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이질성과 복지선호

        채병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re have been more studies on as well as welfare policies affecting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as their percentage makeup of residencies in the country continues to increase. However, there is a lack of political consideration of as well as discussion on the differeing socioeconomic statuses varying across members of said households. With this problem in mind, this study categorized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of Korea using three levels of socioeconomic statuses, and analyzed their welfare preferences from a total of 2,565 samples taken from a ‘Social Survey’ conducted by the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ocioeconomic statuses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differed from one another, and the five prominent types of statuses were as follows: satisfied, anxious, content, dissatisfied, and optimistic types. The satisfied type includes people who have secured their positions in every aspect, i.e. people who have entered into primary labor markets such as conglomerates. The anxious type includes people who are earning minimum wage even after having received high levels of education, i.e. people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r as non-regular workers. The content type includes those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and who are a part of the middle income bracket, i.e. people working in manufacturing businesses or other blue-collar jobs. The dissatisfied type includes people of various ages who are of low standing, suffering under various kinds of poverty. Finally, according to the average age and the level of education, the optimistic type was found to be composed mainly of university students. The types of socioeconomic statuses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varied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location of residence. When it came to women, there were many anxious types and less of content types;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such as many women having low-income jobs despite having high levels of education, and men making up most blue-collar job markets. Also, younger age groups consisted mostly of optimistic types, while older age groups consisted mostly of satisfied, anxious, or content types. This is a result of how discrimination is more of a factor in the obtaining of socioeconomic statuses as people get older. While there were many satisfied and anxious types in the capital, there were many optimistic and dissatisfied types in noncapital regions. This can also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many jobs being available in the capital, with many universities being located in noncapital regions. As the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here the types of status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w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preferred type of welfare was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welfare preferred differed depending on one’s status type. Welfare related to employment and income was preferred by types who had low status, such as the dissatisfied type. A type that does not have any kind of positions secured for them, the dissatisfied type’s choice for employment welfare as a means to resolve the plight they are in helped to emphasize the problem of youth employment.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composed of people in higher positions such as the satisfied type preferred welfare related to housing, healthcare, and childcare. It is notable that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expected result of low-income types choosing welfare related to housing. Also, the satisfied type preferring childcare welfare shows that the level of interest in marriage and childbearing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levels of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Very little to no differences in level of interest towards welfare related to safety and culture was seen between each type.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 clearly heterogenous group,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socioeconomic statuses determine what kind of welfare each prefers; as su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heterogeneity in socioeconomic status when drafting and introducing welfare policies that are meant for said households. 한국에서 청년층의 1인가구 거주비율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연구와 복지정책이 늘어났다. 그러나 청년 1인가구의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지위(SES)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고려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한국의 청년 1인가구를 3가지 차원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이용해 분류하고 지위유형에 따른 선호 복지분야를 통계청의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해 총 2,565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이질적이었으며 두드러지는 특성에 따라 만족형, 불안형, 안주형, 불만형, 낙관형 등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만족형은 모든 지위를 확보한 유형으로 대부분 대기업 등 1차 노동시장에 진입한 노동자로 보인다. 불안형은 고학력자임에도 최저임금 수준의 소득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노동자가 중심인 유형으로 추측된다. 안주형은 저학력 중소득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제조업을 포함한 블루칼라 노동자의 특성과 일치한다. 불만형은 모든 지위가 낮고 연령대가 다양하다는 특성이 있는데, 이들은 다차원적 빈곤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낙관형은 평균연령과 교육수준을 고려할 때 대학생이 중심인 유형이었다.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유형은 성, 연령,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여성은 불안형이 많았고 안주형이 적었는데 이는 여성노동자가 비교적 고학력이지만 저임금 일자리에 집중되어 있고, 블루칼라 노동자의 대부분이 남성인 노동시장 환경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저연령층은 주로 낙관형이었으며, 고연령층은 주로 만족, 불안, 안주형이었다. 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별적 획득이 일어난 결과로 보인다. 수도권에는 만족, 불안형이 많았으며, 비수도권에는 낙관, 불만형이 많았다. 이 역시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에 많은 대학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청년 1인가구의 지위유형을 독립변수로 포함하고 선호하는 복지분야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청년 1인가구의 지위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복지분야에 차이가 있었다. 