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랜드충성도 수준에 따른 리콜실시가 브랜드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결함부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명진 韓國外國語大學校 經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리콜의 효과를 브랜드측면의성과로 검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충성도수준(높고/낮음) 및 결함부위(핵심/비핵심)유형의 효과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즉 각기 다른 충성도를 가진 소비자가 결함부위의 중요도가 다른 자동차 리콜 메시지를 받을 때 신뢰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각 충성도수준(높고/낮음)에 결함부위(핵심/비핵심)유형을 다르게 제시하였을 때 브랜드신뢰도를 측정, 어느 결함부위유형이 신뢰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동차리콜시 해당브랜드의 충성도 수준이 높을수록 신뢰도가 호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 리콜이라는 메시지를 접할 경우 낮은 고객에 비해 브랜드 신뢰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반면에 자동차리콜시 결함부위가 핵심속성일 경우 비 핵심 속성일 때보다 브랜드 신뢰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워 검증하였지만 결과는 기각되었다. 결함부위(핵심/비핵심)의 중요도 차이는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자동차리콜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소비자의 결함부위가 핵심속성일 때 브랜드 신뢰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은 역시 충성도 수준에서만 유의미할 뿐 제품속성은 조절효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축적 의미는 자동차리콜시 브랜드의 충성도수준에 따라 리콜이라는 메시지를 달리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과 소비자입장에서는 리콜시 결함부품이 핵심인지 아닌지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무에서 자동차리콜을 실시할 때 충성도수준을 고려한 서비스 및 마케팅 전략을 차별화 시켜 가져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리콜제도의 필요성만 연구되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리콜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라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동차리콜을 고민하는 기업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 할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고객의 만족/불만족을 고려하는 바람직한 기업의 모습을 구축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여행사 브랜드 이미지 및 신뢰도가 브랜드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선영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오늘날 개인의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시간 증대 그리고 정보통신산업 발전에 따른 정보제공 및 전자상거래의 활성화 등으로 여행시장은 더욱 확대되고 있으나 시장차별화와 상품차별화만으로는 경쟁 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힘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수단으로 등장한 것이 브랜드를 통한 차별화로 브랜드는 이제 더 이상 단순한 상품명이 아니라 회사의 집약된 노력과 전통, 노하우, 서비스 등 모든 것이 함축되어 있는 무형의 자산으로 이에 대한 공감대는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브랜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행사를 대상으로 한 브랜드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여행사 브랜드이미지 및 브랜드신뢰도와 브랜드충성도 및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여행사 성장도모에 기초 자료적 역할에 목적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 연구에서는 여러 학자들의 여행사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 구매의도 등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조사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여행사 브랜드이미지를 가치성, 서비스, 이용접근성, 상품신뢰성, 광고와 홍보 5개 요인으로 나누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검토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영업장이 있는 H여행사와 L여행사의 여행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309부의 유효 표본을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여행사 브랜드이미지는 가치성, 서비스, 이용접근성, 상품신뢰성, 광고와 홍보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크론바하 알파 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5개 요인과 각각 변수 모두 신뢰성이 충족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신뢰도간의 영향 관계에서 서비스, 광고와 홍보가 브랜드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에서 광고와 홍보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사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간의 영향 관계에서는 가치성, 서비스, 광고와 홍보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와 홍보, 가치성, 서비스 순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신뢰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충성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사 브랜드이미지 중 브랜드신뢰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광고와 홍보,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고 가치성, 이용접근성, 상품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행사는 여행사 내부시설, 인테리어 등 외적 요인과 종사원의 업무처리 및 서비스와 같은 내적 요인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설득력 있고 지속적인 광고와 홍보를 통하여 고객이 여행상품 구매 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광고와 홍보, 서비스 품질향상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여행사 브랜드이미지 중 광고와 홍보, 가치성, 서비스 순으로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접근성과 상품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행사의 경영에 있어서 여행상품 내용과 동일하고 신뢰감을 주는 광고와 홍보,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물론 브랜드 관리의 적극적인 필요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는데, 여행사의 경영자는 브랜드를 차별적이면서도 개성이 있도록 고안하고 설계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참신하고 세련된 브랜드 연상이 될 수 있도록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관심과 실천적인 노력으로 관리운영을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브랜드신뢰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바 브랜드신뢰도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것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충성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여행상품에 대한 품질과 서비스에 믿음과 기대를 일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여행사에 우호적이고 주변에 추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브랜드충성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브랜드충성도는 소비자의 여행상품 구매 및 매출 증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브랜드충성도가 형성된 소비자는 이 브랜드를 구매해도 실패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을 거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브랜드충성도가 구매의도를 높이는 매개체 역할을 하여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여행사의 여행상품에 대해 지속적인 구매의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행사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 구매의도 이외에 브랜드 인지도나 개성 또는 가치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로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이미지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산업관광을 중심으로

