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반영된 문화내용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원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외국어 습득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화학습이 교과서에 제시되는 내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상황을 반영하여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어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13종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25종에 나타나 있는 문화내용을 물질문화, 행동문화, 정신문화의 세 가지로 나뉘는 문화유형별 구분 및 한국문화, 영미 및 기타국가문화, 한국 영미 비교대조문화, 불특정 보편문화의 네 항목으로 나뉘는 문화배경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전체 및 항목별로 분석하고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유형에 따른 분석의 경우 각 교육과정의 교과서 모두 행동문화의 반영 비율이 각각 7차 65.2%와 개정 64.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이 중에서도 학교 및 사회활동에 관련된 소재 항목이 7차 37%, 개정 55%를 차지하여 교육과정에 따른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교과서에 비하여 개정 교과서의 개선된 점은 국제화라는 최근의 상황을 반영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를 골고루 다루며 타문화의 이해를 도왔다는 것과 소재 면에서 현대인들의 관심사를 다루어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문화배경별 분석의 결과로 각 교육과정 모두 불특정 보편문화를 60.7%와 54.8%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개정 교과서에서 영미국가 및 기타국가의 문화를 다루는 부분이 이전 교육과정의 반영비율인 4.5%에 비하여 대폭 상승한 23.6%를 차지하여 개정 교육과정의 문화교육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과 영미권 국가 간 비교대조 문화는 이전 교과서에 비하여 12.8% 감소된 5.9%에 그쳐 가장 낮은 비율로 제시되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문화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현행 교과서의 개선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행동문화로의 지나친 편중은 일부 하향 조절되어야 한다.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반영비율이 다소 높아지면 타문화권에 대한 행동양식뿐만 아니라 비언어적인 요소까지 포함하여 학생들의 총체적인 문화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둘째, 불특정 보편문화의 반영비율이 낮아져야 한다. 어느 문화에나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내용이 전체 문화의 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면 학생들이 타국의 문화를 접할 기회가 줄어들게 되어 타문화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켜 언어습득 성취도의 감소로 이어질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한국 및 영미 비교대조문화에 관한 내용을 보다 더 많이 제시하여야 한다. 이는 학생들이 우리 문화의 소중함을 알게 해주는 동시에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와 상대적인 문화의식과 통찰력을 갖도록 해주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사는 문화지도 시 타문화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지식을 갖추어 학생들이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고정 관념이나 편견을 갖지 않도록 다양한 문화교육 지도 방법을 활용하여 영어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aware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English education,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reflected in textbooks, and to suggest an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cultural learning. For these purposes, 13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5 current textbook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1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culture reflected in the subjects was carried out by two criteria: one is made by cultural patterns which consist of material, behavioral, and spiritual culture, and the other is made by the nationality of the cultural background which includes Korean, English-American and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Korean-English cultural contrastive, and universal cultur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al culture in cultural patterns was highly presented as the percentage of 65.2%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64.6%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the school and social activity domain in behavioral culture was largely included as 37% and 55% in each curriculum. The improvement in the current textbook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were (a) dealing with various culture of many countries reflecting the present era of internalization, and (b) including current issues and interest of modern tim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ultural background, universal cultural contents were highly presented as the percentage of 60.7% and 54.7% in both curriculum textbooks. The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textbooks was (a) the contents of English-American and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background were highly increased, corresponding the intention of culture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b) Korean-English cultural contrastive background was decreased and presented 5.9% as the lowest percentage. The cultural contents of current English textbooks have changed in a positive way, but they still need to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and to make cultural learning effective in English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behavioral culture is needed to be decreased. Second, The aspect of universal cultural background is required to be reduced. Third, the amount of Korean-English cultural contrastive background is needed to be increased in textbooks. Taking these results into consideration, I also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systematic 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as well as other countries', and try to teach students with various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effectiveness in students' cultural understanding.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기하영역 비교분석

