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은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on their attitude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herefore, th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were examined by categorizing them into positive attitudes, such as benevolence and the concept of community mental health, and negative attitudes, such as authoritarianism and social life restric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and to improve positiv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pati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survey of 150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in Busan and Ulsan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Pusan National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measure used in this study is an indicator of human rights sensitivity develop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02). This indicator measures an individual's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by assessing their overall score based on which values they advocate in human rights dilemma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was measured using the Communit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CAMI) survey translated by Lee et al. (1996). The CAMI survey explores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in four aspects: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For the key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tests and ANOVA were employed.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was 2.88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was moderate. This is higher than the results of a study of psychiatrists (2.66 points on average), but lower than that of onl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3.21 points on average). In the sub-variabl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ability to perceive results was the highest, and the situation perception ability was lower than other perceptions. Having a high level of result perception ability indicates a strong emotional recognition towards mentally ill patients, but their situational perception ability was somewhat low, indicating the need for practical case education on various human rights issues. Second,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bas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gender groups,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In terms of occupati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compared to non-professional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in higher positions, such as team leaders and above, hel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mental illness compared to team members. Thir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was found to influenc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Higher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positive attitudes, such as benevolence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addition, there was a decrease in negative attitudes, such as authoritarianism and social life restriction, towards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s human rights sensitivity increased. In other words, if human rights sensitivity is high,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emphasized. Consequently, there is a decrease in negative attitudes such as authoritarian attitudes and restrictions on the social life of mentally ill patients. Instead, there is an increase in positive attitudes such as benevolence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enhanc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actitioners is crucial for foster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ultimately influencing the recovery and quality of life of these individuals. To enhance practitioners' human rights sensitivity, it is essential for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to designate human rights education as mandatory training, expanding the educational hours. Moreover, case-based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practitioners' situational awareness of human rights issues should be implemented, enabling them to apply this knowledge to mental health service provis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differences betwee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there is a need for a tailored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is study confined its research participants to the areas of Busan and Ulsan, so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in measurement tools, as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dex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02) and the Communit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CAMI) survey have not been updated since their development.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to enhance human rights sensitivity for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orker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uch a curriculum is expected to further advocate for positive attitudes towards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human rights.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이 정신질환자를 대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 태도인 자비심과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 부정적 태도인 권위주의와 사회생활제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에 대한 중요성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정신건강전문요원 및 비전문요원)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인권감수성 척도는 국가인권위원회(2002)에서 개발한 인권감수성 지표로서, 인권 딜레마 상황에서 어떤 가치를 더 옹호하느냐에 따라 평정한 총점으로 개인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측정하며, 종속변수인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이주훈 외(1996)가 번역한 지역사회 태도 조사(CAMI: Communit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Ⅲ)를 활용하여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4가지(권위주의, 자비심, 사회생활제한,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를 살펴보았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9.0을 활용하여 주요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 분석을 이용하였고, 인권감수성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은 평균 2.88점(5점 만점)으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과 보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평균 2.66점)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정신건강전문요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평균 3.21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인권감수성의 하위 변인에 있어서는 결과지각 능력이 가장 높고, 상황지각 능력이 다른 지각 능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결과지각 능력이 높다는 것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정서 인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상황지각 능력은 다소 낮아 다양한 인권 문제 상황에 대한 실무적 사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성별, 교육 수준, 결혼상태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직종에 있어서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이 비전문요원에 비해 정신질환자에 대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에 있어서 팀장 이상이 팀원보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이 높을수록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인 자비심과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은 증가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인 권위주의와 사회생활제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인권감수성이 높으면 정신질환자 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됨으로써 권위주의적 태도와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생활을 제한해야 한다는 부정적 태도는 감소하게 되고, 정신질환자를 온정주의적으로 바라보는 자비심과 정신질환자를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함께 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의 긍정적 태도는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회복 및 삶의 질 향상에까지 영향을 주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마련을 위해서는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이 매우 중요하다는 함의를 가진다. 그러므로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해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도 인권교육을 법정 의무교육으로 지정하고 교육 시간을 확대해야 할 것이며,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사례 교육을 통해 인권상황에 대한 종사자의 상황지각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직종 특성인 정신건강전문요원과 비전문요원의 차이를 고려한 교육 커리큘럼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를 부산 및 울산지역에 한정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으며, 연구의 측정 도구인 인권감수성 지표(국가인권위원회, 2002)와 지역사회 태도 조사(CAMI)가 개발 이후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실천적 적용을 시도함으로써,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 마련 및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더욱 옹호해가기를 기대한다.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영성(靈性)과 직무성과(職務成果)에 관한 연구 : 가톨릭 수도자들을 대상으로

