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의 사인시스템 연구

        문원경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Folk villages are valuable traditional cultural assets that keep Korean traditional cultures naturally in daily life. Unlike artificial folk villages, folk villages have tradition and culture melted in actual space, so the value is highly praised and they are regarded as cultural assets to be preserved and studi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in Korea because of their rarity. Hereupon, worldwide interest in registration of world heritage is growing. However, with increasing users in the space which real residents live in, sign systems to guide and lead users safely while preserving valuable cultural materials of the folk villag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installed, which becomes a problem. This researcher thinks that systematic sign system should be developed so aims to study sign systems to express Korean characteristics symbolically while preserving tradition and culture of folk villages and deliver information to domestic and foreign users efficiently. This study examined general situations of culture, traditional features, and surrounding landscape of 6 state-designated heritage folk villages and looked into construction elements such as colors, characters, and pictograms of sign systems installed in each folk village as well as functional aspects such as unity, simplicity, readability, aesthetics, and the number of signs. In addition, a survey on satisfaction and matters to be improved about sign systems in each folk village was conducted. Based on that,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to build effective sign systems that can highlight unique tradition and culture of folk villages and deliver information to users comfortably and safely. 민속마을은 오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전통화 문화를 일상생활 속에 그대로 간직한 소중한 역사문화자원이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모형민속촌과는 달리 실생활 공간 속에 전통과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어 그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되는 민속마을은 그 희소성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보존·연구되어야 할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세계적인 관심 또한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 많은 이용자가 늘어나게 됨으로서 민속마을이 지니고 있는 귀중한 문화자료를 보존하면서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유도할 수 있는 사인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설치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연구자는 민속마을의 체계적인 사인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민속마을의 전통과 문화를 보호하면서 한국적인 특색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국내외 많은 이용자들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사인시스템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6개 민속마을이 가진 문화, 전통적인 특색, 주변경관 등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각 민속마을에 설치된 사인시스템의 색상·문자·픽토그램 등 사인시스템 구성요소와 통일성·단순성·가독성·심미성·사인의 수 등 기능적 측면에 대한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각 민속마을 사인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민속마을 고유의 전통과 문화 특성을 잘 살리고 이용자들에게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외국인을 위한 사인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복합쇼핑몰 방문객을 중심으로

        강혜인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관광산업은 오늘날 다양한 분야의 경제, 사회, 문화 등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이미지 제고 등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매력적인 산업이다. 오늘날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 고용과 소득을 늘리는 경제 수단으로써의 세계화 시대에서 무한한 성장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2013년은 1,217만 명, 2014년의 경우 1,420만 명으로 최고 정점을 찍었으며 우리나라 2015년 방한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6.8% 감소했음에도 1,323만 명이었다. 이와 같이 매년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광객의 소비 패턴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또한 하루에 한 공간, 즉 멀티플렉스의 기능을 갖춘 복합쇼핑몰에서 쇼핑, 음식, 엔터테인먼트 등의 일정을 모두 소비할 수 있는 원 데이 쇼핑(One day shopp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쇼핑몰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지만 대규모적인 복합 공간이라는 점에서 복잡한 동선체계로 인해 경로 탐색 및 목적지를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방향 및 목적지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인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각적 및 기능적 역할을 위한 사인시스템의 중요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사인시스템의 인식과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복합쇼핑몰의 사인시스템 요소와 조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사인시스템이 효율적인 시각적 속성과 정보적 속성을 잘 전달 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코엑스 및 타임스퀘어에서 설문이 진행되었으며,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사인시스템의 정보적 속성과 시각적 속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의 차이 분석 결과로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시간,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 대해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사인시스템의 시각적 속성에서는 형태, 설명정보, 픽토그램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색, 문자정보에 대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의 차이분석 결과로는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시간, 이동거리,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서는 50대 이상,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서는 4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픽토그램에서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형태에서는 50대, 