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 공공갈등 관리 사례 분석 : 안양시 사례

        이난영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5년 지방자치의 시작과 더불어 경제민주화, 사회다원화로 인한 시민의식의 성장으로 정책참여와 이익추구에 대한 욕구는 갈등으로 분출되고 있다. 그로인해 정책과정에서 많은 갈등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갈등은 피할 수 없는 정책의 한 부분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갈등이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안양시를 중심으로 공공갈등 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안양시의 공공갈등발생 현황과 지속기간이 장기화되고 있는 갈등 3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공갈등 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례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사례분석 모형의 변수는 갈등유형, 갈등요인, 이해관계자, 갈등전략, 갈등결과이며 모형 변수 중 갈등요인, 이해관계자, 갈등전략은 갈등주기모형을 참고하여 잠복기, 표면화기, 고조기, 완화기, 해소기 각 주기별로 분석하였다. 갈등현황과 사례분석 결과 안양시 공공갈등관리에 있어 사업의 이행 절차와 투명성 결여, 커뮤니케이션 방식, 공공갈등 관리시스템 부재를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그 개선방안으로 정보의 공개와 주민참여 보장, 이해관계자의 인식과 소통방식 개선, 갈등관리시스템 제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갈등현황과 사례의 연구에 있어 신문, 뉴스 등 보도자료와 내부자료를 중심으로 한 분석으로 갈등의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을 다양하게 반영하지 못하였다. 또한 사건의 내용을 연구자 중심의 관점의 해석으로 객관성을 담보하지 못한 점도 있다. 이러한 한계점 극복을 위하여 안양시의 갈등현황과 사례 자료를 수집하는 데 있어 가능한 다수의 매체를 통해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입장을 반영하고 공통된 시각을 차용하여 객관성을 확보하려 시도하였다. 안양시가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안양시 갈등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제안한 개선방안을 받아들여 산적한 공공갈등을 해소하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또한 앞으로의 정책 결정과 수행과정에 있어 공공갈등이 도시발전과 정책의 걸림돌이 아니라 보다 좋은 정책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Along with the start of local autonomy in 1995, due to the growth of civic awareness in accordance with the democratization of economy and the social diversification, the desire for participating in policy and pursuit of profit is boiling over into a conflict. As a result, many conflicts ar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policy, and conflicts are acting as an inevitable part of a policy. This study intended to derive the problem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centered on Anyang City, starting from a critical mind on the negative effect that public conflicts have on the development of a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public conflicts occurred in Anyang City and 3 cases of long term standing conflicts since the 2000s. Through the study on the public conflict theory, the frame of the case analysis was constructed. The variables of the case analysis model are conflict type, conflict factor, the person concerned, conflict strategy, and conflict result, and among the model variables, conflict factor, the person concerned, and conflict strategy were analyzed by each cycle of latent period, period of coming to the surface, mounting period, relieving period, and resolution period with reference to the conflict cycle model. As a result of the present conflict status and case analysis, it drew the problems that are lack of business performing procedure and transparency, and lack of communication method and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the management of public conflicts in Anyang City. A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se, release of information, ensuring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mprovement of the awarenes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ersons concerned,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a analysis focusing on reports such as newspaper and internal data in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onflicts and its cases, so did not variously reflect the persons concerned in conflict. In addition, the objectivity was not secured d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incident by a researcher centered viewpoi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was tried to reflect the diverse stances of the persons concerned through as many media as possible in collecting the present status of conflicts and case data in Anyang City and to secure objectivity by adopting the common viewpoint. I wish Anyang City would recognize the problems of Anyang City conflict management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ccept the suggested improvement plan so that it play a part to resolve the public conflicts that have been building up.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and its implementation in the future, public conflicts are expected not to be a stumbling block to urban development and policy but to be applied as a process of developing into better policies.