        이혜정 이화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성이란 존재와 인식을 포괄하는 인격의 한 부분으로서 삶의 의미와 목표의 추구를 강조한다. 그러므로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영성은 인간의 현실이 고통과 결핍, 소외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현실에 충실히 대응하여 초월과 의미추구를 가능하도록 격려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Canda, 1988). 본 연구는 인간을 생리, 사회, 심리, 경제, 문화적 차원뿐만 아니라 영성적 차원까지도 고려한 전인적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현대적 해석에 맞추어, 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영성의 중요성과 영성에 대한 관심증대를 위한 탐색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의 영성이 직무성과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초점을 두고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부방과 의료사회사업(원목)분야를 제외한 전국 사회복지 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가톨릭 수도자들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하였다. 기관선정은 체계적 표본 추출을 통해 117개 기관이 선정되었고 응답자는 각 기관에서 1명에서 5명이 응답을 하였으며, 230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4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영성의 중요성과 영성의 개념, 영성의 속성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영성과 직무성과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영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산분석(ANOVA)과 T 검증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직무성과의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영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설명력 파악을 통하여 영성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의 정도를 살펴보면 성별은 영성의 정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에 따른 영성의 정도는 20대가 가장 낮고, 50대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영성에 있어서 50대가 가장 높은 정도를 보여주고, 가장 젊은 나이인 20대가 영성의 정도에 있어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수도생활의 기간에 따른 차이는 수도생활기간이 10년 미만인 사회복지사와 31년 이상 된 사회복지사인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수도생활을 31년 이상 한 수도자 그룹이 가장 높은 영성의 정도를 보여주었고, 수도생활기간 10년 미만인 수도자의 경우는 영성의 정도가 가장 낮았다. 영성의 정도에 따른 직무성과의 차이는 영성을 정도에 따라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성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직무성과의 정도도 높게 나타나 낮은 집단과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직무성과와 직무성과의 7가지의 각 하위차원 중 6개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 및 유지능력, 사회복지실천과정으로서의 지식과 기술, 기관행정의 이해, 업무수행 요구 및 업무량 관리, 직원 및 지역사회, 전문가들이 갖추어야 할 속성차원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을 초월성을 강조하는 개념인 수직적 차원과 이웃·사회 및 자연과의 관계를 강조하는 수평적 차원으로 나누어 직무성과의 정도에 대한 관계로서 설명력을 살펴보면 영성의 수직적 차원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 및 유지능력, 기관행정의 이해, 직원 및 지역사회, 전문가들이 갖추어야 할 속성의 영역에서, 영성의 수평적 차원은 사회복지실천과정으로서의 지식과 기술, 업무수행요구 및 업무량관리의 영역에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사회복지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수도자들의 영성의 정도에 따라 직무성과의 정도에 차이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영성이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영성과 직무성과의 두 변수의 관계에서 영성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사회복지실천에서의 함의를 찾아보면, 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직무성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사회복지 기관의 책무성을 증가시키고 사회복지사 자신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복지사 양성과정에서 사회복지사 자신의 영성을 인식하고 영성을 좀더 성장시킬 수 있도록 영성과 관계된 교과내용의 추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 스스로도 자신들의 영성을 성장시키기 위한 개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면,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하여 변화와 해결을 위한 원동력을 인간의 내적인 힘 안에서 찾고 성숙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원조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즉 전인적 관점에서 인간의 영성적 차원까지도 고려함으로써 궁극적인 결과로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영성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일차적인 목표가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는 영성의 차원을 고려한 전인적 관점에서의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일반사회복지사, 타종교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특성을 지닌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일반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을 한다. Spirituality is a part of personality covering existence and recognition and focuses o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ursuit of goals. Therefore,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is to make people confront the reality of life well and encourage to make it possible to transcend and pursue the meaning of life, though the reality of life is like suffering, dearth and alienation (Canda, 1988). This is the exploratory study to exp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interest of Spirituality in clients and social workers in line with the modern analysis that human being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holistic man considering the dimension of Spirituality as well as biological, social, psychological, economical, and cultural dimensions. To pursue this goal,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of social workers and the job performance was studied. The mail survey was done with the religious who are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nation except the house of study and the medical social work area. The selection of the organizations was 117 through systematic sampling method. From one to five from each organization wa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The analysis was done by 148 questionnaires which were returned successfully among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For the theoretical bases,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nd the attributes of Spirituality were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the job performance was also inquired through the pilot study.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done b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to find out the level of job performances depending on social workers' Spirituality level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don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Spirituality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ity by gender of social worke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ity by age factor: the highest in fifties, the lowest in twentie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ity by their periods of the disciple's life. The group of over 31 yea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pirituality and the lowest in the group of less 10 yea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performances of social workers depending on their levels of Spirituality (high, medium, and low). The higher Spirituality, the better job performances. Third,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the level of Spiritual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6 sub-dimensions: (1)the ability to make relationships and maintenance with clients, (2)the knowledge and skill to practice the social welfare, (3)the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ve affairs, (4)the request of job performance, (5) the managing the work-load, (6)the attributes for staffs, local community, professionals among 7 sub-dimensions of the job performances. In details, the vertical dimension of Spirituality focusing on transcend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evel of (1), (3), and (6)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Spiritualit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and environ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evel of (2), (4), and (5) respectively. In summa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s of Spirituality of the Catholic social workers. The levels of Spiritualit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s of the job performances and the higher level of Spirituality, the better job performances. Looking for the inferences to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based on the result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xpan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add more social worker educational courses related to Spirituality for them to realize and develop their own Spirituality and result in the increase of their job performances. In addition, it is clear individual efforts of social worker him/herself will be also required to grow up his/her Spirituality. If they real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y d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at will help them to find out the force from the inner mind to solve the problems and make them matured. And the areas of social worker will be broadened in effect. That is, the consideration of Spirituality in terms of the whole man will result in the increase of social welfare service quality. This study has a goal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refore, for the future study, it seems to be necessary to see the effects of spirituality in terms of the whole man o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It is also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the various target samples such as the general social workers as well as the social workers from the other religious parts.