설명정보에서는 40대, 문자정보에 대해서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방문 횟수의 차이 분석 결과로는 정보적 속성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위치파악, 이동 시간, 이동 거리, 알기 쉬운 사인시스템에 대해서는 10회 이상-1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의 구체적 설명에 대해서는 1회가,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서는 5회 이상-10회 미만이,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 대해서는 2회 이상-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형태에서 10회 이상-1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설명정보, 픽토그램에서는 1회가, 문자정보에서는 2회 이상-5회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방문 시간의 차이 분석 결과로는 전체적인 위치파악, 알기 쉬운 시스템에 대해서는 30분 이상-1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의 구체적 설명, 이동 거리, 음성 또는 동영상 안내시스템에서는 2시간 이상이, 이동 시간에서는 30분 이내, 휴게실 및 화장실 정보에 대해서는 1시간 이상-1시간 30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 속성에서는 색, 설명정보에서 30분 이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형태에 대해서는 30분 이상-1시간미만이, 픽토그램에 대해서는 2시간 이상이, 문자정보에서는 1시간 30분 이상-2시간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외국인들에게 사인시스템에 있어 공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관된 디자인의 사인시스템이 요구된다. 문자보다 픽토그램의 활용이 효율적인 정보전달에 우선시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픽토그램은 세계의 공통 언어이며 누구나 쉽게 인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적극적인 활용 방안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복합쇼핑몰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있어 사인시스템에 대한 인식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사인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 도시이미지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 사인시스템을 중심으로

        유혜진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시에 살고 있으며 도시와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도시이미지가 형성 된다. 따라서 많은 도시들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별화된 이미지 전략으로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사인시스템은 많은 대도시들이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이미지 형성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인시스템은 도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제공과 도시정보와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성립시키고 도시구조를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도시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가장 빠르게 보여줄 수 있는 도구로 잘 정비된 사인시스템은 사람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여 결과적으로는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형성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도시에서는 차별적인 이미지를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사인시스템의 통합적인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도시는 다양한 사인과 시각물들이 혼합되어 혼란스럽고, 복잡한 도시구조에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도시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과적으로 이미지 개선의 효과보다는 혼란과 불편이라는 도시이미지를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랜 역사적 배경과 최근 활발히 도시이미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이론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전략적인 사인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도출하고, 의정부시의 환경과 도시이미지 정책을 분석하여 도시이미지를 위한 전략적 요소를 살펴보며, 의정부시를 현장 방문하여 사인시스템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현재 도시이미지형성에 있어서 사인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차별적인 도시이미지와 정체성 확립을 위한 수단으로 사인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므로 향후 의정부시나 다른 도시들이 사인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st of the people today live in the city. City image is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city and the people who live in the city.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positive image to people, most cities use distinctive image strategy to build attractive and unique cities. Sign system is used as a strategic mean to build attractive and unique image, and to establish its identity in large cities. Sign system is a useful media that provide comfortable environment, establish smooth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city information, and to understand city structure. In other words, sign system, a well maintained tool that can quickly visualize city image, provide people with a sense of security and thus establish positive city image and identity. However, even though cities in Korea enforce various image policies in order to differentiate images among cities, development of system is not comprehensive. Consequently, the city is in disorder with mixture of various signs and visual products, and this complex city structure is difficult and confusing to people who first visit. This problem, as a result, rather than improving the image, is only repeating the city image of confusion and discomfor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and Uijeongbu who is recently actively enforcing city image policies, draws out methods for strategic sign system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studies. This study, observes strategic elements for city image by analyzing of the environment of Uijeongbu and the policies of city image, and draws out problems by visiting, observing and analyzing sign system of Uijeongbu Over the course of these studies, the importance of sign system in building the city image will be recognized, and the means of establishing city image and forming an identity will be suggested.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building sign systems for Uijeongbu or other cities in the future.