고용과 소득분야는 불만형 등 비교적 지위가 낮은 유형이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모든 지위를 확보하지 못한 불만형은 확대해야 하는 복지분야로 고용을 선택했는데, 현재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한 방법으로 고용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청년일자리 문제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지위가 높은 유형인 만족형 등에 속한 청년 1인가구는 주거, 보건, 보육분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소득이 낮은 유형에서 주거복지를 더 원할 것이라는 기존의 생각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는 점이었다. 또한, 만족형에서 보육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에서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결혼과 출산에 대한 관심도의 차이도 관측할 수 있었다. 안전과 문화분야에 대해서는 지위유형별 선호도의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거나 영향력이 약했다. 청년 1인가구는 사회경제적 이질성이 뚜렷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유형에 따라 원하는 복지분야가 다르다는 점에서, 향후 이들을 위한 정책입안 과정에 사회경제적 이질성을 고려해 정책대상자가 원하는 복지정책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 우울감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슬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6th data from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hich included 2,378 middle school 1st grader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SPSS Statistics 22, and to test the thesis hypothesi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main outcom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depressive. Secon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al suppor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depressive. Third,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peer suppor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depressive. Fourth,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and community suppor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depressiv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ffects not only directly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but also indirectly social support (parent, peer, commun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in the intervention of adolescent depression. Based o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results, advices were provided on social welfare practices aimed at intervening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s. 본 연구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우울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우울감을 매개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1학년 2,3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 한국 어린이 청소년 패널 조사 (KCYPS)'의 6차 자료를 활용 한 이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Statistics 22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논문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계층 적 회귀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청소년의 우울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와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지지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높고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와 지역사회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소년의 우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지지(부모, 또래, 지역사회)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우울감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함의하며,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지닌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지지 조성을 위해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노력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에 관한연구 : 청주지역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김현주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과의 관련에 관한 연구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① 소득수준, ② 직업, ③ 교육수준을 설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건강행위변수의 하위요인으로 ① 흡연, ② 음주, ③ 운동, ④ 독감예방접종, ⑤ 건강검진을 설정하였고, 건강수준를 파악하기 위해 ① 만성질환, ② 주관적 건강, ③ 일상생활동작능력(ADL)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행위와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습니다. 연구 자료로는 청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약 1개월에 걸쳐 총 150부를 배포하였고, 이중 130부를 수집하여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응답 내용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자료 25부를 제외한 10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습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독립변수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종속변수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소득수준에서는 흡연, 근골격계, 시력, 씹기 직업수준에서는 “ , ” , 음주, 청력 교육수준에서는 “ , ” , 시력, 씹기가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하) 비건강군은 각각 53.3%와 50%로서 주관적건강상태가 나빳으며, 직업수준이 낮은(하) 비건강군은 30%로서 주관적건강상태에는 영향이 다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사회 경제적 지위(SES)를 구성하는 소득수준, 교육수준및 직업수준이 높을수록 노인들은 더 건강하고, 각 수준들이 낮을수록 비건강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연구 대상을 청주시 노인으로 하였으므로 전국으로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었고. 둘째, 105케이스로 표부수가 적었으며 셋째, 표본 추출에 있어 건강군과 비건강군의 표집에 무작위로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노인의 빈곤 문제는 개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에게 사회안전망구축시스템이 요구되어 진다. 예) 기초연금제도도입, 기초노령연금의 급여수준 확대, 생계급여지원 확대 등 둘째,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노인 재취업 관련 복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된다. 예) 노인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취업지원센터의 활용, 노인일자리사업의 확대 등 셋째, 기존노인들과 신(예비)노인층은 차별화된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예) 개인별 수준과 욕구를 고려한 ??춤형 건강프로그램, 소규모단위의 프로그램,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재활프로그램 등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 경제적 지위와 건강행위, 건강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경제적 요인이 노후 다른 어떤 요인보다 더 근본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노후가 진행할수록 지금까지 저축 했던 것을 헐어서 생활하고 자녀들에게 경제적 원조를 기대 하는 것도 점차 어려워 경제적 사정은 점점 악화되어 이러한 노인들에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배려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 경기도를 사례로