        김훈언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21세기의 학교 교육은 지식의 전달뿐만 아니라 주어진 지식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과목이 수학교과일 것이다. 수학에도 여러 분야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기하가 현실 세계와 연관성이 깊고 학생들의 초기 수학적 능력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중요성을 생각해볼 때 학교현장에서 기하가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가적인 교육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잘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를 비교, 분석 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 이다. 특히 교육과정의 개정 기에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변화들을 살펴보는 일은 더욱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합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의 편찬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학년별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해 보았으며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 9단계 수학교과서의 기하단원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의 기하단원을 중심으로 외적 체제, 명제, 명제의 정당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볼 때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변화하고 있으며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라 생각이 든다. 교과서 체제 비교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의 대단원이 피타고라스의 정리, 원, 삼각비의 순서였던 것에 반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대단원은 피타고라스의 정리, 삼각비, 원의 순서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삼각비와 원의 단원순서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서 단원별 정의 분석과 명제 분석에서는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개정 전과 재정 후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은 것 같다. 증명 분석에서는 개정 전의 교과서에서 보다 개정 후의 교과서에서 증명의 다양한 소개들이 줄어들었으며 증명을 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이해, 구체적인 사실을 일반화, 예를 통해 간단히 소개, 증명 문제를 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들을 비교분석함을 통하여 수학교육 발전에 이바지 하리라 판단된다. Schoo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transfer of knowledge from the knowledge gained the abilities from generating new knowledge and to fostering its aims. Accomplishing these goals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will be fruit. In the field of mathematics, geometry is an important influence to young students to develop basic mathematic ability. When thinking about the importance of geometry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bserve its impact in the education. Therefore, comparing and analyzing textbooks,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2007, is meaningful to this research. In this paper, compared to middle school grade level, curriculum contents and the 7th amendment training courses and the revised curriculum 2007 were compared. In addition, 9th step, the 7th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 section and the geometry of the revised curriculum 2007 the third year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geometry system, the proposition, compared to the justification of proposition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variations,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 주얼리디자인 비교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21세기는 지식기반경제의 구축과 지식자본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제품디자인분야에서는 디자인의 우수성여부에 따라 판매와 더불어 각종 연계 제품과 상품이 결정되는 시대가 되었다. 제품디자인 분야에서는 날로 증가되는 굿디자인(Good Design) 수요를 충족시켜 나가기 위하여, 제품을 결정하는 외형의 형태디자인에 대하여 감각적이고 우연한 방법보다는 원리와 전개가 논리적인 기준과 절차를 세워 접근하는 방법이 이미 활용되고 있다. 주얼리 산업분야에서도 형태를 활용한 합리적 디자인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형태위주의 속성분류가 필요하며, 형태비교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형태와의 차이점을 분석해서 접근하는 시스템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시스템구축을 위하여 본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합리적인 주얼리 디자인비교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된 형태분석방법을 주얼리디자인에 적합하게 설계하여 분류체계를 정립한다. 둘째, 디자인의 외형적 특성인 형태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형태조합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입체스캐너를 사용하여 주얼리디자인의 디지털자료를 생성하는 방법과 모델을 제시한다. 넷째, 주얼리 디자인비교분석에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형태와의 유사관계를 전산프로그램으로 분석한다. 다섯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하여 인터넷상에 공개된 업계의 제품 중 무작위로 추출 해 비교분석 및 검증을 실시한다. 여섯째, 검증된 프로그램으로 산업현장과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성을 제시한다. 주얼리 디자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IT와 디자인이 융합된 디자인 비교 분석 프로그램 개발과, 필요한 데이터생성과정을 제시하여 귀금속 산업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주얼리제품의 모든 영역을 연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제품 중 가장 넓은 영역인 반지를 선택하여 대분류인 1단계로 선정하였고, 중분류인 2단계는 용도, 재료, 보석, 커트, 형태, 난집, 패턴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소분류인 3단계에서는 소지금속에 따라 백금, 백색금, 24k, 18k, 14k로 보석으로는 다이아몬드, 루비, 진주 등으로, 그리고 연마형태에 따라 패싯, 캐보션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주얼리디자인의 형태비교에 사용할 디지털자료를 접촉식 입체스캐너를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밀하게 생성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주얼리디자인 연관성 연구에 적합한 비교분석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자동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주얼리디자인분석의 효율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디자인해결을 위해 필요한 형태를 분류하고, 분류된 형태를 기반으로 이미지자료를 보면서, 새로운 디자인에 적합한 형태를 연결하는 프로필 차트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형태조합은 기존의 감각적인 방법과 차별화되는 접근이며, 더불어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이 쉬운 디자인방법을 제시하였다. 세분화된 속성에 평가수치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두 자리 단위를 사용하지만 의미가 중요치 않은 수치 코딩방식을 사용하였다. 디자인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계산하는 방식으로 항목별 수치를 기준으로 체계적인 수치값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5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실시하였으며, 알고리즘 방식의 구조는 단순한 항목별 일치도로만 계산하는 방식, 디자인 항목별 등급의 거리값과 중요도에 가중치를 곱하는 방식, 중요도에 대한 제곱방식 등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다양하게 개발하여 제안함으로써, 디자인 개발과 디자인 비교 과정에서 정량적 비교, 분석 자료를 객관성이 있는 수치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디자인비교분석에 설득력이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비교분석시스템을 디자인분야에 적용하여, 새로운 디자인개발과 유사관계를 제시하는 시스템 활용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문제 해결과정에서 선입견에 따라 사전에 평가를 내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합리적인 방법을 구축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선택과 판단의 착오를 줄일 수 있다. 셋째, 디자인 형태의 상호작용을 지배하는 요구들의 관계를 이미지로 보이게 할 수 있어서, 특성비교와 파악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아이디어와 디자인의 전개와 변화관계를 수치화함으로 유사성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구분하거나 이해 할 수 있다. 본 연구 주제인『주얼리 디자인 비교분석 시스템』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방법 중 형태분석법 이론을 기반으로 주얼리디자인에 적합한 분류와 속성체계를 차트방식으로 마련 할 수 있었다. 둘째, 형태의 기초자료를 접촉식 입체스캐너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신속하게 디지털방식으로 생성하는 기술을 확보 할 수 있었다. 