      • 서울시 버스교통정보시스템에서의 유니버설 사인시스템 연구

        이명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통수단의 발전과 함께 인간 행동영역의 확대는 도시구조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도시구조의 변화로 인해 인간과 도시공간과의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버스는 불특정한 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이며 이용자들이 가고자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가장 짧은 시간에 얻어 찾아가도록 하는 환경조성이 중요하다. 사인시스템은 가고자하는 목적지를 찾아가는 가장 정확하고 즉지성 있는 정보이며, 도시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간결하고 정확한 사인이 중요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버스의 경우, 보편적 디자인인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라 다양한 연령층과 지식정도 등에 구애됨 없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는 사인시스템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사인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서울시내버스는 대중교통 수단 중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나 1970년 전철의 출현과 교통체증이라는 문제점들로 인해 이용자들이 점차 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이전의 비효율적인 시스템과 획일적이고 보수적인 디자인으로 인지되어 온 서울의 버스 시스템을 2004년 7월 1일 전면 개편하였다.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내버스의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개편된 노선안내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인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라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이용 현황과 만족도, 개선요구 등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누구에게나 쉽고 이용이 편리한 사인디자인을 위한 지침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조사와 실측을 통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심층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측조사는 개편된 정류장의 노선안내도와 버스 전면, 측면의 노선안내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와 사인의 기능을 바탕으로 작성한 실측기준표를 활용하여 평가하였고, 설문조사와 심층조사는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재 노선안내도의 이용 현황, 만족도, 개선요구 등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실측조사를 통한 노선안내도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버스 정류장의 노선안내도에는 너무 많은 정보가 실려 있으며 글자가 너무 작아 가독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선안내도가 찢기고 떨어져 나가는 등 훼손이 심해 소재 선택과 마감에 있어서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2) 버스 전면의 노선안내는 색채사용에 있어 고채도와 대조명도를 사용하였다. 고채도는 바탕색으로 적당하지 않았으며, 글자는 너무 작아 바탕색과 글자색이 대조명도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면적의 문제로 인해 실제로는 대조를 이루는데 실패하였다. 따라서 글자가 바탕과 구분되지 않아 가시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미적 측면에 치중하다 보니 글자가 작아져 가장 중요한 정보전달의 기능을 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해결방안으로 시급하게 보안된 버스 측면의 노선안내는 정보전달의 기능적인 역할에는 충실하였지만, 심미적 측면에서 개편된 디자인의 전체적인 디자인 통일성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별할 수 있도록 실용성을 겸비한 편리한 사인시스템과 미감을 훼손하지 않는 조화로운 이미지 개발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 설문조사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개편된 버스의 사인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글씨가 작고 복잡하다는 이유로 만족도가 낮았다. 설문지 작성이 어려운 60대 이상의 고연령층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결과, 고연령층은 복잡하고 너무 작은 글씨를 이유로 노선안내도의 이용률 자체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노선안내도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서울시내버스 사인시스템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개편된 노선안내도가 획기적인 컬러시스템의 도입으로 디자인적인 면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찾아가게 하는 정보전달의 기능에 대한 부분인 가시성, 가독성, 즉시성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버스전면의 노선안내는 색채사용 및 글자 크기 등이 부적합하여 정보전달의 역할에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사인시스템 계획시에는 심미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보 전달의 기능도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노선안내도 이용률이 낮은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후 사인시스템 계획시 노인과 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인 모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대학캠퍼스 내 Sign System에 관한 비교연구 : 호남대, 전남대, 광주여대를 중심으로

        이경산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하루에도 수많은 이용자가 출입하는 대학캠퍼스는 필요한 정보를 얻고 공간의 방향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사인시스템 역할의 중요성이 높은 곳이다. 그 때문에 이용자가 정보를 좀 더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사인 시스템의 체계와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 내 사인시스템의 대표적인 안내·유도·기명 사인을 중심으로 정보전달이라는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조형적, 환경적, 경제적 측면도 고려하면서 진행하였다. 먼저 사인시스템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사인의 종류와 기능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호남대학교, 전남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의 사인시스템 현황을 문헌 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보다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할 방안을 비교연구 하였다. 특히 야간에 이용자가 편리하게 정보전달을 받을 수 있는 사인시스템이 있는지와 그 형태와 수량은 어느 정도 설치되어 있는지를 현장조사를 하였다. 3개 대학 모두 벽부형 기명사인인 UI사인을 제외한 안내사인, 유도사인 등에는 조명이 설치가 전혀 안 되어 있어 정보전달을 할 수 없었다. 물론 주간에도 UI가 적용되지 않는 사인들과 가독성과 심미성이 결여된 많은 사인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인(Sign)을 UI의 통일성을 적용하고 조형적인 요소를 가미한 개선된 사인시스템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선과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인입과 LED조명을 설치하여 야간에도 이용자가 편리하게 대학캠퍼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인(Sign)의 목적에 도달하는 결론을 얻었다. 대학캠퍼스 내 사인시스템(Sign System)이 이용자들에게 편안하고 안전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시스템으로 개선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사인시스템, UI, 대학캠퍼스, 조명