      • 사회복지관장의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관계연구

        이선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조직은 조직구성원에게는 고도의 전문성이 점점 많이 요구되며, 조직구조는 점점 더 다원화, 수평화 되어가며,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감이 중시되고 있어 어느때 보다도 조직구성원의 역량강화(empowerment)가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리더가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에게 힘을 불어넣어야 하며, 구성원에 대한 지속적인 육성과 자극을 통해 자신감을 강화시켜야 하며, 집단이나 조직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함으로써 구성원이 자신이 나아가는 방향을 알 수 있게 만들어야 하며, 구성원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실패를 통한 학습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오늘날은 변화속도가 점점 빨라지기 때문에 하위자에 대한 면밀한 감독과 지도를 통해서는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다. 따라서 직접적인 감독을 통해 하위자를 이끌기 보다는 하위자가 선택해야할 이념을 내면화시키고,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주어진 방향의 범위내에서 자율성과 책임감을 발휘하여 일하게 하는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에 요구되는 리더의 행동은 변혁적 리더십이론의 변혁적 리더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부분에 대한 현실적인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사회복지관 최고 관리자의 리더십을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리더십수준으로 측정하고, 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조직의 내적효과성을 측정하며, 사회복지관장의 리더십수준과 조직효과성의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리더십이론과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고, 실증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3년 3월부터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23부를 회수하여 SPSS1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요인 리더십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으로 개념화하였던 카리스마, 개별화된 배려, 지적자극의 3개 요인이 요인1에 집중하여 나타는 결과 이를 하나로 묶어 “변혁적 리더십”이라는 요인으로 개념화하였으며,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에는 상황적 보상과 예외관리등의 요인을 요인2로 묶어 “거래적 리더십”으로 개념화하여 당초의 하위요인배치와는 다른 구조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다요인리더십설문지의 불안정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사회복지관장의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복지관의 운영법인별로 보면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복지관의 경우 관장의 변혁적 리더십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단법인 재단법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원수는 20명이하였을때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관장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을 보면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그러한 차이가 큰 의미가 없었다. 현 복지관에서의 근무연수는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4-6년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10-12년이 가장 높았으며, 연수가 짧을수록 거래적 리더십도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이 양적 상관관계가 높고,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나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경우도 양적 상관관계가 있으나 다소 낮은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운영기간이 짧을수록 프로그램의 수가 많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높아지며, 거래적 리더십은 직원이 적을수록 프로그램이 많아질수록, 사회복지관련 경력이 많을수록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조직효과성에 보다 관련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직이 리더를 선발, 육성, 평가하는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An organization today demands high level of specialties for it's members and it's structure is becoming more plural and levelled. Also, importances of members' self-control,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mpowerment are being emphasized. Therefore, a leader must empower his members, strengthen self-confidence by continuously developing and stimulating members, help members to realize a right direction towards wholesome future promoted by the group or organization, must provide information and support needed by the members and guarantee the learning through failur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members of an organization. Also, because it is difficult to catch up with the speed of change through detailed inspection and instruction on the juniors, a leadership of internalizing junior's principles, providing an overall direction and helping the workers to perform their task with self-control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ith in the boundary of given direction is being demanded rather than leading the workers through direct inspection. In simple terms, behaviors of a leader demanded today almost coincides with transformational leader described by a princip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fore, a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leadership level of managers required to perform realistic work tasks of social welfare center effectively in leadership level, to assess inter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center they work at and to investig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level of directo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have studied documents about the leadership princip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experiment, we have conducted a survey since March to April 2003, using a questionnaire structured on the subjects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Kyeonggido area. Then, we have recollected total of 123 questionnaires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10.0.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3 elements of charisma, differentiat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were conceptualized into sub-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conceptualized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cas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contingent reward, management-by-exception and other elements were conceptualized into "Transactional Leadership" to be analyz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initial sub-elements. Second, social worker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level higher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terms of the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center directo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r age group of responders. Third, in case of the leadership according to the director's gender, men display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mpared to women. And it was indicated that lower age show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ch differences had no significance in transactional leadership. Fourth, as for the number of years of working at welfare center, those who worked more than three years show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compared to those who worked less than three years. In cas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re was no significance with the work experience of directors in relevance to social welfare. However, there was a small increase in cas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Fif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r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 level of correlation was proven to be rather low. Sixth, shorter period of operation period, greater number of programs and younger age show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ere as less number of workers, greater number of programs and greater work experiences in relevance to social welfare showed higher level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t was proven through this study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center director had higher relationship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pared to transactional leadership. Such fact provides points of suggestions in an organization selecting,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leader.