      • 사례분석을 통한 정보보안사고방지 방안 연구 : 사이버보안사고를 중심으로

        허은정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by Analyzing Cases : Focusing on cyber security incidents Hur, EunJ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n empirical study on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situ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of companies and cases of security incidents. So as to suggest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this study were conducted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the cases of information leakage occurring in enterprises based on substantive data. Findings showed that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globally caused a problem, and the biggest problem of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was that companies were not aware of hacking and information leakage by themselves. Also, when information leaked, a lack of abilities of firms to cope incidents was found and the fact a mild penalty for information leakage consequently leading to repeated information leakage was identified. It implies that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needs to be improved. On top of that, i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domestic security industry in the qualitative respect and securing techniqu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re necessary. Based on results from analyzing cases, suggestions on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are as follows. In order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a legal system should be enhanced and a penalty for information leakage should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the legislation related to damages needs to be aligned. Indeed, currently, although there repeatedly happe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in Korea, penalties for these incidents were highly mild. In addition, the professional system relevant to the regulation of privacy protection act through the institution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 US, UK, and Japan needs to be built. Next,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among entrepreneurs,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ordinary people, and students need to be improv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hich pertain to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simulation test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Since the damage caused by information leakage can be contribute to additional damages,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of companies must be improved. An aftermath which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entails is so great that the incident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cannot be a simple incident or an incident itself. Therefore, the shift of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should be improved as a priority and also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needs to be changed by approaching various methods such as task autonomy. Furthermore, 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formation security techniques of Korean companies need to be competitive, efforts to reinforce techniques are necessary so as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new cyber security threat which is changed into being intellectual.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the enhancement of the perception that information security is important, and the reinforc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techniques, it is necessary to foster security experts which is little developed in Korea,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level. Fostering security experts helps not only secure global security specialists but company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What is more, the demand for security experts can be met by establishing the organization fostering security specialists and deploying security experts depending on a need. Lastly, a variety of methods to promote investment in preventing information leakage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need to be conducted. For example, the government should help companies to conduct information security by tax deduction for the private sector, an aid for labor costs, the expansion of incentives and the revision of items for assessment in the public sector. Other than implementing these measures, the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is