      • 대학교의 사인 시스템에 관한 비교 분석

        왕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에 있어서 사인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한국대학과 중국대학을 비교하여 대학캠퍼스 내의 문화적인 차이와 사인디자인의 관점에서 사고의 제고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내사인, 유도사인, 방향사인 등 사인의 종류와 사인을 구성하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로 색상, 타이포, 재질, 레이아웃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과학적, 효율적, 실용성을 겸비한 사인시스템으로 개선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대학캠퍼스의 기능, 특성, 유형별 분석 등 이론적 사항과 사인시스템의 개념, 목적, 기능 등 사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의 사인시스템에 국한된 것이지만, 앞으로 더욱 더 많은 공공사인시스템을 비교 및 연구를 통한, 양국간의 시각적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사인시스템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and analyze the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ign designs in universities by comparing Korean universities and Chinese universities regarding sign systems in the campus. In addition, it aims to examine methods to improve sign systems more scientifically, efficiently, and practically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ypes of signs including a guidance sign, a directional sign, and a direction sign as well as designs of signs such as color, typo, material, and layout.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theoretical matters including functions, characteristics, and analyses by each type of university campuses through literary studies as well as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signs like concepts, purposes, and functions of the sign. It is only about sign systems of universities, but the studies on sign systems centered on sign designs of both count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ore public sign systems will be conducted.

      • IPA분석을 통한 지하철역사 사인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이경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역할을 하는 지하철에 있어 사인시스템은 1983년 서울시의 「서울지하철 통합규정」을 시작으로 2013년 시민과 1,000만 외래관광객의 편의를 위한 「지하철 시설·안내표지 가이드라인」과 「다국어 안내표지판 종합 개선계획」등을 통해 꾸준히 발전하였다. 이러한 서울지하철 사인시스템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간 서울지하철 1~4호선 120개 역사의 시설 관련 민원을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등의 편의시설에 이어 2위가 사인시스템으로 인한 불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시점에서 선행 연구의 동향 파악과 함께 현 서울지하철 사인시스템의 수준 향상과 이용자의 불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기능적 역할인 길 찾기 안내를 위한 사인자체의 물리적인 제작과 시각디자인에 중점을 둔 지하철 사인시스템 선행 연구와 차별을 두고자 하였다. 이에 건축환경적 측면에서 지하공간의 특성을 고려하며, 다양한 연령과 신체조건을 가진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평등한 정보 제공을 원칙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반영된 지하철 사인시스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서울지하철 1~4호선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지하공간 특성 요인과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원칙에 따른 적용성을 조사·분석하여 그 실태를 평가함으로써 사인시스템 계획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지하철 1~9호선 중 최초로 설립되어 서울 도심의 관문과 주요 결절점이자 대중교통 환승의 거점이 되고, 주요 랜드마크와 관광 명소에 근접하여 역의 이용도가 높아 이용자 측면에서 지하공간의 길 찾기 문제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서울지하철 1~4호선의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본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앞서 본 연구의 분석 틀이 되는 평가 대상과 기준을 수립하였다. 평가 대상은 서울시 가이드라인의 사인 분류체계와 서울지하철 1~4호선 사인 설치 현황을 참고하여 천장형 방향유도표지판, 벽체형 보조안내판, 종합안내도 3가지를 선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문헌고찰을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원칙과 지하공간 특성 요인을 토대로 접근성, 안전성, 공평성, 인지성, 심미성 5가지를 도출하였다. 일본 사례 조사로서, 도출된 5가지 평가 기준의 적용 수준을 파악하여 서울지하철 사인시스템 계획상의 방향성 추측과 개선 아이디어를 폭넓게 확장하고자 일본 도쿄의 도쿄메트로,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선, 후쿠오카 나나쿠마선의직접 방문을 통해 지하철 운영체계와 사인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의 보편성 및 시인성 향상과 함께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이 조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일본 지하철의 선행 사례를 통하여 서울지하철 사인시스템은 다양한 연령과 신체조건을 가진 모든 계층의 이용자에게 평등한 정보 제공을 원칙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바탕으로 지하공간 특성까지 고려하는 공간 통합적 토탈 디자인(Total Design)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함과 그 세부적인 방향성까지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는 평가 대상에 관하여 서울지하철 1~4호선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평가 기준 및 요소의 IPA분석 후 그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PA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장형 방향유도표지판의 경우 평가 요소 중 개선 요망 요소는 사인의 간격, 주변 환경과의 조화로 도출되었으며, 중점 개선 요소는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 제공, 지상으로 안전한 유도, 사인의 일관된 배치, 사인의 설치 위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 기준 중 개선 요망 항목은 심미성이었으며, 중점 개선 항목은 접근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벽체형 보조안내판의 경우 평가 요소 중 개선 요망 요소는 사인의 설치 위치, 사인의 간격, 사인의 통일성, 주변 환경과의 조화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점 개선 요소는 지상으로 안전한 유도,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 제공, 사인의 일관된 배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가 기준 중 개선 요망 항목은 접근성과 심미성으로 나타났다. 