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애착차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의존적 우울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한영수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effects of attachment dimension, depend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adolescence on smartphone according to the relations among attachment dimension, smartphone addiction, depend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adolescence. Furthermore, this study established the model that depend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mediate the affects of attachment dimension of adolescence on smartphone addition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mediators in the statistical differences, provided multidimensional exploration and baseline data about variables that affect smartphone addiction by showing that depend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affec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during the process, and suggested some useful strategies for counselors to explore the clients at counseling scene about th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o make a goal for counse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ronbach' α for each scal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measurement variable by using SPSS, and structural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AMOS in order to explai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dimension(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ce with mediators(dependent depression, interpersonal anxiety). Also, Sobel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mediating effects have significa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ependent depression, social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a smartphone addiction appeared in both correlations. Secondly, Structural model to verify the result, set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study model variables than competing models better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research model as the final model was set. Thirdly, after finding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dependent depression i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it showed that dependent depression mediated partially to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martphone addition. Fourthly,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anxiety i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anxiety showed a partial mediation in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martphone addition. Building on these results, depend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which mediat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of attachment dimension of adolescence on smartphone addition, were synthetica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suggesting that attachment dimension, depend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underst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ce. Finally, it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청소년 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의존적 우울과 대인불안이 매개한다는 모형을 설정·검증하고, 매개변수들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차원적인 탐색 및 스마트폰 중독 성향 학생에 대한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를 파악하고 상담을 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중부권 및 영남권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ECRS(Brennan, 1998)를 박지선이 수정·보완한 청소년 애착차원 척도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의 인터넷 중독 대응센터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DEQ-A(Blatt, 1976)를 조혜수와 권영민(2009)이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 과정을 거친 의존적 우울 소척도, SADS(Watson & Friend, 1969)를 이정윤과 최정훈(1997)이 수정·번안한 대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각 척도의 Cronbach’s α와 각 측정변인의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청소년 애착차원(애착불안과 애착회피)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매개변수(의존성 우울, 대인불안)를 이용해서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개발 AMOS 21.0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애착불안, 애착회피, 의존적 우울, 대인불안, 스마트폰 중독 간 관계에서 모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더 잘 설명함에 따라 연구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의존적 우울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회피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대인불안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애착차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로서의 의존적 우울과 대인불안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이해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애착차원과 의존적 우울, 대인불안의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남태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에서 30세의 성인초기 남녀 312명(남자90명, 여자 222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사회불안, 마음챙김, 인지적 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초기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마음챙김은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인지적 유연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지적 유연성은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초기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불안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회피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초기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불안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회피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고, 마음챙김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For this purpose, 312 data samples aged 19 to 30 (male 90, female 222) were collected and measured by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ECR-R),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nd Social Phobia Scale(SPS), Mindfulness Attention and Awareness Scale(MAAS),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CFI).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And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each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u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significant double mediating effects, but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proved that Adult Attachment, Mindfulness, Cognitive Flexibility are variables that effect Social Anxiety, and also clarified that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주선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불안애착의 형성에도 이성관계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부분매개효과로, 경쟁모형을 완전매개효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자기효능감 척도와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통해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를 통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불안애착은 자기효능감과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자기효능감은 이성관계 만족도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불안애착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자기효능감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불안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에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주어 만족도를 높인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성관계 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불안애착이라는 요소가 주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불안애착 외의 애착과 이성관계에 대한 탐구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 자기효능감이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들의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상담 시 불안애착을 경험한 개인이 성인 이후 맺게 될 이성관계와 더 나아가 결혼생활까지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긍정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이성관계를 통해서 경험하는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위와 같은 결과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상담기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탐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제한점과 논의 및 이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최옥숙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8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9.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존재감은 대인관계능력 및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대인관계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존재감도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존재감이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부분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애착불안을 낮추려는 노력과 함께 매개변인으로 확인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을 통해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애착불안이 대학생활적응과 대인존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애착불안수준을 감소시킬 상담 및 관련교육,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한 구조적 관계분석

        김은미 충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별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이별 후 성장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모형으로는 세 개 변인(불안애착, 회피애착 및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포함하는 부분매개모형을, 대안모형으로는 세 개 변인이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통해서만 이별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두 모형을 비교, 평가한 결과 연구모델이 최종 선택되었다. 최종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남자대학생과 여자대학생 집단 간의 구조적 관계, 그리고 이별 경험 1년 미만과 1년 이상 집단 간의 구조적 관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안애착은 이별 후 성장에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그리고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차례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이별 후 성장에 직접효과만 갖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은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로, 그리고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차례로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반면, 이별 기간에 따라서는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in whic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s mediato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xiety, ego-resilience,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xiety, ego-resilience,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breakups period less than 1 year and breakups period more than 1 year i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xiety, ego-resilience,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09 college students in the city participated, but the data of only 947 college students(472 male and 475 female) who had experienced breakups were chosen for data analysi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m to measure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breakups experience, attachment, ego-resilience,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0.0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was proposed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anxiety, avoidance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have direct effects and also have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 competition model was fully mediation model in which anxiety, avoidance attachment and ego-resilience have direct effects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fter comparing,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anxiety attachment has in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in turn. and It was found that avoidance attachment has only 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ego-resilience has indirect effect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and deliberate rumination, problem-focused coping in tur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weight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weights of anxiety attachment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ego-resilie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between breakups periods.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ounseling model for college students with romantic breakups.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internal capability to form a stable romantic relationships.