crucial, above of all. In the big frame of cyber security, creating the virtuous cycle in which information security is fortified through plann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and offering solutions to information security is significant. For doing this, beyond the temporary measure to prevent information leakage of companies, information security should be reinforced by using the mid-long term strategy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s and by continuously improving drawbacks of information securit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were suggested by only analyzing the cases of information leakage which took plac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in further studies, implications obtained from an analysis on the cases of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happening in not only public organizations and governmental sectors but also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will be utilized. Plus, if when it comes to the reinforc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an analysis of cases and in depth interviews with security experts are conducted to examine actual plans for preventing information security incident and the problems of companies' security, it will help to offer further actions that allow companies to aggressively cope cyber security threats. Key words : information security, cyber security incident, an analysis of case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국문초록 사례분석을 통한 정보보안사고방지 방안 연구 : 사이버 보안사고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정보보안 현황 및 보안사고 사례 분석을 통해 정보보안 사고방지 방안에 대한 실증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분석 및 실증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기업의 정보보안 유출사례를 분석하고, 보안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보안사고의 가장 큰 문제점은 회사가 스스로 해킹 및 정보유출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유출 사건 발생 시, 기업의 대처능력 부족과 솜방망이 처벌로 인해 문제가 반복 발생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함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국내 보안 산업의 질적 성장 필요성과 기술력의 확보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안 방안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정보보안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법제도의 개선 및 처벌의 강화가 필요하며, 손해배상금 등에 관한 법률 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반복되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도 불구하고 관련 처벌이 매우 미약한 수준이다. 또한 미국, 영국, 일본의 정보보안 시스템 기관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또한 개인정보보호 법 규제와 관련된 전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정보보안 사고방지를 위해서는 정보보안에 대한 기업가, 직원, 정보보안전문가, 일반인, 학생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및 모의 테스트 등을 통한 준비가 필요하다. 개인정보유출은 1차 유출사고에서 확대되어 2차 피해까지 확산될 수 있으므로, 기업의 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개선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정보유출은 더 이상 단순한 사건 혹은 사고로 치부하기에는 그 확대 여파가 너무나 크므로 이에 대한 인식의 전환자체가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하며, 직무자율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의 접근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현 우리나라 기업의 정보보안 기술력에 우위가 필요하다는 사례분석 결과와 같이, 급변하는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고 더욱 지능화되는 새로운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처 가능한 기술력의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법체계의 개선 및 정보보안의 중요성에 대한 개선인식과 정보보안 기술력 강화와 더불어, 국제적으로도 뒤쳐져 있는 보안전문가의 양성을 통해 국내에서도 글로벌 전문가의 확보와 이를 통한 기업 및 국가경쟁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보안전담양성소 개설을 통한 인력수요난의 해결과 이를 통한 적재적소의 인력 배치로 우리나라의 보안전문가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유출 예방과 방지를 위한 다양한 투자 촉진 방법을 실시해야 한다. 민간분야에서의 조세감면 및 세액공제, 인건비 보조 공공분야에서의 인센티브 확대 및 평가 항목 조정 등을 통해 정보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 보안 방안의 시행과 더불어 무엇보다 정부와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 체계가 중요하며, 사이버보안이라는 큰 틀 속에서 구체적인 행동을 계획하고 정보보안 솔루션을 제안하여 정보보안이 잘 이루어지는 선순환의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인 기업의 정보유출사고를 막는 급급한 상황에서 벗어나 중·장기적인 전략을 사용하여 취약점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을 통한 보안 수준의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 사고방지를 위한 방안 제시에서 국내·외 기업의 정보보안 사고 사례만을 분석하였으므로, 한계점을 가진다. 추후 연구에서는 국내·외 민간기업 이외의 공공기관 및 정부차원의 사이버보안 사고와 관련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활용하기를 바란다. 또한 보안강화 방안에 대해 사례분석과 더불어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한 실질적인 대책 방안 및 기업 보안 문제에 대한 실태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한다면, 추후 사이버보안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정보보안, 사이버 보안사고, 사례분석, 사고방지, 개인정보유출