종합안내도의 경우 평가 요소 중 개선 요망 요소는 주변 환경과의 조화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점 개선 요소는 정보의 효과적인 이해(외부공간), 사인의 영역화, 사인의 설치 위치,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 제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기준 중 중점 개선 항목은 인지성과 심미성이었다. 천장형 방향유도표지판, 벽체형 보조안내판, 종합안내도 전체사인을 대상으로 한 평가 기준의 분석 결과, 개선 요망 항목은 심미성이었으며, 중점 개선 항목은 접근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IPA분석 결과에 따라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기준 별 개선 요망 및 중점 개선 요소를 위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성의 경우, 사인을 배치하는 거리와 높이 등 설치 위치에 대한 척도기준에 관하여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수립한다. 각 역사마다 다른 구조적 특성과 이용자 동선 등이 반영된 유연성 갖춘 배치 방식에 관한 지침과 충분한 안내를 위한 반복적인 사인 설치에 대한 간격 기준 원칙도 함께 마련한다. 둘째, 안전성의 경우, 지하철 유도사인에서 ‘나가는 곳’을 안내하는 부분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축광요소를 첨가하거나 조명방식의 경우 LED를 이용한 점멸식으로 한다. 지하철 사인시스템에 있어 노란색은 ‘나가는 곳’을 의미하는 색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를 지속적으로 홍보한다. 셋째, 공평성의 경우, 사인의 구성요소인 문자와 픽토그램에 대한 인지성을 높인다. 문자의 경우 크기의 확대 및 글씨체를 굵게 하고 바탕색과 구별하기 쉬운 색상을 사용한다. 픽토그램은 국제표준(ISD) 및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국가표준(KS) 픽토그램을 원칙으로 통일시킨다. 종합안내도는 공공장소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음성안내 및 직원 호출버튼 등이 추가된 촉지도 사용을 고려한다. 넷째, 인지성의 경우, 종합안내도 주변지역안내도의 운영원칙인 유무상표기제의 표기대상 범위 조정을 통하여 지하철 역사 주변지역의 상세한 민간시설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심미성의 경우, 사인 계획은 한 공간에 과다한 중복 설치를 지양하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다. 벽체형 보조안내판은 기본모듈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여 구성요소 및 크기의 디자인을 통일한다. 공적정보인 종합안내도는 정보 위계를 고려하여 광고물과 같은 사적정보와 영역을 분리·배치한다. 이상의 결론에 따른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서울지하철 1~4호선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지하철 역사는 교통시설이라는 특성으로 이용자는 단시간 체류하며 빠르고 유동적인 흐름을 보인다는 점과 서울지하철 1~4호선 사인은 서울시 가이드라인이 공통으로 적용되어 시스템이 구축되었음을 감안하였다. 즉 특정 역사 사인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의 경우, 이용자의 명확한 이해가 결여된 신뢰도가 떨어지는 응답결과가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안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추후에는 본 연구의 한계를 넘어 환승체계에 대한 구조적 특성 및 역사 이용율, 혼잡도 등 다양한 상황에 따른 세부적인 사인시스템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Seoul subway signage system is developed through in 1983 the unified regulation of seoul subway and in 2013 subway directional signage guideline, multilingual signage system plan. Despite these efforts, from 2013 until 2014, signage system was second of the complaints in seoul subway. At this point, various studies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signage system and user inconvenience. This study was trying to make a difference with before studies(focusing on direction guidance and design). So, the principles of equal information to all levels with a wide range of conditions, reflect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study on the proceedings. This study purposes is suggesting to improve a signage system through the analysis and assessment of underground characteristics space and universal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signage system in subway line No. 1-4 of high availability the station. Case study on the way is Japan case study and domestic survey. First, It established th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and analysis framework. Note on the guidelin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ignage data, Target evaluation is ceiling directional signage and wall directional signage, the general information. Evaluation criteria were accessibility, safety, fairness, visibility, aesthetic. For the case studies, I visited the Tokyo Metro, the Yokohama Minato Mirai Line, Fukuoka Nanakuma line Tokyo in Japan.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ommon, safe, comfortable space composition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oul subway line No. 1-4 user. Af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IPA ways to improve. IPA the results are as follows. Evalu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 of ceiling directional signage it was analyz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duced signage of intervals. Emphasis improvement factor was analyzed to provide information, the reas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be a safe induction, consistent installation, the signage position. Improvement items, items were aesthetics and improved accessibility. Evalu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 of wall directional signage it was analyzed install location, interval, unity,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mphasis evalu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 was analyzed to be a safe induction, the reason for the visually impaired, position to provide information. Improvement