      • 성인애착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구자윤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애착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인애착 불안은 자아분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자아분화 수준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자아분화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지각된 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성인애착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 간에는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자아분화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한 순차적인 간접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성인애착 불안이 높은 사람은 자아분아 수준이 낮아지고, 낮은 자아분화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활성화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 현장에서 마주하는 성인애착 불안이 높은 내담자의 스트레스 지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불안정 성인애착과 대인불안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재중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세에서 50세까지의 성인남녀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대인불안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 명확성이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과 애착회피)과 대인불안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즉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이 대인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정서 명확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상담현장에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과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motion recognition clarit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320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to 50 and the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ed effect was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statement. First,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hich are subfactor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anxiety. Second, emotional clarity,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 recognition clarity,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interpersonal anxie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does not only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anxiety but also, show a significant effect through emotional clarity. Based on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counseling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대학생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화향 조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올바른 이성교제를 통해 건강한 대학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을 독립변수로, 유기도식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에 대해 사회적지지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통해 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광주광역시, 전남・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95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이성교제 관련 특성에서 교제 38.2%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 26.3%는 이성교제가 4회 이상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정형적인 이성교제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유기도식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 특성에서 부모의 별거, 이혼, 재혼 등의 영향에서 비롯됨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불안애착이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유기도식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설명하면 불안애착을 가진 사람은 생애 초기에 자신의 요구와 맞지 않는 보살핌을 받거나 신뢰할만하지 못한 양육경험 내제되어 성인이 되어서 재 경험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회피애착이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유기도식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인 자연적 원조 관계망은 불안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조절역할과 회피애착과 관계중독 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인 전문적 원조 관계망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과 지인 등의 지지는 불안의 위기 상황을 순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풀이 된다. 그러나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인 전문적 원조 관계망은 불안애착과 관계중독 간, 또한 회피애착과 유기도식 간, 회피애착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성교재에 있어서 어려움은 전문가 도움이 요청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인 자연적 원조 관계망은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유기도식 간의 관계와 유기도식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 요인에 해당되는 대학생들은 비교적 건강한 대학생활을 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사하면 첫째, 바람직하지 못한 잦은 이성교제가 추후 결혼에서 별거와 이혼, 재혼을 불러올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둘째, 산업사회 영향에 따른 여성의 사회진출 여파로 아동양육자의 소홀과 이에 대한 애착형성의 중요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관계중독의 원인만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에만 집중 되었을 뿐, 관계중독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대학의 상담전문가 구성과 대학 관련 교양과목 개설을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주요어: 불안애착, 회피애착, 유기도식, 관계중독, 사회적지지(자연적 원조관계망, 전문적원조관계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elp college students to lead a healthy college life through healthy romantic relationships. This study se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t attach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bandonment schema as a parameter which are the factors that may play a role 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tried analyzing if social support affects those factors. For this purpose, we used data from preceding and empirical studies, analysing the total number of 395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and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38.2% of the students experienced a romantic relationship and of them 26.3% experienced more than 4 times of relationships, suggesting that romantic relationships were not uniform. Second, the result found that attachment anxiety, avoidant attachment and abandonment schema play a role on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may be affected by separation, divorce and remarriage of parents.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bandonment schema plays a mediating role when attachment anxiety affect relationship addiction. In other words, a child who experienced a lacking care or an unreliable parenting may go through relation addiction in his/her adulthood. However, the result found that abandonment schema does not play any mediating role when avoidant attachment affects relationship addiction. Fourth, the study indicated that natural aid network of social support plays a role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and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It also found that professional aid network of social support plays a role between abandon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uggests that support from the family and acquaintances may help to handle unstable crises smoothly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may lead a healthy life. On the other hand professional aid network may not be a factor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abandonment schema and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means that help from professionals may not be required in handling difficulties in a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indicates that undesirable frequent romantic relationships may give rise to separation, divorce and remarriage later, that negligent parenting caused by increasing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child attachment formation, and that preceding studies only focused on understanding causes of relationship addiction, not hiring consulting experts or opening relating courses on campu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limitation of the preceding studies and possible policies on campus, suggesting further studies. Key words: attachment anxiety, avoidant attachment, abandonment schema, relationship addiction, social support (natural aid network, professional aid network)