      • 橋梁DESIGN 事例分析을 통한 撥展方向에 관한 硏究

        장양수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인간은 자연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환경 속에서 어떤 존재이며, 환경과 인간은 어떤 관계 속에서 공존 할 것인가.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세계는 주체로서의 인간, 시간으로서의 하늘 공간으로서의 땅으로 연대하는 동양의 3재(三才)사상부터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인간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더불어 살아가고 환경게 절대적 지배를 받는다. 또한 인간이 환경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다양한 정보와 자극을 통해 지각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형태의 환경디자인 공간을 연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환경 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교량 디자인 사례, 국외 교량 디자인사례, 국제 공모전 작품 사례 등을 통해 나타난 교량 디자인의 주요한 구성 요소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그 요소들을 중심으로 실제 작품을 분석하고 각 요소가 교량디자인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향후 BRIDGE DESIGN PROCESS에 있어서 핵심기본과제는 무엇이며, 단계별 중요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교량디자인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전개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경디자인의 일반적 이해와 도시환경디자인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도시의 랜드마크로 부상하고 있는 도시환경디자인의 중요 요소인 교량디자인인 대해 알아보고, 교량의 형태적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통해 교량의 역사, 교량의 종류, 교량디자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과 인가, 인간과 도시, 그리고 도시와 교량이 어떻게 하면 심리적, 심미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살아 갈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둘째, 사례 분석은 사례 기준과 방법을 정하여 국내 교량디자인 사례, 국외 교량디자인사례, 국제 교량 디자인 공모전 작품 사례를 1. Concept에 따른 분석, 2. 구조형태에 따른 분석, 3. 기능에 따른 분석, 4. 경간 크기에 따른 분석, 5. 색상에 따른 분석, 6. 재료에 따른 분석을 통해 교량디자인의 중요 요소들이 교량디자인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사례를 통해 종합 고찰하였다. 교량디자인이 도시환경 공간에서 인간의 시 · 지각적 자극을 통해 심리적, 심미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고, 도시의 랜드마크로 기억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디자인의 핵심 요소인 교량디자인에 있어서 어떻게 하면 아름다운 교량을 디자인 할 수 있는가를 교량디자인의 중요 기본 과제를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구조적 안정과 기능성, 둘째, 경제적 시공과 유지 관리, 셋째, 미관 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이 중요 과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향후 보다 아름다운 교량디자인을 위해 공공정책적 측면, 경제적 측면, 환경디자인 측면, 교량디자인적측면, 지역민 참여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진행되어 공간과 공간, 도시와 도시, 섬과 섬을 연결하고 도시환경디자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성장 발전하여 만호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교량디자인을 기대한다. Man liv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What is a man under the environment? And do the environment and man exist in which relations? As for the world where man lives, it can explain the relations with the man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Samjae, Oriental ideology, jointed with a man as a subject, the sky as time, and the land as space. Under the relations, a man lives in the environment in harmony, and was absolutely dominated by the environment. Also, the man can perceive through the various information and stimuli that a man receives from the environment. On a basis of it, a man can present the new type environmental design.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bridge, a main factor in the urban environmental design. And it is to grasp where there are something in the important constituent in the bridge design shown through a case of domestic bridge design, a case of abroad bridge design, and a case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works. And then, it is to analyze the real works centered on the factors. This study is to analyze it through various cases how each factor expressed in the bridge design. It is to grasp what is a core basic subject in Bridge Design Process hereafter and what is an important subject by the stage. And then, it is to develop this research for utilizing it to the bridge design actively. This study is to develop it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bridge design, an important factor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that would rise to the urban landmark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And it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bridge, the sorts of bri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bridge design through the morphological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bridge. From these theoretical investigations, this researcher comes to think how the nature and man, man and city, and city and bridge can live in harmony psychologically and aesthetically. Second, as for the case analysis, it needs to determine a standard and method of ca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domestic bridge design, the cases of abroad bridge design, and the cases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works. Also, it is to investigate the cases in general which the important factors of bride design have an effect on the bridge design through 1. an analysis of Concept, 2. an analysis of structural type, 3. an analysis of function, 4. an analysis of span size, 5. an analysis of color, and 6. an analysis of materials. Also, it is to investigate how the bridge design has an effect on the urban environmental space psychologically and aesthetically through the man's temporal×visual stimulus, and it is to examine that it could be memorized as urban landmark.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t through the important basic subject of bridge design how the beautiful bridge could be designed in the bridge design, a core factor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It was recognized as first, struc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ity, second, economic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third, beauty design and eco-technological design were important subject.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after examining the problems from the side of public policy, the economic side, the side of environmental design, the side of bridge design, and the side of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for the beautiful bridge design hereafter This bridge will be most beautiful bridge design in the world that can make a deep impression on the many persons while it proceeds multilateral approaches through various researches, and it connects between space and space, city and city, and island and island, and it develops into the new landmark of urban environmental design.