items, items were aesthetics and improved accessibility. Evalu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information it was analyzed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mphasis evaluation standards for improvement was analyzed to be an effe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zoning, he signage position, the reas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mprovement items, items were visibility and aesthetics. In the all signage, improvement item was analyzed aesthetics, emphasis improvement factor was analyzed to be improved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above results, when the ways to improv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ccess, establish a specific guideline for the signage installation position. Establish the criteria for each principle of history such 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flexible deployment, repeated installation, interval criteria. Second, in the case of safety, enhance the ability to luminous element LED and the addition method in the ‘EIXT’, and PR to recognize the color. Third, in the case of equit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characters and pictogram signage. Expanding the size of the character, and bold and use easy to distinguish the color. Pictogram unified international standards(ISD) and korea standards(KS). General information should also consider using voice guidance, and palpation added staff call button. Fourth, in the case of the visibility, general information provides detailed facility information through range of fee or not adjustment. Fifth, in the case of the aesthetics, the signage is installed and oriented excessively redundant, considering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ll directional signage shall establish guidelines on the basic module. Public general information is separated from advertising. The purpose of study are listed in the following. The study subjects were Seoul subway line No. 1-4 signage system. Considering the fact that this user was fast and fluid from the subway stations, the Seoul subway line No. 1-4 signage system is applicable Seoul metropolitan guidelines. That is when a survey, the lack of a clear understanding of user response results were expected to target a specific history. Therefore, this fact would have influenced the results. Later on, we ne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congestion, etc., and various detailed follow-up studies.

      •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 제주시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송호림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주시 원도심은 1980-90년대 이후 상권이동과 도시 주변 지역의 도시개발사 업 및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해 도심 기능의 외연적 확산 및 상주인구 감소 등 도심의 주거 기능화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인구의 공동화, 기반시설의 노후 등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되었다. 주변 지역의 개발사업은 기존도심으로부터 주요 도심 기능을 이전받고, 이 과 정에서 기존 원도심은 쇠퇴하는데 도심의 지하상가도 동반 쇠퇴하는 과정을 겪으며 이용자들의 발길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많은 사람이 쉽게 이용하게 하고 그러면 상권이 활성화되고, 상권이 활성화되 면 또 사람이 모이는 선순환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도심재생 및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지하상가가 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 는 공간을 창출하고, 상권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많은 이용객이 편리하고 유용하게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나의 통일된 사인시스 템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상가의 활성화 방안 중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중요한 역할을 찾고 시각적 혼란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하상가의 웨이파인딩 (wayfinding) 역할을 재검토하여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쾌적하고 효 율적인 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목적, 방법, 범위를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인시스템 디자인 요소와 종류, 지하상가의 개념과 특성, 문제점 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다른 지역 사례보고 :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성공적인 사례 를 알아보고 사인시스템 현황 파악을 위해 사례 조사 및 분석, 정리하였다. 연 구 대상지의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시각적인 요소를 분석한 결과 현재의 공간을 쉽게 인지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 째 사인시스템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가이드맵을 통해 공간 인지의 효율성을 높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명료성이 높은 사 인의 요소를 통해 명확한 사인시스템이 구성되어 시각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공간과의 조화를 고려한 사인시스템의 색채는 일관성 있 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연속성을 주어 공간을 인지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네 번째,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인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디자인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뛰어난 사인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현재 원도심의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제주시 지하상가의 상 가 사인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지하상가를 목적지 또는 쇼핑의 목적으로 하 는 이용자의 길찾기 과정을 확인해보고, 현재의 사인시스템 영향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지하상가를 