        박찬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 사회의 교육격차의 양상과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정보화 사회는 정보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사회이다. 오늘날 정보와 지식에 대한 소유 여부는 개인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 평가 기준이다. 그리고 정보의 접근 및 활용에 따라 정보격차가 발생하며 정보격차는 다시 소득, 직업, 교육 등의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오늘날 정보 지위에 따른 정보격차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 지위가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은 특히 지식과 정보를 다루는 결정적인 장인만큼 정보 지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경기도는 인구, 산업, 도시 규모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31개의 시군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을 통한 교육격차의 분석은 지역의 교육격차 연구의 공간적 분석 단위를 다양화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통계 자료, 설문자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 분포를 분석하여 경기도의 교육격차 및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과 구조를 파악하였고, 그에 따라 경기도 시군을 유형화한 후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경기도의 종합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보 지위는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도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된 변수들의 분포와 정보 지위를 나타내는 변수들의 분포를 비교·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적 정보 지위 관련 변수들의 분포는 사회·경제적 지위 분포와 유사한 분포 패턴을 보였지만 하드웨어적 정보 지위 관련 변수들과의 분포는 일치하지 않거나 상반되는 패턴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의 학업성취도 분포와 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경기도의 학업성취도 격차는 크게 나타났으며 도시화 및 교외화 과정이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파악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의 영역별 분포를 확인한 결과 서울과 인접한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의 1등급 학생 비율 분포가 집중되어 있어 경기 북부를 비롯한 외곽 지역과의 격차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신도시 개발 정책이 이루어졌던 성남, 용인, 화성의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외화에 따른 도시화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이 공간적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수능성적의 분포 변화를 분석하고 수능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수능성적과의 요인 분석 후 추출된 요인 점수를 활용하여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기도 각 시군이 1995년에는 5개의 집단, 2010년에는 8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경기도 각 시군의 지역 특성과 수능성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역별로 크게 변화함과 동시에 그 유형이 보다 더 다양해졌다고 해석되었다. 넷째, 정보 지위 중에서 정보의 질적 지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급 질적 학습 정보의 획득과 정보의 질적 활용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질적 정보 지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이 파악되었다. 다섯째, 정보 지위를 구성하는 변수들 중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변수들을 파악한 결과 아이팟터치의 소유, 해외웹 활용, 전업주부 변수가 학업성취도의 주요 변수들로 파악되었다. 특히 전업주부 변수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요인은 모가 전업주부인 경우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 교육 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원활하다는 점도 있지만 여기서는 특히 모의 자녀에 대한 관리와 자녀에게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더 큰 의의를 두었다. 여섯째,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를 종합하여 경기도 31개 시군을 유형화한 결과 5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1유형은 가장 많은 지역들이 포함된 다양한 특성의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도시 지역이다. 2유형은 안양과 광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조업의 발달과 도시 내 빈부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중도시 지역이다. 3유형은 남양주, 시흥, 구리, 의정부, 하남, 동두천이 포함되어 있으며 서울과의 근거리에 있는 침상도시의 성격이 강하다. 4유형은 고양, 부천, 수원, 용인으로 경기도 핵심 대도시 지역이다. 이 도시들은 경제적 지위에 비해 학업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이 도시들의 경우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해당하는 정보 지위, 특히 질적 정보 지위가 부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5유형은 과천, 성남, 가평, 양평, 연천으로 각각의 도시들이 독립적 특성을 나타내는 도시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사회·경제적 지위, 정보 지위, 학업성취도의 특성이 다른 지역들과 공유할 수 없는 독특한 성질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기도의 정보 지위를 파악한 결과 과천, 성남, 광명, 안양, 의왕, 군포는 경기도 내에서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이었으며 포천, 양주, 남양주, 시흥, 동두천, 구리 등은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지역에 속하였고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은 학업성취도도 낮은 지역으로 파악되어 정보 지위와 학업성취도와의 밀접한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여덟째, 정보 지위의 결정에 정보 네트워크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과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결과 정보 지위가 높은 지역은 정보 네트워크가 발달하였으며 정보 지위가 낮은 지역은 정보 네트워크가 발달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 지위가 발달한 지역 내에서도 정보 네트워크 참여 유무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정보 네트워크가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서연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이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사회는 고령화로 인한 국민건강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중년기와 노년기를 포함하는 중고령자의 건강비용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강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 중 하나는 만성질환이며, 이는 생활습관에 의한 건강행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건강은 사회계층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사회적 산물이다. 건강은 그들이 속해있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다른 건강인식과 행위를 나타내고 그에 따른 계층별 건강수준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계층별 건강행위 수준과 관련성을 분석하여 변경 가능한 요인을 분석하여 계층별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건강은 그 자체로서의 다차원성과 장기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신체적, 주관적, 정신적 측면에 따른 건강특성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건강정책을 마련해야할 필요가 여기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에 한국노동연구원(KLI)에서 실시한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 조사자료인 KLOSA(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를 활용하여 2차분석을 실시였다. 2006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대한민국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1962년 이전생)이상의 중고령자 6,171가구의 10,254명을 확률표집하여 조사하였다(한국노동연구원, 2006).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45세 이상 80세이하 중고령자로 설정하여 결측치를 제거하고 총8,690개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for SPSSWINDOS를 이용하여 연구목적 및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목적에 따라 t-test, ANOVA, chi-square 검증,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경제적 특성이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건강행위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의 이론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경로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중년기와 노년기 주관적 건강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현실적인 삶의 문제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건강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학력이 높고 직업이 있는 남성의 흡연과 음주율이 높고, 운동 참여율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활발한 사회활동 중에 있는 남성의 건강증진활동이 저조함을 볼 수 있다. 