      •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김은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김 은 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지도교수 남 현 주 우리나라의 학교상담의 시작은 1952년부터 1962년까지 세차례에 걸쳐 한국을 방문한 교육사절단(UNESCO-UNKRA)의 활동에서부터 시작, 교도교사제도를 거쳐 전문상담교사제도, Wee Project의 전문상담교사제도로 발전되어 왔다. 학교상담은 종래의 훈육에 의한 반성과 도의교육이 강화가 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추진되고 있는 Wee Project는 학교안전통합시스템으로서 지역사회의 유관기관 및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위기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학교사회복지의 도입은 1993년 4월부터 태화은평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은평구 수색초등학교와 연계하여 주1회씩 총 12회에 걸쳐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을 들 수 있다. 본격적으로 학교 상주형 사회복지사가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97년 교육부의 ‘학교사회복지 시범연구사업’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시범사업은 학교라는 교육체계 안에서 사회복지사를 파견, 배치하여 학교-가족-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복지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양극화, 가족기능의 약화 등으로 말미암은 사회적 통합의 위기를 인식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되어 빈곤 아동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은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실시한 교육정책 가운데 교육 불평등 해소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정책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과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공통적 안고 있는 문제, 즉 자격제도 및 양성과정의 문제, 역할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 인식 및 처우에 대한 문제점, 법적 근거부족으로 인한 지원체제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보다 명확히 규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사는 예방적 차원의 접근을 학교사회복지사는 문제해결적 접근을 해야 한다. 학교상담사는 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안정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건강과 학습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는 학생-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둘째, 학생 개인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학교상담사가, 환경적인 문제로 발생한 문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해결해야 한다. 학생 개인적인 정서적 상황이나 기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은 학교상담사가 담당하고 학생 주변의 환경으로부터 발생한 문제는 학교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 학교 체제내에서 담임의 역할은 사정단계에서 머물러야 하며, 보다 전문적인 해결은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담당하여야 한다. 학생들의 문제를 보다 전문적이고 세분화하여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교 내에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 하며 학교 각 상황에 맞는 전문가를 학교에 배치하여야 한다. 학교 상황에 필요한 전문가의 욕구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학교의 상황에 맞는 전문가가 배치되어야 한다.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함께 활동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지역 및 학교의 여건상 두 전문직이 파견되어 근무하고 있는 학교는 전무하며, 수행하는 역할 또한 명확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전문직교사 한명이 여러 가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학교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에 대한 명확한 역할 규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전문가 조직의 긴밀한 상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와의 탄력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와 지역상황에 맞는 전문인력이 배치되기 위해서는 욕구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폐쇄되어 있는 학교 공간이 열린 공간이 되어 학교 밖의 다양한 아동·청소년 복지정책과 연계되어야 한다.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지려면 일반학생들도 참여할 수 있는 교과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학교폭력이 저연령화 되어가고 있음으로 인해 중고등학교위주로 배치되어 있는 학교상담사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초등학교에도 배치되어 예방적 차원의 문제해결을 해야한다.

      • 불교사회복지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노은경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of all to provide an overview of Buddhist Social Welfare Studies. And the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the existing studies are tried to find its new directions and tasks, to promote the academic development of Buddhist Social Welfare. Under this purpose,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composed as follows. Firstly is attempted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term of so-called 'Buddhist Social Welfare'. It's important to be able to say what is the Buddhist Social Welfare exactly. The field of Buddhist Social Welfare needs the establishment of definition, criteria and the application of suitable theoretical frameworks, in order to uphold an established set of academic standards. Currently there is no the accordant definition of it among the scholars. Buddhist Social Welfare encompasses all activities that the buddhist work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term is defined as social activities with the appl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to resolve social problems accordingly. Secondly is analyzed a select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studies in different aspects; the frequency of research subjects, main subjects and their contents, given brief summaries of study result and critically reviewed and discussed its problems and deficiencies. The main subjects are as follows: -Studies on Buddhist Social Welfare in history -Studies on Buddhist Social Welfare principles -Survey researches on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among believers in Buddhism -Studies on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esent conditions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ctivities -Studies on improvements in the buddhist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The last two decades is studied Buddhist Social Welfare, but it is not enough ripe to make a discipline. There is no objection to say that the essence of Buddhist Social Welfare grounds on the Buddha's original teachings. The question is how to make the traditional buddhist sources practical and appropriate for Buddhist Social Welfare. It is now in the beginning and demands further investigation specially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with other fields such as Buddhist Studies, Religion, Social Sciences, the Korean Studies, Psychology etc. Third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s suggested some new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future research which differentiate Buddhist Social Welfare from general Social Welfare specially. Research methods for Buddhist Social Welfare are raising complicated issues when Buddhism and Social Science incorporate into one method. The Buddhist approach and the sociological approach have each other distinctive ways of gathering data. As a solution of this difficulty was suggested a change in paradigm from positivism to pragmatism, and Hermeneutics as the methodology of Buddhist Social Welfare. Furthermore is stressed the need of Korean Buddhist Social Welfare.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the spiritual and cultural welfare, and prophylactic welfare. To be able to realize them, we will have to strive to develop new programs whose efficacy could be proved empirically.