      •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유재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1991년 공개공지의 개념과 조성이 건축법에 명시된 이후 공개공지는 양적으로 늘어났으며, 질적 수준이 양적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공개공지의 설치보다는 기존의 공개공지를 관리, 재정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공개공지의 유지 관리, 운영 측면에서 단순히 기존의 공개공지에 대한 시설물 점검, 공개공지 금지 행위 단속을 넘어서 공개공지 설치 건물의 면적별 관리 차별화, 건축주와 지자체의 공개공지 설치 계약 명문화 등 공개공지의 유형별 목록화와 상황을 고려한 다방면적 운영체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방면적 운영체계가 마련된 뉴욕의 공개공지 운영체계와 운영사례들을 분석하고 서울시의 공개공지 운영체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욕의 운영체계는 주체별 역할이 중복되지 않고 운영 주체들의 관계가 수평적이며 정보 수립과 공개가 매우 체계적 이루어졌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열려있었다. 시민과의 소통방식은 플랫폼과 비영리 단체, 민원 상담을 통해 진행되며 사례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공개공지의 사례를 선정하여 관련한 운영사례를 분석한 결과 시민들의 의견이 잘 반영되고 민간의 자본과 적절히 협의하여 질 높은 공개공지를 시민들에게 제공했다. 또한, 공개공지의 다양한 이용을 보여주며 공개공지의 공간이 휴식과 보행 이외에 다르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서울의 운영체계는 주체별 역할이 중복된 부분이 있었으며 운영 주체들의 관계가 수직적이고 정보 수립과 공개를 공개공지 담당자가 수기로 작성하여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시민과의 소통방식은 민원 상담이 유일했으며 운영체계에 따른 사례분석은 사례선정에 있어 운영 주체들의 개별적인 공개공지 운영 기록을 찾아볼 수 없었기에 개별적인 공개공지는 분석할 수 없었고 서울시 25개 구청에서 공개공지를 운영하는 사례를 분석하였고 서울시 구별로 공개공지 운영방식이 일치하지 않고 공개공지의 시민 소통 정보 접근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서울과 뉴욕의 운영체계는 비교하였으나 운영체계 분석에 큰 차이가 존재해 동등한 기준으로 운영사례를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이 본연구의 한계였으며 추후, 정보 공개를 통해 서울시 공개공지의 개별적 운영사례분석과 현장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concept and composi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were officially specified in the architectural law in 1991. Since then, the quantity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has increased, but their quality has not kept pace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s managing and reorganizing existing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rather than installing new one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 multifaceted operating system i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going beyond simple facility inspections and enforcement of prohibitions against actions that hinderPrivately owned public space. This includes differentiated management based on the area of the building wher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are installed, formalization of contracts between property owners and local governments regarding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installations, and the listing of different types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a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perating systems and practices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in New York, where a multifaceted operating system has been established, and in Seoul, with the aim of deriving implic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In New York, the operating system ensured that roles were not duplicated among entit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rating entities were horizontal. The establishment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were highly systematic, and the system was open to everyone. Communication with citizens was conducted through platform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consultations, and criteria for case selection were established. The analysis of selected cases related to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showed that citizens' opinions were well reflected, and high-quality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were provided to citizens through appropriate collaboration with private capital. Furthermore, the study demonstrated the diverse utilization ofPrivately owned public space, highlighting that they could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rest and pedestrian activities. In Seoul, there were areas where roles were duplicated among entit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rating entities were vertical. The establishment and disclosure of information were less accurate, as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personnel manually recorded them. Communication with citizens was limited to consultation services, and it was not possible to analyze individual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since it was difficult to find individual operating records of public notic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Analysis was conducted on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operations in 25 district offices in Seoul, revealing inconsistent operating methods f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across different districts. Difficulties were also observed in citizens'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garding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While a comparis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s of Seoul and New York was m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operating systems, making it difficult to compare operating practices on an equal basis. This was a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individual operating practices of public notices in Seoul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and field investigations.