이들 중년 남성에 대한 건강증진활동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학력과 소득이 높고 직업이 없는 중년기와 노년기의 운동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학력, 저소득, 유직업군 대상의 운동의 필요성과 규칙적인 운동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고령 여성 특히 노년기 여성의 우울 정도가 매우 높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그리고 중고령 여성의 우울에 운동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검증되므로, 중고령 여성 대상의 운동증진 프로그램 실시가 요구된다. 특히 학력과 소득이 낮은 집단에 대한 운동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하다. 다섯째, 중년기는 노년기에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에 건강행위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경우가 많다. 즉, 중년기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 매개효과가 운동과 음주에서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수준에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년기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여섯째, 노년기는 중년기에 비해 건강행위에 따른 건강수준 영향력이 줄어드는데 비해,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 영향력은 유지되는 경향이 높다. 즉, 노년기는 노화와 함께 건강행위의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모색해볼 수 있다.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차원에서 건강하지 못한 경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중고령자의 총체적인 불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지위와 건강행위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기반으로 중고령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개입전략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중고령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낮은 주관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학력과 운동 등의 관련 변인을 고려한 정책개발과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중고령자의 건강은 이들의 인구학적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선행연구에서 건강의 결정요인은 의료적 차원에서의 개입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건강은 일상생활의 과정에서의 긍정적인 건강행위가 가지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중년기와 노년기의 건강수준에 따라 접근성에 문제가 없도록 지역사회 안의 다양한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적극 활용한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셋째, 중고령자의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middle and older adults and find out through which path it actually influences. Public health cost is a growing trend in our society due to ageing. Most of all, the health costs of middle and older adults that includ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ccount a significant proportion. One of the main causes that increase health costs is chronic diseases, which means health behavior pertaining to lifestyle accounts a large proportion. Health is a social product determined by social hierarchy. Health demonstrates different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depending on where people belong and hierarchical health status according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mutable factors by analyzing the relevancy and the hierarchical levels of health behaviors and contemplate hierarchical intervention plans. Health has multidimensional and long-term property as it is. This is the reason why a long-term systematic health policy that considers health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ised according to physical, subjec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s. The study implemented 2ndanalysis using KLoSA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e 1st KLoSA data, which was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KLI) in 2006. In 2006, KLoSA conducted probability sampling on 10,254 people of 6,171 middle and older adults households with 45 or more years of age (birth year before 1962) in Korea, except for Jeju Island (Korea Labor Institute, 2006). The study set up its target in middle and older adults group between at least 45 and less than 80 years of age and eliminated missing values and utilized a total of 8,690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we used the PASW Statistics 18.0 for SPSSWINDOS and implemented research purposes as well as hypothesis testing. Depending on study purpose, the analysis method implemented t-test, ANOVA, and chi-square verification as well as correlation; to verify health behavior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whic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s health status, we implemented a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theory of Baron & Kenny (1986) and confirmed meaningfulness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ich is verified through the path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health of middle aged and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low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It can be analyzed that practical problems of life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Second, men with higher education background with occupation have high rate of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low exercise particip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men in their active social life is insignificant. Thus, it is necessary to contemplat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or middle-aged men. Third, middle aged and the elderly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but no voc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exercise particip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a group of low-educational, low-income background with vocation to participate in regular exercise programs and also instill the necessity. Fourth, the depression of middle-old age women, especially among the elderly wome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 level, requir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Since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exercise for middle-old age women’s depression has been verified, exercise promotion