income greater than $2,000. Fifth, for disabled, fixed ideas playe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and for social welfare expert, negative feelings were more influential than fixed ideas. Sixth, the influence of quality of contact on connection was not verified. Howev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among the populations, especially in social welfare experts, the population that had positive quality of contact had higher average of social distances. Many implications and deduction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made. First, this research can be used beyond its purpose as recognition research on disabled person and serv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act of discrimination during everyday life. This adds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his has revealed reasons for directivity of the actions of the disabled and social welfare experts. This could help to organize plans to reduce social distances the disabled and the social expert feels. This type of program will include ways to reduce negative feelings and fixed concepts for both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people. Secondly, from the result that the number of contact for the disabled is much less than that of the social welfare expert shows that programs that require the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s needed. Especially for disabled people, locomotion is inconvenient, so there should be programs available aiding their transportations, increasing such interactions among people. Thir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conducted among public,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fixed ideas had more influence than negative feelings on the amount of social distances fel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ocial distance felt by the disabled people, negative feelings need to be conquered in order to use fixed concepts in reverse effect. For example, emphasis on disabled person’s success could be used to accentuate factors of success, and use the mass media to straighten stereotypes and form positive images. Also, they should participate in programs to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and perform their part in a rightful act, which hopefully will lead to the destruction of existing negative fixed ideas, and induce a turnover of recognition. This should also be the ca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is happens naturally as they become more soci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