      • 초·중통합운영학교의 교육운영 효율화를 위한 건축공간 개선 연구

        이지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0

        학령인구감소현상의 심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신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학교의 신설은 계속되어 학생수 감소 대비 학교수는 증가해왔다. 이 영향으로 많은 학교에서 규모의 과소화 현상이 일어나, 이 소규모학교의 적정규모화를 위해 통합운영학교를 확대 설립·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통합운영학교는 교육과정연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으며, 시설 및 인적자원의 분리를 지향하고 있어, 두 학교급의 규모를 합함으로써 얻고자했던 장점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반면에, 매뉴얼의 개발, 일부 교육청에서의 시범도입 등 점차 교육과정연계의 도입을 확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교육과정연계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통합운영학교의 건축공간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인 초·중통합운영학교의 건축공간 개선을 위해 문헌조사와 사례분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초·중등 교육과정의 비교 결과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 창의적체험활동의 교과에서 연계가능 학습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연계하기 위해 강의공간, 발표공간, 개인학습공간, 미디어활용공간, 다목적공간, 실습공간, 실내외 스포츠공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이 중학교와 연계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의 연계를 실시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교실군 유닛 계획을 7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때, 두 교실을 연결하는 매개공간인 0.5~1M 규모의 준비실은 앞서 조사한 연계가능학습공간요소로써 활용한다. 정리된 교실군 유닛은 모듈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 가능하다. 셋째, 모듈화된 교실군 유닛을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실이 밀접하게 연계된 초·중통합운영학교의 Space Program을 정리하였다. 교수학습공간 Space Program은 변경 후, 2M 규모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교수학습지원공간 Space Program은 변경 후, 1.5M 규모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넷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초·중통합운영학교의 블록배치 7가지, 기능배치 3가지를 정리할 수 있었으며, 이 중 학교급간의 통합에는 ‘중정형 블록배치’, ‘+자형 블록배치’, ‘방사형 블록배치’, ‘혼합형 기능배치’가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파악한 초·중통합운영학교의 특성과 배치유형을 바탕으로 3가지 조닝 계획을 정리하였다. 조닝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두 학교급의 통합을 지향할 것 2. 교실 유닛을 통해 교실 연계를 반영할 것 3. 교실 및 관리행정시설에 균등하게 접근 가능할 것 4. 커뮤니티공간을 다양하게 구비할 것 5. 내외부 커뮤니티공간을 적극적으로 통합할 것 여섯째, 설문조사 분석 결과, 7가지의 교수학습법 중 ‘개별 맞춤 학습’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되었다. 따라서 교실군 유닛에서 교실들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준비실을 개인학습공간 및 개별 맞춤 학습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일곱째, 또한 예체능교과를 위한 특별교실 및 지원시설을 통합하여 사용하는것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을 보아, 학교구성원의 인식으로 인해 교실 및 교육과정의 연계가 어려울 경우, 특별교실 및 지원시설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통합을 시도할 수 있다. 여덟째, 학급교실, 복도, 운동장, 도서관은 커뮤니티공간으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휴게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 따라서 통합계획 시, 해당 공간들의 연계를 통하여 학교급간의 효과적인 교류를 시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20개의 사례분석, 78부의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국내 통합운영학교는 현재 계속해서 설립되는 추세로 사례의 개수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이며, 국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통합운영학교가 존재한다. 향 후 연구에서는 사례 학교시설 및 설문조사 대상의 확대, 실태조사, 현장방문조사, 국외사례비교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면과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mid concerns over the deepening of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number of schools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Due to this effect, many schools have been underdeveloped in scale, which led to the expansion and operation of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to ensure the proper size of these small schools. However, the current integrated schools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onnection of the curriculum at all, and are seeking to separate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us failing to properly demonstrate the advantages that they wanted to gain by combining the size of the two school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efficiently improve the building space of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by considering the curriculum connection, as there is a movement to gradually expand the introduction of curriculum links, such as the development of manuals and pilot introduction of some education offices. In this study, a literature survey, case analysis,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for research purpos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o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nnectable learning elements in the subjects of Korean, social, moral, science, practical (technical families),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English,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was also shown that high school students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suitable for connecting with middle school. Second, there are seven classroom group unit plans that can be used to link the curriculum. At this time, the 0.5~1M preparation room, which is a medium between the two classrooms, is used as a linkable learning space element investigated earlier. The organized classroom un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odule. Third, based on modularized classroom group units, the space progra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was organized with closely linked classrooms. After the change of the teaching space space program, the area of 2M increased, and after the change of the teaching learning support space program, the area of 1.5M increased. Fourth, through a case analysis, seven block deployments and three function deploym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integrated schools were arranged. Among them, 'neutral block placement', '+shaped block placement', 'radio-type block placement' and 'mixed function placement' were advantageous. Fifth, three zoning plan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layout type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The criteria for improvement through zoning are as follows: 1. Towards the integration of the two schools 2. Reflect classroom connections through classroom units 3. Access to classrooms and management administrative facilities is equally available 4. A variety of community spaces are available 5. Active integr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ty spaces Sixth, a survey analysis showed that "individualized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of the seven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e preparation room, which serves as a medium for classrooms in classroom units, can be actively utilized as a personal learning space and as a space to support individual customized learning. Seventh, given the positive perception of integrating special classrooms and support facilities for art and physical education, it is possible to gradually attempt integration from special classrooms and support facilities if the awareness of school members makes it difficult to link classes and curriculum. Eighth, classrooms, corridors, playgrounds, and libraries are not classified as community spaces, but they are frequently used as rest and community spaces. Therefore, in the integrated plan, effective exchange between school levels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linkage of the sp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20 case studies, and 78 questionnaires. Domestic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are currently continuing to be established, and the number of cases will continue to increase,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tegrated operating schools abroad. In future research, research on various fields and topic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expansion of case school facilities and survey subjects, fact-finding surveys, field visits, and comparison of overseas cases.

      • 국방 강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임후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0