program for this group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exercise program execution for low-income and low-educational level group is required. Fifth, compared with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 in health status for middle-aged is often significant depending on social-economic status. In other words, middle aged demonstrate significance related to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level associated with exercising and drinking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Hence, a strategy for health behavior promotion that affects the middle-aged health level is required. Sixth, while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level is reduced for the elderly compared with middle-aged, the study shows high tendency of maintaining health behavior influence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That i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nfluence of health behavior with aging is insignificant for the elderly. Therefore, interven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explore the following implication: The health status of Korean middle and older adults showed high significance in terms of unhealthy tendency in the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level; based on empirical testing on socio-economical status and health behavior that influence overall bad health of middle and older adults may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health promotion of middle and older adults. In particular, it can be also utilized in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consider related variables such as education and exercise which is influential in substandard subjective health and mental health demonstrated commonly by middle and older adults. Second, the study finds the health of middle and older adults is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status, and preceding research unfolds that medical intervention alone has a limit for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shows extremely high proportion with positive health behavior in the course of everyday life. Hence, to ensure seamless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health level of middle aged and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service program operations through active utilization of variou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within regional communities. Third, the influence of exe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부모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이애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학부모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선발에 관한 학부모 정보량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영재교육 확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자신의 자녀의 영재교육 지원에 대한 의지의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영재선발에 관한 학부모 정보량,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에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천안시의 4개 초등학교에서 6학년 각각 3학급을 선정하여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영재 선발에 관한 정보량, 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교육 확대에 관한 신념, 자녀의 영재교육지원에의 태도, 일반적특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활용 가능한 192부를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재를 선발하는 정보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자녀의 교육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만한 시간적, 경제적, 심리적 여유가 없기 때문으로 소외계층 영재들을 위한 교육복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의 학부모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학부모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영재교육을 통해 자녀의 재능이 개발되어 자아실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기에 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초등교육에서는 전인교육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영재교육과 전인교육을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의 기회를 더 많은 학생들에게 확대하는 것에 대해 학부모들은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영재교육을 처음 실시하는 학년에 대한 학부모의 응답은 3-4학년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공립영재교육기관의 경우 대부분 고학년에 치중해 있어 학년을 다소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 연수에 참여 의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부모 연수에 참가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부정적인 답변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부정적인 답변의 비율과 중도적인 답변이 많아 학부모 연수에 대해 학부모들이 다소 부담스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부모들이 연수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높아 학부모 연수 참여에 더 많은 부담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자녀에게 기회가 주어졌을 때 영재교육 참여여부에 대한 의견 역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며 세 집단의 학부모들 모두 참여시키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이유로는 자녀의 재능을 키워주어야 한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지배적이어 자녀의 재능을 키워주는데 부모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지원을 해주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재교육에 참여시키지 않겠다고 응답한 이유는 영재교육의 효과에 대해 의문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지배적이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해 그 효과성에 대한 점검이 요구되는 것으로 내실 있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 평가를 통해 지속적인 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곱째,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 확대에 관한 인식, 자녀의 영재교육지원에 대한 의지에 관한 문제에 있어 세 집단 모두 긍정적인 부정적인 인식보다 많기는 하였으나 부정적인 비율이 높았으며 영재교육의 필요성이나 효과, 목적, 선발 방식 등 영재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의 제공 및 학부모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연수, 영재교육시설 방문 및 참관 수업 등 학부모들이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학부모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여덟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량,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에 있어 사회경제적 지위는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와는 상관이 없으나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량과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에 대해 비슷한 태도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부모들은 영재선발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 이러한 학부모들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겠다.