      • 지역사회복지사회복지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 개인간 갈등을 중심으로

        장혜금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이 어떠한 수준으로 지각되는지 측정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여 갈등요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의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갈등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조직의 유효성이 역기능적이라고 하였으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 정도는 5점 척도에서 전체평균이 2.38로 지각하고 있는 개인간 갈등의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하위영역별 갈등수준은 간섭(방해)이 2.63(표준편차 .72), 무시(불쾌)가 2.57(표준편차 .75), 의견마찰이 2.43(표준편차 .67), 불신이 2.25(표준편차 .70), 정보제공의 보류(기피)가 2.01(표준편차 .65)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갈등요인들이 갈등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섭·방해의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은 동료간의 의사소통과 기관장의 리더십 중 유인성,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그리고 기관장과의 의사소통의 순으로 간섭·방해의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견마찰의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은 동료간의 의사소통과 기관장의 리더십 중 유인성,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그리고 기관장과의 의사소통의 순으로 의견마찰의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제공의 보류·기피의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은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그리고 동료간의 의사소통의 순으로 정보제공의 보류·기피의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신의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리더십 중 유인성과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동료간의 의사소통, 기관장과의 의사소통, 기관장의 리더십 중 규칙강조성의 순으로 불신의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시·불쾌의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동료간의 의사소통과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기관장의 리더십 중 유인성의 순으로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전체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동료간의 의사소통과 사회복지사의 퍼스낼리티 중 자발성, 기관장의 리더십 중 유인성, 기관장과의 의사소통의 순으로 전체 갈등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의 개인간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기관장이 기관의 이익과 사회복지사들의 이익을 잘 옹호해주고, 업무내용과 방법을 자세하게 지시하고, 의견을 개별적으로 경청하고, 토론을 권장하고, 처벌보다는 칭찬이나 설득을 많이 사용할수록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가 맡은 일에 대해 자신의 노력을 최대한 투입하고, 몰두하여 보상을 성취하고자 하는 성향일수록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기관 내 동료들과의 정서표현, 업무활동의 조정이 원활하고, 충분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수록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기관장이 의사소통 행위와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기관장과 사회복지사가 충분한 정보를 교환할수록 지역사회복지관 내 사회복지사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conflicts within social welfare centers. The main target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level and factors of interpersonal conflicts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there.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books and articles and other empirical studies from which variables and research questions are derived. Total of 25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7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rea and 199 samples were finally col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SPSS 10.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ndicated that the interference of conflict levels averaged the highest 2.63, the annoyance averaged 2.57, the opinion discord averaged 2.43, the distrust averaged 2.25, the withholding of information averaged 2.01. And average of the whole interpersonal conflict level was marked 2.38 out of 5.0 Likert scale, which means the conflict level in this research group is low. Secondly, four factors turned out to have a great effect on the whole interpersonal conflict level.; the communication among colleagues, the willingness of social worker's personality, the inducement of chief's leadership and the communication with chief But factors such as the rule-enforcement of chief's leadership and self-confidence of social worker's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as social welfare center's chief protects the profit of social workers, explains the task content carefully, listens the opinion individually, recommends the debate and praises much, so interpersonal conflict levels decreases . Secondly, as social worker makes many effort and devotes on the task, so interpersonal conflict levels decreases. Third, as proper and smooth communication among colleagues increases, so interpersonal conflict levels decreases. Forth, as proper and smooth communication with social welfare center's chief increases, so interpersonal conflict levels decreases.

      • 농촌 사회복지실천 경험 : 충남 청양군 화성면 사례 중심으로

        김철종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농촌 사회복지실천 경험 -충남 청양군 화성면 사례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 철 종 이 연구는 농촌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기초지식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농촌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이해와 실질적 본질을 포착하여 농촌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활동을 탐구하기 위해 충남 청양군 화성면의 단일사례가 지닌 경험의 특징과 이슈들을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농촌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고 실제사건의 총체적이고 의미 있는 특징들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기에 적합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사례 지역에서 15년 이상 농촌 사회복지실천 경험이 있는 실천가들과 주민이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두 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한 가지 방법은 연구사례의 농촌 사회복지실천 경험을 고려하였고, 또 한 가지 방법은 방송매체나 신문, 또는 화성면 사례에 관한 증거들을 깊이 알고 있다고 판단된 연구참여자를 찾아가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주 연구 참여자인 김원모 목사와 핵심 동역자 3명, 그리고 청양군의회 의원1명, 지역공무원 1명을 주축으로 한 심층면접과 2011년 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의 연구자의 참여관찰, 그리고 1995년부터 2012년까지의 저서 및 지역신문 등에 수록된 기록들에서 이루어졌다. 자료분석과 해석은 질적연구의 전통에 따라 크게 네 단계, 연구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에서의 분석, 수집한 연구자료를 분류 정리하는 단계에서의 분석, 공통된 의미를 중심으로 구조화시키는 단계의 분석, 객관성과 신뢰성이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정교화하는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76개의 개념, 25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나왔으며,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개념과 하위범주를 중심으로 지속해서 나타나는 범주들 속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충남 청양군 화성면 사례의 농촌 사회복지실천 경험은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로 핵심 범주화되었다. ‘주민과 관계 형성을 위한 토대 마련’, ‘지역사회문제 규명과 관심집중’, ‘농촌교회 중심으로 찾으려 했던 가치와 지속한 경험’,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 ‘힘겹지만 이겨내야 할 환경’, ‘법인 설립을 통한 대안 모색’, ‘농촌 사회복지실천의 쟁점’으로 분석되었다. 주요어 : 농촌사회복지, 실천경험, 질적 사례연구, 화성면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The case of Chungnam Cheongyang-gun Hwaseong-myeon­ Kim, Cheol J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m the basis of knowledge on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by capturing the essence of understanding on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issues with the experience of a single case of Chungnam Cheongyang-gun Hwaseong-myeon. A little-know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as the research method to gain a new understanding of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 field, and it is suitable for stating 'as is' of the holistic and meaningful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ev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practitioners and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d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for more than 15 years in this case study area. Those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 two ways; 1) considering the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experience of the case study, and 2) broadcasting or visiting the participants who were believed to know deeply about the evidences for the case of Hwaseong-myeon. The data is collected from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s pastor Kim Wonmo and three key co-workers, who are one Cheongyang-gun members of Congress, and one local official for the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er's participants observation is processed from January, 2011 to October, 2012. Finally, the records contained in the books and local newspapers(from 1995 to 2012) are carefully collected.