        최근 첨단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수한 기술들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연구개발 비용 증가와 함께 그 기술의 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민간 중소벤처기업들의 우수한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정부의 과제로 선정할 만큼 첨단 기술력을 보유한 민간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벤처기업들이 우수한 기술과 연구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국방연구개발 대상 기업에 선정되어 무기체계 개발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무기체계의 개발은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전투용 적합판정을 받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는 국방연구개발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장애요소가 나타난다. 그 특성들을 해결하고 시험평가에 통과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민간기업이 국방연구개발을 통해 기술혁신을 일으키는데 어떤 성공요인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국방연구개발의 기술혁신 성공요인이 도출된다면 무기체계에 적용이 가능한 첨단의 기술들을 해외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기술력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사례연구의 방법을 통해 국방연구개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분석하였다. 우선 국방연구개발의 특성을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개념화하였다. 규범과 행정절차의 경직성, 고도의 기밀성, 수요와 공급의 쌍방독점 구조, 목표 달성의 불확실성의 네 가지이다. 또한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기술혁신의 영향요인, 정부지원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일반 기술혁신 성공요인을 다섯 가지로 추출하였다. 창업자 특성, 연구개발역량, 정부지원제도의 효과적 활용, 협력네트워크의 구축, 경쟁시장에서의 우위 전략이 그것이다. 여기에 매개변수로서 ROC 충족과정(체계개발, 시험평가)을 더해 전투용 적합판정시 국방분야 기술혁신에서 성공하는 것으로 분석의 틀을 구성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방 강소벤처기업 Tech-Fi Net에 등록된 기술 중에서 먼저 보고 정밀하게 타격하는 국방전략에 부합하는 무기체계인 “감시정찰”과 핵심기술 “센서”에 등록된 기업들을 선정했다. 그 중에서도 경쟁강도가 높은 경기도 소재 기업으로 추가 고려했다. 선정된 36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요청해서 응답한 3개의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인터뷰 내용은 국방 강소벤처기업으로서 무기체계 주요 구성장비을 개발하는 ROC 충족과정에서 어떤 부분들에 제약이 있었고 어떠한 요인들로 인해 궁극적으로 성공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것들이었다. 분석결과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대표이사의 창업 전 연구경험에 따른 국방연구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도, 둘째, 창업 전부터 같이 연구하며 국방연구개발 과정을 경험하고 현재까지 연구개발하고 있는 연구진, 셋째, 기술의 수월성과 내재화, 넷째, 정부재정지원, 다섯째, 외부 협력네트워크, 여섯째, 시장민감도와 제품차별화의 여섯 가지이다. 이를 통해 국방분야 기술혁신 성공을 위한 제도와 정책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첫째, 국방 강소벤처로서 국방연구개발을 수행하려는 우수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무기체계 획득 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지원된 연구개발 예산에 대한 실패를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ROC 충족과정 단계별 예산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방 강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성공에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을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질적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로 도출된 시사점을 통해 정책적・제도적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국방 강소벤처기업들의 다양하고 우수한 기술들을 군 무기체계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베트남 국제상사중재 제도에 관한 연구 : 상사중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엔항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0

        베트남은 1986년 개방정책을 도입한 이후 국제경제질서 편입을 통한 경제발전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베트남은 과거사를 극복하고 우호적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교역량도 크게 늘고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무역 규모가 증가할수록 무역분쟁 및 해결에 관한 논의는 물론, 베트남의 분쟁해결제도에 대한 면밀한 숙지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점차 한국과 베트남 간의 무역의 증가 추세와 이에 따른 상사분쟁의 증가 현실을 감안하여 양국의 상사분쟁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제적 사례를 찾아보며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양국의 상사분쟁 당사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분쟁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양국 상사중재제도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중재제도의 발전과정, 중재법규, 중재절차 및 중재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연구방법 그리고 자세한 구성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관련 이론을 서술하였으며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의의 및 특성을 설명하고, 또한 한국과 베트남 상사중재 제도의 발전과정, 중재법규 그리고 중재절차와 관련한 내용을 해석함으로써 양국의 상사중재 제도 운영에 있어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선행연구 문헌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간의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과거와 현재의 실태 및 분쟁원인을 살펴보고 양국 간 국제상사중재의 비중과 중요성을 확인하며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베트남의 각종 중재분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중재언어, 중재합의, 중재준거법, 중재판정의 취소 그리고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과 관련된 사례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분석에서 나타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였고, 제언으로서 한국기업이 베트남의 중재제도를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베트남 국제상사중재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들도 제시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conomic reforms in 1986, Vietnam has been putting more efforts to develop its economy by incorporating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Despite their past conflicts and differences, Korea and Vietnam are now maintaining a friendly diplomatic relation and constantly promoting trades with each other. With the increase in trades, the commercial disputes between Korea and Vietnam are also ri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ternational businesse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ietnam's dispute settlement system. This thesis emphases on the current commercial disputing situations of the two countries, explores Vietnam and Korea trading trend and analyzes Vietnam’s practical commercial dispute cases in order to accomplish more effective resolutions for the commercial disputes of the two countries.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 Chapter 1 focuses on research background and the purpose of the thesis including research scopes and methods. Chapter 2 describes the terminologies,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s of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and explain its development process to highligh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s and Vietnam’s arbitrational systems. Chapter 3 examines the causations and disputing circumstances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in order to justify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s and to derive the path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Chapter 4 analyzes various case studies of arbitration in Vietnam including misleading arbitration languages, arbitration agreements, law on commercial arbitration, arbitral verdict refusals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To conclude, Chapter 5 abridg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by presenting the current problems of Vietnamese foreign commercial arbitration, providing writer’s point of views as well as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 입찰·계약 단계에서의 클레임 예방을 위한 클레임요인 분석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대형건축턴키공사 사례중심으로