      •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노후정책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배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노후정책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중·고령자가 노후를 인식하고 정책신뢰와 기대감에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이며, 45세 이상 중고령자 6,940명(여성 57.7%, 남성 42.3%)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Statistics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T-test, ANOVA, 상관분석,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은 여성에 비해 소득, 사회경제적 지위, 노후정책기대감,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과 여성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후정책기대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남성에게서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노후정책기대감의 매개효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나타났으며, 남성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장해줄 필요가 있고, 남녀 모두에게 국민연금에 대한 기대감과 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자의 노후정책기대감 향상을 위한 노후보장정책 발전의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 장애인 가구의 생활수준 측정을 통한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를 활용한 종단적 상호교류관계 분석

        이수용 대구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25

        지금까지 장애인의 생활수준을 측정하는 연구에서는 가구소득을 빈곤선과 비교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더욱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소득과 더불어 소비지출의 특성을 동시에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경제적 빈곤은 스스로 느끼는 주관적 계층의식의 저하와 생활만족도를 낮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결국 비장애인보다 상대적 불평등과 제한성에 당면한 장애인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향상은 그들의 안녕감을 향상할 수 있는 핵심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의 1차, 3차, 5차(2008, 2010, 2012) 자료 중 연구목적에 맞는 3,151가구의 표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장애인 가구의 생활수준,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 사이의 종단적 구조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출된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가구의 생활수준 측정을 위하여 가구의 계층을 절대적 빈곤선을 기준으로 빈곤, 차상위, 비빈곤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상대적 빈곤선을 기준으로는 빈곤, 차상위, 중상층, 상위층의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가구소득과 소비지출,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 차이를 계층별로 분석한 결과 계층이 단계적으로 상승할수록 소득과 총소비지출도 상승하였지만,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식비, 주거비의 비중을 나타내는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는 계층이 하락할수록 그 비중에 높아져 엥겔과 슈바베의 법칙을 지지하였다. 둘째, 가구의 소득과 소비지출 간 종단적 상호교류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간 변화에 따른 엥겔계수, 가구소득, 슈바베계수는 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시간 변화에 따라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는 가구소득과의 교차관계에서 부적인 관계를 보였고 가구소득은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와의 교차관계에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시점에서의 가구소득, 엥겔계수, 슈바베계수가 다음 시점의 가구소득, 엥겔계수, 슈바베계수를 각각 유의하게 예측했다. 셋째, 가구소득과 엥겔계수, 슈바베계수,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의 변화궤적 간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유용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결과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슈바베계수의 초기치가 낮았고,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슈바베 계수는 느리게 감소하였으나 가구소득이 빠르게 증가할수록 슈바베계수도 빠르게 감소하였다. 가구소득이 엥겔계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엥겔계수의 초기치가 낮았고, 가구소득이 빠르게 증가할수록 엥겔계수는 덜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엥겔계수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가구소득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높았지만, 가구소득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가구소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의 초기치가 높았으나 가구소득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생활만족도의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엥겔계수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엥겔계수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낮았고, 느리게 증가했으며, 엥겔계수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사회·경제적 지위는 덜 빠르게 증가하였지만, 엥겔계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생활만족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슈바베계수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슈바베계수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는 낮았으나 슈바베계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슈바베계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생활만족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의 초기치가 높았고, 느리게 감소하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는 느리게 감소하였다. 가구소득과 엥겔계수, 슈바베계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앞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직접효과 이외 다양한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총가구원 수, 장애가구원 수, 취업상황, 기초생활수급여부를 통제변수로 선정하여 가구의 생활수준과 사회·경제적 지위,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구원의 총 수는 가구소득 초기치에 정적영향을 주는 반면, 장애가구원의 경우 부적영향을 주었고, 3차년에 걸쳐 계속해서 취업 유지를 했을수록 가구소득의 초기치가 높았으며, 총가구원 수가 많고 취업유지를 지속할수록 가구소득은 더 빠르게 증가하였다. 엥겔계수의 초기치의 경우 장애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엥겔계수의 초기치가 높았고, 취업상황을 계속 유지하고, 기초생활수급을 받지 않는 가구일 경우 엥겔계수의 초기치가 낮았다. 엥겔계수의 변화율에서는 기초생활수급을 받는 가구가 아닐수록 엥겔계수가 더 증가하였다. 슈바베계수의 초기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가구원 수와 취업유지상황, 기초생활수급 여부로 총가구원 수가 많고, 기초생활수급을 받지 않으며, 취업상황을 오래 유지할수록 슈바베계수의 초기치가 낮았다. 슈바베계수의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가구원 수, 취업유지상황, 기초생활수급 여부로 총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슈바베계수는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3차년에 걸쳐 취업상황을 오래 유지하고, 기초생활수급을 받지 않으면 슈바베계수는 느리게 감소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가구원 수와 장애가구원 수, 기초생활수급 여부로, 총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높았지만 장애가구원 수가 많을 경우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낮았으며, 기초생활수급을 받지 않는 가구일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의 초기치가 높았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생활만족도 초기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가구원 수, 취업유지상황으로 총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 초기치가 높았으며, 취업상황을 오래 유지했을 경우 생활만족도의 초기치가 높았지만, 생활만족도의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과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지출을 구성하는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는 소득과 분리된 독립적인 항목이지만 소득과 같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나 장애인에게 적절한 직업을 확보하고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서비스인 직업재활의 활성화와 더불어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둘째, 소득이라는 경로만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소득의 정도에 따라 소비지출이 결정되고 그로 인해 본인이 지각하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수준도 결정되어 결국에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경로가 존재했다. 