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onsist of 4 major steps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of the steps in the collecting research data, analysis of the steps in classifying and organizing the collected research data, and analysis of the steps in structuring common meaning refinement of objective and reliable research dat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76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in open coding and the result confirmed the relevance that found consistently in the categories focusing on the concepts and sub-categories appearing in the research case. As a result,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experience of Chungnam cheongyang-gun Hwaseong-myeon case categorized seven core categories as follows; 1)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 residents, 2) community problem identification and intensive care, 3) the values that the rural churches had been seeking and lasting experience, 4) various attempts for solving the problem, 5) difficulties must be overcome the circumstances, 6) seeking alternatives through incorporation, and 7) issues of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which should be analyzed. Key words: rural social welfare, practice experience, qualitative case study, Hwaseong-myeon

      •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기대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인식

        정기영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research to typify the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who play significant roles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utilized the Q methodology to achieve such goal. The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were extracted from Q statements, 142 from the 1st, 62 from the 2nd, and 54 from the 3rd, by establishing a total of 378 Q subjec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The Q statements were operated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by targeting a total of 38 people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responsible for social services, specialized agents for integrated social services, psychiatric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policy experts and professors of social services. As a result, the key rol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are typified as follows in this study: ‘counselor’, ‘supporter’ ‘educator’ and mediator’. First, the ‘counselo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psychosocial assessment, specialized skills, counseling and medical treatment. It appeared to be the element of common function as well as key role in all preceding studies of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it appeared as a typical characteristic that showed the most differentiated standard of role between psychiatric social workers and general social workers. Second, the ‘supporte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sympathy, understanding, support and representation. This is unique compared with other types since it showed specialization in the supportive manner from the stance of the beneficiary of the service from the stance of the client. Third, the ‘educator’ is most saliently defined by family education, crisis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drive and problem solving. ‘Educator’ is analyzed as a role that improves the rehabilitative and social skills by carrying out crisis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and family education. Fourth, the ‘mediator’ is most saliently expressed by analysis of strengths, case management, and liaison. This is an image of a liaison as well as a mediator of a local community who solve problems through case management and analysis of strengths. As the type that is most relevant to this study’s theme, it shows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The Q methodology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below. First of all is the aspect of theoretical implication. It is the expanded aspect of sight of practice of psychiatric social service and the composition of various research subjects that included the ordinary people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for Q Methodology. Als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that possesses mutual supplementation of quantitative study and qualitative study, and the utilization of Q subjects and the preliminary data of the final Q statements were suggested. Next is the aspect of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is able to suggest an integrated and practical role to the field workers of the public domain by analyzing as statement of integrated theory. Also, the four types of roles that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 appeared to support specializ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such specialized roles, establishment of a clear position and detailed suggestions for policy with legal foundation is necessary. The utilization methods in regards to the four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lear, separate guideline in regards to the duties and the roles in the field of psychiatric social service i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is necessary is performing the role of ‘counselor’, the first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egal protection of identity and granting of authority is necessary. Second, the need for a separate enactment of code of ethics for psychiatric social workers is suggested when it comes to the role of ‘supporter’, the second typ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rd, raise the service accessibility with increasing manpower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educator’, the third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ase management must be carried out as medical treatment not management. Fourth, the development of a linked program (tentatively named Integrated Resource Information System) of government institution’s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for social services and private institute’s general information system for facilities is necessary to perform the role of ‘mediator’, the fourth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유형화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Q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사회복지통합전문요원,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책전문가, 사회복지교수로 구성된 총 38명을 조사대상으로 Q진술문을 실시하여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요인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상담자형’, ‘옹호자형’, ‘교육자형’, ‘조정자형’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상담자형’의 유형은 심리사회적 사정과 전문적 기술, 상담 및 치료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일반사회복지사간의 역할기준 차이를 나타내는 유형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옹호자형’은 공감과 이해, 옹호와 대변자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옹호와 지지적인 태도로서 다른 유형에 비해 독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교육자형’은 가족교육, 위기개입, 사례관리, 욕구와 문제해결이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교육자형’은 개입장면에 있어서 위기개입, 사례관리, 가족교육 등을 수행하여 재활과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정자형’은 강점, 사례관리, 연계가 핵심표현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와 강점접근으로 지역사회의 연계 및 조정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본 연구의 주제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유형으로 사례관리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네가지 유형에 대한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별도의 정신보건 분야 직무 및 역할에 관한 명확한 지침과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법적 신분 보장과 직무에 따른 권한 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옹호자형’ 역할에 있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별도의 윤리강령의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인력을 증대하여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관리차원이 아닌 치료차원의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조정자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사회복지통합정보망과 민간기관의 시설종합정보시스템과 연동 프로그램의 개발(가칭 통합자원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조례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23개 시·군을 중심으로