이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이용자들은 지하상가 공간 내에서 길찾기의 어 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사인의 방향 정보 전달 및 기본적인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근본적 원인은 복잡한 공간에서 안 내·유도사인시스템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아 정보의 연결성이 끊어지 고, 공간의 일치성이 없는 불명확한 정보 전달로 인해 웨이파인딩(way finding)의 기본 역할을 못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인시스템의 구성 요소도 전달성, 통일성, 공공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자의 길찾기를 위한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 이용객들을 위한 디자인을 한정된 범위에서 제안하여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정보와 공간을 일치화하여 목적지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적절한 위치에 사인 설치를 통해 보행 중 이동 경로의 결정을 돕도록 하였다. 제5장에서는 설문조사와 분석을 기본으로 한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효율 적 정보전달을 위해 구성 요소를 일관성 있게 표현하고 디자인 표준화를 통하 여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설명하고 연구의 의의와 함께 향후 과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언급하였다.

      • 중국 해남성 지역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발

        부용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Diebedo Francis Carre, the 2022 Pritzker Architecture Prize winner, has been described by The New York Times as one of the "25 most significant structures in the world after World War II."Carlyle pioneered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buildings on extremely scarce rural lands. He ha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ves of numerous people in a part of the world that is frequently overlooked as both an architect and a servant. He has done this by being beautiful, modest, and creative, and by bringing the discipline of architecture to life with clear architectural language and sophisticated ideology.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humanistic construction has piqued the interest of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gional life inspire "localized" design. The design has gained international acclaim. The sign system connects the complex space environment and serves as the primary means of guiding viewing so visitors can effectively connect with the space environment. The rural sign system i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nd, such as the local area, and the location, which include climatic conditions, terrain environment, and local resources to form natural elements. The technical elements include building materials,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main body of the construction. And the humanistic elements are composed of history and culture, folk customs, and life experiences. In order to create an inseparable unity, these small ecosystems, locations, societies, cultures, and senses, were combined together. And this is what causes the building to become rooted in the ground as well as a necessity for the building's "localization." The Hainan Province of China has gained a significant amount of valuable experience and made some progress towar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distinctive villages, but there are still many deficienci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ignage system. This study's primary research objectives are to address issues with the sign system in Hainan Province, improve its lack of unity and singleness, and expand the design options for the distinctive rural signage system. The article uses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theoretical analysis, field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and participation in actual design projects. Firstly, this article introduces the academic context of the characteristic rural sign system in the academic field. Second, this article defines the terms "characteristic villages,""signage systems," and "affordability theory" in relation to the topic and present outstanding examples of rural signage system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rd, this article analyzes the development of characteristic villages in Hainan Province of China and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signage system, in order to identify any special issues with the system's design. Fourth, the article summarizes the process and steps of the actual project design and development, establishes the design process of the distinctive rural sign system in Hainan Province, and explains the processes of the real project design and development. Fifth,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dur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standardized and distinctive rural sign design schemes based on the rural culture's traits and the region's current issue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design of the signage system, and it is believed that an excellent rural sign system not only has a sound and unified design style but also highlights the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s highly recognizable. Hainan Province is