        최성재 영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0

        Du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e tourism environments are also changing. The form of travel to break away from everyday life and enjoy leisure as well as the form of industrial tourism, that is, travel related to the industry are being emphasized. Many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revitalize tourism products highligh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 form of industrial tourism in the country. The typical forms of industrial tourism include expos, exhibitions, fairs and local festivals. But, the result of such events is insignificant for the original intent of industrial tourism.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industrial touri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s regional tourism resource as well as utilization of regional industry as tourism resou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rporate image obtain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on th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and brand loyalty based on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ent studies and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and the managerial performance. It was also intended to review what managerial performance such industrial tourism brought to automobile manufacturers by verify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presented research hypothese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WIN 22.0. Als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MOS 22.0 and the path coefficient was determined for verifying the hypothese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rejected. Secon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adopted. Thir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subjective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symbolic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functional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Fif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brand reliability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Six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brand loyalty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ere conside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determined structurally. The theory on the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as establish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stud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image, brand value and managerial performance which was insufficiently examined in the precedent studi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research model targeting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ble scale for corporate image and brand value. Seco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a corporation which hosts automobile industrial tourism through this study. Since it was impossible to secure various samples on a national scale due to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 generalization became impossible, and therefore, an additional study will be necessary in future.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problem in the aspect that the same respondents presented all information on the reason variables and result variables so it is impossible to exclude a possibility that more factors than actual factors were created in this study. Lastly, a segmented and independent study of researchers who study industrial tourism on automobile manufacturers as well as other manufacturers is a subject area which is worthy of study in future. Key words : Industrial Tourism, Automobile Industrial Tourism,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Managerial Performance 국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관광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여행의 형태 뿐 아니라 산업관광(industrial tourism), 즉 산업과 관련된 여행의 형태가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업관광의 한 형태로 여러 지방자치 단체가 지역의 특색을 살린 관광상품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산업관광의 형태로 엑스포나 전시회, 박람회, 지역축제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산업관광의 본래의 취지에 있어서는 그 성과는 미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관광은 지역관광자원 뿐 아니라 지역의 산업을 관광자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관광객을 중심으로 산업관광을 통해 얻게 되는 기업의 이미지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내용을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또한 산업관광을 통해 형성된 지각된 이미지와 브랜드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산업관광이 자동차 생산 기업에 어떠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AMOS 22.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경로계수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적이미지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주관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상징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기능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자동차산업관광객이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 신뢰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여섯째, 자동차산업관광객이 산업관광을 통해 인식된 브랜드 충성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산업관광객이 지각한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 요인을 고찰하였고, 변수들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자동차 산업관광객이 지각한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론 정립을 하였고, 특히 선행 연구들에서 부족했던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경영성과와의 관계연구와, 자동차산업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모형의 개발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에 대한 안정적인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한 산업관광에 대한 자동차산업관광을 주최하는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시간적, 공간적 한계와 전국적인 단위의 다양한 표본을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고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동일한 응답자가 원인과 결과변수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문제를 지니고 있어 실제 변인 이상의 변인을 창출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산업관광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보다 세분화 되고 독자적인 자동차 생산기업 및 기타 제조 기업에 관한 연구도 추후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생각된다.