        신동희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해 봄으로써 다양한 복지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조례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상북도 23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조례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의 시간적 범위로는 2011년 7월 31일 현재 조사대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운영하고 있는 조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복지관련 조례는 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 조직을 기준으로 하여 사회복지사업 및 공공부조관련 조례, 노인복지 및 장사관련 조례, 저출산․고령화 및 보육․아동관련 조례, 장애인복지관련 조례, 여성 및 가족복지관련 조례, 청소년복지관련 조례, 기타 사회복지관련 조례 등 7개 분야로 한정하였다. 경상북도 23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조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련 조례는 보유수 면에서나 내용 면에서 모두 빈약하며, 이마저도 대부분 법률의 위임에 의한 조례로써, 지역의 자율성과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보유 조례의 관리가 부실하였다. 법령의 개정이나 여건의 변화에 따라 조례의 개정 또는 폐지의 사유가 발생하였음에도 오랜 기간 조례를 정비하지 않는 등 자치법규 관리에 부실함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조례 내용이 자치단체별로 지역의 환경과 특수성, 복지에 대한 주민욕구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이며, 편중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의지, 주민의 참여도가 크게 부족하였다. 조례의 직접 제정권을 가진 지방자치단체장의 관심 부족과 지방의회의 입법 전문성 미흡, 그리고 지방공무원의 창의성과 역량 부족, 지역 주민의 참여가 활성화되지 않아 활발한 조례제정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권 제약을 꼽을 수 있다. 법령의 범위 안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고유사무에 대해서만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치입법권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여섯째, 자치재정의 부족문제는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제정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열악한 재정형편으로 사회복지 부분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 힘든 형편이며,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제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조례 제정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 계획 수립의 내실화를 기하고, 이를 뒷받침할 사회복지 기본조례를 제정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복지 계획 수립 시 지역사회의 특수성과 복지실태, 주민의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사회복지 기본조례를 제정하여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기본원칙과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제정기준이 되는 자치헌법의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제정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공무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장은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의 욕구를 면밀히 파악하여 지역의 사회복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여야 하며, 지방공무원은 전문성을 높이고 자치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지방의회의 의원발의 조례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방의원의 입법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가 활용, 교육확대 방안과 입법활동 평가제 도입, 지방의회 전문위원의 인사권 독립 등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방자치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주민의 직접참여제도인 조례 제정․개폐 청구제도가 활성화되도록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하고, 주민참여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여 지방자치에 대한 주민의 참여의식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권 확대를 위한 입법적 차원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가 법령에 위반되지 않는 한 자유롭게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규제를 대폭 없애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사무를 재조정하여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지방재정 확충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이 확대되어야 하며, 국세의 지방세 전환, 국고보조사업 운영방식 개선, 분권교부세의 포괄보조사업 전환을 통하여 지방재정이 안정화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조례에 대한 실태와 내용을 조사․분석해 봄으로써 사회복지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복지의 공급주체로서 주민의 복리증진이라는 지방자치의 본래 목적이 성공적으로 달성되도록 하기 위한 사회복지관련 조례 제정 활성화에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지방공무원 그리고 지역주민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하는 동시에, 중앙정부 차원의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inquiring into the improvement plan for an ordinance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demand for a diversity of welfare by looking at the present status of the social-welfare-related ordinance which is established &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and considering its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 analysis by setting its spatial scope on 23 Gyeongsangbuk-do local governments' ordinance related to social welfare. As a temporal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targeted the ordinance which manag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subject to investigation as of July 31, 2011. As for the ordinance related social welfare, this study set limits at 7 fields, on the basis of the organizations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including the ordinance related social welfare program & public aid, ordinance related to welfare for the aged & funeral, ordinance related to low fertility, aging & child-care, and children, ordinance related to welfare for the disable, ordinance related to woman & family welfare, ordinance related to welfare for the youth, and ordinances related to other welfare. As a result of making comparisons & analysis of 23 local governments' ordinance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Gyeongsangbuk-do, this study drew the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ordinance related to social welfare was found to be poor both in possession number and in contents, and what is worse, most of them are law-entrusted ones, failing to reflect a region's autonomy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Second, the management of the ordinance in possession was found to be poor. Local governments are exposing their mismanagement of autonomous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failure to modify ordinances for a lengthy period of time although there occurred a reason for revision or abolition of an ordinanc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onditions. Third, the contents of an ordinance are showing standardized and lopsided aspects without reflecting the regional environment & distinct characteristics by local autonomous entity, and residents' needs for welfare. Fourth, local governments' concern and will , and residents' participation are greatly lacking. the lively activities for ordinance enactment are rarely seen due to the lack of interest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who has a direct enactive power of ordinance, insufficiency in law-making expertise of a local council, local officials' lack of creativity and capacity, and non-revitalize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Fifth, the restraints on a local government's ordinance enactment power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At present, a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to enact the ordinance only on their office work unique to a local government within the scope of the legislation, which is becoming a factor in shrinking its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Sixth, the issue of the shortage of local finance is becoming an obstacl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enactment of ordinances related to social welfare. It's very difficult for a local government to put a lot of budgets in the sector of social welfare due to its poor financial condition, making it difficult for a local government to enact the ordinance related to social welfare.