currently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ing a system for the design of distinctive village signs, and designers have a lot of room to innovate in this area. It is required to organize geographical data, create design strategies, carry out system planning, and create conceptual schemes for the specific design of the distinctive rural sign system while adhering to the numerous sign system components. At the end of the paper,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ss summarized, the sign system design is carried out for Shihan Village, Wenmen Village, Shanweitou Village and Meishe Village in Hainan Province. In an effort to generate fresh ideas for the design of the same kind of distinctive rural signage system, four sets of design schemes with uniform standards, clear advice, reasonable layout, clear levels, and integration of regional culture have been figured out. 2022년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디베도 프란시스 케레(Diébédo.Francis. Kéré)의 건축 작품은 「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가 선정한 세계 중요한 건축물 25개 중 하나로, 케레는 서아프리카의 빈곤국가 부 르키나파소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그가 고향에 지은 간도초등학교는 극도로 열악한 환경의 마을을 위한 지속가능한 건축의 새로운 지평을 열 었다. 케레는 건축가이자 봉사자로, 겸손하면서도 과감하고 아름다운 창 조력, 명확한 건축 언어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어려운 지역의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개선함으로써 건축과 과학 그 이상의 공간을 선사했다. 케레의 부르키나파소 마을 건축 작품들은 사람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 었으며 과학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 마을 인도주의가 전 세계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고 ‘현지화(localization)'1)디자인이 전 세 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마을 사람들의 삶의 질 개선, 마을 환경, 마을 발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었다. 마을 조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중에서도 마을의 사인시스템 디자인 관점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선택하 였다. 사인시스템은 복잡한 공간 환경을 체계화하는 연결고리이며 시선 을 유도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보는 이와 공간 환경 간의 소통과 교류를 돕는다. 마을 사인시스템은 토지, 현지 등 땅의 실제 조건, 예를 들어 기 후조건, 지형, 현지 자원을 토대로 자연적 요소를 형성하고, 건축 재료, 건축 기술, 건축 주체는 기술적 요소를 구성한다. 역사와 문화, 민속과 풍습, 생활 경험 등은 인문적 요소를 이룬다. 따라서 사인시스템은 이러 한 환경, 공간, 사회, 문화, 지각 등 요소들이 한데 합쳐져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통합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인시스템이 땅 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과 그 안에 ‘현지화’가 필수적으로 반영될 수밖 에 없음을 말해준다.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 개발은 사용공간을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 매 우 중요하다. 현재 중국은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설’을 전면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의 발전뿐만 아니라 농촌의 번영을 목표로 하 고 있다. 따라서 마을 개발 및 조성은 중국의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 설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촌의 인프라시설 및 공공서 비스시스템 구축을 강화하여 도시와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인 과 제가 되고 있다.2) 중국의 해남성(海南省)을 예로 들면, 해남성은 특성화 마을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을 쌓고 일정 성과 를 이루었지만, 사인시스템 구축에서 있어서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점 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해남성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단일성, 통일성 부족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및 개선을 주요 연구 목표로 하여 특성화 마 을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 이론적 분석, 현지조사, 설문조사, 실무 디자인 프 로젝트 참여를 통한 연구 방법 등의 연구 프로세스를 통해 연구진행을 하였다. 첫째,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에 관한 학술적 연구 현황을 조사 했다. 둘째, 연구에서 다루어진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 어포던스 (affordance) 이론의 개념을 정리하고 현재 국내외 마을 사인시스템의 우 수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중국 해남성 특성화 마을 발전 현 황 및 사인시스템 현황을 분석하여 해남성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의 구 체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넷째, 실제 디자인 프로젝트 개발 과정 및 절 차를 정리 및 도출하여 해남성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을 위한 디자인 절차를 수립했다. 다섯째, 디자인 절차에 따라 해남성 마을 문화의 특징, 기존의 문제점을 토대로 규범성과 식별성을 갖춘 특성화 마을 사인디자 인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착안점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자는 훌륭한 사인시스템이란 통일되고 잘 갖추어진 디자인 양식 을 넘어 지역문화의 특색을 충분히 살릴 수 있어야 하고 식별성이 높아 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해남성 특성화 마을의 사인시스템은 아직 초 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향후 디자인의 개선 및 발전 여지가 매우 크 다.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템 디자인은 공간 정보의 체계화, 디자인 전략 수립, 체계적인 계획 추진, 사인시스템의 각 요소를 준수하여 콘셉트를 설정 및 개발하여 명확한 최종 디자인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관 련 디자인 방안에 대한 전후 비교, 분석, 검증을 통해 디자인 취지에 맞 는 최종 디자인 결과를 도출해야 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의 마지막 부분 에서 디자인 절차를 총정리하여 해남성의 십한촌(什寒村), 문문촌(文门 村), 산미두촌(山尾头村), 미사촌(美社村) 마을의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진 행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4가지 통일된 가이드라인을 구체화시켜 사 인의 명시성, 레이아웃의 합리성, 등급 체계의 명확성, 지역문화 융합성 을 지닌 디자인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특성화 마을 사인시스 템 디자인 도입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