        윤준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99

        국제 경쟁력 배양과 건설공사의 품질향상 및 공공부문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턴키공사의 발주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나, 국내 턴키제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참여자 모두가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많은 클레임이 제기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국내의 건축 턴키공사가 활성화 된 것은 1997년 부터인데 2000년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나, 2000년 이후부터는 제도가 약간씩 바뀌기는 하였지만, 여러 참여 주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본 근간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국내 건축 턴키공사에는 일정한 유형의 문제점들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턴키공사의 특성상 입찰부터 계약까지의 단계(Pre-Construction)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서, 국내 건축 턴키공사의 클레임 요인을 문헌조사, 현장서류 분석 및 사례조사, 전문가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추출했는데, 국내 건축 턴키공사를 처음 접하는 기술자나 턴키업무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이 이 요인들만 잘 숙지하여도 많은 클레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추출된 요인들에 대해서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클레임 요인별 클레임 심도를 분석하고, 사례분석을 통한 클레임 금액을 조사하여 어떤 요인들이 클레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 및 분석하였다. 클레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건축 턴키공사 실무를 담당하는 기술자들이 현업에서 클레임을 사전에 예방하고 적절히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Although we try to increase the order of turn key construction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the construction quality advancement and the productivity enhancement of the public sectors, the problems of the domestic turn key systems are causing the hardships of all the participants and many possible claims. The home turn key constructions have been activated since 1997. A lot of trial and error had been experienced till 2000, and since 2000 the turn key systems have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But the bases are continuously kept because of their reflecting all the participants' opinions. In the inner turn key constructions the problems of uniform types are repeatedly occurred, and, especially, many problems happen up to the stage of pre-construction(from a bid to a contract) owing to the specialties of the turn key constructions. So the claim factors of the Korean turn key constructions were abstracted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es, the site document examinations, the case studie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When the technicians meeting the interior turn key constructions for the first time and working here now are well acquainted with only these factors, many claims will be prevented. By analysing the degree of claims by claims factor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o the experts about the abstracted factors and surveying the amount of the claims through the case studies, what factors exerted how much of influence on the claims was tested and analyzed. Proposing the response devices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ims much led the technicians in charge of internal turn key constructions to the prevention and the proper solution of the site claims.

      • 교회 내 단기목회상담의 초기상담에서 빅데이터 활용 효과 연구

        김요선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97

        본 논문은 교회 내 단기목회상담현장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회 내 목회상담 현장이 단기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특징이 있기에 단기목회상담 10회기 구조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교역자 또는 상담사는 초기 상담과정- 상담 1회기, 상담 2회기 –에서 빅데이터 플랫폼으로부터 추출한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내담자의 감정을 명료화하고 주 호소 문제를 다 각도로 이해하여 합의된 상담목표에 도달하려는 목적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회 내 목회현장에 대한 역사적, 기능적, 현장 중심적인 이해와 교회 내 단기상담의 이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단기목회상담현장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굳건히 하였다. 연구는 교회 내 상담실에 상담신청을 한 20~50대 연령대별도 남·여 각 1명씩 총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에게 동의서를 받은 후 상담장면 녹취록, 상담신청서와 문서자료, 관찰자료, 인터뷰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는 스테이크(Robert E. Stake)의 도구적 사례연구의 절차에 따라 질적 연구방식을 채택하였다. 연구설계-연구실시- 연구분석-연구해석의 순서를 스테이크의 연구절차를 따라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인 상담초기 내담자의 감정 명료화와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 구체화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연구의 의의 및 결과, 공헌점, 한계를 분명히 하였으며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