      • 스타트업 경영자의 정보활용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

        신일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오늘날의 스타트업이 해외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성공의 열쇠임을 확인하고, CEO의 정보활용 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목적으로 해외진출 비중이 높은 IT관련 창업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각 가설을 검증하였습니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정보활용역량이 해외진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선, 정보활용역량, 정보이전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정보획득 역량은 고객 성과에 정(+)의 영향을, 정보획득, 정보이용, 정보활용 역량은 내부 프로세스에 정(+)의 영향을, 정보획득, 정보이용 역량은 학습과 성장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둘째, 정보활용역량이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선, 정보획득을 제외한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 역량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습니다. 셋째, 브랜드 신뢰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선, 브랜드 신뢰도는 재무적,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효과에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재무적 성과 경로에서 유의했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이 고객성과에의 경로에서 유의했으며,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내부 프로세스 경로 간 유의했고, 정보이용, 정보활용, 정보이전과 학습과 성장 성과 간 경로에 유의함을 확인했습니다. As today's startups are to be successful in overseas market, It is confirmed that information is the key to succes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CEO’s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e on overseas expansi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brand trus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IT-related startup workers with a high proportion of overseas expansion, and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first, information utiliz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competencies are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acquisition competencies to customer performance,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use and information utilization competencies to internal process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se competencies to learning and growth as a positive (+) effect,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competences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trust,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On the other hand,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utilization, transfer and customer performance,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internal processes, and in the path between information use, information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learning and growth, brand trust acted 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startups to incre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overseas expansion through brand trust,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enhancing the value of existing information and improving its efficiency rather than discovering new informat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more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are expected if this study is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startups.

      • HMR 선택속성이 제품에 대한 만족과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CJ 비비고 제품을 대상으로

        남태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0

        The recent rise in income levels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has resulted in a rapid growth in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due to the demands of meal time savings and convenience due to various factors in women's entry into society, five-day work week, and one-person increase. This is a time when a variety of products, as well as taste and nutrition, are being released to accommodate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and companies that have a competitive edge among many competitor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for the selectivity of consumers using HMR products, to explore their impact on product satisfaction, brand reliability and brand loyalty, an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oduct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inges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research model and 10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existing prior study. To identify thi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s, reliabil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the survey, the subjects were surveyed for experience in consuming CJ Bibigo products at least once, and 286 samples out of 300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in product factors and product satisfaction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the path coefficient is 0.354, and the t value is 4.755 with the product factor of HMR selection properties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from the simple factors and product satisfaction relationships show that the path coefficient is 0.219, and the t value is 34.480, so the simple factor of HMR selection propert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satisfaction.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in the information factor and product satisfaction relationship, it was shown that the information factor of HMR selection has an effect of non-significant negative (-) on product satisfaction, as the result is that the path coefficient is 0.069 and the t value is 1.867.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in the oral factors and product satisfaction relationships, the path coefficient is 0.206 and the t value is 4.669, so the oral factors of HMR selection proper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satisfaction. Fifth,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product satisfaction and brand confidence relationship, the path coefficient is 0.973 and the t value is 11.045 and the product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credibility. Sixth,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product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relationship, the path coefficient is 0.431 and the t value is 3.100, and product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Seven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redibility and brand loyalty, the path coefficient is 0.522 and the t value is 4.178, indicating that brand credi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MR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frequency of intake did not have a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brand reliability and brand loyal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duct satisfaction, brand reliability and brand loyalty als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each other's influence through model analysis by presenting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prior study of HMR's (Home Interpolation) selection attributes. Second, product satisfaction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HMR selection attributes, by influencing brand credibility and positive sentiment of brand loyalty, and companies are determined to continue to develop factors that can satisfy the product in order to increase confidence in the brand and loyalty to the brand. 