셋째, 제품의 필수적인 기능과 속성을 매트릭스로 나열하면서 목적에 적합한 형태를 형태조합방법으로 새롭게 조합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탐색과 영역을 넓히는 방법을 제시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design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knowledge-based economy and knowledge capital. In the area of product design, it has become an era in which various related goods and products in addition to sal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cellence of design. For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demand for 'Good Design' that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are of product design, the method of approaching the exterior shape design, which determines the product, by establishing a logical standard and procedure for the principle and development is already being used instead of a sensuous and accidental method. A systematic shape-centered attribute classification is needed also in the area of jewellery industry in order to realize rational design method using shape, and now is the point in time that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analyzing and approaching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shapes by developing algorithm for shape comparison. For developing such system, the following study assignment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First,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by designing the shape analysis methods of preceding studies suitably for jewellery design in order to present a rational jewellery design comparative analysis method. Second, present a rational shape combination method for problem-solving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centering on shape that is an exterior characteristic of design. Third, present a method and model for producing the digital data of jewellery design by using 3D scanner. Fourth, develop algorithm for jewellery design comparative analysis and analyze similarity relation with the existing shape. Fifth,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through random sampling of products released on the Internet in order to verify the program developed. Sixth, present the usefulness of the verified program in the industry and educational field. For the purpose of the advancement in the area of jewellery design, the development of a design comparative analysis program that merges IT and design, and the contribution in the advancement of jewellery industry by presenting data creation process required, the following contents were examined.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examining every area of jewellery product, the most extensive area of product ring was chosen to select it as the large scale classification Phase 1, and the medium scale classification Phase 2 was segmented into use, material, gem, cut, shape, setting, pattern, etc. The small scale classification Phase 3 was segmented into white platinum, white gold, 24k, 18k and 14k according to the metal, and into diamond, ruby, pearl, etc. according to the gem, and into facet, cabochon, etc. according to the polishing shape. A process was presented for rapidly and elaborately creating the digital data to be used in shape comparison of jewellery design by using touch-type 3D scanner. A comparative analysis algorithm was designed that is suitable for jewellery design relevancy study, and an autom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present an efficient approach method of jewellery design analysis. For design solution, necessary shapes were classified based on which image data were referenced to conduct profile chart method of connecting shapes suitable for new design. Such shape combination is an approach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ensuous method, and a design method was presented that makes it easy to deduce various ideas. To apply and measure the evaluation number of the segmented attributed, the numerical coding method with two-digit but not important meaning was used. As for the calculation method for analyzing the relation of design, 5 algorithm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ystematical numerical values based on the values of each item. As for the structure of algorithm method, various methods were developed and proposed to increase the analysis reliability such as the method of calculation using only simple concordance level per item, the method of multiplying weight to the distance value and importance level of design item grade and the square method on importance level. Accordingly, quantitative comparison and analysis data were presented in objective numerical value method during the design development and comparison process, thereby establishing a convincing foundation in the design comparative analysis. The system usefulness is as follows for the system that is applied in the design area to present similarity relation with new design development. First, the prejudgement from stereotype can be reduced during the design issue resolution process. Second, a rational method can be established, and errors in design selection and judgement can be reduced. Third, the relation of requirements that govern the interaction of design shape can be displayed in images, thereby allowing them to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creating new ideas through attribute comparison and examination. Fourth, the development of idea or design and their relation of change can be quantified to clearly distinguish or underst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Jewellery Design Comparative Analysis System'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tudy process described above. First, it was able to come up with the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system suitable for jewellery design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alysis theory among design methods. Second, it was able to secure a technology for elaborately and rapidly producing the basic data of shape using digital method by using touch-type 3D scanner. Third, it was able to present a method for searching new ideas and widening the area by arranging the required functions and attributes of product and newly combining the shapes suitable for the purpose through shape combination method. Fourth, it was

      • 한미 정상회담 보도 비교연구 : 뉴욕타임스와 조선일보의 비대칭 보도를 중심으로