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is going to make a suggestion for revitalization of ordinance enactment related to social welfare as follows: First, it's necessary for a local government to promote its internal stability in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local social welfare and to legislate the basic ordinance for social welfare to back up the plan establishment. It might be possible to revitalize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related to social welfare by setting up a substantial plan in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 local community and actual conditions of welfare, and residents‘ needs, etc. and by authorizing the status of autonomous Constitution, which is a basis for a basic principle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of establishing ordinances related to social welfa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ordinance of social welfare. Second, it's necessary to enhance the local governments' heads &officials'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to suggest the vision of a local social welfare by thoroughly grasp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 district and residents' needs while local officials are supposed to intensify their professionalism and autonomous capacity. Third, there is a need for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ordinance moved by a local council member. In other words, there should be an institutional backup such as the use of experts for promoting a local council member's legislative ability, introduction of educational expansion scheme and legislative work evaluation, and a local council expert advisor's independent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s, etc. Fourth, there is a need for expansion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It's necessary to raise resident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by intensifying the publicity activities and education to revitalize the a resident's direct participation system, i.e. request system for ordinance enactment & derogation and by enacting the ordinance for revitaliza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Fifth, it'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untermeasure at a legislative level for expanding a local government's authority over ordinance enactment. As long as a local government doesn't infract the laws and regulations, it's necessary to make legal improvements in order for a local government to freely enact the ordinance by drastically getting rid of the central government's regulation and to raise a local government's autonomy by readjusting the office work of national & local autonomous entity. Sixth, it is

      •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민간사회복지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성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생계보장 차원의 욕구충족에서 점차 경제적 원조, 보건서비스, 가정문제 조언, 취업관련 서비스 등 사회복지서비스의 복합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복지서비스의 대상도 경제적 빈곤층, 장애인, 홀로노인 등 일부대상에서 경제 침체와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등으로 점차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주민들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다. 공공부조 또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대상자인 노인, 장애인, 아동 등은 공공부조를 통하여 기초적인 소득보장을 이루었다고 하여도 관련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접근성 결함 등은 이들의 욕구를 충분하게 충족되지 못한 상태로 남게 만든다. 또 한편으로는 지방자치시대 이후 증가하는 복지욕구로 인하여 사회복지서비스와 타서비스 연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공공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민간사회복지서비스 연계에 대한 원활한 역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민간사회복지서비스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민간사회복지서비스 연계실태를 파악하고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연계 관련요인으로 개인적요인(일반적특성, 업무관련특성, 연계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직적요인(상급자의 이해정도, 연계업무 공식 업무 인정, 연계활동 공식 출장 인정, 연계시도시 협조 받는 사람 존재) 과정적요인(서비스 제공자의 모임, 민간사회복지사와의 사적 모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연계실태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공식적인 연계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한 존재하는 연계체계도 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으며, 지난 1년간 연계를 경험한 민간사회복지기관도 종합복지관에 가장 많은 연계를 하였으며, 다른 사회복지기관과의 연계는 낮은 편으로 드러났으며 연계를 하는 기관이 한정되어 있다. 둘째, 연계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연계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그 이유로 대상자들에게 타기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지적하였다.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현재 담당 업무과다로 인해 민간서비스간의 연계를 하지 못한다고 하였고, 지역내 민간기관에 대한 정보부족을 지적하였다. 연계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로 정보의 확대 및 정보체계의 수립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개인적 인식개선 및 이해확대를 지적하였다. 셋째, 조직 내에서 상급자의 이해정도가 낮으며, 서비스 연계업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않는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연계 활동시 출장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생활실태와 가정방문으로 인해 잦은 외근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런 외근 내용에 대해서는 상급자에게 정확하게 보고하지 않는 결과이다. 조직 내에서 연계시도시 협조(정보교환 및 조언)는 동료 사회복지사와 가장 많이 이루어지면 그 다음이 선임사회복지사와 협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급자와의 협조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으로 연계에 대해서는 상급자의 지시를 받거나, 의사결정을 미칠 협조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들와의 모임과 민간사회복지사와의 사적 모임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근무하기 이전 민간사회복지기관에 근무 경험이 있는 대상자와 경험이 없는 대상자를 비교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중심적 역할 수행자를 선정하는데 전혀 다른 것을 지적하여 두 집단간의 견해차가 나타났다. 다섯째, 연계활동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이전에 사회복지 민간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을수록 연계활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조직내에서 연계가 공식 업무로 인정하고 연계에 관련된 외부 활동을 외근으로 인정할수록 연계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계의뢰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연계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강할수록, 상급자의 이해정도가 높을수록 많은 연계의뢰가 이루어지면 조직내에서 공식업무로 인정할 수록 연계의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trends in social service delivery that emphasize the linkage between public social service and private welfare resources, public social worker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coordination and fill their roles of public social service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ood grounds of systematic linkage, by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connection with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the aspects of the degree of link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public social worker's experience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2) organizational attitude that approves of the coordination. 3) formal acknowledgement of the outside activities related to the linkage as formal outside work. 4) public social workers' thorough awarencess of the necessity of the coordination. 5) the higher degree of the organization seniors nuderstanding the linkage.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e more complete the awareness of the linkage as the part of formally authorized work is, the greater the influence on the coordination is. This suggests that public social workers put a high value on generality and social justice and prioritize the work permitted in the boundary of the Constitution. These findings also show that in case of the organization recognizing the coordination as formally authorized work, the social service delivery is more efficient. That is, this implies that the awareness of the linkage is essential and that the device for the legal and systematic delivery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