최근 소득 수준 증가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여성의 사회 진출 및 주 5일제 근무, 1인가 증가의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식사 시간 절약과 간편성의 요구로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간편식) 시장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맛과 영양은 물론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많은 경쟁사들 사이에서 경쟁우위를 두기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 목적은 HMR 제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요인 정하고, 제품만족,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섭취빈도에 따른 집단 별로 제품만족,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10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 신뢰도,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 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해 조사대상자는 CJ 비비고 제품을 한 번이라도 섭취한 경험이 있는 대상으로 하였으며, 300개의 표본 중 286개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요인과 제품만족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354이며, t값이 4.755로 유의하게 나와 HMR 선택속성의 제품요인은 제품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편요인과 제품만족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219이며, t값이 34.480로 유의하게 나와 HMR 선택속성의 간편요인은 제품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요인과 제품만족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069이며, t값이 1.867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 값이 나와 HMR 선택속성의 정보요인은 제품만족에 유의하지 않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전요인과 제품만족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206이며, t값이 4.669로 유의하게 나와 HMR 선택속성의 구전요인은 제품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제품만족과 브랜드신뢰도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973이며, t값이 11.045로 유의하게 나와 제품만족은 브랜드신뢰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품만족과 브랜드충성도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431이며, t값이 3.100로 유의하게 나와 제품만족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브랜드신뢰도와 브랜드충성도 관계에서 결과를 살펴보면, 경로계수가 0.522이며, t값이 4.178로 유의하게 나와 브랜드신뢰도는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섭취빈도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제품에 대한 만족과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간의 관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HMR(가정간편식) 선택속성 선행연구 바탕으로 선택속성을 제시하여 제품만족,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 모형 분석을 통하여 서로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둘째, 제품만족은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의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끼침으로써 HMR 선택속성이 제품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확인됐으며, 기업에서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을 만족할 수 있는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참여자특성과 상호작용성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신뢰도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정경미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제조업 중심에서 지식 기반 서비스 중심 산업으로 급속하게 전환되는 흐름 속에서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이 브랜드신뢰도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17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13일부터 11월 19일까지 1주일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은 브랜드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신뢰도는 기업–참여자 간 상호작용과 브랜드충성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신뢰도는 참여자–참여자 간 상호작용과 브랜드충성도 사이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상호작용성은 브랜드신뢰도와 브랜드충성도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상호작용성 중 기업-참여자 간 상호작용과 브랜드충성도 사이에서 브랜드신뢰도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은 기업-참여자 간 상호작용성이 브랜드신뢰도를 통해서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새로 확인하였다. 즉, 참여자들은 정보의 주체가 기업인지 참여자인지에 따라 제시된 정보를 다르게 평가하며, 신뢰도를 매개함으로써 브랜드충성도가 강화됨을 시사한다. 셋째, 학습커뮤니티플랫폼의 상호작용성 중 기업-참여자 간 상호작용은 브랜드신뢰도를 통해서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참여자 간 상호작용만으로도 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플랫폼 내에 참여자 간 상호작용을 고취하는 시스템을 배치하고, 관련 이벤트나 환경 및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이것이 브랜드충성도를 높이는 견인차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which has recently grown explosively amid the rapid transition from a manufacturing-centered industry to a knowledge-based service-centered industry, on brand loyalty through brand trus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74 adult men and women aged 20 or older for one week from November 13 to November 19, 2023.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vity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rand trust. Second, the interactivity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Third, brand trus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company-participant interaction and brand loyalty. Fourth, brand trus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articipant-participant interaction and brand loyalt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vity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is an important factor in strengthening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Second, among the interactivity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brand trust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company-participant interaction and brand loyalty, meaning that company-participant interactivity affects brand loyalty through brand trust. was newly confirmed. In other words, participants evaluate the presented informa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is a company or a participant, and this suggests that brand loyalty is strengthened by mediating trust. Third, among the interactivity of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platform, the interaction between companies and participants affects brand loyalty through brand trust, but it also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lone affects brand loyalty.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if a system that encourage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is placed within the platform and related events, environments, and atmospheres are created, this will act as a driving force to increase brand loyalty.