특히 자신의 계층의식을 반영하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매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의 유·무가 체감 계층의식을 높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공공임대주택 확대를 통한 주거비 완화 및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지원 정책과 일자리의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 그리고 저소득 가구에 지급하는 근로장려세제(EITC)를 장애인 가구 특성에 맞게 확대시행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기초생활수급가정은 비수급 가정보다 소득이 낮았으나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는 높아 장애인 수급자들이 취업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현금급여와 의료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티켓(Ticket-to-work) 프로그램 등의 활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가구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비장애인가구도 함께 선정하여 두 집단의 차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Previous studies of measuring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disabled household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household income and the poverty threshold. However, the consumption expenditures needs to be analyzed with the inco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disabled households. However, the economic poverty can become a factor that decreases the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disabled people face relative unequality and limitedness compared to the nondisabled people, so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rise of the disabled can become the main mechanism to increase their safety and security. The study analyzes several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Panel data sets. There were total 3,151 household data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hich were among the 1st(2008), 2nd(2010), 5th(2012) panel data. The data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disabled household's standard of living(income and consumer's expenditure),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below. First, the households' clas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overty, near poverty, nonpoverty) of poverty level on the basis of the absolute poverty line in order to measure the disabled household's standard of living. On the basis of the relative poverty line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4 groups such as poverty, near poverty, middle class, upper class. The result of analyzing these 4 groups by their household income, consumer's expenditure,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As the class went up by steps, the income and total consumer's expenditure also increased. However, th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which represents the proportion of the food expenses and living expenses among the consumer's expenditure, it has increased as the class fell. This result supported the rule of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Second,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hold income and consumer expenditure, the Engel's coefficient, household income, and Schwabe Index appears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Also, as the time changes th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shows a negative relationship among their relation of intersection with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shows positive linear correlation among their relation of intersection. This reveals that the previous household incom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significantly predicts the household incom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next time. Thir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hold incom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As result, as the beginning of the household's income was higher, the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 was lower, and as the household's beginning income level was higher the Schwabe Index rapidly increased. As the income level increased rapidly the Schwabe Index slowly increased. The effect of the household's income on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shows that the higher beginning level of the household income resulted in the lower beginning level of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As the household income increased rapidly,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slowly increased but the household income's beginning level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For the household's effect o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shows that higher household income beginning level resulted in higher the socioeconomic status, but the household income's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ate of change of the socioeconomic status. Also, the effect of the household income on the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as the household's beginning income level was higher the beginning of th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However, the household income's beginning level's rate of change and the life satisfaction rate of chan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on the socioeconomic level and the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as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was higher the beginning socioeconomic level was lower. As the beginning of Engel's coefficient level was higher the socioeconomic status rise slowly, and as the Engel's coefficient level rapidly elevated the socioeconomic status slowly elevated. However, the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of the Engel's coeffici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of the life satisfacti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Schwabe Index on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shows the higher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 resulted in lower the socioeconomic beginning level. However, the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and the socioeconomic rate of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of the Schwabe Index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eginning level and rate of change of the life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n the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the higher beginning level of the socioeconomic level lead on to higher life satisfaction beginning level. Also, the higher beginning level of the socioeconomic status lead onto slowly decreasing life satisfaction. As the socioeconomic status increased more the amount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d less. For the examination of the indirect effect on the household income, Engel's coefficient level,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additional routes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y proving the direct effect. Als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disabled household members, status of employment,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ipient/nonrecipient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variable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s standard of living,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 memb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eginning of the household income level. However, the number of the disabled household members had negative effect and as the employment status was maintained through the 3 year data the level of the household income beginning level was high. Also, as there were more total household members and longer maintenance of employment the household income increased more rapidly. For the Engel's coefficient beginning level, as there were more number of disabled household member, the Engel's coefficient beginning level was higher, and the maintenance of employment status, and household without receiving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sulted in lower Engel coefficient beginning level. For the changing rate of the Engel coefficient level, it increased more as the person did not