        설원태 경희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한미정상회담이라는 동일한 사건을 놓고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가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전반적으로 비교-분석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들 두 신문이 1948년 한국정부 수립 이후 2009년까지 51차례의 역대 한미정상회담에 관해 보도한 모든 기사를 비교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한미정상회담을 보도한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자는 보도프레임이라는 이론적 도구 및 연구방법론을 활용했고, 이들을 통해 두 신문의 보도를 비교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또한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 대통령 기사의 중요성, 정상회담의 국제 보도적인 성격, 대통령-언론의 관계와 언론의 대통령 보도, 개략적인 한미 관계사 등을 살펴보았다. 이런 분야의 문헌을 살펴본 것은 이것이 기초 작업으로 선행돼야 본 연구의 의미가 풍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본적 작업 위에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첫째,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는 외형적 모습인 보도양상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부터 2009년 8월까지 61년 동안 51차례 개최된 한미정상회담을 보도한 두 신문의 보도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보도양상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두 신문은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조선일보의 보도량(기사건수)은 모두 1,143건인데 비해 뉴욕타임스의 보도량은 불과 187건으로, 전자는 후자보다 무려 6.3배나 많은 기사를 게재했다. 또한 전체 기사 중 1면에 게재한 기사의 비율도 조선일보는 34.0%로 뉴욕타임스의 27.3%에 비해 6.7%포인트나 높았다. 이런 수치들은 조선일보가 뉴욕타임스보다 한미정상회담을 훨씬 더 무거운 비중으로 보도했음을 수치로 보여준 것이다. 더구나 지난 61년간에 걸친 긴 세월 동안 뉴욕타임스의 하루 당 전체지면이 조선일보의 것보다 훨씬 많았음을 생각하면 조선일보의 보도량은 그 상대적 비중(가중치)이 뉴욕타임스의 6.3배를 훨씬 초월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 만큼 한미정상회담 보도에서 두 신문은 ‘비대칭성(asymmetry)’을 보여주었다. 이어 취재원의 다양성 관점에서 보면 뉴욕타임스가 조선일보보다 훨씬 다양했고(다양하고 폭넓은 의견을 반영했고), 기사유형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일보가 훨씬 다양했다(정해진 주제에 대해 훨씬 많은 건수의 기사를 작성했다). 그러면서도 보도 주제의 빈도는 정치-군사-경제의 순으로 나타나 두 신문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상대국에 대한 긍정-부정적 보도논조를 살펴본 결과 조선일보가 긍정적 논조(84%) 및 부정적 논조(12%)의 비율이 중립적 논조(6%)보다 훨씬 높아 긍정적 논조(65%)-부정적 논조(6%)-중립적 논조(29%)를 보인 뉴욕타임스의 보도보다 훨씬 더 감성적 또는 가치 개입적 논조를 드러냈다. 이렇듯 두 신문은 외관인 보도양상으로만 보아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는 두 신문의 한미정상회담 보도를 좀더 의미 있게 비교해 보기 위해 비교적 관점에서 프레임 분석을 해 보았다. 두 신문의 기사를 근거로 귀납적으로 한국 대통령의 개인묘사 프레임, 미국 대통령 개인묘사 프레임,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을 추출한 다음 두 신문의 프레임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개인묘사 프레임을 통해서 본 한국 대통령과 미국 대통령의 모습은 개인별로 신문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두 신문의 개인묘사 프레임에서 큰 차이를 보였던 한국 대통령은 이승만-박정희-전두환 등 독재적 지도자였다. 이것은 이들의 권위적 통치 아래 보도의 자유를 잃었던 조선일보가 이들을 전략가 프레임, 영웅 프레임, 평등주의자 프레임 등으로 인위적으로 미화했던 것에 비해 뉴욕타임스는 독재자 프레임으로 이들의 인권탄압이나 장기집권 등을 자유롭게 비판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한 미국 대통령 묘사프레임에서 두 신문이 큰 차이를 드러냈던 인물들은 존슨-레이건-조지HW부시-클린턴-조지W 부시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체로 신냉전-탈냉전기의 인물들로서 조선일보는 이들을 한국 대통령과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한 인물로, 즉 평등주의자 프레임으로 묘사했던 것에 비해 뉴욕타임스는 이들 대통령을 아시아-동아시아의 전략을 모색하는 ‘전략가 프레임’으로 묘사해 큰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두 신문의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조선일보는 반공-동맹 프레임(64.6%), 한미평등-세계전략 프레임(10.5%), 국익 프레임(8.0%), 자선-구원프레임(4.2%), 비난-균열 프레임(2.7%), 자주프레임(2.3%) 등의 빈도로 나타난데 비해 뉴욕타임스는 반공-동맹프레임(38.5%), 한미평등-세계전략 프레임(19.3%), 비난-균열 프레임(14.3%), 국익프레임(11.8%), 자선-구원프레임(8.7%), 자주프레임(3.1%) 등의 빈도로 사용해 좋은 대조를 보여주었다. 특히 두 신문의 프레임 빈도에서 현저한 차이를 드러낸 것은 반공-동맹 프레임으로 그 빈도가 26.1%포인트에 달했다. 이것은 그 만큼 조선일보가 압도적인 빈도로 반공-동맹 프레임의 시각에서 ‘한미정상회담의 현실을 재구성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또한 이들 두 신문의 보수적 또는 진보적 편집방향이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한국의 민주화에 따른 한국의 언론자유의 정도가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에 얼마나 반영됐는지, 한미 관계의 변화가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에 어떻게 반영됐는지, 냉전-탈냉전의 지구적 변화가 한미정상회담 보도프레임에 얼마나 반영됐는지 등 네 가지 연구문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 네 가지 요인들이 두 신문의 보도프레임에 상당한 정도로 반영됐음이 드러났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역대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조선일보와 뉴욕타임스의 보도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두 신문은 보도량, 취재원, 기사유형, 보도주제, 보도논조 등 전반적인 보도양상은 물론 한국 대통령 묘사 프레임, 미국 대통령 묘사프레임, 한미정상회담의 보도 프레임 등 여러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들 두 신문의 보도프레임에는 또한 두 신문의 편집방침, 한국의 민주화 정도, 한미관계의 좋고 나쁨, 냉전-탈냉전의 지구적 변화 등도 반영됐음이 드러났다. 이런 두 신문의 차이를 보면 뉴욕타임스와 조선일보는 역대 한미정상회담 보도에서 상당한 정도로 비대칭 보도를 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urpor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verages of representative newspaper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reported the same events, that is, South Korea-United States summit meetings. Consequently this study summed up and analyzed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ll the news articles that the Chosun Ilbo and the New York Times reported on the fifty-one rounds of Korea-U.S summits from the beginning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August of 1948 until August of 2009.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verages of the Chosun Ilbo and the New York Times, the researcher needed theoretical tools and comparative methodologies such as media manners and news-frame analysis, and others. And furthermore, as preparatory step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ed at discussions of significance of presidential reporting, the international character of Korea-U.S. summit coverage, relationships between presidency and news media, and historical overviews of Korea-U.S. relationships, and so forth. The researcher's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se areas was conducted to enrich mean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mmarizes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se basic preparations as follows: First, The Chosun Ilbo and the New York Tim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media manners, which are outward appearances of news coverage. The two newspapers showed tangible differences in terms of media manners, which generally looked at coverages of Korea-U.S. summits. The quantity of news articles concerning Korea-U.S. summits reached 1,143 in total at the Chosun Ilbo, whereas that of the New York Times reached merely 187; signifying that the former ran 6.3 times as many stories. The rate of the front page stories out of the total number of stories at the Chosun Ilbo reached 34.0%, whereas that of the New York Times reached 27.3%, signifying that the former's rate was 6.7 percentage points higher. These figures show to what extent the two newspapers have done different reporting. All the more, considering that the total pages of the New York Times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Chosun Ilbo, the relative weighted quantity of reporting by the Chosun Ilbo