      • 온라인 쇼핑몰 신뢰도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와 제품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현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 신뢰도의 선행변인들에 대한 탐색과, 온라인 쇼핑몰 신뢰도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와 제품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 영향 관계가 제품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쇼핑 시장의 폭발적 성장으로 온라인 쇼핑이 일상이 된 요즘, 판매되는 제품과 쇼핑몰은 하루에도 수십 수백개가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고, 소비자가 구매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은 과거보다 훨씬 많고 다양해졌지만 오히려 정보의 과부하에 따라 소비자 선택이 더 어렵게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의사결정 판단 기준의 하나로 신뢰에 관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온라인 쇼핑몰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온라인 쇼핑몰 신뢰가 구매의도나 고객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 신뢰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들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들로 확증된 결론에 이르기 어려운 변수들이 많고 초기 온라인 시장에서의 연구결과들이 대다수이다. 또한, 온라인 쇼핑에서 소비자의 선택에 민감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이면서 온라인 쇼핑몰의 직접적인 수익에 영향을 주는 프리미엄 가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변수들을 재확인하고, 소비자의 가격 저항을 줄이면서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이끌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 수익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온라인 쇼핑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들로 2017년 6월 5일부터 6월 11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학생, 직장인, 주부 등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수는 230명으로 불성실한 응답자 30명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규모, 브랜드 명성, 보증정책이 온라인 쇼핑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된 반면, 친숙성에 대한 영향은 기각되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신뢰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는 제품유형별(탐색재vs.경험재)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 중국 마라톤대회 스폰서십활동이 브랜드자산, 브랜드신뢰도, 브랜드충성도 및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망달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hinese marathon sponsorship activities on sponsored brand equity, brand trust, brand loyalty and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reference material for businesses to engage in future marathon sponsorship activitie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sponsorship activity, brand equity, brand trust, brand loyalty, and consumer behavior, and the research model was validated through data analysis. For the subject and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50 Chinese marathon runners,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the final 443 valid questionnaire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First,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ctivity, image enhancement activity, and event contribution 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sponsorship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which are sub-factors of brand equity. Second, the sub-factors of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reli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brand equ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Fourth, it was found that brand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consumption behavior, repeated purchase,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brand loyal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eated purchase,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survey results, marathon event sponsorship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nsor brand equity, so enterprises should rationally utilize the marathon event platform to fully develop their brand equity. In order to develop brand equity more effectively, companies must combine the age, gender, marathon level, occupation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marathon events and invest in and fulfill brand elements such as packaging, function and appearance of sponsored products. The needs of other participants. It can help marathon runners form a comprehensive brand awareness of the sponsored brand, and improve participants' brand awareness and brand preference. In addition, in the marathon sponsorship activities, companies should not only carry out one brand promotion activity, but also cooperate with event organizers as much a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participants and provide participants with a good brand experience. Various services, participants have built a good brand image in their minds. Therefore, marathon sponsors must continuously increase their brand value through various sponsorship activities. Good brand equity can increase participants' brand credibility and brand loyalty, and ultimately promote the occurrence of consumer behavior.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마라톤 스폰서십 활동이 후원하는 브랜드 자산,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 및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기업이 향후 마라톤 후원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특정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후원 활동, 브랜드 자산, 브랜드신뢰, 브랜드충성도 및 소비행동과 관련된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연구 모델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 및 자료처리는 중국 마라톤선수 45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최종 443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 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면, 결론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폰서십 활동의 하위요인 커뮤니케이션 활동, 이미지 제고 활동, 이벤트 기여 활동은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이미지,브랜드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이미지,브랜드선호도가 브랜드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 브랜드인지도,브랜드이미지,브랜드선호도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신뢰도가 소비행동의 하위요인 반복구매, 만족도 및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충성도가 소비행동의 하위요인 반복구매, 만족도 및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라톤 행사 후원 활동은 후원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은 마라톤 행사 플랫폼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브랜드 자산을 충분히 발전시켜야 한다. 브랜드 자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기업은 마라톤 행사에서 참가자의 연령, 성별, 마라톤 수준, 직업 및 기타 특성을 결합하고 스폰서 제품의 포장, 기능 및 외관과 같은 브랜드 요소에 투자하여 충족해야 한다. 또한, 마라톤 참가자가 스폰서 브랜드에 대한 포괄적인 브랜드 인식을 형성하고 참가자의 브랜드인지도 및 브랜드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라톤 후원 활동에서 기업은 하나의 브랜드 홍보 활동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이벤트 주최자와 협력하여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가자들에게 좋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참가자들은 마음속에 좋은 브랜드이미지를 구축함으로서 마라톤 후원사는 다양한 후원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한다. 좋은 브랜드 자산은 참가자의 브랜드신뢰도와 브랜드충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소비자 행동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 코로나시대 패밀리레스토랑 배달 서비스 품질 요인이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광중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5

        우리나라의 외식산업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함께 성장해 왔으나 코로나19의 감염 확산 우려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전례 없던 “사회적 거리두기” 라는 강한 정부 지침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에 속하는 배달 서비스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 대면 산업인 패밀리레스토랑 역시 고객수의 감소로 인한 매출 하락의 방편으로 배달 서비스를 시작 하면서 패밀리레스토랑의 배달 서비스 품질요인이 브랜드 만족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여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인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의 배달서비스를 이용 해 본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 거주 고객을 대상으로 총 40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총 3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5.0와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른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신뢰성 및 타당성의 검증, 가설 모형검증을 위하여 구조 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도와 함께 변수 간 영향관계에 대하여 검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패밀리레스토랑의 배달 서비스 품질요인은 브랜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달서비스 매출 증진과 마케팅 활용 방법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