receiv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benefi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s were the number of total household members, maintaining the status of employment, and increased number of total household members due to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ipient/nonrecipient, a nonrecipient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long maintenance of employment status resulted in lower Schwabe Index's beginning level. The variables that had statistically signifiant influence on the Schwabe Index rate of change were number of total household members, maintenance of employment status, increased number of total household members due to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ipient/nonrecipient resulted in more rapid decline in the Schwabe Index rate. As the maintenance of employment status was kept for 3 years and if the person was a nonrecipient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the Schwabe Index rate decreased more slowly. The variables tha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oeconomic status were the number of total household members, the number of the disabled household members,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ipient/nonrecipients. The higher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s resulted in the beginning level of the socioeconomical status was higher, but the beginning level of the socioeconomical status was lower was the number of disabled household members were higher. Also, for the nonrecipient household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sulted in lower beginning level of socioeconomical statu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on the socioeconomic status rate of change. The statically significant variable on the life satisfaction beginning level wa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maintenance of employment status, and the higher number of the household members resulted in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beginning level. Also, as the employment status was maintained longer the life satisfaction beginning level was higher but the life satisfaction rate of change did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has some limits and further proposals can be suggested. First, the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component of the consumer's expenditure ar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re separated from the income. However, it appears to become a variable such as income that effects 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hows how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hich lets the disabled people get an appropriate job and support sets of service to maintain the employment needs to be more professional with more skilled workers. Second, not only the income influences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but also the level of the income effects the consumer's expenditure these determines the person’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evel and leads onto the life satisfaction in different ways. Especially, the person’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ppears to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that reflects one’s stratum consciousness. As a result,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bout the increase of stratum consciousness due to the existence of housing, there is need to decrease the price of housing through the expan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Also, supporting policy for purchase of practical consumer’s housing, social support to solve the job insecurity, and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for the low income households need to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according to the disabled households. Third, the recipient households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received lower income compared to the nonrecipent households but their Engel's coefficient and Schwabe Index were higher. As a result, there is need to consider the implement of Ticket-to-work program which provides cash wage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recipients while they seek employment. Third, the study has analyzed only the disabled household but in further research the nondisabled households also need to be consider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Keywords :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Disabled Households, Engel’s coefficient, Schwabe index

      •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지역의 사회경제적지위,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 부모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송지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지역의 사회경제적지위,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 그리고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지역의 사회경제적지위가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자립의지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지역의 사회경제적지위는 ‘2012년 대구광역시 북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교현황자료’를 활용하였고 학교별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지역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지역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68명이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분석방법은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을 이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성별, 학업성적) 중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적이고, 성별은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자립의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지위요인(아버지 최종학력, 어머니 최종학력, 가정형편, 가정의 월평균소득수준, 무료급식지원유무, 가족구조) 중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버지 최종학력, 가정형편, 가정의 월평균소득수준, 가족구조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가정의 월평균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양친가정일수록 자립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권위주의적 양육태도, 민주적 양육태도, 방임적 양육태도)는 자립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권위주의적 양육태도와 방임적 양육태도를 많이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자립의지가 낮고, 민주적 양육태도를 많이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자립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자립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보통인 ‘중’지역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하’지역 학생들의 자립의지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부모양육태도를 통제 한 후에는 자립의지에 더 이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효과는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부모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여섯째,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최종 분석한 결과 민주적 양육태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학업성적, 방임적 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청소년의 자립의지에는 지역효과보다는 가족과정요인인 부모양육태도 중에서도 특히 민주적양육태도가 훨씬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북구에 거주하는 청소년들만을 조사하여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청소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립의지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 그리고 청소년 개인요인, 가족구조요인, 지역사회요인보다도 가족과정요인인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은 지역에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홍보하고, 참여를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방적인 강의식 부모교육이 아니라 부모 자신을 알고, 지지받을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