was a lot larger than that of the New York Times. It is arguable that the two newspapers exhibited 'asymmetry' in coverage of the summitry. However,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news sources, the New York Times was more diverse than the Chosun Ilbo was(the former reflected more diverse and wide-ranging opinions); and in terms of news story types, the Chosun Ilbo was more diverse(this newspaper ran a lot more stories on a particular topic than the New York Times). In the meantime, in terms of themes of reporting, the two newspapers showed similarity (the order of frequency of topics was politics-military-economy, etc.); in terms of positive-negative coverage tone towards the other country, the r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tones of the Chosun Ilbo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New York Times, signifying that the former had far more 'emotional' tone. Thus, in terms of the media manners alone, as shown above, the two newspap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carried out a news-frame analysis of the two newspapers in order to make more meaningful comparison of the coverages of the Korea-U.S. summits. In order to do the news-frame analysis of the summit coverage, this study inductively extracted 'presidential portrayal frames' and 'summit coverage frames' based on the news articles of the two newspapers, and afterwards compared these news-frames adopted by the two newspapers. Presidential portrayal frames presented by the two newspapers differed to a considerable degree. Also, comparison of news-frames of summit meetings adopted by the two newspapers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erms of individual portrayal frames, Korean presidents who showed big differences were dictatorial leaders such as Rhee Seung-man, Park Jung-hee, and Jun Doo-hwan; this was becaus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osun Ilbo, which lost freedom of reporting during their authoritarian rule, 'artificially' beautified these presidents(strategist frame, hero frame, and egalitarian frame), whereas the New York Times freely denounced these leaders for their dictatorial propensity (dictator-beggar frame describing their oppression of human rights and long-term rule). And American presidents who exhibited big differences in individual portrayal frames were Johnson, Reagan, George H.W. Bush, Clinton, and George W. Bush. These were mostly leaders during neo-Cold War and post-Cold War era; the Chosun Ilbo portrayed them as talking with Korean presidents 'on an equal basis(egalitarian frame)', whereas the New York Times portrayed these presidents in the 'strategist frame', who pursued Asia and East Asia strategies. In addition, in terms of overall news-frames of Korea-U.S. summit coverage, the Chosun Ilbo showed the degrees of frequency in the following order: anti-communism/ Korea-U.S alliance frame(64.6%), Korean-American egalitarianism/world strategy frame(10.5%), national interest frame(8.0%), charity/ assistance frame(4.2%), criticisms/cracks frame(2.7%), and self-reliance frame(2.3%); whereas the New York Times showed frequencies as following: anti-communism/Korea-U.S. alliance frame (38.5%), Korean-American egalitarianism/world strategy frame(19.3%), criticisms/ cracks frame(14.3%), national interest frame(11.8%), charity/assistance frame(8.7%), and self-reliance frame(3.1%), thus exhibiting marked contrast. In particular, in terms of frequency in frame uses, the most remarkable frequency difference lay in anti-communism/Korea-U.S. alliance frame, which reached a surprisingly high 26.1 percentage points; this exhibits that the Chosun Ilbo "re-constructed (framed) the actual reality of the Korea-U.S. summits" in the overwhelming perspective of an anti-communism/Korea-U.S. alliance, as compared with the New York Times. This study also looked at how differently or similarly the two newspapers covered the Korea-U.S. summits based on the newspapers' ideology(editorial policy, conservative or liberal), whether Korea's democratization(the extent of freedom of the press in Korea) affected news-frames of Korea-U.S. summits, whether vicissitudes of Korea-U.S. relationships affected news-frames of Korea-U.S. summits, and whether global changes like Cold War and post-Cold War affected news-frames of Korea-U.S. summi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these four factors affected news-frames of the two newspapers to a considerable extent. Comprehensively speaking,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Korea-U.S. summit coverage by the Chosun Ilbo and the New York Tim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edia manners such as the quantity of news articles, news sources, story types, themes of reporting, and coverage tones. The two newspapers also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in news-frames such as presidential portrayal frames and news-frames of the summit coverage. All the more, the news-frames of the two newspapers also reflected ideologies(editorial policies) of newspapers, degrees of Korea's democratization, vicissitudes in Korea-U.S. relations, and global-scale changes like Cold War and post-Cold War.

      • EFL(한국)과 ESL(싱가포르) 환경의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비교분석

        정미영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ESL과 EFL환경의 싱가포르 영어교과서와 한국 영어교과서를 비교분석함으로서 두 나라 교과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 앞으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ESL환경의 교과서로는 싱가포르 교과서 1종을 선정하였고, EFL환경의 교과서로는 한국 교과서 2종을 선정하였다. 두 나라 교과서 모두 개정 7차 교육과정을 반영한 한국 교과서와 개정 시기가 비슷한 싱가포르 교과서이다. 연구 항목으로 (1)단원 구성 체제 및 내용 비교, (2)단원 내용 비교, (3)언어형식, (4)Skierso(1991) 평가 기준표 이렇게 4가지 관점에서 두 나라의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1) 단원 구성 체제 및 내용 비교에서 한국의 두 교과서는 거의 유사한 구성 체제를 보여주고 있으며, 언어 습득 순서도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순으로 되어 있었지만, 싱가포르 교과서는 그 순서가 일정하게 정해지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포함되어 있지만,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그 단원에서의 주제와 관련하여 중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단원 내용 비교에서는 한국의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등재되어 있는 ‘교과서의 소재 선정 기준표’를 가지고 분석하였는데, 두 나라 교과서 모두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기능에서도 한국의 두 교과서에서는 각 단원의 주제에 어울리는 표현으로 잘 구성하였다. 