      •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강상휘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사회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애착의 두 하위요인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3개 대학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8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애착불안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그리고 SNS중독경향성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로 애착회피와 사회불안 및 SNS 중독경향성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사회불안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애착회피 또한 SNS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사회불안이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애착회피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불안정하게 애착이 형성된 사람들은 SNS 중독경향성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라는 결론을 얻었다. 불안정한 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을 높일 수 있으며, SNS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정애착 증진의 필요성 및 치료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SNS중독경향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 모두가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어 애착과 사회불안과 같은 대인관계 요소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SNS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SNS 중독경향성의 감소를 위한 상담에서 대학생의 애착에 기반한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회불안을 줄이는 지원과 개입이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SNS Addition Tendency, Social Anxiety and among college students. The aim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i.e.,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nd SNS Addition Tendency this population group. To this end,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among 188 students of various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Survey data were analyzed vi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pointed a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nd SNS Addition Tendency among the respondents. Similarly,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nd SNS Addition Tendency. On the other hands, Social Anxiety was found to exercise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NS Addition Tendency among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In other words, while Anxiety Attachment contributed directly to SNS Addition Tendency, Social Anxiety also contributed to increasing SNS Addition Tendency by way of indirect influence.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to exercise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SNS Addition Tendency among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Also, while Avoidance Attachment contributed directly to SNS Addition Tendency, Social Anxiety also contributed to increasing SNS Addition Tendency by way of indirect influence. The study found that in case of high Anxiety Attachment student can be weak to increase SNS Addiction Tendency. In other words, Anxiety Attachment can be lead to increase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counselor significant in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Secure Attachment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decrease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ary, Results indicated that Anxiety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as important predictors to explaining SNS Addiction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a program considering personal relations factors such as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can reduce the SNS Addiction Tendency. In counseling to reduce the tendency to addiction to SNS, support for reducing the attachment and social unrest of college students and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intervention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및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강혜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attaining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fter traumatic termin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tentional rumination, and stress coping o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 this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path model in which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Also,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roup of those in their 20s and the group of those in their 30s or 40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is study, 399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s completed the survey, and the data of 342 individuals among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valid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model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negatively affected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hereas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Second, intentional rumin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while intentional rumina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attachment avoidance. Third, both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and passive stress coping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passive stress coping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with attachment avoidance, but active stress coping showed negative effect. Fourth, attachment anxiety partia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partially mediated. Attachment avoidance fully mediated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tentional rumination and passive stress coping were also fully mediated. Fifth, the group of those in their 30s or 40s showed that intentional rumination, active stress coping, and passive stress coping had mo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in the path to reac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ith increasing attachment anxiety than the group of those in their 20s. In summary, this study presented those with attachment anxiety would feel serious distress after romantic breakups and that their intentional rumination would increase as their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was facilitated while they were seeking support from others; this would consequently enhance their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However, those with attachment avoidance showed decreased intentional rumination due to the avoidance of their problems and distress; this would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experience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s they would not engage in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d passive stress coping was also helpful for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lthough previous studies positively viewed active stress coping only. Also, the group of those in their 30s and 40s used strategies of intentional rumination and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than the group of those in their 20s; thus,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would be higher with increasing ag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tanding on the process of attaining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Als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관계의 종결이라는 외상 사건을 통해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심리적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성인애착, 의도적 반추, 스트레스 대처가 실연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실연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20대와 3,40대 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실연 후 성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연 경험이 있는 20~40대 미혼남녀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4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부적 영향을 끼치지만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는 증가하는 반면,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셋째,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 모두 증가하는데 그중에서도 소극적 대처가 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반면 회피애착의 경우 소극적 대처는 유의하지 않으나 적극적 대처는 부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불안애착이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부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대처를 완전 매개, 의도적 반추와 소극적 대처 역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3,40대 집단은 20대 집단에 비해 불안애착이 높아질수록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의도적 반추,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불안애착은 실연 후 심각한 고통을 느끼며 타인의 지지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가 증가하고 이것이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를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실연 후 성장이 높아짐을 보였다. 그러나 회피애착은 문제나 고통을 억압하고 회피하기 때문에 의도적 반추가 낮아지고 적극적, 소극적 대처도 잘 하지 않아 실연 후 성장을 경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 대처만 긍정적으로 보았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소극적 대처 역시 실연 후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집단에 비해 3,40대 집단이 의도적 반추와 적극적, 소극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여 연령이 높아질수록 실연 후 성장에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실연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상담개입 방법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