반면 싱가포르에서는 언어·말의 자연스러운 소통 방법과 뉘앙스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있고 자신을 잘 표현하는 방법, 상대방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3) 언어 형식 측면에서는 한국의 두 교과서는 중학교 1학년이 습득해야 할 기본적인 언어 형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하였고, 싱가포르 교과서는 언어형식에 있어서 ‘의미 단위’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4) Skierso(1991)의 평가기준표를 본 연구에 맞게 개작하여 두 나라의 교과서를 비교분석한 결과, 두 나라 교과서들의 총점은 비슷하게 나왔다. 이상의 비교분석 결과를 종합해볼 때, EFL의 한국 영어교과서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발전해 왔고, 싱가포르 교과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다. 다만, 풍부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활동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쓰기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을 교과서 제작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싱가포르 교과서의 비교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영어교과서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첫째, 영어교과서의 일관적인 교과서 구성보다는 각 주제에 맞추어 다양한 활동과 학습량을 변화 시켰으면 한다. 둘째, 영어교과서의 쓰기영역의 활동이 빈칸 채우기와 같은 단순한 과업이 아닌 학습자들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글쓰기 활동을 도와 줄 수 있는 그런 활동을 포함했으면 한다. 싱가포르 교과서와 같이 글의 논리적인 흐름을 위한 언어형식과 글쓰기를 위한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글을 논리적이고 응집성 있는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 자동차보험의 요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국산차와 외산차의 보험료 비교분석

        조병대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국문초록 자동차보험의 요율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국산차와 외산차의 보험료 비교분석) 최근 몇 년간 손해 보험사들의 고심은 점점 높아만 가고 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적정손해율인 72%가 훨씬 넘는 79.8%를2015년도에 기록하였고 최근 몇 년 동안 80%이상의 손해율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요즘 사고 1건만 있어도 손해보험사는 언더라이팅으로 인수에 제한을 두고 있어서 자동차보험 가입하기가 어려울정도이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15년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4,621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반대로 늘어나다가 약 80%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자동차보험 손해율의 악화원인은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지만, 본 연구자는그중에서 물적 담보의 대물배상과 자기차량손해담보를 중심으로 국산차와 외산차의 보험료 비교분석을 통하여 손해율에 미치는 영향과 자동차보험료 산정요소중 하나인 차량모델별등급제도의 문제점과 가입경력요율의 불공정성을 파악하고 국산차와 외산차의 형평성에 맞지 않는 보험료책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연구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특약으로 26세이상 가족한정운전, 48세이상 기명1인한정운전. 차량연식으로 신차=2016년, 중고차=2007년. 차량선정=아반떼, 싼타페, K9, BMW320d.이렇게 4대를 선정하였으며, * 조건 1 : 최초신규가입자(무경력자)로서 할인할증등급 11z, * 조건 2 : 3년이상 경력자로서 할인할증등급 11z, * 조건 3 : 3년이상 경력자로서 할인할증등급 25z,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차, 중고차에서 모두 국산소형아반떼차량의 보험료가 높게 나타났으며, 26세이상 가족한정운전과 48세이상 기명1인 한정운전에서도 국산차아반떼차량의 보험료가 높게 나타나 모든 분석결과에서 국산차 소형차량아반떼가 외산차보다 보험료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입경력요율에서도 같은 자가용 승용차량이라 하더라도 어떤 차를 구입하는가에따라 경력요율이 달라지는 불공정성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차량모델별 등급제도와 가입경력요율제도의 문제를 제기하며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차손해담보와 대물배상담보에 대한 보험료는 배기량에 의한 산정이나 차량모델에 의한 보험료산정보다 차량의 가격과 교체 부품비, 수리비에 대한 가격중심으로 보험료의 책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국산차와 외산차의 보험료 비교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보험료는 국민 대중이 납득할 수 있는 보험료로 이루어져야 하며, 물적 담보의 대물배상과 자차손해의 보험료는 고가차량은 고가차량에 맞는 보험료를, 저가차량은 저가차량에 맞는 보험료를 납입할 수 있는, 형평성에 맞는, 공평한 보험료산정이 우선되어져야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보험료 요율산정을 연구하시는 연구자분들과 자동차보험회사의 악화된 손해율개선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게 되길 바라며 이글을 맺고자한다.

      • 메가 스포츠이벤트에서 지역언론의 역할 :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인일보 그리고 인천일보의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뉴스 프레임 비교분석

        강승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관한 중앙지와 지방지의 뉴스 보도를 비교분석해 본 것이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라는 동일 이슈를 중앙지에 조선일보, 중앙일보를 그리고 지방지에는 인천지역의 경인일보, 인천일보를 대상으로 이들 신문이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17회 아시아경기대회의 인천 유치 전후로 주요 전환기가 마련된 2005년 3월 9일부터 2013년 7월 6일까지 위의 네 언론매체가 보도한 관련 기사를 총체적으로 점검했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보도한 주요 중앙지와 지방지를 비교하기 위해 방법론으로 프레임을 활용했다. 앞서 기초적 작업으로 텍스트적 접근 차원에서 보도량, 기사유형, 기사쓰기 등 보도방식 분석을 통해 연구의 깊이를 더하였다. 연구자는 뉴스 프레임의 확인 작업을 거친 후 기사 작성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취재원 분석도 시도했다. 중앙지와 지방지가 어느 취재원에 더 비중을 두는지, 이들 취재원은 어떤 프레임을 취하는지 알아봄으로써 기사의 성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보도방식에서는 중앙지와 지방지가 공통적으로 500~1000자 미만, 스트레이트 형태, 역삼각형 보도 구조를 보였다. 전통적 저널리즘 글쓰기의 전형인 ‘스트레이트=역삼각형=경성’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켰다. 하지만 지방지는 중앙지보다 500~1500자 수준의 기사를 많이 작성하고, 해설이나 복합(스트레이트+해설)에 집중한데서 차이를 드러냈다. 또한 중앙지는 지방지에 비해 기사 길이가 긴 내러티브(narrative)의 비중이 큰 것을 확인했다. 보도 논조는 중앙지와 지방지 모두 중립적인 입장에 치중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인일보, 인천일보 네 신문은 인천아시아경기대회에 대해 찬성이냐 반대냐 혹은 우호적이냐 비판적이냐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중간자적 위치에서 객관적인 보도를 실천했다. 다시 말해 감성에 치우친 기사 작성을 지양하였다. 중앙지와 지방지의 뉴스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인간적 흥미 프레임은 공통되게 많이 강조했고, 중앙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제적 영향 프레임에 비중을 둔 반면 지방지는 책임 프레임을 더욱 활용한데서 차이를 보였다. 5개의 각 프레임별 세부 진술문에서 중앙지와 지방지가 가장 강조한 내용은 확연히 엇갈렸다. 일례로 갈등 프레임에서 중앙지는 성공 또는 실패의 관점을, 지방지는 견해 차이에 치중하였다. 마찬가지로 인간적 흥미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경제적 영향 프레임에서 중앙지와 지방지가 각각 부각하는 내용이 서로 차별화됐다. 단 책임 프레임 내용에서는 중앙지와 지방지가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함께 언급했다. 취재원 비교에서는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두 신문의 지방정부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새롭게 확인했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가 국가적 차원의 공적이슈이긴 하지만 인천이란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유로 지방지에 비해 중앙지는 다양한 취재원의 접근이 쉽지 않았다. 달리 말하면 지방지는 취재 활동의 용이함으로 지방정부 이외 각계의 취재원을 폭넓게 접촉하면서 더욱 풍부한 뉴스 기사를 생산해냈다. 반대로 중앙지는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편향성이 매우 높았다. 특히 본 연구는 체육학(메가 스포츠), 언론학(프레임 연구) 두 분야의 학문적 접근이 필요한 것이었다. 학문의 융합이 빠르게 진척되는 시점에 두 학문을 포괄적인 시각으로 뉴스 보도를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작지 않은 의미가 부여된다. 이 같은 점은 후속연구에서 더욱 세부적인 주제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 평가해 본다. 중앙지와 지방지를 대상으로 인천아시아경기대회라는 동일 사안에 대해 어떻게 보도했는지 전반적인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신문의 유사성은 물론 차이점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었다.

      • 교육성취불평등의 결합조건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중심으로

        고주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PISA 2018에 참여한 60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 교육제도의 특성 간의 어떠한 결합 형태가 교육 성취 불평등과 집합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의 삶에 다방면으로 그리고 멀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교육 불평등은 미래 불평등의 원인으로도 간주되는 중요한 문제로 각 국가의 맥락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육 성취 불평등에 관여하는 조건들의 결합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가 교육 성취 불평등의 발생과 관련하여 필요조건 또는 충분조건인지 분석하고, 둘째,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의 어떠한 결합에서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CA는 중범위 사례(intermediante N)의 비교를 위해 만들어진 방법론으로 집합이론(set theory), 부울 대수(boolean algebra), 진리표(truth table)를 활용하여 특정 사회현상과 관련된 조건이 어떠한 집합관계를 형성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와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성취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조건을 정치, 경제, 문화, 교육제도의 네 가지 조건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집합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정치체제 조건은 ‘복지국가(탈상품화 정도)’, ‘민주주의’ 사용하였고, 문화조건은 Hofstede의 문화 차원 구분을 사용하여 ‘권력거리지수’, ‘장기지향지수’를 사용하였다. 경제적 조건은 ‘경제적 불평등 정도(지니계수)’와 ‘GDP 대비 정부 교육비 지출(%)’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제도의 조건은 ‘교육제도의 표준화 정도’와 ‘교육제도의 계층화 정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결과 조건인 ‘교육 성취 불평등’은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배경의 학생 간의 성취가 일치하지 않은 정도가 큰 상태로 설정하고 PISA 2018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성취 불평등과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의 집합관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느 한 가지 조건도 개별 조건으로서 교육 성취 불평등과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았다. 둘째, 높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의 충분조건은 다음과 같은 결합 관계로 나타났다. 1) 경제적으로 불평등하면서 표준화되지 않는 교육제도일 경우 2) GDP 대비 국가 교육비 지출이 높지만, 교육제도가 계층화되었을 경우 3) 복지국가이며 낮은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을 보이지만 계층화된 교육제도일 경우 4) 복지국가이며 낮은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을 보이지만 높은 권력거리 문화일 경우 높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였다. 셋째, 낮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의 충분조건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합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1) 경제적 불평등 정도가 높고, 복지국가가 아니면서 표준화된 교육제도일 경우 2) 낮은 권력거리 문화와 교육이 계층화된 정도가 낮으면서 교육제도가 표준화된 경우에 낮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가별로 상이한 정치체제, 문화, 경제 상황 및 교육제도와 ‘교육 성취의 불평등’의 집합관계는 일관된 결과를 가져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원인조건은 독립적으로 각국의 교육 불평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 있는 여러 조건 어떻게 결합되느냐에 따라 그 결과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성취 불평등의 문제는 교육제도 영역 안에서만 다루어질 수 없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문제이다. 따라서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적·정치·문화적 측면에서 함께 살펴보고 해결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는 교육정책으로만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 복지 체제를 개선하고,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는 등 사회의 다른 평등적 조치와 함께 동반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중국의 옥조제품 조형디자인 비교 연구 : 춘천옥조와 남양옥조를 중심으로

        구연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two countries have established close relations in politics, economy, history, and culture. Although under the influence of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ir relationship has become closer, each country has formed its own unique ideolog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Jade culture, the quintessence of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the precious wealth of human civilization, is one of their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jade carving culture, Nanyang jade carving is the carrier of Nanyang culture, and it is not only the product of Nanyang culture, but also a major part of Nanyang culture. South Korea is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this special period in Han Dynasty, so it has a 2,000-year history of jade culture, which has been passed down to this day. Influenced by Western modern art schools, the jade sculptures created in Chunchuan, South Korea are more surrealistic and expressionistic. The development of the jade carving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its society, and it has advantages in reflecting the economy, technology, and culture of a specific era. Jade carvings in China are valuable not only for collection, but also for social functions. In recent years, with the improvement of people’s living standards, people’s spiritual civilization has gradually improved. Therefore, as the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jade carving products are one of the important products of people’s spiritual pursuit. Taking Chunchuan jade carvings and Nanyang jade carvings as the research objects, this thesis analyzes the artistic expressions and carving techniques of Chinese and Korean jade carving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and product empirical analysis, then collects relevant data and information. Also, through comparing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jade, cultural expression, decorative patterns, carving techniques, consumer preference and the etc, this thesis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countries’ jade carving culture and art expression. In the preface of chapter 1, questions are rai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necessity of this paper,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dvance research related to the research are described, and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research methods and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are explaine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jade carving and Chinese jade carving products from the four aspects of Korean and Chinese jade culture, genre, classification and techniques.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uses the research method of case analysis, finding that the Nanyang market mainly uses jade carving crafts represented by Nanyang Yushen Co., Ltd., Nanyang Jade Carving Factory, and other sixteen famous craftsmen. Among them, Nanyang Yushen Co., Ltd. concentrates on spreading and promoting Nanyang jade culture, and is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and carving of Nanyang jade carving art, having won many awards in various jade carving exhibitions in China. In addition to searching on Korean websites, Chunchuan Jade Sculpture also investigated some works of Chunchuan jade sculptures in the Chinese market, trying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material, modeling characteristics, color, pattern, carving techniques and other frequency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producers, chapter 4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oncept of modeling from the aspects of functionality, purchasing power, carving techniques, decorative patterns, colors, concept of modeling and awarenes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ifferences between chunchuan jade and Nanyang jade in shape, pattern and other aspects as well as consumers‘ preference for jade carving products were analyzed. The feasibility of jade carving industry development in Nanyang was studi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jade carving product value and modeling technolog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jade carving market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observe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jade carving and Chinese jade carving. Korean and Chinese jade cultures share the common features of "the symbol of royalty", "the culture of burying jade", "the culture of eating jade" and "the culture of wearing jade". The jade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both maintain their traditional handicraf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ice, Korean jade carving products and Chinese jade carving products are affected by common factors, chunchuan jade and Nanyang jade‘s awareness of jade and the crafters affect the price. Secondly,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jade carving market in Korea and China,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jade carving and Chinese jade carving are found. Chunchuan jade and Nanyang jade are different in material, color, pattern, shape, carving technique, genre, classification and so on.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in purchase purpose, shape design and function. Thirdly, the author puts forward his own views. Both the Chunchuan jade carving and the Nanyang jade carving are protected by the national policy on traditional handicrafts. Although consumers in both countries have little awareness of jade culture, they have their own markets.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his study,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in the choice of Korean and Chinese jade carving products. Although it has been modified and improved through interviews, in the questionnaire survey, due to the different cognitive level of respondents, the results of grouping will be different, an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respondents, the results will be different.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a broader scale. 한·중(韩中) 양국은 역사적으로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다방면에서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나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 아래 하에 각자 독특한 가치관과 문화적 특징을 형성하였다. 그 중 중국의 옥 문화 는 중화민족 전통문화의 정수(精髓)일 뿐 아니라 인류 문명사의 한 부분 으로서도 소중한 자산이다. 특히 중국 옥조문화 중 남양 옥조는 남양(南 陽) 문화의 조형 형식과 구성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다. 한국도 한대(汉 代)부터 옥 문화 영향을 받은 이래 지난 2000년 동안 옥 문화를 유지하 고 발전시켜왔다. 옥조의 발전은 사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특정 시대의 경제·기 술·문화를 반영하게 되므로 문화적 소장 가치가 높고 사회발전을 촉진한 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의 정신문명(精神文明)도 점점 높아지고 있어 옥조제품도 정신적인 가치를 더욱 추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남양(南阳) 옥조와 춘천(春川) 옥조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문헌 분석법과 비교 분석법, 제품 실증 분석법을 통해 중국과 한국의 옥 조 조형(造型) 예술 표현 형식과 조각 기법 등 측면을 분석하고 관련 데 이터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정리하였다. 한·중 옥 문화, 재질, 조형 디자인과 조각 기법 등 측면을 분석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 및 분석한 다음, 설문조사 결과를 결합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연 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배경과 목 적,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등을 기술한다. 제2장은 한·중 옥 문화, 유파, 분류, 기법 등 네 가지 측면에서 한·중 옥조제품의 특징을 자세히 기술한다. 제3장에서는 사례 분석을 실시한다. 춘천 옥조는 한국 인터넷 사이트 에서 검색한 제품 외에 중국의 옥 시장에서도 춘천 옥으로 제작된 제품 들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남양 옥조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옥신회사(玉 神公司), 남양시 탁보옥기유한공사(南陽市拓寶玉器有限公司)를 비롯한 16개 유명 업체가 최근 몇 년간 창작한 제품들 중 대표적인 제품을 연구 사례 로 선정하여 분석한다. 앞서 언급한 16개 업체는 옥조 공예품을 생산 및 경영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남양 옥 문화의 전파와 보급, 남양 옥 예술 의 연구개발과 조각을 전문으로 하며 그 결과 각종 옥조제품전에서 여러 차례 수상한 바 있다. 이 장에서는 한·중 옥조제품의 문양, 조형, 재질, 색상, 기법 등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한·중 옥조제품의 차이점을 살펴 본다. 제4장에서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관점에서 기능성, 구매력, 조각 기법, 장식문양, 색채, 조형관, 인지도를 통하여 조형관 설문조사를 진행하고자 한다. 춘천 옥 과 남양 옥의 조형, 문양 등에서의 차이와 옥조제품에 대 한 선호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옥조제품의 가치와 조형 공예에 대한 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남양 옥조산업 발전을 위한 타당성을 검 토한다. 본 논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옥조 시장의 현황을 분 석하여 한·중 옥조 의 공통점을 살펴본다. 한·중 옥 문화는 ‘왕권의 상 징’, ‘장옥(葬玉)문화’, ‘식옥(飾玉)문화’, ‘패옥(佩玉)문화’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양국 옥 문화 모두 전통적인 수공예 색상을 유지하고 있다. 가격측 면에서 봤을 때, 한국과 중국의 옥조제품의 모두 공통된 요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춘천 옥 과 남양 옥은 옥조의 인지도와 공예 작가가 가격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한·중 옥조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중 옥조 의 차이점을 발견한다. 춘천 옥 과 남양 옥은 재질, 색채, 문 양, 조형관, 조각 기법, 유파, 분류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한·중 소 비자들은 구매 목적 및 조형 디자인과 기능 면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셋 째, 연구자의 관점을 제시한다. 춘천 옥조 과 남양 옥조 은 모두 특수한 지역문화와 전통 수공예에 대한 국가 보호 정책을 받고 있다. 양국 모두 옥조 문화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다소 부족하지만, 각자 차별화된 디 자인을 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며 향후 이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먼저, 한·중 옥조제품의 선택 면에서 이 자체로 고유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실무 인터뷰를 통한 수정과 보완을 실시하였 으나, 설문조사의 응답에 있어 응답자의 인식 수준에 따라 조사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